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703B1 - 시간 온도 지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 온도 지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703B1
KR101777703B1 KR1020160011332A KR20160011332A KR101777703B1 KR 101777703 B1 KR101777703 B1 KR 101777703B1 KR 1020160011332 A KR1020160011332 A KR 1020160011332A KR 20160011332 A KR20160011332 A KR 20160011332A KR 101777703 B1 KR101777703 B1 KR 101777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ment
developing
layer
time temperature
develop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675A (ko
Inventor
권봉수
박지훈
전영석
이관오
임병한
정진희
조정훈
Original Assignee
티티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티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티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703B1/ko
Priority to JP2018559657A priority patent/JP6817335B2/ja
Priority to PCT/KR2017/000350 priority patent/WO2017131363A2/ko
Priority to EP17744485.8A priority patent/EP3413024B1/en
Priority to CN201780008853.1A priority patent/CN108603796B/zh
Publication of KR2017009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703B1/ko
Priority to US16/047,780 priority patent/US1146703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01K3/02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means values; giving integrated values
    • G01K3/04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means values; giving integrated values in respect of ti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arrangements for numerical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06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melting, freezing, or softe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G01K11/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of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3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fluid contained in a hollow body having parts which are deformable or displace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 G01K2207/02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 G01K2207/04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for conservation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손쉬운 동작을 통한 개시부재 파열을 유도하여, 그에 따라 발생되는 크랙(crack)을 통해 내측에 개재된 전개물질의 확산되도록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과, 열 융착 방식을 이용한 합지 공정을 통해 상기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실링부 강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전개물질의 누출 혹은 용출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간 온도 지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Time-Temperature-Indica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시간 온도 지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온도 환경에서의 보관을 요하는 제품에 제공되어 해당 제품이 온도 환경에 노출되는 시간의 경과 여부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게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손쉬운 동작을 통한 개시부재 파열을 유도하여, 그에 따라 발생되는 크랙(crack)을 통해 내측에 개재된 전개물질을 확산되도록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과, 열 융착 방식을 이용한 합지 공정을 통해 상기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실링부 강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전개물질의 누출 혹은 용출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장 및 냉동 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식품, 의약품 혹은 화장품 등과 같이 특정 온도 환경의 유지가 필요한 제품들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예외적으로, 통조림(canned goods) 등과 같이 식품을 가열 및 살균하여 금속제의 깡통에 넣어 밀봉한 제품의 경우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지만, 가열 및 살균 처리를 반드시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적용되는 제품의 종류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각종 유통 과정을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이러한 제품들은 각 제품들마다 그 유통 기한 및 유통 과정에서 요구되는 환경들(예를 들어, 직사광선, 적정 온도 및 습도 등)이 모두 상이하게 정해 져 있다.
특히, 이 중에서 적정 온도 유지가 반드시 요구되는 식품 또는 의약품은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 유통되는 전체 과정에 있어 항상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수 있어야 한다. 의약품의 경우, 규정되지 않은 온도에 특정 시간 이상 노출되는 경우 성분이 변질되어 사용자에게 심각한 의학적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식품의 경우 규정되지 않은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내용물이 부패해 식중독 등과 같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의약품 및 식품 등)의 유통 과정을 소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하지만 최종 소비단계에 있는 소비자가 구매 단계에서 해당 제품이 규정된 온도 관리하에 유통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판별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단지 제품의 색, 향, 맛의 이상 여부에 따라 냉동 또는 냉장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판단할 뿐이다. 더욱이, 냉장 및 냉동이 필요한 제품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관리자도 해당 제품이 규정된 온도 관리하에 유통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판별하기는 어렵기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이 규정된 온도 관리하에 유통되었는지 여부를 소비자가 판별하도록 하는 다수의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었고, TTI(Time Temerature Indicator)와 같은 시간 온도 지시 모듈(제품에 부착되어 해당 제품의 축적된 시간-온도 기록을 표시할 수 있는 기구 또는 라벨)이 3M 등과 같은 국제적인 대기업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종류의 TTI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의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경우,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작동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내측에 개재된 전개물질을 전개매질과 접촉하게 하는 '활성화 단계'라고 하는 물리적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은 사람이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전개물질을 감싸는 젤라틴에 압력을 가해 터트려야 한다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경우, 전개물질(지방산 에스테르)을 젤라틴 등과 같은 별도의 포장 물질로 감싸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불필요한 공간이 존재한다는 문제점 및 부피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이러한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을 제조하는 공정 과정에 있어서도, 전개물질을 원단 사이에 개재하는 공정의 경우 '액중실링 공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액중실링공법'은 소정의 점성을 가진 액체류를 원단 사이에 개재하는 공법으로서 파이프(pipe) 형태로 제공되는 원단 내측에 전개물질을 주입하여 가득 채우고, 양측 말단부를 열 융착하여 실링 및 커팅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이때 종래의 '액중실링공법'의 경우, 양측 원단 사이에 주입된 전개물질에 의해 열 융착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해 실링부의 강도가 약해지고 그에 따라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을 