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961B1 - 파일링 바인더 - Google Patents
파일링 바인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6961B1 KR101776961B1 KR1020110041795A KR20110041795A KR101776961B1 KR 101776961 B1 KR101776961 B1 KR 101776961B1 KR 1020110041795 A KR1020110041795 A KR 1020110041795A KR 20110041795 A KR20110041795 A KR 20110041795A KR 101776961 B1 KR101776961 B1 KR 1017769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hook
- upright
- binder
- top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2—Attachment by means of bifurcated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pillars, posts, rods, or tubes
- B42F13/14—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pillars, posts, rods, or tubes with clamping or lock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기계적으로 강력한 파일링 바인더는 단일 성형 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해당 바인더는 직립판; 상기 직립판의 하부측에 일체적으로 힌지된 기저판; 및 상기 직립판의 상부측에 일체적으로 힌지된 상부판을 포함하되; 상기 기저판은 종이 시트의 구멍 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지지 기둥부를 지니고; 상기 상부판은 상기 지지 기둥부의 헤드부의 대응하는 제1록부와 탄성적으로 로킹되도록 구성된 제2록부를 지니며; 상기 직립판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을 따라 상기 직립판의 상부측에 보강판(13)이 일체적으로 강고하게 접속되고; 상기 지지 기둥부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적절한 폭을 각각 지니는 U자 형상 오목부(15)들이 상기 보강판(13)의 앞쪽 가장자리부(17)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록지, 인쇄물 및 원부 시트(ledger sheet) 등과 같은 종이 시트를 결속시키는 파일링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로킹용의 헤드부를 각각 지니는 2개의 직립한 지지 기둥부가 설치된 기저판(base plate), 후부측으로부터 기립하여 해당 후부측을 따라 연장되는 직립판 및 상기 각각의 헤드부와 탄성적으로 끼워맞춤되는 두 록부(lock portion)(스냅 록부, 훅 수용구멍 등)를 지니는 직립판의 상부측을 따라 회동(pivot)하는 상부판을 포함하는 일체적으로 성형된 플라스틱 바인더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2개의 지지 기둥부(결속될 종이 시트의 구멍 내로 삽입되는 유지 핀)를 지니는 종래의 일체적으로 성형된 플라스틱 2-구멍 바인더는 그의 간단한 구조로 인해 단일 공정인 성형 공정으로서 저비용으로 대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바인더는 대량으로 제조되어 시장에 공급되고 있었다. 그의 전형적인 예가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305983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인더는 직립판(4), 해당 직립판(4)의 하부측에 일체로 접속되어 힌지된(hinged) 상태로 움직일 수 있는 기저판(8) 및 상기 직립판(4)의 상부측에 일체로 접속되어 힌지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는 상부판(12)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제 바인더이다. 상기 기저판(8)은 종이 시트를 유지하는 지지 기둥부(18)들을 지니고, 이 기둥부들은 원부 시트 등과 같은 종이 시트의 결속 구멍 내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판(12)은 지지 기둥부(18)의 헤드부(32)를 수용하는 대응하는 수용 구멍과, 상기 헤드부(32)의 훅 부분과 로킹되는 훅 부분(25)을 지닌다.
또, 지지 기둥부(18)의 헤드부(32)와 상부판(12)의 수용 구멍(24)을 정확하게 정렬시키고 또한 헤드부의 훅 부분과 상부판(12)의 훅 부분(25) 간의 적절한 로킹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직립판(4)의 하부측의 근방에 일정한 높이를 지니는 제1돌출부(34)가 형성되어 있고, 기저판을 따른 길이방향으로 해당 기저판(8) 상에 일정한 높이를 지니는 제2의 탄성 돌출부(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 부분(38)은 파일링용의 바인더의 조립된 상태에서 직립판(4)에 대면하는 상부 부분 근방에서 상기 제2돌출부(36)의 측면부(40)와 맞닿는다.
또한, 상기 직립판(4) 내에는 파일의 뒤쪽 부분(혹은 기저판)에 리벳을 이용해서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를 지니는 종래의 바인더에 의하면, 결속될 종이 시트의 개수가 적을 경우에는 문제는 없다. 그러나, 종이 시트의 총 두께가 2㎝보다 크게, 예를 들어, 때로는 3㎝보다 크게 극히 두꺼워지게 되면, 종이 시트의 총 중량이 매우 무거워지게 된다. 파일이 부주의한 실수로 인해 책상이나 바닥 위로 떨어질 경우, 혹은 도로로부터의 충격력 등과 같은 외력이 운송 중에 가해질 경우, 바인더는 결속된 종이 시트의 충 중량에 가해지는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질량×가속도)에 견디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지지 기둥부(18)들이 종이로부터 가해지는 해당 지지 기둥부(18)들에 대해 수직인 힘과 해당 지지 기둥부(18)들을 따른 방향으로 상부판(12)을 미는 힘에 대항하는 불충분한 저항력으로 인해 상부판(12)으로부터 쉽게 해제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돌출부(36), (38)를 이용해도 남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두꺼운 파일용의 금속제 바인더를 이용하는 것이 인기를 끌어 왔다. 또, 시장에서의 플라스틱제 바인더에서는, 사실은 이러한 문제가 다수의 부품을 조합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해결된다고 하는 점이다.
