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449B1 - 이온전달 소재,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온전달 소재,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449B1
KR101770449B1 KR1020140141178A KR20140141178A KR101770449B1 KR 101770449 B1 KR101770449 B1 KR 101770449B1 KR 1020140141178 A KR1020140141178 A KR 1020140141178A KR 20140141178 A KR20140141178 A KR 20140141178A KR 101770449 B1 KR101770449 B1 KR 101770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membrane
copolymer
ion
inorganic particles
transfe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391A (ko
Inventor
최형삼
한중진
김영제
강에스더
신정규
노태근
문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04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nitrogen, e.g. sulfonated polybenzimidazoles [S-PBI], polybenzimidazoles with phosphoric acid, sulfonated polyamides [S-PA] or sulfonated polyphosphazenes [S-PP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6Mixtures of at least one polymer and at least one additive
    • H01M8/1051Non-ion-conducting additives, e.g. stabilisers, SiO2 or Zr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0Indirect fuel cells, e.g. fuel cells with redox couple being irreversi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이온전달 소재,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술포네이트기 함유 부분 불소계 고분자에 무기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이온전달 소재,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온전달 소재,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 방법{ION TRANSPORT MATERIAL,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출원은 2013년 10월 18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3-0124933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이온전달 소재,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변환 장치이다. 즉 연료전지는 연료가스와 산화제를 사용하고, 이들의 산화환원 반응 중에 발생하는 전자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식이다. 연료전지의 막 전극 접합체(MEA)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부분으로서 캐소드와 애노드 그리고 전해질막, 즉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산화-환원 흐름 전지, Redox Flow Battery)란 전해액에 포함되어 있는 활성물질이 산화·환원되어 충전·방전되는 시스템으로 활성물질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저장시키는 전기화학적 축전 장치이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단위셀은 전극, 전해질 및 이온교환막을 포함한다.
연료전지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높은 에너지 효율성과 오염물의 배출이 적은 친환경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연료전지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이온교환막 소재는 우수한 양성자 전도도 외에도 1) 전해질의 크로스오버(Cross Over) 방지, 2) 강한 내화학성, 3)기계적 물성 강화, 4) 낮은 스웰링 비(Swelling Ratio)의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특성을 가지는 전해질막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2003-0076057호
본 출원은 이온전달 소재,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하기 화학식 1의 단위; 및 하기 화학식 2의 단위, 하기 화학식 3의 단위 및 하기 화학식 4의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 중에 분산된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이온전달 소재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99370614-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4099370614-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4099370614-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4099370614-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Z는 3가 방향족고리기 또는 3가 헤테로고리기이고,
L은 직접결합, 또는 2가 연결기이며,
X1 내지 X3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산소(O), 카보닐기(-CO-), 술폰기(-SO2-), 아릴렌기,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Z-L-SO3R이며, *은 주쇄에 연결되는 부분을 표시하고,
R은 주기율표상 1족 원소이며,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 있어서,
Y1 내지 Y2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불소(F),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며,
상기 화학식 2 내지 4의 단위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불소 치환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이온전달 소재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레독스플로우 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하기 화학식 1A의 단위; 및 상기 화학식 2의 단위, 상기 화학식 3의 단위 및 상기 화학식 4의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함유 용액 A를 준비하는 단계; 무기입자 전구체 및 산촉매를 포함하는 용액 B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액 A 및 B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으로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A]
Figure 112014099370614-pat00005
상기 화학식 1A에 있어서,
Z 및 L은 전술한 바와 같고,
X4 내지 X6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산소(O), 카보닐기(-CO-), 술폰기(-SO2-), 아릴렌기,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Z-L-SO3M이고, *은 주쇄에 연결되는 부분을 표시하며,
M은 알칼리 금속 원소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이온전달 소재는 무기입자가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어 기계적 물성이 강하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이온전달 소재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은 용매에 의한 스웰링(Swelling) 현상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이온전달 소재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은 전해질 물질의 크로스오버(Cross Over)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이온전달 소재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은 이온 전도도가 우수하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은 용액의 혼합으로 제조방법이 단순하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은 전해질막 내에 무기입자를 용이하게 생성하며, 전해질막을 형성하는 공중합체 매트릭스 전 영역에 걸쳐 상기 무기입자를 고르게 분산시킨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이온전달 소재의 전 영역에 무기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 중에 분산된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이온전달 소재를 제공한다.
