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245B1 - 외부 미러 유닛, 미러 지지부 및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미러 유닛, 미러 지지부 및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245B1
KR101772245B1 KR1020127020963A KR20127020963A KR101772245B1 KR 101772245 B1 KR101772245 B1 KR 101772245B1 KR 1020127020963 A KR1020127020963 A KR 1020127020963A KR 20127020963 A KR20127020963 A KR 20127020963A KR 101772245 B1 KR101772245 B1 KR 10177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irror support
actuator unit
suppo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552A (ko
Inventor
파울루스 게라르더스 마리아 반 스티프하우트
Original Assignee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30007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외부 미러 유닛은 자동차에 부착하기 위한 미러 베이스, 미러 베이스와 연결 가능한 미러 지지부 및 미러 베이스에 대해 미러 지지부의 피봇 조절을 위해 미러 베이스 및 미러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는 액츄에이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미러 지지부는 전체로서 미러 베이스 및 액츄에이터 유닛과 연결 가능하다.

Description

외부 미러 유닛, 미러 지지부 및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EXTERIOR MIRROR UNIT, MIRROR SUPPORT, METHOD FOR ASSEMBLY OF AN EXTERIOR MIRROR UNIT}
본 발명은 자동차를 위한 외부 미러 유닛에 관련된다.
자동차를 위한 외부 미러 유닛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외부 미러 유닛은 대개 자동차에 부착하기 위한 미러 베이스 및 미러 요소가 부착될 수 있는 미러 지지부를 포함한다. 외부 미러 유닛은 미러 베이스에 대해 미러 지지부의 피봇 조절하도록 액츄에이터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미러 지지부 주위에, 예를 들어 공기 역학적 및/또는 미학적 이유를 위해 및/또는 그 안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및 미러 지지부의 보호로써, 미러 캡이 배치될 수 있다. 미러 지지부는 대개 작동 위치, 대기 위치 및 폴드-오버(fold-over) 위치 사이에 실질적으로 거의 위로 향하는 축으로 미러 베이스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다.
작동 위치 또는 폴드-아웃(fold-out) 위치에서 미러 지지부는 미러 베이스 및/또는 자동차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이다. 미러 지지부는 대개 자동차의 사용 동안, 바람직하게 운전 동안 작동 위치에 있는다. 대기 위치 또는 폴드-인(fold-in) 위치에서 미러 지지부는 실질적으로 자동차를 따르며, 반사 요소는 자동차를 향한다. 따라서 미러 캡을 구비하는 미러 지지부는 밀착되게 자동차를 품어서, 손상의 가능성이 더 적다. 폴드-오버 위치에서 미러 지지부는 폴드-인 위치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따라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한다. 폴드-오버 위치에서 반사 요소는 대개 자동차로부터 먼 쪽을 향한다. 예를 들어, 만약 폴드-인 위치에서 미러 지지부가 실질적으로 자동차의 뒤를 향해 가리킨다면, 폴드-오버 위치에서 미러 지지부는 실질적으로 자동차의 정면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미러 지지부는 물체와 충돌의 결과로서 폴드-오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작동 위치, 대기 위치 및 폴드-오버 위치 사이의 조절은 대개 미러 지지부 및 미러 베이스 사이에 있는 액츄에이터 유닛의 도움으로 수동으로 또는 원격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액츄에이터 유닛이 제공되는 잘 알려진 외부 미러 유닛들의 단점은 거기에 부착된 미러 지지부, 또는 미러 캡이 손상됐을 때, 미러 지지부는 액츄에이터 유닛 및/또는 미러 베이스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미러 지지부를 따라, 또한 액츄에이터 유닛은 미러 베이스로부터 제거되고, 새로운 액츄에이터 유닛을 포함하여, 전적으로 새로운 미러 지지부가 조립된다. 액츄에이터 유닛은 외부 미러 유닛의 더 비싼 부분들 중의 하나이므로, 이것은 미러 지지부의 교체를 상대적으로 비싸게 만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상된 미러 지지부 및/또는 미러 캡을 더 간단하고 더 싸게 교체하기 위한, 외부 미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에 부착하기 위한 미러 베이스, 미러 베이스와 연결 가능한 미러 지지부 및 미러 베이스에 대한 미러 지지부의 피봇 조절을 위해 미러 지지부 및 미러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액츄에이터 유닛을 포함하고, 미러 지지부는 전체로서 분리되게 미러 베이스 및 액츄에이터 유닛과 연결 가능한 외부 미러 유닛을 제공한다.