한편, 기저판(8)의 부착 구조에 의한 문제가 있었다. 부착 구멍(14) 내로 리벳을 삽입함으로써 바인딩 커버 혹은 보드지의 내부면에 파일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 전술한 충격이 가해지면 상부판(12)이 열려 파일의 부착된 부분이 리벳 둘레에서 파손되는 유사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별히 두꺼운 파일에 부착되는 경우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바인더가 지닌 상기 문제에 대처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기저판, 직립판 및 상부판이라는 단어는 후술하는 도 3(즉, 사시도)의 자세에 기초하여 명명한 것이다. 단, 이들 단어는 번호가 놓인 상태에 관하여 상대적인 단어이다. 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부재에 대응하는 부호로 부여될 것이다.
본 발명은 직립판(4), 해당 직립판(4)의 하부측에 일체적으로 힌지된 기저판(8) 및 상기 직립판(4)의 상부측에 일체적으로 힌지된 상부판(12)을 포함하는 개량된 플라스틱제 바인더를 제공한다. 상기 기저판(8)은 종이 시트의 구멍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1쌍의 지지 기둥부(18), (18)를 지니고, 상기 상부판(12)은 지지 기둥부(18)의 대응하는 헤드부(32)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24)을 지니며, 각각의 수용 구멍(24)은 각 헤드부(32)의 대응하는 훅 형상부(33)와 탄성적으로 로킹되는 록부(예를 들어, 록핀(lock pin))(37)를 지닌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기둥부(18)의 후방면 측에 훅 형상부(33)가 배열되고, 해당 훅 형상부(33)와 걸어맞춤되도록 구성된 탄성 록핀(37)(걸어맞춤편(37')을 지님)이 상기 상부판(12)에 배열되며, 또한, 상기 훅 형상부(33)보다 아래쪽 위치에서 상기 지지 기둥부(18)의 전방면 측에 다른 훅 형상부(59)가 배열되고, 해당 훅 형상부(59)와 걸어맞춤되도록 구성된 걸어맞춤 돌출부(57)가 상기 상부판(12)에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은 관련된 종래 기술에서 이용되던 제1돌출부(34)와 제2돌출부(36)(도 1)를 채용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지지 기둥부(18)들과 상부판(12)의 충분한 유지력이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는 얻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바인더가 제공된다.
[1] 본 발명은 직립판(4), 해당 직립판(4)의 하부측에 일체적으로 힌지된 기저판(8) 및 상기 직립판(4)의 상부측에 일체적으로 힌지된 상부판(12)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제 바인더를 제공한다. 상기 기저판(8)은 종이 시트의 구멍 내에 삽입되게 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 기둥부(18), (18)를 지닌다. 상기 상부판(12)은 지지 기둥부(18)의 대응하는 헤드부(32)들을 수용하는 수용 구멍(24)들과 상기 헤드부(32)들의 대응하는 훅 부분들과 탄성적으로 로킹되는 록부(37)들을 지닌다. 상기 상부판(12)의 하부면을 따른 직립판(4)의 상부측에는 보강판(13)이 일체적으로 강고하게 접속되며, 해당 보강판은 상기 직립판(4)에 대해서 수직이다. 또, 상기 지지 기둥부(18), (18)의 대응하는 상단부를 각각 수용하도록 적절한 폭을 지니는 U자 형상 오목부(15), (15)가 상기 보강판(13)의 앞쪽 가장자리부(17)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지지 기둥부(18), (18)의 헤드부(32)들이 수평 위치에 상부판(12)을 회동시킴으로써 해당 상부판(12)의 대응하는 수용 구멍(24)에 끼워맞춤되고 훅 형상부(33)가 록부(37)와 걸어맞춤되는 위치에서, 지지 기둥부(18), (18)는 의도하지 않은 외부의 충격이 두꺼운 결속된 종이 시트에 작용할 경우에도 종이 시트의 파손이나 떨어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한 안정성을 가진 위치에 유지된다. 대안적인 예로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 형상부(33') 또는 (33)가 지지 기둥부(18)의 후면측에 배열되고, 탄성 록핀(37') 또는 (37)이 록부(37) 대신에 이에 대응하는 상부판(12)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 기둥부(18)는 전방측 방향으로 지지 기둥부(18)를 잡아당기는 힘이 상부판(12)의 강직된 부분에 직접 작용하므로 커다란 외력에 저항하게 된다(즉, 견디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훅 형상부(33)가 지지 기둥부(18)의 후방면 측에 배열되고, 상기 훅 형상부(33)와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된 탄성 록핀(37)(걸어맞춤편(37')을 지님)이 상부판(12)에 배열되며, 또한, 다른 훅 형상부(59)가 상기 훅 형상부(33)보다 아래쪽 위치에서 지지 기둥부(18)의 전방면 측에 배열되고, 상기 훅 형상부(59)와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된 걸어맞춤 돌출부(57)가 상기 상부판(12)에 설치되어 있다.
