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892A -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892A
KR20200043892A KR1020190099245A KR20190099245A KR20200043892A KR 20200043892 A KR20200043892 A KR 20200043892A KR 1020190099245 A KR1020190099245 A KR 1020190099245A KR 20190099245 A KR20190099245 A KR 20190099245A KR 20200043892 A KR20200043892 A KR 20200043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odorizing
drain
por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785B1 (ko
Inventor
키요타케 우키가이
유야 오토와
쇼코 우에모토
슌이치 나카미치
?이치 나카미치
카나코 이소노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물 탈취부로부터 토일렛 공간으로의 누수를 억지할 수 있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는 흡기구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는 팬 장치와, 흡기구와 배기구를 연통하여 공기를 유통시키는 탈취 풍로 중에 설치되고, 흡기한 공기를 물에 의해 탈취하는 물 탈취부와, 물 탈취부로 급수하는 급수부와, 물 탈취부로부터 배수 받이부로 배수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는 배수부를 구비하고 있다. 배수구는 물 탈취부와 급수부 사이에 위치하고, 급수부는 배수구를 통해 물 탈취부로 급수한다.

Description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DEODORIZING EQUIPMENT FOR TOILET SPACE, AND SANITARY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일렛 공간에 있어서 탈취를 행하는 탈취 장치로서 공기를 물에 접촉시킴으로써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 성분을 물에 용해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탈취 장치는 온수 세정 변좌에 설치되고, 팬 장치에 의해 기체 유로로 흡입된 공기에 물을 분출하는 물 분출 장치를 구비한다. 기체에 포함되는 악취 및 부유물이 부착된 물은 저수부로 낙하한 후에 저수부로부터 하향 경사의 물 도출부로 도출되거나, 또는 물 도출부로 낙하하여 물 도출부를 개재하여 배수구를 형성하는 개구부로부터 변기 보울부 내로 배수된다.
일본특허공개 2017-223030호 공보
악취 성분을 포함한 공기를 물에 접촉시킴으로써 탈취하는 물 탈취부를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잔류수를 원인으로 하여 형성되는 바이오 필름에 의해 물 탈취부의 배수구가 폐색되었을 경우, 물 분출 장치로부터 분출한 물이 기체 유로 중에 쌓여 가 배수구 이외로부터 예를 들면, 배기구나 케이싱의 간극 등으로부터 토일렛 공간으로 누수될 우려가 있다. 특히 팬 장치의 구동 시에는 물이 팬 장치로 빨아들여져서 배기구로부터 토일렛 공간으로 누출되어버릴 우려가 높아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물 탈취부로부터 토일렛 공간으로의 누수를 억지할 수 있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는 흡기구를 형성하는 흡기부와, 배기구를 형성하는 배기부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는 팬 장치와, 상기 흡기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통하여 공기를 유통시키는 탈취 풍로 중에 설치되고, 흡기한 공기를 물에 의해 탈취하는 물 탈취부와, 상기 물 탈취로 급수하는 급수부와, 상기 물 탈취부로부터 배수 받이부로 배수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는 배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물 탈취부와 상기 급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물 탈취부로 급수한다.
만일 바이오 필름 또는 분진 등에 의해 배수구가 폐색되어버렸을 경우이어도 제 1 양태에 의하면, 배수구를 통해 수류부로 급수되기 때문에 물이 배수구의 폐색물에 의해 막혀 수류부로 급수되지 않고 배수 받이부로 배수된다. 이것에 의해 수류부로부터 넘친 물이 배수구 이외로부터 토일렛 공간으로 누출되어버리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흡기구이다.
제 2 양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흡기구와 배수구를 나란히 별도로 설치했을 경우와 같은 사이즈(영역)에 의해 배수구의 개구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배수구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면 폐색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위생 세정 장치는 보울부를 갖는 변기에 설치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제 1 발명 또는 제 2 양태의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보울부를 향해 개구되어 상기 배수 받이부인 상기 보울부로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한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변기의 사용에 의해 탈취 장치로부터의 배수를 처리할 수 있고, 별도 설치한 배수 받이부를 불필요로 한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가 상기 보울부의 개구의 상방에 위치한다.