전체로서 분리되게 미러 베이스 및 액츄에이터 유닛과 연결 가능한 미러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미러 지지부는 간단하게 액츄에이터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미러 지지부가 액츄에이터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이후, 액츄에이터 유닛은 미러 베이스와 연결된 채로 남아 있는다. 따라서, 간단하게 새로운 미러 지지부는 미러 베이스 및 액츄에이터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유닛으로부터 전체로서 미러 지지부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미러 지지부를 제거하는 것은 작동들의 제한된 수를 수반할 수 있으며, 일부는 이것 덕분에, 상대적으로 저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손상된 미러 지지부 및/또는 그것과 함께 연결된 미러 캡을 교체할 때, 미러 지지부 및 미러 캡만 제거되어야 하며 새로운 미러 지지부 및 미러 캡이 위치된다. 액츄에이터 유닛은 유지될 수 있어서, 이러한 상대적으로 값비싼 부분은 교체되지 않아도 된다. 미러 지지부 및/또는 미러 캡의 교체는 따라서 동시에 더 저렴해질 수 있다. 또한, 운송 및 비축 비용들은 상대적으로 값비싸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액츄에이터 유닛이 더 이상 미러 지지부의 부분으로서 재고로 보유되고 운송될 필요가 없으므로 감소할 수 있으나, 다만 더 가볍고 더 저렴한 미러 지지부의 비축 및 운송은 필요하다.
유리하게, 미러 지지부는 최대한 하나의 고정 수단의 도움으로 액츄에이터 유닛과 분리되게 연결 가능하다. 최대한 하나의 고정 수단의 도움으로 미러 지지부와 액츄에이터 유닛을 고정하는 것에만 의해, 많은 부분들 및 비용들은 감소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유닛은 예를 들어, 미러 지지부 안에 수용될 수 있으며 및/또는 미러 지지부에 부착될 수 있다. 최대한 하나의 고정 수단의 도움으로 미러 지지부에 액츄에이터 유닛을 고정하는 것에만 의해, 미러 지지부는 간단하게 액츄에이터 유닛으로부터 연결되고 절단될 수 있어, 미러 지지부는 액츄에이터 유닛으로부터 전체로서 분리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나사, 클램프, 스냅 핑커, 고리, 웨지 또는 다른 고정 수단일 수 있다. 많은 변형들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나사 또는 클램프 또는 고리 같은 별개의 연결 요소 없이 분리될 수 있는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수단은 액츄에이터 유닛 및/또는 미러 지지부의 부분인 스냅 연결로 이행될 수 있다. 개별적인 연결 요소 없이 분리 가능한 연결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더 나아가,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셈블리가 미러 지지부 안에 액츄에이터 유닛을 고정하도록 연동한 후에, 미러 지지부 상에 스냅 핑거가 제공될 수 있고 액츄에이터 유닛 상에 스냅 핑거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스냅 핑거들은 고정 수단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집게들 또는 손으로, 스냅 핑거들 중의 하나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 연결은 간단하게 해제될 수 있으며 미러 지지부는 액츄에이터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 수단은 액츄에이터 유닛과 함께 미러 지지부의 고정 이후 또한 이용 가능하다. 아마도, 고정 수단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러나 설치 이후,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미러 지지부 안에 조립될 수 있는 미러 요소에 의해,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보호된다.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는, 미러 요소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기계공에게 자유롭게 접근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기계공은 간단하게 고정 수단을 해제하고 액츄에이터 유닛 및 미러 베이스로부터, 그것에 제공된 미러 캡과 함께, 미러 지지부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기계공은 다시 액츄에이터 유닛과 함께 새로운 미러 지지부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러 지지부에는, 액츄에이터 유닛이 실질적으로 미러 지지부 안에 수용되는 미러 지지부들의 경우 미러 지지부 안에, 또는 액츄에이터 유닛이 실질적으로 미러 지지부 옆에 위치되는 미러 지지부들의 경우 미러 지지부에, 액츄에이터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기관이 제공된다. 