KR101805331B1 -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331B1
KR101805331B1 KR1020167017280A KR20167017280A KR101805331B1 KR 101805331 B1 KR101805331 B1 KR 101805331B1 KR 1020167017280 A KR1020167017280 A KR 1020167017280A KR 20167017280 A KR20167017280 A KR 20167017280A KR 101805331 B1 KR101805331 B1 KR 101805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alue
gas turbine
command valu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412A (ko
Inventor
게이스케 야마모토
다카시 소노다
아키히코 사이토
후미노리 후지이
히사시 나카하라
료이치 하가
류지 다케나카
요시후미 이와사키
와타루 아키즈키
이사무 마츠미
나오히로 스미무라
신이치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26Control of fuel supply
    • F02C9/28Regulating systems responsive to plant or ambient parameters, e.g. temperature, pressure, roto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02C7/228Dividing fuel between various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26Control of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26Control of fuel supply
    • F02C9/263Control of fuel supply by means of fuel meter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48Control of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nother control of the plant
    • F02C9/50Control of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nother control of the plant with control of working flui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2Regulating fuel supply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2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D2270/301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D2270/303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40Type of control system
    • F05D2270/44Type of control system active, predictive, or anticipat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5/00Measuring
    • F23N2225/08Measuring temperature
    • F23N2225/20Measuring temperature entra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41/00Applications
    • F23N2241/20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R2900/00013Reducing thermo-acoustic vibrations by ac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연료 제어 장치는, 대기 조건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방도 지령값과,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에 흐르는 전체 연료 유량의 산출에 이용하는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여 산출한 출력 예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와 유입된 공기의 혼합체를 연소시킨 경우의 온도 추정값을 산출하는 연소 온도 추정값 산출부와,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으로부터 출력하는 연료의 배분을 나타내는 연료 배분 지령값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연료 배분 지령값 산출부와,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과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는 전체 연료 유량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유량 조절 밸브의 각 밸브 개방도를 산출하는 밸브 개방도 산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FUEL CONTROL DEVICE, COMBUSTOR, GAS TURBINE, CONTROL METHOD, AND PROGRAM RECORDED I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2월 2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4-034871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가스 터빈의 연소기로의 연료의 공급에 대해서는, 연소의 효율이나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복수의 계통으로 나누어 연료를 공급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 각각의 계통으로의 연료의 배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 14는 종래의 가스 터빈의 연료 배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연료 제어 장치는, 대기 압력, 대기 온도, IGV(Inlet Guide Vane) 개방도 지정값, 가스 터빈 출력값에 근거하여 터빈의 입구에 있어서의 연소 가스의 온도를 추정하고, 그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여, 각 계통에 할당하는 연료의 비율을 산출하고 있었다. 그리고, 연료 제어 장치는, 각 계통으로의 배분 비율과,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CSO)에 근거하는 전체 연료 유량으로부터, 각 연료 계통의 노즐로의 연료 공급량을 결정하고, 각각의 계통에 마련된 연료 유량 조절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제어하고 있었다.
또한, 가스 터빈의 연소기에서는, 예컨대 복수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의 배분비가 변화한 경우 등에, 연소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연소 진동은, 연소기 내의 압력 변동으로, 연소기나 가스 터빈의 부품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연소 진동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도 15는 종래의 부하 변화시에 있어서의 임의의 연료 계통으로의 연료 배분비와 터빈 입구 온도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배분비와 터빈 입구 온도의 값에 따라서는, 연소 진동이 발생하는 영역이 존재한다(영역(74), 영역(75)). 또한, 목표 운전 라인(71)은, 그와 같은 연소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연료 배분비와 터빈 입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목표 운전 라인을 나타내고 있다. 연료 제어 장치에는, 목표 운전 라인(7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연소 진동 발생 영역을 회피할 수 있는 연료 배분비가 되도록, 각 계통에 공급하는 연료의 배분비를 제어하는 것이 기대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12-92681호 공보
가스 터빈의 출력이 변동하면, 그것에 따라 터빈의 입구 온도도 변화한다. 특히 그 변동이 급격한 경우 등은, 상기와 같이 하여 산출한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은, 실제의 가스 터빈 입구 온도의 변화에 맞지 않는다. 그 경우, 그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여 연료 제어 장치가 산출한 연료 배분비와, 실제의 가스 터빈 입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운전 라인이, 연소 진동 발생 영역에 포함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예컨대, 운전 라인(72)은, 부하를 높였을 때의 운전 라인의 일례이고, 운전 라인(73)은, 부하를 낮췄을 때의 운전 라인의 일례이다. 