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644B1 -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644B1
KR101789644B1 KR1020167004240A KR20167004240A KR101789644B1 KR 101789644 B1 KR101789644 B1 KR 101789644B1 KR 1020167004240 A KR1020167004240 A KR 1020167004240A KR 20167004240 A KR20167004240 A KR 20167004240A KR 101789644 B1 KR101789644 B1 KR 101789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portion
bushing
axis direction
conductor
cri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974A (ko
Inventor
스스무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034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Abstract

리셉터클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우징과, 하우징에 장착되면서, 동축 케이블의 선단이 놓여지는 부싱과, 부싱에 장착되면서, 부싱에 의해 하우징과 절연되어 있는 소켓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우징은 제1 원통부와, 부싱을 유지하고 있는 크림핑부를 포함하고, 부싱은 크림핑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절연막에 압접되며, 소켓은 제1 원통부에 둘러싸여 있는 접촉부와, 부싱으로부터의 힘에 의해 절연막에 압접되는 장착부로서, 절연막을 파괴하여 제2 중심 도체와 접속되어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 원통부의 중심으로부터 크림핑부까지의 최단 거리는, 외부 도체의 중심으로부터 리셉터클의 바깥 가장자리까지의 최장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COAXIAL CONNECTOR AND CONNECTING PART}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동축 케이블의 선단(先端)에 마련되는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축 커넥터에 관한 발명으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L형 동축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상기 동축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에 접속되어, 통형상 접촉부, 계합(係合) 수단 및 중심 콘택트를 포함하고 있다. 통형상 접촉부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 통형상 단자에 감합(嵌合)된다. 중심 콘택트는 통형상 접촉부의 중심에 마련되어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의 중심 단자와 접촉한다. 계합 수단은 통형상 접촉부 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동축 케이블을 유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L형 동축 커넥터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없다는 문제를 갖는다. 예를 들면, L형 동축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접속한 후에, L형 동축 커넥터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의 위치를 바꾸기 위해, L형 동축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싶은 경우가 있다. 통형상 접촉부 및 통형상 단자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통형상 접촉부는 통형상 단자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단, 통형상 접촉부 측에는 계합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L형 동축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회전되면, 계합 수단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걸릴 우려가 있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L형 동축 커넥터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없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2-10904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셉터클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절연막을 통해 서로 절연되어 있는 외도체 및 제2 중심 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장착되면서, 제1 중심 도체 및 상기 제1 중심 도체 주위에 마련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외부 도체를 갖는 리셉터클에 착탈 가능한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선단이 놓여지는 부싱(bushing)과, 상기 부싱에 장착되면서, 상기 부싱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절연되어 있는 소켓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제1 원통부와, 상기 부싱을 유지하고 있는 크림핑부(crimp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부싱은 상기 크림핑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상기 절연막에 압접(壓接)되고, 상기 소켓은 상기 제1 원통부에 둘러싸여 있는 접촉부와, 상기 부싱으로부터의 힘에 의해 상기 절연막에 압접되는 장착부로서, 상기 절연막을 파괴하여 상기 제2 중심 도체와 접속되어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원통부는 상기 외부 도체에 감합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중심 도체와 접속되며, 상기 제1 원통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봤을 때의 상기 제1 원통부의 중심에서 상기 크림핑부까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외부 도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봤을 때의 상기 외부 도체의 중심에서 상기 리셉터클의 바깥 가장자리까지의 최장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접속부는 상기 동축 커넥터와, 상기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는 상기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축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동축 커넥터 및 리셉터클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3b는 동축 커넥터 및 리셉터클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동축 커넥터의 하우징 조립 도중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부싱에 소켓이 장착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동축 커넥터를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동축 커넥터를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동축 커넥터를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동축 커넥터를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축 커넥터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축 커넥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동축 커넥터(10) 및 리셉터클(230)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동축 커넥터(10)의 하우징(12) 조립 도중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부싱(14)에 소켓(16)이 장착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특히, 도 2 참조)에서 하우징(12), 부싱(14) 및 소켓(16)이 겹치는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한다. z축 방향의 정(正)방향은 하우징(12)으로부터 소켓(16)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또한 동축 케이블(220)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한다. X축 방향의 정방향은 동축 케이블(220)로부터 소켓(16)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X축 방향은 z축 방향으로 직교하고 있다.
