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579B1 -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579B1
KR102133579B1 KR1020180143919A KR20180143919A KR102133579B1 KR 102133579 B1 KR102133579 B1 KR 102133579B1 KR 1020180143919 A KR1020180143919 A KR 1020180143919A KR 20180143919 A KR20180143919 A KR 20180143919A KR 102133579 B1 KR102133579 B1 KR 102133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plate
locking plat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069A (ko
Inventor
박정윤
황태용
Original Assignee
박정윤
황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윤, 황태용 filed Critical 박정윤
Priority to KR102018014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57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기물이나 쓰레기를 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 양측에 한 쌍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도어;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일정 높이 이격되어 수평으로 고정되는 걸림봉;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회동 가능한 걸림판에 상기 걸림봉이 인입되어 걸리고 회동 가능한 락킹판이 상기 걸림판을 락킹시킴으로써 상기 도어를 잠그고, 상기 락킹판을 회동시켜 상기 걸림판이 언락킹되면서 상기 걸림봉이 이탈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Door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of bucket for carrying waste}
본 발명은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폐기물이나 쓰레기를 적재하여 운반하는 버킷의 하부면에 낙하를 위해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도어가 반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폐기물, 곡물, 시멘트와 같은 건축자재, 어패류, 쓰레기 등은 박스나 하우징 형상의 버킷(bucket)에 적재한 상태로 기중기나 크레인 또는 지게차를 사용하여 운반, 이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버킷은 하부면이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된 구조를 가져 기중기나 크레인으로 이송한 다음 필요한 위치에서 도어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낙하시킨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버킷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은, 단면이 L자형의 앵글로 형성한 상, 하부앵글틀(2)(3)을 세로 앵글틀(4)로 연결하여 앵글의 내면에는 스테인레스판(5)을 고정하여 박스(1)를 형성하고, 박스(1)의 하부에는 한쌍의 개폐문(6)(6')을 힌지(7)로 유착하여 전기의 개폐문(6)(6')은 하부앵글틀(3)에 고정한 지지관(8)에 회전되게 끼워진 핸들(9)의 잠금판(10)에 의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개폐판(6')에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고정바퀴(11)를, 개폐판(6)에는 360도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바퀴(12)를 부착하고, 상부앵글틀(2)에는 고리(13)를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하부앵글틀(3)부분의 스테인레스판(5)의 하단부는 경사면(501)으로 형성하여 패류(14)를 남김없이 전량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핸들(9)에는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곡부(901)를 형성하고, 회전바퀴(12)는 고정판(121)의 축(122)에 회전자유롭게 끼워 빠지지 못하게 제어턱(123)으로 고정한 회전관(12A)에다 지지판(12B)을 고정하여 합성수지바퀴 (12')를 축(12C)으로 유착하여서 된 패류운반용 박스를 나타낸 것이다.
공지된 것은 작업자가 핸들을 돌려 잠금판을 회전시킴으로써 개폐판(도어)를 개방시키는 방식이다.
그리고 아래의 개선된 다른 선행기술들에는 도어에 로프나 와이어를 직접 연결한 상태에서 로프나 와이어를 기계적으로 당기거나 푸는 방식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은 구조가 간단하지만 작업자가 직접 개폐하는 경우 매우 위험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개폐장치의 작동이 쉽지 않아 작업자가 애를 먹는 경우가 많으며, 장기간 미사용시 녹이 슬거나 이물질에 의해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했다.
뿐만 아니라, 개선된 기술의 경우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고, 충돌 또는 강풍에 의해 도어가 개방될 수 있어서 낙하의 위험이 존재한다. 또 버킷에 적재되는 내용물이 큰 중량을 가지면 하중을 견디지 못해 와이어나 로프가 절단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문제도 있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66367(2012.7.11)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1836(2014.10.10) "반자동 개폐형 덮개를 포함하는 칩 박스"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18462(2012.3.5)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60434(2004.8.19) "시멘트 운반용 버킷"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락킹이 해제되어 버킷의 도어가 개방될 수 있고, 지면에 내려놓으면 다시 락킹되어 도어가 잠기는 구조를 가진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는, 폐기물이나 쓰레기를 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 양측에 한 쌍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도어;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일정 높이 이격되어 수평으로 고정되는 걸림봉;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회동 가능한 걸림판에 상기 걸림봉이 인입되어 걸리고 회동 가능한 락킹판이 상기 걸림판을 락킹시킴으로써 상기 도어를 잠그고, 상기 락킹판을 회동시켜 상기 걸림판이 언락킹되면서 상기 걸림봉이 이탈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고정되고, 하부에 상기 도어의 걸림봉이 인입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봉이 인입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입구 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걸림판; 상기 걸림판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 사이에 구비되는 언락킹스프링; 상기 베이스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턱이 걸려 상기 걸림판의 회동을 락킹할 수 있는 락킹홈이 형성되는 락킹판; 상기 락킹판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 사이에 구비되는 락킹스프링; 일단이 상기 락킹판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장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각 도어개폐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는 서로 이어짐으로써, 상기 와이어를 당기면 상기 각 도어개폐수단이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봉이 장착되지 않은 도어의 단부에는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봉이 장착된 도어의 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판이 더 구비될 수 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걸림판과 락킹판의 기계적인 작용으로 도어가 잠기면 절대 락킹이 해제될 수 없는 구조를 가지므로 매우 안전하다.
