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699B1 -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699B1
KR101778699B1 KR1020110023411A KR20110023411A KR101778699B1 KR 101778699 B1 KR101778699 B1 KR 101778699B1 KR 1020110023411 A KR1020110023411 A KR 1020110023411A KR 20110023411 A KR20110023411 A KR 20110023411A KR 101778699 B1 KR101778699 B1 KR 101778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turn flap
ventilator
retaining member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717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베버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0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60H1/249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using one-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환기 장치(10), 구체적으로는 차량 내부용 환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6)를 구비하는 프레임(12)과 적어도 하나의 비복귀 플랩(non-return flap)(20)을 포함하며, 상기 비복귀 플랩(20)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6)가 마련되어 있고, 프레임(12)에 마련된 유지 부재(22)가 이 리세스를 통과하여 연장되며, 상기 비복귀 플랩(20)은 작용압의 차에 따라, 비복귀 플랩(20)이 프레임(12)에 대해 지지되고 프레임(12)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16)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유지 부재(22)에 대해 이동되도록 조정 가능하다. 유지 부재(22)는, 비복귀 플랩(20)이 유지 부재(22)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 위치와, 비복귀 플랩(20)이 분리될 수 없는 로킹 위치에서 변형 가능하다.

Description

환기 장치{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비복귀 플랩(non-return valve)을 포함하는 환기 장치로서, 상기 비복귀 플랩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마련되어 있고, 프레임에 마련된 유지 부재가 이 리세스를 통과하여 연장되며, 상기 비복귀 플랩은 작용압의 차에 따라, 비복귀 플랩이 프레임에 대해 지지되고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 조정 가능한 것인 환기 장치,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기 장치는 환기 시스템을 통해 차량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환기 장치는, 내부에 비복귀 플랩이 장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비복귀 플랩은 차량 내부가 과압인 경우에 공기가 차량 내부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차량 내부로부터 공기가 전혀 흘러나가지 않을 때, 비복귀 플랩은 프레임에 대해 지지되고, 그 결과 프레임은 시일되며, 차량 내부로 습기, 오염물 또는 배기 가스가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초기에 언급한 유형의 환기 장치는 DE 20 2006 020 365에 개시되어 있다. 각기 헤드를 구비하는 핀이 유지 부재로서 사용된다. 비복귀 플랩은 각각의 유지 부재의 헤드를 버튼과 비슷한 방식으로 비복귀 플랩의 리세스를 통과하도록 압박함으로써 유지 부재 상에 장착된다. 그러나, 작동시에 비복귀 플랩은 유지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절한 기능이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복귀 플랩을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고, 비복귀 플랩을 매우 안전하게 체결할 수 있는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복귀 플랩이 유지 부재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 위치와 비복귀 플랩이 분리될 수 없는 로킹 위치 사이에서 유지 부재가 변형 가능한, 초기에 언급한 유형의 환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더 이상 장착 중에 비복귀 플랩을 변형하지 않고 오히려 프레임의 일부를 변형하여 비복귀 플랩의 확실한 로킹을 달성하는 기본적인 사상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유지 부재의 장착 위치에서, 간단히 비복귀 플랩을 유지 부재 상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이때 비복귀 플랩의 체결 또는 장착을 위한 힘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제2 제조 단계에서, 유지 부재는 비복귀 플랩을 더 이상 분리할 수 없는 로킹 위치로 변형된다. 유지 부재는 예컨대 프레임과 함께, 비복귀 플랩이 그 리세스에 의해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폐쇄형 아이(eye)를 형성한다. 이러한 폐쇄형 아이는, 비복귀 플랩이 유지 부재로부터 미끄러지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신뢰성 있게 차단한다.
유지 부재의 자유단은 예컨대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프레임 상의 개구에 후킹(hooking)될 수 있다. 비복귀 플랩을 장착한 후, 유지 부재는 프레임의 개구에 후킹되도록 절곡되며, 이에 의해 내부에서 비복귀 플랩이 그 리세스에 의해 억류식으로 지지되는 폐쇄형 아이가 형성된다. 장착 중에 비복귀 플랩이 포획될 수 있는 어떠한 구성 요소도 개구를 통해 돌출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위치에서 유지 부재의 자유단은 프레임 상의 래칭 돌출부 뒤에 후킹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 부재의 자유단은 매우 신뢰성 있게 제위치에 로킹될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의 자유단은 탄성 변형 가능한 바브(barb)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비복귀 플랩은 유지 부재의 자유단을 향한 이동이 제한되도록 유지 부재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환기 장치는 비복귀 플랩의 변형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유지 부재 또는 프레임에 대한 비복귀 플랩의 변위 또는 선회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우 큰 개구 단면을 얻을 수 있다.