[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강판(13)의 앞쪽 가장자리부(17)를 덮는 유지 리브(holding rib)(19)가 상기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2)의 하부면의 둘레 부분에 배열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지지 기둥부(18), (18)의 헤드부(32)들이 상부판(12)을 수평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해당 상부판(12)의 수용 구멍(24) 내에 끼워맞춤되고 훅 형상부(33)가 록부(37)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대량의 결속된 종이 시트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지지 기둥부(18), (18)의 움직임은 보강판(13) 및 유지 리브(19)로 인해 그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규제된다. 따라서, 해당 지지 기둥부(18), (18)의 저항력은 그 방향의 힘에 대항하여 현저하게 향상된다.
[3] 상기 구성 [1]의 바인더에 있어서, 상기 직립판(4)과 기저판(8)은 상기 직립판(4)의 하부 측면을 따라 배열된 얇은 힌지부 "a"를 통해서 일체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직립판(4)과 상부판(12)은 상기 직립판(4)의 상부 측면을 따라 배열된 얇은 힌지부 "b"를 통해서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체 바인더가 회전축으로서의 각 힌지부(a), (b)를 중심으로 해서 전개되거나 펼쳐질 수 있으므로, 기저판(8), 힌지부(a), 직립판(4), 힌지부(b) 및 상부판(12)이 이 순서로 하나의 평면에 거의 정렬되고, 한편, 지지 기둥부(18), (18)와 보강판(13)이 펼쳐진 평면 상태에서 직립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바인더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해서, 본 발명의 바인더는 모든 부재가 그의 복잡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한번의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형태를 지니므로,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저감된다. 여기서, 충분한 강성(stiffness)과 인성(toughness)이 요구되므로,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높은 강성과 인성을 지니는 재료가 성형 재료로서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지 기둥부(18), (18)의 각각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축방향으로 뻗는 슬릿(11)이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 기둥부(18), (18)는 커다란 충격력을 견디는 증가된 가요성을 지님으로써 이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5]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성 [1]의 직립판(4)의 부착 구멍(14)의 둘레의 근방에는 관통 홈(penetrating groove) 혹은 얇은 부분(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바인더가 리벳을 부착 구멍(14) 내로 삽입 부착함으로써 파일 커버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량의 결속된 종이 시트에 바람직하지 않은 커다란 충격(즉, 가속도)이 작용되는 경우에도, 직립판(4)의 부착된 위치로부터 약간 먼 이들 약한 부분은 리벳 둘레의 직립판(4)의 부분이 해당 리벳에 의해 강하게 규제되더라도 종이 시트의 움직임에 따라 어느 정도까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력을 완화시켜 바인더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6]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부판(12)을 1쌍의 상부판 절반부분(12a), (12b)으로서 두 부분으로 횡방향으로 분할함으로써, 이들 두 부분이 손가락으로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판(12)의 개폐는 전술한 구성 [1]의 상부판(12)의 조작에 요구되는 힘에 비해서 거의 절반인 힘으로 수행될 수 있다.
[7]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강판(13)의 둘레면의 일부에 오목부(혹은 록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12)의 대향하는 위치에 록부(또는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들 양자는 모두 탄성적으로 결합 및 해제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필요에 따라, 보강판(13)의 둘레면의 다른 부분에 오목부(또는 록부)(43)를 추가로 배열하는 한편 상부판(12)의 대향하는 부분에 록부(또는 오목부)(45)를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8] 또, 상기 구성 [1] 내지 [7]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3)의 U자 형상 오목부(15)에 끼워맞춤되는 각각의 지지 기둥부(18)는 해당 오목부(15)의 상부 부분 둘레에 있는 상기 보강판의 상부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단차부분(31)을 지닐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 기둥부(18)의 단차부분(31)의 하측면은 테이퍼 형상 면(35)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기둥부(18)가 커다란 외력으로 인해 수직 방향에서 오목부(15)로부터 해제될 위험이 현저하게 저감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인더를 예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바인더의 지지 기둥부를 통과한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사시도;
도 4는 상부판이 위쪽으로 잡아 당겨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전개된 혹은 펼쳐진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직립판과 상부판을 지닌 바인더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용될 수 있는 지지 기둥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기둥부와 U자 형상 오목부의 일부의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상부판을 예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A-A에서의 단면과 B-B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일부분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C-C선을 따라 취한 바인더의 횡단면도;
도 17은 지지 기둥부가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도 16과 유사한 횡단면도;
도 18은 커다란 부피의 시트로부터 커다란 외력이 인가된 것을 제외하고 도 16과 유사한 횡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바인더의 지지 기둥부를 통과한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사시도;
도 4는 상부판이 위쪽으로 잡아 당겨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전개된 혹은 펼쳐진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직립판과 상부판을 지닌 바인더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용될 수 있는 지지 기둥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기둥부와 U자 형상 오목부의 일부의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상부판을 예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A-A에서의 단면과 B-B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바인더의 일부분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C-C선을 따라 취한 바인더의 횡단면도;
