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009B1 - 호이스트 - Google Patents

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009B1
KR101785009B1 KR1020170083302A KR20170083302A KR101785009B1 KR 101785009 B1 KR101785009 B1 KR 101785009B1 KR 1020170083302 A KR1020170083302 A KR 1020170083302A KR 20170083302 A KR20170083302 A KR 20170083302A KR 101785009 B1 KR101785009 B1 KR 10178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ist
weight
platform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동호
Original Assignee
석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동호 filed Critical 석동호
Priority to KR1020170083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66B13/285Toe guards or apr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는 건설 현장의 공사 건물 각 층에 건축자재 또는 작업자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사람 또는 물건을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110)과, 상기 플랫폼(110)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설치되는 측벽(120)과, 상기 측벽(120)의 개방된 일측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130)과, 상기 측벽(120)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르래(140)와, 상기 도르래(140)를 경유하여 일단은 상기 출입문(130)과 결합되고 타단에는 무게추(152)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와이어(150)와, 상기 측벽(120)에 고정설치되어 승하강되는 무게추(152)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안내기둥(160)과, 상기 측벽(12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출입문(13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플랫폼(110)의 측면 일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172)와, 상기 출입문(130)의 하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172)의 타단에 일측이 걸릴 수 있도록 한 걸림편(174) 및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172)와 접촉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편(174)과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는 해제부재(176)로 이루어진 록킹수단(170)과, 상기 출입문(130)이 위치된 방향의 플랫폼(110)에 형성되는 수용홈(112)에 탄성부재(182)를 통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추락방지판(180) 및 일단이 상기 무게추(152)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추락방지판(180)과 연결되어 상기 추락방지판(180)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방지판와이어(190)를 포함하는 호이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호이스트{Hoist}
본 발명은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이스트의 승하강시 출입문이 자동으로 잠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작업하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호이스트 출입문과 층간 출입문 사이에 발판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자재가 낙하되거나 작업자의 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의 외벽에는 내부에 작업자 또는 건설 자재를 탑재하고 상하로 이동하면서 각 층에 설치된 층간 출입문을 통해 작업자 또는 자재 등을 운반하는 호이스트(또는 리프트)가 설치된다.
호이스트는 공사중인 건물의 외벽에 상하 수직으로 세워지는 마스터를 따라 승강되고, 마스터에는 래크가 설치되고 호이스트에는 래크와 치합되는 피니언이 전동모터로 회전되면서 건물의 외벽을 따라 승강하면서 각 층간 출입문에 정차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호이스트에는 건설 자재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호이스트 출입문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호이스트는 공사중인 건물의 바깥쪽에서 상하 승강되는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공사중인 건물의 외벽, 즉 층간 출입문과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이로 인해 호이스트가 해당 층에 도착하여 층간 출입문을 통해 해당 층으로 작업자 또는 건설 자재를 이송하는 경우에 호이스트 출입문과 층간 출입문의 사이의 떨어진 공간으로 작업자의 발이 빠지거나 또는 건설자재를 운반하는 운반용 손수레의 바퀴가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호이스트 출입문의 경우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호이스트 출입문을 잠그지 않고 열려 있는 상태로 승하강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해, 호이스트 출입문이 열리면서 자재가 낙하되거나,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동작업에 의해서 호이스트 출입문의 개폐가 이루어짐으로 일일이 작업자가 호이스트 출입문의 록킹수단을 구속 또는 해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이스트 출입문과 층간 출입문 사이에 발판이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호이스트 출입문의 개방 및 폐쇄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호이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는 건설 현장의 공사 건물 각 층에 건축자재 또는 작업자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사람 또는 물건을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과, 상기 플랫폼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설치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개방된 일측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과, 상기 측벽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르래와, 상기 도르래를 경유하여 일단은 상기 출입문과 결합되고 타단에는 무게추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와이어와, 상기 측벽에 고정설치되어 승하강되는 무게추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안내기둥과, 상기 측벽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출입문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플랫폼의 측면 일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와, 상기 출입문의 하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의 타단에 일측이 걸릴 수 있도록 한 걸림편 및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와 