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895B1 - 지엽류 반송용 롤러 - Google Patents

지엽류 반송용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895B1
KR101774895B1 KR1020127026383A KR20127026383A KR101774895B1 KR 101774895 B1 KR101774895 B1 KR 101774895B1 KR 1020127026383 A KR1020127026383 A KR 1020127026383A KR 20127026383 A KR20127026383 A KR 20127026383A KR 101774895 B1 KR101774895 B1 KR 10177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edge portion
annular grooves
roller body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677A (ko
Inventor
유쿠히코 이시바시
도모히사 시마다
야스히사 우에다
아키후미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0Special constructions, e.g. surface features, of feed or guide rollers f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1/00Materials used for the handl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Properties thereof
    • B65H2401/10Materials
    • B65H2401/11Polymer compositions
    • B65H2401/111Elasto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4Built-up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7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comprising hollow por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지엽류(紙葉類) 반송용(搬送用) 롤러는, 지지체(12)의 외주측에 롤러 본체(20)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롤러 본체(20)는, 지지체(12)와의 사이에 공동(空洞)(19)을 형성하도록 배치한 통형부(21)와, 통형부(21)의 축 방향에서의 양단 각각으로 연장된 링형의 측벽(22, 22)을 구비한다. 지지체(12)의 외주면에, 2개의 환형(環形) 홈(13, 13)과, 각각의 환형 홈(13, 13)으로부터 분기(分岐)되는 제1 및 제2 분기홈(14A, 14B)을 형성한다. 측벽(22, 22)의 내주 에지부(25, 25)는 환형 홈(13, 13)에 끼워맞추어진다. 내주 에지부(25, 25)에 축 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를 형성한다. 돌출부(26A, 26B)는, 분기홈(14A, 14B)에 끼워맞추어진다.

Description

지엽류 반송용 롤러{PAPER SHEET CONVEYING ROLL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프린터, 복합기, 복사기, 팩스 등의 용지 이송에 사용되는, 지엽류(紙葉類) 반송용(搬送用) 롤러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스 등에 있어서 용지 이송 용도로 중공(中空) 롤러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중공 롤러는, 샤프트가 내부에 삽통(揷通)되고, 롤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지지체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롤러 본체로 구성된다. 롤러 본체는 예를 들면,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된 통형부의 축 방향에서의 양단에, 링형의 측벽이 연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롤러 본체는, 링형 측벽의 내주 에지부가, 지지체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環形) 홈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지지체에 장착된다.
이 종류의 중공 롤러에서는, 롤러 본체가 지지체에 대하여, 주위 방향으로 미끄러짐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가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중공 롤러에서는, 환형 홈의 내주면 및 링형 측벽의 내주 에지부가 단면(斷面)이 원호형으로 되어, 환형 홈과 내주 에지부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는 동시에, 이들이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주위 방향에서의 롤러 본체의 회전이 방지된다.
일본 특허 제3496024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과 같이 접촉 면적을 크게 하고, 또한 내주 에지부를 환형 홈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킨 구성에서는, 롤러 본체의 회전이, 마찰력에 의해 규제될뿐이므로, 사용 태양(態樣; aspect)에 따라서는 롤러 본체의 미끄러짐 회전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접착제에 의해, 내주 에지부를 환형 홈 내부에 접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그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롤러 본체를 지지체로부터 교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롤러 본체의 지지체에 대한 미끄러짐 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지엽류 반송용 중공 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지엽류 반송용 롤러는, 축부(軸部)가 설치되고, 또한 외주면에 제1 및 제2 환형 홈이 형성된 지지체와, 지지체의 외주측에, 지지체와의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통형부와, 통형부의 축 방향에서의 양단 각각으로 연장되고, 또한 링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내주 에지부가 제1 및 제2 환형 홈 내부 각각에 끼워맞추어지는 제1 및 제2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롤러 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측벽의 한쪽 또는 양쪽의 내주 에지부의 주위 방향에서의 일부에, 돌출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제1 및 제2 환형 홈의 한쪽 또는 양쪽에, 그 돌출부 또는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는, 내주 에지부의 주위 방향에서의 일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오목부는, 제1 및 제2 환형 홈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분기(分岐)되도록 형성된다. 오목부는, 예를 들면, 제1 및 제2 환형 홈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홈으로서, 지지체의 축 방향에서의 단면(端面)에서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는, 내주 에지부의 주위 방향에서의 일부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 양측으로 돌출된다. 내주 에지부는, 예를 들면, 축 방향으로 팽창되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는, 그 두껍게 형성된 내주 에지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오목부는, 두껍게 형성된 내주 에지부에 있어서 축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돌출부는 내주 에지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도 되고, 이 경우 오목부는, 환형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된다. 오목부는 내주 에지부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어도 되고, 이 경우, 돌출부는 환형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롤러 본체에는, 공동 내의 공기를 송출입(送出入)시키는 공기 출입공이 형성되어도 된다.