도 17은 지지 기둥부가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도 16과 유사한 횡단면도;
도 18은 커다란 부피의 시트로부터 커다란 외력이 인가된 것을 제외하고 도 16과 유사한 횡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플라스틱제 바인더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조립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각각 조립된 상태의 좌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한편, 도 4는 상부판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성형 직후이지만 조립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인더는 직립판(4), 얇은 힌지부(a)를 개재해서 상기 직립판(4)의 하부측에 일체적으로 힌지된 기저판(8), 얇은 힌지부(b)를 개재해서 상기 직립판(4)의 상부측에 일체적으로 힌지된 상부판(12) 및 상기 기저판(8)으로부터 직립하여 서있는 지지 기둥부(18), (18)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기둥부(18), (18)는 바인더가 사용 중일 경우 종이 시트의 구멍 속에 삽입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 형상부(33)가 각 지지 기둥부(18)의 헤드부(33)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헤드부(32)들을 수용하는 수용 구멍(24)들이 상부판(12)에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훅 형상부(33)와 로킹될 록부(즉, 이 경우 록핀(37))가 수용 구멍(24) 위에 놓인다. 상기 록핀(37)은 상부판(12)과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가 상부판(1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록핀(37)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 더욱 예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13)이 상부판(12)의 하부면을 따라 직립판(4)의 상부측에 일체적으로 강고하게 접속되고, 해당 보강판(13)은 직립판(4)과 수직인 방향으로 뻗는다. 각 지지 기둥부(18)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적절한 폭을 각각 지닌 U자 형상 오목부(15)는 보강판(13)의 앞쪽 가장자리부(17)에 형성되어 있다. 기저판(8)이 얇은 힌지부(a)를 축으로 해서 회동한 경우, 지지 기둥부(18), (18)는 대응하는 U자 형상 오목부(15)에 들어가거나 나갈 수 있다. 보강판(13)은 직립판(4)과 일체이므로 높은 강성을 지니고 지지 기둥부(18), (18)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능력을 지닌다. 지지 기둥부(18), (18)의 헤드부는 보강판(13)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판(12)의 수용 구멍(24)에 의해 유지된다.
도 12는 상기 점을 더욱 보강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즉, 도 4의 예에서, 지지 기둥부(18), (18)에 작용하는 힘은 전후좌우 방향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수직 방향에서의 지지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판(13)의 각 U자 형상 오목부(15)에 끼워맞춤되는 각 지지 기둥부(18)는 오목부(15)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에서 보강판(13)의 상부면과 맞물리는 단차부분(31)을 지닐 수 있다. 그 다음에, 지지 기둥부(18)의 단차부분(31)의 하부면은 테이퍼 형상 면(35)(이 예에서는 원뿔면)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구조와 대응해서, 오목부(15)의 내부면은 테이퍼 형상 면(30)으로서도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수직방향의 큰 외력이 지지 기둥부(18)에 작용하더라도, 지지 기둥부(18)가 오목부(15)로부터 해제될 위험이 현저하게 저감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큰 부피의 종이가 결속되어 있는 경우 커다란 힘이 지지 기둥부(18)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면, 오목부(15)로부터 아래쪽으로 지지 기둥부(18)를 잡아당기는 힘은 해당 지지 기둥부(18)가 전방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 기둥부(18)의 축방향의 힘 성분이 발생할 것이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부(18), (18)를 유지하는 유지 리브(19)는 상부판(12)의 앞쪽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 리브(19)는 상부판(12)의 앞쪽 가장자리부를 따라 그리고 적어도 해당 앞쪽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 유지 리브(19)는 양측면 부분에도 뻗어 있다. 상부판(12)이 도 4의 위치로부터 보강판(13) 위로 내려가면, 보강판(13)의 앞쪽 가장자리부(17)가 유지 리브(19)로 둘러싸이게 된다. 따라서, 지지 기둥부(18), (18)는 완전히 고정된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냅형 록부(39), (41)는 상부판(12)의 앞쪽 가장자리부의 중앙에서 배열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상부판(12)은 이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A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록부(39)가 단차부분으로서 형성되고, 다른 쪽 록부(41)가 작은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공간(44)은 록부(41)를 지지하는 부분에 탄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사한 구조를 지니는 록부(43), (45)는 필요에 따라 상부판의 좌우측면 부분에 더욱 배열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총 록 힘이 지나치게 커질 경우에도, 이들 록부가 해제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중앙에 있는 록부(39), (41)를 제거하는 한편, 그 양측면에 있는 록부(43), (45)는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내용을 감안해서, 도 13 및 도 14의 실시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상기 실시형태 대신에, 이동식 조작부분(47)이 침투, 즉, 관통 홈(51)을 지니도록 상부판을 절개함으로써 중앙에 록부로서 형성된다. 경사면(50)이 이동식 조작부분(47)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이어서 홈(51)을 샌드위치시키면서 이 경사면(50)에 대항하는 경사면(53)이 상부판(12)에 형성된다. 훅 형상부(49)는 이동식 조작부분(47)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매달려 있고, 해당 훅 형상부(49)의 정점 부분이 상부판(12)의 폐쇄된 위치에서 보강판(13)의 개구부(52)에 인접한 위치에서 보강판(13)의 바닥면과 결합한다. 이동식 조작부분(47)의 손가락형상 돌기부(finger lug)(55)가 상부판(12)의 폐쇄된 위치로부터 도 14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눌리면, 경사면(50)은 상부판(12)에 형성된 고정된 경사면(53) 상에 위쪽으로 미끄러진다. 따라서, 훅 형상부(49)는 해제되고, 상부판(12)은 결과적으로 위쪽으로 당겨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다시 한번 참조하면, 상기 예와 달리, 훅 형상부(33')가 지지 기둥부(18)의 배면측에 형성되고, 상부판(12)의 탄성 록핀(37')이 이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 따르면, 지지 기둥부(18)를 전방으로 당기는 힘이 상부판(12)의 강직 부분 상에 직접 작용된다.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커다란 외력이 지지 기둥부(18)에 작용하더라도, 해당 지지 기둥부(18)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유지되어, 해당 외력에 저항한다.