수용 기관은 예를 들어, 미러 지지부 구조의 다른 폐쇄된 부분 안에 슬롯 또는 절단부 같이 추가적인 기관으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서 미러 지지부는 아래쪽에서 개방될 수 있고, 이를 따라 액츄에이터 유닛은 미러 지지부 내에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및/또는 상부에 절단부 또는 슬롯과 같은 추가적인 수용 기관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액츄에이터 유닛은 미러 지지부 안에 더 간단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미러 지지부는 액츄에이터 유닛으로부터 전체로서 더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미러 지지부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에 관련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나타내진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은 도면 안에 나타내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더 명료해질 것이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의 중간 위치에서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미러 지지부의 제 1 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된 어셈블리 위치에서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미러 지지부의 제 2 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미러 지지부의 제 3 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미러 지지부의 제 4 실시예를 상부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어셈블리의 중간 위치에서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미러 지지부의 제 5 실시예를 아래쪽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유닛을 구비하는 미러 지지부의 고정된 어셈블리 위치에서 도 5의 제 5 실시예를 아래쪽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유사한 부분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들로 지정된다. 도면은 비-제한적인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해 주어진다.
도 1은 액츄에이터 유닛(actuator unit; 2)이 수용될 수 있는 미러 지지부(mirror support; 1)를 도시한다. 연결 요소(connecting element; 3)를 통해, 여기에서 베이어닛(bayonet) 연결, 액츄에이터 유닛은 미러 베이스(mirror base)와 연결될 수 있다. 미러 베이스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는다. 미러 지지부(1) 및 액츄에이터 유닛(2)은 자동차를 위한 외부 미러 유닛(exterior mirror unit) 안에 대개 포함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미러 지지부(1) 주위에 미러 캡(mirror cap)이 위치될 수 있다. 미러 캡은 미러 지지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대개 미학적 및/또는 공기 역학적인 이유들을 위해 및/또는 미러 지지부를 보호하기 위해 미러 지지부 및 그것의 구성요소들을 둘러싼다.
미러 지지부(1)는 예를 들어, 미러 요소(mirror element) 같은, 반사 요소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미러 요소, 및 예를 들어, 조절 장치 같은, 그것과 연결된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미러 지지부(1)의 수용 영역(reception area; 8) 안에 위치될 수 있다. 미러 요소는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는다.
액츄에이터 유닛(2)은 미러 베이스에 대해 미러 지지부(1)의 피봇(pivoting) 조절을 위해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미러 지지부(1)는 작동 위치, 대기 위치(park position) 및 폴드-오버 위치(fold-over position) 사이에 위로 향하는 축에 대해 조절할 수 있다. 작동 위치에서 미러 지지부는 자동차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이다. 대기 위치에서 미러 지지부는 실질적으로 자동차를 따르며, 미러 요소는 자동차를 향한다. 폴드-오버 위치에서 미러 지지부는 또한 실질적으로 자동차를 따라 있으나, 전방에서, 미러 요소는 자동차로부터 먼 쪽을 향한다. 그러한 위치는 예를 들어, 물체와 외부 미러 유닛의 충돌 이후, 예외적으로만 취해질 것이다.
