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395B1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395B1
KR101775395B1 KR1020150087412A KR20150087412A KR101775395B1 KR 101775395 B1 KR101775395 B1 KR 101775395B1 KR 1020150087412 A KR1020150087412 A KR 1020150087412A KR 20150087412 A KR20150087412 A KR 20150087412A KR 101775395 B1 KR101775395 B1 KR 10177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filter
cleaning
deodo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235A (ko
Inventor
타츠나리 하라시마
시게노부 오제키
케이스케 타시로
유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과제) 화장실내에 항상 존재하는 취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포집 또는 분해할 수 있고, 또한, 흡기 장치를 작동시켰을 때에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화장실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송풍부와, 송풍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송풍부에 의해 흡인된 공기가 통과하는 탈취 필터와, 탈취 필터에 물을 공급하는 토수부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화장실에 설치되는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변기내의 공기를 세정하기 위해서 탈취 기능을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변기내의 취기를 취기통로를 통해 흡인하는 흡기 장치를 구비한 탈취 살균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악취통로에는 전해수, 즉 살균수가 함침된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악취는 필터를 통과할 때에 함침시킨 살균수에 의해 악취성분이 흡수 또는 분해된다. 필터에 흡착된 악취성분을 살균수에 의해 흡수 또는 분해한 후에는 새로운 살균수를 필터에 공급해서 필터를 세정한다.
일본 특허공개 2000-12974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탈취 살균 장치에 있어서는 변기내의 악취성분을 흡수 또는 분해시키기는 하지만, 화장실내에 항상 존재하는 악취를 흡수 또는 분해시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실에 입실할 때마다 화장실내에 항상 존재하는 취기를 흡입하게 되므로 불쾌감을 느낀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탈취 살균 장치에 있어서는 흡기 장치보다 상류측에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점에서, 흡기 장치를 작동시켰을 때에 필터보다 하류측에 존재하는 취기로서, 탈취 살균 장치의 내부에 체류한 취기가 화장실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낀다고 하는 과제가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화장실내에 항상 존재하는 취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포집 또는 분해할 수 있고, 또한, 흡기 장치를 작동시켰을 때에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방지하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화장실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흡인된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탈취 필터와, 상기 탈취 필터에 물을 공급하는 토수부를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탈취 필터에 공급된 물에 의해 송풍부에 의해 흡인된 화장실내의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성분을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에 의해 흡인된 공기가 송풍부의 하류측에 설치된 탈취 필터를 통과하므로 위생 세정 장치의 내부에 체류한 공기는 탈취 필터를 통과하고, 악취성분이 포집된 후에 화장실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송풍부를 작동시켰을 때에 공기가 화장실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화장실내에 항상 존재하는 공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포집 또는 분해할 수 있고, 또한, 흡기 장치, 즉 송풍부를 작동시켰을 때에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물을 전기분해함으로써 생성되는 기능수인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토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물을 전기분해함으로써 생성되는 기능수이기 때문에 탈취 필터에 공급된 기능수가 송풍부에 의해 배출된 화장실내의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성분을 포집 및 분해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탈취 필터가 건조될 때까지 상기 송풍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는 적어도 탈취 필터가 건조될 때까지 송풍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를 실행하기 때문에 송풍부를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탈취 필터를 건조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탈취 필터내에 곰빵이 등의 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30분이상 상기 송풍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는 적어도 30분이상 송풍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므로 송풍부를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탈취 필터를 건조 상태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탈취 필터내에 곰빵이 등의 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에 의해 흡인된 상기 공기는 상기 탈취 필터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통과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탈취 필터안에 체류한 스케일이나 진애 등의 체류물을 송풍부에 의해 흡인된 공기, 및, 체류물 자신의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탈취 필터에 체류물이 체류되기 어려워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화장실내에 항상 존재하는 취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포집 또는 분해할 수 있고, 또한, 흡기 장치를 작동시켰을 때에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가 설치된 화장실을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위생 세정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세정수 공급 장치 및 탈취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탈취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탈취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탈취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위생 세정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탈취 장치의 탈취 동작에 있어서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0은 도 4의 탈취 장치의 탈취 동작에 있어서의 다른 타이밍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각 도면중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적당하게 생략한다.
