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152B1 - 시트의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의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152B1
KR101784152B1 KR1020150186206A KR20150186206A KR101784152B1 KR 101784152 B1 KR101784152 B1 KR 101784152B1 KR 1020150186206 A KR1020150186206 A KR 1020150186206A KR 20150186206 A KR20150186206 A KR 20150186206A KR 101784152 B1 KR101784152 B1 KR 101784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eatback
seat back
folding device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6211A (ko
Inventor
왕덕강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8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1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 시트의 폴딩 장치는, 시트쿠션에 대해 언폴딩된 자세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백과; 상기 시트백이 언폴딩된 자세로 상기 시트쿠션에 대하여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쿠션 상측으로 회동되어 폴딩되고, 상기 시트백이 폴딩된 후에는 상기 폴딩시의 시트백 회동축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가변힌지기구와; 상기 시트백이 언폴딩된 상태로 시트쿠션을 향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의 상기 시트쿠션에 대한 회동을 구속하도록 설치된 래치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시트의 폴딩 장치{FOLDING APPARATUS OF SEA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시트의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의 풀 플랫 폴딩(full flat folding)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되는 시트는 탑승자의 다양한 사용요구에 부합하도록 그 자세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2열 이후의 후방에 위치한 시트는 차량 후방에 화물의 적재나 기타 용도를 위한 다양한 공간 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폴딩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많다.
즉,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시트쿠션 상측으로 폴딩하여 시트백으로 인하여 구획되던 공간을 일체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시트쿠션 상측으로 폴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 1와 같이 언폴딩 상태로부터 폴딩상태로 시트백(500)을 폴딩하는 경우에, 폴딩된 시트백(500)의 상측면이 수평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경사를 가지는 경우가 많고, 이렇게 경사를 형성한 상태로 시트백이 폴딩되면, 폴딩된 시트백 상측의 공간을 사용함에 있어서, 다소간의 불편함이 수반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폴딩된 시트백의 상측면이 경사를 이루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시트쿠션(502)과 시트백(500)이 탑승자의 안락한 착좌감 형성을 위해 단순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굴곡을 가지고 있는 것과 함께,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회동축이 시트쿠션에 대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4-0043037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착좌감 형성을 위한 형상에 무관하게, 시트백의 폴딩 시, 시트백의 상측면이 수평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차량 공간 활용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시트의 폴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트의 폴딩 장치는,
시트쿠션에 대해 언폴딩된 자세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백과;
상기 시트백이 언폴딩된 자세로 상기 시트쿠션에 대하여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쿠션 상측으로 회동되어 폴딩되고, 상기 시트백이 폴딩된 후에는 상기 폴딩시의 시트백 회동축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가변힌지기구와;
상기 시트백이 언폴딩된 상태로 시트쿠션을 향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의 상기 시트쿠션에 대한 회동을 구속하도록 설치된 래치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힌지기구는 시트백프레임에 일체로 구비된 회동힌지축과;
상기 시트백의 승강시 상기 회동힌지축의 승강을 가이드하고, 상기 시트백이 상승된 상태에서 폴딩될 때, 상기 회동힌지축의 회동을 허용하며; 상기 시트백이 폴딩된 후에는 상기 회동힌지축의 승강을 구속하도록 형성된 힌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삽입된 상기 회동힌지축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직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상단에는 상기 회동힌지축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원호부가 함께 구비되고;
상기 회동힌지축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단면 형상이 원형단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원형단면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두 현과 이 두 현을 잇는 나머지 원호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두 현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부분이 상기 가이드홀의 직선형 구간에 양쪽면에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힌지축에는 상기 시트백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받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홀 상측에 고정핀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동힌지축과 상기 고정핀 사이에 설치된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기구는 시트백프레임에 고정되어, 언폴딩 자세의 시트백이 하강되면서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가 끼워지면,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시트백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삽입홈을 형성한 래치가이드와;
회동됨에 의해 상기 삽입홈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레버와;
