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373B1 - 탈지면 폐공정수를 이용한 유리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지면 폐공정수를 이용한 유리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373B1
KR101796373B1 KR1020160028132A KR20160028132A KR101796373B1 KR 101796373 B1 KR101796373 B1 KR 101796373B1 KR 1020160028132 A KR1020160028132 A KR 1020160028132A KR 20160028132 A KR20160028132 A KR 20160028132A KR 101796373 B1 KR101796373 B1 KR 10179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lass cleaner
glass
par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222A (ko
Inventor
박승규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373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11D11/0035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0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2Sulfur-containing, e.g. sulfates, sulfites or gyps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지면 제조시 발생되는 폐공정수를 이용하여 유리세정 효과가 우수한 유리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코모노일(comber noil)로 탈지면을 만들 때, 탈지 및 세척 공정 후 발생하는 폐공정수를 10~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지면 폐공정수를 이용한 유리세정제 조성물{Glass cleaner formulation using by washing water of comber noil de-waxing process}
본 발명은 유리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지면 제조시 발생되는 폐공정수를 이용하여 유리세정 효과가 우수한 유리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유리는 비결정성 고체물질로서 치밀성이 높아 흡수성 및 통수성이 전혀 없는 안정한 물질이며 표면은 내부와는 달리 성형시 내부의 가스나 불순물이 표면으로 유출되어 미세한 다공질 구조로 되어있다. 이 때문에 유리의 표면층에는 대기 중의 먼지나 기름때 등이 잘 흡착되어 더러워 보이게 된다.
종래의 기름때 제거를 위한 일반적인 방법에는 강알칼리나 연마제 함유세제, 산성세정제, 용제와 계면활성제의 혼용세제, 지방 분해효소를 포함한 세정제 등이 있었다.
특히, 영국특허 제2219001호의 경우 인산을 계면활성제나 다른 보조성분을 함께 사용하여, pH 2.5~3 정도의 강산으로 오염 막 제거효과는 좋으나, 세정 후 유리표면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영국특허 제2224743호 및 일본국 공개 특허 소 제60-96697호 등과 같이 주로 탄산칼슘과 실리카 연마제가 함유된 세제는 실제 제조시 분산성이 좋지 않고 문질러서 오염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 소 제55-102698호는 지방족계 용제와 계면활성제 혼용세제 처방으로 자동차용 왁스의 원료로서 필수적인 실리콘오일 등이 유리표면에 부착될 때 사용되는데 이에 대한 세정효과는 뛰어나지만 차량도장을 손상시킬 수 있어 사용에 주의해야 하며, 세제 처리시 오염막이 파괴 및 분산되면서 오히려 얇은 막을 넓은 부위에 퍼뜨려 재오염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특허 제0127129호에는 김서림 방지제가 되는 스프레이 타입의 유리세정제 제조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한편, 의료, 위생 또는 미용 등 여러 분야에 널리 쓰이는 탈지면은 통상 코모노일(comber noil)이라는 방적공장에서 나오는 면 부산물을 원료로 사용하여 카딩, 탈색, 건조 및 커팅 공정을 거쳐 목표로 하는 완제품이 나오게 되는데, 이 과정 중 탈색공정에서 공정 폐수가 나오게 된다.
통상 이 폐수는 폐수 처리장에서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처리 후 자연환경으로 방류하게 되는데 이 생물학적 처리과정에서 황산알미늄 등 여러 화학 약품이 첨가되므로 처리비용이 발생하며, 운전관리비, 슬러지처리비, 인건비 등의 기타 부대비용이 발생된다.
한편, 탈색공정 후 세정공정에서는 공정수원수로 세정되고 폐제조공정수가 발생되며, 이 폐공정수는 코모노일(comber noil)의 오일이 분리되어 알카리제와 만나면서 자연스럽게 세정성능을 지니게 된다.
이에 따라, 탈지반응과 표백반응을 동시에 수행하는 공정의 결과물로 나오는 공정폐수를 이용하여 세정제로서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이를 활용한 유리세정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JP 5-271699 A JP 2000-319699 A KR 2005-10231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모노일(comber noil)로 탈지면을 만들 때, 탈지 및 세척 공정 후 발생하는 폐공정수 활용에 초점에 맞춰, 최종 폐공정수가 세정제로서의 요건을 갖출 수 있도록 이를 활용하는 유리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리세정제 조성물은 물 72~74 중량부에 코모노일(comber noil)로 탈지면을 만들 때, 탈지 및 세척 공정 후 발생하는 폐공정수를 10~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유리세정제 조성물은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ES-430),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직쇄알킬벤젠 설페이트를 혼합으로 0.5내지 5중량부 첨가한, 바람직하게는 0.7내지 1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소프로필 알콜과 에탄올을 10중량부 이하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4소듐-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를 0.2 중량부 이하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지면 폐공정수를 이용한 유리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오염된 유리를 세정하게 되면 유기잔유물이 남지 않아 유리의 얼룩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세정제 조성물은 탈지면 생산시 발생하는 폐공정수를 재활용한 것으로, 폐공정수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비용 및 인력을 유리세정제 생산에 사용함으로써 자원이 순환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103622185-pat00002
표 1의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한국특허 1993-0010169에 소개된 기존 유리세정제 조성물이며, 비교예 3은 폐공정수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유리세정제 조성물이며, 실시예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유리세정제 조성물의 물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세정력 평가는 오일오염을 JAR-Tester(2분세척)로 세척하였을 때의 세척효율로 평가하였다. 먼저, 세정 대상 오염물질로는 Butter: 마아가린: 식용유를 50% :30%: 20%의 무게 비율로 혼합한 후 물중탕 온도(80℃)에서 녹인 후 된 오염물을 Slide glass에 일정량 균일하게 도포한 다음(이를 시편이라고 함) 일정시간동안 정치시켜 완전하게 굳혀 사용하였다. 세정조건은 도포한 오염물질을 2~5분 간격으로 40℃에서 30분간 세정하고, 25℃ 또는 40℃에서 세정액에 침적세정한 후 중량법을 이용하여 세정효율을 계산하였다. 세정한 시편은 1분간 초순수에 침적시킨 후 열풍건조기(60℃)에서 10분간 건조하였다. 건조한 시편의 무게는 충분히 방냉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세정성 평가실험을 위하여 주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의 변화, 보조계면활성제의 사용량과 종류를 변화시킴으로서 세정효율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평가하여 표 1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세정력 평가는 JAR-Tester(Chang shin Scientific Co. 제작)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JAR-Tester는 세정력 평가를 위해 제작된 기기로 자동 교반기를 사용하여 200RPM에서 20분간 교반하여 2분 간격으로 세척력을 평가 하였다. 세척률은 세척 전후의 유리판 무게차로 세척효율을 계산하였다.
스프레이 잔류성과 증발속도는 직접 오염시편에 도포후 마른 수건으로 1회 닦아앴을 때 시편에 세정제가 잔류하는지 잘 증발하는지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4점 척도로, X: 불량, △: 미흡, O: 우수, ◎: 매우 우수로 판단하였다.
제조된 유리세정제 혼합물의 상안정성은 상온에서 2주 동안 보관 후 상태를 보았을 때 상분리나 부유물이 발생하는지로 판단하였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세정제는 스테인 잔류성과 속건성이 매우 우수하며, 상온에서 상안정성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래의 유리세정제보다 세정력이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물 72~74 중량부에 코모노일(comber noil)로 탈지면을 만들 때, 탈지 및 세척 공정 후 발생하는 폐공정수를 2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ES-430),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직쇄알킬벤젠 설페이트를 혼합으로 0.5내지 5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세정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이소프로필 알콜과 에탄올을 10중량부 이하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세정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4소듐-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를 0.2 중량부 이하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세정제 조성물.

