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518A -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518A
KR20220065518A KR1020200152119A KR20200152119A KR20220065518A KR 20220065518 A KR20220065518 A KR 20220065518A KR 1020200152119 A KR1020200152119 A KR 1020200152119A KR 20200152119 A KR20200152119 A KR 20200152119A KR 20220065518 A KR20220065518 A KR 20220065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oving
glass inspection
uni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구
Original Assignee
비전코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전코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전코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5518A/ko
Publication of KR2022006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6Optical defects in or on transparent materials, e.g. distortion, surface flaws in conveyed flat sheet or r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09Adjustment for highlighting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38Stroboscopic illumination; synchronised illu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41Illumination and detection on two sides of obj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는 글라스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글라스 검사 장치에 있어서, 글라스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글라스를 촬영하는 라인스캔 카메라,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을 위해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결합하고 분석하여 글라스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조명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글라스의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 {Apparatus and System for Inspecting the Glass}
본 발명은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의 조명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글라스의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LED, LCD 등의 디스플레이 전 분야 및 그 외 응용분야에서 사용되는 글라스(Glass) 제조는 기술적인 진보와 함께 양산 경쟁력의 확보 또한 매우 중요한 산업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를 위해서 글라스를 제조하는 업체에는 높은 품질을 일관되게 제공하고 까다로운 검출 기준을 이용하여 불량품의 검출이 가능한 검사 장치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OLED나 LCD는 커다란 원장(마더글라스)을 놓고 그 위에 여러 공정을 거치면서 패널을 제조하는 방식이며, 패널은 사이즈 별로 각각 따로 제조되는 것이 아니라 한 장의 원장에서 제조된 패널을 여러 조각으로 나누는 것이기에 각 세대는 범용적으로 정해진 규격이 있는 것은 아니나 제조사에 따라 통상적으로 비슷한 크기의 원장을 사용하게 된다.
원장의 면적은 현재 약 100배 증가했는데 디스플레이 원장 크기가 커지는 이유는 패널 생산성 효율이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즉, 원장이 커지면 한 번에 더 많은 패널, 혹은 사이즈가 더 큰 패널의 생산량을 늘릴 수 있고, 여러 단계의 제조과정을 거쳐야 하는 디스플레이는 여러 개의 원장을 투입해 생산하는 것보다 큰 원장을 넣어 한 번에 많은 양을 생산하는 것이 시간상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히 디스플레이 원장이 커졌다고 해서 생산 효율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원장에서 최대한 버려지는 면적 없이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원장에서 실제 패널로 만들어질 수 있는 영역의 비율을 면취 효율이라고 하며 패널 사이즈에 따라 원장에서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면취 효율이 높아야 생산 단가 측면에서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결국, 면취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원장(마더글라스)과 베어글라스는 크게 제작될 수밖에 없는데, 생산 공정 상 발생하는 결함의 검출을 위한 검사 장비는 이를 검사할 정도로 크게 제작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검사 공정에서는 원장(마더글라스)과 베어글라스 외관의 이미지를 획득 하여 검사 작업을 수행하는 검사시스템으로 불량 검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비용이 저렴하고 작동이 용이한 반면에, 정지해 있는 대상체의 전체 이미지를 획득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현저히 느려 고객사가 요구하는 생산량 을 맞추기 힘들며, 단위 시간 당 같은 양의 검사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복수의 광학계 모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3085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조명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글라스의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는 글라스(Glass)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글라스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글라스를 촬영하는 라인스캔 카메라;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을 위해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결합하고 분석하여 상기 글라스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부에서 상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일정한 속도는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명부는 적어도 4개의 조명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조명은 시간분할 방법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명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조명의 조사 시간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속도 및 상기 이동부의 일정한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명부가 4개의 조명으로 구성된 경우에, 상부 2개 조명의 조사 방향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방향의 직선과 30도를 이루고, 하부 2개 조명의 조사 방향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방향의 직선과 60도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시스템은 복수의 글라스 검사 장치로 구성된 글라스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검사 장치는 상기 글라스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글라스를 촬영하는 라인스캔 카메라;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을 위해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결합하고 분석하여 상기 글라스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 검사 장치의 갯수는 상기 글라스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글라스 검사 장치는 상기 글라스의 폭을 모두 검사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글라스 검사 장치 간의 간섭을 배제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종래의 방법으로는 검사할 수 없는 크기의 글라스의 경우에도 복수의 글라스 검사 장치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를 이동하면서 글라스 검사를 수행하므로, 글라스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검사하는 방법에 비하여, 월등하게 빠른 검사 속도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복수의 조명을 시간분할 방법으로 점등하면서 촬영하고, 각각의 조명에 맞추어 촬영한 영상을 결합하여 분석하므로, 단일의 조명으로는 검출할 수 없는 글라스의 다양한 결함(미세 균열, 부스러짐, 찍힘, 눌림, 코팅 불량, 가공 불량, 기포, 이물질 등의 결함)을 보다 효율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에서 각각의 조명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에서 각각의 조명이 빛을 조사하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의 개발 제품을 상부에서 촬영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의 개발 제품을 하부에서 촬영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에서 각각의 조명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에서 각각의 조명이 빛을 조사하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의 개발 제품을 상부에서 촬영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의 개발 제품을 하부에서 촬영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100)는 