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367B1 -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 - Google Patents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367B1
KR101166367B1 KR1020100080320A KR20100080320A KR101166367B1 KR 101166367 B1 KR101166367 B1 KR 101166367B1 KR 1020100080320 A KR1020100080320 A KR 1020100080320A KR 20100080320 A KR20100080320 A KR 20100080320A KR 101166367 B1 KR101166367 B1 KR 10116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sh
upper body
grapple
ro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614A (ko
Inventor
김형석
김상윤
김주연
김진호
김지수
김한슬
박정숙
김은주
이유리
정향미
Original Assignee
지한테크 주식회사
(주)맥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한테크 주식회사, (주)맥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지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36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203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with crane-lik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30/00Shapes of refuse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차량부의 크레인과 그래플에 의해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쓰레기통이 차량부의 수용함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개폐부재가 상기 쓰레기통의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쓰레기통내에 수용된 쓰레기가 상기 수용함내로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을 고용할 필요없이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쓰레기통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보다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인건비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외관이 개선된 상기 쓰레기통으로 인해 사람들이 상기 쓰레기통에 대해 불결함과 혐오감을 느끼지 않고 예술적 조형물로 느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CLEANING VEHICLE AND GARBAGE CAN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부의 크레인과 그래플에 의해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쓰레기통이 차량부의 수용함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개폐부재가 상기 쓰레기통의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쓰레기통내에 수용된 쓰레기가 상기 수용함내로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을 고용할 필요없이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쓰레기통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보다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인건비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외관이 개선된 상기 쓰레기통으로 인해 사람들이 상기 쓰레기통에 대해 불결함과 혐오감을 느끼지 않고 예술적 조형물로 느낄 수 있게 되는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실외 및 실내에 설치되어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를 수거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써, 인간으로써 깨끗한 주거환경과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특히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상기 쓰레기통에 대해 사람들은 대게 불결함 및 혐오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는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상기 쓰레기통의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 보다 많은 인력을 고용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차량부의 크레인과 그래플에 의해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쓰레기통이 차량부의 수용함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개폐부재가 상기 쓰레기통의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쓰레기통내에 수용된 쓰레기가 상기 수용함내로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을 고용할 필요없이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쓰레기통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보다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인건비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외관이 개선된 상기 쓰레기통으로 인해 사람들이 상기 쓰레기통에 대해 불결함과 혐오감을 느끼지 않고 예술적 조형물로 느낄 수 있게 되는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측에 형성되는 적재부에 쓰레기를 수용하는 수용함과, 일단부에 그래플이 구비된 크레인이 회전 및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그래플의 하부면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실린더가 구비되는 차량부와; 상기 차량부의 크레인과 그래플에 의해 지면에서 상기 차량부의 수용함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전면 양측에 각각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를 따라 지면에서 상기 차량부의 수용함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 일측 및 하부 타측에 상단부가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하부일측몸체 및 하부타측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하부일측몸체 및 하부타측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쓰레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상부몸체, 하부일측몸체 및 하부타측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가 상기 차량부의 수용함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차량부의 크레인의 그래플의 실린더에 의해 상기 하부일측몸체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타측몸체의 하단부를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상부몸체, 하부일측몸체 및 하부타측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쓰레기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쓰레기통은 복숭아, 배, 사과를 포함한 과일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의 상부몸체의 상단부 중심부에는 상기 차량부의 크레인의 그래플이 파지하는 돌출부가 상기 상부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부 중심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차량부의 크레인의 그래플에 구비된 실린더의 로드가 인입출되는 