제 4 양태에 의하면, 급수부가 보울부의 개구의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수구가 폐색되어버렸을 경우에는 급수부로부터 토수되어 배수구의 폐색물에 의해 되튀긴 물을 확실하게 보울부로 배수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물 탈취부로부터 토일렛 공간으로의 누수를 억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의 토일렛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형태의 물 탈취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물 탈취 유닛으로부터 커버를 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실시형태의 물 탈취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실시형태의 물 탈취 유닛에 있어서의 수류 동작 시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6은 일실시형태의 물 탈취 유닛에 있어서의 배수 동작 시의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토일렛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일렛 공간에 설치되는 토일렛 장치(1)는 좌식 대변기(이하, 단지 변기라고 칭함)(100)와, 변기(100) 위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200)를 갖는다. 변기(100)는 상방을 향해 개구되고 물이 모아진 보울부(101)를 갖는다. 보울부(101)는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고, 배수 배관(도시하지 않음)으로 세정수를 배수한다. 위생 세정 장치(200)는 변기(100)에 변좌(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하여 걸터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국부의 세정을 실현하는 국부 세정 기능부 등을 갖는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국부 세정 기능부에 포함되는 노즐 등을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고 있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200)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이하, 단지 탈취 장치라고 칭함)(10)를 갖는다. 탈취 장치(10)는 물 탈취 유닛(20)과 제어부(90)를 갖는다.
도 2는 실시형태의 물 탈취 유닛(2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물 탈취 유닛(20)으로부터 커버(22)를 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물 탈취 유닛(20)의 단면도이다.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탈취 유닛(20)은 케이스(21)와 커버(22)를 갖는다. 케이스(21)와 커버(22) 사이의 공간에 물 탈취부(40), 팬 장치(60), 및 산화 촉매(70)가 설치되어 있다.
팬 장치(60)의 구동에 의해 케이스(21)와 커버(22) 사이의 공간 내를 공기가 흐른다. 이 공기가 흐르는 풍로(탈취 풍로)(80)의 일단부에 흡기구부(123)가 설치되고, 타단부에 배기구부(124)가 설치되어 있다. 흡기구부(123)는 흡기구(23)를 형성하고, 배기구부(124)는 배기구(24)를 형성한다. 탈취 풍로(80)는 흡기구(23)와 배기구(24)를 연통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기구(23)는 배수구(25)를 겸하고 있다. 탈취 풍로(80)에 있어서 흡기구(23) 및 배기구(24) 이외의 영역은 케이스(21) 및 커버(22)에 의해 덮여 있다. 팬 장치(60)는 시로코 팬이며, 예를 들면 축류 팬이나 크로스 플로우 팬을 사용해도 좋다.
흡기구(23)는 탈취 풍로(80)의 최상류에 위치하고, 배기구(24)는 탈취 풍로(80)의 최하류에 위치한다. 팬 장치(60)는 물 탈취부(40)보다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산화 촉매(70)는 팬 장치(60)보다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기구(23)와 배기구(24) 사이에 흡기구(23)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 탈취부(40), 팬 장치(60), 및 산화 촉매(70)가 배치되어 있다.
물 탈취부(40)는 수류부(50)를 갖는다. 수류부(50)는 흡기구(23)와 팬 장치(60) 사이에 위치한다. 물 탈취 유닛(20)이 도 1에 나타내는 변기(100) 위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흡기구(23)는 보울부(101)를 향해 개구된다. 팬 장치(60)의 구동에 의해 흡기구(23)로부터 수류부(50)로 공기가 흡기된다.
예를 들면, 케이스(21)의 내측의 측면에 있어서의 배수구(25)의 근방에 급수부(27)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수부(27)는 예를 들면, 급수구(27a)를 갖는 급수 노즐이다. 물 탈취 유닛(20)이 도 1에 나타내는 변기(100) 위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급수부(27)는 수류부(50)의 외부에 위치하고, 보울부(101)의 개구의 상방에 위치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구(25)는 수류부(50)와 급수부(27) 사이에 위치한다. 급수부(27)는 배수구(25)를 사이에 두고 수류부(50)와 역측의 위치, 또한 급수부(27)로부터 수류부(50)로 급수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급수부(27)의 급수구(27a)는 배수구(25)로 향해져 있다. 예를 들면, 급수원(수도)으로부터 급수부(27)로 급수되고, 급수구(27a)로부터 배수구(25)를 통해 수류부(50)를 향해 물이 급수되어 수류부(50)는 그 물을 모으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류부(50)에 모아진 물은 배수구(25)를 형성하는 배수부(125)로부터 배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기구(23)가 배수구(25)를 겸하고 있다. 배수구(25)는 배수 받이부인 보울부(101)를 향해 개구되고, 수류부(50)에 모아진 물은 배수구(25)로부터 보울부(101)로 배수된다.