글라스(Glass)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글라스 검사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이동부(110);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글라스를 촬영하는 라인스캔 카메라(120);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을 위해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130); 및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결합하고 분석하여 상기 글라스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부(14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동부(110)는 글라스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동부의 상부에 글라스를 배치하고, 이동부의 컨베이어 벨트 등의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부(110)에서 상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일정한 속도는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의 촬영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의 촬영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상기 글라스를 빠른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지만,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의 촬영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상기 글라스를 느리게 이동시켜야만 할 것이다. 이것은 글라스 제조 공정의 시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는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글라스를 촬영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라인스캔 카메라는 복사기와 같은 원리로 작동하는데, 라인 단위로 대상물 전체를 촬영하고, 영상을 결합하여 분석하는 카메라를 말한다.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 전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글라스에 존재하는 결함을 분석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상기 조명부(130)는 라인스캔 카메라(120)의 촬영을 위해 빛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명부(130)는 적어도 4개의 조명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조명은 시간분할 방법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조명부(130)가 4개의 조명으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조명부(130) 각각의 조명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의 촬영을 위하여 시간분할 방법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게 되며,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 및 상기 분석부(140)에 의하여, 4개의 조명에 따른 각각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결합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조명부(130)를 구성하는 각각의 조명의 조사 시간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의 촬영 속도 및 상기 이동부(110)의 일정한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으며, 각각의 조명의 점등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조명부(130)가 4개의 조명으로 구성된 경우에, 상부 2개 조명의 조사 방향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방향의 직선과 30도(α)를 이루고, 하부 2개 조명의 조사 방향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방향의 직선과 60도(β)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명부(130)는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을 제공하고, 다양한 각도의 조명에 따라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는 각각 촬영을 진행하고, 각각 촬영된 4개의 영상을 결합하여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영상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상기 분석부(140)는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의 촬영 영상을 결합하고 분석하여 상기 글라스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는 것일 수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부(130)에서 제공하는 조명에 따른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의 촬영 영상을 결합하여, 상기 글라스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시스템(1000)은 복수의 글라스 검사 장치로 구성된 글라스 검사 시스템(1000)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검사 장치(100)는 상기 글라스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이동부(110);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글라스를 촬영하는 라인스캔 카메라(120);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을 위해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130); 및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결합하고 분석하여 상기 글라스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 검사 장치의 갯수는 상기 글라스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글라스 검사 장치(100)는 상기 글라스의 폭을 모두 검사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글라스 검사 장치(100) 간의 간섭을 배제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상기 글라스 검사 시스템(1000)은 상기 글라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글라스 검사 장치를 배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글라스의 폭을 모두 검사할 수 있도록 3개의 글라스 검사 장치(100)를 배치하였으며, 상기 글라스 검사 장치(100) 각각의 조명부(130) 및 라인스캔 카메라(120)의 촬영 영상에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진행 방향으로, 각각 거리 d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즉, 상기 각각의 라인스캔 카메라(120)의 촬영 영상에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최소 거리가 되도록 이격 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위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글라스 검사 장치(100) 배치에 따라, 상기 글라스 검사 장치 각각의 커버리지 보다 훨씬 큰 글라스도 불량 검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며, 각각의 글라스 검사 장치(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결합 및 분석하여 효율적인 글라스 검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검사 장치의 개발 제품을 상부 및 하부에서 촬영한 도면으로, 상기 글라스 검사 장치(100)의 조명부(130)의 배치 위치 및 각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조명부(130)에서 상부 2개 조명의 조사 방향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의 직선과 30도(α)를 이루고, 하부 2개 조명의 조사 방향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의 직선과 60도(β)를 이루게 설정된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글라스 검사 장치
110: 이동부
120: 라인스캔 카메라
130: 조명부
140: 분석부
1000: 글라스 검사 시스템

Claims (7)

  1. 글라스(Glass)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글라스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글라스를 촬영하는 라인스캔 카메라;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을 위해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결합하고 분석하여 상기 글라스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는 글라스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서 상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일정한 속도는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적어도 4개의 조명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조명은 시간분할 방법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조명의 조사 시간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속도 및 상기 이동부의 일정한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검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가 4개의 조명으로 구성된 경우에, 상부 2개 조명의 조사 방향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방향의 직선과 30도를 이루고, 하부 2개 조명의 조사 방향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방향의 직선과 60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검사 장치.