(위생 세정 장치(1) 및 그것을 구비한 대변기(2)에 대해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가 설치된 화장실을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위생 세정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또, 도 1 및 도 2에서는 위생 세정 장치는 대변기에 설치되어 있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화장실(100)에는 수세식의 대변기(2)가 설치되어 있다. 대변기(2)에는 변기시트(도시 생략)와, 변기덮개(4)와, 기능부(6)를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1)가 적재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듯이 기능부(6)는 케이스 플레이트(8)와, 케이스 커버(10)와, 세정수 공급 장치(12)(도 3에 기재)와, 세정 노즐(14)과, 탈취 장치(16)와, 제어부(18)를 갖는다. 케이스 플레이트(8)는 대변기(2)의 정면(전방)으로부터 볼 때 대변기(2)에 설치된 보울부(20)보다 후방에 적재되어 있다. 케이스 플레이트(8)에는 세정수 공급 장치(12)와, 세정 노즐(14)과, 탈취 장치(16)와, 제어부(18)가 적재되어 있다. 케이스 커버(10)는 세정수 공급 장치(12)와, 세정 노즐(14)과, 탈취 장치(16)와, 제어부(18)를 덮도록 케이스 플레이트(8)와 고정된다.
세정 노즐(14)은 보울부(20)를 향해서 진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세정 노즐(14)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탈취 장치(16)는 대변기(2)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케이스 플레이트(8)의 후방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화살표(A1)와 같이, 탈취 장치(16)는 대변기(2)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케이스 커버(10)의 후방에 설치된 흡기구부(도시 생략)로부터 화장실(100)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흡기구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성분은 탈취 장치(16)에 의해 포집 또는 분해된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악취성분」은 암모니아 성분을 포함한다. 이 악취성분은 소변이 화장실(100)의 바닥이나 벽 등에 부착되어 버렸을 때에 부착면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화살표(A2)와 같이, 탈취 장치(16)에 의해 악취성분이 포집 또는 분해된 공기는 대변기(2)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케이스 커버(10)의 좌측에 설치된 배기구부(22)로부터 화장실(100)로 토출된다. 이 탈취 장치(16)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8)는 IC소자를 포함한 제어회로이며, 세정수 공급 장치(12), 세정 노즐(14), 및, 탈취 장치(16)의 각각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이 제어부(18)는 금속제의 하우징으로서의 제어부 커버(도시 생략)에 의해 덮여져 있다.
(세정수 공급 장치(12) 및 탈취 장치(16)에 의한 탈취 동작에 대해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세정수 공급 장치 및 탈취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탈취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탈취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탈취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또,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탈취 장치를 도 4에 나타낸 화살표(A5)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탈취 장치를 도 4에 나타낸 화살표(A6)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탈취 장치를 도 4에 나타낸 화살표(A7)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7을 사용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세정수 공급 장치(12) 및 탈취 장치(1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세정수 공급 장치(12)는 유로 개폐 밸브(24)와, 순간 가열식의 열교환기(26)와, 전해조(28)와, 대기 해방식의 버큠 브레이커(30)와, 세정 노즐(14)로 통하는 제 1 유로(32)와, 탈취 장치(16)로 통하는 제 2 유로(34)와, 전자펌프(36)와, 유량조절·유로 스위칭 밸브(38)를 갖는다. 또, 세정수 공급 장치(12)는 반드시 열교환기(26)를 갖지 않아도 좋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은 유로 개폐 밸브(24)가 개방되었을 때에 열교환기(26)를 통과하고, 전해조(28)로 보내어진다. 전해조(28)의 내부에는 2개의 전극(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전해조(28)로 보내어져 온 물은 전해조(28)의 내부에 있어서 전기분해된다.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온 물에는 염소(Cl2)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물이 전기분해되면 이하와 같은 식의 반응이 일어난다.
Cl2+H2O→HClO+H++Cl-···(1)
(1)식에 나타내듯이 전해조(28)에 의해 전기분해된 물은 차아염소산(HClO)을 포함한 세정수(이하, 「기능수」라고 한다)가 된다.
