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195B1 -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195B1
KR101775195B1 KR1020137032886A KR20137032886A KR101775195B1 KR 101775195 B1 KR101775195 B1 KR 101775195B1 KR 1020137032886 A KR1020137032886 A KR 1020137032886A KR 20137032886 A KR20137032886 A KR 20137032886A KR 101775195 B1 KR101775195 B1 KR 101775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ottle
template
image
bottl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308A (ko
Inventor
마사아키 누마즈
Original Assignee
기린 테크노시스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린 테크노시스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기린 테크노시스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54Inspection of sealing surface and container finis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36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using arrays of e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6G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글래스 보틀의 보틀 입구부 등의 특정 위치에 있는 결함을 촬상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는,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을 자전시켜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작성하고, 차분 화상과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모든 차분 화상을 합성하여 차분 합성 화상을 작성하고,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의 모든 차분 화상이 양품의 글래스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차분 합성 화상을 임시 템플릿으로 하고, 임시 템플릿을 사용하여 템플릿을 보정한다.

Description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 {GLASS BOTTLE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글래스 보틀의 보틀 입구부 등의 특정 위치에 있는 결함을 촬상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글래스 보틀의 제조 시에, 보틀 입구부의 두께 내에 금이 간 것과 같은 균열(크랙)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고, 이 균열은 체크(check)라고 칭해지고 있다. 글래스 보틀의 보틀 입구부에 체크가 발생하는 개소는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고, 대표적으로는 보틀 입구의 천장면 부근에 발생하는 체크, 보틀 입구의 나사산부에 발생하는 체크, 보틀 입구의 스커트부에 발생하는 체크가 있다. 체크에는 균열의 방향에 따라, 종방향(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체크, 횡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체크가 있다.
상술한 체크는 글래스 보틀의 파손의 원인으로 되기 때문에 보틀 입구부를 촬상함으로써 체크의 유무를 검출하고, 체크가 있는 글래스 보틀을 불량 보틀로서 배제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부터, 글래스 보틀의 보틀 입구부를 촬상하여 체크의 유무를 자동적으로 검사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는, 1대의 조명을 글래스 보틀의 보틀 입구부의 상방에 설치하고, 보틀 입구부의 주위에 보틀 입구부를 둘러싸도록 다수(예를 들어, 7대)의 카메라를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조명으로부터의 확산 광은 글래스 보틀의 보틀 입구부에 입사하고, 보틀 입구부에 체크가 있는 경우에는, 체크의 균열면에서 반사되어 밝게 빛나므로,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중에서는, 체크에 대응한 화상 부분이 다른 화상 부분보다 밝은 영역으로 된다.
특허 제4478786호 공보
상술한 글래스 보틀의 보틀 입구부의 체크 검사를 행하는 경우,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에 기초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얻어, 이 얻어진 화상을 템플릿과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템플릿 매칭이라 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런데, 글래스 보틀 제조 공장에 있어서는, 복수의 금형을 사용하여 글래스 보틀을 제조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고, 복수의 금형간에서, 그 치수 정밀도에 거의 차이가 없는 상황이어도, 금형으로부터 제품을 탈형하기 쉽게 하기 위해, 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할 필요가 있지만, 금형에 도포하는 이형제의 양이나 금형의 온도 조정에 편차가 있으면, CCD 카메라의 화상에 영향을 미쳐, 본래, 양품으로 판정되어야 하는 글래스 보틀이어도 불량품으로 판정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글래스 보틀 제조 공장에 있어서는, 가동 상황에 의해 기준으로 되는 화상(템플릿)을 다시 볼 필요가 있어, 한번, 템플릿을 작성해 버리면, 이후에는 그 재현성에 주의를 기울이면 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라인의 가동 상황에 대응한 템플릿으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글래스 보틀 제조 공장에 있어서는, 글래스 보틀의 제조를 행하면서, 미리 양품에 기초하여 작성된 템플릿에 새롭게 제조된 글래스 보틀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템플릿을 갱신해 갈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글래스 보틀 제조 공장에서는 단위 시간당의 제조 개수가 다대하고, 글래스 보틀 검사 장치는, 고가이기 때문에 1대로 다수의 글래스 보틀을 검사할 수 있는 고처리량의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로 인해, 글래스 보틀 검사 장치는, 고속으로 체크 검사를 행하는 동시에, 템플릿에의 데이터 추가도 고속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 보틀 검사 장치는, 200BPM(개/분) 이상의 처리 능력이 필요해지고, 글래스 보틀 1개분의 검사에서 촬영하여 처리하는 화상수는 약 200 내지 400매에 걸친다. 200BPM 이상의 처리 능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1초간에 3.3개 이상의 검사를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촬영하여 처리하는 화상수는, 1초간에 660매 내지 1320매로 된다. 