돌출부 또는 오목부는, 내주 에지부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 본체에는, 외주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주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내부에 매설(埋設)되는 편포(編布; knitted fabric)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측벽의 내주 에지부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오목부가, 환형 홈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돌출부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롤러 본체가 지지체에 대하여 주위 방향으로 미끄러짐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엽류 반송용 롤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의 지지체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지지체에 장착되기 전의 롤러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5에 있어서의 IV-IV선 상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지엽류 반송용 롤러의 상면도로서, 롤러 본체에 관하여는 내주 에지부 및 돌출부만을 사선 부분으로 나타내고, 그 외의 부분은 생략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5에서의 VI-VI선 상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의 VII-VII선 상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8은 내주 에지부 및 환형 홈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의 롤러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의 롤러 본체의 단면도로서,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에서의 내주 에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의 롤러 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의 지엽류 반송용 롤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가 분기홈에 끼워맞추어지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4에서의 A-A선 상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예의 지엽류 반송용 롤러의 상면도로서, 롤러 본체에 관하여는 내주 에지부 및 돌출부만을 사선 부분으로 나타내고, 그 외의 부분은 생략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5 실시예의 지엽류 반송용 롤러의 상면도로서, 롤러 본체에 관하여는 내주 에지부 및 돌출부만을 사선 부분으로 나타내고, 그 외의 부분은 생략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서의 B-B선 상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6 실시예의 지엽류 반송용 롤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8의 C-C선 상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의 D-D선 상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19은 제7 실시예의 지엽류 반송용 롤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0의 E-E선 상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서의 F-F선 상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8 실시예의 지엽류 반송용 롤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2에서의 G-G선 상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8 실시예의 지엽류 반송용 롤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에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반송용 롤러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엽류 반송용 롤러(10)는, 지지체(12)의 외주측에 롤러 본체(2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지지체(12)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측에 롤러(10)의 회전축(축부)을 구성하는 샤프트(11)가 삽통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12)의 축 방향에서의 양단은, 양단의 사이의 부분보다 외경이 한층 크게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flange portion)(18, 18)로서 형성된다. 지지체(12)는, 예를 들면, 경질 수지,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플랜지부(18)[즉, 지지체(12)]의 외주면에는, 주위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환형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 홈(13) 각각은,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홈 바닥면(13X)이 단면이 반원형 또는 원호형이며, 홈 측면(13Y, 13Y)이 축 방향과 거의 수직인 평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플랜지부(18)[즉, 지지체(12)]의 외주면에는, 환형 홈(13)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홈(14)[제1 및 제2 분기홈(14A, 14B)]이 형성된다.
플랜지부(18) 각각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환형의 관통공(30)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공(30)은, 샤프트(11)를 둘러싸도록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관통공(30)은, 한쪽의 개구가, 지지체(12)의 축 방향에서의 단면(端面)(12C, 12D)[플랜지부(18, 18)의 외측의 측면]으로, 다른 쪽의 개구가 플랜지부(18, 18)의 내측의 측면(18C, 18D)으로 개구된다. 각 관통공(30)은, 롤러(10)의 외부와 플랜지부(18, 18) 사이의 스페이스[즉, 후술하는 공동(19)]를 연통시킨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본체(20)는, 외주면이 지엽류에 접촉하기 위한 대략 원통형상의 통형부(21)와, 통형부(21)의 축 방향에서의 양단 각각으로 연장되는 양 측벽(22, 22)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며, 이들 통형부(21) 및 양 측벽(22, 22)은 박막형으로 형성된다. 통형부(21)는, 그 외주면에, 예를 들면,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지엽류에 대하여 반송력을 부여할 수 있다.
각각의 측벽(22)은, 통형부(21)의 축 방향에서의 양단 각각의 전체 주위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대략 원환(圓環)의 링형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측벽(22)은, 지지체(12)에 장착된 상태로, 축 방향과 거의 수직이다. 즉, 각각의 측벽(22)은, 접속 각도 α(도 4 참조)가 90°이며 통형부(21)의 축 방향에서의 양 단부 각각으로 연장된다. 단, 접속 각도 α는 90°보다 커도 되고, 작아도 된다.
각각의 측벽(22)의 내주 에지부(25)는, 측벽(22)의 그 외의 부분의 두께보다 두께가 크고 두껍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내주 에지부(25)는, 측벽(22)으로부터 축 방향 내측에 반원형으로 팽창된 팽출부(膨出部)(25A)를 구비하고, 전체로서 대략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 원의 직경은 측벽(22)의 두께보다 크다. 또한, 내주 에지부(25)는, 전 주위에 걸쳐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한 환형 홈(13)의 홈 바닥면(13X)은, 내주 에지부(25)의 외주면(직경 방향 내측의 대략 반원 부분의 외주면)과 거의 일치한 형상을 이룬다. 이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주 에지부(25)가 환형 홈(13)에 끼워맞추어질 때, 내주 에지부(25)의 외주면은, 환형 홈(13) 내주면에 밀착된다. 각각의 내주 에지부(25)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위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축 방향 양측으로 더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도 5 및 도 6 참조)가 일체로 형성된다.