유지 부재를 따른 간단한 변위를 보장하기 위해, 비복귀 플랩이 유지 부재에 걸리거나 갇힐 수 없도록 비복귀 플랩의 리세스의 단면의 면적은 유지 부재의 단면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개방 위치에서, 비복귀 플랩은 유지 부재 상에서 자유단을 향해 변위된다. 이는, 비복귀 플랩 또는 환기 장치가 비복귀 플랩의 선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이에 따라 매우 큰 개구 단면이 형성된다는 것을 뜻한다.
비복귀 플랩은, 비복귀 플랩이 유지 부재에 대해 선회되는 중간 위치를 가질 수 있으며, 즉 이 중간 위치에서 비복귀 플랩은 단지 선회되기만 할 뿐 변형되지는 않는다. 유지 부재를 따른 변위 또는 선회 중에 비복귀 플랩의 저항은 비복귀 플랩을 굴곡시키거나 변형하는 데 필요한 힘보다 작다. 추가로, 선회 중에 비복귀 플랩의 개방에 대한 저항은 일정하다. 유지 부재 상에서 비복귀 플랩을 선회시키거나 비복귀 플랩을 변위시킴으로써 환기 장치의 개방 중에 비복귀 플랩이 견뎌야 하는 저항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보다 작은 압력차를 이용한 공기의 교환 또는 압력 평형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비복귀 플랩을 중간 위치에서 완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비복귀 플랩은 선회 이동에 추가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는 환기 장치를 통과하는 흐름 방향으로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에 따라, 유지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조인트가 비복귀 플랩의 선회 이동 방향으로 돌출하고, 이에 따라 유지 부재 상에서의 비복귀 플랩의 간단한 변위가 가능하다.
환기 장치를 체결하기 위해, 프레임을 차량의 구성 요소에 체결하도록 프레임 상에는 체결 장치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장치는, 예컨대 차량의 구성 요소에 래칭될 수 있는 래칭 부재 또는 다른 적절한 체결 장치이다.
환기 장치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프레임에는 차량의 구성 요소에 대해 프레임을 시일하도록 실링 요소가 추가로 마련된다.
비복귀 플랩은, 선회될 뿐만 아니라 변형될 수 있도록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환기 장치의 프레임에 대한 비복귀 플랩의 실링을 개선한다.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과 함께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복귀 플랩을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고, 비복귀 플랩을 매우 안전하게 체결할 수 있는 환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환기 장치의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의 제2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환기 장치의 비복귀 플랩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비복귀 플랩이 폐쇄된 상태의, 도 1에 도시된 환기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비복귀 플랩이 개방된 상태의 환기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복귀 플랩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에 도시된 환기 장치(10)는 차량의 구성 요소(도시하지 않음)의 개구에 체결 가능한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차량의 구성 요소의 개구에 있는 환기 장치(10)를 실링하기 위해 연속적인 둘레 실링 요소(14)가 프레임(12) 상에 마련된다. 프레임(12)은, 프레임을 안정화하기 위해 각기 복수 개의 분할 웹(18)으로 분할되는 2개의 개구(16)를 갖는다. 각각의 개구(16)는 상부에 비복귀 플랩(20)이 마련되며, 이 비복귀 플랩(20)은 도 1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각각의 개구(16)를 완전히 폐쇄한다. 폐쇄 위치에서, 비복귀 플랩(20)은 프레임(12)에 대해 지지되고, 분할 웹(18)에 의해 지탱된다. 각각의 비복귀 플랩(20)은 3개의 유지 부재(22)(도 2도 또한 참고)에 의해 프레임(12)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에 따라 비복귀 플랩은 도 1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프레임(12)의 개구(16)가 노출되는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임의의 다른 개수의 유지 부재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다시피, 유지 부재(22) 각각은 프레임(12)으로부터 비복귀 플랩(20)을 향해 돌출된다. 이때 유지 부재(22)는 가요성 재료 또는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고, 각기 자유단(28)에 의해 프레임(12)에 마련된 래칭 돌출부(24) 뒤에 래칭될 수 있도록 굴곡될 수 있다.