즉, 템플릿 매칭의 방법을 글래스 보틀 제조 공장 등에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템플릿 작성과 체크 검사를 동시에 행하는 것이 필수로 되고, 체크가 있는 불량 보틀이 있으면, 체크도 템플릿 데이터로서 추가되어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에 기초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얻어, 이 얻어진 화상을 템플릿과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검사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에 검사 후에 양품으로 판정된 글래스 보틀의 화상 데이터만을 추가하여 템플릿을 보정 또는 갱신해 갈 수 있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의 제1 형태는, 조명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에 기초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상기 템플릿과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의 결함을 검출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이며,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을 자전시켜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작성하고, 상기 차분 화상과 상기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모든 차분 화상을 합성하여 차분 합성 화상을 작성하고, 상기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의 모든 차분 화상이 양품의 글래스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차분 합성 화상을 임시 템플릿으로 하고, 상기 임시 템플릿을 사용하여 상기 템플릿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에 기초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을 자전시켜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2매의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작성하고, 이 차분 화상과 상기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모든 차분 화상을 합성하여 차분 합성 화상을 작성한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의 모든 차분 화상이 양품의 글래스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차분 합성 화상을 임시 템플릿으로 한다. 이 임시 템플릿은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으로부터 작성된 것이므로, 지금까지 검사에 사용하고 있었던 템플릿에 임시 템플릿을 추가 데이터로서 합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차분 합성 화상이 불량 보틀인 것이었던 경우(즉, 차분 화상과 템플릿의 비교 공정에 있어서 검사 1회분의 차분 화상 중 1개라도 불량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차분 합성 화상은 임시 템플릿으로서 합성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을 글래스 보틀 제조 공장에 있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글래스 보틀의 제조를 행하면서, 미리 양품에 기초하여 작성된 템플릿에 새롭게 제조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템플릿을 보정 또는 갱신해 갈 수 있어, 제조 라인의 가동 상황에 대응한 템플릿(화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의 제2 형태는, 조명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에 기초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상기 템플릿과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의 결함을 검출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이며,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을 자전시켜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 또는 이 원화상으로부터 작성된 비교용 화상과 상기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모든 원화상 또는 비교용 화상을 합성하여 합성 화상을 작성하고, 상기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의 모든 원화상 또는 비교용 화상이 양품의 글래스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합성 화상을 임시 템플릿으로 하고, 상기 임시 템플릿을 사용하여 상기 템플릿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에 기초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을 자전시켜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 또는 이 원화상으로부터 작성된 비교용 화상과 상기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모든 원화상 또는 비교용 화상을 합성하여 합성 화상을 작성한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의 모든 원화상 또는 비교용 화상이 양품의 글래스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합성 화상을 임시 템플릿으로 한다. 이 임시 템플릿은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으로부터 작성된 것이므로, 지금까지 검사에 사용하고 있었던 템플릿에 임시 템플릿을 추가 데이터로서 합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합성 화상이 불량 보틀인 것이었던 경우(즉, 원화상 또는 비교용 화상과 템플릿의 비교 공정에 있어서 검사 1회분의 원화상 또는 비교용 화상 중 1개라도 불량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합성 화상은 임시 템플릿으로서 합성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을 글래스 보틀 제조 공장에 있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글래스 보틀의 제조를 행하면서, 미리 양품에 기초하여 작성된 템플릿에 새롭게 제조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템플릿을 보정 또는 갱신해 갈 수 있어, 제조 라인의 가동 상황에 대응한 템플릿(화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템플릿은, 소정수의 양품의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작성하고, 작성된 차분 화상을 겹침으로써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품의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생성한다. 