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603B1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603B1
KR101795603B1 KR1020110120320A KR20110120320A KR101795603B1 KR 101795603 B1 KR101795603 B1 KR 101795603B1 KR 1020110120320 A KR1020110120320 A KR 1020110120320A KR 20110120320 A KR20110120320 A KR 20110120320A KR 101795603 B1 KR101795603 B1 KR 101795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unit
template
photographing apparatus
digital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748A (ko
Inventor
송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603B1/ko
Priority to US13/592,863 priority patent/US9232124B2/en
Priority to PCT/KR2012/009631 priority patent/WO2013073850A1/en
Priority to CN201210467978.XA priority patent/CN103124328B/zh
Priority to EP12193168.7A priority patent/EP2595374B1/en
Publication of KR20130054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748A/ko
Priority to ZA2014/01010A priority patent/ZA201401010B/en
Priority to US14/954,317 priority patent/US948543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광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배경 영역과 영상신호에 의한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합성 영역을 포함하는 탬플릿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탬플릿 및 영상의 방향을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와, 방향이 변환된 영상과 탬플릿을 합성하는 영상 합성부와,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영상 변환부는, 영상광의 광축에 대한 촬상소자의 회전량과, 촬상소자의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 탬플릿 및 영상의 변환 방향을 각각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탬플릿을 사용한 셀프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디지털 촬영 장치는 소형화, 배터리 등의 기술 발달로 인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어디서나 손쉽게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전문가가 아니라도 좋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된다.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셀프 촬영 기능이나, 촬영 영상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영상, 즉 탬플릿을 합성하는 기능 등을 제공하는 등,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셀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영상광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배경 영역과 영상신호에 의한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합성 영역을 포함하는 탬플릿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탬플릿 및 영상의 방향을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와, 방향이 변환된 영상과 탬플릿을 합성하는 영상 합성부와,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영상 변환부는, 영상광의 광축에 대한 촬상소자의 회전량과, 촬상소자의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 탬플릿 및 영상의 변환 방향을 각각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영상 변환부는,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과 디스플레이부가 향하는 방향이 같은 경우, 탬플릿 및 영상에 대하여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영상 합성부는, 촬영 신호에 의하여 방향 변환이 수행되지 않은 영상 및 탬플릿을 합성한 촬영 영상을 생성하며, 촬상소자의 회전량 및 디스플레이부의 방향이 촬영시와 동일한 상태로 상기 촬영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촬영 영상을 영상의 중심에 대하여 180도 회전 변환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영상 변환부는,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과 디스플레이부가 향하는 방향이 같고, 회전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영상에 대하여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하고 탬플릿에 대하여 좌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영상 합성부는, 촬영 신호에 의하여 방향 변환이 수행되지 않은 영상 및 180도 회전 변환이 수행된 탬플릿을 합성한 촬영 영상을 생성하며, 촬상소자의 회전량 및 디스플레이부의 방향이 촬영시와 동일한 상태로 상기 촬영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촬영 영상을 영상의 중심에 대하여 180도 회전 변환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는, 상단면이 디지털 촬영 장치에 회전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는, 촬상소자의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 및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가 기준 각도 이상 회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는 광축에 대한 촬상소자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탬플릿의 합성 영역이 방향성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탬플릿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합성 영역이 방향성 갖는 경우, 영상 변환부는, 합성 영역과 배경 영역의 방향 변환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합성 영역이 방향성을 갖는 경우, 영상 변환부는, 합성 영역의 방향이 영상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방향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탬플릿의 합성 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는 합성 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영상신호의 저장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메모리 컨트롤러는, 영상광의 광축에 대한 촬상소자의 회전량, 및 촬상소자의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어드레스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메모리 컨트롤러는 기억 직접 접근(Direct Memory Access) 방식으로 영상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영상광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배경 영역과, 영상신호에 의한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합성 영역을 포함하는 탬플릿을 선택하는 단계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서 탬플릿 및 영상의 방향을 변환하는 단계와, 방향이 변환된 영상과 탬플릿을 합성하는 단계와,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은, 영상광의 광축에 대한 촬상소자의 회전량과, 촬상소자의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향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과 디스플레이부가 향하는 방향이 반대인 경우, 탬플릿 및 영상에 대하여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과 디스플레이부가 하는 방향이 반대이고, 회전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영상에 대하여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하고 탬플릿에 대하여 좌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촬영 신호에 의하여 방향 변환이 수행되지 않은 영상 및 탬플릿을 합성한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촬상소자의 회전량 및 디스플레이부의 방향이 촬영시와 동일한 상태로 촬영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촬영 영상을 영상의 중심에 대하여 180도 회전 변환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탬플릿을 사용한 셀프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PU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영상의 변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영상 재생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영상 재생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탬플릿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1)는 렌즈(101), 렌즈 구동부(102), 렌즈 위치 검출부(103), CPU(104), 촬상소자 제어부(105), 촬상소자(10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07), A/D 변환부(108), 영상 입력 컨트롤러(109),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 압축 신장부(111),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12), 디스플레이부(113), 움직임 센서(114), 위치 센서(115), 저장부(116), 미디어 컨트롤러(117), 메모리 카드(118), 플래시(121), 조작부(124)를 포함한다.
렌즈(101)는 포커스 렌즈, 줌 렌즈를 포함한다. 렌즈(101)는 줌 렌즈의 구동에 의하여 줌 배율을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포커스 렌즈의 구동에 의하여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02)는 CPU(104)로부터의 제어에 의하여 줌 렌즈,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 렌즈 구동부(102)는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위치 검출부(103)는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각각 검출하여 CPU(104)로 전송한다.
CPU(104)는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CPU(104)는 조작부(124)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을 각 구성에 전송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05)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촬상소자(106)에 인가하며, 이로 인하여 촬상소자(106)의 촬상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촬상소자(106)의 각 주사선에서 전하의 축적이 종료되면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독출하도록 제어한다.