동축 커넥터(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2), 부싱(14) 및 소켓(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동축 커넥터(10)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232), 중심 도체(234) 및 본체(236)를 포함하고 있는 리셉터클(23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동축 케이블(22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피막(221), 외부 도체(222), 절연체(223) 및 중심 도체(2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절연체(223)는 중심 도체(224) 주위에 마련되어 있으며, 발포 구조 또는 중공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절연체(223)는 낮은 반발력밖에 갖고 있지 않아서 비교적 용이하게 변형된다. 외부 도체(222)는 절연체(223) 주위에 마련되어 있다. 절연 피막(221)은 외부 도체(222) 주위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220)의 선단에서 절연 피막(221)이 제거되어 외부 도체(222)가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동축 케이블(220)의 선단에서 외부 도체(222)가 제거되어 절연체(223)가 노출되어 있다.
하우징(12)은 1장의 금속판(예를 들면, 용수철용 인청동)에 의해 제작되고,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20), 배면부(21), 유지부(23) 및 고정부(24)를 포함하고 있다.
원통부(2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갖고 있으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의 정방향 측에 위치하는 개구(O1) 및 z축 방향의 부(負)방향측에 위치하는 개구(O2)를 갖고 있다. 단, 원통부(20)는 일부(X축 방향의 부방향 측 부분)가 컷 아웃(cut out)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개구(O1)로부터 개구(O2)를 향하는 방향을 z축 방향의 부방향이라고도 한다. 마찬가지로, 개구(O2)로부터 개구(O1)를 향하는 방향을 z축 방향의 정방향이라고도 한다.
배면부(21)는 원통부(20)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 4의 상태에서 90°만큼 구부러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20)의 개구(O2)를 덮는 판형상 부재이다. 배면부(21) 상에는 부싱(14)이 놓여진다.
2개의 고정부(24)는 원통부(20)에 접속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싱(14)을 y축 방향의 양측에서 끼고 있다. 고정부(2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의 정방향 측에서 개구(O1)를 봤을 때에 원통부(20)의 단부 각각에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고정부(24)는 원통부(20)가 컷 아웃됨으로써 형성되는 2개의 단부로부터 X축 방향의 부방향 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고 있는 판형상 부재이다.
또한 2개의 고정부(24)에는 각각, 만곡부(33)가 마련되어 있다. 만곡부(33)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고정부(24)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각 고정부(24)의 일부가 y축 방향의 정방향 측 또는 부방향 측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23)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20)로부터 동축 케이블(220)을 따라 마련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배면부(21)의 X축 방향의 부방향 측에 접속되어 있다. 유지부(2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림핑부(26, 28, 30)를 갖고 있다.
크림핑부(26)는 동축 커넥터(10)의 조립 전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부(21)의 X축 방향의 부방향 측에 접속되어 있는 U자형상의 띠형상 부재이다. 크림핑부(2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부러짐으로써, 부싱(14), 고정부(24) 및 절연체(223) 주위에 감겨 이들을 유지한다. 이로써, 크림핑부(26)는 부싱(14), 고정부(24) 및 절연체(223)에 압접된다. 이 때, 고정부(24)는 크림핑부(26)에 눌려 부싱(14)에 압접된다. 따라서 고정부(24) 및 크림핑부(26)는 부싱(14)을 유지하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크림핑부(26)는 부싱(14), 소켓(16) 및 동축 케이블(220)을 하우징(12)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크림핑부(26)의 양단은, 원통부(20)의 중심축 방향(z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동축 케이블(220)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크림핑부(26)에서의 원통부(20)에 가까운 쪽의 변은, 크림핑부(26)의 양단에 가까이 감에 따라 원통부(20)로부터 멀어져 있다. 