미러 지지부(1) 및/또는 미러 캡의 교체 및/또는 조립 및/또는 분해를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비싸지 않게 하기 위해서, 미러 지지부(1)는 액츄에이터 유닛(2) 및 미러 베이스로부터 전체로서 분리되도록 설계된다. 미러 지지부(1)가 액츄에이터 유닛(2)으로부터 분리된 후, 액츄에이터 유닛(2)은 미러 베이스와 연결된 채로 남아 있다. 따라서, 미러 지지부 및/또는 미러 캡 및/또는 그것의 부분들이 예를 들어 손상될 때, 미러 지지부(1) 및 아마도 미러 캡만 교체되어도 된다. 이런 식으로, 상대적으로 비싼 액츄에이터 유닛은 미러 베이스와 연결되어 보유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유닛(2)에 및 액츄에이터 유닛(2)으로부터 전체로서 미러 지지부(1)를 부착하고 분리하는 것에 의해, 액츄에이터 유닛(2)에 및 액츄에이터 유닛(2)으로부터 미러 지지부의 조립 및/또는 분해는 상대적으로 쉽고 비싸지 않게 행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미러 지지부(1)에는 축 이동 및 피봇 이동을 통해 액츄에이터 유닛(2)을 수용하도록 절단부가 제공된다. 우선, 화살표 A로 가리켜진, 축 이동을 통해, 액츄에이터 유닛(2)은 미러 지지부(1) 안으로 부분적으로 미러 지지부(1)의 아래쪽을 따라 미끄러진다. 액츄에이터 유닛(2)의 제 1 부분(5)은 미러 지지부(1) 안에 수용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유닛(2)의 제 2 부분(6)은 도 1에 도시된 대로, 미러 지지부(1)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있다. 따라서 도 1은 어셈블리(assembly)의 중간 위치를 도시한다. 제 2 부분(6)은 따라서, 화살표 B로 가리켜진, 피봇 이동을 통해, 미러 지지부의 추가적인 수용 기관(4)을 통해 미러 지지부(1) 안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피봇 이후, 액츄에이터 유닛(2)은 미러 지지부(1)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포함되며, 액츄에이터 유닛(2)은 어셈블리의 말단 위치에 있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수용 기관(4)은 미러 지지부(1)의 측면에서 절단부(cutout)로 실시된다.
액츄에이터 유닛(2)은 따라서 고정 수단(7)과 미러 지지부(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수단(7)은 액츄에이터 유닛(2)과 연결된 눈(eye; 7a), 미러 지지부 상에 부시(bush; 7b)를 포함한다. 눈(7a)을 통해, 예를 들어, 나사(screw)는 부시(7b) 안에 끼울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부시(7b)에는 내부 나사산(thread)이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나사 같은 느슨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스냅 연결(snap connection) 또는 래칫 연결(ratchet connection) 같은, 액츄에이터 유닛 및/또는 미러 지지부와 연결되는 부분들만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고정 수단(7)의 변형될 실시예를 도시하며, 미러 지지부(1) 안에 액츄에이터 유닛(2)을 고정하기 위해 클립(clip)으로 설계된다. 도 2는 고정된 어셈블리 위치에서 미러 지지부(1) 및 액츄에이터 유닛(2)을 도시한다.
하나의 고정 수단(7)만 미러 지지부(1) 안에 액츄에이터 유닛(2)을 고정하도록 이용된다. 고정 수단(7)은 게다가 미러 요소 및 미러 캡과 함께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이후 간단하게 이용 가능하다. 이용 동안, 고정 수단(7)은 미러 요소 뒤에 감춰질 수 있으며, 그것은 주위 영향들로부터 어느 정도는 보호될 수 있게 한다. 미러 요소가 스냅 연결을 통해 대개 부착될 때 간단하게 행해지는, 미러 요소 제거에 의해, 고정 수단(7)은 잘 이용 가능하며 고정 수단은 해제될 수 있다. 아마도, 고정 수단은 또한 외부로부터 자유롭게 이용 가능할 고정 수단과 함께 및/또는 제거될 미러 요소 없이 이용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정 수단이 해제된 이후,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미러 지지부(1)는 A 방향으로 축 이동 및 B 방향으로 피봇 이동에 의해 미러 베이스 및 액츄에이터 유닛(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수용 기관(4)을 구비하는 미러 지지부(1)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수용 기관은 슬롯(slot)으로 실시된다.