어느 쪽의 경우도, 연소 진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연료 제어 장치는, 대기 조건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방도 지령값과,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에 흐르는 전체 연료 유량의 산출에 이용하는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여 산출한 출력 예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와 유입한 공기의 혼합체를 연소시킨 경우의 온도 추정값을 산출하는 연소 온도 추정값 산출부와,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으로부터 출력하는 연료의 배분을 나타내는 연료 배분 지령값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연료 배분 지령값 산출부와,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과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는 전체 연료 유량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유량 조절 밸브의 각 밸브 개방도를 산출하는 밸브 개방도 산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상기 연료 제어 장치는,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과 가스 터빈의 출력값의 미리 정해진 대응 관계와,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 예측값을 산출하는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의하면, 상기 연료 제어 장치는,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과 가스 터빈의 출력을 보정하는 값의 미리 정해진 대응 관계와,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 예측값을 보정하는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산출하는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와, 가스 터빈의 출력값의 실측값과 상기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예측값을 산출하는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의하면, 상기 연료 제어 장치는, 단위 시간당 가스 터빈의 출력 변화를 나타내는 값에 따라, 상기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에 대한 가중 계수를 산출하는 계수 산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의하면, 상기 연료 제어 장치는, 단위 시간당 가스 터빈의 출력 변화를 검출하고, 해당 출력 변화가 소정의 값보다 작을 때는, 상기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하는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의하면, 연소기는, 상술한 연료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에 의하면, 가스 터빈은, 상술한 연료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에 의하면, 제어 방법은, 연료 제어 장치가, 대기 조건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방도 지령값과,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에 흐르는 전체 연료 유량의 산출에 이용하는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여 산출한 출력 예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와 유입한 공기의 혼합체를 연소시킨 경우의 온도 추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으로부터 출력하는 연료의 배분을 나타내는 연료 배분 지령값을 산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과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는 전체 연료 유량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유량 조절 밸브의 각 밸브 개방도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에 의하면, 프로그램은, 연료 제어 장치의 컴퓨터를, 대기 조건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방도 지령값과,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에 흐르는 전체 연료 유량의 산출에 이용하는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여 산출한 출력 예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와 유입한 공기의 혼합체를 연소시킨 경우의 온도 추정값을 산출하는 수단,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으로부터 출력하는 연료의 배분을 나타내는 연료 배분 지령값을 산출하는 수단,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과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는 전체 연료 유량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유량 조절 밸브의 각 밸브 개방도를 산출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상기한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부하 변화의 과도기에 있어서도 터빈 입구 온도에 대한 목표로 하는 연료 계통 연료비와 실제의 연료 계통 연료비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 플랜트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를 적용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의 가스 터빈 연료 배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종래의 부하 변화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비와 터빈 입구 온도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제어 장치를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 플랜트의 계통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가스 터빈 플랜트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터빈(10)과, 가스 터빈(10)의 구동으로 발전하는 발전기(16)와, 가스 터빈(10)의 거동을 제어하는 연료 제어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가스 터빈(10)과 발전기(16)는, 로터(15)로 연결되어 있다.
가스 터빈(10)은,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압축기(11)와, 압축 공기와 연료 가스를 혼합하여 연소시켜, 고온의 연소 가스를 생성하는 연소기(12)와,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13)을 구비하고 있다.
공기 압축기(11)에는, IGV(14)가 마련되어 있다. IGV(14)는 공기 압축기(11)로의 공기의 유입을 조정한다. 공기 압축기(11)의 입구측에는, 압력계(22), 온도계(23)가 마련되어 있다. 압력계(22)는, 대기 압력을 측정하고 연료 제어 장치(50)에 출력한다. 온도계(23)는, 대기 온도를 측정하고 연료 제어 장치(50)에 출력한다.
연소기(12)는, 연소기(12)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21)와 접속되어 있다. 연소기(12)에는,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파일럿 계통, 메인 계통, 탑햇 계통)으로부터 연료가 공급된다. 그 때문에, 연료 공급 장치(21)와, 연소기(12)의 사이에는, 연료 계통마다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파일럿 계통 연료 유량 조절 밸브(18)와, 메인 계통 연료 유량 조절 밸브(19)와, 탑햇 계통 연료 유량 조절 밸브(20)가 마련되어 있다.
발전기(16)에는, 전력계(17)가 구비되어 있고, 발전기(16)에 의한 발전 전력을 측정하고, 연료 제어 장치(50)에 출력한다.
연료 제어 장치(50)는, 각 연료 계통마다 할당하는 연료의 배분비를 결정하고, 각 연료 공급 계통에 구비된 연료 유량 조절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한다. 다시 말해, 연료 제어 장치(50)는, 파일럿 계통 연료 유량 조절 밸브(18), 메인 계통 연료 유량 조절 밸브(19), 탑햇 계통 연료 유량 조절 밸브(20)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하고, 각 계통의 노즐로부터 연소기에 유입되는 연료 유량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CSO : Control Signal Output)을, 가스 터빈의 출력을 제어하는 가스 터빈 출력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취득하여, CSO에 근거하여 가스 터빈의 출력 예측값(MW)을 산출한다.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CSO)이란, 연소기에 공급하는 연료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 출력 신호이다.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의 산출은, 예컨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CSO와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대응시킨 테이블이나 함수가, 연료 제어 장치(50)가 구비하는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어 있고,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취득한 CSO에 근거하여 그 테이블을 읽어 들여서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취득한다. 혹은, 소망하는 CSO에 대한 출력 예측값이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읽어낸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이용하여 보간 계산을 행하고,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산출한다. 이 CSO와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의 대응 관계는, 미리 시뮬레이션이나 실험 등을 행하여 정해져 있다. 기억부는, 연료 제어 장치(50)와 접속된 기억 장치이더라도 좋다.