  6. 복수의 글라스 검사 장치로 구성된 글라스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검사 장치는 상기 글라스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글라스를 촬영하는 라인스캔 카메라;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을 위해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결합하고 분석하여 상기 글라스의 불량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 검사 장치의 갯수는 상기 글라스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글라스 검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글라스 검사 장치는
    상기 글라스의 폭을 모두 검사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글라스 검사 장치 간의 간섭을 배제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검사 시스템.
KR1020200152119A 2020-11-13 2020-11-13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65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119A KR20220065518A (ko) 2020-11-13 2020-11-13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119A KR20220065518A (ko) 2020-11-13 2020-11-13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518A true KR20220065518A (ko) 2022-05-20

Family

ID=8179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119A KR20220065518A (ko) 2020-11-13 2020-11-13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55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935A1 (en) * 2022-11-04 2024-05-10 UnitX, Inc. Inspection camera controller seque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856B1 (ko) 2015-03-09 2016-06-15 한국과학기술원 다분광 포토메트릭 스테레오 시스템 그리고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856B1 (ko) 2015-03-09 2016-06-15 한국과학기술원 다분광 포토메트릭 스테레오 시스템 그리고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935A1 (en) * 2022-11-04 2024-05-10 UnitX, Inc. Inspection camera controller sequ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05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inspection of wafer saw marks
KR101775195B1 (ko) 글래스 보틀의 검사 방법 및 장치
WO2014139231A1 (zh) 光源光强均一性测调系统及测调方法
WO2012153662A1 (ja) 透光性板状体の微小欠点の検査方法および透光性板状体の微小欠点の検査装置
CN110036281B (zh) 玻璃板的检查方法及其制造方法以及玻璃板的检查装置
US20010048522A1 (en) Defect inspection method and defect inspection apparatus
US8135206B2 (en) Machine for inspecting glass containers
JP2015105930A (ja) 透光性基板の微小欠陥検査方法および透光性基板の微小欠陥検査装置
JP2007187516A (ja) 無端金属ベルトのr端面の傷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5214980A (ja) ウエハのマクロ検査方法および自動ウエハマクロ検査装置
WO2015174114A1 (ja) 基板検査装置
TW201140043A (en) End face inspection method for light-pervious rectangular sheets and end face inspection apparatus
JP4971456B2 (ja) ガラス基板の品質検査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US9255893B2 (en) Apparatus for illuminating substrates in order to image micro cracks, pinholes and inclusions in monocrystalline and polycrystalline substrates and method therefore
KR20220065518A (ko) 글라스 검사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97929A (ko) 유리 시트 검사 장치 및 방법
JPH04128635A (ja) 検査方法及び装置
KR102000907B1 (ko) 페라이트 외관 비전 검사방법
KR101796931B1 (ko) 렌즈 어셈블리 결함 검사장치
JP2008286646A (ja) 表面疵検査装置
KR20230044505A (ko) 재료를 검사하는 방법들 및 장치
TWI711816B (zh) 一種檢驗物件的系統及方法
JP2012088139A (ja) 塗工膜の欠陥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N110646432A (zh) 玻璃裂纹检查系统及方法
CN116997927A (zh) 曲面基板气泡检测方法及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