화살표 A로 지정된, 축 이동을 통해, 액츄에이터 유닛(2)은 미러 지지부(1) 안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미러 지지부(1) 안 액츄에이터 유닛(2)을 위한 수용 공동(reception cavity)의 내부 치부들이 액츄에이터 유닛(2)의 외부 치수들과 대략 같거나 더 작다면, 슬롯은 미러 지지부(1) 안으로 미끄러지는 액츄에이터 유닛(2)의 결과로서 조금 들어갈 것이다. 그러므로 고정 수단(7)에 의해 더 좁게 슬롯을 당기는 것에 의해, 액츄에이터 유닛(2)은 미러 지지부(1) 안에 죌 수 있어 고정된다.
미러 지지부(1) 안 액츄에이터 유닛(2)을 위한 수용 공동의 내부 치수들이 액츄에이터 유닛(2)의 외부 치수들보다 크다면, 슬롯은 삽입될 액츄에이터 유닛(2)의 결과로서 들어가지 않을 것이며, 또는 거의 그렇지 않을 것이다. 고정 수단(7)에 의해 슬롯은 더 좁게 당겨질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 유닛(2)은 그에 의해 미러 지지부(1)의 수용 공동 안에 조여질 수 있다.
고정 수단(7)은 미러 지지부(1) 상에 모두, 나사가 수용될 수 있는 눈(7a) 및 부시(7b)로 설계되나, 또한 나사 또는 핀(pin) 같은 느슨한 개별적인 연결 수단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을 다른 방식으로 또는 웨지(wedge), 고리, 클립, 클램프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슬롯은 미러 지지부(1)의 측면에 도시된다. 그러나 슬롯은 또한 도 4에 도시된 대로, 미러 지지부(1)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미러 지지부(1)의 아래쪽에 절단부를 포함하는 수용 기관(4)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절단부에는 미러 지지부 안에 수용 공동 안으로 삽입되도록 미끄러질 수 있는 액츄에이터 유닛(2)을 따라 추가적인 하부절단부(undercut)가 제공된다.
액츄에이터 유닛(2)은 미러 지지부(1)의 수용 공동 안으로, 절단부를 통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축 이동하여 설치된다. 그 후 액츄에이터 유닛(2)은 하부절단부 아래를 지나, 화살표 C로 가리키는, 미끄러짐 이동으로 미러 지지부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하부절단부의 도움으로, 액츄에이터 유닛(2)은 미러 지지부(1)의 수용 공동 안에 유지될 수 있다. C 방향으로 액츄에이터 유닛(2)의 이동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웨지, 또는 나사, 또는 클램프, 또는 다른 고정 수단 같은 고정 수단(7)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아마도, 예를 들어, 수용 영역(8) 안에 미러 조절 장치를 나사로 고정시키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는 나사산 형상 부시(threaded bush)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서, 그러한 나사산 형상 부시는 7'로 지정된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수용 기관(4)은 C 방향으로 미러 지지부에 대해 액츄에이터 유닛을 미끄러지도록 요구되는 수용 공동 안에 추가적인 공간을 더 포함한다.
도 5는 미러 지지부(1) 안으로 축 방향 A로 위치된 이후 미러 지지부(1) 안에 수용되는 액츄에이터 유닛(2)과 함께, 어셈블리의 중간 위치에서의 액츄에이터 유닛(2)을 도시한다. 게다가, 미러 지지부(1)는 도 6에 도시된 말단 위치에 도달하도록 액츄에이터 유닛(2)에 대해 C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액츄에이터 유닛(2)은 하부절단부 아래에 부분적으로 고정되고 웨지(7)로 추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미러 지지부(1)는 고정 수단(7)을 해제하여 C 방향으로 액츄에이터 유닛으로부터 미러 지지부(1)의 결합을 푸는 것에 의해 액츄에이터 유닛(2)으로부터 전체로서 간단히 분리될 수 있다. 미러 지지부(1)는 C 방향으로 액츄에이터 유닛(2)으로부터 전체로서 분리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C 방향으로의 이동은 미러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C 방향은 또한 C 방향이 A 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인, 다른 방향 또는 미러 지지부에 대한 횡방향일 수 있다.