도 3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시피, 프레임(12)과, 이에 따라 환기 장치(10)를 차량의 구성 요소에 체결하도록 복수 개의 체결 장치(25)가 프레임(12)의 후면 상에 마련된다. 이 경우에 체결 장치는, 각기 쌍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차량의 구성 요소의 후면에 맞물릴 수 있거나 래칭될 수 있는 래칭 장치이다. 그러나, 다른 적절한 체결 장치(25)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비복귀 플랩(20)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비복귀 플랩(20)은 환기 장치(10)의 개방을 위해 변형될 수 있다. 각각의 비복귀 플랩(20)은 유지 부재에 대응하는 3개의 리세스(26)를 포함한다.
초기 또는 장착 위치에서, 유지 부재(22)는 프레임으로부터 대략 직선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비복귀 플랩(20)은 그 리세스(26)에 의해 유지 부재(22) 상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도 5도 또한 참고). 유지 부재(22)는 이때 프레임(12)을 향해 확대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비복귀 플랩(20)이 프레임(12)에 장착될 때 비복귀 플랩은 프레임(12)에 대하여 자동으로 센터링된다.
비복귀 플랩(20)이 유지 부재(22) 상으로 슬라이딩한 후에, 유지 부재는 이 유재 부재의 각각의 자유단(28)이 래칭 돌출부(24) 뒤에 후킹될 때까지 래칭 돌출부(24)를 향해 굴곡되거나 변형된다. 이러한 로킹 위치에서, 각각의 유지 부재(22)는 프레임(12)과 함께, 비복귀 플랩(20)이 억류식으로 장착되는 폐쇄형 아이를 형성한다.
비복귀 플랩(20)의 리세스(26)의 단면의 면적은 유지 부재(22)의 단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비복귀 플랩(20)은 유지 부재(22)를 따라 변위될 수 있고 유지 부재(22)에 대해 틸팅될 수 있으며, 이때 저항은 보다 작다.
비복귀 플랩(20)가 개방되어 있는 환기 장치(10)를 도시한 도 6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시피, 비복귀 플랩(20)은 도 5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조정될 때 그 자체가 변형되는 것이 아니라 유지 부재(22)를 따라 변위되거나 선회된다. 이로 인해, 비복귀 플랩을 개방하는 경우에, 개방 과정 중에 변형되어야만 하는 비복귀 플랩에 비해 훨씬 작은 힘만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압력차가 보다 작은 경우에도 비복귀 플랩(20)과, 이에 따라 환기 장치(10)가 개방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로부터 벗어나, 비복귀 플랩(20)이 유지 부재(22)를 따라 단지 중간 위치까지만 변위되거나 선회되고, 추가로 변형되어 완전히 개방되도록 하는 것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기 장치(10)의 제2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상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2)의 후면 상에 단지 방음 후드(30)만이 추가로 마련되는데, 상기 방음 후드는 환기 장치(10)의 개선된 흡음을 위해 마련된다. 방음 후드(30)는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보다 양호한 소음 흡수를 위해 발포체 요소로 라이닝될 수 있는 프레임(12)의 연장부 형태이다.
도 8에 도시된 제3 실시예는 프레임(12)의 정면 상에 다른 프레임 부재(32), 소위 플러터 커브(flutter curve)를 추가로 구비한다. 비복귀 플랩(20)의 개방 위치에서, 비복귀 플랩(20)이 공기 흐름 시에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복귀 플랩(20)은 프레임 부재(32)에 대해 지지되고, 그 결과 환기 장치를 통해 흐르는 공기에 의해 유발되는 소음이 줄어든다.