전해조(28)에 의해 생성된 기능수는 제 1 유로(32) 또는 제 2 유로(34)로 흐른다. 제 1 유로(32)로 흐른 기능수는 전자펌프(36)에 의해 세정 노즐(14)로 보내진다. 세정 노즐(14)은 토수부(15)(제 2 토수부)를 갖는다. 예를 들면 토수부(15)는 엉덩이 세정 토수 구멍(15a)과, 엉덩이 소프트 토수 구멍(15b)과, 비데 세정 토수 구멍(15c)과, 와이드 비데 세정 토수 구멍(15d)을 갖는다. 단, 토수부(15)가 갖는 토수 구멍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세정 노즐(14)로 보내진 기능수는 토수부(15)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토출된다. 토수부(15)로부터 토출된 기능수는 대변기(2)의 사용자의 국부세정 등에 사용된다. 또한 전자펌프(36)와 세정 노즐(14) 사이에는 유량조절·유로 스위칭 밸브(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량조절·유로 스위칭 밸브(38)를 동작시킴으로써 세정 노즐(14)로부터 토출되는 기능수의 토수 유량, 토수 각도, 토수 범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유로 스위칭 밸브(38)를 동작시킴으로써 기능수를 노즐 세정실(동체 세정부)(40)로 보낼 수 있다. 노즐 세정실(40)은 토수부(41)(제 2 토수부)를 갖는다. 노즐 세정실(40)은 토수부(41)로부터 기능수가 토출함으로써 세정 노즐(14)의 외면의 세정, 즉 동체 세정을 행한다. 제 2 유로(34)로 흐른 기능수는 탈취 장치(16)로 보내어진다.
도 3∼7에 나타내듯이 탈취 장치(16)는 집진 필터(44)와, 팬(송풍부)(46)과, 탈취 필터(48)와, 분무부(제 1 토수부)(50)와, 물받이부(52)를 갖고 있다. 물받이부(52)는 흡기구(42)와, 배기구(54)를 갖는다. 흡기구(42)는 흡기구부에 설치되어 있다. 배기구(54)는 배기구부(22)에 설치되어 있다. 팬(46)은 예를 들면, 수지제의 시로코팬이다. 팬(46)은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날개가 회전함으로써 흡기구(42)로부터 화장실(100)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배기구(54)로부터 화장실(100)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한다. 또, 팬(46)은 시로코팬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집진 필터(44)는 흡기구(42)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집진 필터(44)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진애나 먼지 등이 팬(46)으로 보내지는 것을 막는다. 탈취 필터(48)는 예를 들면 스티치형상의 스테인레스제의 부재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무부(50)에 의해 기능수가 탈취 필터(48)에 분무된다. 이 탈취 필터(48)는 필터(46)와 배기구(54) 사이, 즉 팬(46)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팬(46)은 분무부(50)에 의해 기능수가 분무된 탈취 필터(48)보다 상류측에 설치된다. 그 때문에 습기를 포함한 공기가 탈취 필터(48)로부터 전기기기의 팬(46)으로 보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습기에 의해 팬(46)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팬(46)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탈취 필터(48)를 통과한다. 그 때문에 팬(46)이 작동하기 전에 위생 세정 장치(1)의 내부에 고인 공기는 반드시 탈취 필터(48)를 통과하고, 악취성분이 포집된 후에 화장실(100)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팬(46)을 작동시켰을 때에 위생 세정 장치(1)의 내부에 체류한 공기가 악취성분을 포집 또는 분해하지 않고 화장실(1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취 필터(48)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배기구(54)로부터 자유롭게 인출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탈취 필터(48)의 청소성이 향상된다. 분무부(50)는 전자밸브를 갖고, 탈취 필터(48)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한편, 제 2 유로(34)로 흐른 기능수는 분무부(50)로 보내어진다.
