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860B1 -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860B1
KR101206860B1 KR1020100098836A KR20100098836A KR101206860B1 KR 101206860 B1 KR101206860 B1 KR 101206860B1 KR 1020100098836 A KR1020100098836 A KR 1020100098836A KR 20100098836 A KR20100098836 A KR 20100098836A KR 101206860 B1 KR101206860 B1 KR 101206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vertical
ceiling
tunnel
unit gir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212A (ko
Inventor
박영대
Original Assignee
박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대 filed Critical 박영대
Priority to KR102010009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8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악 지역에 도로 등을 위한 터널을 개착하여 시공할 때 필요한 공간의 도로를 확보하면서도 개착공간을 줄이고, 터널의 지지기반을 확충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은, 지표면에서부터 지중으로 연속되는 경사형 제1개착선(L1)과 수직형 제2개착선(L2)에 맞춰 산악 지역을 개착하여 지표면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서로 모아지는 경사의 경사부와 수직부를 갖도록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제1,2개착선(L1,L2) 사이에는 평탄부(L3)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 의해 개착된 공간 중 좌우 양측의 평탄부 하부의 수직부에 각각 측벽(11)을 시공하되, 상기 측벽의 상부가 상기 평탄부(L3) 위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시공된 측벽 위에 아치형 천정부(12)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시공된 아치형 천정부 위를 성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수직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다수의 말뚝을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되, 상기 말뚝의 하부를 지중에 박아 설치하고, 상기 말뚝들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측판을 설치하며, 상기 말뚝 또는 측판을 관통하도록 앵커를 지중에 정착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거더 안착부(13a)가 형성된 연결부를 상기 측벽(11) 위에 상기 공간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에 다수의 아치형 제1단위 거더(12-1) 또는 반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는 다수의 제2단위 거더(12-2)의 양측 하단부를 각각 상기 연결부의 거더 안착부에 삽입하여 고정하여 아치형 천정부를 시공하며, 상기 측벽의 상부에는 헤드부가 몸통보다 큰 단면적의 결속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의 현장 타설시 상기 결속구를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매설하여 상기 측벽과 연결부를 결속하며, 상기 제4단계에서는, 상기 다수의 제1단위 거더 및 상기 다수의 제2단위 거더에 인장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단위 거더 및 제2단위 거더들을 서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EXCAVATION TUNNEL CONSTRUCTING METHOD USING VERTICAL SIDE WALL AND ARCH CEILING}
본 발명은 개착식 터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악 지역에 도로 등을 위한 터널을 개착하여 시공할 때 필요한 공간의 도로를 확보하면서도 개착공간을 줄일 수 있는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 철도 등의 수송망이 나날이 발달되는 추세 하에서 도로변과 철도변의 자연환경보존도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보존차원에서 산을 지나도록 설계된 도로나 철도는 터널공법으로 건설되고 있다.
터널은 도시의 지하철 등 지하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도시터널과 지방의 고속도로와 같이 지하수를 비교적 적게 받는 산악터널로 구분된다. 산악터널을 시공할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환경보존에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대표적인 터널 구조물 시공방법으로는 지하도, 터널 등의 터널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곳의 땅을 완전히 개착(開鑿)하여 터널 구조물을 시공한 다음, 그 위에 개착된 흙을 덮어 터널 구조물을 시공하는 오픈 트렌치 공법(Open Trench Method ;이하 O.T.M.)과 시공하고자 하는 곳의 땅을 개착(開鑿)하지 않고 쉴드 터널링 머신(Shield Tunneling Machine)을 사용한 비개착(非開鑿)으로 하여 터널을 형성한 다음 형성된 터널 안에 터널 구조물을 시공하는 터널 보링 공법(Tunneling
Boring Method ; 이하 T.B.M.)이 있다. 그 외에 도로 또는 철도 레일 밑에 터널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파이프를 이용하여 상부의 토층을 지지한 상태에서 그 아래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는 파이프 루프 공법(Pipe Roof Method) 등이 있다.
종래 개착식 터널은 오픈 트렌치 공법(O.T.M.)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방법, 현장 콘크리트 타설 방법, 주름이 있는 강재인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개착식 터널은 터널 상부에 토층 높이가 작거나 토층의 상태가 연약하여 비개착식 터널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개착식 터널은 방수, 차수, 터널 위 성토의 하중 등을 감안하여 설계 시공되어야 한다.