롤러 본체(20)는,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로 형성되고, 고무로서는 예를 들면, 미라블(millable) 우레탄, 천연 고무(N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고무(EPDM, 니트릴 고무(NBR), 실리콘 고무(VMQ), 클로로프렌 고무(CR), 염소화 부틸 고무(Cl-IIR),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CSM), 이소프렌 고무(IR), 부타디엔 고무(B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 부틸 고무(IIR), 불소 고무(FKM), 아크릴 고무(ACM),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본체(20)는, 통형부(21)와 지지체(1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공동(19)이 형성되도록, 지지체(12)의 외주측에 배치된다. 양 측벽(22, 22)의 내주 에지부(25, 25)는, 환형 홈(13, 13) 각각에 끼워맞추어지고, 이로써, 롤러 본체(20)가 지지체(12)에 장착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주 에지부(25, 25)가 환형 홈(13, 13)에 끼워맞추어질 때,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는, 제1 및 제2 분기홈(14A, 14B)에 끼워맞추어진다(도 5 참조).
롤러 본체(20)는, 탄성 재료인 엘라스토머로 형성되고, 또한 내부에 공동(19)을 가지는 것에 의해 높은 탄력성을 가진다. 즉, 롤러 본체(20)는 외부로부터의 압압(押壓) 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된다. 롤러(10)는, 롤러 본체(20)의 변형 상태에 맞추어, 공동(19) 내부의 공기를 관통공(30)을 통하여 외부로 송출하거나, 또는 롤러 외부로부터 공동(19) 내부로 공기를 보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12)에 장착되기 전의 롤러 본체(20)[즉, 내주 에지부(25)]의 내경(內徑) D2는, 지지체(12)의 환형 홈(13)의 바닥부에서의 외경 D1보다 작다. 따라서, 롤러 본체(20)는, 직경 방향으로 넓혀진 상태로 지지체(12)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롤러 본체(20)[즉, 내주 에지부(25)]는,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지지체(12)[즉, 환형 홈(13) 내주면]에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게 된다. 이로써, 롤러 본체(20)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는 쉽게 벗어나지 않아, 안정적으로 지지체(12)에 장착된다. 단, 내경 D2는, 외경 D1과 거의 같아도 된다.
다음에,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가 제1 및 제2 분기홈(14A, 14B)에 걸리는 구조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는, 내주 에지부(25)의 주위 방향에서의 동일 위치로부터, 축 방향 양측으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6A)는, 측벽(22)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되고, 또한 제2 돌출부(26B)는, 팽출부(25A)로부터 더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각각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8개) 형성된다. 그리고, 한쪽의 내주 에지부(25)에 형성된 각각의 돌출부(26A, 26B)의 위치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다른 쪽의 내주 에지부(25)에 형성된 각각의 돌출부(26A, 26B)의 위치와 일치한다.
분기홈(14)은, 제1 및 제2 분기홈(14A, 14B)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분기홈(14A, 14B)은, 환형 홈(13, 13)의 주위 방향에서의 동일 위치로부터, 축 방향 외측 및 내측 각각으로 분기된다. 이로써, 환형 홈(13)과 분기홈(14)의 교차 부분은 십자형을 이룬다. 제1 분기홈(14A)은, 축 방향을 따라 단면(12C, 12D)까지 연장되고, 단면(12C, 12D)에서 개구된다. 제1 분기홈(14A)의 축 방향에서의 길이는, 제1 돌출부(26A)의 돌출 길이보다도 길어진다.
제2 분기홈(14B)은, 제2 돌출부(26B)의 돌출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만큼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플랜지부(18, 18)의 측면(18C, 18D)까지는 연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2 분기홈(14B)은 종단면(縱斷面)(14E)에 의해 홈 단부가 폐쇄된다. 종단면(14E)은, 축 방향과 수직인 평면이다. 분기홈(14A, 14B)은, 각각의 내주 에지부(25)에 있어서,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와 일치한 위치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내주 에지부(25)가, 각각의 환형 홈(13)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롤러 본체(20)가 지지체(12)에 장착된다. 이 때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 각각은, 환형 홈(13)으로부터 축 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 분기홈(14A, 14B) 각각의 내부에 끼워맞추어진다. 이로써, 롤러 본체(20)가 지지체(12)에 대하여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 돌출부(26A, 26B)가 분기홈(14A, 14B)의 내주면(홈 측면)에 걸려, 롤러 본체(20)의 미끄러짐 회전이 방지된다.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분기홈(14A, 14B)은, 환형 홈(13)과 마찬가지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홈 바닥면(14X)이 단면이 반원형 또는 원호형이며, 홈 측면(14Y, 14Y)이 직경 방향과 대략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는, 분기홈(14A, 14B)의 내주면의 형상과 거의 일치하도록, 내주 에지부(25)와 일체로 되어, 바닥면(내주측의 면)(26X)이 단면 반원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측면(26Y, 26Y)이 직경 방향과 대략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는, 그 외주면[(바닥면(26X), 측면(26Y, 26Y)]이 분기홈(14A, 14B)의 내주면[홈 바닥면(14X), 홈 측면(14Y, 14Y)]에 밀착되어, 분기홈(14A, 14B)에 끼워맞추어진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의 선단면(先端面)(26C, 26C)(축 방향에서의 단면)은, 축 방향과 거의 수직인 평면이다. 제2 돌출부(26B)의 선단면(26C)은, 제2 분기홈(14B)의 종단면(14E)에 밀착된다. 또한,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의 상면(26U, 26U)(외주측의 면)은, 직경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서, 측면(26Y, 26Y)이나, 선단면(26C, 26C)에 거의 직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제2 돌출부(26B)의 상면(26U)은, 팽출부(25A)의 상면과 일체로 되어, 직경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동일면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롤러 본체(20)는, 상기한 직경 방향에 부가하여, 주위 방향으로도 넓혀진 상태로 지지체(12)에 장착된다. 즉, 지지체(12)에 장착되기 전의 롤러 본체(20)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돌출부(26A, 26A)[(또는 제2 돌출부(26B, 26B)] 사이의 주위 방향에서의 이격(離隔) 거리는, 인접하는 제1 분기홈(14A, 14A)[또는 제2 분기홈(14B, 14B)] 간의 주위 방향에서의 이격 거리보다 짧다. 따라서, 돌출부(26A, 26B)는, 분기홈(14A, 14B)의 내주면(홈 측면(14Y)을 압압하고, 이로써, 롤러 본체(20)는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체(12)에 유지된다.