즉, 촬영한 원화상과 다음 타이밍에서 촬영한 원화상을 겹치고, 각각의 화소값을 감산하고, 절대값을 화소값으로 한 것이 차분 화상으로 된다. 그리고 작성된 차분 화상을 겹침으로써 템플릿을 작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임시 템플릿을 추가 데이터로서 상기 템플릿에 합성함으로써, 상기 템플릿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의 결함은, 보틀 입구부의 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의 제1 형태는, 조명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상기 템플릿과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의 결함을 검출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이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을 자전시켜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작성하고, 상기 차분 화상과 상기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모든 차분 화상을 합성하여 차분 합성 화상을 작성하고, 상기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의 모든 차분 화상이 양품의 글래스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차분 합성 화상을 임시 템플릿으로 하고, 상기 임시 템플릿을 사용하여 상기 템플릿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의 제2 형태는, 조명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상기 템플릿과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의 결함을 검출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이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을 자전시켜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 또는 이 원화상으로부터 작성된 비교용 화상과 상기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모든 원화상 또는 비교용 화상을 합성하여 합성 화상을 작성하고, 상기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의 모든 원화상 또는 비교용 화상이 양품의 글래스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합성 화상을 임시 템플릿으로 하고, 상기 임시 템플릿을 사용하여 상기 템플릿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템플릿은, 소정수의 양품의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작성하고, 작성된 차분 화상을 겹침으로써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임시 템플릿을 추가 데이터로서 상기 템플릿에 합성함으로써, 상기 템플릿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의 결함은, 보틀 입구부의 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열거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1)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에 기초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얻어, 이 얻어진 화상을 템플릿과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2)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에 검사 후에 양품으로 판정된 글래스 보틀의 화상 데이터만을 추가하여 템플릿을 보정 또는 갱신해 갈 수 있다.
(3)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을 자전시켜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작성하고, 차분 화상과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모든 차분 화상을 합성하여 차분 합성 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차분 화상과 템플릿 화상은 전혀 다른 형태를 하고 있지만, 차분 합성 화상과 템플릿은, 대략 동일한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면적 계산이나 주위 길이 등의 특징 검사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를 도시하는 입면도이다.
도 3은 조명(LED1) 또는 조명(LED2)으로부터의 광이 글래스 보틀의 보틀 입구부에 입사하고, 보틀 입구부로부터의 광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있는 경우의 광로를 도시하는 모식적 입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의 검사 수순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의 검사 수순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의 검사 수순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의 검사 수순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의 검사 수순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의 검사 수순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의 검사 수순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의 검사 수순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보틀 입구부를 촬영한 화상이다.
도 13은 조정용 원화상 및 검사용 원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도 14는 조정용 원화상, 검사용 원화상 및 차분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도 15는 차분 합성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는, 검사해야 하는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로서 보틀 입구부의 경우를 설명하고, 검사해야 하는 결함이 보틀 입구부에 있어서의 체크인 경우를 설명한다.
검사 대상으로 되는 글래스 보틀은, 검사용의 스타 휠(도시하지 않음)에 보유 지지되고, 스타 휠의 원주상의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된다. 이 스타 휠의 원주상의 반송 경로 도중의 1개의 검사 스테이션에, 본 발명에 관한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검사 스테이션에 있어서, 스타 휠에 의해 반송되는 글래스 보틀이 인덱스(회전 분할)되고, 본 발명에 관한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에 의해 보틀 입구부에 있어서의 체크의 유무가 검사된다.