종래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산을 개착하여 터널을 시공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S1), 이 공간에 예를 들어 아치형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일렬로 설치하여 터널(1) 구조물을 시공하며(S2), 터널(1)이 완성된 후 터널 구조물 상부를 성토하여 성토층(2)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에 따르면, 아치형 터널(1)에 의해 필요로 하는 공간(S) 이외에 사용하지 않는 많은 사공간(A)이 발생된다. 따라서, 필요 이상의 산악을 개착하여야 하고, 개착이 많은 만큼 절토/성토가 많아지기 때문에 그에 따른 왕복 토사운반량이 많아지게 되어 비경제적이고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아치형의 터널(1)은 정면에서 볼 때 좌우 양측 하단부가 콘크리트 기초부(3)에만 지지되며, 콘크리트 기초부(3)는 개착된 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형태일 뿐이기 때문에 모든 하중이 아치형의 터널(1)을 통해 콘크리트 기초부(3)에 가해지게 되므로 콘크리트 기초부(3)의 기초 단면이 커지게 되며 따라서 시공비용이 많이 들고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초부(3)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설치와 탈형을 위하여 콘크리트 기초부(3)의 크기보다 여유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서, 용지경계를 더 크게 확보하기 위하여 임대비용이 커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악 지역에 도로 등을 위한 터널을 개착하여 시공할 때 필요한 공간의 도로를 확보하면서도 개착공간을 줄일 수 있는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널의 기초 단면을 축소하여도 터널의 구조적으로 안정을 도모하여 기초부의 시공을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하려는데 있다.
또한, 협소한 용지경계에 있어서도 용지경계의 폭을 줄여 임대 비용을 절감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은, 지표면에서부터 지중으로 연속되는 경사형 제1개착선과 수직형 제2개착선에 맞춰 산악 지역을 개착하여 지표면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서로 모아지는 경사의 경사부와 수직부를 갖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 의해 개착된 공간 중 좌우 양측의 수직부에 각각 측벽을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시공된 측벽 위의 경사부에 아치형 천정부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시공된 아치형 천정부 위를 성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에 의하면, 상부의 성토층으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에 대해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아치형 천정부를 형성하면서 불필요한 사공간을 최소화하여 도로의 시공을 위한 개착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개착 및 성토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아치형 천정부를 지지하는 좌우 양측의 측벽이 지중에 삽입 설치되어 측벽의 지지기반이 확충됨에 따라 토압이나 지반 침하 등에 따른 터널의 붕괴와 균열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측벽의 기초 단면이 종래보다 작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아울러, 용지경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역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의 개략적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의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말뚝을 이용한 아치형 개착식 터널의 시공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중 개착 공정의 상세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말뚝을 이용한 아치형 개착식 터널에 적용된 측벽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말뚝을 이용한 아치형 개착식 터널에 적용된 측벽과 연결부의 연결 상태도.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S10) 개착.
산악 지역에 터널을 시공할 경우 필요한 공간(S)을 확보하기 위하여 개착선(L)을 설계한다. 개착선(L)을 종래의 개착선(B)과 비교하면, 동일한 단면적의 공간(S)을 확보하기 위한 개착선(L)은 종래 개착선(B)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불필요한 사공간(A)(도 1에 도시됨)이 많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공간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개착선(L)은 경사형 제1개착선(L1)과 수직형 제2개착선(L2)로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터널(10)은 수직형의 양 측벽(11) 및 측벽(11)에 지지되는 아치형 천정부(12)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개착선(L)에 맞춰 땅을 개착하되, 도 4에서와 같이, 먼저 경사형 제1개착선(L1)에 맞춰 지표면에서부터 경사지게 개착한다(S11). 이어서, 경사형 제1개착선(L1)에 의해 개착된 공간의 저부 양측에서 수직형 제2개착선(L2)을 따라 수직형으로 개착한다(S12).
경사형 제1개착선(L1)과 수직형 제2개착선(L2)에 따른 개착으로만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개착은 다수의 단계로 구분되어 시공될 수 있다. 특히, 수직형 제2개착선(L2)에 따른 2차 개착은 후술하는 측벽(11)의 시공과 연계하여 다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형 제1개착선(L1)과 수직형 제2개착선(L2)에 따라 개착할 때 측벽(11)과 아치형 천정부(12)의 연결을 위하여 제1,2개착선(L1,L2) 사이에는 평탄부(L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0) 측벽 시공.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터널(10)은 수직의 측벽(11)과 아치형 천정부(12)로 구성되며, 먼저 측벽(11)을 시공(측벽(11)의 상부가 평탄부(L3)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시공)한다(S20).