촬상소자(106)는 렌즈(101)를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광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촬상소자(106)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광전변환소자 및 상기 광전변환소자로부터 전하를 이동시키는 전하 전송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07)는 촬상소자(106)에서 독출된 영상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신호의 크기를 임의의 레벨까지 증폭시킨다. A/D 변환부(108)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07)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입력 컨트롤러(109)는 A/D 변환부(108)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이후의 각 부분에서 영상 처리가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영상 입력 컨트롤러(109)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는 저장부(116)에 구비되는 SDRAM 등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영상 입력 컨트롤러(109)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는 CPU(104)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에 의하여 자동 화이트 밸런스(AWB:Auto White Balance) 처리, 자동 노출(AE:Auto Exposure) 처리, 자동 초점(AF:Auto Focus) 처리가 수행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는 또한 영상 입력 컨트롤러(109)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감마 보정 등의 일련의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라이브 뷰 영상이나 캡쳐 영상을 생성한다.
압축 신장부(111)는 영상신호 처리가 수행된 영상신호의 압축과 신장을 수행한다. 압축의 경우, 예를 들어 JPEG 압축 형식 또는 H.264 압축 형식 등의 압축 형식으로 영상신호를 압축한다.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은 미디어 컨트롤러(117)로 전송되며, 미디어 컨트롤러(117)는 메모리 카드(118)로 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12)는 디스플레이부(113)로의 영상 출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3)는 촬영 영상, 라이브 뷰 영상 등의 영상이나, 각종 설정 정보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3)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1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화면) 및 LCD 드라이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기 EL(OLED)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부 등이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3)는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그 일부가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의 상단면 일부가 힌지 구조에 의하여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힌지 구조는 디스플레이부(113) 측에 구비된 제1 결합부(119)와 본체 측에 구비된 제2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119)가 제2 결합부(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상기 힌지 구조에 의하여 촬상소자(106)의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도 2(b) 상태) 및 그 반대 방향(도 2(a) 상태)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3)의 상단면이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13)가 본체의 위쪽으로 회전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힌지 구조가 구비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3)가 회전될 수 있을 것이다.
움직임 센서(114)는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한 움직임에 따른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CPU(104)로 전송한다. 움직임 센서(114)는 촬상소자(106)가 영상광의 광축에 대하여 회전한 양(이하,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라고 한다)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센서(114)로는 가속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의 경우, 고정된 전도체와 움직일 수 있는 전도체로 구성되며, 한 방향으로 가속도 센서가 장착된 디지털 촬영 장치(1)가 움직일 때 중력 가속도 g의 범위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CPU(104)는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는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움직임 중 광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한다. 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3)의 회전된 각도에 맞추어 영상에 대하여 적절하게 방향 변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방향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위치 센서(115)는 디스플레이부(113)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한 상태에 따른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CPU(104)로 전송한다. 위치 센서(115)는 디스플레이부(113)가 촬상소자(106)의 촬상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정상 상태(도 2(a) 상태)인지, 혹은 디스플레이부(113)가 촬상소자(106)의 촬상면과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플립 상태(도 2(b)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위치 센서(115)로는 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위치 센서(115)는 디스플레이부(113)가 본체에 대하여 기준 각도 이상 회전되면 플립 상태라고 감지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가 촬상면과 정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150°이상이 되면 플립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각도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값이다.
위치 센서(115)로 홀 센서가 사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될 때, 자력에 반응하여 출력이 변하며, 이를 CPU(104)는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저장부(116)는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저장한다. 저장부(116)는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될 영상 등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으며, 디지털 촬영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이나 각종 관리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6)는 촬영하는 영상과 합성하기 위한 탬플릿을 저장할 수 있다. 탬플릿은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에 합성하는데 사용되는 영상이다. 탬플릿은 배경이 되는 배경 영역과, 촬상한 영상신호에 의한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합성 영역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16)는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영상신호의 저장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기억 집적 접근(Direct Memory Access) 방식으로 영상신호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부(113)가 향하는 방향 즉, 디스플레이부(113)의 상태와, 촬상소자(106)의 회전량 등에 따라서 영상신호의 입력 및 출력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의 동작은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플래시(121)는 촬영시 피사체에 빛을 조사한다.
조작부(124)는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조작을 위하여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부분이다. 조작부(124)로 셔터 릴리즈 버튼, 메인 스위치, 모드 다이얼, 메뉴 버튼 등 다양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렌즈(101)와 본체가 일체형으로 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촬영 장치(1)는 렌즈(101), 렌즈 구동부(102), 렌즈 위치 검출부(103)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이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1)에 있어서 렌즈 모듈이 본체에 탈착 가능한 경우, 렌즈 모듈은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모듈에 구비된 제어부는 본체의 CPU(10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렌즈(101)의 구동 및 위치 검출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지털 촬영 장치(1)는 셔터, 조리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한 것이며, 다양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PU(104)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CPU(104)는 주 제어부(200), 영상 변환부(201), 영상 합성부(202), 탬플릿 판단부(203), 합성 영역 설정부(204)를 포함한다.
주 제어부(200)는 CPU(104) 내의 각 구성 및 디지털 촬영 장치(1)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 변환부(201)는 저장부(116)에 저장된 탬플릿들 중에서 선택된 탬플릿과 촬영된 영상의 방향을 변환한다. 방향의 변환은 좌우 대칭, 상하 대칭 및 180° 회전 대칭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변환부(201)는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에 따라서 영상 및 탬플릿의 방향 변환 여부, 및 방향을 변환하는 경우 어느 방향으로 변환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변환부(201)는 디스플레이부(113)의 상태, 즉 디스플레이부(113)의 플립 여부에 따라서 영상 및 탬플릿의 방향 변환 여부, 및 방향을 변환하는 경우 어느 방향으로 변환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 변환부(201)는 사용자가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영상에 대하여만 방향 변환을 수행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탬플릿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영상 변환부(201)는 영상과 탬플릿에 대하여 각각 별도로 방향 변환을 수행한다.