수류부(50)에 있어서 팬 장치(60)측에 물 받이벽(41)이 설치되어 있다. 물 받이벽(41)은 수류부(50)의 저면으로부터 탈취 풍로(80) 내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물 받이벽(41)의 상단과 커버(22) 사이에는 수류부(50)로부터 팬 장치(60)측으로의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수류부(50)는 물 받이벽(41)으로부터 배수구(25)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저면(51)을 갖는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탈취 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변기(100)에의 사용자의 착좌가 검지되면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팬 장치(60)가 구동되고, 급수부(27)로부터 수류부(50)로 물이 급수된다. 도 4에 나타내는 급수부(27)의 급수구(27a)로부터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구(25)를 향해 토수되고, 배수구(25)를 통해 수류부(50)로 물이 공급된다. 변기(100)에의 사용자의 착좌의 검지는 변좌나 변기(100), 또는 토일렛 공간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검지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90)에 의한 팬 장치(60)의 구동과, 급수부(27)로부터의 급수는 동시에 개시된다. 또는, 제어부(90)에 의한 팬 장치(60)의 구동의 타이밍과, 급수부(27)로부터의 급수의 타이밍에는 타임 래그가 있어도 좋다. 제어부(90)는 팬 장치(60)의 구동 개시 및 정지, 및 급수부(27)로부터의 물의 급수 개시 및 정지를 제어한다. 제어부(90)에 의해 구동된 팬 장치(60)는 흡기구(23)로부터 탈취 풍로(80) 내로 공기를 흡기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류 동작 시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탈취 풍로(80) 내의 공기의 흐름을 검은색 굵은선의 화살표로 나타낸다. 흡기구(23)로부터 흡기된 공기는 수류부(50)의 공간을 흘러 팬 장치(60)로 빨아들여지고, 또한 팬 장치(60)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산화 촉매(70)를 통과하여 배기구(24)로부터 배기된다.
대기압 하의 공기가 흡기구(23)로부터 탈취 풍로(80) 내로 빨아들여진다. 즉, 팬 장치(60)는 탈취 풍로(80)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 형성 장치로서 기능한다. 수류부(50)의 저면(51)은 배수구(25)를 향해 하향 경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수류부(50)로 급수된 물은 수류부(50)의 저면(51)을 배수구(25)를 향해 흐를 수 있다.
그러나, 팬 장치(60)가 구동된 상태에 있어서는 수류부(50)에 발생한 부압에 의해 물의 배수방향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를 물에 압박하여 제어부(90)에 의해 급수부(27)로부터 급수된 물을 수류부(50)에 모을 수 있다. 공기에 압박된 물(W)은 물 받이벽(41)에 막혀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하류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급수부(27)로부터의 물의 급수는 제어부(90)에 의해 소정 시간 후에 정지된다.
흡기구(23)로부터 흡기되고 악취 성분을 포함한 공기는 수류부(50)에 모아진 물(W)의 수면을 따르도록 흐르고, 수류부(50)에 모아진 물(W)의 수면이 탈취 풍로(80)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악취 성분 중 암모니아나 트리메틸아민 등의 수용성이 높은 악취 성분이 수류부(50)에 모아진 물(W)에 용해되어 탈취된다.
탈취 풍로(80) 중을 더 하류측으로 흐른 공기 중에 있어서의 물(W)에 용해되지 않은 황화수소나 메틸메르캅탄 등의 악취 성분은 산화 촉매(70)에 의해 탈취된다. 산화 촉매(70)는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을 산화시켜 분해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물 탈취부(40)에서 수용성이 높은 암모니아나 트리메틸아민을 탈취할 수 있고, 또한 산화 촉매(70)로 암모니아나 트리메틸아민에 비해 물에 용해되기 어려운 황화수소나 메틸메르캅탄을 탈취할 수 있다. 탈취된 공기는 배기구(24)로부터 배기된다.