상기 공중합체는 술포네이트기를 포함하는 부분 불소계 고분자이다. 여기서, 부분 불소계 고분자란 고분자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가 불소기를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부분 불소계 고분자의 예로서, 탄화수소 사슬이 불소계 치환기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공중합체”는 교호 공중합체(alternating copolymer),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랜덤 공중합체(random copolymer)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graft copolymer)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의 단위; 및 상기 화학식 2의 단위, 상기 화학식 3의 단위 및 상기 화학식 4의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Y1 내지 Y22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또는 불소(F)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의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의 알킬기는 사슬형 또는 가지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슬형인 경우 -(CQQ')pQ”이고, 상기 Q, Q' 및 Q”은 수소(-H) 또는 불소(-F)이며, 상기 p는 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 3 및 4의 단위는 불소계 화합물이므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불소 치환기를 가진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R은 주기율표의 1족 원소 중 수소, 리튬(Li), 나트륨(Na) 또는 칼륨(K)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L은 직접결합,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CRR')rO(CR”R"')s]t-, 또는 -CO-Ar-이고, 여기서,
상기 R, R', R” 및 R"'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또는 할로겐기이며,
상기 r 및 s는 0 내지 3이고,
상기 t는 1 내지 5이며,
상기 Ar은 아릴렌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이다.
상기 s 및 r은 s+r≥1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L은 -(CH2)m[(CF2)2O(CF2)2)n-이다.
상기 m 및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알킬렌기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알케닐렌기는 2 내지 20의 알케닐렌기이고, 상기 알키닐렌기는 2 내지 20의 알키닐렌기이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3가 방향족고리기는 3가 아릴기로서, 아릴의 탄소수는 6 내지 60, 구체적으로 6 내지 40, 더욱 구체적으로 6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 바이페닐, 트리페닐, 나프틸, 안트릴, 크라이세닐, 페난트레닐, 페릴레닐, 플루오란테닐, 트리페닐레닐, 페날레닐, 파이레닐, 테트라세닐, 펜타세닐, 플루오레닐, 인데닐, 아세나프틸레닐, 플루오레닐 등이나 이들의 축합고리가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3가 헤테로고리기는 헤테로원자로서 S, O 또는 N을 포함하고, 탄소수는 2 내지 60, 구체적으로 2 내지 40, 더욱 구체적으로 3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헤테로고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피리딜, 피롤릴, 피리미딜, 피리다지닐, 푸라닐, 티에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푸라자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디티아졸릴, 테트라졸릴, 파이라닐, 티오파이라닐, 디아지닐, 옥사지닐, 티아지닐, 디옥시닐, 트리아지닐, 테트라지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퀴나졸리닐, 이소퀴나졸리닐, 나프티리딜, 아크리디닐, 페난트리디닐, 이미다조피리디닐, 디아자나프탈레닐, 트리아자인덴, 인돌릴, 인돌리지닐, 벤조티아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조이미다졸릴, 벤조티오펜기, 벤조푸란기, 디벤조티오펜기, 디벤조푸란기, 카바졸릴, 벤조카바졸릴, 페나지닐 등이나 이들의 축합고리가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릴렌기는 2가 아릴기로서, 상기 아릴의 탄소수는 6 내지 60, 구체적으로 6 내지 40, 더욱 구체적으로 6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 바이페닐, 트리페닐, 나프틸, 안트릴, 크라이세닐, 페난트레닐, 페릴레닐, 플루오란테닐, 트리페닐레닐, 페날레닐, 파이레닐, 테트라세닐, 펜타세닐, 플루오레닐, 인데닐, 아세나프틸레닐, 플루오레닐 등이나 이들의 축합고리가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헤테로아릴렌기는 2가 헤테로아릴기로서, 상기 헤테로아릴은 헤테로원자로서 S, O 또는 N을 포함하고, 탄소수는 2 내지 60, 구체적으로 2 내지 40, 더욱 구체적으로 3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헤테로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피리딜, 피롤릴, 피리미딜, 피리다지닐, 푸라닐, 티에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푸라자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디티아졸릴, 테트라졸릴, 파이라닐, 티오파이라닐, 디아지닐, 옥사지닐, 티아지닐, 디옥시닐, 트리아지닐, 테트라지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퀴나졸리닐, 이소퀴나졸리닐, 나프티리딜, 아크리디닐, 페난트리디닐, 이미다조피리디닐, 디아자나프탈레닐, 트리아자인덴, 인돌릴, 인돌리지닐, 벤조티아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조이미다졸릴, 벤조티오펜기, 벤조푸란기, 디벤조티오펜기, 디벤조푸란기, 카바졸릴, 벤조카바졸릴, 페나지닐 등이나 이들의 축합고리가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의 전 영역에 걸쳐 무기입자가 분산된다.