인입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쓰레기통의 하부일측몸체의 상단부와 하부타측몸체의 상단부에는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는 일측경사판 및 타측경사판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쓰레기통의 개폐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인입출공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부몸체의 상측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내에 수직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로드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 일측과 내부 타측에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도르래와; 상기 도르래에 팽팽하게 걸쳐진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일측경사판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경사판의 상측에 연결되며, 중심부 상측이 상기 상하이동로드의 하측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로드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일측몸체의 하단부와 하부타측몸체의 하단부를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상기 상하이동로드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판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판은 상기 돌출부의 내부 일측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로드의 일측과 접하는 일측 안내판과; 상기 돌출부의 내부 타측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로드의 타측과 접하는 타측 안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차량부의 크레인과 그래플에 의해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쓰레기통이 차량부의 수용함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개폐부재가 상기 쓰레기통의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쓰레기통내에 수용된 쓰레기가 상기 수용함내로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을 고용할 필요없이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쓰레기통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보다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인건비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외관이 개선된 상기 쓰레기통으로 인해 사람들이 상기 쓰레기통에 대해 불결함과 혐오감을 느끼지 않고 예술적 조형물로 느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통의 외관을 복숭아, 배, 사과 등을 포함한 과일형상으로 개선할 경우 사람들이 상기 쓰레기통에 대해 불결함과 혐오감을 느끼지 않도록 상기 쓰레기통의 예술적 조형물로써의 가치를 보다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이동로드, 도르래 및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상부몸체, 하부일측몸체 및 하부타측몸체의 내부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돌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내판을 통해 상기 상하이동로드가 정확하고 원활하게 상하이동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쓰레기통이 차량부의 수용함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개폐부재에 의해 쓰레기통의 내부가 개폐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쓰레기통(30)이 차량부(10)의 수용함(20)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차량부(10)와 쓰레기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트럭 등을 포함한 상기 차량부(10)의 후측에 형성되는 적재부(110)에는 쓰레기를 수용하는 상측이 개방된 수용함(20)과;
일단부에 그래플(410)이 구비된 크레인(40)이 정역회전 및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40)과 그래플(410)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그래플(410)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실린더(411)가 수직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쓰레기통(3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몸체(310), 하부일측몸체(313) 및 하부타측몸체(315), 개폐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몸체(3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부(10)의 크레인(40)과 상기 그래플(410)에 의해 지면(3)에서 상기 차량부(10)의 수용함(2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상부몸체(310)의 전면 양측에는 각각 쓰레기 투입구(31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일측몸체(313) 및 하부타측몸체(315)는 상기 상부몸체(310)를 따라 지면(3)에서 상기 차량부(10)의 수용함(20)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부일측몸체(313)의 상단부 및 상기 하부타측몸체(315)의 상단부는 각각 상기 상부몸체(310)의 하부 일측 및 하부 타측에 축결합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하부일측몸체(313)의 하단부 및 상기 하부타측몸체(315)의 하단부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도 5 참조.)
지면(3)에 안착된 상태인 상기 하부일측몸체(313)와 하부 타측몸체(315)가 외부충격 등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쉽게 회전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타측몸체(315)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일측몸체(313)의 하단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30)는 상부몸체(3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330)는 상기 상부몸체(310)의 쓰레기 투입구(301)를 통해 상기 상부몸체(310), 하부일측몸체(313) 및 하부타측몸체(315)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가 상기 차량부(10)의 수용함(2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차량부(10)의 크레인(40)의 그래플(410)의 실린더(411)에 의해 상기 하부일측몸체(313)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타측몸체(315)의 하단부를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상부몸체(310), 하부일측몸체(313) 및 하부타측몸체(315)의 내부를 개폐하게 되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쓰레기통(30)은 복숭아, 배, 사과 등을 포함한 과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통(30)의 외관을 복숭아, 배, 사과 등을 포함한 과일형상으로 개선할 경우 사람들이 상기 쓰레기통(30)에 대해 불결함과 혐오감을 느끼지 않도록 상기 쓰레기통(30)의 예술적 조형물로써의 가치를 보다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쓰레기통(30)은 반드시 복숭아, 배, 사과 등을 포함한 과일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쓰레기통(30)의 예술적 조형물로써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족하다.