측벽(11)은 도로의 측벽을 구성하며, 토압 등에 의해 붕괴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측벽(11)은 말뚝(11a) 및 측판(1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말뚝(11a)은 예컨대 H형태의 콘크리트 말뚝, 기성품인 "H"빔의 사용이 가능하며, 도로의 주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면서 하부가 지중에 매설된다. 말뚝(11a)의 매설 방법으로는 항타, 천공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측판(11b)은 평평한 판재로서, 하나 이상이 말뚝(11a)의 사이에 삽입되어 측벽(11)을 형성한다. 물론, 측판(11b)의 사이와 측판(11b)과 말뚝(11a)의 사이는 지하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수밀하게 처리된다. 다수의 측판(11b)이 사용되는 경우 다수의 측판(11b)에 인장재를 연결하여 측판(11b)들을 서로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다.
말뚝(11a)과 측판(11b)의 상단부는 아치형 천정부(12)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동일한 높이로 맞춰진다.
말뚝(11a)과 측판(11b)으로 이루어진 측벽(11)의 보강을 목적으로 앵커(11c)(여기서, 앵커(11c)는 지중에 정착되어 측벽(11)을 자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존의 앵커, 네일링, 록볼트 등을 총칭한다)가 적용될 수 있다.
앵커(11c)는 말뚝(11a)을 통과하여 지중에 정착됨으로써 측벽(11)의 자립을 돕고 토압에 대항하여 측벽(11)의 붕괴를 방지한다. 앵커(11c)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말뚝(11a)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모든 말뚝(11a) 또는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말뚝(11a)에 설치될 수 있다.
(S30) 아치형 천정부 시공.
아치형 천정부(12)를 측벽(11) 위에 시공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측벽(11) 위에 연결부(13)를 형성한다.
연결부(13)는 상부를 향해 개방된 거더 안착부(13a)를 갖는 구조물로서, 현장 타설과 프리캐스트 블록 모두가 가능하다.
현장 타설의 경우 연결부(13)를 측벽(11)에 고정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안정될 것이며, 이를 위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측벽(11)(말뚝(11a) 및/또는 측판(11b))에 결속구(11d)를 형성할 수 있다.
결속구(11d)는 도 8에서와 같이, 핀의 형태로서 말뚝(11a)에 형성된 체결공에 예컨대 삽입 고정되는 형태, 헤드부가 몸통보다 큰 단면적으로 구성되어 연결부(13)의 타설시 연결부(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측벽(11)과 연결부(13)를 서로 결속하는 형태 등이 가능하다.
연결부(13)가 프리캐스트 블록인 경우, 다수의 프리캐스트 블록형 연결부는 인장재를 통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결속구(11d)는 연결부(13)가 현장 타설이나 프리캐스트 블록인 것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며, 프리캐스트 블록의 내부에는 저부를 향해 개방되어 결속구(11d)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연결부(13)의 시공이 완료되면 아치형 천정부(12)를 시공한다.
아치형 천정부(12)는 아치형의 제1단위 거더(12-1)(도 9참고) 또는 반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는 제2단위 거더(12-2)(도 10참고)가 일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아치형의 제1단위 거더(12-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단위 거더(12-1)의 양측 하단부를 연결부(13)의 거더 안착부(13a)에 삽입하여 안착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다수의 제1단위 거더(12-1)를 연결부(13)에 안착한다. 이어서, 거더 안착부(13a)에 몰탈 등을 채워 제1단위 거더(12-1)를 연결부(13)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나, 제1단위 거더(12-1)들 사이를 통해 지하수와 흙이 침투하지 않도록 방수 등이 처리된다.
한편, 다수의 제1단위 거더(12-1)들간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인장재(14)가 사용될 수 있다.
인장재(14)는 다수의 제1단위 거더(12-1)의 통공에 삽입되며 양측 단부 중 일측 이상이 인장됨으로써 다수의 제1단위 거더(12-1)들이 밀착되도록 한다.