또한, 흡기구(23)로부터 공기와 함께 빨아들여진 먼지나 종잇조각 등의 분진을 수류부(50)에 모아진 물(W)로 포착할 수 있어 산화 촉매(70)에 분진이 흐르는 것에 의한 산화 촉매(70)의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팬 장치(60)도 수류부(50)보다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진이 팬 장치(60)에 도달해버리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상 탈취 장치의 흡기구에는 분진을 포착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류부(50)에 의해 분진을 포착할 수 있어 필터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필터를 유지 보수하는 수고를 없앨 수 있다.
또한, 1개의 팬 장치(60)를 사용한 1개의 탈취 풍로(80) 중에 물 탈취부(40)와 산화 촉매(70)를 배치한 간이한 구성에 의해 수용성이 높은 악취 성분과, 그들 악취 성분보다 수용성은 낮지만, 산화 분해성이 높은 악취 성분의 양쪽을 효과적으로 탈취할 수 있다. 대형화 및 복잡화의 억지와 탈취 성능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흐름을 따르는 부압의 형성에 의해 수류부(50)에 물(W)을 모으고, 그 물(W)의 수면이 탈취 풍로(80)의 일부를 형성하고, 물(W)의 수면을 따라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흐른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부압의 형성에 의해 물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미리 탱크에 물을 저장해 두고 저장한 물의 표면에 공기를 접촉시키는 구성으로부터 수면에 접촉하는 공기의 양을 많게 할 수 있어 악취 성분의 물에의 용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대형화 및 복잡화의 억지와 탈취 성능을 양립시킨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수 동작 시의 모식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변기(100)로부터 이좌(離座)하고, 이좌에 의거하여 제어부(90)에 의해 팬 장치(60)의 구동이 정지된다. 팬 장치(60)의 정지에 의해 수류부(50)는 대기압으로 되돌아오고, 물(W)을 모인 상태로 유지하고 있던 힘이 해제된다. 그리고, 수류부(50)의 저면(51)은 배수구(25)를 향해 하향 경사져 있기 때문에 수류부(50)에 모여 있던 물(W)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구(25)로부터 변기(100)의 보울부(101)(도 1에 나타냄)로 배수된다. 또한, 수류부(50)에 모아진 물(W)에 포착된 분진 등도 물(W)과 함께 배수된다. 변기(100)로부터의 사용자의 이좌는 변좌나 변기(100), 또는 토일렛 공간 내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검지된다.
배수 기구로서 가동 부재, 예를 들면 전자 밸브를 사용했을 경우, 전자 밸브의 고착에 의해 개방 밸브 불량이 생겨 배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러한 배수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팬 장치(60)에 의한 부압의 형성을 정지하는 것만으로 배수할 수 있다. 간단한 구성으로 수류부(50)로부터 물을 배수하여 수류부(50)에 남는 물을 적게 할 수 있고, 남은 물에 기인하는 바이오 필름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만일 바이오 필름 또는 분진 등에 의해 배수구(25)가 폐색되어버렸을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류부(50)의 외부로부터 배수구(25)를 통해 수류부(50)로 급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물이 배수구(25)의 폐색물에 의해 막혀 수류부(50)로 급수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수류부(50)로부터 넘친 물이 팬 장치(60)로 빨아들여져 배기구(24)로부터 기외(토일렛 장치(1)의 외부)로 누출되어버리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배수구(25)는 보울부(101)를 향해 개구되어 배수구(25)로부터 보울부(101)로 배수된다. 그 때문에 조작부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세정수에 의해 보울부(101)를 세정하고, 배수 배관으로 세정수를 배수한다는 통상의 변기의 사용에 의해 물 탈취 유닛(20)으로부터의 배수를 처리할 수 있고, 별도 설치한 배수 받이부를 불필요로 한 간이한 구성에 의해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가능해진다.
또한, 급수부(27)가 보울부(101)의 개구의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수구(25)가 폐색되어버렸을 경우에는 급수부(27)로부터 토수되어 배수구(25)의 폐색물에 의해 되튀긴 물을 확실하게 보울부(101)로 배수할 수 있다.