도 1은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는, 글래스 보틀(1)의 보틀 입구부(2)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2대의 조명(LED1, LED2)과, 1대의 카메라(CAM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보틀 입구부(2)는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조명(LED1) 및 조명(LED2)은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1)을 사이에 두고 카메라(CAM1)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조명(LED1)과 조명(LED2)은, 카메라(CAM1)의 광축(Cx)에 대해 좌우로 대칭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명(LED1, LED2)으로부터의 광이 체크의 균열면에서 좌우의 어느 쪽으로 반사되어도 카메라(CAM1)로 촬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명(LED1, LED2)은 적색 LED 조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카메라(CAM1)는 CCD 카메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를 도시하는 입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래스 보틀(1)은 보틀대(3)에 적재되어 있고, 보틀대(3)를 회전시킴으로써 글래스 보틀(1)은 축심(1x) 주위로 자전하도록 되어 있다. 글래스 보틀(1)의 보틀 입구부(2)는 나사부(2n)와 나사부(2n)의 하방에 있는 스커트부(2s)를 갖고 있다. 글래스 보틀(1)의 보틀 입구부(2)의 경사 상방에는, 2대의 조명(LED1, LED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글래스 보틀(1)의 보틀 입구부(2)의 경사 상방에는, 1대의 카메라(CAM1)가 배치되어 있다.
조명(LED1, LED2) 및 카메라(CAM1)는 컨트롤러(4)에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4)에 의해 제어되어 조명(LED1, LED2)은 교대로 펄스 점등하도록 되어 있고, 카메라(CAM1)는 조명(LED1, LED2)의 펄스 점등과 동기하여 보틀 입구부(2)를 촬상하도록 되어 있다. 즉, 조명(LED1)의 펄스 점등에 맞추어 카메라(CAM1)의 촬영 타이밍이 설정되고, 조명(LED2)의 펄스 점등에 맞추어 카메라(CAM1)의 촬영 타이밍이 설정되어 있다. 컨트롤러(4)는 카메라(CAM1)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카메라(CAM1)에 의해 촬영된 화상은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조명(LED1) 또는 조명(LED2)으로부터의 광이 글래스 보틀(1)의 보틀 입구부(2)에 입사하고, 보틀 입구부(2)로부터의 광이 카메라(CAM1)에 의해 촬영되어 있는 경우의 광로를 나타내는 모식적 입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LED1) 또는 조명(LED2)으로부터의 광은, 글래스 보틀(1)의 보틀 입구부(2)에 입사하고, 보틀 입구부(2)에 체크(B)가 있었던 경우, 보틀 입구부(2)에 입사한 광은 체크(B)의 균열면에서 반사되고, 이 반사광(LR)은 카메라(CAM1)에 의해 촬영된다. 카메라(CAM1)로 촬영한 화상 중에서는, 체크에 상당하는 화상 부분은 다른 화상 부분보다 밝은 영역으로 된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의 검사 수순에 대해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1에 있어서는, 각 화상은 모식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1) 신규 템플릿의 작성 공정
우선, 소정수의 우량 보틀만을 촬영하여 신규 템플릿을 작성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조명(LED1) 또는 조명(LED2)으로부터의 광은, 보틀대(3)에 적재된 글래스 보틀(1)의 보틀 입구부(2)의 상방으로부터 보틀 입구 내에 입사한다. 보틀 입구 내에 입사한 광은 보틀 입구부(2)를 투과 및/또는 반사하여 보틀 입구부(2)의 경사 상방에 배치된 카메라(CAM1)에 의해 촬영된다. 이때, 보틀대(3)에 의해 글래스 보틀(1)을 회전(자전)시키면서, 카메라(CAM1)에 의해 보틀 입구부(2)를 연속해서 촬영하여 다수의 원화상을 얻는다. 컨트롤러(4)에 설치된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 공정과 병행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해서 촬영한 2매의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생성한다. 즉, 촬영한 원화상과 다음 타이밍에서 촬영한 원화상을 겹치고, 각각의 화소값을 감산하고, 절대값을 화소값으로 한 것이 차분 화상으로 된다. 이 경우, 보틀 입구부(2)의 전체 둘레를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으로부터 다수의 차분 화상을 얻는다. 예를 들어, 1회의 검사에서 차분 화상은 약 200 내지 400매 정도 생성된다.