롤러 본체(2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금형 중심의 외주에, 상형 및 하형에 의해 중심을 둘러싸는 외형(外型)이 조립되고, 외형과 중심(中芯)의 사이에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가 주입·경화되어 성형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의 각각은, 외형, 중심 각각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성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26A, 26B)가 분기홈(14A, 14B)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롤러 본체(20)가 지지체(12)에 대하여 주위 방향으로 미끄러짐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내주 에지부(25, 25)가, 환형 홈(13, 13)에 끼워맞추어져 있으므로, 롤러 본체(20)가 지지체(12)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 분기홈(14A)이, 단면(端面)(12C, 12D)에서 개구되어 있으므로, 단면(12C, 12D) 측으로부터, 제1 돌출부(26A)가 제1 분기홈(14A)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롤러 본체(20)는, 롤러 본체(20)의 탄성력에 의해, 롤러 내부의 공기가 관통공(30)을 통하여 롤러 외부로 송출입되어 압압 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 가능해지므로, 지엽류와 롤러 본체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기 용이해진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시에 지엽류가 쉽게 어긋나지 않아, 안정된 반송이 실현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분기홈(14B)도, 제1 분기홈(14A)과 마찬가지로, 플랜지부의 측면(18C, 18D)까지 연장되어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분기홈(14)은, 플랜지부(18)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관통하게 되므로, 예를 들면, 절삭 가공에 의해 분기홈을 성형하기 쉽게 된다. 또한, 분기홈(14)은, 각각의 환형 홈(13, 13)에 있어서 8개 형성되지만, 1개 이상이면 몇개라도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롤러(10)가 종동(從動) 롤러로서 사용되는 경우, 샤프트(11)를 회전시키지 않고, 지지체(12) 및 롤러 본체(20)를 회전시켜, 지지체(12)와 샤프트(11) 사이에서 미끄러지는 구조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지지체(12)와 샤프트(11)의 마찰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하지만, 이와 같은 마찰열은, 샤프트(11)를 에워싸고, 또한 공기가 송출입되는 다수의 관통공(30)에 의해 효율적으로 방열된다. 또한, 샤프트(11)와 지지체(12) 사이의 간극(間隙)에 의해 공기를 송출입하는 경우와 상이하여, 샤프트(11) 주위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도 방지된다. 또한, 지지체(12)에 있어서, 플랜지부(18, 18) 사이에 큰 공간이 설치되므로, 지지체(12)의 경량화도 도모된다. 그리고, 샤프트(11)를 지지체(12)나 롤러 본체(20)와 함께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샤프트(축부)(11)는, 지지체(12)와 일체로 되어도 된다.
또한, 내주 에지부(25)는, 단면이 원형상이었지만,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내주 에지부(25)는, 도 8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는 단면이 반원형상,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내주측의 코너부가 모따기된(chamfered) 형상이라도 되고,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 측이 내주를 향함에 따라 두께가 얇게 되고 단면이 5각형으로 되어도 된다. 이들 각각의 경우, 환형 홈(13)은, 도 8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꼴이라도 되지만, 도 8의 (D), (E) 각각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코너부가 모따기된 형상, 또는 단면이 5각형상이라도 된다. 즉, 환형 홈(13)도, 내주 에지부(25)가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롤러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롤러 본체에 편포가 설치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같다. 이하 본 실시예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포(40)는, 롤러 본체(20)의 내주면에 접착되어 있고, 롤러 본체(20)의 형상을 따라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편포(40)는, 통형부(21)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형의 통형 부분(41)과, 양 측벽(22, 22)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링 형상의 환형 부분(42, 42)을 가진다. 단, 편포(40)의 환형 부분(42, 42)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측벽(22, 22)의 내측 에지 단부(25, 25)에 있어서, 롤러 본체(20)[예를 들면, 팽출부(25A)] 내부에 매설되고. 그리고, 그 매설된 부분은, 내측 에지 단부(25, 25)의 형상을 따라 곡면형으로, 축 방향 내측을 향해 팽창되어 있다. 그리고, 편포(40)는, 지엽류를 반송하기 위한 통형부(21)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환형 부분(42, 42)은 생략되어도 된다.