영상 합성부(202)는 방향이 변환된 영상 및 탬플릿을 합성한다. 영상 합성시 합성 영역에만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며, 나머지 영역에는 탬플릿의 배경 영역의 영상이 표시된다.
탬플릿 판단부(203)는 사용자가 탬플릿을 사용하는 경우, 설정된 탬플릿에서 합성 영역이 방향성을 갖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방향성이란 합성 영역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그 모양이 일정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합성 영역이 원형인 경우에는 방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합성 영역이 하트 모양, 별 모양 등인 경우에는 방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탬플릿 판단부(203)는 설정된 탬플릿의 합성 영역이 방향성을 갖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판단 결과를 영상 변환부(201)로 전송한다.
한편, 영상 변환부(201)는 탬플릿의 방향을 변환함에 있어서, 탬플릿 판단부(203)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설정된 탬플릿의 배경 영역과 합성 영역의 방향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탬플릿 판단부(203)가 설정된 탬플릿의 합성 영역이 방향성을 갖는다고 판단한 경우, 영상 변환부(201)는 배경 영역과 합성 영역에 대하여 각각 별도로 방향 변환을 수행한다. 즉, 합성 영역이 갖는 방향성이 유지되도록 방향 변환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합성 영역의 방향이 합성될 영상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방향 변환을 수행한다. 반면에 탬플릿 판단부(203)가 설정된 탬플릿의 합성 영역이 방향성을 갖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영상 변환부(201)는 배경 영역과 합성 영역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 변환을 수행한다.
합성 영역 설정부(204)는 탬플릿의 합성 영역의 위치를 설정한다. 사용자는 조작부(124)를 사용하여 합성 영역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모양을 갖는 복수의 합성 영역 후보군이 있을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모양의 합성 영역을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에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영상 변환부(201), 영상 합성부(202), 탬플릿 판단부(203), 합성 영역 설정부(204)가 CPU(104)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들 전체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에 포함될 수 있으며, 혹은 일부는 CPU(104)에 포함되고 나머지 부분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11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영상의 변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영상의 변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상소자(106)에 의하여 촬상되어 생성된 영상신호의 다양한 방향 변환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경우 가로 224 픽셀, 세로 10 픽셀, 총 2240개의 픽셀을 갖는다.
본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4의 영상 (a) 내지 (d)가 메모리에 해당하며, 영상의 각 위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해당한다고 가정한다. 즉, 도 4의 영상 (a)는 픽셀 번호와 어드레스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영상에 0~2239로 나타낸 숫자는 (a) 영상을 기본 영상으로 하였을 때, 영상에 포함된 픽셀 번호라고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가정에 기초하여 도 4의 (a)를 살펴보면, 피사체 A와 B가 촬영되어 메모리에 도 4의 (a)와 같은 형태로 저장된다. 즉, 메모리 중 어드레스가 0~223에 해당하는 영역에 픽셀 0~223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픽셀 224~337의 데이터가 다음 어드레스값을 갖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상단 좌측 픽셀로부터 우측 하단 픽셀까지의 픽셀 데이터가 낮은 어드레스의 메모리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즉, 입력되는 데이터 순서와 저장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 순서가 동일하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도 4의 (a)와 같이 저장된 영상신호를 낮은 어드레스부터 순차적으로 독출함으로 인하여 촬영된 영상이 방향이 유지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입력되는 영상의 데이터 순서와 출력되는 데이터의 순서가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하 대칭 변환이 수행된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의 (b)는 (a)와 같이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b)를 살펴보면, 픽셀 0~223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마지막 224개의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다. 즉, 메모리 중 어드레스가 2016~2239에 해당하는 영역에 픽셀 0~223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다음으로 입력되는 픽셀 224~447의 데이터가 메모리 중 어드레스가 1792~2015에 해당하는 영역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영상의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할 때에는 픽셀 데이터가 수평 라인 단위로 순서가 역전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도 4의 (b)와 같이 저장된 영상신호를 낮은 어드레스부터 순차적으로 독출함으로 인하여 촬영된 영상의 상하가 반전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좌우 대칭 변환이 수행된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의 (c)는 (a)와 같이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좌우 대칭 변환을 수행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c)를 살펴보면, 픽셀 0~223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첫번째 224개의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다. 다만, 픽셀 번호가 큰 픽셀의 데이터가 224개의 어드레스 영역 중 낮은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다. 그리고 다음으로 입력되는 픽셀 224~447의 데이터가 메모리 중 어드레스가 224~447에 해당하는 영역에 저장된다. 그러나 이전 라인과 마찬가지로 픽셀 번호가 큰 픽셀의 데이터가 224개의 어드레스 영역 중 낮은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영상의 좌우 대칭 변환을 수행할 때에는 픽셀 데이터가 수직 라인 단위로 순서가 역전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도 4의 (c)와 같이 저장된 영상신호를 낮은 어드레스부터 순차적으로 독출함으로 인하여 촬영된 영상의 좌우가 반전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180° 회전 변환이 수행된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의 (d)는 (a)와 같이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180° 회전 변환을 수행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d)를 살펴보면, 픽셀 0~223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마지막 224개의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다. 즉, 메모리 중 어드레스가 2016~2239에 해당하는 영역에 픽셀 0~223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다만, 픽셀 번호가 큰 픽셀의 데이터가 224개의 어드레스 영역 중 낮은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입력되는 픽셀 224~447의 데이터가 메모리 중 어드레스가 1792~2015에 해당하는 영역에 저장된다. 그러나 이전 라인과 마찬가지로 픽셀 번호가 큰 픽셀의 데이터가 224개의 어드레스 영역 중 낮은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영상의 180° 회전 변환을 수행할 때에는 도 4의 (a)의 경우에 비교하여 픽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 값이 정반대가 된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도 4의 (d)와 같이 저장된 영상신호를 낮은 어드레스부터 순차적으로 독출함으로 인하여 촬영된 영상의 좌우가 반전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픽셀(혹은 영상)의 방향 변환 및 저장은 상술한 저장부(116)에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픽셀 데이터, 즉 영상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은 메모리 컨트롤러가 DMA 방식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컨트롤러는 CPU(104)로부터 디스플레이부(113)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따라서 영상신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방향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3)의 상태는 광축에 대한 촬상소자(106)의 회전량 및 디스플레이부(113)의 플립 상태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들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촬영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실제 피사체 A' 및 B'을 디지털 촬영 장치(1)를 사용하여 촬영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에는 피사체 A' 및 B'가 촬영된 피사체 영상 A 및 B가 도 5(b)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실제 피사체와 촬영한 영상에서의 피사체를 구분하기 위하여 영상에서의 피사체를 A, B로 나타내고, 실제 피사체를 A', B'로 나타내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의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1)가 가장 일반적인 상태, 즉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0에 가까워 기준값 미만이며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영상의 방향 변환이 필요 없다.