상기 래치레버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래치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가이드는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되는 래치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래치레버는 상기 래치가이드를 상기 래치브라켓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회동축으로 삼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치레버는 시트백 상단으로 노출된 래치노브에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래치노브와 래치링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착좌감 형성을 위한 형상에 무관하게, 시트백의 폴딩 시, 시트백의 상측면이 수평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차량 공간 활용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시트백 폴딩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폴딩 장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가변힌지기구를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가변힌지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래치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래치기구가 스트라이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시트백 폴딩을 설명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시트백의 폴딩이 이루어지기 위한 래치기구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시트백의 폴딩이 이루어지는 동안 가변힌지구조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시트의 폴딩 장치의 실시예는, 시트쿠션(1)에 대해 언폴딩된 자세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백(3)과; 상기 시트백(3)이 언폴딩된 자세로 상기 시트쿠션(1)에 대하여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쿠션(1) 상측으로 회동되어 폴딩되고, 상기 시트백(3)이 폴딩된 후에는 상기 폴딩시의 시트백 회동축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가변힌지기구(20)와; 상기 시트백(3)이 언폴딩된 상태로 시트쿠션(1)을 향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3)의 상기 시트쿠션(1)에 대한 회동을 구속하도록 설치된 래치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시트백(3)이 언폴딩된 상태는 상기 래치기구(30)를 통하여 고정하도록 하고, 시트백(3)을 폴딩시킬 때에는 상기 래치기구(30)를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가변힌지기구(20)에 의해 상기 시트백(3)을 시트쿠션(1)에 대해 상승시킨 상태에서 회동되어 폴딩되도록 함으로써, 폴딩된 시트백(3)의 상측면이 수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취지에 따라 상기 가변힌지기구(20)는 폴딩된 시트백(3)의 상측면이 수평면을 이룰 수 있는 높이에서 상기 시트백이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이는 후술하는 가변힌지기구(20)의 가이드홀의 원호부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힌지기구(20)는 상기 시트백(3)의 프레임인 시트백프레임(5)에 일체로 구비된 회동힌지축(21)과; 상기 시트백(3)의 승강시 상기 회동힌지축(21)의 승강을 가이드하고, 상기 시트백이 상승된 상태에서 폴딩될 때, 상기 회동힌지축(21)의 회동을 허용하며, 상기 시트백이 폴딩된 후에는 상기 회동힌지축(21)의 승강을 구속하도록 형성된 힌지브라켓(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브라켓(22)은 차체 등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삽입된 상기 회동힌지축(21)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직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홀(23)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홀(23)의 상단에는 상기 회동힌지축(21)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원호부(24)가 함께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홀의 원호부(24) 위치는 시트백(3)이 폴딩되었을 때, 시트백이 시트쿠션 위에 포개져서 시트백(3)의 상측면(실질적으로는 뒷면)이 수평면을 이룰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되며, 이는 다양한 시트 모델에 따른 시트백 및 시트쿠션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동힌지축(21)은 상기 가이드홀(23)에 삽입된 단면 형상이 원형단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원형단면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두 현과 이 두 현을 잇는 나머지 원호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두 현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부분이 상기 가이드홀(23)의 직선형 구간에 양쪽면에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회동힌지축(21)이 상기 가이드홀(23)에 삽입된 단면형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직사각형의 양단이 원호로 이루어진 것과 같은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홀의 직선형 구간에서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원호부(24)에서는 회동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회동힌지축(21)에는 상기 시트백(3)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받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브라켓(22)에는 상기 가이드홀 상측에 고정핀(25)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동힌지축(21)과 상기 고정핀(25) 사이에 설치된 인장코일스프링(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장코일스프링(26)의 탄성력은 사용자가 시트백(3)을 폴딩시키고자 할 때, 상기 시트백(3)의 상승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래치기구(30)는, 시트백프레임(5)에 고정되어, 언폴딩 자세의 시트백(3)이 하강되면서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31)가 끼워지면, 상기 스트라이커(31)에 의해 시트백(3)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삽입홈(32)을 형성한 래치가이드(33)와; 회동됨에 의해 상기 삽입홈(32)에 상기 스트라이커(31)가 삽입되는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31)를 구속하는 래치레버(34)와; 상기 래치레버(34)가 상기 스트라이커(31)를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래치스프링(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스트라이커(31)는 차체에 고정되어, 상기 래치가이드(33)가 상기 스트라이커(3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래치레버(34)가 상기 스트라이커(31)를 구속하게 되면, 상기 시트백(3)은 차체에 대해 상기 스트라이커(31)에 의해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시트쿠션(1)에 대해 언폴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래치가이드(33)는 상기 시트백프레임(5)에 일체로 설치되는 래치브라켓(36)을 통하여 상기 시트백프레임(5)에 고정되고, 상기 래치레버(34)는 상기 래치가이드(33)를 상기 래치브라켓(36)에 고정하는 고정볼트(37)를 회동축으로 삼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래치레버(34)는 시트백 상단으로 노출된 래치노브(38)에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래치노브(38)와 래치링크(39)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언폴딩된 상태의 시트백(3)을 폴딩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래치노브(38)를 당겨서 상기 래치레버(34)를 회동시키면 상기 스트라이커(31)가 상기 래치가이드(33)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상태로 되고, 상기 인장코일스프링(26)의 탄성력 등에 의해 시트백(3)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래치가이드(33)가 상기 스트라이커(31)로부터 이탈되어 시트백(3)의 폴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이와 같은 래치기구(30)의 작용을 설명하고 있는 바, A의 상태는 스트라이커(31)가 래치가이드의 삽입홈(32) 내에서 래치레버(34)에 의해 구속되어 시트백(3)이 차체에 대해 고정된 상태이며, B 상태는 사용자가 래치노브(38)를 당겨서, 래치레버(34)가 스트라이커(31)의 구속상태를 해제한 상태로서, 이 상태는 시트백(3)의 상승이 허용되어 상기 인장코일스프링(26)의 탄성력으로 시트백(3)이 상승하게 되는 상태이며, C상태는 시트백(3)이 상승하여 래치가이드(33)의 삽입홈(32)이 스트라이커(31)로부터 빠져 나와 시트백(3)의 폴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래치기구(30)의 작동과 더불어, 상기 가변힌지기구(20)에서는 도 9에 표시된 것과 같은 일련의 과정이 일어나게 된다.