접촉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편과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는 해제부재로 이루어진 록킹수단과, 상기 출입문이 위치된 방향의 플랫폼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탄성부재를 통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추락방지판 및 일단이 상기 무게추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추락방지판과 연결되어 상기 추락방지판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방지판와이어를 포함하는 호이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호이스트 출입문과 층간 출입문 사이에 발판이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어 자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호이스트 출입문을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일일이 작업하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호이스트 출입문의 록킹수단에 의해 구속되었을 때만 호이스트가 승하강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의 평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이스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호이스트에 설치되어 승하강시 자재나 작업자가 낙하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록킹수단이 작동되어 출입문을 잠글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호이스트 출입문과 층간 출입문 사이로 발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100)는 건설 현장의 공사 건물 각 층에 건축자재 또는 작업자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람 또는 물건을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110)과, 상기 플랫폼(110)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설치되는 측벽(120)과, 상기 측벽(120)의 개방된 일측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130)과, 상기 측벽(120)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르래(140)와, 상기 도르래(140)를 경유하여 일단은 상기 출입문(130)과 결합되고 타단에는 무게추(152)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와이어(150)와, 상기 측벽(120)에 고정설치되어 승하강되는 무게추(152)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안내기둥(160)과, 상기 측벽(12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출입문(13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플랫폼(110)의 측면 일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172)와, 상기 출입문(130)의 하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172)의 타단에 일측이 걸릴 수 있도록 한 걸림편(174) 및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172)와 접촉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편(174)과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는 해제부재(176)로 이루어진 록킹수단(170)과, 상기 출입문(130)이 위치된 방향의 플랫폼(110)에 형성되는 수용홈(112)에 탄성부재(182)를 통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추락방지판(180) 및 일단이 상기 무게추(152)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추락방지판(180)과 연결되는 방지판와이어(19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플랫폼(110)은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에 다양한 물건을 탑재시키거나, 사람이 탑승할 수 있게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된 플랫폼(110)의 테두리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측벽(120)이 설치된다.
상기 측벽(120)은 상기 플랫폼(110)에 탑재된 물건 또는 사람이 플랫폼(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면이 개방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벽(120)을 메쉬망 형태로 형성하여 무게를 최소화하고 호이스트(100)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측벽(120)을 메쉬망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판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측벽(120)의 개방된 일측에는 출입문(130)이 설치된다. 출입문(130)은 상기 측벽(1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어 선택적으로 측벽(120)의 개방된 일측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랫폼(11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상기 측벽(120)의 일측에는 상부에 도르래(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르래(140)를 경유하도록 출입와이어(150)가 설치된다.
상기 출입와이어(150)는 일단이 상기 출입문(13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도르래(140)를 경유한 상태에서 말단에 무게추(152)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무게추(152)가 측벽(120)의 하측에 위치되면 출입문(130)은 개방상태가 되고, 무게추(152)가 상기 측벽(120)의 상측에 위치되면 출입문(130)은 폐쇄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게추(152)가 승하강되는 부분의 측벽(120)에 안내기둥(160)이 설치된다.
상기 안내기둥(160)은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16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기둥(160)과 접촉되는 무게추(152)에는 상기 레일홈(16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 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무게추(152)의 승하강을 안내한다.
즉, 상기 안내기둥(160)을 설치하여 무게추(152)를 안내함으로써, 충격에 의해 호이스트가(100) 흔들려도 무게추(152)의 움직임이 없으며, 무게추(152)가 흔들리면서 측벽(120)과 충돌되는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록킹수단(170)은 상기 출입문(130)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출입문(130)이 닫힌 상태에서 안전하게 호이스트(100)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후크(172)와, 걸림편(174) 및 해제부재(176)로 구성된다.
후크(17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110)의 하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측에는 상기 걸림편(174)과 걸릴 수 있도록 한 걸림턱(172a)이 형성되고, 하측은 상기 플랫폼(11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72a)이 돌출되게 형성된 방향의 하측은 해제부재(176)와 접촉될 수 있게 전방으로 돌출부(172b)가 형성된다.
