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940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940B1
KR101772940B1 KR1020150031096A KR20150031096A KR101772940B1 KR 101772940 B1 KR101772940 B1 KR 101772940B1 KR 1020150031096 A KR1020150031096 A KR 1020150031096A KR 20150031096 A KR20150031096 A KR 20150031096A KR 101772940 B1 KR101772940 B1 KR 101772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precast concrete
cap block
concrete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796A (ko
Inventor
전종환
Original Assignee
전종환
비앤씨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환, 비앤씨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종환
Priority to KR1020150031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94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에 관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인 옹벽 세그먼트들의 상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지면의 레벨링과 상관없이 균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것으로 보이도록 하고 아울러 일렬로 정렬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은, 각각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위에 세워지는 벽체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이며 일렬로 배열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옹벽 세그먼트(10)와;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의 상단부를 덮어 마감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20)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은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 상부에 올려져 지지되는 천정부, 상기 천정부의 전방측 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의 상측 전방을 덮는 마감부, 상기 천정부의 후방측 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의 상측 후방에 지지되는 지지부에 의해 하부를 향해 개방된 옹벽 삽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 세그먼트들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정렬성을 증대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철도의 사면, 하천제방, 해안도로나 주거지역의 사면 등에는 사면 안정화를 위하여 옹벽이 시공되고 있으며, 현장 타설형 옹벽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형 옹벽으로 구분된다.
현장 타설형 옹벽은 거푸집 설치, 기초콘크리트 타설, 철근 배근, 콘크리트 타설 공사 등의 과정을 거치므로 공기가 매우 긴 단점이 있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 옹벽은 현장에서 사전에 설계에 의해 제작된 배근도를 바탕으로 철근의 배근작업을 수행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콘크리트가 자립을 할 수 있는 강도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의 양생기간이 필요하며, 양생 후에는 거푸집을 탈형해야 하는 작업도 실시되어야 하므로 공기가 매우 긴 것이다. 이러한 긴 공기에 의해 경제적으로 불리하며, 주변에 도로가 있는 경우에는 차량통행을 통제하거나 우회도로를 확보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사회적으로도 커다란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면부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본체 콘크리트를 한 번에 타설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어 콘크리트 간의 합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형 옹벽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형 옹벽은 프리캐스팅 된 옹벽 세그먼트들을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이다. 옹벽 세그먼트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세워지는 벽체부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의 옹벽 세그먼트들을 일렬로 설치한 후 인장재 등을 이용하여 결속하고 후방을 뒷채움함으로써 옹벽을 시공하므로 현장 타설식보다 공기가 매우 짧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0855014호)은 철근콘크리트를 재료로 하여 프리캐스팅 방식으로 제조되고 여러 개가 서로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긴 옹벽을 형성하며, 상기 옹벽의 길이 방향의 인장재 통과공을 가지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옹벽의 길이 방향의 인장재 통과공을 가지는 벽면부를 포함하는 옹벽 세그먼트와, 상기 옹벽 세그먼트의 인장재 통과공에 삽입되는 인장재와, 상기 인장재를 상기 옹벽 세그먼트에 정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옹벽 세그먼트들 중 상기 옹벽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옹벽 세그먼트에 각각 마련되는 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의 경우 지면의 레벨링 작업을 하더라도 지면 레벨의 차이가 발생되기 때문에 옹벽의 상단부가 일치되지 못하므로 미관이 좋지 못하다. 또한 옹벽들은 높이차로 인한 미관 훼손뿐만 아니라 일렬의 배열상태로 시공되지 못하여 모든 옹벽 세그먼트들이 동일한 버팀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종래 옹벽에 인장재를 적용함으로써 옹벽 세그먼트들을 결속할 수 있지만 옹벽 세그먼트들의 틀어짐을 잡아주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진다.
등록특허 제10-085501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인 옹벽 세그먼트들의 상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지면의 레벨링과 상관없이 균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것으로 보이도록 하고 아울러 일렬로 정렬되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은, 각각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위에 세워지는 벽체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이며 일렬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와;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의 상단부를 덮어 마감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은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 상부에 올려져 지지되는 천정부, 상기 천정부의 전방측 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의 상측 전방을 덮는 마감부, 상기 천정부의 후방측 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의 상측 후방에 지지되는 지지부에 의해 하부를 향해 개방된 옹벽 삽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에 의하면, 캡 블록이 옹벽 세그먼트들의 상부를 막아 옹벽 세그먼트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옹벽 세그먼트들의 레벨링이 맞지 않더라도 시각적으로 정렬된 것으로 보이게 되므로 안정감을 주고, 또한, 캡 블록이 결합되면서 정렬되지 못한 옹벽 세그먼트들이 정렬됨으로써 모든 구간에서 균일한 버팀력을 발휘하여 옹벽 세그먼트간의 상단에서 상대변위로 발생하는 틀어짐 현상을 잡아주어 구조적으로 안정감을 극대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상태 정면도.