이로써, 도 1의 부분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림핑부(26)에서의 원통부(20)에 가까운 쪽 변의 양단 근방은,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V자형을 이루도록 X축 방향의 부방향 측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크림핑부(28)는 동축 커넥터(10)의 조립 전 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림핑부(26)의 X축 방향의 부방향 측에 마련되어 있는 U자형상의 띠형상 부재이다. 크림핑부(28)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부러짐으로써, 외부 도체(222) 주위에 감겨 동축 케이블(220)의 외부 도체(222)를 유지한다. 이로써, 크림핑부(28)는 동축 케이블(220)을 하우징(12)에 고정하는 역할, 및 외부 도체(222)와 하우징(1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크림핑부(30)는 동축 커넥터(10)의 조립 전 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림핑부(28)의 X축 방향의 부방향 측에 마련되어 있는 U자형상의 띠형상 부재이다. 크림핑부(3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부러짐으로써, 절연 피막(221) 주위에 감겨 동축 케이블(220)의 절연 피막(221)을 유지한다. 이로써, 크림핑부(30)는 동축 케이블(220)을 하우징(12)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부싱(14)은 수지(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2)과 소켓(16)을 절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부싱(14)은 하우징(12)에 장착되어 있으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부(36) 및 수납부(3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원형부(36)는 소켓(16)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부(39) 및 원통부(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배면부(39)는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원형을 이루는 판형상 부재이며, 부싱(14)이 하우징(12)에 장착되었을 때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20) 내에 들어가 있는 부분이다.
원통부(4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부(39)의 z축 방향의 정방향 측 면 상에 마련되어 있으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갖고 있다. 원통부(41)의 중심축과 원통부(20)의 중심축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이로써, 원통부(41)는 z축 방향의 정방향 측에서 봤을 때에 원통부(20)에 둘러싸여 있다.
수납부(38)는 소켓(16) 및 동축 케이블(220)의 선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부(42), 측면부(45) 및 푸싱부(pushing portion)(46) 및 덮개부(4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배면부(42)는 원형부(36)의 배면부(39)로부터 X축 방향의 부방향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직사각형상의 판형상 부재이다. 상기 배면부(42) 상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6)이 놓여진다.
푸싱부(46)는 X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판형상 부재로서, 배면부(42) 상에 마련되어 있다. 단, 푸싱부(46)의 z축 방향의 부방향 측 단부와 배면부(42)의 z축 방향의 정방향 측 면 사이에는 틈(Sp)이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원통부(41)와 배면부(42)의 z축 방향의 정방향 측 면 사이에도 틈(Sp)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푸싱부(46)의 X축 방향의 부방향 측 공간(수납 공간(S))과 원통부(41) 안이 틈(Sp)을 통해 연통(連通)하고 있다.
2개의 측면부(45)는 y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판형상 부재로서, 배면부(42) 상에 서로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한쪽 측면부(45)는 배면부(42)의 y축 방향의 부방향 측 변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다른 쪽 측면부(45)는 배면부(42)의 y축 방향의 정방향 측 변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배면부(42)의 X축 방향의 정방향 측 단부는, 푸싱부(46)의 y축 방향의 양단과 접합되어 있다. 이로써, 수납부(38)에는 z축 방향의 정방향 측 면 및 X축 방향의 부방향 측 면이 개구된 수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 공간(S)에는 동축 케이블(220)의 선단이 수납된다.
2개의 덮개부(47)는 직사각형상의 판형상 부재로서, 각 측면부(45)에 대하여 z축 방향의 정방향 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y축 방향의 부방향 측의 덮개부(47)는 y축 방향의 정방향 측으로 넘어갈 수 있고, y축 방향의 정방향 측의 덮개부(47)는 y축 방향의 부방향 측으로 넘어갈 수 있다. 이로써, 덮개부(47)는 수납 공간(S)의 z축 방향의 정방향 측 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단, 덮개부(47)가 넘어간 상태에서도, 수납 공간(S)의 z축 방향의 정방향 측 면에서 X축 방향의 정방향 측의 절반은 개구되어 있다.