인장재(14)의 수량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인장재(14)의 정착단과 인장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과 도면은 생략한다.
제1단위 거더(12-1)를 연결부(13)에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제1단위 거더(12-1)를 설치 위치로 인양하는 방법, 제1단위 거더(12-1)를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S40) 성토.
상기 공정을 통해 본 발명의 터널(10)이 완공되면, 개착된 부분을 성토한다. 터널(10) 내부에는 종래(도 1)와 비교할 때 도로로서 필요한 공간이외의 사공간이 거의 없으며, 따라서, 성토의 흙이 종래보다 적고 성토 시간이 종래보다 짧다.
성토 공정 이후 또는 성토 공정 이전에 노면과 측벽(11)을 마감한다. 노면은 아스팔트 포장할 수 있고, 측벽(11)은 예를 들어 마감판을 부착하여 마감할 수 있다. 상기 마감판은 모든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말뚝을 이용한 아치형 개착식 터널(10)의 시공 상태도로서, 정면에서 볼 때 터널(10) 좌우 양측의 측벽(11)이 토압에 대항하여 붕괴를 막는 한편 지하수의 유입을 차단하고 있으며, 아치형 천정부(12)가 성토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에 대해 버팀강성을 발휘하여 터널(10)이 구조적으로 안정을 취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하나의 아치형 천정부만 사용된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차폭에 따라 2개 이상의 아치형 천정부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때, 아치형 천정부간의 사이에는 중간벽이 시공된다. 상기 중간벽은 2개 이상의 아치가 사용되는 기존 터널의 중간벽은 물론 2개 이상의 아치형 천정부를 지지할 수 있는 모든 구조물을 총칭한다. 그 이외의 구성(측벽 등)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10 : 아치형 개착식 터널, 11 : 측벽
11a : 말뚝, 11b : 측판
11c : 앵커, 11d : 결속구
12 : 아치형 천정부, 12-1 : 제1단위 거더
13 : 연결부, 14 : 인장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지표면에서부터 지중으로 연속되는 경사형 제1개착선(L1)과 수직형 제2개착선(L2)에 맞춰 산악 지역을 개착하여 지표면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서로 모아지는 경사의 경사부와 수직부를 갖도록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제1,2개착선(L1,L2) 사이에는 평탄부(L3)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 의해 개착된 공간 중 좌우 양측의 평탄부 하부의 수직부에 각각 측벽(11)을 시공하되, 상기 측벽의 상부가 상기 평탄부(L3) 위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시공된 측벽 위에 아치형 천정부(12)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시공된 아치형 천정부 위를 성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수직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다수의 말뚝을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되, 상기 말뚝의 하부를 지중에 박아 설치하고, 상기 말뚝들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측판을 설치하며, 상기 말뚝 또는 측판을 관통하도록 앵커를 지중에 정착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거더 안착부(13a)가 형성된 연결부를 상기 측벽(11) 위에 상기 공간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에 다수의 아치형 제1단위 거더(12-1) 또는 반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는 다수의 제2단위 거더(12-2)의 양측 하단부를 각각 상기 연결부의 거더 안착부에 삽입하여 고정하여 아치형 천정부를 시공하며,
    상기 측벽의 상부에는 헤드부가 몸통보다 큰 단면적의 결속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의 현장 타설시 상기 결속구를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매설하여 상기 측벽과 연결부를 결속하며,
    상기 제4단계에서는, 상기 다수의 제1단위 거더 및 상기 다수의 제2단위 거더에 인장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단위 거더 및 제2단위 거더들을 서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6. 지표면에서부터 지중으로 연속되는 경사형 제1개착선(L1)과 수직형 제2개착선(L2)에 맞춰 산악 지역을 개착하여 지표면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서로 모아지는 경사의 경사부와 수직부를 갖도록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제1,2개착선(L1,L2) 사이에는 평탄부(L3)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 의해 개착된 공간 중 좌우 양측의 평탄부 하부의 수직부에 각각 측벽(11)을 시공하되, 상기 측벽의 상부가 상기 평탄부(L3) 위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시공된 측벽 위에 아치형 천정부(12)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시공된 아치형 천정부 위를 성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수직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다수의 말뚝을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되, 상기 말뚝의 하부를 지중에 박아 설치하고, 상기 말뚝들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측판을 설치하며, 상기 말뚝 또는 측판을 관통하도록 앵커를 지중에 정착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거더 안착부(13a)가 형성된 연결부를 상기 측벽(11) 위에 상기 공간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에 다수의 아치형 제1단위 거더(12-1) 또는 반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는 다수의 제2단위 거더(12-2)의 양측 하단부를 각각 상기 연결부의 거더 안착부에 삽입하여 고정하여 아치형 천정부를 시공하며,
    상기 측벽의 상부에 동일 단면적의 결속구를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를 프리캐스트 블록으로 제작하여 저부에 상기 결속구의 상부가 끼워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측벽과 연결부를 결속하며,