또, 슬릿(11)(도 10 참조)이 각각의 지지 기둥부(18), (18)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커다란 충격을 받았을 때 지지 기둥부(18), (18)에 대한 응력을 완화시킴으로써 해당 지지 기둥부(18), (18)가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종이 시트로부터 가해지는 힘은 전방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상기 힘은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된다. 이것은 좁은 슬릿(11)이 힘의 작용점에 대항하는 면에 성형 시 형성되는 경우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탄성적인 형상의 변화가 도 10에 있어서 (a) 상태로부터 (b) 상태로 일어나므로, 재료의 균열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바인더의 전개된 혹은 펼쳐진 도면이다. 기저판(8), 직립판(4) 및 상부판(12)의 각 부분이 얇은 힌지부(a), (b)를 축으로 해서 수평 자세로 전개되면, 지지 기둥부(18), (18)와 보강판(13)은 수직 자세에 있게 된다. 따라서, 성형 다이는 상하부 다이와 축방향 다이(예를 들어, 후술하는 훅 형상부(33)의 오목부와 지지 기둥부(18), (18)의 슬릿을 형성하기 위한 것)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그 전체가 일체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강성과 인성을 모두 지닌 재료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상기 요건에 적합하다.
사출성형 직후의 제품은 도 8의 형태를 취한다. 다음에, 이 제품은 얇은 힌지부(a)를 회전축으로서 이용하여 직립판(4) 쪽으로 기저판(8)을 접음으로써 자연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된다. 이어서, 지지 기둥부(18), (18)의 헤드부는 얇은 힌지부(b)를 회전축으로서 이용해서 보강판(13) 쪽으로 상부판(12)을 접음으로써 해당 상부판(12)의 수용 구멍(24), (24)과 정렬된다. 이어서, 상부판(12)이 이러한 상태로부터 내려가면, 상부판(12)의 유지 리브(19)가 보강판(13)의 앞쪽 가장자리부(17) 위에서 끼워맞춤된다. 그 다음에, 두 부재의 탄성 접속이 록부(39), (41)로 인해 얻어진다(예를 들어, 단차부분 및 작은 돌출부, 도 7 참조). 여기서, 록부(43), (4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들도 걸어맞춤된다. 동시에, 지지 기둥부(18), (18)의 헤드부(32)의 각 훅 형상부(33)가 록핀(37)과 걸어맞춤된다. 이 상태가 바인더의 완성된 상태이다.
종이 시트를 결속할 때, 보강판(13)은 상부판(12)을 잡아 올림으로써 노출된다. 이어서, 기저판(8) 혹은 지지 기둥부(18), (18)를 앞쪽으로 잡아당긴 후, 종이 시트의 구멍들이 지지 기둥부(18), (18)와 맞물리게 된다. 다음에, 반대쪽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종이 시트가 결속되어진 조립된 상태가 얻어진다. 이 상태에서, 지지 기둥부(18), (18)는 전후 및 좌우 방향에서 강하게 유지된다. 또, 보강판(13)은 수직 방향의 힘에 강력하게 저항한다.
이와 같이 해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본 발명의 바인더는 금속 제품과 유사한 강도를 지니며 성형 및 조립의 용이라고 하는 이점을 지닌다.