도 7에 나타내듯이 분무부(50)가 제어부(18)에 의해 밸브 개방 동작했을 때 탈취 필터(48)의 상방으로부터 탈취 필터(48)를 향해서 약 5초간 정도 기능수가 분무된다. 기능수는 분무부(50)를 정점으로 원추상으로 퍼지면서 분무된다. 이 때의 분무되는 기능수의 확산각도(θ)는 약 110도 정도이다. 또한 팬(46)과 분무부(50) 사이에 있어서 탈취 장치(16)의 상면 내벽에는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입벽부(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입벽부(64)에 의해 전기기기인 팬(46)에 분무부(50)로부터 분무된 기능수가 비산되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탈취 필터(48)를 향해서 기능수가 분무되면 탈취 필터(48)는 기능수를 보수한다. 그 때에, 팬(46)을 작동시켜 흡기구(42)로부터 흡인된 화장실(100)내의 공기가 탈취 필터(48)내를 통과하면, 공기중에 포함되는 악취성분이 기능수에 도입된다. 기능수에 도입된 악취성분은 기능수에 포함되는 차아염소산에 의해 이하의 식과 같이 분해된다.
HClO+NH3→NH2Cl+H2O ···(2)
(2)식에 나타내듯이 암모니아(NH3)는 차아염소산(HClO)과 반응함으로써 모노클로라민(NH2Cl)과 물(H2O)로 바뀐다. 모노클로라민의 냄새는 염소와 같은 석회 냄새이다. 이 냄새에 의해, 사용자는 청결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분해되지 않고 남은 악취성분도 기능수내에 포집되므로 공기로 되돌아오는 일은 없다. 그 결과, 탈취 필터(48)내를 통과한 공기는 악취성분이 제거된다. 악취성분이 제거된 공기는 배기구(54)로부터 화장실(10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탈취 장치(16)는 화장실(100)내에 항상 존재하는 악취성분을 포집 또는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실(100)에 입실할 때마다 화장실(100)내에 항상 존재하는 악취성분에 의한 취기를 흡입하지 않게 되어 쾌적하게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듯이 팬(46)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탈취 필터(48)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탈취 필터(48)를 통과한다. 이것으로부터 탈취 필터(48)내에 체류한 스케일이나 진애 등의 체류물을 팬(46)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및, 체류물 자신의 무게에 의해 물받이부(52)에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탈취 필터(48)에 체류물이 체류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탈취 필터(48)의 최대 보수량은 약 10g 정도이다. 한편, 이 탈취 필터(48)를 세정할 때에는 분무부(50)는 탈취 필터(48)를 향해서 기능수를 약 100g 정도 분무한다. 즉, 분무부(50)는 탈취 필터(48)의 최대 보수량보다 많은 물을 분무함으로써 탈취 필터(48)를 세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능수의 분무보다 전에 탈취 필터(48)에 보수된 기능수가 포집한 악취성분을 씻어 버릴 수 있다. 씻어 내기에 이용한 기능수는 탈취 필터(48)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물받이부(52)에 흐른다.
도 6에 나타내듯이 물받이부(52)는 케이스 플레이트(8)를 향해서 개구되어 있는 배수구(56)를 갖고 있다. 물받이부(52)의 바닥면은 배수구(56)를 향해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화살표(A11)와 같이, 물받이부(52)로 흐른 기능수는 물받이부(52)의 바닥면에 체류하지 않고 배수구(56)를 향해서 흐르게 된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화살표(A13)와 같이, 악취성분이 제거되어 탈취 필터(48)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구(54)로부터 배출된다.