    상기 제4단계에서는, 상기 다수의 제1단위 거더 및 상기 다수의 제2단위 거더에 인장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단위 거더 및 제2단위 거더들을 서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00098836A 2010-10-11 2010-10-11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KR101206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836A KR101206860B1 (ko) 2010-10-11 2010-10-11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836A KR101206860B1 (ko) 2010-10-11 2010-10-11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212A KR20120037212A (ko) 2012-04-19
KR101206860B1 true KR101206860B1 (ko) 2012-11-30

Family

ID=4613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836A KR101206860B1 (ko) 2010-10-11 2010-10-11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8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0273A (zh) * 2016-07-20 2016-10-26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直墙板桁半装配式明洞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501685B1 (ko) * 2021-12-28 2023-02-21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반개착과 탑다운 굴착을 병행하는 터널 시공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036B1 (ko) * 2016-01-18 2016-10-06 (주)서현컨스텍 종방향 연결콘크리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아치구조물 시공방법
CN106968690A (zh) * 2017-04-20 2017-07-21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坍塌土质的隧道施工方法
CN109024668B (zh) * 2018-06-07 2021-09-14 北京市轨道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层地铁车站的施工方法
CN109869163A (zh) * 2019-04-03 2019-06-11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隧道进洞的施工方法及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48B1 (ko) * 2005-04-15 2005-12-01 (주)청석엔지니어링 피에스씨 판넬과 강재 거더를 이용한 복개아치합성구조물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48B1 (ko) * 2005-04-15 2005-12-01 (주)청석엔지니어링 피에스씨 판넬과 강재 거더를 이용한 복개아치합성구조물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0273A (zh) * 2016-07-20 2016-10-26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直墙板桁半装配式明洞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501685B1 (ko) * 2021-12-28 2023-02-21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반개착과 탑다운 굴착을 병행하는 터널 시공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212A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8405B (zh) 一种“桩-锚-框架”复合的双层路基结构
KR101206860B1 (ko)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KR101344063B1 (ko)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KR20100138122A (ko)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지중 아치 라멘식 구조물의 기초부 및 이 시공 방법
CN205116217U (zh) 一种高填方预制现浇组合式桩板墙防护结构
JPH11152761A (ja) 地下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工法
KR20070075506A (ko) 충전강관 루프와 콘크리트 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방법
CN109750571A (zh) 一种道路塌方应急与永久支挡一体化结构及施工方法
KR20180118009A (ko) 복층터널공법
CN113308953B (zh) 利用既有挡墙的泡沫混凝土拼宽路堤的施工方法
KR10054643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과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복개아치합성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532248B1 (ko) 피에스씨 판넬과 강재 거더를 이용한 복개아치합성구조물및 그 시공방법
KR101288601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과 바닥 슬래브를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51009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과 강재 거더가 결합된 일체형골조를 이용한 지중아치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80025478A (ko) 비개착식 터널굴착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설치된터널구조체
JP4083334B2 (ja) アーチ屋根を有する地下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CN108978673A (zh) 一种立交桥桩基托换的基坑支护结构及施工方法
CN205857198U (zh) 地铁站施工主体围护结构
KR100509707B1 (ko) 골조관과 콘크리트리브를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굴착방법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설치된 터널구조체
CN211922133U (zh) 一种适用于悬崖峭壁路段老路扩宽的大悬挑结构
KR101234270B1 (ko) 강관과 유공관을 이용한 비개착 굴착공법
US5871307A (en) Pre-cast concrete panel wall
KR10143940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과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복개아치 합성구조물의 힌지식 기초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복개아치 합성구조물 시공 공법
JP4939101B2 (ja) アプローチ構築方法
CN109914478A (zh) 一种爆破开挖续接地下连续墙建造地铁车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