터빈 입구 온도 추정부(52)는, 터빈의 입구에 있어서의 연소 가스의 온도를 추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 입구 온도 추정부(52)는, 압력계(22)로부터 대기 압력, 온도계(23)로부터 대기 온도, IGV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IGV 개방도 지령값,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로부터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취득하고, 이들 값에 근거하여 터빈의 입구에 있어서의 연소 가스의 온도(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를 추정한다. 터빈 입구 온도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7-77867호 공보에 기재가 있다. 개요를 설명하면, 각 IGV 개방도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 출력과 터빈 입구 온도의 관계를 규정한 테이블이나, 각 IGV 개방도에 있어서의 대기 온도와 가스 터빈 출력의 관계를 규정한 테이블 등이 미리 준비되어 있다. 기재된 방법에서는, 이들 테이블을 이용하여 IGV 개방도와 대기 온도와 가스 터빈 출력과 터빈 입구 온도의 관계를 구한다. 기재된 방법에서는, 또한 소정의 방법에 의해 대기압비를 고려한 가스 터빈 출력과 터빈 입구 온도의 관계를 구하고, 이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대기 조건을 고려한 소정의 IGV 개방도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 출력에 대응하는 터빈 입구 온도를 추정한다.
연료 배분 지령값 산출부(53)는, 터빈 입구 온도 추정부(52)가 추정한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여, 기억부가 기억하는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과 예컨대 파일럿 노즐에 공급하는 연료의 배분비를 대응시킨 테이블이나 함수로부터, 파일럿 노즐로의 배분비를 읽어낸다. 마찬가지로 연료 배분 지령값 산출부(53)는,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과 탑햇 노즐에 공급하는 연료의 배분비를 대응시킨 테이블이나 함수로부터, 탑햇 노즐로의 배분비를 읽어낸다. 그리고, 연료 배분 지령값 산출부(53)는, 배분비가 퍼센티지로 나타내어져 있는 경우, 파일럿 노즐 및 탑햇 노즐로의 배분비의 합을 100%로부터 감산하여, 나머지의 메인 노즐에 공급하는 연료의 배분비를 산출한다. 연료 배분 지령값 산출부(53)는, 각 연료 계통으로의 배분비를 산출하면, 그 배분비(연료 배분 지령값)를 밸브 개방도 산출부(55)에 출력한다. 또,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과 각 연료의 배분비를 정한 테이블 등으로부터, 대상이 되는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에 있어서의 연료의 배분비를 읽어낼 수 없는 경우는, 배분비를 보간 계산에 의해 산출하더라도 좋다.
전체 연료 유량 산출부(54)는, 가스 터빈 출력 제어부로부터 CSO를 취득하여, 그 CSO가 나타내는 전체 연료 유량을 산출한다. 전체 연료 유량이란, 연소기에 공급하는 연료 유량을 나타내고 있고, 각 계통에 배분하는 연료의 합계이다. 전체 연료 유량의 산출은, 기억부에 기록된 CSO와 전체 연료 유량값의 대응 테이블이나 함수로부터 산출한다. 전체 연료 유량 산출부(54)는, 전체 연료 유량의 정보를 밸브 개방도 산출부(55)에 출력한다.
밸브 개방도 산출부(55)는, 연료 배분 지령값과 전체 연료 유량에 근거하여, 각 연료 계통에 마련된 유량 조절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개방도 산출부(55)는, 전체 연료 유량에 각 계통으로의 배분비를 곱하여, 각 계통에 공급하는 연료 유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밸브 개방도 산출부(55)는, 각 유량 조절 밸브마다 준비된, 연료 유량과 밸브 개방도 지령값의 대응 테이블이나 함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량 조절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밸브 개방도 산출부(55)는, 산출한 밸브 개방도에 근거하여, 파일럿 계통 연료 유량 조절 밸브(18), 메인 계통 연료 유량 조절 밸브(19), 탑햇 계통 연료 유량 조절 밸브(20)를 제어한다. 또, 연료 유량과 밸브 개방도 지령값의 대응 테이블이나 함수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연료 배분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가스 터빈 출력 제어부로부터 CSO를 취득한다.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취득한 CSO를 이용하여, 미리 기록된 CSO와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의 대응 테이블을 참조하여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산출한다(100).
다음으로, 터빈 입구 온도 추정부(52)가, 압력계(22)로부터 대기 압력, 온도계(23)로부터 대기 온도를 취득한다. 또한, 터빈 입구 온도 추정부(52)는, IGV 제어 장치로부터 IGV 개방도 지령값을 취득한다. 또한, 터빈 입구 온도 추정부(52)는,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가 추정한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터빈 입구 온도 추정부(52)는, 이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터빈 입구 온도를 추정한다(101).
다음으로 연료 배분 지령값 산출부(53)는, 터빈 입구 온도에 근거하여 각 연료 공급 계통에 공급하는 연료의 배분비를 산출한다(102). 연료 배분 지령값 산출부(53)는, 배분비의 정보를 밸브 개방도 산출부(55)에 출력한다.