도 6(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촬영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된 상태이다.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은 기준값 미만이다. 디스플레이부(113)를 플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도 5(b)와 같으며, 디스플레이부(113)를 플립시킬 때, 영상의 방향 변환을 수행하지 않으면 도 6(a)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113)를 플립시킨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피사체와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촬영된 영상이 거꾸로 나타나 사용자는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한 모습이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셀프 촬영을 수행할 때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실제 촬영될 영상(도 5(b))과 비교할 때 도 6(b)의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좌우가 반전된 영상이다. 이를 감안하여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되었을 때, 영상을 상하 대칭 변환 뿐만 아니라 좌우 대칭 변환까지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좌우 대칭 변환을 추가적으로 수행한 경우에는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움직이는 방향과 디스플레이부(113)에서 나타나는 영상의 움직이는 방향이 반대가 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데 불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에 좌우 대칭 변환을 추가적으로 수행한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1)를 피사체 B' 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피사체 A', B'과 같은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3)를 바라보았을 때, 디스플레이부(113)는 좌측으로 움직이지만 촬영된 영상은 우측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느껴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되었을 때, 영상의 좌우가 반전되는 것은 그대로 두는 것이 사용자에게 더 자연스러울 수 있다. 즉, 미러(mirror) 효과가 발생하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탬플릿을 사용하여 셀프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은 기준값 미만이다. 도 7(a)의 경우, 사용자가 탬플릿을 사용하도록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탬플릿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탬플릿은 원형의 합성 영역(300)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피사체 A', B'을 촬영하고 있으나, 촬영되는 영상 중 합성 영역(300)에 위치한 영상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피사체 A'을 촬영한 A가 합성 영역(300)에 디스플레이된다. 반면에 피사체 B'을 촬영한 영상 B는 배경 영역에 가려져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도 7(b)를 참조하면,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된 상태이다.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은 기준값 미만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되는 경우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피사체 A', B'을 촬영한 영상 A, B가 점선으로 디스플레이된 것과 같이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탬플릿에 대하여 방향 변환을 수행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13)의 좌측 하단(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된 상태에서는 우측 상단에 해당)에 합성 영역(300)이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7(a)에서와는 달리, 피사체 A'에 대한 영상 A가 합성 영역(30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탬플릿에 대하여 영상과 마찬가지로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하였다. 즉, 미러(mirror) 효과가 발생하도록 영상 및 탬플릿의 방향 변환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합성 영역(300)이 도 7(c)의 디스플레이부(113) 기준으로 우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위치가 변경되었다. 그리고 피사체 A'를 촬영한 영상 A가 합성 영역(300)에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촬영되는 영상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탬플릿도 디스플레이부(113)의 상태 및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에 따라서 방향 변환을 수행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셀프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영상 재생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탬플릿을 사용하여 실제 피사체 A', B'를 촬영하면 도 8(a)와 같은 모습이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 장치(1)에 구비된 셔터-릴리즈 버튼을 눌러 촬영 신호가 인가되면 영상이 캡쳐된다.
영상 캡쳐시에는 촬상소자(106)에 의하여 캡쳐된 영상과 탬플릿에 대하여 방향 변환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로 합성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한다. 즉, 플립 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는 달리, 상하 대칭 변환이 수행되기 이전의 영상 및 탬플릿을 합성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할 것이다.
캡쳐된 영상(400)은 도 8(b)와 같은 모습으로 저장된다. 즉, 캡쳐된 영상(400)은 좌측 하단에 탬플릿의 합성 영역(300)이 위치하고 합성 영역에 피사체 A'의 영상인 A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디지털 촬영 장치(1)는 영상이 캡쳐되면 디스플레이부(113)에 퀵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퀵뷰 영상은 캡쳐된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이다.