(제2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부판(12)은 두 부분(12a), (12b)으로 분할되어 있고, 이들은 양방향으로 대칭이고 중간 부분이 제거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상부판의 양쪽 모두가 작은 힘으로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3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관통 홈 혹은 얇은 부분(21)은 직립판(4)의 부착 구멍(14)의 둘레 근방에 배열되어 있다. 도 11(a)는 부착 구멍(14), (14)이 직립판(4)의 좌우 가장자리부로부터 약간 멀리 있는 경우이고, 도 11(b)는 부착 구멍(14), (14)이 직립판(4)의 가장자리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다란 부피의 종이 시트에 가해진 충격력이 큰 경우, 보드지 등과 같은 강직성의 장착대에 혹은 지지판에 부착된 바인더는 관통 홈 혹은 얇은 부분(21) 바깥쪽의 기저판(4)의 영역 내에서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부착 리벳(도시 생략) 및 부착 구멍(14)에 가까운 위치에서 작용하는 힘이 경감됨으로써, 지지판으로부터 탈착되는 바인더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제4실시형태)
도 15 내지 도 18은 제1실시형태의 또 다른 개량인 실시형태이다. 제1실시형태의 바인더가 더욱 가혹한 조건에서 사용되면, 기둥부(18), (18)가 상부판(12)의 수용 구멍(24)으로부터 빠질 가능성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훅 형상부(33)가 지지 기둥부(18)의 각각의 후방면 측에 배열되고, 해당 훅 형상부(33)와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된 록부, 즉, 탄성 로킹 부재(37)(걸어맞춤편(37')을 지님)가 상부판(12)에 배열되며, 제2훅 형상부(59)가 제1훅 형상부(33) 아래쪽의 위치에서 지지 기둥부(18)의 전방면 측에 배열되고, 상기 훅 형상부(59)와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된 제2걸어맞춤 돌출부(57)가 상부판(12)에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보강판(13)은, 바람직하지 않은 커다란 힘이 상기 지지 기둥부에 인가되면 해당 지지 기둥부(18)에 의해 작용된 힘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수용 구멍(24)의 근방에서 상부판(12)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혹은 해당 하부면과 가까이에 있을 필요가 있다. 손가락형상 돌기부(61)는 사용자가 상부판(12)을 상하로 잡아당기는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기능은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정상 상태에서, 기둥부(18)가 상부판(12)을 아래로 당기거나 위로 당김으로써 수용 구멍(24) 내로 삽입되거나 해당 구멍으로부터 빠지게 되면, 걸어맞춤편(37')을 지닌 탄성 부재(37)가 간극(h), (g)에 의해 휘어 해당 걸어맞춤편(37')이 밀려서 오른쪽(이들 도면에서)으로 탄성적으로 휘어 간극(g)을 폐쇄하므로 기둥부(18)가 구멍(24)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빠지게 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례적인 커다란 힘(Fa)이 커다란 부피의 종이 시트로부터 기둥부(18)의 축과 수직으로 작용되면, 해당 기둥부(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 잡아당기는 힘(Fb)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해서, 기둥부(18)의 제1훅 형상부(33)가 탄성 로킹 부재(37)를 밀어 간극(g)을 폐쇄한다. 그러나, 해당 로킹 부재(37)는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상기 훅 형상부(33)와 걸어맞춤편(37') 간의 걸어맞춤은, 해당 걸어맞춤편(37')이 보강판(13)에 대항해서 압축되므로 잡아당기는 힘(Fb)이 견디어 기둥부(18)의 헤드부(32)가 수용 구멍(24)에 유지된다고 하는 사실에 의해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본 실시형태는 최상의 형태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1) 각각의 지지 기둥부(18), (18)의 헤드부(32)가 상부판(12)을 수평 상태로 회동시킴으로써 해당 상부판(12)의 록부(수용 구멍 혹은 훅)와 걸어맞춤되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 기둥부(18), (18)는 종이 시트의 파손이나 떨어짐이 의도하지 않은 외부 충격이 커다란 부피의 결속된 종이 시트에 작용한 경우에도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히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2) 지지 기둥부(18), (18)의 움직임이 보강판(13) 및 유지 리브(19)로 인해 그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규제되므로, 해당 지지 기둥부(18), (18)의 저항력은 그 방향의 힘에 대항하여 현저하게 향상된다.
3) 전체 바인더가 힌지부(a), (b)를 각각 회전축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그러한 자세나 상태로 전개되거나 펼쳐질 수 있으므로, 기저판(8), 힌지부(a), 직립판(4), 힌지부(b) 및 상부판(12)이 이 순서로 하나의 평면에 거의 정렬되고, 지지 기둥부(18), (18)와 보강판(13)이 그 평면 자세로부터 직립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바인더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지지 기둥부(18), (18)는 커다란 충격력으로 파손되는 것에 대한 내성이 있도록 슬릿(11)에 의해 증가된 가요성을 지닌다.
5) 바인더가 두꺼운 장착대, 부착보드 등 상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커다란 충격(예컨대, 가속도)이 대량의 결속된 종이 시트에 작용하더라도, 부착 리벳을 부착 구멍(14)에 삽입함으로써, 직립판(4)의 부착 위치로부터 먼 부분이 종이 시트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어느 정도까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력이 완화되기 때문에 바인더의 기저판(8)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6) 상부판(12)을 두 부분으로 나눔으로써, 해당 상부판(12)이 작은 힘으로 조작될 수 있으므로, 종이 시트의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7) 지지 기둥부(18)의 단차부분(31)을 보강판(13)의 U자 형상 오목부의 상부면 가장자리 부분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지지 기둥부(18)는 커다란 외력에 견디게 된다.