또한 부싱(14)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로 분리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부싱(14)은 y축 방향의 정방향 측의 절반과 y축 방향의 부방향 측의 절반으로 V자형으로 나뉜다. 이로써, 후술하는 소켓(16)이 부싱(14)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소켓(16)은 1장의 금속판(예를 들면, 용수철용 인청동)에 의해 제작되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싱(14)에 장착되고, 상기 부싱(14)에 의해 하우징(12)과 절연되어 있다. 상기 소켓(16)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48), 배면부(50) 및 장착부(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원통부(48)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부(50)의 X축 방향의 정방향 측에 접속되어 있으며,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원환(圓環)의 일부가 컷 아웃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원통부(48)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갖고 있다. 원통부(48)의 중심축은 원통부(20, 41)의 중심축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원통부(48)의 반경은 부싱(14)의 원통부(41)의 반경보다 작다. 따라서 원통부(48)는 동축 커넥터(10)가 조립되었을 때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의 정방향 측에서 봤을 때에 원통부(20) 및 원통부(41)에 둘러싸여 있다. 또한 원통부(48)는 원통부(20)의 중심축이 연장되는 방향(z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원통부(20)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원통부(48)의 배면부(21)로부터의 높이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41)의 배면부(21)로부터의 높이보다 높다. 이로써, 원통부(48)는 원통부(41)로부터 z축 방향의 정방향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배면부(50)는 원통부(41)로부터 틈(Sp)을 통과하도록, X축 방향의 부방향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판형상 부재이다. 장착부(52)는 배면부(50)의 X축 방향의 부방향 측 단부에서, z축 방향의 정방향 측에 수직으로 구부러짐으로써 마련되어 있으며, 동축 케이블(220)의 중심 도체(224)와 접속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부(52)는 소정의 틈을 통해 늘어선 2장의 절단용 조각(cutter piece)(52a, 5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심 도체(224)가 절단용 조각(52a, 52b) 사이의 소정의 틈에 끼이도록 동축 케이블(220)을 세트한다. 이어서, 크림핑부(26)가 크림핑됨으로써, 덮개부(47)가 크림핑부(26)로부터의 힘에 의해 동축 케이블(220)의 절연체(223)에 압접된다. 이로써, 동축 케이블(220)은 z축 방향의 정방향 측에서 부방향 측으로, 덮개부(47)로부터의 힘에 의해 절단용 조각(52a, 52b)에 눌린다. 절단용 조각(52a, 52b)은 덮개부(47)로부터의 힘에 의해 동축 케이블(220)의 절연체(223)에 압접된다. 그리고 절단용 조각(52a, 52b)은, 동축 케이블(220)의 절연체(223)의 일부를 절단(파괴)하여 중심 도체(224)와 접속된다.
여기서, 크림핑부(26)가 크림핑된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S)은 z축 방향의 정방향 측에서 봤을 때에, 크림핑부(26)로부터 원통부(20)를 향하여 밀려나와 있다. 이로써, 수납 공간(S)의 z축 방향의 정방향 측 면의 개구를 통해, 동축 케이블(220)의 선단을 관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동축 커넥터(10)는 이하에 설명하는 순서에 의해 조립된다.
먼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싱(14)에 대하여 소켓(16)을 장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부(41) 내에 원통부(48)가 들어감과 함께, 배면부(50)가 틈(Sp)에 들어가도록 부싱(14)에 의해 소켓(16)을 y축 방향의 양측에서 끼운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2)에 대하여 부싱(14)을 장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부(20) 내에 원형부(36)가 들어감과 함께, 고정부(24) 사이에 수납부(38)가 들어가도록, z축 방향의 정방향 측으로부터 부싱(14)을 하우징(12)에 대하여 밀어 넣도록 하여 장착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20)의 선단이 장착부(52)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동축 케이블(220)의 선단을 수납부(38)에 놓는다. 이 때, 동축 케이블(220)은 선단에서, 외부 도체(222) 및 절연체(223)가 노출되도록 가공되어 있다. 단, 중심 도체(224)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절연체(223)가 장착부(52) 상에 위치하고, 외부 도체(222)가 크림핑부(28) 사이에 위치하며, 절연 피막(221)이 크림핑부(30) 사이에 위치하도록 동축 케이블(220)을 소켓(16)에 놓는다.