도 4 및 도 5는 개폐부재(330)에 의해 쓰레기통(30)의 내부가 개폐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쓰레기통(30)의 상부몸체(310)의 상단부 중심부에는 상기 차량부(10)의 크레인(40)의 그래플(410)이 파지하는 돌출부(312)가 상기 상부몸체(3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몸체(310)의 상단부 중심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2)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차량부(10)의 크레인(40)의 그래플(410)에 구비된 실린더(411)의 로드(413)가 인입출되는 인입출공(3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통(30)의 하부일측몸체(313)의 상단부와 하부타측몸체(315)의 상단부에는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는 일측경사판(316) 및 타측경사판(31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통(30)의 개폐부재(330)는 상하이동로드(331), 도르래(333) 및 와이어(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로드(33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부가 상기 인입출공(314)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부몸체(310)의 상측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312)내에 수직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상기 실린더(411)의 로드(413)에 의해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르래(333)는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 일측과 내부 타측에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르래(333)는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 일측에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일측도르래(333a)와;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 타측에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타측도르래(333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 일측에 4개의 일측도르래(333a)가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 일측에 4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일측도르래(333a)가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 일측에 4개의 일측도르래(333a)가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된 것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이를 각각 제 1, 2, 3, 4일측도르래(333a1, 333a2, 333a3, 333a4)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 타측에 4개의 타측도르래(333b)가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 타측에 4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타측도르래(333b)가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 타측에 4개의 타측도르래(333b)가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된 것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이를 각각 제 1, 2, 3, 4타측도르래(333b1, 333b2, 333b3, 333b4)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와이어(335)는 상기 도르래(333)에 팽팽하게 걸쳐진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일측경사판(316)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경사판(318)의 상측에 연결되며, 중심부 상측이 상기 상하이동로드(331)의 하측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로드(331)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일측몸체(313)의 하단부와 하부타측몸체(315)의 하단부를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335)는 일측와이어(335a), 타측와이어(335b) 및 중간와이어(335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와이어(335a)는 상기 제 1일측도르래(333a1)의 하측 외주연과 상기 제 2, 3, 4일측도르래(333a2, 333a3, 333a4)의 상측 외주연에 각각 팽팽하게 걸쳐질 수 있다.
상기 일측와이어(335a)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경사판(316)의 상측에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와이어(335b)는 상기 제 1타측도르래(333b1)의 하측외주연과 상기 제 2, 3, 4타측도르래(333b2, 333b3, 333b4)의 상측 외주연에 각각 팽팽하게 걸쳐질 수 있다.
상기 타측와이어(335b)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경사판(318)의 상측에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간와이어(335c)는 상기 일측와이어(335a)의 타단부와 상기 타측와이어(335b)의 일단부 사이에 팽팽하게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와이어(335c)의 중심부 상측은 상기 상하이동로드(331)의 하측과 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부재(330)가 상기 쓰레기통(30)의 내부를 개폐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부몸체(310)와 하부일측몸체(313) 및 하부타측몸체(315)로 구성되는 상기 쓰레기통(30)은 상기 차량부(10)의 크레인(40)과 상기 돌출부(312)를 파지하는 상기 그래플(410)에 의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3)에서 상기 차량부(10)의 수용함(2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411)의 로드(413)의 상하길이가 늘어나 상기 로드(413)가 상기 중간와이어(335c)의 중심부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일측와이어(335a)와 타측와이어(335b)는 상기 로드(413)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하부일측몸체(313)의 하단부는 좌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타측몸체(315)의 하단부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도 5의 실선화살표 참조.)
상기 하부일측몸체(313)의 하단부가 좌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부타측몸체(315)의 하단부가 우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상부몸체(310), 하부일측몸체(313) 및 하부타측몸체(315)의 내부가 개방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상기 차량부(10)의 수용함(2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쓰레기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가 상기 수용함(20)내로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411)의 로드(413)의 상하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상기 로드(413)가 상기 중간와이어(335c)의 중심부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로드(413)방향으로 당겨진 상기 일측와이어(335a)와 타측와이어(335b)의 당김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일측몸체(313)의 하단부는 자중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타측몸체(315)의 하단부는 자중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도 4의 실선화살표 참조.)
상기 하부일측몸체(313)의 하단부가 우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부타측몸체(315)의 하단부가 좌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상부몸체(310), 하부일측몸체(313) 및 하부타측몸체(315)의 내부는 폐쇄될 수 있다.