즉, 도 9의 A는 시트백(3)이 언폴딩된 상태로서 회동힌지축(21)이 가이드홀(23)의 하측으로 하강되어 있고, B는 상기 래치기구(3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시트백(3)이 상승됨에 의해 상기 회동힌지축(21)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며, C는 시트백이 B 상태로부터 회동되어 폴딩됨에 의해 상기 회동힌지축(21)의 상기 원호부(24)에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C의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힌지축(21)이 상기 원호부(24)의 직선형 구간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로 회동되어 있어서, 상기 폴딩된 시트백(3)의 상측면에 하중이 가해져도, 하측으로 하강되지 않고, 그 위치를 견고히 유지함으로써, 폴딩된 시트백(3)의 상측면이 수평면을 이루는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시트백(3)의 언폴딩 동작은 상기한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시트쿠션
3; 시트백
20; 가변힌지기구
30; 래치기구

Claims (8)

  1. 시트쿠션에 대해 언폴딩된 자세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백과;
    상기 시트백이 언폴딩된 자세로 상기 시트쿠션에 대하여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쿠션 상측으로 회동되어 폴딩되고, 상기 시트백이 폴딩된 후에는 상기 폴딩시의 시트백 회동축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가변힌지기구와;
    상기 시트백이 언폴딩된 상태로 시트쿠션을 향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의 상기 시트쿠션에 대한 회동을 구속하도록 설치된 래치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변힌지기구는
    시트백프레임에 일체로 구비된 회동힌지축과;
    상기 시트백의 승강시 상기 회동힌지축의 승강을 가이드하고, 상기 시트백이 상승된 상태에서 폴딩될 때, 상기 회동힌지축의 회동을 허용하며; 상기 시트백이 폴딩된 후에는 상기 회동힌지축의 승강을 구속하도록 형성된 힌지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힌지축에는 상기 시트백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받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폴딩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삽입된 상기 회동힌지축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직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상단에는 상기 회동힌지축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원호부가 함께 구비되고;
    상기 회동힌지축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단면 형상이 원형단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원형단면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두 현과 이 두 현을 잇는 나머지 원호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두 현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부분이 상기 가이드홀의 직선형 구간에 양쪽면에 가이드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폴딩 장치.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홀 상측에 고정핀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동힌지축과 상기 고정핀 사이에 설치된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폴딩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구는
    시트백프레임에 고정되어, 언폴딩 자세의 시트백이 하강되면서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가 끼워지면,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시트백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삽입홈을 형성한 래치가이드와;
    회동됨에 의해 상기 삽입홈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레버와;
    상기 래치레버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래치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폴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래치가이드는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되는 래치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래치레버는 상기 래치가이드를 상기 래치브라켓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회동축으로 삼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폴딩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래치레버는 시트백 상단으로 노출된 래치노브에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래치노브와 래치링크로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의 폴딩 장치.
KR1020150186206A 2015-12-24 2015-12-24 시트의 폴딩 장치 KR101784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206A KR101784152B1 (ko) 2015-12-24 2015-12-24 시트의 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206A KR101784152B1 (ko) 2015-12-24 2015-12-24 시트의 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211A KR20170076211A (ko) 2017-07-04
KR101784152B1 true KR101784152B1 (ko) 2017-10-11

Family

ID=5935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206A KR101784152B1 (ko) 2015-12-24 2015-12-24 시트의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099B1 (ko) 2020-10-21 2022-03-02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폴딩 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5132A (ja) * 2009-11-17 2011-06-02 Mitsui Kinzoku Act Corp ラ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5132A (ja) * 2009-11-17 2011-06-02 Mitsui Kinzoku Act Corp ラ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211A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335B1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US8465096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8616642B2 (en) Fold-and-dive apparatus for vehicle seat
KR100962145B1 (ko) 시트백 테이블 로킹장치
KR101125337B1 (ko) 차량의 후석 테이블 어셈블리
US20190135142A1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JP5927309B2 (ja) 車両シート用の取付部品及び車両シート
KR20200143585A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EP3666587B1 (en) Fold and dive seat for vehicle
KR101784152B1 (ko) 시트의 폴딩 장치
JP2009101856A (ja) チルト機構組込みサスペンション機構
KR102112109B1 (ko) 차량용 시트의 폴딩 어셈블리
JP2013154772A (ja) シート装置
KR20210002186A (ko) 시트의 보조 시트 수납 장치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JP4437977B2 (ja) シート装置
JP5864269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723101B1 (ko) 세미 록킹 구조를 갖는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KR10055959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식 시트의 시트백 각도조절 구조
KR101900071B1 (ko)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JP2008126742A (ja) 車両用シート
KR10158486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레버장치
JP5572327B2 (ja) シート装置
JP2017214020A (ja) シート装置
KR101241692B1 (ko)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