한편, 전체 연료 유량 산출부(54)는, 가스 터빈 출력 제어부로부터 CSO를 취득하고, 전체 연료 유량을 산출한다(103). 전체 연료 유량 산출부(54)는, 전체 연료 유량의 정보를 밸브 개방도 산출부(55)에 출력한다.
밸브 개방도 산출부(55)는, 전체 연료 유량에 연료 계통마다의 배분비를 곱하여, 각 연료 계통에 공급하는 연료 유량을 산출한다(104). 밸브 개방도 산출부(55)는, 각 계통으로의 연료 유량으로부터 각 계통의 유량 조절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산출한다(105). 그리고 밸브 개방도 산출부(55)는, 각 유량 조절 밸브를 산출한 밸브 개방도 지령값에 근거하여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를 적용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대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배분 제어를 적용하여 부하의 증감을 행한 경우,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 종래의 결과와 달리, 부하를 높였을 때의 운전 라인(72)도, 부하를 낮췄을 때의 운전 라인(73)도 연소 진동 발생 영역에 포함되는 부분이 없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실제의 가스 터빈의 출력에 따라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을 결정하고 있다. 그 경우, 종래의 연료 제어 장치가, 연료의 배분비를 결정하고, 실제로 각 계통으로의 연료 공급의 제어를 행하고, 그 결과, 가스 터빈의 출력이 소망하는 값이 되기까지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지연이 생긴다. 다양한 요인이란, 예컨대 기계적인 지연(밸브 동작 지연, 압력 응답 지연, 연소 지연)이나 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처리 등에 시간을 요하는 등의 제어적인 지연이 있다.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부하의 변동이 심한 경우, 실제의 가스 터빈의 출력에 따른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여 연료 배분비를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결정한 배분비에 근거하여, 실제로 밸브 개방도를 제어할 때에는, 이미 가스 터빈의 출력값이 변화하고 있어서, 먼저 산출한 밸브 개방도에 의한 제어가 실태에 맞지 않게 되는 일이 생긴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CSO에 근거한 가스 터빈 출력의 예측값을 이용하여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방법에서는 발생하기 쉬웠던, 실제의 가스 터빈 출력값을 피드백하여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을 산출하는 것에 의한,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의 시간적인 지연을 선행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부하 변화의 과도시에 있어서도, 운전 라인과 목표 운전 라인의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고, 연소 진동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가스 터빈의 출력 예측값의 산출에 CSO 이외의 파라미터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파라미터란, 대기 온도, 대기 압력, IGV 개방도 지령값, 연료 칼로리 중 적어도 하나이다. 다른 공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CSO에 근거하여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산출한다(100). 또한,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상술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취득한다.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하여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압력계(22)로부터 대기 압력, 온도계(23)로부터 대기 온도, IGV 제어 장치로부터 IGV 개방도 지령값, 연료 계통에 구비된 열량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연료 칼로리를 취득한다.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취득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파라미터마다 미리 준비된, 각각의 파라미터의 값과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의 보정량을 대응시킨 테이블을 기억부로부터 읽고, 그 테이블에 근거하여 보정량을 산출한다(100B).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CSO에 근거하여 산출한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에, 이 보정량을 곱하여(또는 가산하여), 보정 후의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구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실제의 대기 온도, 대기 압력, IGV 개방도 지령값, 연료 칼로리에 따른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에 근거하여 연료 배분비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실제의 환경을 반영한 연료 유량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보다 연소 변동의 리스크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이들 파라미터는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제어 장치를 도 6~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료 제어 장치(50)는,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가, 가스 터빈의 예상 출력값을 산출하는 방법이 제 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가스 터빈 출력 제어부로부터 CSO를 취득하여, 그 CSO에 근거하여 가스 터빈의 출력값의 보정량을 산출한다. 가스 터빈 출력값 보정량의 산출은, CSO와 가스 터빈 출력값 보정량을 대응시킨 테이블이나 미분기를 포함하는 함수가 미리 기억부에 기록되어 있고,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취득한 CSO를 이용하여 그 테이블 등을 읽어 들여서, 가스 터빈 출력값 보정량을 구한다.
다음으로,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미리 정해진 가중 계수 P를 기억부로부터 읽어 들여서,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로부터 취득한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에 가중 계수 P를 곱한다. 그리고,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그 계수 P를 곱한 보정량을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에 출력한다.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전력계(17)가 측정한 발전기(16)의 출력값(가스 터빈 출력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이 가스 터빈 출력값과,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로부터 취득한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으로부터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산출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연료 배분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가스 터빈 출력 제어부로부터 CSO를 취득한다.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취득한 CSO를 이용하여, 미리 기록된 CSO와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의 대응 테이블을 참조하여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산출한다(106). 혹은, 소망하는 CSO에 대한 출력 보정량이 테이블에 없는 경우, 보간 계산에 의해 출력 보정량을 산출하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가, 미리 정해진 계수 P를 기억부로부터 읽어 들여서,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에 가중 계수 P를 곱한다(107). 그리고,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가중 계수 P를 곱한 보정량을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에 출력한다.