생산 혹은 유통하는 과정에서 실링부를 통해 전개물질이 누출 혹은 용출되어 주위를 오염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시간 온도 지시 모듈 및 이를 제조하는 공정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손쉬운 동작을 통한 개시부재 파열을 유도하여, 그에 따라 발생되는 크랙(crack)을 통해 내측에 개재된 전개물질의 확산되도록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과, 열 융착 방식을 이용한 합지 공정을 통해 상기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실링부 강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전개물질의 누출 혹은 용출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10-1123956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손쉬운 동작을 통한 개시부재 파열을 유도하여, 그에 따라 발생되는 크랙(crack)을 통해 내측에 개재된 전개물질의 확산되도록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과, 열 융착 방식을 이용한 합지 공정을 통해 상기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실링부 강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전개물질의 누출 혹은 용출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 중에서,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은 온도 변화에 따라 용융되는 전개물질이 내측에 개재된 전개물질 개재 층, 상기 전개물질 개재층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전개물질을 흡수하여 확산되도록 하는 전개매질 층, 상기 전개매질 층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전개물질의 확산 여부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게 하는 표시층 및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 내측면에 제공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하여 균열(crack)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전개물질 및 전개매질 층 간의 접촉이 개시되도록 하는 개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은 관통홀(hole)이 형성되는 제1 전개물질 개재 층,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하여 합지(lamination)되는 제2 전개물질 개재 층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개물질이 채워진 전개물질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전개물질이 상기 전개매질 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 각각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 폴리프로필렌(PP) 재질, 폴리에틸렌(PE) 재질 및 나일론(NY)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전개물질 개재 필름들이 서로 합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최하측에 위치되는 전개물질 개재 필름과, 상기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의 최상측에 위치되는 전개물질 개재 필름은 서로 열 융착이 가능한 재질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층의 하측면은 특정 다인(dyne) 수치 이상의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을 통한 표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층의 일측면에는 상기 전개물질이 상기 전개매질 층을 따라 확산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이 인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시부재는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 중에서 상기 관통홀의 형성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응착되어 상기 관통홀을 커버(cover)하고, 그리고 외부로부터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개시부재에 발생되는 균열을 통해 상기 전개물질이 상기 전개매질 층으로 유입되어 접촉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시부재는 탄산칼슘 파우더 및 이산화티타늄 파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결정성 화합물 파우더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synthetic resine)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은 상기 개시부재의 외측을 커버 가능하도록 인쇄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개매질 층은 미세 다공성 필름(Micro-porous film)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층은 상기 확산 라인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표시창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전개물질이 확산됨에 따라, 상기 표시창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이 순차적으로 투과되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창은 투명(transparency)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표시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불투명(opacity) 인쇄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 폴리프로필렌 재질, 폴리에틸렌 재질 및 나일론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합성 수지 필름이 서로 합지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은 상기 전개물질이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을 통해 외부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출방지 필름을 더 포함하여 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개물질은 지방산 에스테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전개물질 개재 층을 제공하는 단계, 개시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전개매질 층을 제공하는 단계, 표시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용융되는 전개물질을 전개물질 개재 층 내측에 개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을 제공하는 단계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 폴리프로필렌(PP) 재질, 폴리에틸렌(PE) 재질 및 나일론(NY)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전개물질 개재 필름을 서로 합지시켜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 폴리프로필렌 재질, 폴리에틸렌 재질 및 나일론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전개물질 개재 필름을 서로 합지시켜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에 특정 다인(dyne) 수치 이상의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을 통한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에 관통홀(hole)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일측면에 상기 전개물질이 상기 전개매질 층을 따라 확산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시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는 탄산칼슘 파우더 및 이산화티타늄 파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결정성 화합물 파우더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synthetic resine)를 이용하여 개시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개시부재를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 중에서 상기 관통홀의 형성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응착시켜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단계 및 상기 개시부재의 외측에 보강부재를 인쇄하여 상기 개시부재를 커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개매질 층을 제공하는 단계는 미세 다공성 필름(Micro-porous film)에 해당하는 전개매질 층을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 상측에 위치시켜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층을 제공하는 단계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 폴리프로필렌 재질, 폴리에틸렌 재질 및 나일론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합성 수지 필름을 서로 합지시켜 상기 표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층의 일측면에서 전개물질의 확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관통홀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하나 이상의 표시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불투명(opacity)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개물질을 개재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되는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과, 