걸림편(174)은 상기 출입문(130)의 하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172)의 걸림턱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끝단에는 출입와이어(150)가 연결될 수 있다.
해제부재(176)는 후크(172)와 걸림편(174)이 상호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출입문(130)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건설하는 건물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후크(172)의 돌출부와 접촉됨으로써, 후크(172)와 걸림편(174)이 상호 이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72)의 하부에 무게 중심이 위치되도록 후크(172)를 설치한 상태에서 출입문(130)을 닫으면 후크(172)가 자중에 의해 상기 걸림편(174)에 걸릴 수 있게 된다. 이후, 호이스트(100)가 해당하는 층에 도착하면 건물의 측벽에 설치된 해제부재(176)와 접촉되면서 상기 후크(172)가 회전되고, 그로 인해, 후크(172)의 걸림턱(172b)이 걸림편(174)에서 이격되어 출입문(130)의 구속력을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출입문(13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추락방지판(180)은 플랫폼(110)과 건물에 설치되는 층간 출입문(10)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없애 자재나 작업자의 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문(130)이 설치되는 플랫폼(110)에 수용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112) 내에 추락방지판(180)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추락방지판(180)은 탄성부재(182)에 의해 후방이 탄성지지될 수 있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바퀴(184)가 마련된다. 또한, 전방은 하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리어커와 같은 운반기구의 왕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판(180)의 후방은 방지판와이어(190)가 연결된다.
상기 방지판와이어(190)는 일단이 상기 추락방지판(180)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무게추(152)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플랫폼(110)에 형성되는 와이어공(111)을 통해 상기 무게추(15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지판와이어(19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복수개의 롤러(191) 및 가이드봉(192)을 방지판와이어(190)의 경유 라인상에 설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100)는 출입문(130)을 수동으로 열고 닫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호이스트(100)의 출입문(130)과 층간 출입문(10)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메꾸어 자재나 사람의 다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100)는 해당하는 층에 호이스트(100)가 도착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수단(170)의 후크(172)가 해제부재(176)와 접촉되면서 회전하여 걸림턱과 걸림편(174)이 상호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출입문(130)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출입문(13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무게추(152)가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그로 인하여 탄성부재(182)에 의해 탄성지지되던 추락방지판(18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호이스트(100)의 출입문(130)과 층간 출입문(10) 사이에 발생된 틈새를 없애게 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물건을 옮기거나 탑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호이스트(100)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출입문(130)을 하방향으로 잡아당겨 출입문(130)이 측벽(120)의 개방된 부분을 닫아 폐쇄한다. 이때, 출입문(130)을 하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무게추(15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방지판와이어(190)가 당겨지게 되어 추락방지판(180)이 수용홈(112) 내측으로 이동된다. 즉, 탄성부재(182)의 탄성력을 무시하고 추락방지판(180)이 수용홈(112) 내에 위치되게 된다. 이후, 출입문(130)이 닫힌 상태에서 호이스트(10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건물의 측벽에 마련된 해제부재(176)와 후크(172)가 이격되면서, 자중에 의해 후크(172)가 회전되어 걸림턱(172a)이 상기 출입문(130)에 설치된 걸림편(174)과 걸리면서 출입문(130)의 이동이 제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출입문(130)이 닫힌 상태의 무게추(152)가 위치되는 부분에 위치감지센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출입문(130)의 닫혔을 때 무게추(152)가 위치되는 상기 안내기둥(160) 상에 위치감지센서(200)를 설치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200)와 호이스트(10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위치감지센서(200)가 무게추(152)를 감지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구동부의 구동을 원천적으로 제한하여 호이스트(100)가 상승 또는 하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호이스트 110 : 플랫폼
111 : 와이어공 112 : 수용홈
120 : 측벽 130 : 출입문
140 : 도르래 150 : 출입와이어
152 : 무게추 160 : 안내기둥
162 : 레일홈 170 : 록킹수단
172 : 후크 172a : 걸림턱
172b : 돌출부 174 : 걸림편
176 : 해제부재 180 : 추락방지판
182 : 탄성부재 190 : 방지판와이어
191 : 롤러 192 : 가이드봉
200 : 위치감지센서

Claims (3)