그리고 작업자가 와이어를 당기는 간단하고 단순한 조작에 의해 락킹이 해제되면서 도어가 개방될 수 있어 내용물 배출이 매우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버킷을 크레인으로 지면에 내려놓으면 바로 도어가 닫히면서 락킹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별도로 도어를 닫는 작동을 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버킷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개폐수단에 의해 도어가 락킹된 상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개폐수단에 의해 도어가 언락킹된 상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폐기물이나 쓰레기와 같이 대량의 내용물을 적재한 상태로 운반하거나 이송하기 위해 기중기나 크레인을 사용하여 리프팅하고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하부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도어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투하할 수 있는 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0), 도어(200), 걸림봉(300), 도어개폐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폐기물이나 쓰레기를 담는 용기나 박스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도 개방된 형상을 가지되, 후술하는 도어(200)가 장착되어 여닫을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네 모서리에는 기중기나 크레인에 의해 리프팅할 수 있도록 와이어나 로프를 걸 수 있는 고리(110)가 형성된다.
또 상기 하우징(10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작업자가 발을 딛고 올라설 수 있는 디딤부재(12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어(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200)는 길이는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와 동일하고, 폭은 상기 하우징(100)의 폭의 절반 정도가 될 수 있으며, 한 쌍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 도어(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다. 즉,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면 하단에 경첩을 달고, 상기 경첩에 각 도어(200)를 결합함으로써 여닫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어(200)는 구속이 없다면 자중에 의해 개방되는데, 바람직한 것은 완전히 열리지 않고 90도 이내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도어(200)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내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을 지면에 놓을 때 상기 도어(200)의 각 단부가 지면에 닿으면서 닫히게 한다.
이때, 상기 각 도어(200)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을 위한 바퀴(21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봉(300)은 상기 도어(20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도어개폐수단(400)에 걸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봉(300)은 상기 도어(20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수평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봉(300)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1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10)와 걸림봉(300)은 대략 '┏┓'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봉(300)은 상기 도어(2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도어개폐수단(400)이 하우징(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특징인 도어개폐수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개폐수단에 의해 도어가 락킹된 상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3은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도어개폐수단을 정면으로 바라본 도면이므로 도 2에 도시된 도어개폐수단과 좌우가 바뀐 상태임을 일러둔다.
상기 도어개폐수단(4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봉(300)에 걸리게 함으로써 도어(200)를 잠그거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도어(200)를 개폐하도록 작동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베이스판(410), 걸림판(420), 언락킹스프링(430), 락킹판(440), 락킹스프링(450), 와이어(460)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410)은 나머지 구성들, 즉 상기 걸림판(420), 언락킹스프링(430), 락킹판(440), 락킹스프링(450), 와이어(460)가 장착되는 프레임 역할을 하는 판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부착,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장방형의 커버(470)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470)의 내면에 상기 베이스판(410)이 장착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판(420), 언락킹스프링(430), 락킹판(440), 락킹스프링(450), 와이어(460)는 상기 커버(470)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410)의 하부에는 가이드홈(41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봉(300)이 안내되면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411)의 폭은 상기 걸림봉(300)의 외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봉(300)의 출입이 자유롭다.
또 상기 베이스판(410)의 양측,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홈(411)의 양측으로는 상기 걸림판(420)과 락킹판(440)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장착홀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판(420)은 상기 베이스판(410)의 장착홀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걸림홈(421)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홈(421)에는 상기 걸림봉(300)이 인입되어 걸린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421)의 입구 측에 걸림턱(4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판(420)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홈(421)은 상기 가이드홈(411)과 수직을 이루게 되고 상기 걸림홈(421)과 가이드홈(411)이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걸림봉(300)이 관통하면서 수평으로 위치하는 상기 걸림홈(421)에 걸리게 된다.