도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와는 별개로, 미러 지지부의 아래쪽에, 액츄에이터 유닛을 위한 수용 공동으로 이끄는 개구 안에, 예를 들어 스냅 핑거들(snap fingers) 같은, 여분의 잠금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유닛이 화살표 A를 따르는 방향으로 축 이동에 의해 미러 지지부의 수용 공동 안으로 전체로 또는 부분적으로 삽입된 후, 액츄에이터 유닛은 액츄에이터 유닛의 삽입 동안 밖으로 밀려서 액츄에이터 유닛 아래에 잠기는 스냅 핑거들의 도움으로 A 방향으로의 이동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스냅 핑거들은 미러 지지부가 또한 A 방향으로 다시 액츄에이터 유닛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예를 들어, 미러 지지부의 수용 공동 안에 변형시킨 리브들을 제공하는 것에, A 방향으로의 액츄에이터 유닛의 이동은 실질적으로 방해될 수 있는 반면, 미러 지지부는 액츄에이터 유닛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어 변형시킨 리브들에 의해 조여지는 작용이 간단하게 다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내진 전형적인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미러 지지부가 액츄에이터 유닛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설계된 전형적인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도시된다. 액츄에이터 유닛은 미러 지지부의 전용의 공동 안에 수용될 수 있다. 미러 지지부의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들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 유닛은 미러 지지부의 외부 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 경우 또한, 액츄에이터 유닛은 예를 들어 병진 이동에 의해 미러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클립 또는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많은 변형들이 가능하며 다음의 청구항의 범위 안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1: 미러 지지부
2: 액츄에이터 유닛
3: 연결 요소
4: 수용 기관
5: 제 1 부분
6: 제 2 부분
7: 고정 수단
7a: 눈
7b: 부시
8: 수용 영역

Claims (14)

  1. 자동차에 부착되기 위한 미러 베이스;
    상기 미러 베이스와 연결 가능한 미러 지지부; 및
    상기 미러 베이스에 대해 상기 미러 지지부의 피봇 조절하도록 상기 미러 지지부 및 미러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액츄에이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미러 지지부는 전체로서 분리 가능하게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 및 상기 미러 베이스와 연결 가능하고,
    상기 미러 지지부는 최대한 하나의 고정 수단의 도움으로 분리할 수 있게 연결 가능하고,
    상기 미러 지지부에는 상기 미러 지지부 안에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을 수용하도록 수용 기관이 제공되는 외부 미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미러 지지부의 설치 후 이용 가능한 외부 미러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미러 요소 제거 후 이용 가능한 외부 미러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기관은 축 이동 및 피봇 이동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절단부(cutout)를 포함하는 외부 미러 유닛.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기관은 축 이동에 의해 조여지게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을 수용하도록 슬롯을 포함하는 외부 미러 유닛.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기관은 축 이동 및 미끄러짐 이동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절단부(cutout)를 포함하는 외부 미러 유닛.
  7. 미러 지지부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을 위해 설계된 미러 지지부.
  8. 미러 지지부에 있어서,
    제4항에 따른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을 위해 설계된 미러 지지부.
  9. 미러 지지부에 있어서,
    제5항에 따른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을 위해 설계된 미러 지지부.
  10. 미러 지지부에 있어서,
    제6항에 따른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을 위해 설계된 미러 지지부.