  1. 건설 현장의 공사 건물 각 층에 건축자재 또는 작업자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사람 또는 물건을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110)과,
    상기 플랫폼(110)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설치되는 측벽(120)과,
    상기 측벽(120)의 개방된 일측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130)과,
    상기 측벽(120)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르래(140)와,
    상기 도르래(140)를 경유하여 일단은 상기 출입문(130)과 결합되고 타단에는 무게추(152)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와이어(150)와,
    상기 측벽(120)에 고정설치되어 승하강되는 무게추(152)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안내기둥(160)과,
    상기 측벽(12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출입문(13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플랫폼(110)의 측면 일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172)와, 상기 출입문(130)의 하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172)의 타단에 일측이 걸릴 수 있도록 한 걸림편(174) 및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172)와 접촉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편(174)과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는 해제부재(176)로 이루어진 록킹수단(170)과,
    상기 출입문(130)이 위치된 방향의 플랫폼(110)에 형성되는 수용홈(112)에 탄성부재(182)를 통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추락방지판(180) 및
    일단이 상기 무게추(152)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추락방지판(180)과 연결되어 상기 추락방지판(180)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방지판와이어(190)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는
    상기 출입문(130)이 닫힌 상태의 무게추(152)가 위치되는 상기 안내기둥(160) 상에 호이스트(1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감지센서(2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위치감지센서(200)와 상기 무게추(152)가 접촉된 상태에서만 상기 구동부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판(180)의 하부에는 바퀴(18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KR1020170083302A 2017-06-30 2017-06-30 호이스트 KR101785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302A KR101785009B1 (ko) 2017-06-30 2017-06-30 호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302A KR101785009B1 (ko) 2017-06-30 2017-06-30 호이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009B1 true KR101785009B1 (ko) 2017-10-12

Family

ID=6013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302A KR101785009B1 (ko) 2017-06-30 2017-06-30 호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0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229B1 (ko) * 2018-07-25 2019-04-11 전흥미 승강용 호이스트
KR101946295B1 (ko) * 2018-06-11 2019-05-02 석혜란 승강용 리프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418B1 (ko) 2016-03-08 2016-07-22 벽산중기산업 주식회사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418B1 (ko) 2016-03-08 2016-07-22 벽산중기산업 주식회사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295B1 (ko) * 2018-06-11 2019-05-02 석혜란 승강용 리프트
KR101939229B1 (ko) * 2018-07-25 2019-04-11 전흥미 승강용 호이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009B1 (ko) 호이스트
JP4777485B1 (ja) 荷降ろし装置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67634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아파트 베란다 난간구조
WO2010079600A1 (ja) 物品収納設備
JP6525519B2 (ja) 駐輪装置
JP6975455B2 (ja) マンホール用安全柵装置
US5082087A (en) Shopping cart placement structure with stairway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345143B1 (ko) 건축용 안전 데크 및 그 운용 방법
KR101322422B1 (ko)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JP2011213443A (ja) 乗場敷居一体型梯子
JP2015137171A (ja) ドア開時の転落防止装置
KR10221858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2014034431A (ja) ピット梯子装置
JP2012180155A (ja) エレベータの点検作業用安全装置
KR102133579B1 (ko)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KR101153789B1 (ko) 절첩식 구난 사다리
KR101213125B1 (ko) 수직구 내에서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출입장치
JP2003336276A (ja) マンホール用収納式タラップ
KR20200098059A (ko) 건설 현장의 승강기 도어 안전장치
KR100965917B1 (ko) 산업용 승강기에 구비된 안전문 개폐장치
CN220148948U (zh) 爬梯逃生门开锁装置、轿厢及升降设备
KR101151751B1 (ko) 리프트용 후면 케이지 도어 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