이상태에서 상기 쓰레기통(30)은 상기 차량부(10)의 크레인(40)과 상기 돌출부(312)를 파지하는 상기 그래플(410)에 의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부(10)의 수용함(20)의 상부방향에서 지면(3)으로 이동하여 지면(3)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쓰레기통(30)이 지면(3)에 안착되면 상기 돌출부(312)를 파지하는 상기 그래플(410)의 파지상태는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로드(331), 도르래(333) 및 와이어(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개폐부재(330)를 통해 상기 상부몸체(310), 하부일측몸체(313) 및 하부타측몸체(315)의 내부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12)의 내부에는 상기 상하이동로드(331)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판(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판(50)은 일측 안내판(510)과 타측 안내판(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안내판(510)은 상기 돌출부(312)의 내부 일측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로드(331)의 일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타측 안내판(530)은 상기 돌출부(312)의 내부 타측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로드(331)의 타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2)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안내판(50)을 통해 상기 상하이동로드(331)가 보다 정확하고 원활하게 상하이동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차량부(10)의 크레인(40)과 그래플(410)에 의해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상기 쓰레기통(30)이 상기 차량부(10)의 수용함(2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330)가 상기 쓰레기통(30)의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쓰레기통(30)내에 수용된 쓰레기가 상기 수용함(20)내로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을 고용할 필요없이 실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상기 쓰레기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보다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인건비 또한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외관이 개선된 상기 쓰레기통(30)으로 인해 사람들이 상기 쓰레기통(30)에 대해 불결함과 혐오감을 느끼지 않고 예술적 조형물로 느낄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3; 지면, 10; 차량부,
110; 적재부, 20; 수용함,
30; 쓰레기통, 310; 상부몸체,
312; 돌출부, 314; 인입출공,
316; 일측경사판, 318; 타측경사판,
313; 하부일측몸체, 315; 하부타측몸체,
330; 개폐부재, 331; 상하이동로드,
333; 도르래, 333a; 일측도르래,
333a1; 제 1일측도르래, 333a2; 제 2일측도르래,
333a3; 제 3일측도르래, 333a4; 제 4일측도르래,
333b; 타측도르래, 333b1; 제 1타측도르래,
333b2; 제 2타측도르래, 333b3; 제 3타측도르래,
333b4; 제 4타측도르래, 335; 와이어,
335a; 일측와이어, 335b; 타측와이어,
335c; 중간와이어, 40; 크레인,
410; 그래플, 411; 실린더,
413; 로드, 50; 안내판,
510; 일측안내판, 530; 타측안내판.

Claims (4)

  1. 후측에 형성되는 적재부(110)에 쓰레기를 수용하는 수용함(20)과, 일단부에 그래플(410)이 구비된 크레인(40)이 회전 및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그래플(410)의 하부면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실린더(411)가 구비되는 차량부(10)와;
    상기 차량부(10)의 크레인(40)과 그래플(410)에 의해 지면(3)에서 상기 차량부(10)의 수용함(20)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전면 양측에 각각 쓰레기 투입구(311)가 형성되는 상부몸체(310)와, 상기 상부몸체(310)를 따라 지면(3)에서 상기 차량부(10)의 수용함(20)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부몸체(310)의 하부 일측 및 하부 타측에 상단부가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하부일측몸체(313) 및 하부타측몸체(315)와,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310)의 쓰레기 투입구(301)를 통해 상기 상부몸체(310), 하부일측몸체(313) 및 하부타측몸체(315)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가 상기 차량부(10)의 수용함(2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차량부(10)의 크레인(40)의 그래플(410)의 실린더(411)에 의해 상기 하부일측몸체(313)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타측몸체(315)의 하단부를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상부몸체(310), 하부일측몸체(313) 및 하부타측몸체(315)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쓰레기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쓰레기통(30)의 상부몸체(310)의 상단부 중심부에는 상기 차량부(10)의 크레인(40)의 그래플(410)이 파지하는 돌출부(312)가 상기 상부몸체(3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몸체(310)의 상단부 중심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2)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차량부(10)의 크레인(40)의 그래플(410)에 구비된 실린더(411)의 로드(413)가 인입출되는 인입출공(314)이 형성되고,