8) 상부판(12)에 배열된 훅 형상부(33)에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된 탄성 로킹부재(37)(걸어맞춤편(37')을 지님) 및 각 지지 기둥부(18)의 (바람직하게는, 후방면 측에 배열된) 훅 형상부(33)를 이용함으로써, 기둥부(18)의 유지력은 증강된다. 이 유지력은 제1훅 형상부(33) 밑에 있는 위치에서 지지 기둥부(18)의 전방면 측에 배열된 제2훅 형상부(59)를 더욱 이용함으로써 더 한층 증강된다.
4: 직립판 8: 기저판
11: 슬릿 12: 상부판
13: 보강판 14: 부착 구멍
15: U자 형상 오목부 17: 앞쪽 가장자리부
18: 지지 기둥부 19: 유지 리브
21: 얇은 부분 24: 수용 구멍
30: 테이퍼 형상 면 32: 헤드부
33: 훅 형상(또는 오목)부 35: 테이퍼 형상 면
37: 록핀 37': 록핀(37)의 걸어맞춤편
39: 록부(오목부) 40: 측면
41: 록부 47: 이동식 조작부분
49: 훅 형상(또는 오목)부 50: 경사면
51: 관통 홈 53: 경사면
55: 손가락형상 돌기부 57: 걸어맞춤 돌출부
61: 손가락형상 돌기부
11: 슬릿 12: 상부판
13: 보강판 14: 부착 구멍
15: U자 형상 오목부 17: 앞쪽 가장자리부
18: 지지 기둥부 19: 유지 리브
21: 얇은 부분 24: 수용 구멍
30: 테이퍼 형상 면 32: 헤드부
33: 훅 형상(또는 오목)부 35: 테이퍼 형상 면
37: 록핀 37': 록핀(37)의 걸어맞춤편
39: 록부(오목부) 40: 측면
41: 록부 47: 이동식 조작부분
49: 훅 형상(또는 오목)부 50: 경사면
51: 관통 홈 53: 경사면
55: 손가락형상 돌기부 57: 걸어맞춤 돌출부
61: 손가락형상 돌기부
Claims (14)
- 직립판과, 상기 직립판의 하부측을 따라 힌지 운동 자유롭게 일체적으로 결합된 기저판과, 상기 직립판의 상부측을 따라 힌지 운동 자유롭게 일체 결합된 상부판을 가지고, 상기 기저판에는 종이 시트의 구멍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지지 기둥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지지 기둥부의 헤드부의 제1록부에 탄성적으로 로킹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제2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플라스틱 제의 바인더에 있어서,
상기 직립판의 상부측에는,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을 따라, 또한, 상기 직립판에 직각으로 보강판(13)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13)의 앞쪽 가장자리부(17)에는, 상기 지지 기둥부의 상단부를 적절하게 수용하는 폭의 U자형상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판(12)의 하부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상기 보강판(13)의 앞쪽 가장자리부(17) 및 양측부에 덮여 끼워맞춤하는 유지 리브(19)(holding ri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판(4)과 상기 기저판(8)은, 상기 직립판(4)의 하부측을 따라 배열된 얇은 힌지부(a)를 통해서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또, 직립판(4)과 상부판(12)은, 직립판(4)의 상부측을 따라 배열된 얇은 힌지부(b)를 통해서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바인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부(18), (18)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축방향으로 뻗는 슬릿(11)을 형성한 바인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판(4)의 부착 구멍(14)의 둘레의 근방에 관통 홈(penetrating groove) 또는 얇은 부분(21)을 배열한 바인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2)을 좌우로 늘어선 1쌍의 상부판 절반부분(12a), (12b)으로서 구성한 바인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3)의 둘레면의 1개소에 록부(41)를 형성하고, 상부판(12)의 대향부분에 상기 록부(41)에 로킹하는 다른 록부(39)를 형성하고, 양자를 탄성적으로 결합 및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한 바인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인 바인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3)의 U자 형상 오목부(15)에 끼워맞춤되는 지지 기둥부(18)는 상기 오목부(15)의 상부 가장자리부의 상부면과 맞물리는 단차부분(31)을 지니는 바인더.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부(18)의 상기 단차부분(31)의 하측은 테이퍼 형상 면(35)인 바인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부(18)의 배면측에 훅 형상부(33')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판(12)에 탄성록핀(37')을 설치한 바인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판(12)에 관통홈(51)을 절개하여 이동식 조작부분(47)을 형성하고, 이동식 조작부분(47)으로부터는 훅 형상부(49)를 아래쪽으로 매달려 있게 하여, 상부판(12)의 폐쇄 상태에서 보강판(13)의 개구부(52)에 인접해서 보강판(13)의 바닥면에 훅 형상부(49)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선단부를 걸어맞춤하도록 하여, 상부판(12)의 폐쇄상태에서 이동식 조작부분(47)의 손가락형상 돌기부(finger lug)(55)를 후방으로 누름으로써 폐쇄상태를 해제하도록 한 바인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 기둥부(18)의 배면 측에 제1훅 형상부(33)가 배열되고, 상부판(12)에 상기 훅 형상부(33)에 로킹할 수 있는 탄성 록핀(37)이 배열되며, 지지 기둥부(18)의 전방면 측에서 제1훅 형상부(33)의 아래쪽에 제2훅 형상부(59)가 배열되고, 상부판(12)에 상기 제2훅 형상부(59)에 로킹할 수 있는 제2걸어맞춤 돌출부(57)가 배열되어 있는 바인더.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167321A JP5649860B2 (ja) | 2010-07-26 | 2010-07-26 | 綴具 |