이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분 화상으로부터 임시 템플릿을 작성한다. 이 경우, 화상 처리 장치는, 차분 화상을 몇매나 겹치고, 항상 밝은 쪽의 화소를 우선하고, 화소값으로 한다. 임시 템플릿은, 지정된 조건(검사 개수, 예를 들어 50개의 글래스 보틀)을 만족할 때까지 만들어진다. 템플릿 작성 조건(검사 개수)을 만족하면, 임시 템플릿의 데이터는 검사에서 사용하는 템플릿에 데이터 카피되고, 소정수의 우량 보틀에만 기초하여 신규 템플릿이 작성된다. 또한, 소정수의 우량 보틀로부터 신규 템플릿을 작성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소정 시간에 다수의 우량 보틀을 촬영한 원화상으로부터 신규 템플릿을 작성해도 된다. 즉, 템플릿 작성 조건은, 검사 개수이어도 되고, 검사 시간이어도 된다.
(2) 신규 템플릿을 사용한 글래스 보틀의 검사
우량 보틀만으로 작성된 신규 템플릿을 사용하여, 글래스 보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실제로 제조된 글래스 보틀의 검사를 행한다.
도 2에 도시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에 의해,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1)을 자전시키면서 글래스 보틀(1)의 보틀 입구부(2)를 연속해서 촬영하여 다수의 원화상을 얻는다. 컨트롤러(4)에 설치된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 공정과 병행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해서 촬영한 2매의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생성한다. 즉, 촬영한 원화상과 다음 타이밍에서 촬영한 원화상을 겹치고, 각각의 화소값을 감산하고, 절대값을 화소값으로 한 것이 차분 화상으로 된다. 예를 들어, 1회의 검사에서 차분 화상은 약 200 내지 400매 정도 생성된다.
이어서, 화상 처리 장치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분 화상과 신규 템플릿을 비교하여, 차분 화상이 템플릿보다도 어두운 화소값으로 구성된 경우에 보틀 입구부(2)에 체크가 없는 우량 보틀로 판정하고, 차분 화상이 템플릿보다도 밝은 화소값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보틀 입구부(2)에 체크가 있는 불량 보틀로 판정한다. 1개의 글래스 보틀을 검사하고 있는 동안에 차분 화상은 연속해서 생성되고, 차분 화상이 생성될 때마다 템플릿과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판정을 행한다.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차분 화상과 템플릿의 비교에 의한 판정과 병행하여, 생성된 차분 화상을 순차 합성해 간다. 이와 같이 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차분 화상(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으로부터 얻은 다수의 차분 화상)을 합성하여 차분 합성 화상을 작성한다. 예를 들어, 1회의 검사에서 얻어진 약 200 내지 400매의 차분 화상을 합성하여 차분 합성 화상을 작성한다.