편포(40)는, 실이 짜여짐으로써, 예를 들면, 복수의 루프(loop)가, 편포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 각각으로 복수 병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어느 방향으로도 높은 신축성을 가진다. 편포(40)는 예를 들면, 평 편성(flat knitting), 고무 편성, 루프 편성 등에 의해 짜여진 것이다. 편포(40)는, 실 중 적어도 일부에 도전사(導電絲)를 포함하고, 도전성(導電性)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포(40)는, 고무가 용제에 희석되어 형성된 고무풀에 침지(浸漬)·건조됨으로써 함침(含浸) 처리가 행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편포는, 도전사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되고, 카본 블랙 등의 도전성 재료가 배합되고 도전성을 가지는 고무풀에 함침 처리되는 것에 의해, 도전성이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실시예에 관한 롤러 본체(20)는, 금형의 중심의 외주에, 편포가 권취된 후에, 중심과 외형의 사이에, 엘라스토머가 주입되어 성형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제조 과정에 있어서, 편포(40)[편포(40)를 짜는 실끼리의 사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롤러 본체(20)를 구성하는 엘라스토머가 침투된다. 그리고, 내주 에지부(25, 25)에 있어서는, 편포(40)의 내주측(즉, 축 방향에서의 내측)에, 엘라스토머의 일부가 침출(浸出)되거나, 또는 누출되고, 내주 에지부(25, 25)의 내부에 편포가 매설되게 된다. 이 때, 내주 에지부(25, 25)에 있어서, 엘라스토머는, 편포(40)를 가압하므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포(40)는, 내측으로 팽창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편포(40)가 설치된 것에 의해, 롤러 본체(20)를 중심으로부터 탈형(脫型)할 때의 이형성(離型性)은 양호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편포(40)는, 롤러 본체(20)의 내주면에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지만, 롤러 본체(20)의 외주면에 노출되지 않으면, 롤러 본체(20)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 편포(40)는 롤러 본체(20)의 내주면에 전혀 노출되지 않아도 되지만, 편포(40)의 일부가 내주면에 노출되고, 일부가 롤러 본체(20)의 내주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매설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롤러 본체는, 엘라스토머의 일부가, 내주 에지부(25, 25)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도, 편포(40)의 내주측으로 침출하도록 제조된다. 단, 중심(中芯)의 주위에 엘라스토머 시트 및 편포를 상기 순서로 감고, 외형과 중심의 사이에 엘라스토머를 주입함으로써, 롤러 본체를 제조해도 된다. 또한, 중심의 주위에 엘라스토머 시트, 편포, 엘라스토머 시트의 순으로 감고, 프레스 가열에 의해 가류(加硫) 성형함으로써 롤러 본체를 제조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 본체(20)에 신축성이 높은 편포(40)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롤러 본체(20)의 쿠션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롤러 본체(20)의 반송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롤러 본체(20)의 두께는 얇기 때문에, 편포(40)가 도전성을 가지는 경우, 편포(40)가 롤러 본체(20)의 내부에 매설되거나, 또는 내주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롤러 본체(20)의 외주면에서의 대전(帶電)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용지 이송 시의 중복 이송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편포(40)는, 롤러 본체(20)의 외주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롤러 외주면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편포(40)가 도전성을 가지는 경우, 롤러 외주면의 내마모성이나 마찰 계수를 저하시키지 않고, 롤러 본체(20)에 대전 방지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편포(40)가 도전성을 가지는 경우, 롤러 본체에 카본 블랙 등의 도전성 재료를 다량으로 함유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롤러 본체(20)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롤러 본체를 엷은 색 엘라스토머로 구성하여, 롤러 외주면으로부터 지엽류에 색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포(40)가 설치되는 대신에, 주위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된 심선(心線)(49)을 통형부(21)의 내부에 매설해도 된다. 이 경우, 심선(49)은, 도선사(導線絲)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심선(49)은, 롤러 본체(2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편포 대신에 금형 중심의 외주에 감겨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반송용 롤러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서는, 내주 에지부(25)에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가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돌출부(26B)가 생략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내주 에지부(25)에,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26A)가 형성되지만,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는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분기홈에 관해서도, 제1 분기홈(14A)이 형성되지만, 제2 분기홈은 생략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롤러 본체(20)를 제조할 때,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를 주위 방향에서의 동일 위치에 형성하기 위해, 중심과 외형과의 위치맞춤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돌출부가 생략되므로, 그와 같은 위치맞춤을 행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제2 돌출부(26B) 및 제2 분기홈(14B)이 생략되는 대신에, 제1 돌출부(26A) 및 제1 분기홈(14A)이 생략되어도 된다. 단, 제1 돌출부(26A)가 생략되면, 단면(12C, 12D) 측으로부터, 돌출부가 분기홈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제2 돌출부(26B)가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반송용 롤러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분기홈(14A)은, 단면(12C, 12D)까지 연장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분기홈(14A)은, 제2 분기홈(14B)과 마찬가지로, 제1 돌출부(26A)의 돌출 길이와, 같은 길이분만큼 연장되고, 단면(12C, 12D)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는, 선단면(26C, 26C)을 향함에 따라 폭 및 높이가 작아지게 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 각각에 있어서, 상면(26U) 및 바닥면(26X)은, 선단면(26C)을 향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양 측면(26Y, 26Y)도, 선단면(26C)을 향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돌출부(26A, 26B)의 기단(基端)에 응력이 쉽게 집중되지 않아, 돌출부의 파손이 방지된다. 그리고, 돌출부(26A, 26B)의 바닥면(26X), 상면(26U), 및 측면(26Y)은, 곡면형으로 형성되지만, 경사진 평면형이라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분기홈(14A, 14B)의 내주면 각각은, 제1 및 제2 돌출부(26A, 26B)의 외주면의 형성과 일치한 형상을 이룬다. 