상기 걸림판(420)의 상부에는 언락킹스프링(430)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언락킹스프링(430)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판(410)의 일측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언락킹스프링(430)은 상기 걸림판(420)이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수축되어 상기 걸림판(420)이 수직으로 위치하게 한다. 즉, 상기 걸림홈(421)이 상기 가이드홈(411)으로부터 벗어나 하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봉(300)이 인입되기 용이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걸림봉(300)이 상승하여 상기 걸림홈(421)에 인입되면 상기 걸림판(420)은 회전(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언락킹스프링(430)은 인장되어 텐션이 걸린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락킹판(440)은 상하로 긴 판 부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판(410)의 장착홀 중 다른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판(440)의 일측에 락킹홈(441)이 형성되고, 상기 락킹홈(441)에는 상기 걸림판(420)의 걸림턱(422)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킹홈(441)에 상기 걸림턱(422)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걸림판(420)의 회동(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하여 복원되려는 것을 막아 락킹하게 된다.
또 상기 락킹판(440)의 상부에는 락킹스프링(450)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락킹스프링(450)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판(410)의 타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락킹스프링(450)은 상기 락킹판(440)이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수축되어 상기 락킹판(440)이 상기 걸림판(420)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봉(300)이 상승하여 상기 걸림판(42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걸림턱(422)이 상기 락킹판(440)의 측면을 타고 올라가다가 상기 락킹홈(441)에 걸리면서, 상기 락킹판(440)이 상기 걸림판(420)의 회동을 락킹하게 된다.
한편, 상기 락킹판(440)의 상부에는 와이어(460)의 일단이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460)는 상기 락킹스프링(450)의 방향과 반대로 연장된다.
상기 와이어(460)는 작업자가 잡고 당기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460)를 당기면 상기 락킹스프링(450)이 인장되면서 상기 락킹판(440)이 회전(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락킹홈(441)에 걸려 있던 상기 걸림턱(422)이 이탈되면서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걸림판(420)이 회전(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함으로써 걸려 있던 상기 걸림봉(300)이 하측으로 이탈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설치된 도어개폐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를 작업자가 당기면 양측의 도어개폐수단이 모두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봉(300)이 장착되지 않은 도어(200')의 단부에는 받침판(2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220)은 상기 도어(200')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판 부재 형상을 이루며 상기 걸림봉(300)이 장착된 도어(200)의 단부의 위에 위치하도록 닫힘으로써 상기 받침판(220)이 도어(20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봉(300)이 장착되지 않은 도어(200')가 먼저 닫히고, 뒤따라 걸림봉(300)이 장착된 도어(200)가 나중에 닫힘으로써 모든 도어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 락킹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봉(300)이 장착되지 않은 도어(200')가 먼저 닫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각 도어(200, 200')에 설치된 바퀴(210, 210')의 위치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걸림봉(300)이 장착된 도어(200)에 달린 바퀴(210)보다 걸림봉(300)이 장착되지 않은 도어(200')에 달린 바퀴(210')가 더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210')가 도어(200')의 단부에 가깝게 위치할수록 상기 바퀴(210')가 지면에 닿았을 때 도어(200')가 덜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으로 상기 하우징(100)을 지면에 내려놓을 때 상기 걸림봉(300)이 없는 도어(200')가 먼저 닫히게 되므로, 상기 걸림봉(300)이 장착된 도어(200)의 단부가 상기 받침판(220)을 밀어올리면서 모든 도어가 닫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개폐수단에 의해 도어가 언락킹된 상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락킹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 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크레인이 본 발명을 지면에 내려놓게 되면, 바퀴(210, 210')가 먼저 지면에 닿는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봉(300)이 없는 도어(200')가 먼저 닫히게 되므로 상기 걸림봉(300)이 있는 도어(200)가 상기 받침판(220)을 밀어올리면서 양 도어(200, 200')가 닫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걸림봉(300)은 상승하고, 상승하는 걸림봉(300)이 상기 걸림판(420)의 걸림홈(421)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걸림판(420)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걸림판(420)이 회전하면 상기 걸림봉(300)은 더 상승하여 상기 가이드홈(411) 내부에 완전히 인입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홈(411)과 걸림홈(421)이 수직을 이루어 상기 걸림봉(300)이 갇히게 된다. 또한, 상기 언락킹스프링(430)이 인장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422)이 상기 락킹판(440)의 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다가 상기 락킹홈(441)에 인입되어 걸리게 되면 상기 걸림봉(300)은 완전히 락킹된다. 즉,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언락킹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460)를 당기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스프링(450)이 인장되면서 상기 락킹판(44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락킹홈(441)에 걸려 있던 상기 걸림턱(422)이 이탈하게 되고 상기 언락킹스프링(430)의 수축에 의해 상기 걸림판(420)이 회전한다.