또한,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전력계(17)로부터 가스 터빈 출력값을 취득한다.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가스 터빈 출력값과,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로부터 취득한 보정량을 가산하여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산출한다(108). 이후의 공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스 터빈 출력의 실측값을 바탕으로, CSO에 근거하여 보정한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이용하여 터빈 입구 온도를 추정한다. 그리고, 그 터빈 입구 온도에 의해 각 연료 계통으로의 연료의 배분비를 결정한다. 그것에 의해, 보다 실태에 맞는 연료의 배분비 제어를 행할 수 있고, 연소 진동의 발생 리스크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예컨대 경년 열화 등에 의해, CSO와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의 대응 관계가, 설계시로부터 변화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들 경년 열화 등의 실태를 포함한 실제의 가스 터빈 출력값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의 정밀도가 보다 높아진다.
<제 3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제어 장치를 도 8~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료 제어 장치(50)는,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 계수 산출부(58)를 구비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는, 전력계(17)로부터 발전기(16)의 출력 측정값을 취득한다.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는, 단위 시간당 부하의 변화를 산출한다.
계수 산출부(58)는,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가 산출한 부하 변화 레이트에 따른,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에 대한 가중 계수를 취득한다. 가중 계수의 산출은, 부하 변화 레이트와 가중 계수를 대응시킨 테이블이나 함수가 미리 기억부에 기록되어 있고, 계수 산출부(58)는, 그 테이블 등을 읽어 들여서, 산출한 부하 변화에 대응하는 가중 계수를 구한다.
가중 계수를 취득하기 위해, 부하의 실측값에 근거하는 부하 변화 레이트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부하 변화에 대하여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가스 터빈의 목표 출력을 달성하기 위한 출력 변화의 목표 레이트를, 부하 변화 레이트 대신에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 목표 레이트의 값은, 가스 터빈 출력 제어부가, CSO를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산출하는 값이다.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는, 가스 터빈 출력 제어부로부터, 부하 변화에 대한 미리 정해진 출력 변화의 목표 레이트를 취득한다. 그리고, 계수 산출부(58)는, 그 목표 레이트와 가중 계수의 대응 테이블 등으로부터 가중 계수를 취득한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연료 배분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는, 부하 변화 레이트를 산출한다(109). 그리고,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는, 산출한 부하 변화 레이트를 계수 산출부(58)에 출력한다. 계수 산출부(58)는, 취득한 부하 변화 레이트에 근거하여, 그들과 가중 계수를 대응시킨 테이블이나 함수로부터, 부하 변화 레이트에 따른 가중 계수를 취득하고(110),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에 출력한다.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CSO에 근거하여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산출한다(106). 그리고,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산출한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과, 계수 산출부(58)로부터 취득한 부하 변화 레이트에 따른 가중 계수를 곱하여, 부하 변화 레이트에 따른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산출한다(111).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산출한 부하 변화 레이트에 따른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에 출력한다.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가스 터빈 출력값과,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로부터 취득한 보정량을 가산하여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산출한다(108). 이후의 공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 부하 변화 레이트 대신에 목표 레이트를 이용하는 경우,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는, 가스 터빈 출력 제어부로부터 목표 레이트를 취득하고(109), 계수 산출부(58)에 출력한다. 계수 산출부(58)는, 목표 레이트와 가중 계수를 대응시킨 테이블이나 함수로부터, 목표 레이트에 따른 가중 계수를 산출(110)하고,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에 출력한다. 이하의 공정은, 부하 변화 레이트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하 변화 레이트에 따른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얻을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보다 정확한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여 연료의 배분비 제어를 행할 수 있고, 연소 진동의 발생 리스크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제 4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제어 장치를 도 10~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료 제어 장치(50)는, 계수 산출부(58) 대신에,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를 구비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는,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가 산출한 부하 변화 레이트를 취득하고, 그 값을 미리 설정되고 기억부에 기록된 임계치 Q와 비교한다. 부하 변화 레이트가 임계치 Q 이상이면,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는, 미리 정해진 가중 계수 P를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에 출력한다. 또한, 부하 변화 레이트가 임계치 Q보다 작으면,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는, 가중 계수로 값 「0」을 설정하여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에 출력한다. 이 임계치 Q는,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가 산출한 보정량을, 가스 터빈 출력값에 반영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값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연료 배분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는, 부하 변화 레이트를 산출한다(109). 그리고,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는, 산출한 부하 변화 레이트를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에 출력한다.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는, 취득한 부하 변화 레이트가 임계치 Q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임계치 Q 이상인 경우,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는, 가중 계수 P를 기억부로부터 읽어내고,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에 출력한다. 또한, 임계치 Q보다 작은 경우,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는, 값 「0」을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에 출력한다(112).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제 2, 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CSO에 근거하여 가스 터빈 보정량을 산출하고,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로부터 취득한 가중 계수를 곱하여,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산출한다(111).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산출한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에 출력한다. 부하 변화 레이트가 임계치 Q보다 작은 경우는, 가중 계수가 「0」이기 때문에,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가 출력하는 보정량은, 「0」이다.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가스 터빈 출력값과,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로부터 취득한 보정량을 가산하여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산출한다(108). 부하 변화 레이트가 임계치 Q보다 작은 경우는, 보정량이 0이기 때문에,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실측한 가스 터빈 출력값을 터빈 입구 온도 추정부(52)에 출력한다. 이후의 공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하 변화 레이트의 크기에 근거하여, 의도한 부하 변화의 경우에만, 가스 터빈 출력값의 값을 CSO에 근거하는 보정량으로 보정할 수 있다. 실제의 운전시에 있어서는, 가스 터빈의 출력이 일정하더라도, 연료 칼로리 변화, 연료 공급 압력 변화 등이 생기는 경우가 있고, 그들 변화에 수반하여 CSO가 변동하는 일이 있다. 그러면, 제 1~3 실시 형태의 경우, 변동하는 CSO에 영향을 받아, 터빈 입구 온도 추정값이 변동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그와 같은 외위(外圍) 조건의 변화에 대하여, 부적절하게 연료 배분비의 변경을 행하여, 연소 진동을 일으키게 하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제 5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제어 장치를 도 12~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료 제어 장치(50)는,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 계수 산출부(58),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를 구비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배분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연료 배분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 3 실시 형태와 제 4 실시 형태를 조합한 실시 형태이다.