도 8은 도 1의 위생 세정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세정수 공급 장치(12) 및 탈취 장치(16)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케이스 플레이트(8)는 그 상면에 상방을 향해서 돌출된 리브(58)가 설치된 배출 유로(60)를 갖는다. 배출 유로(60)는 노즐 세정실(40)이 설치되는 위치에 인접하도록 설치된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을 갖고 있다.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은 케이스 플레이트(8)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리브(58)는 배수구(56)로부터 배출된 기능수를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으로 유도하도록 선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배출 유로(60)는 전방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도 8에 나타낸 화살표(A21)∼화살표(27)와 같이, 배수구(56)로부터 배출된 기능수는 중력에 따라 전방을 향해서 배출 유로(60)를 흐르기 쉬워진다.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배수구(56)로부터 배출된 기능수를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으로 유도된 기능수는 대변기(2)의 보울부(20)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탈취 필터(48)의 세정에 이용한 기능수로서, 악취성분이 포집된 기능수는 물에 의한 세정이 빈번하게 행해지는 보울부(20)로 배출된다. 따라서, 기능수가 부착된 부위가 말라서 냄새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은 노즐 세정실(40)을 설치하는 위치에 인접하고 있다. 따라서, 노즐 세정실(40)이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을 행했을 때에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에 이용한 기능수는 배출 유로(60)의 일부를 흘러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으로부터 보울부(20)로 배출된다. 즉,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에 이용한 기능수는 물받이부(52)의 배수구(56)로부터 배출된 기능수가 흐르는 배출 유로(60)의 일부를 흐른다. 그 결과, 배출 유로(60)의 일부 및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은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을 행한 물에 의해 세정된다. 이에 따라 악취성분을 포집한 기능수가 마른 후에 배출 유로(60) 및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으로부터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14)은 케이스 플레이트(8)와 케이스 커버(10) 사이의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토수부(15)가 갖는 모든 토수 구멍으로부터 기능수를 토출함으로써 토수부(15)의 부분을 세정할 수 있다(셀프 클리닝). 이 때, 세정 노즐(14)의 토수부(15)의 부분은 노즐 세정실(40) 안에 수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토수부(15)로부터 토출된 기능수는 노즐 세정실(40)의 내벽에서 반사되어 토수부(15)의 부분에 튄다. 이에 따라 토수부(15)의 부분은 노즐 세정실(40)의 내벽에서 반사된 기능수에 의해서도 세정된다.
셀프 클리닝에 이용된 기능수는 배출 유로(60)의 일부를 흘러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으로부터 보울부(20)로 배출된다. 즉, 셀프 클리닝에 이용된 기능수는 물받이부(52)의 배수구(56)로부터 배출된 기능수가 흐르는 배출 유로(60)의 일부를 흐른다. 그 결과, 배출 유로(60)의 일부 및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은 셀프 클리닝을 행한 물에 의해 세정된다. 이에 따라 악취성분을 포집한 기능수가 마른 후에 배출 유로(60) 및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으로부터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은 노즐 세정실(40)을 설치하는 위치에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탈취 필터(48)의 세정에 사용한 기능수의 보울부(20)로의 배출 위치는 셀프 클리닝 및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에 사용한 기능수의 보울부(20)로의 배출 위치와 인접한다. 이것에 의해 탈취 필터(48)의 세정에 사용한 기능수가 보울부(20)로 배출되었을 때에 사용자가 위생 세정 장치(1)의 고장이라고 인식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세정수 공급 장치(12) 및 탈취 장치(16)의 사용예에 대해서)
도 9는 도 4의 탈취 장치의 탈취 동작에 있어서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9를 이용하여 세정수 공급 장치(12) 및 탈취 장치(16)의 사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는 사용자의 화장실(100)에의 입실을 검지하는 인체 검지 센서(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제어부(18)는 시간대마다에 있어서의 인체 검지 센서의 인체 검지 횟수를 기억하고, 인체 검지 횟수가 일정값이하의 시간대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시간대에 있어서 위생 세정 장치(1)를 「사용자 입실 시간대 모드 」로부터 「사용자 비입실 시간대 모드」로 이행시킨다. 제어부(18)는 인체 검지 횟수가 일정값이하의 시간대를 지나면 위생 세정 장치(1)를 「사용자 비입실 시간대 모드 」로부터 「사용자 입실 시간대 모드」로 이행시킨다.
도 9에 나타내듯이 「사용자 비입실 시간대 모드 」로부터 「사용자 입실 시간대 모드」로 이행하는 1시간전에 있어서 분무부(50)는 탈취 필터(48)에 기능수를 분무한다(타이밍(t1)). 이 때, 분무부(50)는 탈취 필터(48)의 최대 보수량(예를 들면 약 10g 정도)보다 많은 기능수(예를 들면 약 100g 정도의 기능수)를 분무하므로 탈취 필터(48)에 잔존하고 있던 악취성분을 씻어 버리고,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으로부터 보울부(20)로 배출한다. 분무부(50)가 탈취 필터(48)에 기능수를 분무한 시각 3시 00분에 있어서, 화장실(100)의 악취강도는 「2」이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악취강도」란 악취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악취강도「2」란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냄새의 강도이다. 악취강도 「1」이란 사용자가 전혀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냄새의 강도이다.