(3) 템플릿의 갱신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도 8에 나타내는 차분 합성 화상이 우량 보틀인 것이었던 경우(즉, 도 7에 나타내는 비교 공정에 있어서 검사 1회분의 모든 차분 화상이 우량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화상 처리 장치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분 합성 화상을 임시 템플릿으로서 합성한다. 이에 대해,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차분 합성 화상이 불량 보틀인 것이었던 경우(즉, 도 7에 나타내는 비교 공정에 있어서 검사 1회분의 차분 화상 중 1개라도 불량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차분 합성 화상은 임시 템플릿으로서 합성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우량 보틀로부터 얻어진 임시 템플릿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금까지 검사에 사용한 템플릿에 추가 데이터로서 합성된다. 임시 템플릿을 추가 데이터로서 합성하는 경우, 가공하여 합성해도 되고, 그대로 합성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글래스 보틀 제조 공장에 있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글래스 보틀의 제조를 행하면서, 미리 양품에 기초하여 작성된 템플릿에 새롭게 제조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템플릿을 보정 또는 갱신해 갈 수 있고, 제조 라인의 가동 상황에 대응한 템플릿(화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보정 또는 갱신된 템플릿을 사용하여 다음 글래스 보틀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성된 차분 합성 화상과 템플릿을 비교하여 면적 계산이나 주위 길이 등의 특징 검사를 행해도 된다. 차분 화상과 템플릿 화상은 전혀 다른 형태를 하고 있지만, 차분 합성 화상과 템플릿은, 대략 동일한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면적 계산이나 주위 길이 등의 특징 검사도 가능하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5는, 실제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공정에서 얻어진 화상이다. 도 12는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보틀 입구부를 촬영한 화상이다. 도 13은 조정용 원화상 및 검사용 원화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조정용 원화상, 검사용 원화상 및 차분 화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조정용 원화상은, 세로 체크가 존재하는 글래스 보틀을 촬영한 화상이며, 글래스 보틀의 자전에 의해 세로 체크의 위치가 변화하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상측의 화상은 세로 체크가 정면에 있는 경우의 각 화상이며, 하측의 화상은 세로 체크가 정면으로부터 +6°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의 각 화상이다. 도 14에 있어서, 상측의 화상은 세로 체크가 정면으로부터 +12°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에 얻어지는 각 화상이며, 하측의 화상은 세로 체크가 정면으로부터 +18°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에 얻어지는 각 화상이다. 도 15는 차분 합성 화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생성하고, 차분 화상과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를 판정하였지만, 원화상이 직접 템플릿과 비교할 수 있는 경우에는, 원화상과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과는 다른 형태의 비교용 화상을 생성하고, 비교용 화상과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비교용 화상을 합성하여 합성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글래스 보틀의 보틀 입구부의 체크를 검출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보틀 입구부 이외의 부위, 예를 들어 보틀 바닥부 등의 체크를 검출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글래스 보틀은, 사용 후의 보틀을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리터너블 보틀도 있고, 이 리터너블 보틀은 사용 중이나 수송 중 등에 있어서 보틀끼리가 접촉하거나 다른 물품에 접촉하여 보틀 입구부에 체크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리터너블 보틀의 체크를 검출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다른 형태에서 실시되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글래스 보틀의 보틀 입구부 등의 특정 위치에 있는 결함을 촬상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1 : 글래스 보틀
2 : 보틀 입구부
2n : 나사부
2s : 스커트부
3 : 보틀대
4 : 컨트롤러
Cx : 축심
CAM1 : 카메라
LED1, LED2 : 조명

Claims (10)

  1. 조명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에 기초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상기 템플릿과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의 결함을 검출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이며,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을 자전시켜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2매의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작성하고,
    상기 차분 화상과 상기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모든 차분 화상을 합성하여 차분 합성 화상을 작성하고,
    상기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의 모든 차분 화상이 양품의 글래스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차분 합성 화상을 임시 템플릿으로 하고,