상기 제공되는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의 상측면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의 제공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열 융착함으로써 전개물질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개물질 수용부 내측에 전개물질을 주입하여 채우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의 제공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열 융착함으로써 상기 전개물질 수용부를 밀봉(sealing)하는 단계 및 상기 열 융착된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으로부터 상기 전개물질이 외부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출방지필름을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에 합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손쉬운 동작(예를 들어, 몸체부를 꺾어주는 동작 등)을 통한 개시부재 파열을 유도하여, 그에 따라 발생되는 크랙(crack)을 통해 내측에 개재된 전개물질의 확산(활성화)을 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개물질을 감싸는 젤라틴에 압력을 가하는 별도의 활성화 장치(혹은 도구)가 불필요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개물질을 젤라틴 등과 같은 별도의 포장 물질로 감싸지 않고 서로 열 융착을 통해 합지된 원단 사이에 주입하여 개재함으로써, 불필요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개물질을 개재함에 있어 열 융착에 따른 실링부의 융착 강도가 높은 합성 수지 필름을 적용함에 따라, 외압에 의해 액체 상태의 전개물질이 실링부를 통해 외부로 누출 혹은 용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외측을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개물질 개재층(11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코로나 방전을 통한 표면 처리가 수행된 제1 전개물질 개재층(111)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전개물질 개재층(111)에 전개매질 층(120)이 합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층(1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시창(131)을 통해 확산 라인(111d)이 투과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1 전개물질 개재층(111)에 개시부재(140)가 응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에 압력을 가하여 전개물질의 확산이 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은 전개물질 개재 층(110), 전개매질 층(120), 표시층(130) 및 개시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전개물질 개재 층(110)은 온도 변화에 따라 용융되는 전개물질(1)을 내측에 개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개물질(1)이라 함은 지방산 에스테르(혹은 지방산 에스터)와 같이 특정 녹는 점을 가진 화학 물질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의 전개물질(1)은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 외에도 특정 온도에서 녹아 후술되는 전개매질 층(120)을 통해 흡수 및 확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화학 물질을 총칭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내측에 전개물질(1)을 개재한다'라는 의미는 전개물질 개재 층(110) 내측에 전개물질(1)을 충전 혹은 주입하여 채우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충전하다', '주입하다', '채우다' 등은 모두 같은 의미로 해석됨을 유의한다.
이러한 전개물질(1)을 내측에 개재하는 전개물질 개재 층(110)은 하기 도 2 내지 도 4의 설명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개물질 개재층(11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코로나 방전을 통한 표면 처리가 수행된 제1 전개물질 개재층(111)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전개물질 개재층(111)에 전개매질 층(120)이 합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살펴보면, 도 2(a)는 전개물질 개재 층(110)의 상측 면에 해당하는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을, 도 2(b)는 전개물질 개재 층(110)의 하측 면에 해당하는 제2 전개물질 개재 층(112)을 나타내고 도면이다.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111, 112)은 각각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 폴리프로필렌(PP) 재질, 폴리에틸렌(PE) 재질 및 나일론(NY)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다수의 전개물질 개재 필름들이 서로 합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두 장의 전개물질 개재 필름(제1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a)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필름(112a))이 열 융착 혹은 접착을 통해 서로 합지되어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을 형성하고, 두 장의 전개물질 개재 필름(제3 전개물질 개재 필름(112a) 및 제4 전개물질 개재 필름(114a))이 열 융착 혹은 접착을 통해 서로 합지되어 제2 전개물질 개재 층(112)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서로 합지되는 전개물질 개재 필름의 수는 두 장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세 장 혹은 네 장 등으로 변경 가능함을 유의한다.
한편,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에는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을 관통하는 관통홀(hole, 111c)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전개물질 개재 층(110) 내측에 개재된 전개물질(1)이 관통홀(111c)을 통해 누출되어 후술되는 전개매질 층(120)과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11c)은 소정의 점성을 지닌 전개물질(1)이 누출되기 용이한 크기에 해당한다면 그 크기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또한, 관통홀(111c)은 바람직하게는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 상에 단일로 형성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로 형성될 수 도 있음을 유의한다.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최하측면에 위치하는 제2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b)과, 제2 전개물질 개재 층(112)의 최상측면에 위치하는 제3 전개물질 개재 필름(112a)는 서로 가장자리를 따라 일부면이 열 융착을 통해 서로 합지될 수 있는데, 이때 중심부는 합지되지 않아 소정의 공간, 즉 전개물질 수용부(113)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전개물질 수용부(113) 내에 전개물질(1)이 주입되어 채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및 제3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b, 112a)는 열 융착을 통해 서로 견고하게 합지되는 재질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 및 제3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b, 112a)는 각각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및 제3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b, 112a)의 가장자리를 따른 일부분이 열 융착을 통해 견고하게 합지되어 '실링부'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합지된다'라 함은 '열에 의해 서로 실링(sealing)된다'라는 의미와 상응하게 해석될 수 있는데, 서로 합지된 영역은 실링부라는 의미와 상응하게 해석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이러한 실링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전개물질 수용부(113)는 후술되는 전개매질 층(120)에 흡수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전개물질(1)을 수용한다면 그 크기는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개물질 개재 층(112)의 최하측면에 위치하는 제4 전개물질 개재 필름(112b)의 하측면에는 추가적으로 용출방지 필름(미도시)가 열 융착 혹은 접착을 통해 합지될 수 있다.
용출방지 필름은 전개물질 수용부(113)에 주입된 전개물질(1)이 열에 의해 녹아 제4 전개물질 개재 필름(112b)을 통해 용출되는 경우, 전개물질(1)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의 용출방지 필름은 나이론(NY) 등과 같은 합성수지필름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최하측면은 후술되는 개시부재(140)의 응착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별도의 표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되는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는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최하측면에 해당하는 제2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b)이 상측방향을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를 나타낸다.