10 : 환기 장치
12 : 프레임
20 : 비복귀 플랩
22 : 유지 부재
24 : 래칭 돌출부
26 : 비복귀 플랩의 리세스
30 : 방음 후드
32 : 프레임 부재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개구(16)를 구비하는 프레임(12)과 적어도 하나의 비복귀 플랩(non-return flap)(20)을 포함하는 환기 장치(10), 차량 내부용 환기 장치로서, 상기 비복귀 플랩(20)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6)가 마련되어 있으며, 프레임(12)에 마련되어 있는 유지 부재(22)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통과하여 연장되며, 상기 비복귀 플랩(20)은 작용압의 차에 따라, 프레임(12)에 대해 지지되고 프레임(12)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16)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것인 환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22)는, 비복귀 플랩(20)이 유지 부재(22)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 위치와 비복귀 플랩(20)이 분리될 수 없는 로킹 위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고,
    로킹 위치에 있는 상기 유지 부재(22)의 자유단(28)은 프레임(12) 상의 개구에 후킹(hook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로킹 위치에 있는 상기 유지 부재(22)의 자유단(28)은 프레임(12) 상의 래칭 돌출부(24) 뒤에 후킹(hook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22)의 자유단(28)은 탄성 변형 가능한 바브(bar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22)의 로킹 위치에서, 상기 비복귀 플랩(20)은 유지 부재의 자유단(28)을 향한 이동이 제한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복귀 플랩(20)의 리세스(26)의 단면의 면적은 유지 부재(22)의 단면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개방 위치에서, 상기 비복귀 플랩(20)은 유지 부재(22) 상에서 자유단(28)을 향해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복귀 플랩(20)은, 비복귀 플랩(20)이 유지 부재(22)에 대해 선회되는 중간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22)는 프레임(12)으로부터 환기 장치를 통과하는 흐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은 차량의 구성 요소에 프레임(12)을 체결하기 위해 프레임 상에 마련된 체결 장치(2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은 이 프레임 상에 마련된 실링 요소(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복귀 플랩(20)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KR1020110023411A 2010-03-19 2011-03-16 환기 장치 KR101778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2087.1A DE102010012087B4 (de) 2010-03-19 2010-03-19 Entlüftungsvorrichtung
DE102010012087.1 2010-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717A KR20110105717A (ko) 2011-09-27
KR101778699B1 true KR101778699B1 (ko) 2017-09-14

Family

ID=4417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411A KR101778699B1 (ko) 2010-03-19 2011-03-16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19513B2 (ko)
EP (1) EP2371591B1 (ko)
KR (1) KR101778699B1 (ko)
CN (1) CN102189915B (ko)
DE (1) DE102010012087B4 (ko)
ES (1) ES252830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03258A1 (de) * 2012-02-21 2013-08-22 Illinois Tool Works Inc. Rückluftsperre zur Entlüftung des Innenraums eines Kraftfahrzeugs
KR101417325B1 (ko) * 2012-08-27 2014-07-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US9834064B2 (en) 2013-01-14 2017-12-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Wurzburg Vehicle ventilation module and device
CA2843750A1 (en) * 2013-02-25 2014-08-25 Axiom Group Inc. One-way exhaust vent
US9500092B2 (en) * 2013-04-04 2016-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duct assembly having a flexible vane
US20150021951A1 (en) * 2013-07-18 2015-01-22 Honda Motor Co., Ltd. Cool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oling an underside vehicle component
KR101567690B1 (ko) * 2014-05-12 2015-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CN105890135B (zh) * 2014-05-16 2018-11-13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一种用于通风管道的出风口
US20160121692A1 (en) * 2014-10-31 2016-05-05 U.S. Farathane Corporation Ventilation module & assembly with two stage injection molding formation of rigid frame and hingedly attached flaps and die/mold assembly for creating the ventilation module
CN109952218A (zh) * 2016-08-31 2019-06-28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具有可闩锁盖的压力释放组装件
DE102016124377A1 (de) * 2016-12-14 2018-06-14 Illinois Tool Works Inc. Entlüftungseinrichtung fü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s