  11.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미러 유닛은 제1항 내지 제3항에 따른 외부 미러 유닛이고, 상기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은,
    자동차에 부착하기 위한 미러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미러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러 베이스에 대해 상기 미러 지지부의 피봇 조절을 위해 상기 미러 지지부 및 미러 베이스 사이에 위치 가능한 액츄에이터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러 베이스 및 상기 미러 지지부 사이에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을 위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베이스 및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과 함께 상기 미러 지지부의 연결은 분리 가능하여 전체로서 상기 미러 지지부의 분리 후에,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이 상기 미러 베이스에 연결된 채로 남아 있고,
    상기 미러 지지부는 하나의 고정 수단의 도움으로, 전체로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
  12.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미러 유닛은 제4항에 따른 외부 미러 유닛이고, 상기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은,
    자동차에 부착하기 위한 미러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미러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러 베이스에 대해 상기 미러 지지부의 피봇 조절을 위해 상기 미러 지지부 및 미러 베이스 사이에 위치 가능한 액츄에이터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러 베이스 및 상기 미러 지지부 사이에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을 위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베이스 및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과 함께 상기 미러 지지부의 연결은 분리 가능하여 전체로서 상기 미러 지지부의 분리 후에,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이 상기 미러 베이스에 연결된 채로 남아 있고,
    상기 미러 지지부는 하나의 고정 수단의 도움으로, 전체로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
  13.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미러 유닛은 제5항에 따른 외부 미러 유닛이고, 상기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은,
    자동차에 부착하기 위한 미러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미러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러 베이스에 대해 상기 미러 지지부의 피봇 조절을 위해 상기 미러 지지부 및 미러 베이스 사이에 위치 가능한 액츄에이터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러 베이스 및 상기 미러 지지부 사이에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을 위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베이스 및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과 함께 상기 미러 지지부의 연결은 분리 가능하여 전체로서 상기 미러 지지부의 분리 후에,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이 상기 미러 베이스에 연결된 채로 남아 있고,
    상기 미러 지지부는 하나의 고정 수단의 도움으로, 전체로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
  14.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미러 유닛은 제6항에 따른 외부 미러 유닛이고, 상기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은,
    자동차에 부착하기 위한 미러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미러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러 베이스에 대해 상기 미러 지지부의 피봇 조절을 위해 상기 미러 지지부 및 미러 베이스 사이에 위치 가능한 액츄에이터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러 베이스 및 상기 미러 지지부 사이에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을 위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 베이스 및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과 함께 상기 미러 지지부의 연결은 분리 가능하여 전체로서 상기 미러 지지부의 분리 후에,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이 상기 미러 베이스에 연결된 채로 남아 있고,
    상기 미러 지지부는 하나의 고정 수단의 도움으로, 전체로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
KR1020127020963A 2010-01-25 2011-01-25 외부 미러 유닛, 미러 지지부 및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 KR101772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4142 2010-01-25
NL2004142A NL2004142C2 (nl) 2010-01-25 2010-01-25 Buitenspiegeleenheid, spiegeldrager, werkwijze voor montage van een buitenspiegeleenheid.
PCT/NL2011/050045 WO2011090385A1 (en) 2010-01-25 2011-01-25 Exterior mirror unit, mirror support, method for assembly of an exterior mirror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552A KR20130007552A (ko) 2013-01-18
KR101772245B1 true KR101772245B1 (ko) 2017-08-28

Family

ID=4273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963A KR101772245B1 (ko) 2010-01-25 2011-01-25 외부 미러 유닛, 미러 지지부 및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80817B2 (ko)
EP (1) EP2528779B1 (ko)
JP (1) JP5941412B2 (ko)
KR (1) KR101772245B1 (ko)
CN (1) CN102858594B (ko)
NL (1) NL2004142C2 (ko)
WO (1) WO2011090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4142C2 (nl) 2010-01-25 2011-07-26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Buitenspiegeleenheid, spiegeldrager, werkwijze voor montage van een buitenspiegeleenheid.
CN107855976A (zh) * 2017-11-30 2018-03-30 成都顺宏鑫机械有限公司 汽车后视镜的拆卸方法
JP7302947B2 (ja) 2018-04-27 2023-07-04 小林製薬株式会社 歯間清掃具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3042A (ja) 1983-12-29 1985-07-29 Fujitsu Ltd 光信号変換器
JPS60143042U (ja) * 1984-03-05 1985-09-21 市光工業株式会社 ドアミラ−構造
JPS60244639A (ja) * 1984-05-18 1985-12-04 Ichikoh Ind Ltd ドアミラ−構造
JPS61169346A (ja) * 1985-01-22 1986-07-31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ドアミラ−の緩衝装置
JPH0198042U (ko) * 1987-12-22 1989-06-29
ES2136502B1 (es) 1996-07-09 2000-07-01 Fico Mirrors Sa Dispositivo de fijacio para espejos retrovisores de vehiculos automoviles.