분무부(50)가 탈취 필터(48)에 기능수를 분무하면 탈취 필터(48)에는 탈취 필터(48)의 최대 보수량(예를 들면 약 10g 정도)의 기능수가 보수된다. 분무부(50)에 의한 탈취 필터(48)에의 기능수의 분무가 종료되면 제어부(18)는 팬(46)을 작동시켜 탈취 동작을 개시시킨다(타이밍(t1)).
팬(46)에 의한 탈취 동작은 탈취 필터(48)가 건조될 때까지 행해진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물을 흡수, 즉 보수한 탈취 필터(48)의 무게가 보수전의 탈취 필터(48)의 무게로 되돌아왔을 때, 탈취 필터(48)는 「건조」되었다고 정의한다. 팬(46)으로부터 보내지는 공기에 의해 10g의 물을 보수한 탈취 필터(48)가 건조되는데에 필요한 시간은 실온 20℃, 습도 60%의 실내에 있어서 약 1시간 정도이며(타이밍(t3)), 실온 40℃, 습도 30%의 실내에 있어서 약 30분정도이며(타이밍(t2)), 실온 5℃, 습도 60%의 실내에 있어서 약 1시간 30분 정도이다(타이밍(t4)).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팬(46)에 의한 탈취 동작은 1시간 30분 행해진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탈취 동작은 탈취 필터(48)가 건조될 때까지 이루어지기 때문에, 탈취 필터(48)는 탈취 동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는 건조되어 있다. 따라서, 탈취 필터(48)내에 곰빵이 등의 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팬(46)에 의한 탈취 동작이 행해지면 화장실(100)의 악취강도는 「2」로부터 「1」에 가까이 간다. 그리고, 일정 시간 팬(46)에 의한 탈취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화장실(100)의 악취강도는 「1」로 되고, 사용자는 화장실(100)의 냄새의 면에서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이 때, 탈취 필터(48)의 보수량은 0g이 된다.
도 10은 도 4의 탈취 장치의 탈취 동작에 있어서의 다른 타이밍 차트이다.
도 10을 이용하여 세정수 공급 장치(12) 및 탈취 장치(16)의 사용예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사용자 비입실 시간대 모드 」로부터 「사용자 입실 시간대 모드」로 이행하기 1시간전에 있어서 분무부(50)는 탈취 필터(48)에 기능수를 분무한다(타이밍(T1)). 분무부(50)가 탈취 필터(48)에 기능수를 분무한 시각 3시 00분에 있어서 화장실(100)의 악취강도는 「2」이다.
분무부(50)가 탈취 필터(48)에 기능수를 분무하면 케이스 플레이트(8)의 배출 유로(60)에 설치된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으로부터 보울부(20)로 기능수가 배출된다(타이밍(T1)). 또한 분무부(50)가 탈취 필터(48)에 기능수를 분무하면 팬(46)에 의한 탈취 동작이 행해진다.
분무부(50)에 의한 탈취 필터(48)로의 기능수의 분무가 종료되면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으로부터의 보울부(20)로의 기능수의 배출이 종료된다(타이밍(T2)). 이 때, 노즐 세정실(40)은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을 개시한다(타이밍(T2)).
탈취 필터(48)의 세정이 종료되고나서 소정 시간 경과후, 노즐 세정실(40)은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을 종료시킨다(타이밍(T3)). 이렇게, 탈취 필터(48)의 세정 종료 타이밍보다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의 종료 타이밍을 소정 시간 지연시킴으로써 악취성분이 잔존한 기능수가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으로부터 배출될 때까지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을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에 이용한 기능수로 세정한다. 따라서, 배출 유로(60) 및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이 말라서 악취원이 되지 않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소정 시간」은 1분으로 하고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 시간」은 30초∼10분이 바람직하다.
일정 시간, 팬(46)에 의한 탈취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화장실(100)의 악취 강도는 「1」이 된다. 이 때, 탈취 필터(48)의 보수량은 0g이 된다(타이밍(T4)).