도 7(c)에서와 같이, 영상 및 탬플릿이 상하 대칭으로만 변환이 되어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실제 캡쳐될 영상과는 좌우가 반전된 영상이 라이브 뷰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퀵뷰 영상은 실제 캡쳐된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영상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된 상태에서 영상의 캡쳐가 이루어지는 경우, 퀵뷰 영상은 도 8(b)와 동일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8(c)와 같이, 영상 캡쳐 후 퀵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디스플레이부(113)의 상태 및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영상 캡쳐시와 동일한 상태이면, 라이브 뷰 영상에 비하여 좌우가 반전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도 8(c)에서 도시한 퀵뷰 영상의 경우, 저장된 촬영 영상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80° 회전 변환 시킨 영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 상태이며,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값 미만일 때, 라이브 뷰 영상 및 탬플릿은 모두 상하 대칭 변환이 수행되어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또한 영상 캡쳐 후 퀵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디지털 촬영 장치(1)가 상기와 동일한 상태이면, 촬영 영상에 대하여 180° 회전 변환을 시킨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촬영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실제 피사체 A' 및 B'을 디지털 촬영 장치(1)를 사용하여 촬영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에는 피사체 A' 및 B'가 촬영된 피사체 영상 A 및 B가 도 9(b)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도 9(a) 및 도 9(b)의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1)를 사용자가 거꾸로 들고 있는 상태, 즉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180°에 가까워 기준값 이상이며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촬상소자(106)가 180°만큼 회전되어 있으므로, 촬영되는 영상도 180°만큼 회전되며, 따라서 촬상소자(106)가 정상상태로 있을 때와 비교하여 영상이 180°만큼 회전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나 촬상소자(106)의 회전과 더불어 디스플레이부(113) 자체가 180° 회전되므로, 사용자가 볼 때에는 영상이 회전된 효과를 느낄 수 없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촬영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된 상태이다.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은 기준값 이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값은 150°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각도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준값은 디지털 촬영 장치(1)가 거꾸로 되었다고 사용자가 느끼게 되는 임의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13)를 플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도 9(b)와 같으며, 디스플레이부(113)를 플립시킬 때, 영상의 방향 변환을 수행하지 않으면 도 10(a)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113)를 플립시킨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피사체와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촬영된 영상이 거꾸로 나타나 사용자는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한 모습이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셀프 촬영을 수행할 때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셀프 촬영을 자연스럽게 수행하기 위하여 영상에 대하여 추가적인 좌우 반전은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탬플릿을 사용하여 셀프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은 기준값 이상이다. 도 11(a)의 경우, 사용자가 탬플릿을 사용하도록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탬플릿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탬플릿은 원형의 합성 영역(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탬플릿은 도 7(a) 내지 도 8(c)에서 사용되는 탬플릿과 동일한 것이다. 이때, 촬영되는 영상과는 달리, 탬플릿은 촬상소자(106)의 회전과 무관하게 디스플레이된다. 즉, 저장부(116)에 저장되어 있는 탬플릿의 형태 그대로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탬플릿은 좌측 하단에 합성 영역(300)이 위치하므로, 도 11(a)와 같이 탬플릿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피사체 A', B'을 촬영하고 있으나, 촬영되는 영상 중 합성 영역(300)에 위치한 영상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1(a)에서는 영상 A, B는 모두 배경 영역에 의하여 가려지며, 합성하고자 하는 영상 A를 합성 영역(300)에 위치시킬 수 없게 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탬플릿을 사용한 촬영을 자연스럽게 수행하기 위하여, 탬플릿을 180° 회전 변환 시켜서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로 인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1)를 일반적인 방향으로 들고 촬영할 때와 마찬가지로 탬플릿을 사용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영상 A가 합성 영역(300)에 위치하게 된다.
도 11(c)를 참조하면,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된 상태이다.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은 기준값 이상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되는 경우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피사체 A', B'을 촬영한 영상 A, B가 점선으로 디스플레이된 것과 같이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탬플릿에 대하여 방향 변환을 수행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13)의 우측 상단에 합성 영역(300)이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b)에서와는 달리, 피사체 A'에 대한 영상 A가 합성 영역(30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1(d)를 참조하면, 탬플릿에 대하여 영상과 마찬가지로 상하 대칭 변환을 추가적(디스플레이부(113)의 플립 이전에 180° 회전 변환을 이미 수행하였으므로 추가적인 변환에 해당함)으로 수행하였다. 즉, 미러(mirror) 효과가 발생하도록 영상 및 탬플릿의 방향 변환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합성 영역(300)이 도 11(d)의 디스플레이부(113) 기준으로 우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위치가 변경되었다. 그리고 피사체 A'를 촬영한 영상 A가 합성 영역(300)에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촬영되는 영상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탬플릿도 디스플레이부(113)의 상태 및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에 따라서 방향 변환을 수행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셀프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영상 재생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탬플릿을 사용하여 실제 피사체 A', B'를 촬영하면 도 12(a)와 같은 모습이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 장치(1)에 구비된 셔터-릴리즈 버튼을 눌러 촬영 신호가 인가되면 영상이 캡쳐된다.
영상 캡쳐시에는 촬상소자(106)에 의하여 캡쳐되어 방향 변환이 수행되지 않은 영상과 180° 회전 변환이 수행된 탬플릿을 합성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한다. 즉, 플립 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는 달리, 상하 대칭 변환이 수행되기 이전의 영상과 및 180° 회전 변환이 수행된 탬플릿을 합성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할 것이다.
캡쳐된 영상(401)은 도 12(b)와 같은 모습으로 저장된다. 즉, 촬상소자(106)가 회전되지 않은 정상상태를 기준으로 하는 영상이 저장된다. 따라서 캡쳐된 영상(401)은 우측 상단에 탬플릿의 합성 영역(300)이 위치하고 합성 영역에 피사체 A'의 영상인 A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디지털 촬영 장치(1)는 영상이 캡쳐되면 디스플레이부(113)에 퀵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1(c)에서와 같이, 영상은 상하 대칭으로만 변환이 되고 탬플릿은 좌우 대칭으로만 변환(180° 회전 변환에 상하 대칭 변환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좌우 대칭 변환)이 되어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실제 캡쳐될 영상에 비교하여 좌우가 반전된 영상이 라이브 뷰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퀵뷰 영상은 실제 캡쳐된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영상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된 상태에서 영상의 캡쳐가 이루어지는 경우, 퀵뷰 영상은 도 12(a)와 동일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2(c)와 같이, 영상 캡쳐 후 퀵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디스플레이부(113)의 상태 및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영상 캡쳐시와 동일한 상태이면, 라이브 뷰 영상에 비하여 좌우가 반전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도 12(c)에서 도시한 퀵뷰 영상의 경우, 저장된 촬영 영상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80° 회전 변환 시킨 영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 상태이며,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값 이상일 때, 라이브 뷰 영상은 상하 대칭 변환이 수행되고 탬플릿은 180° 회전 변환이 수행되어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또한 영상 캡쳐 후 퀵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디지털 촬영 장치(1)가 상기와 동일한 상태이면, 촬영 영상에 대하여 180° 회전 변환을 시킨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촬영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양한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량 미만인 경우에는 합성 영역(300)에 피사체 A'의 영상 A가 위치한다.