상기 걸림판(420)이 회전하면 상기 걸림홈(421)이 하강하면서 하향하게 되어 상기 걸림봉(300)이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걸림봉(300)이 낙하하면 상기 도어(200, 200')는 락킹이 해제되어 자중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은 투하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고리 120 : 디딤부재
200 : 도어
210 : 바퀴 220 : 받침판
300 : 걸림봉 310 : 지지부재
400 : 도어개폐수단 410 : 베이스판
411 : 가이드홈 420 : 걸림판
421 : 걸림홈 422 : 걸림턱
430 : 언락킹스프링 440 : 락킹판
441 : 락킹홈 450 : 락킹스프링
460 : 와이어 470 : 커버

Claims (4)

  1. 폐기물이나 쓰레기를 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 양측에 한 쌍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일정 높이 이격되어 수평으로 고정되는 걸림봉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회동 가능한 걸림판에 상기 걸림봉이 인입되어 걸리고 회동 가능한 락킹판이 상기 걸림판을 락킹시킴으로써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락킹판을 회동시켜 상기 걸림판이 언락킹되면서 상기 걸림봉이 이탈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고정되고, 하부에 상기 도어의 걸림봉이 인입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봉이 인입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입구 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걸림판;
    상기 걸림판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 사이에 구비되는 언락킹스프링;
    상기 베이스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턱이 걸려 상기 걸림판의 회동을 락킹할 수 있는 락킹홈이 형성되는 락킹판;
    상기 락킹판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 사이에 구비되는 락킹스프링;
    일단이 상기 락킹판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장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봉이 장착되지 않은 도어의 단부에는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봉이 장착된 도어의 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각 도어개폐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는 서로 이어짐으로써,
    상기 와이어를 당기면 상기 각 도어개폐수단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4. 삭제
KR1020180143919A 2018-11-20 2018-11-20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KR102133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919A KR102133579B1 (ko) 2018-11-20 2018-11-20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919A KR102133579B1 (ko) 2018-11-20 2018-11-20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069A KR20200059069A (ko) 2020-05-28
KR102133579B1 true KR102133579B1 (ko) 2020-07-13

Family

ID=7092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919A KR102133579B1 (ko) 2018-11-20 2018-11-20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680B1 (ko) * 2023-07-03 2024-02-28 주식회사 한국건설자재 건축자재 운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 운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657Y1 (ko) * 1998-04-01 2000-08-01 김정식 합성수지칩 전용파렛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094U (ko) * 1989-08-08 1991-03-28
KR200360434Y1 (ko) 2004-06-16 2004-08-30 한석문 시멘트 운반용 버킷
KR101166367B1 (ko) 2010-08-19 2012-07-23 지한테크 주식회사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
KR20120018462A (ko) 2010-08-23 2012-03-05 주식회사 근하기공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KR101451836B1 (ko) 2012-02-22 2014-10-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반자동 개폐형 덮개를 포함하는 칩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657Y1 (ko) * 1998-04-01 2000-08-01 김정식 합성수지칩 전용파렛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069A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579B1 (ko)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WO2010146567A1 (en) Container handling arrangement
US3917328A (en) Container closure fastening means
US201102604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containers and container comprising said device
KR101345143B1 (ko) 건축용 안전 데크 및 그 운용 방법
KR101976378B1 (ko) 구조적인 안전성을 갖는 샤클
KR101785009B1 (ko) 호이스트
KR200436560Y1 (ko) 적재함 잠금 장치
US3870358A (en) Apparatus for manually raising and lowering bulky packages
US2943753A (en) Equipment for loading, hauling and dumping loose materials
KR102023917B1 (ko) 이송용기 개폐장치
KR101185981B1 (ko) 빌렛 운반용 컨테이너
CN207876506U (zh) 一种锁紧装置
GB2297964A (en) Container for collecting textiles
JP3515204B2 (ja) コンテナ
KR101058389B1 (ko) 스크랩 받이통 및 그를 사용한 스크랩 처리 시스템
CN217946362U (zh) 一种自卸式废料箱
EP3121135B1 (fr) Platine de levage et de manutention pour conteneurs semi enterrés
JP7212379B2 (ja) 廃材ボックス
JPH06115868A (ja) バラ積用バケット装置
AU2018101168A4 (en) Freight container
JP3130315U (ja) 産業廃棄物コンテナー用屋根構造
GB2451322A (en) A textile bank having a removable inner container
EP3733559A1 (en) Waste collection device, unloading device and method for emptying the waste collection device into the unloading device
JPH04279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