도 6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에 적용된 옹벽 세그먼트의 측면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인 2개 이상의 옹벽 세그먼트(10), 2개 이상의 옹벽 세그먼트(10)의 상부에 결합되어 2개 이상의 옹벽 세그먼트(10)들의 상부를 덮어 숨기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20)(이하 캡 블록이라 약칭함)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옹벽 세그먼트(10)들의 상단이 보이지 않고 캡 블록(20)이 보이기 때문에 옹벽 세그먼트(10)들의 상단 레벨이 불규칙하더라도 캡 블록(20)의 일정한 라인이 보이게 되고 또한 옹벽 세그먼트(10)들의 전후 위치를 바로잡아 일렬로 정렬한다.
캡 블록(20)은 저부를 향해 개방되는 옹벽 삽입부(21)를 갖는 구조이며, 천정부(22)와 천정부(2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의 마감부(23) 및 지지부(24)에 의해 옹벽 삽입부(21)가 형성된다.
캡 블록(20)은 옹벽 세그먼트(10)들의 상부에 올려짐으로써 설치되고, 따라서 옹벽 삽입부(21) 안에 옹벽 세그먼트(10)들의 상부가 삽입되어 가려지기 때문에 옹벽 세그먼트(10)들의 불규칙한 상부가 보이지 않게 된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3개의 옹벽 세그먼트(10)들은 상부의 높이가 불규칙하지만 캡 블록(2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보이지 않고 캡 블록(20)만 노출된다.
캡 블록(20)은 옹벽 세그먼트(10)와 긴밀하게 결합되어 흔들림을 일으키지 않도록 마감부(23)와 지지부(24)의 마주하는 면이 테이퍼 단면일 수 있다.
캡 블록(20)은 옹벽 세그먼트(10)들 중에서 가장 높은 옹벽 세그먼트(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옹벽 세그먼트(10)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것이며, 이 빈 공간에 채움재(30)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채움재는 옹벽 세그먼트(10)와 캡 블록(20)을 일체로 합성하는 기능을 통해 옹벽의 구조적 안정감을 증대한다.
채움재(30)는 콘크리트, 몰탈, 토사 등이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캡 블록(20)은 채움재(30)의 채움을 위한 하나 이상의 채움홀이 구비된다. 상기 채움홀은 캡 블록(20)의 천정부에 형성되며 필요한 곳에 채움이 가능하도록 옹벽 세그먼트(10)의 위치에 각각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는 옹벽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옹벽 세그먼트(10)들은 수평적으로 시공(도 3), 계단식으로 시공(도 4), 경사형으로 시공(도 5)될 수 있으며, 캡 블록(20)은 모든 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캡 블록(20)은 옹벽 세그먼트(10)들의 노출을 막고 정렬성을 높이는 기능 외에 다양한 추가 기능의 부가가 가능하고 특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이기 때문에 용이한 제작을 통해 다양한 기능의 추가가 가능하다.
도 6은 캡 블록(20)의 기본 형태이며, 사면에 시공되는 옹벽의 경우 캡 블록(20)의 상단까지 뒷채움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옹벽 세그먼트(10)의 후방에 시공되는 뒷채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뒷채움부의 높이는 캡 블록(20)의 상단인 것이다.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캡 블록(20)의 후방에 배수로(40)가 일체로 형성된다.
배수로(40)는 캡 블록(20)의 후방에 돌출되는 형태이며 상부를 향해 개방된 홈 형 형성되어 우수 등을 유도 배수한다.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캡 블록(20)의 후방에 접속 슬래브(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접속 슬래브(50)는 옹벽 후방에 차도부를 시공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캡 블록(20)의 후방에 일정 면적의 판상이면서 차도부의 포장층을 시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위치와 단면적으로 제작되어 상부에 차도부의 포장층을 시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옹벽 후방에 차도부를 시공하는 경우 접속 슬래브(50)가 옹벽 배면의 지반침하에 의한 포장층 파손을 방지하여 차량의 주행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차도부를 주행하는 차량의 추락 방지를 위하여 캡 블록(20)의 상부에는 방호울타리(51)가 적용된다. 방호울타리(51)는 캡 블록(20)과 별도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되어 캡 블록(20)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캡 블록(20)과 일체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방호울타리(51)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캡 블록(20)의 후방에 보도부 슬래브(60)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형태의 캡 블록(20)은 옹벽의 후방에 보도부와 차도부가 함께 구성될 때 사용된다. 보도부 슬래브(60)의 폭방향 양측에는 연석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석에는 가드레일(61)과 난간(62)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도 8의 캡 블록(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방호울타리(51)와 도 9의 캡 블록(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61) 위치에 방음판용 지주를 설치하여 방음벽을 설치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옹벽이 경사면 등에 노출되는 형태에서 부가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이와 달리 한 쌍의 벽체부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 쌍의 벽체부를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옹벽 세그먼트를 한 쌍으로 하여 설치하는 방법, 바닥부의 양측에 한 쌍의 벽체부를 제작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캡 블록(20)은 양측이 옹벽의 한 쌍의 벽체부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슬래브 또는 보로 시공된다.