그에 따라,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최상측면에 해당하는 제1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a)는 하측방향으로 향하도록 뒤집혀 있으며, 이때 관통홀(111c)의 위치는 변함이 없다.
도 3(b)를 살펴보면, 제2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b)의 표면에는 특정 다인(dyne) 수치, 예를 들어 36 다인 수치 이상의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을 통한 표면 처리가 수행되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거칠게 개질될 수 있다.
이때, 코로나 방전을 통한 표면 처리라 함은 필름면의 잉크 응착력을 높이기 위한 종래의 표면 처리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러한 코로나 방전을 통한 표면 처리가 수행됨에 따라 후술되는 개시부재(140)의 응착력이 보다 상승될 수 있고,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의 유통 과정에서 개시부재(140)가 제2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b)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개시부재(140)의 응착 과정을 후술되는 개시부재(140)의 상세한 설명 및 도 7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코로나 방전을 통한 표면 처리의 경우, 다인 수치는 36 다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개시부재(140)에 따라 다인 수치는 변경 가능함을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일측면(예를 들어, 최상측면 또는 최하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전개물질(1)이 후술되는 전개매질 층(120)을 따라 확산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111d)이 인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111d)은 후술되는 표시층(130)의 표시창(131)을 통해 투과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111d)은 특정한 색상(예를 들어, 적색 등)으로 인쇄?括막館? 사용자에게 투과되어 표시될 수 있는데, 후술되는 전개매질 층(120)이 불투명한 재질에 해당하기 때문에 전개매질(1)이 확산되기 전까지는 투과되지 않고 불투명하게 표시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개매질(1)이 전개매질 층(120)에 흡수되어 확산됨에 따라 전개매질 층(120)이 투명해지는 경우 확산 라인(111d)의 특정한 색상이 명확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확산 라인(111d)이 투과되는 상태는 후술되는 도 4 내지 6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전개매질 층(120)은 상술한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상측에 위치되며, 관통홀(111c)을 통해 누출되는 전개물질(1)을 흡수하여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개매질 층(120)은 불투명한 상태의 미세 다공성 필름(Micro-porous film)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 및 후술되는 표시층(130) 사이에서 열 융착 혹은 접착제를 통해 서로 합지될 수 있다.
전개매질 층(120)은 전개물질(1)을 흡수하기 전에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개물질(1)과 접촉이 개시되는 경우 접촉점을 시작으로 하여 확산되는 영역이 투명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전개매질 층(120)이 전개물질(1) 과의 접촉점을 시작으로 점점 투명한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상술한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에 인쇄된 확산 라인(111d)이 명확하게 투과될 수 있다. 이러한 전개매질 층(120)이 점점 투명한 상태로 변경되는 점은 후술되는 도 5 및 6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표시층(130)은 상술한 전개매질 층(120)의 상측에 위치되며, 전개매질 층(120)이 전개물질(1)과 접촉하여 흡수 및 확산이 개시되는 경우, 전개물질(1)의 확산 여부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층(130)은 전체적으로 불투명(opacity)하게 인쇄된 상태에 해당하지만, 전개물질(1)의 확산 여부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에는 일부 투명(transparency)한 영역인 표시창(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창(131)은 상술한 확산 라인(111d)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개물질(1)이 확산됨에 따라 표시창(131)을 통해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111d)의 특정한 색상이 투과되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확산 라인(111d)이 하나 이상이라는 의미는 관통홀(111d)로부터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111d)이 다수 개 인쇄되어 있다는 의미이며, 이러한 경우 표시창(131) 또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111d)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층(13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 폴리프로필렌 재질, 폴리에틸렌 재질 및 나일론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다수 장의 합성 수지 필름이 열 융착 혹은 접착을 통해 서로 합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층(130)은 전개물질(1)의 확산 여부를 외부로 시인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물론, 하측의 전개매질 층(12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전개물질(1)이 외부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층(130을 통해 확산 라인(111d)이 투과되는 상태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5 및 6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개시부재(140)는 상술한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111, 112)의 내측,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최하측면에 제공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하여 파열되어 균열(crack)이 발생됨으로써 전개물질 수용부(113) 내에 채워진 전개물질(1)이 관통홀(111c)을 통해 전개매질 층(120)으로 누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개시부재(140)를 도 7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1 전개물질 개재층(111)에 개시부재(140)가 응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관통홀(111c)의 형성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응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최하측면은 코로나 방전을 통한 표면 처리가 수행되어있기 때문에 개시부재(140)가 보다 용이하게 응착될 수 있다.
한편, 개시부재(14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을 파지하여 꺾는 동작 등)에 의하여 쉽게 파열되기 위하여 인쇄용 잉크 수지에 결정성 화합물 파우더(예를 들어, 2 내지 150 마이크로미터(micrometer) 입자 크기에 해당하는 탄산칼슘 파우더 혹은 이산화티타늄 파우더 등)를 혼합한 합성 수지(synthetic resine)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최하측면에서 관통홀(111c)을 커버(cover)할 수 있도록 인쇄되어 응착되고, 이때 60 내지 100 Mesh 간격에 해당하도록 인쇄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파열될 수 있다.