    상기 임시 템플릿을 사용하여 상기 템플릿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은, 소정수의 양품의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작성하고, 작성된 차분 화상을 겹침으로써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템플릿을 추가 데이터로서 상기 템플릿에 합성함으로써, 상기 템플릿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의 결함은, 보틀 입구부의 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5. 조명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에 기초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상기 템플릿과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의 결함을 검출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이며,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을 자전시켜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 또는 이 원화상으로부터 작성된 비교용 화상과 상기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모든 원화상 또는 비교용 화상을 합성하여 합성 화상을 작성하고,
    상기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의 모든 원화상 또는 비교용 화상이 양품의 글래스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합성 화상을 임시 템플릿으로 하고,
    상기 임시 템플릿을 추가 데이터로서 상기 템플릿에 합성함으로써, 상기 템플릿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6. 조명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상기 템플릿과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의 결함을 검출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이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을 자전시켜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2매의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작성하고,
    상기 차분 화상과 상기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모든 차분 화상을 합성하여 차분 합성 화상을 작성하고,
    상기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의 모든 차분 화상이 양품의 글래스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차분 합성 화상을 임시 템플릿으로 하고,
    상기 임시 템플릿을 사용하여 상기 템플릿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은, 소정수의 양품의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순차 작성하고, 작성된 차분 화상을 겹침으로써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템플릿을 추가 데이터로서 상기 템플릿에 합성함으로써, 상기 템플릿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의 결함은, 보틀 입구부의 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
  10. 조명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미리 촬영한 양품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하여 기준 화상으로 되는 템플릿을 작성해 두고,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화상을 상기 템플릿과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특정 부위의 결함을 검출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이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을 자전시켜 글래스 보틀을 연속해서 촬영한 원화상 또는 이 원화상으로부터 작성된 비교용 화상과 상기 템플릿을 비교하여 글래스 보틀의 양부의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검사 대상의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에서 얻어진 모든 원화상 또는 비교용 화상을 합성하여 합성 화상을 작성하고,
    상기 글래스 보틀의 검사 1회분의 모든 원화상 또는 비교용 화상이 양품의 글래스 보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합성 화상을 임시 템플릿으로 하고,
    상기 임시 템플릿을 추가 데이터로서 상기 템플릿에 합성함으로써, 상기 템플릿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보틀의 검사 장치.
KR1020137032886A 2011-06-15 2011-06-15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1775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4186 WO2012172695A1 (ja) 2011-06-15 2011-06-15 ガラス壜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308A KR20140031308A (ko) 2014-03-12
KR101775195B1 true KR101775195B1 (ko) 2017-09-05

Family

ID=4735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886A KR101775195B1 (ko) 2011-06-15 2011-06-15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47241B2 (ko)
EP (1) EP2722666B1 (ko)
JP (1) JP5760275B2 (ko)
KR (1) KR101775195B1 (ko)
WO (1) WO2012172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5401B2 (ja) * 2012-12-14 2018-03-20 キリンテクノシステム株式会社 ガラス壜の検査装置
CN103226814B (zh) * 2013-04-02 2015-09-30 湖南大学 一种基于医药视觉检测机器人图像校正的药瓶异物检测方法
DE102014002582B4 (de) 2014-02-26 2018-10-11 Heye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von Rissen in den Wandungen von Hohlglasartikeln
US11308601B2 (en) * 2015-04-29 2022-04-19 Emhart Glass S.A. Container inspection system with individual light control
US10012598B2 (en) 2015-07-17 2018-07-03 Emhart S.A. Multi-wavelength laser check detection tool
CN108474739B (zh) * 2016-01-07 2021-10-01 阿科玛股份有限公司 测量基材上沉积的涂层的厚度的光学方法
US10788314B2 (en) 2016-01-07 2020-09-29 Arkema Inc. Object position independent method to measure the thickness of coatings deposited on curved objects moving at high rates