동축 케이블(220)을 놓으면, 크림핑부(26, 28, 30)의 크림핑 공정을 실시한다. 크림핑부(26)의 크림핑 공정에서는, 크림핑부(26)를 절곡(bending)시킴으로써 덮개부(47)를 절연체(223)로 누른다. 이로써, 절연체(223)가 절단용 조각(52a, 52b)에 눌린다. 이 때, 절연체(223)의 일부가 절단용 조각(52a, 52b)에 의해 절단되어, 절단용 조각(52a, 52b)과 중심 도체(224)가 접속된다.
또한 크림핑부(28)의 크림핑 공정에서는, 크림핑부(28)를 절곡시킴으로써 크림핑부(28)를 외부 도체(222)에 감는다. 마찬가지로, 크림핑부(30)의 크림핑 공정에서는, 크림핑부(30)를 절곡시킴으로써 크림핑부(30)를 절연 피막(221)에 감는다. 이상의 공정을 거쳐, 동축 커넥터(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게 된다.
다음으로, 접속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접속부(100)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10) 및 리셉터클(230)을 포함하고 있다.
리셉터클(230)에는 동축 커넥터(10)가 장착된다. 리셉터클(230)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232), 중심 도체(234) 및 본체(2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236)는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직사각형상의 판형상을 하고 있다. 외부 도체(232)는 원통형상의 전극으로서, 본체(236)로부터 z축 방향의 부방향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중심 도체(234)는 외부 도체(232)의 중심에서 본체(236)로부터 z축 방향의 부방향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전극이다.
상기 동축 커넥터(10)를 리셉터클(230)에 장착할 때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232)를 개구(O1)로부터 원통부(20)에 삽입한다. 이로써, 원통부(20)의 내주면과 외부 도체(232)의 외주면이 접촉하여, 동축 케이블(220)의 외부 도체(222)와 리셉터클(230)의 외부 도체(232)가 하우징(12)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원통부(20)는 외부 도체(232)에 의해 확대된다. 이로써, 원통부(20)의 내주면이 외부 도체(232)의 외주면에 압접되어, 동축 커넥터(10)가 리셉터클(230)로부터 용이하게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외부 도체(232)가 원통부(20)에 삽입됨과 동시에,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234)가 소켓(16)의 원통부(48)에 삽입된다. 이로써, 중심 도체(234)의 외주면과 원통부(48)의 내주면이 접촉하여, 동축 케이블(220)의 중심 도체(224)와 리셉터클(230)의 중심 도체(234)가 소켓(16)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동축 커넥터(10)는 리셉터클(2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관련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동축 커넥터(10)를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축 커넥터(1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의 원통부(20)의 중심에서 크림핑부(26)까지의 최단 거리(L1)는,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의 외부 도체(232)의 중심에서 리셉터클(230) 본체(236)의 바깥 가장자리까지의 최장 거리(L2)보다 길다. 보다 상세하게는, 크림핑부(26)는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을 하고 있다. 크림핑부(26)에서 원통부(20)의 중심에 가장 근접한 부분은, 크림핑부(26)에서의 X축 방향의 정방향 측 변의 중앙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림핑부(26)의 양단이 접촉하고 있는 위치이다. 따라서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의 원통부(20)의 중심에서 크림핑부(26)까지의 최단 거리(L1)란, 원통부(20)의 중심으로부터 크림핑부(26)에서의 X축 방향의 정방향 측 변의 중앙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리셉터클(230)의 본체(236)는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직사각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본체(236)의 바깥 가장자리에서 외부 도체(232)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부분은 본체(236)의 각이다. 따라서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의 외부 도체(232)의 중심으로부터 리셉터클(230)의 본체(236)의 바깥 가장자리까지의 최장 거리(L2)란, 외부 도체(232)의 중심으로부터 본체(236)의 각까지의 거리이다.