상기 공중합체의 용액, 고형분 또는 캐스팅된 막의 형태로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원자간력현미경(AFM:Atomic Force microscope)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경우, 소수성 및 친수성의 상분리(Phase separation) 특성으로 인해, 상기 공중합체에서 술폰산기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소수성 부분과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친수성 부분의 분리를 확인할 수 있다. 무기입자의 분산 영역 또한 상기 SEM, AFM의 촬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 분리(Phase Separation) 특성 및 무기입자의 분산으로 인해 기계적 물성이 강화되고, 이온 전도도가 개선되는 동시에 크로스오버(Cross Over)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이온전달 소재를 막으로 형성하고, 막의 일 면을 원자간력현미경(AFM),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 주사전자현미경(SEM) 등의 장비로 촬영한 2차원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곱마이크로미터 면적당 상기 무기입자가 차지하는 면적은 2% 내지 30%, 구체적으로 5% 내지 20%, 더욱 구체적으로 7%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제곱마이크로미터 면적당 무기입자가 차지하는 면적은 막의 일 면 전체를 제곱마이크로미터 면적 단위로 모두 분할하였을 때, 각각 면적에서 무기입자가 차지하는 면적비를 의미한다.
상기 무기입자는 미세입자의 형태 또는 뭉쳐진 덩어리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나, 미세입자의 형태로 고르게 분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무기입자의 직경은 5 내지 200 nm, 구체적으로 10 내지 100 nm이다. 상기 무기입자의 직경이 200 nm초과이면 이온전달 소재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10 내지 100 nm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전해질막의 기계적 물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동시에 이온전달 채널 부분에 적당한 크기의 무기입자가 분산됨으로써, 크로스오버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이온 전달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직경은 입자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입자의 중심을 지나는 선 중에서 가장 긴 선의 길이 값을 의미할 수 있고,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측정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 주사전자현미경(SEM)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무기입자의 평균 입경을 5 내지 200 nm, 구체적으로 10 내지 100 n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 있을 때, 전해질막의 기계적 물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동시에 이온전달 채널 부분에 적당한 크기의 무기입자가 분산됨으로써, 크로스오버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이온 전달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입경은 상기 직경과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고, 상기 무기입자의 평균 입경은 무기입자들의 입경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상기 평균 입경의 측정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측정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 주사전자현미경(SEM)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촬영하고, 입경을 측정하여, 이들의 평균값을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무기입자의 함량은 이온전달 소재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2 내지 30 중량부이고, 이온전달 소재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입자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이온채널을 따라 생기는 전해질 물질의 크로스오버(Cross Over) 방지 효과가 미비하고, 30 중량부 초과이면 이온전달 소재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는 하기 화학식 2A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112014099370614-pat00006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는 하기 화학식 3A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3A]
Figure 112014099370614-pat00007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4는 하기 화학식 4A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4A]
Figure 112014099370614-pat00008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화학식 9 및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단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위를 포함하여 형성된 공중합체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14099370614-pat00009
[화학식 6]
Figure 112014099370614-pat00010
[화학식 7]
Figure 112014099370614-pat00011
[화학식 8]
Figure 112014099370614-pat00012
[화학식 9]
Figure 112014099370614-pat00013
[화학식 10]
Figure 112014099370614-pat00014