US11125549B2 (en) 2016-01-07 2021-09-21 Arkema Inc. Optical intensity method to measure the thickness of coatings deposited on substrates
IT201600082297A1 (it) 2016-08-04 2018-02-04 Antares Vision S R L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i qualità in continuo di contenitori
US10922810B2 (en) * 2017-08-25 2021-02-16 Baxter International Inc. Automated visual inspection for visible particulate matter in empty flexible containers
CN116152207A (zh) * 2023-02-27 2023-05-23 上海福柯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剪影自适应学习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9855A (ja) * 2001-11-16 2005-04-14 ハイネケン・テクニカル・サービシズ・ベスローテン・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 とりわけ容器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44A (ja) * 1981-06-26 1983-01-05 Suntory Ltd 瓶類の検査方法
JPS63277960A (ja) * 1987-05-11 1988-11-15 Shokuhin Sangyo Onrain Sensor Gijutsu Kenkyu Kumiai ねじ口部の欠陥検査方法
JPH0736001B2 (ja) * 1990-10-31 1995-04-19 東洋ガラス株式会社 びんの欠陥検査方法
JP3097191B2 (ja) 1991-06-28 2000-10-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操舵反力制御装置
DK0842415T3 (da) * 1995-08-04 2001-03-05 Image Proc Systems Inc Flaskegevindinspektionssystem og fremgangsmåde til betjening af samme
US6536294B1 (en) * 1997-05-14 2003-03-25 Emhart Glass S.A. Inspection machine
JP3013324B2 (ja) 1997-10-06 2000-02-28 株式会社プレシジョン ガラス容器の口部・ネジ部ビリ検査装置
US6618495B1 (en) * 1998-02-19 2003-09-09 Emhart Glass, S.A. Container inspection machine
US7781723B1 (en) * 1998-02-19 2010-08-24 Emhart Glass S.A. Container inspection machine using light source having spatially cyclically continuously varying intensity
JP4653340B2 (ja) * 2001-05-31 2011-03-16 大和製罐株式会社 3板式ccdカメラを用いた缶外観検査装置
JP4653339B2 (ja) * 2001-05-31 2011-03-16 大和製罐株式会社 画像マッチング処理方法
DE60225354T2 (de) * 2002-10-18 2009-02-19 Kirin Techno-System Corp., Yokoham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referenzbildes bei einer prüfvorrichtung für glasflaschen
WO2004036197A1 (ja) * 2002-10-18 2004-04-29 Kirin Techno-System Corporation ガラス壜の検査装置
AU2002344113A1 (en) * 2002-10-18 2004-05-04 Kirin Techno-System Corporation Glass bottle mouth part inspection device
US7626158B2 (en) * 2006-10-23 2009-12-01 Emhart Glass S.A. Machine for inspecting glass contain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9855A (ja) * 2001-11-16 2005-04-14 ハイネケン・テクニカル・サービシズ・ベスローテン・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 とりわけ容器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19634A1 (en) 2014-05-01
EP2722666A1 (en) 2014-04-23
KR20140031308A (ko) 2014-03-12
EP2722666B1 (en) 2020-07-15
JPWO2012172695A1 (ja) 2015-02-23
JP5760275B2 (ja) 2015-08-05
US9147241B2 (en) 2015-09-29
EP2722666A4 (en) 2015-03-25
WO2012172695A1 (ja)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195B1 (ko)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1951576B1 (ko)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832081B1 (ko) 표면 결함 검출 방법 및 표면 결함 검출 장치
CN106796179B (zh) 检查装置以及检查方法
US9677879B2 (en) Tire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73302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eference image in glass bottle inspecting apparatus
JP2007303853A (ja) 端部検査装置
TW201531695A (zh) 自動外觀檢查裝置
JP2015068668A (ja) 外観検査装置
TW201702581A (zh) 檢測待測目標物的檢測裝置與方法
CN110431405B (zh) 玻璃瓶的检查装置
JP2007303854A (ja) 端部検査装置
JP2010151473A (ja) ねじ口壜の検査装置
WO2013018207A1 (ja) 容器口部検査方法及び装置
KR101496993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방법
JP2022105581A (ja) 成形不良の検出方法
JP2002303583A (ja) 容器の検査方法及び容器の検査装置
JP6295401B2 (ja) ガラス壜の検査装置
JP200624486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検査装置、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デバイスの検査方法
JP2018112456A (ja) 物品検査装置及び物品検査方法
KR20220065518A (ko)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
KR102329518B1 (ko)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면적 기판 고속 검사를 위한 리니어 멀티영상 취득 방법
JP2010151463A (ja) オフライン演算機能を備えた検査機
JP2006189463A (ja) 物品表面の検査方法
JP5257224B2 (ja) 物品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