즉, 분기홈(14A, 14B)의 홈 바닥면(14X)은, 분기홈(14A, 14B)의 종단면(14E, 14E)에 가까와짐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지는 동시에, 홈 측면(14Y, 14Y)은, 종단면(14E, 14E)에 가까와짐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돌출부(26A, 26B)의 외주면[선단면(26C), 바닥면(26X), 측면(26Y, 26Y)]은, 분기홈(14A, 14B)의 내주면[종단면(14E), 홈 바닥면(14X), 홈 측면(14Y, 14Y)]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돌출부(26A, 26B)가 분기홈(14A, 14A)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롤러 본체의 미끄러짐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기홈(14A, 14B) 중 적어도 한쪽이, 단면(12C, 12D)이나 측면(18C, 18D)으로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돌출부(26A, 26B) 중 어느 한쪽, 및 분기홈(14A, 14B) 중 어느 한쪽은,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분기홈(14A, 14B)이나 돌출부(26A, 26B)는, 제1 및 제4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내주 에지부(25)나 환형 홈(13)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직사각형이나 단면 5각형 등이라도 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반송용 롤러를 나타낸다.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내주 에지부(25)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환형 홈(13)에 분기홈(오목부)이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내주 에지부(25)에 오목부(50)가 형성되고, 또한 환형 홈(13)과 돌출부(5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주 에지부(25)는, 주위 방향에서의 일부에 있어서, 팽출부(25A)가 제거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내주 에지부(25)에는, 축 방향을 따라 그 내측의 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오목한 오목부(50)가 형성된다. 오목부(50)는, 각각의 내주 에지부(25)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돌출부와 마찬가지로, 복수 형성된다.
돌출부(51)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50)와 일치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오목부(50)의 형성과 일치한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51)는, 환형 홈(13)[또는 (13)]의 한쪽의 홈 측면(13Y)[내측의 홈 측면(13Y)]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면서, 홈 바닥면(13X)의 절반에 접속되고, 환형 홈(13)의 축 방향 내측의 대략 절반을 막는 형상을 가진다. 각각의 돌출부(51)는, 일치한 위치에 배치되는 각각의 오목부(50)에 끼워맞추어지고, 이로써,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롤러 본체(20)의 미끄러짐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부(50)는, 축 방향을 따라 내주 에지부(25)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오목해도 된다. 이 경우, 돌출부(51)는, 환형 홈(13)의 외측의 홈 측면(13Y)으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반송용 롤러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서는, 돌출부(26A, 26B)는, 내주 에지부(25)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60)는 내주 에지부(25)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돌출부(60)는, 내주 에지부(25)의 주위 방향에서의 일부에 있어서, 내주 에지부(25)로부터 더욱,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고, 돌출부(60)의 선단면(60X)은, 예를 들면,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돌출부(6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주 에지부(25, 25)에 있어서 복수 형성된다.
한편, 환형 홈(13, 13)의 돌출부(60)에 일치한 위치에는, 오목부(61)가 형성된다. 오목부(61)는, 환형 홈(13)의 홈 바닥면(13X)으로부터 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61)의 바닥면(61X)은, 돌출부(60)의 선단면(60X)과 일치한 형상의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선단면(60X)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각각의 돌출부(60)가, 각각의 오목부(61)에 끼워맞추어지고, 이로써, 롤러 본체(20)의 미끄러짐 회전이 방지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반송용 롤러를 나타낸다. 제6 실시예에서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0)가 내주 에지부(25)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직경 방향을 따라 내측의 면(내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오목한 오목부(70)가 내주 에지부(25)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대략 원형의 내주 에지부(25)는, 주위 방향에서의 일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내주측)의 대략 반원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가지고, 이로써, 내주 에지부(25)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오목부(70)가 형성된다. 한편, 환형 홈(13)에는, 홈 바닥면(13X)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71)가 형성된다. 돌출부(71)는, 오목부(70)와 일치한 형상을 이루고, 홈(13)의 바닥부 측의 내부(예를 들면, 반원 부분)를 막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환형 홈(13)은, 돌출부(71)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 돌출부(71)의 선단면(71A)과, 환형 홈(13)의 홈 측면(13Y, 13Y)에 의해,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돌출부(71) 및 오목부(70)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복수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부(71)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각각의 오목부(70)와 일치한 위치에 배치된다. 각각의 돌출부(71)는, 각각의 오목부(70)에 끼워맞추어지고,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도, 롤러 본체(20)의 미끄러짐 회전이 방지된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반송용 롤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관한 롤러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돌출부(26A) 및 제1 분기홈(14A)이 형성되지만, 제2 돌출부 및 제2 분기홈은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공이 지지체(12)에 형성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롤러 본체(20)의 측벽(22)에, 롤러 내부의 공동과 롤러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출입공(80)이 형성된다. 이하, 제8 실시예에 대하여, 제3 실시예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측벽(22)은, 비교적 얇고, 내주 에지부(25)의 반경보다 더욱 얇게 되어 있다. 