상기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1) 방향) 혹은 시계 방향((2) 방향)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1)를 회전시키면, 피사체의 영상은 그 방향이 일정하다. 즉, 영상 A는 항상 같은 모습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탬플릿은 디스플레이부(113)의 플립에 의한 상하 대칭 변환 이후에 계속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1) 방향 또는 (2) 방향으로의 회전은 기준값 미만인 경우이다.
한편, 디지털 촬영 장치(1)의 회전량이 증가하여 (3) 또는 (4) 만큼 더 회전된 경우,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사용되는 탬플릿을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값 미만일 때를 기준으로 180° 회전 변환을 시켜 디스플레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촬영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탬플릿의 합성 영역(301)이 방향성을 갖는 하트 모양일 경우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합성 영역(301)이 하트 모양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에서와 마찬가지로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 및 탬플릿에 대하여 방향 변환을 수행한다. 다만, 하트 모양의 합성 영역(301)은 최초에 설정한 방향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탬플릿의 방향 변환을 수행할 때, 합성 영역(301)은 배경 영역과는 별도로 방향 변환을 수행하여 최초에 설정한 방향이 계속 유지되도록 한다. 배경 영역은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방향 변환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 상태이면, 촬상소자(106)의 회전량 및 합성 영역(300, 301)의 방향성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 및 탬플릿에 대하여 적절한 방향 변환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탬플릿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합성 영역의 모양, 위치 및 크기를 별도로 결정할 수 있는 탬플릿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탬플릿 설정을 위한 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저장부(116)는 다양한 모양의 합성 영역들(300~304)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합성 영역들(300~304)이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합성 영역(302)을 선택하며, 선택된 합성 영역(302)은 초기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반드시 초기 위치에 합성 영역(302)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터치하거나 조작부(124)를 조작하여 합성 영역(302)이 처음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5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특정 위치에 위치한 합성 영역(302)을 디스플레이부(113) 상의 드래그 동작이나 조작부(124)의 조작으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탬플릿에서 합성 영역의 위치나 모양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된 합성 영역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그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합성 영역의 모양 및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경 영역 및 합성 영역의 위치나 모양이 수정될 수 없는 탬플릿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선택된 탬플릿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전원 On 동작에 의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1)는 동작을 개시한다(S100). 그리고 디지털 촬영 장치(1)의 모드가 촬영 모드인지 재생 모드인지 판단한다(S101). 상기 모드가 재생 모드인 경우에 대하여는 도 21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모드가 촬영 모드인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1)는 촬상소자(106)에서 영상을 주기적으로 촬상하여 라이브 뷰 영상을 생성하며, 이를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한다(S102). 그리고 촬영중 탬플릿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탬플릿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탬플릿을 저장부(116)로부터 추출하고(S111), 영상 합성부(202)는 추출한 탬플릿을 라이브 뷰 영상과 합성한다(S112). 그리고 합성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한다(S113). 한편,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S120 단계로 나아간다.
다음으로 CPU(104)는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20).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CPU(104)는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값(θref)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141). 이때, 촬상소자(106)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그 방향에 무관하게 촬상소자(106)가 회전한 량을 판단하기 위하여 절대값을 사용하였다.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값(θref) 미만이라고 판단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1) 일반적인 상태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S124 단계로 나아간다. 반면에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값(θref)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영상 변환부(201)는 탬플릿을 180° 회전 변환 시킨다(S142).
한편, S1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값(θref)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121).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값(θref) 미만이라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부(113)가 위로 플립된 상태로 셀프 촬영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변환부(201)는 라이브 뷰 영상에 대하여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하고(S122), 탬플릿에 대하여도 상하 대칭 변환을 수행한다(S123). 반면에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값(θref)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부(113)가 아래로 플립된 상태로 셀프 촬영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변환부(201)는 라이브 뷰 영상에 대하여는 상하 대칭 변환(S130)을 수행하고, 탬플릿에 대하여는 좌우 대칭 변환을 수행한다(S131).
다음으로 S124 단계에서는 영상 합성부(202)가 방향이 변환된 라이브 뷰 영상과 탬플릿을 합성하고(S124), 디스플레이부(113)는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25). 그리고 촬영 신호가 인가되는지, 즉 영상 캡쳐를 수행하는지를 판단한다(S126). 이때, 촬영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다시 S120 단계로 돌아간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13)의 상태 및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에 따라서 탬플릿이 합성된 영상을 적절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촬영 신호가 인가되면 영상 캡쳐시에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값(θref) 미만이면 촬영 영상을 생성할 때에는 탬플릿의 방향 변환이 필요 없으므로 S201 단계로 나아간다. 반면에 영상 캡쳐시에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이 기준값(θref) 이상이면 디지털 촬영 장치(1)가 거꾸로 들려져 있는 것이므로 영상 변환부(201)는 탬플릿에 대하여 180° 회전 변환을 수행한다(S204).