    상기 쓰레기통(30)의 하부일측몸체(313)의 상단부와 하부타측몸체(315)의 상단부에는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는 일측경사판(316) 및 타측경사판(318)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쓰레기통(30)의 개폐부재(330)는 상단부가 상기 인입출공(314)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부몸체(310)의 상측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312)내에 수직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411)의 로드(413)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로드(331)와; 상기 상부몸체(310)의 내부 일측과 내부 타측에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도르래(333)와; 상기 도르래(333)에 팽팽하게 걸쳐진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일측경사판(316)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경사판(318)의 상측에 연결되며, 중심부 상측이 상기 상하이동로드(331)의 하측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로드(331)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일측몸체(313)의 하단부와 하부타측몸체(315)의 하단부를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와이어(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30)은 복숭아, 배, 사과를 포함한 과일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12)의 내부에는 상기 상하이동로드(331)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판(50)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판(50)은 상기 돌출부(312)의 내부 일측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로드(331)의 일측과 접하는 일측 안내판(510)과; 상기 돌출부(312)의 내부 타측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로드(331)의 타측과 접하는 타측 안내판(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
  4. 삭제
KR1020100080320A 2010-08-19 2010-08-19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 KR101166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320A KR101166367B1 (ko) 2010-08-19 2010-08-19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320A KR101166367B1 (ko) 2010-08-19 2010-08-19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614A KR20120017614A (ko) 2012-02-29
KR101166367B1 true KR101166367B1 (ko) 2012-07-23

Family

ID=4583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320A KR101166367B1 (ko) 2010-08-19 2010-08-19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3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069A (ko) 2018-11-20 2020-05-28 박정윤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KR20200069655A (ko) 2018-12-07 2020-06-17 정찬영 분리수거가 가능한 쓰레기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7496A (zh) * 2016-07-04 2016-09-21 白景魁 一套简约型垃圾运输设备
CN109896193B (zh) * 2019-04-11 2019-11-15 江苏悦达专用车有限公司 一种便于垃圾装车的垃圾箱以及垃圾车
CN111284971B (zh) * 2020-05-13 2020-08-04 湖南拓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折臂吊及其控制系统与具有该折臂吊的垃圾车
CN111891602A (zh) * 2020-07-29 2020-11-06 西京学院 一种垃圾转运用的钩臂车
CN114852562A (zh) * 2022-04-08 2022-08-05 傅元亮 一种用于垃圾回收转运排放的自动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82Y1 (ko) * 2004-12-02 2005-03-08 조병수 너클 크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82Y1 (ko) * 2004-12-02 2005-03-08 조병수 너클 크레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069A (ko) 2018-11-20 2020-05-28 박정윤 폐기물 또는 쓰레기 운반용 버킷의 도어 개폐장치
KR20200069655A (ko) 2018-12-07 2020-06-17 정찬영 분리수거가 가능한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614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367B1 (ko) 청소차량 및 쓰레기통 구조
CN109199292B (zh) 一种餐具收集清洗分类机器人系统
CN110316493A (zh) 智能垃圾桶
CN113120263A (zh) 一种宠物猫饲料生产用批量密封装罐设备
CN207658460U (zh) 一种生活垃圾分类收集装置
CN110127246A (zh) 适用于新能源汽车的垃圾桶
CN210204618U (zh) 垃圾自动回收装置及无人驾驶式清扫机器人
CN216606397U (zh) 一种自动分选清洗装置
CN110712881A (zh) 一种自动分类垃圾箱
CN110789881A (zh) 一种新型机电一体化智能地下垃圾桶
CN217050409U (zh) 具有清洗功能的垃圾输送设备及垃圾回收系统
CN214609469U (zh) 一种智能分类垃圾桶
CN113499986B (zh) 一种多重分拣式的建筑施工中垃圾废料回收设备
CN109292319B (zh) 一种垃圾箱
CN111535239A (zh) 一种可垃圾分类的沙滩清洁车
CN111877248A (zh) 一种沙滩垃圾清理筛沙设备
CN207404408U (zh) 箱包配件检测流水线
CN109250341A (zh) 一种公园垃圾中转系统
CN109006497A (zh) 一种新型猫屎自动清洁装置
CN213110852U (zh) 一种脚踏式分类垃圾箱
CN210913905U (zh) 一种新型下翻式隔离防臭垃圾盖
CN218143542U (zh) 一种智能垃圾分类垃圾箱
CN218950098U (zh) 自动垃圾分拣器
CN220866238U (zh) 一种垃圾分类排料装置
CN2818393Y (zh) 简易型果皮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