흡기구(23)가 배수구(25)도 겸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흡기구(23)와 배수구(25)를 각각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설치해도 좋지만, 흡기구(23)가 배수구(25)도 겸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별도 설치한 경우에 비해 간이한 구성에 의해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가능해진다.
또한, 흡기구(23)가 배수구(25)도 겸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흡기구(23)와 배수구(25)를 나란히 별도로 설치했을 경우와 같은 사이즈(영역)에 의해 배수구의 개구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배수구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면 폐색되기 어려워진다.
급수부(27)는 1개 또는 복수의 급수구(27a)를 갖는다. 급수구(27a)는 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슬릿이어도 좋다. 또한, 급수부(27)는 미스트 형상의 물을 분무해서 배수구(25)를 통해 수류부(50)로 급수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탈취 장치(10)를 위생 세정 장치(200)에 설치한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의한 탈취 장치는 대변기 및 소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토일렛 공간에 설치되면 좋고, 탈취 장치(10)는 예를 들면, 소변기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배수구는 소변기의 보울부면을 향해 개구되어 배수 받이부인 소변기의 보올부면으로 배수구로부터 배수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부압 형성 장치로서 팬 장치를 채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팬 장치(60)의 공기 흡인에 의해 수류부(50)에 부압을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부압 형성 장치는 수류부에 의해 부압을 형성할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부압 형성 장치로서 펌프를 채용하고, 펌프의 공기 흡인에 의해 수류부(50)에 부압을 형성해도 좋다.
이상,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하여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1 토일렛 장치 10 탈취 장치
20 물 탈취 유닛 23 흡기구
24 배기구 25 배수구
27 급수부 40 물 탈취부
50 수류부 60 팬 장치
70 산화 촉매 80 탈취 풍로
90 제어부 100 변기
101 보울부 200 위생 세정 장치

Claims (4)

  1. 흡기구를 형성하는 흡기부와,
    배기구를 형성하는 배기부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는 팬 장치와,
    상기 흡기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통하여 공기를 유통시키는 탈취 풍로 중에 설치되고, 흡기한 공기를 물에 의해 탈취하는 물 탈취부와,
    상기 물 탈취부로 급수하는 급수부와,
    상기 물 탈취부로부터 배수 받이부로 배수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는 배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물 탈취부와 상기 급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탈취부로 급수하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흡기구인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3. 보울부를 갖는 변기에 설치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보울부를 향해 개구되어 상기 배수 받이부인 상기 보울부로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가 상기 보울부의 개구의 상방에 위치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190099245A 2018-10-18 2019-08-14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KR102674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6775 2018-10-18
JP2018196775 2018-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892A true KR20200043892A (ko) 2020-04-28
KR102674785B1 KR102674785B1 (ko) 2024-06-13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23030A (ja) 2016-06-15 2017-12-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温水洗浄便座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23030A (ja) 2016-06-15 2017-12-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温水洗浄便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22194A (zh) 2020-06-16
US20200123753A1 (en) 2020-04-23
CN111074984B (zh) 2022-12-13
CN111074984A (zh) 2020-04-28
JP2020066990A (ja) 2020-04-30
TWI797371B (zh) 2023-04-01
US11105080B2 (en) 2021-08-31
JP7292613B2 (ja)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3892A (ko)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KR102674785B1 (ko)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CN110847314B (zh) 大便器用除臭装置
JP2002061262A (ja) 水洗便器の洗浄方法及び水洗便器
JP6839406B2 (ja) 衛生洗浄装置
JP7179256B2 (ja)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JP7261391B2 (ja)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JP7212309B2 (ja)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CN110847315B (zh) 卫生间用除臭装置以及卫生洗净装置
JP7245429B2 (ja)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JP2010090621A (ja) 衛生洗浄装置
JP2006283395A (ja) トイレ装置
JP7179257B2 (ja) 大便器用脱臭装置
JP2020165284A (ja)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JP7330432B2 (ja)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JP7395123B2 (ja)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JP7482388B2 (ja)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KR200438550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JP2021127622A (ja)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KR200220460Y1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JPH0751144B2 (ja) 押送兼吸引型排便装置
KR20020034511A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