측벽(22)은, 대략 단면이 원형인 내주 에지부(25)에 연접(連接)되어 축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는 평면부(22A)와, 평면부(22A)와 통형부(21)를 접속하고, 원호로 구성되는 접속부(22B)를 구비하고, 공기 출입공(80)은, 평면부(22A)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공기 출입공(80)은, 롤러 본체 성형 시에, 예를 들면, 외형에 설치된 핀에 의해 성형되지만, 평면부(22A)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그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공기 출입공(80)은, 도 21 및 도 22에서는, 한쪽 벽(22)밖에 형성되지 않지만, 양쪽의 측벽(22, 22)에 형성된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출입공(80)은, 1개 이상이면 몇개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제1 돌출부(26A)는,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폭이 짧아지는 단면이 반원형인 동시에, 그 높이(반경)가, 내주 에지부(25)의 높이(직경)보다 작고, 예를 들면, 내주 에지부(25)의 반경과 대략 동일하게 된다. 제1 돌출부(26A)는, 내주 에지부(25)의 직경 방향 내측 부분에 연접되고, 제1 돌출부(26A)의 바닥부는, 내주 에지부(25)의 바닥부에 단차(段差)없이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환형 홈(13)은,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으로 되고, 내주 에지부(25)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이 환형 홈(13)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일부가 외주측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배치된다. 한편, 분기홈(14A)은, 주위 방향으로 긴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고, 그 길이가 돌출부(26A)의 직경과 거의 같고, 또한 높이가 돌출부(26A)의 반경보다 크다. 그러므로, 돌출부(26A)는, 분기홈(14A)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분기홈(14A)의 양 측면 및 바닥면에 접촉되어 분기홈(14A)에 끼워맞추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각각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롤러 본체(20)의 탄성력에 의해, 공동(19)의 공기가 공기 출입공(80)을 통하여 롤러 외부에 송출입되므로, 롤러 본체(20)는 압압 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 가능해진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도, 지엽류와 롤러 본체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기 용이해져, 안정된 반송이 실현 가능해진다. 또한, 지지체(12)에는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지지체(12)는 소형화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롤러 본체는, 돌출부(26A), 내주 에지부(25), 분기홈(14A) 및 환형 홈(13)의 상기 구조에 의해, 지지체에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고, 또한 적절히 미끄러짐 회전이 방지된다.
단, 돌출부(26A) 등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 실시예와 같아도 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형상이,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관통공이 지지체에 형성되는 대신에, 공기 출입공이 롤러 본체에 형성되어도 된다.
10: 지엽류 반송용 롤러
11: 샤프트
12: 지지체
13, 13: 환형 홈(제1 및 제2 환형 홈)
14A, 14B: 제1 및 제2 분기홈(오목부)
19: 공동
20: 롤러 본체
21: 통형부
22, 22: 측벽(제1 및 제2 측벽)
25, 25: 내주 에지부
26A, 26B: 제1 및 제2 돌출부
40: 편포
50, 61, 70: 오목부
51, 60, 71: 돌출부

Claims (17)

  1. 축부(軸部)가 설치되고, 또한 외주면에 제1 및 제2 환형(環形) 홈이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외주측에, 상기 지지체와의 사이에 공동(空洞)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통형부와, 상기 통형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각각으로 연장되고, 또한 링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내주 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환형 홈 내부 각각에 끼워맞추어지는 제1 및 제2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롤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한쪽의 내주 에지부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환형 홈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돌출부에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주 에지부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및 제2 환형 홈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분기(分岐)되고,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에 있어서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분기홈으로서, 상기 지지체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端面)까지 연장되고, 상기 단면에서 개구되는, 지엽류(紙葉類) 반송용(搬送用) 롤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주 에지부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같은 위치로부터 축 방향 양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분기홈은, 상기 제1 및 제2 환형 홈 중 적어도 한쪽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같은 위치로부터 축 방향 양측으로 분기되는, 지엽류 반송용 롤러.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 에지부는 두껍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돌출부는 두껍게 형성된 상기 내주 에지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지엽류 반송용 롤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본체에는, 외주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주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내부에 매설(埋設)되는 편포(編布; knitted fabric)가 설치되는, 지엽류 반송용 롤러.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본체에, 상기 공동 내의 공기를 송출입(送出入)시키는 공기 출입공이 형성되는, 지엽류 반송용 롤러.
  13. 삭제
  14.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한쪽의 내주 에지부에, 상기 돌출부가 주위 방향에 있어서 복수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환형 홈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오목부가 주위 방향에 있어서 복수 형성되는, 지엽류 반송용 롤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 에지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 사이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환형 홈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인접하는 오목부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거리보다 짧고, 상기 롤러 본체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넓혀진 상태로 상기 지지체에 장착되는, 지엽류 반송용 롤러.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환형 홈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분기하는 분기홈은, 종단면(縱斷面)에 의해 홈 단부가 페쇄되고, 또한 상기 내주 에지부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의 선단부는, 상기 종단면에 밀착되는, 지엽류 반송용 롤러.
  17. 제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환형 홈 중 적어도 한쪽과, 축 방향 양측으로 분기되는 분기홈에 의해 십자(十字)를 이루는, 지엽류 반송용 롤러.