한편, 개시부재(140)는 쉽게 파열될 수 있기 때문에 일 실시예에서, 개시부재(140의 외측을 커버 가능하도록 보강부재(141)가 인쇄될 수 있다.
보강부재(141)는 개시부재(140)의 외측에 인쇄되어 전개물질(1)이 개시부재(140)에 흡수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개시부재(140)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지 잉크를 150 내지 600 Mesh 간격에 해당하게 인쇄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개시부재(140)가 파열되어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은 후술되는 도 8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 전개매질 층(120) 및 표시층(130)이 합지된 상태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전개물질 개재층(111)에 전개매질 층(120)이 합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층(1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시창(131)을 통해 확산 라인(111d)이 투과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은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a, 111b)가 서로 합지된 상태로 형성되고, 제2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b)의 최하측면은 코로나 방전을 통한 표면 처리를 통해 거친 표면 상태를 가지고, 이때 관통홀(111c)은 개시부재(140) 및 보강부재(141)의 응착 인쇄를 통해 막혀있다.
제1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a)의 상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111d)이 인쇄되어 있으며, 이때 확산 라인(111d)은 관통홀(111c)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인쇄되어 전개물질(1)이 확산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a)의 상측에는 전개매질 층(120)이 위치되어 열 융착 혹은 접착을 통해 합지된다.
다음으로, 도 5(a)를 살펴보면 도 5(a)는 다수 장의 합성 수지 필름이 열 융착 혹은 접착을 통해 서로 합지되어 형성되고, 전체 영역이 불투명하게 인쇄되지만 표시창(131)은 불투명 인쇄되지 않고 투명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때, 표시창(131)은 도 4에 도시된 확산 라인(111d)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5(b)를 살펴보면, 표시창(131)은 도 4에 도시된 관통홀(111c)을 통해 전개물질(1)이 누출되어 전개매질 층(120)과 접촉되어 확산되는 확산 개시점을 표시하는 제1 표시창(131a), 전개매질(1)의 확산이 진행되고 있는 중간 지점을 표시하는 제2 표시창(131b) 및 전개매질(1)의 확산의 진행이 완료된 마지막 지점을 표시하는 제3 표시창(131c) 등 다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a)를 살펴보면 최상측면부터 표시층(130), 전개매질층(120) 및 전개물질 개재 층(110)이 서로 합지되어 있고, 개시부재(140)가 파열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개물질(1)이 전개매질 층(120)으로 전달되지 않았으며, 그에 따라 전개매질 층(120)은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a)에 인쇄된 확산 라인(111d)은 불투명한 전개매질 층(120)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표시창(131a, 131b) 모두 확산 라인(111d)이 흐릿하게 투과된 상태로 표시되게 된다.
도 6(b)를 살펴보면, 개시부재(140)가 파열되어 균열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전개물질(1)이 전개매질 층(120)으로 전달되었으며, 그에 따라 전개매질 층(120)은 불투명한 상태에서 투명한 상태로 변경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a)에 인쇄된 확산 라인(111d)은 투명한 전개매질 층(120)을 완전히 투과하게 되며, 제1 및 제2 표시창(131a, 131b) 모두 확산 라인(111d)이 선명하게 투과된 상태로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1 표시창(131a)에 투과된 확산 라인(111d)을 통해 전개물질(1)의 접촉이 개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표시창(131b)에 투과된 확산 라인(111d)을 통해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이 규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난 상태에 노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통해 사용자가 실제로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에 압력을 가하여 전개물질의 확산을 개시하는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사용자가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에 압력을 가하여 전개물질의 확산이 개시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을 도 8(b)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하여 꺾어주는 동작을 통해 압력을 가하는 경우, 개시부재(140) 및 개시부재를 덮는 보강부재(141)가 파열되어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전개물질 수용부(113) 내측의 전개물질(1)이 관통홀(111c)을 통해 누출되어 전개매질 층(120)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품(예를 들어, 식품, 의약품 등 특정 온도 유지가 필요한 제품)의 일측에 부착하여 유통시킴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른 전개물질(1)의 확산 정도를 통해 유통 과정에서 특정 온도 유지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최송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도 8(c) 내지 도 8(e)와 같이 만약 특정 온도 유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전개물질(1)의 확산이 계속해서 진행되는 경우, 전개매질 층(120) 중에서 관통홀(111c)과 상응하는 위치의 영역을 시작으로 하여 전개매질 층(120)이 점점 불투명한 상태에서 투명한 상태로 변경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8(e)와 같이 전개매질 층(120)이 완전히 투명한 상태로 변경되어 제1 전개물질 개재 필름(111a)에 인쇄된 확산 라인(111d)이 선명하게 투과되어 표시창(131)을 통해 외부로 시인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 최송 소비자는 해당 제품이 특정 온도 유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유통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9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1 컨베이어(10)를 통해 공급되는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최하측면에 코로나 방전을 통한 표면 처리를 수행하여 개시부재(140)의 응착력을 상승시킨다(S901).