그리고 영상 합성부(202)는 방향이 변환된 혹은 방향 변환이 수행되지 않은 그대로의 탬플릿을 촬상소자(106)에서 캡쳐된 영상과 합성한다(S201). 그리고 합성 영상을 저장부(116)에 저장하며(S202), 저장된 영상과 관련된 퀵뷰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한다(S203).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영상 캡쳐 동작이 완료되면 다시 S102 단계로 돌아가서 라이브 뷰 영상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이하 퀵뷰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8을 참조하면, CPU(104)는 퀵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00).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퀵뷰 영상을 촬영 영상 혹은 저장된 영상에 대하여 180° 회전 변환을 수행한다(S301). 반면에 디스플레이부(113)가 플립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방향 변환은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방향이 변환된 혹은 변환되지 않은 퀵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한다(S302).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113)의 상태 및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에 따라서 퀵뷰 영상을 적절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탬플릿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9는 탬플릿의 합성 영역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탬플릿을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그에 따라서 적절한 조작을 수행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1)는 저장부(116)에 저장되어 있는 탬플릿들의 일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0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탬플릿 일람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S401), 선택된 탬플릿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 한다(S402).
도 20을 참조하면, 탬플릿의 합성 영역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탬플릿을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그에 따라서 적절한 조작을 수행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1)는 저장부(116)에 저장되어 있는 합성 영역들의 일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1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합성 영역 일람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S411), 선택된 합성 영역을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한다(S412).
사용자로부터 선택한 합성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려는 위치 변경 조작이 있는지를 판단하고(S413), 위치 변경 조작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서 위치를 변경한다(S414).
합성 영역의 위치가 최종적으로 결정되면 선택된 합성 영역에 따른 탬플릿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 한다(S415).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여 재생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S101 단계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1)가 재생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1)는 재생 모드를 실행하며(S500),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 중 재생 영상을 선택한다(S501).
재생 영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영상의 EXIF 정보를 추출하고(S502), 추출한 EXIF 정보 중에서 Orientation 정보를 분석한다(S503).
그리고 Orientation 정보에 따라서 선택된 재생 영상의 방향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한다(S504). 예를 들어, Orientation 정보에 선택된 재생 영상이 디지털 촬영 장치가 거꾸로 들려진 상태에서 촬영된 것이라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이를 재생할 때에는 저장된 영상을 180° 회전 변환시켜 재생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113)의 상태 및 촬상소자(106)의 회전량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 탬플릿, 합성 영역 등의 방향을 적절하게 변환하여,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셀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디지털 촬영 장치
101 렌즈 102 렌즈 구동부
103 렌즈 위치 검출부 104 CPU
105 촬상소자 제어부 106 촬상소자
107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108 A/D 변환부
109 영상 입력 컨트롤러 110 디지털 신호 처리부
111 압축 신장부 112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113 디스플레이부 114 움직임 센서
115 위치 센서 116 저장부
117 미디어 컨트롤러 118 메모리 카드
121 플래시 124 조작부
200 주 제어부 201 영상 변환부
202 영상 합성부 203 탬플릿 판단부
204 합성 영역 설정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
    센서;
    메모리;
    영상광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2 영상으로 둘러싸인 미리 정해진 모양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 내부에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고,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을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합성 영역의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환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미리 정해진 모양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정해진 모양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들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식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정해진 모양들 중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모양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2 영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들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들 중에서 상기 제2 영상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촬상소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합성 영역의 위치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합성 영역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합성 영역의 위치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관련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의 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회전의 정도가 특정 값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역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관련된 회전의 정도가 특정 값을 만족한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을 180도 회전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의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11.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2 영상으로 둘러싸인 미리 정해진 모양에 대응되는 합성 영역 내부에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을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합성 영역의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환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모양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정해진 모양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식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식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정해진 모양들 중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모양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들 중에서 상기 제2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촬상소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합성 영역의 위치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역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합성 영역의 위치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방법.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관련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의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의 정도가 특정 값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역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움직임에 관련된 회전의 정도가 특정 값을 만족한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을 180도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방법.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의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방법.

KR1020110120320A 2011-11-17 2011-11-17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95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320A KR101795603B1 (ko) 2011-11-17 2011-11-17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3/592,863 US9232124B2 (en) 2011-11-17 2012-08-23 Changing an orientation of a display of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movement of the apparatus
PCT/KR2012/009631 WO2013073850A1 (en) 2011-11-17 2012-11-15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210467978.XA CN103124328B (zh) 2011-11-17 2012-11-19 数字拍摄设备和控制数字拍摄设备的方法
EP12193168.7A EP2595374B1 (en) 2011-11-17 2012-11-19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ZA2014/01010A ZA201401010B (en) 2011-11-17 2014-02-10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4/954,317 US9485437B2 (en) 2011-11-17 2015-11-30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320A KR101795603B1 (ko) 2011-11-17 2011-11-17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748A KR20130054748A (ko) 2013-05-27
KR101795603B1 true KR101795603B1 (ko) 2017-12-01

Family

ID=4735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320A KR101795603B1 (ko) 2011-11-17 2011-11-17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232124B2 (ko)