또, 도 10에 있어서는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을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에 이용한 기능수로 세정하는 것이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을 세정 노즐(14)의 셀프 클리닝에 이용한 기능수로 세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1)에 의하면 탈취 필터(48)에 공급된 물에 의해 팬(46)에 의해 흡인 또는 배출된 화장실(100)내의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성분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탈취 필터(48)를 세정한 물이 배출되는 배출 유로(60)를 분무부(50)와는 다른 노즐 세정실(40)로부터 배출된 물에 의해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실(100)내에 항상 존재하는 악취를 흡수하는 것, 또한, 물이 건조된 배출 유로(60)의 출구부분으로부터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에 대해서)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장실(100)의 탈취 동작, 및,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에 기능수를 이용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물이나 알콜 등 액체이면 좋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체 검지 센서는 사용자의 화장실(100)에의 입실을 검지하는 센서로 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대변기(2)의 전방에 선 사용자를 검지하는 센서이거나, 사용자의 착석을 검지하는 센서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탈취 동작은 「사용자 비입실 시간대 모드 」로부터 「사용자 입실 시간대 모드」로 이행하기 1시간전에 자동으로 행해지는 것이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밤중 등 정해진 시간에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일정 시간 위생 세정 장치(1)가 사용되고 있지 않거나, 인체 검지 센서가 사용자의 화장실(100)에의 입실을 검지하지 않았을 때에 탈취 동작이 행해지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탈취 동작은 자동으로 행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윗치 조작 등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지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팬(46)에 의한 탈취 동작은 1시간 행해지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탈취 동작은 30분이상 행해지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탈취 동작은 탈취 필터(48)가 건조될 때까지 행해지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으로부터 보울부(20)로의 기능수의 배출이 종료되는 시간(시각 4시 00분)에 노즐 세정실(40)은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을 개시한다. 그러나,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분무부(50)에 의해 탈취 필터(48)의 세정이 개시되는 동시에, 노즐 세정실(40)은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을 개시하고, 동체 세정에 이용한 기능수를 보울부(20)로 배출해도 좋다. 이렇게, 탈취 필터(48)의 세정의 타이밍과,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의 타이밍을 일치시킴으로써 악취성분이 잔존한 기능수가 부착된 배출 유로(60)의 일부 및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을 건조전에 세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배출 유로(60) 및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에 부착된 기능수가 말라서 냄새가 발생하기 전에 세정 노즐(14)의 동체 세정에 이용한 기능수로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유로(60) 및 보울부 배출용 구멍(62)이 말라서 냄새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팬(46)에 의한 탈취 동작이 행해질 때에는 탈취 필터(48)의 세정, 및, 건조가 행해지는 것이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팬(46)에 의한 탈취 동작이 행해질 때에 탈취 필터(48)의 세정, 또는 건조 또는 그 양쪽이 행해지지 않아도 좋다. 이 때, 탈취 동작을 행할 때에는 분무부(50)는 탈취 필터(48)에 탈취 필터(48)의 최대 보수량(예를 들면 약 10g 정도)이하의 양의 기능수를 분무한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하게 설계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 등이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등이나 위생 세정 장치(1)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시킬 수 있고, 이들을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위생 세정 장치, 2: 대변기, 4: 변기 덮개, 6: 기능부, 8: 케이스 플레이트, 10: 케이스 커버, 12: 세정수 공급 장치, 14: 세정 노즐, 15, 41: 토수부(제 2토수부), 15a: 세정 토수 구멍, 15b: 소프트 토수 구멍, 15c: 비데 세정 토수 구멍, 15d: 와이드 비데 세정 토수 구멍, 16: 탈취 장치, 18: 제어부, 20: 보울부, 22: 배기구부, 24: 유로 개폐 밸브, 26: 열교환기, 28: 전해조, 30: 버큠 브레이커, 32: 제 1 유로, 34: 제 2 유로, 36: 전자펌프, 38: 유량조절·유로 스위칭 밸브, 40: 노즐 세정실(동체 세정부), 42: 흡기구, 44: 집진 필터, 46: 팬(송풍부), 48: 탈취 필터, 50: 분무부(제 1 토수부), 52: 물받이부, 54: 배기구, 56: 배수구, 58: 리브, 60: 배출 유로, 62: 보울부 배출용 구멍, 64: 입벽부, 100: 화장실