KR1020160028132A 2016-03-09 2016-03-09 탈지면 폐공정수를 이용한 유리세정제 조성물 KR101796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132A KR101796373B1 (ko) 2016-03-09 2016-03-09 탈지면 폐공정수를 이용한 유리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132A KR101796373B1 (ko) 2016-03-09 2016-03-09 탈지면 폐공정수를 이용한 유리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222A KR20170105222A (ko) 2017-09-19
KR101796373B1 true KR101796373B1 (ko) 2017-11-10

Family

ID=6003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132A KR101796373B1 (ko) 2016-03-09 2016-03-09 탈지면 폐공정수를 이용한 유리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3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0194B2 (ja) 1991-08-09 2001-11-19 エス 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ソン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ガラス清浄組成物
KR100593531B1 (ko) 2004-04-21 2006-06-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계 유리 세정제 조성물
KR101316784B1 (ko) 2012-07-05 2013-10-10 (주)씨에스글로벌 유기 폐기물을 이용한 열교환기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0194B2 (ja) 1991-08-09 2001-11-19 エス 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ソン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ガラス清浄組成物
KR100593531B1 (ko) 2004-04-21 2006-06-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계 유리 세정제 조성물
KR101316784B1 (ko) 2012-07-05 2013-10-10 (주)씨에스글로벌 유기 폐기물을 이용한 열교환기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222A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5276B1 (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enthaltend mikrodisperse silikathaltige Partikel
DE69630577T2 (de) Vorwasch Fleckenentfernerzusammensetzung mit Tensid auf Basis von Siloxan
KR0121454B1 (ko) 세정방법 및 세정장치
CN102877082B (zh) 用于清洗镁合金或铝合金工件的除蜡水
JP6386037B2 (ja) 化合物の混合物、その製造、及びその使用
BR132014024054E2 (pt) composição de limpeza de superfície dura
BR112015021133B1 (pt) mistura de compostos, processo para produzir uma mistura de compostos e limpar superfícies duras ou fibras, formulação aquosa, e, uso de misturas de compostos
CN101096619A (zh) 一种陶瓷清洗液
JP6449010B2 (ja) 洗濯方法
JP5908471B2 (ja) 脱臭剤汚れの除去のための繊維製品処理組成物
KR101796373B1 (ko) 탈지면 폐공정수를 이용한 유리세정제 조성물
JPH093492A (ja) 洗剤用組成物
GB2068405A (en) Biodegradable detergent composition
CN106590959B (zh) 一种玻璃镜片清洗剂及其制备方法
JP3391543B2 (ja) 親水化処理剤及び親水化処理方法
KR20140101314A (ko) 피혁용 세정제 조성물
CN105199869A (zh) 一种织物去油剂
JPH1046187A (ja) 洗浄剤組成物
RU2074708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рук
JP6144576B2 (ja) 衣料用洗浄剤組成物
JPH04289280A (ja) 繊維製品の処理方法及び処理用組成物
JP6646998B2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用洗浄液、ドライクリーニング用洗浄剤組成物、及びドライクリーニング洗浄方法
JP3366718B2 (ja) 硬質表面洗浄剤組成物
KR0137165B1 (ko) 운동화 세탁용 액체세제 조성물
RU2330877C1 (ru) Чистящее средство "sor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