JPJP-P-2010-167321 | 2010-07-26 | ||
JPJP-P-2011-007182 | 2011-01-17 | ||
JP2011007182A JP5574995B2 (ja) | 2011-01-17 | 2011-01-17 | 綴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0561A KR20120010561A (ko) | 2012-02-03 |
KR101776961B1 true KR101776961B1 (ko) | 2017-09-08 |
Family
ID=4554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1795A KR101776961B1 (ko) | 2010-07-26 | 2011-05-03 | 파일링 바인더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6961B1 (ko) |
CN (1) | CN102343736B (ko) |
TW (1) | TWI516382B (ko)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72020U (zh) * | 1990-06-29 | 1991-02-27 | 青岛新和文具有限公司 | 活页纸夹 |
JP2689911B2 (ja) * | 1994-08-04 | 1997-12-10 | コクヨ株式会社 | ファイル |
JP2902987B2 (ja) * | 1995-11-22 | 1999-06-07 | 株式会社キングジム | 取外し可能な綴金具及び取外し可能な綴金具付きファイル |
JPH10100578A (ja) * | 1996-10-02 | 1998-04-21 | Meiki Co Ltd | ファイル類の構造およびその製法 |
JP3095705B2 (ja) * | 1997-04-14 | 2000-10-10 | 克己 金田 | プラスチック製の綴具 |
JP3400925B2 (ja) * | 1997-04-30 | 2003-04-28 | 東海化工株式会社 | バインダーの綴じ具 |
US6174100B1 (en) * | 1998-12-22 | 2001-01-16 | Leco Stationery Manufacturing Co., Ltd. | Pin binding assembly |
CN1344627A (zh) * | 2000-09-20 | 2002-04-17 | 利高文具制造厂有限公司 | 销钉装订装置 |
JP3808305B2 (ja) * | 2000-10-31 | 2006-08-09 | コクヨ株式会社 | ファイリング用具 |
JP2006021326A (ja) * | 2004-07-05 | 2006-01-26 | Mitsuo Kawashima | 紙葉綴じ込み用ファイルおよび紙葉の綴じ具 |
-
2011
- 2011-03-07 TW TW100107475A patent/TWI516382B/zh active
- 2011-05-03 KR KR1020110041795A patent/KR1017769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5-25 CN CN201110148189.5A patent/CN10234373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343736A (zh) | 2012-02-08 |
TWI516382B (zh) | 2016-01-11 |
KR20120010561A (ko) | 2012-02-03 |
TW201206722A (en) | 2012-02-16 |
CN102343736B (zh) | 2015-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008318A1 (en) | Ring binder mechanism with reinforced hinge plates | |
CA2595372C (en) | Refillable notebook | |
US20070140780A1 (en) | Ring binder mechanism | |
CN104736031A (zh) | 用于片材产品的分配器 | |
WO2011153950A1 (en) | Ring binder mechanism having unitary structure | |
US7527449B2 (en) | Ring binder mechanism | |
KR101776961B1 (ko) | 파일링 바인더 | |
JP4937348B2 (ja) | 綴じ具及びファイル | |
US20070134052A1 (en) | Ring binder mechanism | |
JP4657303B2 (ja) | ファイル | |
WO2006131982A1 (ja) | バインディング機構 | |
US8459893B2 (en) | Binding assembly | |
CA2756304C (en) | Refillable notebook with release mechanism | |
JP5649860B2 (ja) | 綴具 | |
JP4375137B2 (ja) | ファイル及び綴じ具取付部材 | |
KR200418326Y1 (ko) | 착탈식 서류보관용 파일 | |
JP5097977B2 (ja) | 綴じ具、ファイル | |
JP4937349B2 (ja) | 綴じ具及びファイル | |
JP3723862B2 (ja) | 綴じ具及びこれを用いたファイル | |
JPH1052990A (ja) | 綴 具 | |
JPH0546945Y2 (ko) | ||
JP4471530B2 (ja) | ファイル用綴じ具の固定装置 | |
JP4160893B2 (ja) | 樹脂カバーおよびその樹脂カバーを用いた家具 | |
JP2012148413A (ja) | 樹脂製の綴じ具 | |
KR200290344Y1 (ko) | 천공 기능을 구비한 서류철 바인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