도 10은 암거 박스(통로 암거, 수로 암거 등) 형태의 구조물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며, 한 쌍의 옹벽 세그먼트(10)들을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이들 위에 캡 블록(20)을 결합하여 상부 슬래브용도로 한다. 캡 블록(20)과 벽체부(12) 사이에는 균열 방지를 위하여 고무 받침(25)을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옹벽 세그먼트(10)들 사이는 현장 타설 또는 지반에 의한 바닥층을 형성한다.
또한, 캡 블록(20)의 상면에는 톱핑(topping) 슬래브를 현장 타설할 수 있다.
도 11은 상부 개방형(U 형)의 개거 구조물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한 쌍의 옹벽 세그먼트(10)를 설치하고, 이들 위에 캡 블록(20)을 결합한 것이며, 캡 블록(20)은 노면으로 노출 시공된다. 또한, 개거 구조물이 작은 경우는 옹벽 세그먼트(10)를 U 형 옹벽으로 제작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옹벽 세그먼트(10)는 바닥부(11) 및 벽체부(12)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부벽(13)이 적용될 수 있다.
벽체부(12)는 바닥부(11)의 일측 단부에 치우치도록 형성된다.
부벽(13)는 저부가 바닥부(11)에, 전방이 벽체부(12)에 연결되는 형태로서 벽체부(12)에 연결되는 수직부 및 바닥부(11) 위에 형성되는 수평부로 구성 가능하며,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
부벽(13)은 캡 블록(2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벽체부(1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부벽(13)은 캡 블록(2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캡 블록(20)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모든 옹벽 세그먼트(10)와 캡 블록(20) 사이에 채움재를 채울 수 있다.
또한, 캡 블록(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부벽(13)의 상부에는 높이조절부재로서 예컨대 레벨링 볼트가 설치되어 상기 레벨링 볼트의 높이 조절을 통해 캡 블록(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통해 캡 블록(20)의 높이를 조절한 후 캡 블록(20)의 옹벽 삽입부 안에 채움재(30)가 채워짐으로써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10)들을 일체로 합성하면서 상단부를 마감한다.
바닥부(11)와 벽체부(12)와 부벽(13) 중 일측 이상에는 인터록킹을 위한 돌기와 홈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벽의 저면부와 상면부에 옹벽의 길이방향으로 인장재 통과공을 두어 서로 맞물려 있는 옹벽 세그먼트(10)들을 인장재로 체결하여 옹벽 세그먼트(10)들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옹벽 세그먼트(10)는 바닥부(11)와 벽체부(12) 및 부벽(13)이 일체형인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부 현장 타설을 함께 적용할 수 있다.
도 12는 뒷굽 현타형이며, 옹벽 세그먼트(10)는 뒷굽이 없는 바닥부(11)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되어 설치되고 현장에서 바닥부(11)와 연결되도록 현장 타설하여 뒷굽(14)을 시공한다.
도 13은 뒷굽 연결형이며, 옹벽 세그먼트(10)는 뒷굽이 없는 바닥부(11)를 갖도록 제작(도 12의 뒷굽 현타형과 동일한 형상)되어 설치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인 뒷굽(15)을 현장에서 바닥부(11)와 일정 간격을 이격시켜 설치한 후 이들 사이를 현장 타설하여 연결부(16)를 시공함으로써 옹벽 세그먼트(10)를 완성한다.