이상과 같이 최단 거리(L1)>최장 거리(L2)의 관계가 성립함으로써,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10)를 리셉터클(230)에 대하여 회전시켰을 때에, 리셉터클(230)의 각과 크림핑부(26)가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동축 커넥터(10)를 리셉터클(230)에 대하여 360°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효과)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동축 커넥터(10) 및 접속부(100)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동축 커넥터(10)를 리셉터클(230)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100)의 저배화(低背化)를 도모할 수 있다.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의 원통부(20)의 중심으로부터 크림핑부(26)까지의 최단 거리(L1)는,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의 외부 도체(232)의 중심으로부터 리셉터클(230)의 본체(236)의 바깥 가장자리까지의 최장 거리(L2)보다 길다. 이 때문에, 동축 커넥터(10)의 크림핑부(26)는 리셉터클(230)의 본체(236)와 z축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다. 따라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림핑부(26)에서의 z축 방향의 가장 정방향 측 부분을 본체(236)의 z축 방향의 부방향 측 면보다 z축 방향의 정방향 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크림핑부(26)와 본체(236)는 X축 방향으로 겹친다. 이로써, 원통부(20)의 z축 방향의 높이를 크림핑부(26)의 z축 방향의 높이보다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축 커넥터(10)가 리셉터클(230)에 장착되었을 때에, 동축 커넥터(10) 및 리셉터클(230)로 이루어지는 접속부(100)의 z축 방향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S)은 z축 방향의 정방향 측에서 봤을 때에 크림핑부(26)로부터 원통부(20)를 향하여 밀려나와 있다. 이로써, 크림핑부(26)를 크림핑했을 때에, 수납 공간(S)이 크림핑부(26)로부터 밀려나온 부분에서, 여분의 절연체(223)가 수납 공간(S)으로부터 밀려나올 수 있다. 이 때문에, 크림핑부(26)를 강하게 크림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납 공간(S)으로부터 밀려나온 절연체(223)는, 동축 커넥터(10)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원통부(20)보다 z축 방향의 부방향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16)의 원통부(48)는 부싱(14)의 원통부(41)보다 높다. 따라서 동축 커넥터(10)의 리셉터클(230)에 대한 장착에서, 리셉터클(230)의 중심 도체(234)가 원통부(48)에 삽입될 때에 원통부(41)가 중심 도체(234)와 접촉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부싱(14)이 동축 커넥터(10)의 리셉터클(230)에 대한 장착을 저해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부싱(14)의 원통부(41)가 소켓(16)의 원통부(48)를 둘러싸고 있다. 이 때문에, 중심 도체(234)가 원통부(48)에 삽입될 때에, 원통부(48)의 확대가 원통부(41)에 의해 규제된다. 이로써, 원통부(48)가 지나치게 확대되어 하우징(12)의 원통부(20)와 접촉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동축 커넥터(10)가 리셉터클(230)에 대하여 장착될 때, 및 동축 커넥터(10)가 리셉터클(230)로부터 벗어날 때에, 원통부(48)와 원통부(20) 사이에서 쇼트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크림핑부(26)에서의 원통부(20)에 가까운 쪽의 변은, 크림핑부(26)의 양단에 가까이 감에 따라 원통부(20)로부터 멀어져 있다. 이로써, 도 1의 부분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림핑부(26)에서의 원통부(20)에 가까운 쪽 변의 양단 근방은, z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V자형을 이루도록 X축 방향의 부방향 측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크림핑부(26)에서의 원통부(20)에 가까운 쪽 변의 양단 근방은, 상기와 같이 크림핑부(26)에서 원통부(2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부분이다. 이로써, 크림핑부(26)가 리셉터클(230)의 본체(236)에 접촉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에 유용하며 특히, 리셉터클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점에서 뛰어나다.