US11186144B2 (en) * 2017-04-21 2021-11-30 Illinois Tool Works Inc. Pressure relief assembly having a liquid-diverting cover
CN107160971B (zh) * 2017-06-08 2020-05-12 芜湖艾卡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去除汽车窗雾气装置
CN108001168A (zh) * 2017-12-25 2018-05-08 芜湖宏景电子股份有限公司 车载防水型空调出风口机构
CN110103677B (zh) * 2019-06-10 2022-10-18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出风口及包括其的车辆
CN113685372A (zh) * 2021-08-30 2021-11-23 华能山东石岛湾核电有限公司 一种风机出口的止回装置及具有其的风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1117A (en) * 1995-02-21 1997-02-11 Trw Inc. Flap-type pressure relief valve
DE19524535C2 (de) * 1995-07-05 1999-06-10 Padis Preisauszeichnung & Disp Klemmeinrichtung und zugehörige Halteeinrichtung
DE19629115C2 (de) * 1996-07-19 1999-08-19 Draebing Kg Wegu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wangsentlüftung für Kraftfahrzeuge und Zwangsentlüftung für Kraftfahrzeuge
US5904618A (en) * 1997-04-21 1999-05-18 Trw Inc. Pressure relief valve
EP1279531A3 (de) * 2001-07-26 2003-11-05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Luftausströmer
JP4089430B2 (ja) * 2002-12-26 2008-05-28 豊田合成株式会社 通気装置
DE102005017332B3 (de) * 2005-04-14 2006-11-16 Siemens Ag Belüftungseinrichtung für den Fondbereich eines Kraftfahrzeugs
US20080076344A1 (en) * 2006-06-20 2008-03-27 Flowerday Randall B Acoustic body exhauster
DE202006020365U1 (de) * 2006-12-01 2008-05-29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Rückluftsperre zur Entlüftung des Innenraums eines Kraftfahrzeugs
DE102006056868B4 (de) 2006-12-01 2011-06-01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Rückluftsperre zur Entlüftung des Innenraums eines Kraftfahrzeugs
DE202007013042U1 (de) * 2007-09-18 2007-11-15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Rückschlagklappe für eine Entlüftungsvorrichtung und eine solche Entlüftungsvorrichtung
DE202007014663U1 (de) * 2007-10-19 2008-02-21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Entlüftungsvorrichtung
US7857610B2 (en) * 2008-03-11 2010-12-28 Safetynet Energy Management, Llc Apparatus making thermoformed component with integral coined structure
US8986086B2 (en) * 2009-05-14 2015-03-24 Trw Automotive U.S. Llc Insert for an op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12087B4 (de) 2015-04-02
KR20110105717A (ko) 2011-09-27
US8419513B2 (en) 2013-04-16
CN102189915B (zh) 2014-11-19
ES2528301T3 (es) 2015-02-06
US20110230129A1 (en) 2011-09-22
DE102010012087A1 (de) 2011-09-22
EP2371591A1 (de) 2011-10-05
CN102189915A (zh) 2011-09-21
EP2371591B1 (de)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699B1 (ko) 환기 장치
JP4879243B2 (ja) 通気装置
JP4250531B2 (ja) フラップアセンブリを備えたバッフル
US20110005851A1 (en) Vehicle grille including adjustable louvers,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EP2832565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JP5922789B2 (ja) 開口されうる自動車屋根の側方ブラインド及び側方ブラインドを備えた開口可能な自動車屋根
WO2008090781A1 (ja) ダンパ、空気調和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WO2010072345A3 (de) Verstellbare kühlergrillanordnung
JP2008285147A (ja) 換気フラップ
DK2998663T3 (en) CLOSING FOR AN AIR CONDITION AND A SIMILAR BUILDING DEVICE
JP4044821B2 (ja) 給排気用のグリル
KR100756086B1 (ko) 차량용 공기조화기
JP2007055427A (ja) 空調用レジスタ
KR100736981B1 (ko) 4절 링크를 이용한 에어 벤트 댐퍼
EP1837477A3 (de) Fenster oder Tür mit Lüftung
US7404599B2 (en) Sunroof apparatus
JP5463379B2 (ja) 換気装置
MX2010002390A (es) Aparato de ventilacion.
KR101528579B1 (ko) 차량용 소음방지부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기
US20200276885A1 (en) Ventilation device for the interior compartment of a vehicle
KR20120134362A (ko) 선박용 디퓨저 박스
US20140273789A1 (en) Hvac case design for reduced valve noise
JP2008290507A (ja) 空調用補助具
CN109774637A (zh) 进气格栅装置
EP1747918A3 (en) Fabric valve for vehicle climat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