그 다음,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에 관통홀(111c)을 형성하고(S902),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최상측면에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111d)을 인쇄한다(S903).
그 다음,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최하측면에 개시부재(140) 및 보강부재(141)을 응착 인쇄하여 관통홀(111c)을 커버한다(S904).
그 다음, 제2 컨베이어(11)를 통해 공급되는 표시층(130)에 표시창(13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불투명 인쇄하여 표시창을 형성하고(S905),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 및 표시층(130) 사이에 제3 컨베이어(12)를 통해 공급되는 전개매질 층(120)을 개재하여 열 융착 혹은 접착을 통해 서로 합지한다(S906).
그 다음, 제4 컨베이어(13)를 통해 공급되는 제2 전개물질 개재 층(112)의 최상측면 중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S906 단계를 통해 합지된 제1 전개물질 개재 층(111)의 최하측면 중 가장자리 영역을 열 융착을 통해 실링하여 실링부를 형성한다(S907).
그 다음,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111, 112) 내측에 전개물질(1)을 주입하여 채우게 되며(S908),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111, 112)의 실링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의 형태가 되도록 열 융착을 통해 실링함으로써 내측에 개재된 전개물질(1)이 밀봉되도록 한다. 또한, 열 융착 후 실링부를 쿨링시킴으로써 실링부의 실링 강도가 보다 견고해지도록 하고,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의 형태를 제외한 불필요한 실링 영역을 절단하게 된다(S909).
한편, 도 9를 통해 설명한 시간 온도 지시 모듈(100)의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는 도 9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그 순서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한 것임을 유의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시부재는 결정성 화합물 파우더와 잉크 수지의 적절한 배합을 통해 최적의 파열 수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손쉬운 동작을 통해 균열이 발생되어 전개물질의 확산이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열 융착 방식을 이용한 합지 공정을 통해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 간의 실링 강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전개물질의 누출 혹은 용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전개물질
10 : 제1 컨베이어
11 : 제2 컨베이어
12 : 제3 컨베이어
13 : 제4 컨베이어
100 : 시간 온도 지시 모듈
110 : 전개물질 개재 층
111 : 제1 전개물질 개재 층
111a : 제1 전개물질 개재 필름
111b : 제2 전개물질 개재 필름
111c : 관통홀
111d : 확산 라인
112 : 제2 전개물질 개재 층
112a : 제3 전개물질 개재 필름
112b : 제4 전개물질 개재 필름
120 : 전개매질 층
130 : 표시층
131 : 표시창
131a : 제1 표시창
131b : 제2 표시창
131c : 제3 표시창
140 : 개시부재
141 : 보강부재

Claims (23)

  1. 온도 변화에 따라 용융되는 전개물질이 내측에 개재된 전개물질 개재 층;
    상기 전개물질 개재층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전개물질을 흡수하여 확산되도록 하는 전개매질 층;
    상기 전개매질 층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전개물질의 확산 여부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게 하는 표시층; 및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 내측면에 제공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하여 균열(crack)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전개물질 및 전개매질 층 간의 접촉이 개시되도록 하는 개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은,
    관통홀(hole)이 형성되는 제1 전개물질 개재 층;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하여 합지(lamination)되는 제2 전개물질 개재 층;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개물질이 채워진 전개물질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전개물질이 상기 전개매질 층으로 유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 각각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 폴리프로필렌(PP) 재질, 폴리에틸렌(PE) 재질 및 나일론(NY)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전개물질 개재 필름들이 서로 합지되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최하측에 위치되는 전개물질 개재 필름과, 상기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의 최상측에 위치되는 전개물질 개재 필름은 서로 열 융착이 가능한 재질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층의 하측면은,
    특정 다인(dyne) 수치 이상의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을 통한 표면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층의 일측면에는,
    상기 전개물질이 상기 전개매질 층을 따라 확산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부재는,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 중에서 상기 관통홀의 형성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응착되어 상기 관통홀을 커버(cover)하고, 그리고
    외부로부터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개시부재에 발생되는 균열을 통해 상기 전개물질이 상기 전개매질 층으로 유입되어 접촉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부재는,
    탄산칼슘 파우더 및 이산화티타늄 파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결정성 화합물 파우더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synthetic res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부재의 외측을 커버 가능하도록 인쇄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매질 층은,
    미세 다공성 필름(Micro-porous fil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은,
    상기 확산 라인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표시창;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전개물질이 확산됨에 따라, 상기 표시창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이 순차적으로 투과되어 외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투명(transparency)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표시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불투명(opacity) 인쇄 영역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 폴리프로필렌 재질, 폴리에틸렌 재질 및 나일론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합성 수지 필름이 서로 합지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은,
    상기 전개물질이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을 통해 외부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출방지 필름;을 더 포함하여 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물질은,
    지방산 에스테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