O1, O2: 개구
S: 수납 공간
10: 동축 커넥터
12: 하우징
14: 부싱
16: 소켓
20, 41, 48: 원통부
21, 39, 42, 50: 배면부
23: 유지부
24: 고정부
26, 28, 30: 크림핑부
36: 원형부
38: 수납부
45: 측면부
46: 푸싱부
47: 덮개부
52: 장착부
52a, 52b: 절단용 조각
100: 접속부
220: 동축 케이블
221: 절연 피막
222: 외부 도체
223: 절연체
224: 중심 도체
230: 리셉터클
232: 외부 도체
234: 중심 도체
236: 본체

Claims (6)

  1. 절연막을 통해 서로 절연되어 있는 외도체 및 제2 중심 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의 선단(先端)에 장착되면서,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제1 중심 도체, 및 상기 제1 중심 도체 주위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외부 도체를 갖는 리셉터클(receptacle)에 착탈 가능한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선단이 놓여지는 부싱(bushing)과,
    상기 부싱에 장착되면서, 상기 부싱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절연되어 있는 소켓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제1 원통부와,
    상기 부싱을 유지하고 있는 크림핑부(crimp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부싱은 상기 크림핑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상기 절연막에 압접(壓接)되며,
    상기 소켓은,
    상기 제1 원통부에 둘러싸여 있는 접촉부와,
    상기 부싱으로부터의 힘에 의해 상기 절연막에 압접되는 장착부로서, 상기 절연막을 파괴하여 상기 제2 중심 도체와 접속되어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원통부는 상기 외부 도체에 감합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중심 도체와 접속되며,
    상기 제1 원통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봤을 때의 상기 제1 원통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크림핑부까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외부 도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봤을 때의 상기 외부 도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리셉터클의 바깥 가장자리까지의 최장 거리보다 길며,
    상기 제1 원통부와 상기 외부 도체의 감합 시에, 상기 크림핑부의 단부는, 상기 제1 원통부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본체의 양 주면 중 상기 제1 원통부에 대향하는 주면보다, 상기 동축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통부는 상기 외부 도체가 삽입되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개구를 덮고 있는 배면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크림핑부는 상기 배면부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부싱에 감김으로써 상기 부싱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부는 띠형상의 금속편이고,
    상기 크림핑부의 양단은, 상기 제1 원통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상기 동축 케이블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크림핑부에서의 상기 제1 원통부에 가까운 쪽의 변은, 상기 크림핑부의 양단에 가까이 감에 따라 상기 제1 원통부로부터 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서 상기 외도체가 제거되어 있고,
    상기 부싱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선단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으로서, 상기 제2 개구로부터 상기 제1 개구로 향하는 방향의 면이 개구되어 있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제1 원통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상기 크림핑부로부터 상기 제1 원통부로 향하여 밀려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제1 원통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상기 제1 원통부에 둘러싸여 있는 제2 원통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 원통부는 상기 제1 원통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상기 접촉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접촉부의 상기 배면부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제2 원통부의 상기 배면부로부터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와,
    상기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는 상기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
KR1020167004240A 2013-08-22 2014-05-21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 KR101789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1898 2013-08-22
JP2013171898 2013-08-22
PCT/JP2014/063450 WO2015025571A1 (ja) 2013-08-22 2014-05-21 同軸コネクタ及び接続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974A KR20160034974A (ko) 2016-03-30
KR101789644B1 true KR101789644B1 (ko) 2017-10-25

Family

ID=5248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240A KR101789644B1 (ko) 2013-08-22 2014-05-21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2149B2 (ko)
JP (1) JPWO2015025571A1 (ko)
KR (1) KR101789644B1 (ko)
CN (1) CN105518947A (ko)
TW (1) TWI548166B (ko)
WO (1) WO2015025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3623B2 (en) * 2012-09-29 2017-10-17 Harumoto Technology (Shen Zhen) Co., Ltd.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a receptor connector
US9620887B2 (en) * 2015-08-06 2017-04-11 Netgear, Inc. Network device with reconfigurable power cord assembly