Claims (5)

  1. 화장실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흡인된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탈취 필터와,
    상기 탈취 필터에 물을 공급하는 토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물을 전기분해함으로써 생성되는 기능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탈취 필터가 건조될 때까지 상기 송풍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30분이상 상기 송풍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에 의해 흡인된 상기 공기는 상기 탈취 필터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150087412A 2014-08-19 2015-06-19 위생 세정 장치 KR101775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66905A JP6424512B2 (ja) 2014-08-19 2014-08-19 衛生洗浄装置
JPJP-P-2014-166905 2014-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235A KR20160022235A (ko) 2016-02-29
KR101775395B1 true KR101775395B1 (ko) 2017-09-06

Family

ID=5537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412A KR101775395B1 (ko) 2014-08-19 2015-06-19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24512B2 (ko)
KR (1) KR101775395B1 (ko)
CN (1) CN1053698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892A (ko) * 2018-10-18 2020-04-28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747A (ja) * 1998-08-21 2000-05-09 Hiroaki Yasuda 水洗トイレの脱臭殺菌装置
JP2011006970A (ja) * 2009-06-26 2011-01-13 Toto Ltd トイ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741A (ja) * 1994-04-22 1995-11-07 Toto Ltd 脱臭装置及び脱臭装置付き便座装置
JPH0827861A (ja) * 1994-07-20 1996-01-30 Toto Ltd 脱臭装置
JP4112156B2 (ja) * 2000-04-27 2008-07-02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排気浄化システム
JP2002167840A (ja) * 2000-12-04 2002-06-11 Sanyo Electric Co Ltd 衛生水洗機器の消臭装置
JP4070447B2 (ja) * 2001-11-16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イレ用殺菌装置
JP3403723B1 (ja) * 2002-03-29 2003-05-06 株式会社Inax 空気調節装置
JP4333339B2 (ja) * 2003-11-25 2009-09-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便座装置
JP2006097311A (ja) * 2004-09-29 2006-04-13 Sanyo Electric Co Ltd 水洗トイレ及び水洗トイレの脱臭方法
BRPI0502066A (pt) * 2005-03-24 2006-11-28 Joao Americo De Miranda eliminador de odores em banheiros
JP5684068B2 (ja) * 2011-08-01 2015-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5810277B2 (ja) * 2011-03-25 2015-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747A (ja) * 1998-08-21 2000-05-09 Hiroaki Yasuda 水洗トイレの脱臭殺菌装置
JP2011006970A (ja) * 2009-06-26 2011-01-13 Toto Ltd トイ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24512B2 (ja) 2018-11-21
JP2016044398A (ja) 2016-04-04
KR20160022235A (ko) 2016-02-29
CN105369872A (zh)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5461B2 (ja) 衛生洗浄装置
KR101628229B1 (ko) 위생 세정 장치
JP6874397B2 (ja) 衛生洗浄装置
KR101786829B1 (ko) 위생 세정 장치
JP6300180B2 (ja) 便座装置
KR101775395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1671743B1 (ko) 위생 세정 장치
JP6551860B2 (ja) 便座装置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JP2007092493A (ja) トイレ消臭芳香装置
JP6839406B2 (ja) 衛生洗浄装置
JP7135368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6094711A (ja) 衛生洗浄装置
JP6823280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6094695A (ja) 衛生洗浄装置
TWI797371B (zh) 廁所空間用除臭裝置以及衛生洗淨裝置
JP7153229B2 (ja) トイレ用脱臭装置
JP7205140B2 (ja) 衛生洗浄装置
KR20100126989A (ko) 변기장치
JP6839405B2 (ja) 衛生洗浄装置
JPS62102729A (ja) 衛生装置
JP2019173272A (ja) 衛生洗浄装置
JP2007270601A (ja) トイレ装置
KR20070084995A (ko) 후드기능의 양변기카바와 이를 이용한 양변기 냄새제거탈취및 배기시스템
KR20160115600A (ko) 배출관로를 이용한 외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