우선,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는, 부하 변화 레이트를 산출한다(109). 그리고,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는, 산출한 부하 변화 레이트를 계수 산출부(58)와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에 출력한다.
계수 산출부(58)에서는, 제 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부하 변화 레이트에 근거한 가중 계수를 결정한다(110). 그리고, 계수 산출부(58)는, 그 가중 계수를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에 출력한다.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에서는,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57)로부터 취득한 부하 변화 레이트가 임계치 Q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부하 변화 레이트가 임계치 Q 이상이면 계수 산출부(58)로부터 취득한 부하 변화 레이트에 따른 가중 계수를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에 출력한다. 또한, 부하 변화 레이트가 임계치 Q보다 작은 경우,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는, 값 「0」을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에 출력한다(112).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56)는, 제 2~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CSO로부터 가스 터빈 출력 보정값을 산출하고(106),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59)로부터 취득한 가중 계수를 곱한다(111).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51)는, 이 곱한 값을 취득하고, 실제로 측정한 가스 터빈 출력값에 가산하고,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을 산출한다(108).
터빈 입구 온도 추정부(52)는, 이와 같이 하여 산출한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과, 대기 온도, 대기 압력, IGV 개방도 지령값에 근거하여 터빈 입구 온도를 산출하고, 연료 배분 지령값 산출부(53)는, 이 터빈 입구 온도에 근거하여 각 연료 계통에 공급하는 연료의 배분비를 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 2~4 실시 형태의 효과를 겸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터빈 입구 온도 추정부(52)는, 연소 온도 추정값 산출부의 일례이다. 또한, 대기 압력이나 대기 온도는 대기 조건의 일례이다. 또한, 부하 변화 레이트나 목표 레이트는, 단위 시간당 가스 터빈의 출력 변화를 나타내는 값의 일례이다. 또한, IGV(14)는,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밸브의 일례이다.
또 상술한 연료 제어 장치(50)는 내부에, 컴퓨터 시스템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연료 제어 장치(50)에 있어서의 각 처리의 과정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읽어내어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자기 디스크, 광학 자기 디스크, CD-ROM, DVD-ROM, 반도체 메모리 등을 말한다. 또한,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신 회선에 의해 컴퓨터에 전달하고, 이 전달을 받은 컴퓨터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 이른바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더라도 좋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대체하는 것은 적당히 가능하다. 또한, 이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이용가능성)
상술한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부하 변화의 과도기에 있어서도 터빈 입구 온도에 대한 목표로 하는 연료 계통 연료비와 실제의 연료 계통 연료비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10 : 가스 터빈
11 : 공기 압축기
12 : 연소기
13 : 터빈
14 : IGV
15 : 로터
16 : 발전기
17 : 전력계
18 : 파일럿 계통 연료 유량 조절 밸브
19 : 메인 계통 연료 유량 조절 밸브
20 : 탑햇 계통 연료 유량 조절 밸브
21 : 연료 공급 장치
22 : 압력계
23 : 온도계
50 : 연료 제어 장치
51 :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
52 : 터빈 입구 온도 추정부
53 : 연료 배분 지령값 산출부
54 : 전체 연료 유량 산출부
55 : 밸브 개방도 산출부
56 :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
57 : 부하 변화 레이트 산출부
58 : 계수 산출부
59 :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

Claims (9)

  1. 대기 조건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방도 지령값과,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에 흐르는 전체 연료 유량의 산출에 이용하는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여 산출한 출력 예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와 유입된 공기의 혼합체를 연소시킨 경우의 온도 추정값을 산출하는 연소 온도 추정값 산출부와,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으로부터 출력하는 연료의 배분을 나타내는 연료 배분 지령값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연료 배분 지령값 산출부와,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과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는 전체 연료 유량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유량 조절 밸브의 각 밸브 개방도를 산출하는 밸브 개방도 산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해서 산출한 출력 예측값은 상기 온도 추정값의 산출로부터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는 연료 배분 지령값에 따른 상기 밸브 개방도의 제어까지의 사이에 발생하는 출력의 변화를 선행적으로 보상하는 출력 예측값이며,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 산출부는 상기 출력 예측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해서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을 산출하는
    연료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과 가스 터빈의 출력값의 미리 정해진 대응 관계와,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 예측값을 산출하는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를 구비하는 연료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과 가스 터빈의 출력을 보정하는 값의 미리 정해진 대응 관계와,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 예측값을 보정하는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산출하는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 산출부와,
    가스 터빈의 출력값의 실측값과 상기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예측값을 산출하는 가스 터빈 출력 예측값 산출부
    를 구비하는 연료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단위 시간당 가스 터빈의 출력 변화를 나타내는 값에 따라, 상기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에 대한 가중 계수를 산출하는 계수 산출부를 구비하는 연료 제어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단위 시간당 가스 터빈의 출력 변화를 검출하고, 해당 출력 변화가 소정의 값보다 작을 때는, 상기 가스 터빈 출력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하는 부하 변화 레이트 판정부를 구비하는 연료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기재된 연료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연소기.