도 14는 바닥부 현타형이며, 옹벽 세그먼트(10)는 앞굽 및 뒷굽이 없는 바닥부(11)를 갖도록 제작되어 설치되고 현장에서 현장 타설하여 현타형 바닥부(17)를 시공하여 현타형 바닥부(17)와 벽체부(12)를 일체로 합성하여 옹벽을 완성하는 것이며, 옹벽 세그먼트(10)를 세우는 과정에서 전도의 위험이 있으므로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서포트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타형 바닥부(17)의 경우 지중 파일(18)과 연결되도록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타형을 병행하는 경우 옹벽 세그먼트(10)의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우므로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옹벽 세그먼트(10)들이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긴장재가 적용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옹벽 세그먼트(10)의 바닥부(11)와 벽체부(12) 중 일측 이상에는 횡방향의 긴장재 설치홀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옹벽 세그먼트(10)들을 일렬로 배열한 후 긴장재 설치홀에 긴장재를 설치한 후 긴장함으로써 옹벽 세그먼트(10)들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긴장재는 강봉, 강선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10 : 옹벽 세그먼트, 11 : 바닥부
12 : 벽체부, 13 : 부벽
20 : 캡 블록, 21 : 옹벽 삽입부
22 : 천정부, 23 : 마감부
24 : 지지부, 30 : 채움재
40 : 배수로, 50 : 접속 슬래브
60 : 보도부 슬래브,

Claims (10)

  1. 각각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위에 세워지는 벽체부 및 상기 벽체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부벽으로 구성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이며 일렬로 배열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옹벽 세그먼트와;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의 상단부를 덮어 마감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과;
    상기 부벽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은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 상부에 올려져 지지되는 천정부, 상기 천정부의 전방측 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의 상측 전방을 덮는 마감부, 상기 천정부의 후방측 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의 상측 후방에 지지되는 지지부에 의해 하부를 향해 개방된 옹벽 삽입부, 상기 천정부에 옹벽 세그먼트의 위치에 맞춰 각각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채움홀, 상기 채움홀을 통해 상기 옹벽 삽입부 안에 채워지는 채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높이 조절된 후 상기 옹벽 삽입부에 상기 채움재가 채워져 상기 복수의 옹벽 세그먼트들을 일체로 합성하면서 상단부를 덮어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옹벽 세그먼트의 후방에 시공되는 뒷채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은 후방에 상부를 향해 개방되며 상기 뒷채움부에 시공되는 배수로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옹벽 세그먼트의 후방에 시공되는 뒷채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은 후방에 슬래브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슬래브 위에 보도부 또는 차도부가 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은 폭방향 양측에 연석이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연석에 가드레일과 난간이 각각 설치되어 보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은 상부에 방호울타리가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 위에 차도부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서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캡 블록은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벽체부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슬래브 또는 보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벽체부는 일체형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 또는 상기 바닥부와 벽체부로 이루어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의 바닥부에 뒷굽이 현장 타설되는 뒷굽 현타형, 상기 바닥부와 벽체부로 이루어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형의 뒷굽을 현장 타설로 연결하는 뒷굽 연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체의 벽체부에 바닥부를 현장 타설로 형성하는 바닥부 현타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31096A 2015-03-05 2015-03-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KR101772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096A KR101772940B1 (ko) 2015-03-05 2015-03-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096A KR101772940B1 (ko) 2015-03-05 2015-03-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796A KR20160107796A (ko) 2016-09-19
KR101772940B1 true KR101772940B1 (ko) 2017-08-30

Family

ID=5710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096A KR101772940B1 (ko) 2015-03-05 2015-03-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5989A (zh) * 2021-03-17 2021-06-22 上海市水利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便于灵活组装的新型预制装配式临时防汛墙
KR102606899B1 (ko) * 2022-04-28 2023-11-29 비앤씨글로벌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조합형 기초 철근망과 프리캐스트 벽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7950A (ja) * 2003-09-24 2005-04-14 Haneda Concrete Industrial Co Ltd コンクリート擁壁用ブロック
JP2006104850A (ja) * 2004-10-07 2006-04-20 Landes Co Ltd 張出車道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用いた張出車道の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014B1 (ko) 2006-12-01 2008-08-28 김범수 인장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7950A (ja) * 2003-09-24 2005-04-14 Haneda Concrete Industrial Co Ltd コンクリート擁壁用ブロック
JP2006104850A (ja) * 2004-10-07 2006-04-20 Landes Co Ltd 張出車道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用いた張出車道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796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US4964750A (en) Traffic barri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7061002B2 (ja) 橋梁の補修方法
KR10177294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KR101206860B1 (ko)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JP2013040467A (ja) 縁石併用型防護柵の支柱基礎ブロック
KR101726725B1 (ko) Pc블록과 현장타설을 이용한 확장도로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57955A (ko) 조립식 확장재를 이용한 보차도 확장 시공방법
KR101384673B1 (ko) 보강노반 지지용 강성복합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01216B1 (ko)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KR101005469B1 (ko) 보행로 확장방법
KR101383314B1 (ko) 항타형 인도교
JP4726259B2 (ja) 道路拡幅構造
US20100272509A1 (en) Traffic barrier section
KR101975502B1 (ko) 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JP4827203B2 (ja) 道路拡幅構造
KR100592416B1 (ko)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JP4700987B2 (ja) 張出車道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用いた張出車道の施工方法
KR101971267B1 (ko) 프리캐스트 산형 라멘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JP4468133B2 (ja) 張出車道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用いた張出車道の施工方法
KR100828181B1 (ko) 측벽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시공방법
JP4044877B2 (ja) 道路用軽量盛土
KR200423580Y1 (ko) 도로시공용 측벽블록
KR940009455B1 (ko) 콘크리트포장도로의 노견측 도로확폭용 옹벽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