TWI608678B (zh) * 2016-07-01 2017-12-11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Rf線端連接器與同軸線纜的連接方法及其使用的內部端子
JP6802654B2 (ja) * 2016-07-22 2020-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視認窓を有する同軸コネクタ、及び、該同軸コネクタを用いた同軸コネクタ装置
JP6447596B2 (ja) * 2016-09-08 2019-01-0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10153579B2 (en) * 2017-03-27 2018-12-11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component
CN109411967A (zh) * 2017-08-17 2019-03-01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高频rf连接构件及其高频rf跳线与板端连接器
CN110416840A (zh) * 2018-04-28 2019-11-05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弯式微型同轴连接器
JP7070711B2 (ja) * 2018-12-19 2022-05-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L型同軸コネクタにおける絶縁性部材の位置決め構造
JP7143207B2 (ja) * 2018-12-21 2022-09-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対の圧着片を有するハウジングを備え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7143206B2 (ja) * 2018-12-21 2022-09-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対の圧着片を有するハウジングを備え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WO2020175347A1 (ja) * 2019-02-27 2020-09-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プローブ素子およびプローブユニット
JP7407611B2 (ja) * 2020-02-10 2024-0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CN115411578A (zh) * 2021-05-27 2022-11-29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全屏蔽式高频连接器和连接器组件
TWM620702U (zh) * 2021-08-20 2021-12-01 訊鼎電子股份有限公司 具有無螺絲夾持連接器結構之有線電視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7425A (ja) * 2008-09-10 2010-03-25 Murata Mfg Co Ltd L型同軸コネクタ
JP2010108719A (ja) * 2008-10-29 2010-05-1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2243441A (ja) * 2011-05-17 2012-12-10 Daiichi Seiko Co Ltd 同軸コネクタ装置
JP2013097915A (ja) 2011-10-28 2013-05-20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2385B2 (ja) * 2004-02-05 2009-11-11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テレビ用アンテナ端子装置
JP2009099478A (ja) * 2007-10-19 2009-05-07 Kuurii Components Kk コネクタプラグ
TWM365590U (en) * 2009-05-27 2009-09-21 Advanced Connectek Inc Coaxial micro-connector
JP5152301B2 (ja) * 2010-11-15 2013-02-27 Smk株式会社 L型同軸コネクタ
US8137134B1 (en) * 2010-11-29 2012-03-20 Ezconn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an insulating member with a bendable section with a pair of projections
JPWO2013058015A1 (ja) * 2011-10-19 2015-04-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CN102842838B (zh) * 2012-08-01 2015-01-0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线缆连接器的制造方法及其线缆连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7425A (ja) * 2008-09-10 2010-03-25 Murata Mfg Co Ltd L型同軸コネクタ
JP2010108719A (ja) * 2008-10-29 2010-05-1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2243441A (ja) * 2011-05-17 2012-12-10 Daiichi Seiko Co Ltd 同軸コネクタ装置
JP2013097915A (ja) 2011-10-28 2013-05-20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3501A (zh) 2015-04-01
KR20160034974A (ko) 2016-03-30
US9692149B2 (en) 2017-06-27
US20160164199A1 (en) 2016-06-09
CN105518947A (zh) 2016-04-20
JPWO2015025571A1 (ja) 2017-03-02
TWI548166B (zh) 2016-09-01
WO2015025571A1 (ja)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644B1 (ko)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
JP6506803B2 (ja) 同軸コネクタアセンブリ
EP3159970B1 (en) Cable assembly,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assembly
TWI611641B (zh) 連接器及連接器組合體
EP2930793B1 (en) Connector
JP2019149379A (ja) コネクタ
US9490567B2 (en) Connector
BRPI1002297A2 (pt) conjunto de conexão, e, método para montar um conjunto de conexão
TW201828548A (zh) 電連接器及電連接器之鎖定構件
TW201301679A (zh) 同軸型電連接器
JP2019220325A (ja) コネクタ装置
JP6277840B2 (ja) 電気コネクタ
TW200531387A (en) Coaxial cable connector
JP2009016178A (ja) 同軸コネクタ
TW201014066A (en) Coaxial cable connector housing
JP2013097914A (ja) 同軸コネクタ
JP2013093212A (ja) 同軸コネクタ
JP5772511B2 (ja) 同軸コネクタ
JP2017147108A (ja) プラグコネクタ
JP2013098121A (ja) 同軸コネクタ
JP2006179409A (ja) L型同軸ケーブル用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WO2016163140A1 (ja) 同軸コネクタ
WO2020129559A1 (ja) L型同軸コネクタにおける絶縁性部材の位置決め構造
JP2020077483A (ja) 電気コネクタ
JP2023170556A (ja) ケーブル保持部材、前記ケーブル保持部材を備えるケーブル保持装置、及び前記ケーブル保持装置を備える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