  7. 청구항 5에 기재된 연료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
  8. 연료 제어 장치가,
    대기 조건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방도 지령값과,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에 흐르는 전체 연료 유량의 산출에 이용하는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여 산출한 출력 예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와 유입된 공기의 혼합체를 연소시킨 경우의 온도 추정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으로부터 출력하는 연료의 배분을 나타내는 연료 배분 지령값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과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는 전체 연료 유량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유량 조절 밸브의 각 밸브 개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갖고,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해서 산출한 출력 예측값은 상기 온도 추정값의 산출로부터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는 연료 배분 지령값에 따른 상기 밸브 개방도의 제어까지의 사이에 발생하는 출력의 변화를 선행적으로 보상하는 출력 예측값이며,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을 산출해서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출력 예측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해서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을 산출하는
    제어 방법.
  9. 연료 제어 장치의 컴퓨터를,
    대기 조건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방도 지령값과,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에 흐르는 전체 연료 유량의 산출에 이용하는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여 산출한 출력 예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와 유입된 공기의 혼합체를 연소시킨 경우의 온도 추정값을 산출하는 수단,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으로부터 출력하는 연료의 배분을 나타내는 연료 배분 지령값을 산출하는 수단,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과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하는 전체 연료 유량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유량 조절 밸브의 각 밸브 개방도를 산출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연료 제어 신호 지령값에 근거해서 산출한 출력 예측값은 상기 온도 추정값의 산출로부터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하는 연료 배분 지령값에 따른 상기 밸브 개방도의 제어까지의 사이에 발생하는 출력의 변화를 선행적으로 보상하는 출력 예측값이며,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을 산출하는 수단은 상기 출력 예측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온도 추정값에 근거해서 상기 연료 배분 지령값을 산출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KR1020167017280A 2014-02-26 2015-02-16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KR101805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4871 2014-02-26
JP2014034871A JP6217451B2 (ja) 2014-02-26 2014-02-26 燃料制御装置、燃焼器、ガスタービ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CT/JP2015/054097 WO2015129498A1 (ja) 2014-02-26 2015-02-16 燃料制御装置、燃焼器、ガスタービ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412A KR20160091412A (ko) 2016-08-02
KR101805331B1 true KR101805331B1 (ko) 2017-12-05

Family

ID=5400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280A KR101805331B1 (ko) 2014-02-26 2015-02-16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492981B2 (ko)
JP (1) JP6217451B2 (ko)
KR (1) KR101805331B1 (ko)
CN (1) CN105849389B (ko)
DE (1) DE112015000980B4 (ko)
WO (1) WO20151294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1103B2 (en) 2011-12-15 2017-12-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Gas valve with overpressure diagnostics
US9557059B2 (en) 2011-12-15 2017-01-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Gas valve with communication link
US9846440B2 (en) * 2011-12-15 2017-12-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Valve controller configured to estimate fuel comsumption
JP6257035B2 (ja) * 2014-03-25 2018-01-1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燃焼制御装置および燃焼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221777B2 (en) * 2014-03-25 2019-03-05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Gas turbine combustion control devi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9645584B2 (en) 2014-09-17 2017-05-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Gas valve with electronic health monitoring
US10330023B2 (en) 2015-02-19 2019-06-2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uel flow estim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in a gas turbine engine
JP6508470B2 (ja) * 2015-07-31 2019-05-0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料流量設定方法、この方法を実行する装置、この装置を備える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
JP6427841B2 (ja) * 2015-08-25 2018-11-2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料制御装置、燃焼器、ガスタービ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06936B2 (ja) 2016-03-09 2020-06-1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制御装置及びガスタービンの制御方法
US10975776B2 (en) * 2016-04-07 2021-04-13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Adaptive fuel flow estimation with flow meter feedback
US10233846B2 (en) * 2016-09-20 2019-03-19 General Electric Company Smart liquid fuel system with ability to self-diagnostics
US10830443B2 (en) * 2016-11-30 2020-11-10 General Electric Company Model-less combustion dynamics autotune
JP6875146B2 (ja) 2017-02-23 2021-05-19 三菱パワー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制御装置、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およびガスタービン制御方法