US5693565A (en) 1996-07-15 1997-12-02 Dow Corning Corporation Semiconductor chips suitable for known good die testing
JP3881153B2 (ja) * 2000-04-25 2007-0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JP3948901B2 (ja) 2000-12-20 2007-07-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手動格納式ドアミラー
AUPR381201A0 (en) 2001-03-19 2001-04-12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Improved pivot assemblies
JP3887543B2 (ja) 2001-03-19 2007-0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JP4123056B2 (ja) 2003-05-26 2008-07-23 市光工業株式会社 手動式ミラー装置
NL1025524C2 (nl) 2004-02-19 2005-08-22 Iku Holding Montfoort Bv Spiegelverstelmechanisme, buitenspiegeleenheid en werkwijze.
JP4321367B2 (ja) 2004-06-10 2009-08-26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7354165B1 (en) 2004-10-20 2008-04-08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Vehicle mirror system with control rise detent assembly
NL1032235C2 (nl) * 2006-07-26 2008-01-29 Eaton Automotive Bv Spiegelverstelmechanisme, buitenspiegeleenheid en werkwijze.
US7632944B2 (en) 2007-01-24 2009-12-15 Bausch & Lomb Incorporated Quinolone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4985276B2 (ja) * 2007-09-27 2012-07-25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DE102008026039B4 (de) * 2008-05-30 2012-12-13 Ficosa International Gmbh Rückspiegel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Rückspiegels an einem Kraftwagen
NL2004142C2 (nl) 2010-01-25 2011-07-26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Buitenspiegeleenheid, spiegeldrager, werkwijze voor montage van een buitenspiegeleenheid.
NL2004141C2 (nl) 2010-01-25 2011-07-26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Buitenspiegeleenhe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8779A1 (en) 2012-12-05
CN102858594B (zh) 2016-07-06
NL2004142C2 (nl) 2011-07-26
EP2528779B1 (en) 2016-04-27
US20130050856A1 (en) 2013-02-28
JP2013517977A (ja) 2013-05-20
JP5941412B2 (ja) 2016-06-29
CN102858594A (zh) 2013-01-02
WO2011090385A1 (en) 2011-07-28
US9180817B2 (en) 2015-11-10
KR20130007552A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512B2 (en) Hinged headrest for a vehicle seat
KR101772245B1 (ko) 외부 미러 유닛, 미러 지지부 및 외부 미러 유닛의 조립 방법
KR20110091897A (ko) 차량 내부 라이닝용 체결 장치
EP1935718A2 (en) Apparatus including a mirror assembly
JP4843622B2 (ja) 構成要素の固定具および固定具の取り付け
JP5395029B2 (ja) プルハンドル部の支持構造
WO2011090384A1 (en) Exterior mirror unit
EP1864857A2 (en) Vehicular lamp, vehicular lamp attachment method, vehicular lamp attachment structure, and vehicle
JP6754258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取付構造
EP3038861B1 (en) Socket joint with integrated tube anchors
EP1612138B1 (en) Holder for a panel in an aircraft
JP2017159765A (ja) 車内ビジョンの筐体
KR20200134366A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에 장착하는 ohc 브래킷
CN216467560U (zh) 一种转向灯更换手柄
EP1034952B1 (fr) Procédé pour assembler un bloc de chauffage et/ou climatisation et une planche de bord, et ensemble
KR100521546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장착구조
US202401741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ably attaching a tail light
US20060088376A1 (en) Hinge bracket holder
JP5160184B2 (ja) 車載用モニター取付装置
WO2016146922A1 (fr) Structure de planche de bord d'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EP2078639A3 (fr) Adaptateur de montage d'un élément rapporté sur un aérateur de planche de bord
CN109415013A (zh) 具有发光装置的机动车辆的保险杠
KR100698715B1 (ko) 차량용 리어 모니터 마운팅 구조
JP2008302841A (ja) 車両用内装品の取付け構造
EP3458300A1 (fr) Agencement de planche de bord cote passager avant comportant un chassis support pour boitiers electro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