  15. 전개물질 개재 층을 제공하는 단계;
    개시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전개매질 층을 제공하는 단계;
    표시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용융되는 전개물질을 전개물질 개재 층 내측에 개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을 제공하는 단계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 폴리프로필렌(PP) 재질, 폴리에틸렌(PE) 재질 및 나일론(NY)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전개물질 개재 필름을 서로 합지시켜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 폴리프로필렌 재질, 폴리에틸렌 재질 및 나일론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전개물질 개재 필름을 서로 합지시켜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에 특정 다인(dyne) 수치 이상의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을 통한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에 관통홀(hole)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일측면에 상기 전개물질이 상기 전개매질 층을 따라 확산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확산 라인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는,
    탄산칼슘 파우더 및 이산화티타늄 파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결정성 화합물 파우더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synthetic resine)를 이용하여 개시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개시부재를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 중에서 상기 관통홀의 형성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응착시켜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단계; 및
    상기 개시부재의 외측에 보강부재를 인쇄하여 상기 개시부재를 커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매질 층을 제공하는 단계는,
    미세 다공성 필름(Micro-porous film)에 해당하는 전개매질 층을 상기 제1 전개물질 개재 층 상측에 위치시켜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을 제공하는 단계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 폴리프로필렌 재질, 폴리에틸렌 재질 및 나일론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합성 수지 필름을 서로 합지시켜 상기 표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층의 일측면에서 전개물질의 확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관통홀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하나 이상의 표시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불투명(opacity)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물질을 개재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되는 제1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과, 상기 제공되는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의 상측면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의 제공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열 융착함으로써 전개물질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개물질 수용부 내측에 전개물질을 주입하여 채우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의 제공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열 융착함으로써 상기 전개물질 수용부를 밀봉(sealing)하는 단계; 및
    상기 열 융착된 제1 및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개물질 개재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으로부터 상기 전개물질이 외부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출방지필름을 상기 전개물질 개재 층의 하측면에 합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온도 지시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160011332A 2016-01-29 2016-01-29 시간 온도 지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7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332A KR101777703B1 (ko) 2016-01-29 2016-01-29 시간 온도 지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18559657A JP6817335B2 (ja) 2016-01-29 2017-01-11 時間温度表示モジュール
PCT/KR2017/000350 WO2017131363A2 (ko) 2016-01-29 2017-01-11 시간 온도 지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EP17744485.8A EP3413024B1 (en) 2016-01-29 2017-01-11 Time and temperature indication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1780008853.1A CN108603796B (zh) 2016-01-29 2017-01-11 时间温度指示模块及其制造方法
US16/047,780 US11467038B2 (en) 2016-01-29 2018-07-27 Time and temperature indication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332A KR101777703B1 (ko) 2016-01-29 2016-01-29 시간 온도 지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675A KR20170090675A (ko) 2017-08-08
KR101777703B1 true KR101777703B1 (ko) 2017-09-12

Family

ID=5939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332A KR101777703B1 (ko) 2016-01-29 2016-01-29 시간 온도 지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67038B2 (ko)
EP (1) EP3413024B1 (ko)
JP (1) JP6817335B2 (ko)
KR (1) KR101777703B1 (ko)
CN (1) CN108603796B (ko)
WO (1) WO201713136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9128B2 (en) * 2018-05-11 2023-02-14 Temptime Corporation Activatable temperature indicator with time delay
CN110470411B (zh) * 2019-08-17 2021-01-05 东莞市补给舰供应链管理有限公司 一种冷链运输时间温度指示器
CN110444105B (zh) * 2019-08-17 2021-10-29 北京逸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冷链运输时间温度指示标签
KR102328452B1 (ko) * 2020-10-26 2021-11-18 티티아이 주식회사 시간 온도 지시 모듈
US20240230425A1 (en) * 2021-05-18 2024-07-11 Varcode Ltd. Parameter responsive quality indicators having shelf-stable sub-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73279C3 (de) * 1966-12-19 1975-08-14 Michel-Werke Kg, 8900 Augsburg Vorrichtung zum Anzeigen einer kritischen Temperaturerhöhung
US3768976A (en) * 1971-05-20 1973-10-30 Us Army Temperature-time integrating indicator
US4229813A (en) * 1978-06-26 1980-10-21 Akzona Incorporated Elapsed time indicator
JP3077093B2 (ja) * 1991-09-17 2000-08-14 日油技研工業株式会社 感熱インジケータ
JPH07286914A (ja) * 1994-04-15 1995-10-31 Lintec Corp 温度管理ラベル