EP (1) EP2595374B1 (ko)
KR (1) KR101795603B1 (ko)
CN (1) CN103124328B (ko)
WO (1) WO2013073850A1 (ko)
ZA (1) ZA2014010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1543B2 (ja) * 2012-12-27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9741150B2 (en) 2013-07-25 2017-08-22 Dueligh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representative images
WO2015064144A1 (ja) 2013-10-30 2015-05-07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12014006005T5 (de) 2013-12-25 2016-09-08 Canon Kabushiki Kaisha Bildgebungsvorrichtung, Verfahren zur Steuerung der Bildgebungsvorrichtun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nzeige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fzeichnungsvorrichtung
US9986168B2 (en) * 2014-05-08 2018-05-29 Sony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CN105446419A (zh) * 2014-08-12 2016-03-3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屏幕翻转方法
US9807316B2 (en) 2014-09-04 2017-10-31 Htc Corporation Method for image segmentation
JP6751620B2 (ja) * 2016-08-05 2020-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949500B2 (ja) * 2017-01-30 2021-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8600635A (zh) * 2018-05-22 2018-09-28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图像的拍摄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159798B2 (en) * 2018-08-21 2021-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deo compression using cognitive semantics object analysis
JP7237681B2 (ja) * 2019-03-25 2023-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8010A (ja) 2001-01-11 2002-07-26 Shinkawa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2232753A (ja) * 2001-01-30 2002-08-16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及び記録媒体
JP2010103921A (ja) * 2008-10-27 2010-05-06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1055084A (ja) 2009-08-31 2011-03-17 Olympus Corp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580B2 (ja) 1997-09-19 2000-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および画像入力装置の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645702B2 (ja) * 1997-12-25 2005-05-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3680601B2 (ja) * 1998-05-14 2005-08-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シフトレジスタ、表示装置、撮像素子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WO2001048587A1 (fr) * 1999-12-28 2001-07-05 Aiwa Co., Ltd. Dispositif electronique a fonction d'affichage
US6574353B1 (en) * 2000-02-08 2003-06-03 University Of Washington Video object tracking using a hierarchy of deformable templates
EP1496687A4 (en) * 2002-04-17 2006-09-20 Seiko Epson Corp DIGITAL CAMERA
JP4071568B2 (ja) * 2002-07-30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US7675563B2 (en) * 2002-11-15 2010-03-09 Seiko Eps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JP2005051298A (ja) * 2003-07-29 2005-02-24 Seiko Epson Corp ディジタルカメラ及びテンプレートデータ構造
JP4174404B2 (ja) * 2003-10-01 2008-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7349020B2 (en) * 2003-10-27 2008-03-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composition template
KR101034493B1 (ko) 2004-01-09 201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변환 장치, 화상 변환을 위한 직접 메모리 액세스장치 및 화상 변환을 지원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
KR100632533B1 (ko) 2004-03-22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얼굴 검출을 통한 애니메이션 효과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05099234A1 (en) 2004-04-05 2005-10-20 Nokia Corporation An electronic imaging device
JP2006279307A (ja) * 2005-03-28 2006-10-12 Toshiba Corp 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キーアサイン変更方法
JP2007013768A (ja) * 2005-07-01 2007-01-18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KR100708178B1 (ko) * 2005-09-01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영상 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JPWO2007097271A1 (ja) * 2006-02-20 2009-07-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方法
US9081782B2 (en) * 2006-11-17 2015-07-14 Cabin Cree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generating graphical memorabilia projects for presentation and use
US7706579B2 (en) * 2006-12-21 2010-04-27 Sony Ericsson Communications Ab Image orientation for display
US20090040308A1 (en) 2007-01-15 2009-02-12 Igor Temovskiy Image orient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JP4432982B2 (ja) * 2007-02-16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像装置
US20090015702A1 (en) * 2007-07-11 2009-01-15 Sony Ericsson Communicatins Ab Enhanced image capturing functionality
US8401304B2 (en) * 2007-07-27 2013-03-19 Sportvision, Inc. Detecting an object in an image using edge detection and morphological processing
JP4697256B2 (ja) * 2008-04-16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US8036417B2 (en) * 2008-06-11 2011-10-11 Eastman Kodak Company Finding orientation and date of hardcopy medium
JP4725657B2 (ja) * 2009-02-26 2011-07-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合成出力プログラム、画像合成出力装置及び画像合成出力システム
JP2010273021A (ja) * 2009-05-20 2010-12-02 Sony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
US8687070B2 (en) * 2009-12-22 2014-04-01 Apple Inc. Image capture device having tilt and/or perspective correction
JP5641890B2 (ja) * 2010-11-10 2014-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8872855B2 (en) * 2011-07-21 2014-10-28 Flipboard, Inc. Adjusting orientation of content regions in a page layout
US9111135B2 (en) * 2012-06-25 2015-08-18 Aquif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human hands using parts based template matching using corresponding pixels in bounded regions of a sequence of frames that are a specified distance interval from a reference camer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8010A (ja) 2001-01-11 2002-07-26 Shinkawa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2232753A (ja) * 2001-01-30 2002-08-16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及び記録媒体
JP2010103921A (ja) * 2008-10-27 2010-05-06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1055084A (ja) 2009-08-31 2011-03-17 Olympus Corp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88237A1 (en) 2016-03-24
US20130128078A1 (en) 2013-05-23
US9232124B2 (en) 2016-01-05
KR20130054748A (ko) 2013-05-27
ZA201401010B (en) 2019-07-31
EP2595374B1 (en) 2021-02-17
US9485437B2 (en) 2016-11-01
CN103124328A (zh) 2013-05-29
EP2595374A3 (en) 2017-08-16
EP2595374A2 (en) 2013-05-22
WO2013073850A1 (en) 2013-05-23
CN103124328B (zh)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60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034181B (zh) 图像捕获设备、图像显示系统和操作方法
JP6954414B2 (ja) 撮像装置
JP5820181B2 (ja) 撮影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10742888B2 (en) 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partial areas and positional relationship therebetween
KR100763970B1 (ko) 화상표시장치 및 촬상장치
KR20130069123A (ko) 촬상장치, 촬상 구도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1910660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24057B2 (ja) 撮像装置
JP6918605B2 (ja) 撮像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7051586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253451A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234310A (ja) 撮像装置
EP4246994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5696525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10738B2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21069005A (ja) 撮像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30061510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JP201104973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9200792A (ja) 電子カメラ
JP2012009999A (ja) 撮像装置
JP2011166496A (ja) 撮像装置
JP2018014585A (ja) 画像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90107A (ko) 가상 피사체 촬영 기능이 구현된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JP2013078038A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