KR1020127026383A 2010-04-08 2011-03-25 지엽류 반송용 롤러 KR101774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9678 2010-04-08
JP2010089678 2010-04-08
PCT/JP2011/057413 WO2011125551A1 (ja) 2010-04-08 2011-03-25 紙葉類搬送用ロー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677A KR20130037677A (ko) 2013-04-16
KR101774895B1 true KR101774895B1 (ko) 2017-09-05

Family

ID=4476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383A KR101774895B1 (ko) 2010-04-08 2011-03-25 지엽류 반송용 롤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075234A1 (ko)
EP (1) EP2557060B1 (ko)
JP (1) JP5137223B2 (ko)
KR (1) KR101774895B1 (ko)
CN (1) CN102883979B (ko)
TW (1) TWI513647B (ko)
WO (1) WO2011125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2509B2 (ja) * 2008-04-30 2014-01-08 Ntn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のシート搬送用転動体及びその射出成形金型
US10763649B2 (en) * 2014-06-13 2020-09-01 Greenlee Tools, Inc. Cable feeder
JP6435802B2 (ja) * 2014-11-19 2018-12-12 日立金属株式会社 ローラ
KR102184193B1 (ko) * 2019-05-30 2020-11-30 주식회사 왕성 이송 롤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5983A (ja) 2000-02-09 2001-08-21 Nifusuko:Kk 紙送り装置
JP2007045359A (ja) 2005-08-11 2007-02-2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702U (ko) * 1977-06-17 1979-01-17
JPS6238255U (ko) * 1985-08-28 1987-03-06
JPS6291703U (ko) * 1985-11-30 1987-06-11
JPH0471910A (ja) * 1990-07-12 1992-03-06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US5468070A (en) * 1993-11-05 1995-11-21 Sears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 roller assembly
JPH0881079A (ja) * 1994-09-09 1996-03-26 Canon Inc ロ−ラ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ト材供給装置
CN2226168Y (zh) * 1995-05-09 1996-05-01 周勇 自锁防松螺栓组件
JP3335269B2 (ja) * 1995-10-31 2002-10-15 株式会社ニフコ ローラ及び該ローラの製造方法
CN1167590C (zh) * 2000-02-09 2004-09-22 日福高株式会社 送纸用弹性部件、送纸装置及送纸用弹性部件的制造方法
DE10229539B4 (de) * 2002-07-01 2005-09-01 Telair International Gmbh Rollenantriebseinheit
JP3496024B1 (ja) * 2003-01-20 2004-02-09 株式会社タクミ精工 紙送りローラ、紙送りローラ用支持体、及び、紙送り装置
ES2380445T3 (es) * 2005-03-11 2012-05-11 Wrh Walter Reist Holding Ag Dispositivo de transporte y cuerpo de rodillos
US20060225284A1 (en) * 2005-04-08 2006-10-12 Rexnord Industries, Inc. Composite roller header assembly and composite roller formed therewith
JP4389918B2 (ja) * 2006-09-28 2009-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電機及び交流発電機
TWM345060U (en) * 2008-01-30 2008-11-21 Hong Chuan Ind Co Ltd Transporting roller unit
JP5314448B2 (ja) * 2008-02-29 2013-10-1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JP5159479B2 (ja) * 2008-07-08 2013-03-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5983A (ja) 2000-02-09 2001-08-21 Nifusuko:Kk 紙送り装置
JP2007045359A (ja) 2005-08-11 2007-02-2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5551A1 (ja) 2011-10-13
TWI513647B (zh) 2015-12-21
CN102883979A (zh) 2013-01-16
JPWO2011125551A1 (ja) 2013-07-08
TW201144200A (en) 2011-12-16
KR20130037677A (ko) 2013-04-16
EP2557060A1 (en) 2013-02-13
EP2557060B1 (en) 2021-10-06
CN102883979B (zh) 2016-06-29
JP5137223B2 (ja) 2013-02-06
EP2557060A4 (en) 2018-01-10
US20130075234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895B1 (ko) 지엽류 반송용 롤러
JP2008290336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WO2011027380A1 (ja) 平ベルト
BR102014020815A2 (pt) montagem de selo de aba dupla de baixa carga
US9194430B2 (en) Split cage and roller bearing
JP2011057105A (ja) 空気入りタイヤ用ビードコア及びそのビードコア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CN214933475U (zh) 托辊筒体、托辊和皮带输送机
JP6730035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
JP2021066221A (ja) 非空気圧タイヤ
JP2013195667A (ja) Oaローラ
US8746679B2 (en) Sheet feed roller
JP6743571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2020162484A (ja) 釣糸ガイド
KR101309239B1 (ko) 블래더 에어 클러치
WO2011021542A1 (ja) 紙葉類搬送用ローラ
JP2014156181A (ja) ゴムクローラ
JP6133480B1 (ja) 紙送りローラ
JP6003480B2 (ja) ころ軸受
CN106915593A (zh) 托辊
JP2010269876A (ja) 紙類等枚葉シート搬送用無端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39081A (ja) 動力伝達機構
JP4771980B2 (ja) シート送りローラ
WO2011021540A1 (ja) 紙葉類搬送用ローラ
JP2013241251A (ja) 紙葉類搬送用ローラ
JP5175993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