US6042264A (en) * 1995-10-23 2000-03-28 Lifelines Technology, Inc. Time-temperature indica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10307192A (ja) * 1997-05-07 1998-11-17 Eiken Chem Co Ltd ケミカルタイムインジケーター
US6741523B1 (en) * 2000-05-15 2004-05-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structured time dependent indicators
GB0116878D0 (en) * 2001-07-11 2001-09-05 Timestrip Ltd Time indicator
US7682830B2 (en) * 2003-06-10 2010-03-23 Temptime Corporation Product shelf life monitoring systems
CA2571382A1 (en) * 2004-06-21 2005-12-29 John Riemelmoser An indicating device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history of an object over time
US7517146B2 (en) * 2006-08-30 2009-04-14 Temptime Corporation Color-retaining excess-temperature exposure indicator
US7571695B2 (en) * 2006-11-06 2009-08-11 Temptime Corporation Freeze indicators, flexible freeze indica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JP5105403B2 (ja) * 2006-12-06 2012-12-26 日本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感温インジケータ
JP5415712B2 (ja) * 2008-04-24 2014-02-12 日本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感温インジケータ装置
AU2009330848A1 (en) * 2008-12-24 2011-08-11 Intellectual Discovery, Inc. Precise critical temperature indic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671871B2 (en) * 2010-09-29 2014-03-18 Temptime Corporation Temperature-activated time-temperature indicator
GB2485420A (en) * 2010-11-15 2012-05-16 Pirtsemit Ltd Lower threshold temperature indicator device
CN102175677B (zh) * 2011-01-20 2012-09-05 江南大学 基于脂肪酶反应扩散的时间温度指示器的制备方法和应用
KR101123956B1 (ko) * 2011-01-26 2012-03-13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청장) 임계온도표시기 및 그 제조방법
WO2013138637A1 (en) * 2012-03-15 2013-09-19 Temptime Corporation Robust, ultraviolet-protected ambient condition history indic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979361B2 (en) * 2012-04-30 2015-03-17 Innosense Llc Time-temperature dosimeter
BR112014028058B1 (pt) * 2012-05-11 2021-01-05 Temptime Corporation indicador de calor de dupla função
KR20140126552A (ko) * 2013-04-23 2014-10-31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동결 표시기
KR20140126551A (ko) 2013-04-23 2014-10-31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고압 멸균 확인용 온도시간 표시기
KR20140126547A (ko) * 2013-04-23 2014-10-31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단위 셀 형태의 전개물질유닛,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도시간표시기
KR20140129603A (ko)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유효 기간 표시기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개
KR20140129598A (ko) *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전개물질유닛, 이를 포함하는 온도시간표시기 및 그 온도시간 표시기의 활성화 방법
KR101576527B1 (ko) * 2013-11-01 2015-12-16 김정철 임계온도경과 표시기 및 그의 제조방법
EP3100031A4 (en) * 2014-01-27 2017-09-20 Jp Laboratories, Inc. Indicating devices based on lateral diffusion of a mobile phase through a non-porous stationary phase
JP5547861B1 (ja) * 2014-03-03 2014-07-16 株式会社 東光工業 温度検知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4330175U (zh) * 2014-12-30 2015-05-13 深圳九星印刷包装集团有限公司 时间温度指示装置
CN105136330B (zh) * 2015-07-29 2019-10-15 深圳九星印刷包装集团有限公司 时间温度指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1241902B1 (en) * 2020-09-17 2022-02-08 Temptime Corporation Environmental history monitor with positional displacement and security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1363A3 (ko) 2018-08-02
US11467038B2 (en) 2022-10-11
KR20170090675A (ko) 2017-08-08
JP6817335B2 (ja) 2021-01-20
CN108603796B (zh) 2020-06-23
US20180372549A1 (en) 2018-12-27
EP3413024A4 (en) 2019-11-20
WO2017131363A2 (ko) 2017-08-03
JP2019503498A (ja) 2019-02-07
CN108603796A (zh) 2018-09-28
EP3413024A2 (en) 2018-12-12
EP3413024B1 (en)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703B1 (ko) 시간 온도 지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A2495165C (en) Packaging for storing substances
US5492219A (en) Plural compartment package
US3465873A (en) Combination food package,serving tray and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EP0930487B1 (en) Improved time-temperature indica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276786B1 (en) Packaging structure for ink tank and ink tank packaged in such packaging structure
US10076466B2 (en) Timed sequence indicators
EP1896344A1 (en) Container for cooking foodstuff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506219A (ja) 多種生産物容器および製造方法
KR20140126551A (ko) 고압 멸균 확인용 온도시간 표시기
EP2475591A1 (en) Soft-sided flexible blister package
US20070123836A1 (en) Medical container and its using method
ES2212282T3 (es) Peliculas polimeras y envases producidos a partir de las mismas.
KR20140129598A (ko) 전개물질유닛, 이를 포함하는 온도시간표시기 및 그 온도시간 표시기의 활성화 방법
JP4902149B2 (ja) 容器
US20230258508A1 (en) Time temperature indication module
JPH09286470A (ja) 内容物混合用袋
EP0563318B1 (en) Improved container for liquid crystal cumulative dosimeter
KR102501178B1 (ko) 저장용기를 갖는 다목적 무접촉 도포기
GB2280416A (en) A heat-sealable lid
JP2010110385A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05008236A (ja) 袋状輸液容器
JP2010110386A (ja) 医療用複室容器
JP7017772B2 (ja) シール材及び容器
JP2019038589A (ja) シール材及び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