GB201712142D0 (en) * 2017-07-28 2017-09-13 Rolls Royce Plc Determination of a fuel delivery fault in a gas turbine engine
DE112018004633T5 (de) 2017-10-18 2020-07-16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Gasturbinensteuervorrichtung, gasturbinensteuerverfahren und programm
JP6935327B2 (ja) * 2017-12-28 2021-09-15 三菱パワー株式会社 制御装置、ガスタービ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073281B2 (en) 2017-12-29 2021-07-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losed-loop programming and control of a combustion appliance
JP7129810B2 (ja) * 2018-04-13 2022-09-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冷却空気調整弁の弁開度決定装置、ディスクキャビティ目標温度決定装置、およびディスクキャビティ温度制御装置
US10697815B2 (en) 2018-06-09 2020-06-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s for mitigating condensation in a sensor module
CN109598643B (zh) * 2018-12-12 2020-11-27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退火炉分区煤气流量分配方法、设备及存储设备
JP7348126B2 (ja) 2020-03-30 2023-09-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入力決定方法、及び制御入力決定プログラム
US11333082B2 (en) * 2020-06-12 2022-05-1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gas turbine fuel split for head end temperature control
WO2023204096A1 (ja) * 2022-04-20 2023-10-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制御装置、ガスタービン制御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4539A (ja) * 1985-09-30 1987-07-31 Toshiba Corp ガスタ−ビン制御装置
JP2667609B2 (ja) * 1992-06-26 1997-10-27 株式会社東芝 ガスタービン制御装置
JPH07234701A (ja) * 1994-02-24 1995-09-05 Mitsubishi Heavy Ind Ltd 外乱不干渉制御装置
JP2004027891A (ja) * 2002-06-24 2004-01-29 Toshiba Corp 燃料弁開度制御システム
US7269953B2 (en) 2004-08-27 2007-09-18 Siemens Power Generation, Inc.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generation system
JP4119908B2 (ja) 2005-09-14 2008-07-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燃焼制御装置
JP4119909B2 (ja) 2005-09-14 2008-07-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燃焼制御装置
JP4838785B2 (ja) 2007-11-06 2011-12-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運転制御方法
EP2128406B2 (de) * 2008-05-26 2019-01-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asturbine
JP2011043136A (ja) * 2009-08-24 2011-03-03 Honda Motor Co Ltd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始動時燃料制御装置
JP5595221B2 (ja) 2010-10-25 2014-09-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制御装置、ガスタービン、及びガスタービンの制御方法
IT1403788B1 (it) * 2010-12-29 2013-10-31 Ansaldo Energia Spa Metodo per controllare un impianto a ciclo combinato in configurazione "single-shaft" e impianto a ciclo combinato in configurazione "single-shaft"
WO2013144120A1 (de) * 2012-03-30 2013-10-03 Alstom Technology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icheren betrieb einer gasturbinenanlage
US20140150438A1 (en) * 2012-11-30 2014-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gas turbine in a turndown mode
US9255525B2 (en) * 2012-11-30 2016-02-0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gas turbine operation
US9765701B2 (en) * 2013-03-15 2017-09-19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load enhancement
US9665077B2 (en) * 2013-12-18 2017-05-30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firing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61176A (ja) 2015-09-07
US11492981B2 (en) 2022-11-08
JP6217451B2 (ja) 2017-10-25
DE112015000980B4 (de) 2022-06-09
US20230022473A1 (en) 2023-01-26
WO2015129498A1 (ja) 2015-09-03
KR20160091412A (ko) 2016-08-02
CN105849389A (zh) 2016-08-10
CN105849389B (zh) 2017-09-26
DE112015000980T5 (de) 2017-01-12
US20160326967A1 (en)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331B1 (ko)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KR102022811B1 (ko)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4831820B2 (ja) ガスタービン出力学習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の燃焼制御装置
US10208678B2 (en) Gas turbine combustion control devi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5650929B2 (ja) ガスタービンの性能を補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077866A (ja) ガスタービンの燃焼制御装置
US10669959B2 (en) Control device, system, control method, power control device, gas turbine, and power control method
JP5995917B2 (ja) 温度推定装置、燃焼器、ガスタービン、温度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21777B2 (en) Gas turbine combustion control devi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11378019B2 (en) Gas turbine control apparatus and gas turbine control method
EP2846021A1 (en) Two-shaft gas turbine
JP6920456B2 (ja) ガスタービン制御装置、ガスタービン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3160154A (ja) ガスタービン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それを用いた発電プラント
KR102102071B1 (ko) 연료 제어 장치, 연소기, 가스 터빈, 연료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5595221B2 (ja) ガスタービンの制御装置、ガスタービン、及びガスタービンの制御方法
JP2015102071A (ja) 燃料調整器、燃焼器、ガスタービン、ガスタービンシステム、燃料調整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52853B2 (ja) ガスタービン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