상기 화학식 5 내지 10에서, 상기 R은 전술한 바와 같고, 상기 a 및 b는 전체 공중합체에 대한 몰분율을 의미한다. 여기서, a+b≤1 이고, 0.1≤a≤0.9 이며, 0.1≤b≤0.9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화학식 9 또는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일중합(homopolymer)이거나, 둘 이상의 공중합체(copolymer)이다. 여기서, 공중합체일 경우, 교호 공중합체(alternating copolymer),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랜덤 공중합체(random copolymer)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graft copolymer)일 수 있고,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1,000,000이고, 구체적으로 50,000 내지 5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50,000 내지 20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미만이면 이온전달 소재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1,000,000 초과이면 공중합체의 용해도가 저하되어 이온전달 소재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제작이 어렵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이온전달 소재는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가 불소기를 갖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므로 탄화수소계 고분자와 달리, 술포네이트기를 함유한 친수성 부분과 불소기를 포함한 소수성 부분의 상 분리(Phase separation)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상 분리(Phase separation)가 잘 될수록 양이온 전도도 특성 발현에 유리하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이온전달 소재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해질막”은 이온을 교환할 수 있는 막으로서, 막, 이온교환막, 이온전달막, 이온 전도성 막, 분리막, 이온교환 분리막, 이온전달 분리막, 이온 전도성 분리막, 이온 교환 전해질막, 이온전달 전해질막 또는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전해질막의 두께는 5 내지 2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해질막의 두께가 5 ㎛미만이면 전기적 쇼트(Electric Short) 및 전해질 물질의 크로스오버(Cross Over)를 막지 못하고, 200 ㎛ 초과이면 우수한 양이온 전도도 특성 발현이 어렵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전해질막은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술포네이트기 함유 부분 불소계 고분자에 무기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서, 종래의 전해질막 대비 기계적 물성이 강화되고, 용매에 대한 스웰링(Swelling)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전해질막 내에 무기입자가 고르게, 즉 단위면적당 일정한 밀도를 가지며 분산되어 있어, 기계적 물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전해질막은 무기입자가 분산되어 있어, 크로스오버(Cross Over)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변환 장치이다. 즉 연료전지는 연료가스와 산화제를 사용하고, 이들의 산화환원 반응 중에 발생하는 전자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식이다.
연료전지의 막 전극 접합체(MEA)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부분으로서 캐소드와 애노드, 그리고 전해질막, 즉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을 연료전지의 이온교환막으로 사용하였을 때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제공한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산화-환원 흐름 전지, Redox Flow Battery)는 전해액에 포함되어 있는 활성물질이 산화·환원되어 충전·방전되는 시스템으로 활성물질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저장시키는 전기화학적 축전 장치이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산화상태가 다른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전해액이 이온교환막을 사이에 두고 만날 때 전자를 주고받아 충전과 방전이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전해액이 담겨있는 탱크와 충전과 방전이 일어나는 전지 셀, 그리고 전해액을 탱크와 전지 셀 사이에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로 구성되고, 전지 셀의 단위셀은 전극, 전해질 및 이온교환막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해질막을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이온교환막으로 사용하였을 때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는 상기 화학식 1A의 단위; 및 상기 화학식 2의 단위, 상기 화학식 3의 단위 및 상기 화학식 4의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포함하는 상기 공중합체 함유 용액 A를 준비하는 단계; 무기입자 전구체 및 산촉매를 포함하는 용액 B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액 A 및 B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으로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제조방법은 용액의 혼합 및 막의 형성으로 공정이 간단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막을 형성하는 동시에 무기입자를 분산시킴으로써, 막을 형성하고 무기입자를 흡수 또는 분산시키는 종래의 공정에 비해 간단하고, 막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무기입자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무기입자 전구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함으로써, 무기입자의 뭉침현상을 줄이고 분산도를 높일 수 있으며, 무기입자 자체를 분산시키는 방법과 달리, 무기입자의 사이즈 및 함량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즉, 무기입자 전구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하여, 무기입자의 형성 전에 전구체를 분산시킴으로써, 무기입자를 넓은 영역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무기입자의 크기 및 함량을 조절하여 전해질막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효과를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막 제조 공정 조건으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무기입자 전구체 및 산촉매를 포함하는 용액 B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 A 및 B를 혼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무기입자의 크기 또는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칼리 금속 원소 M의 예로는 리튬(Li), 나트륨(Na) 또는 칼륨(K)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 M이 술포네이트기와 이온결합하여 술포네이트기의 반응성을 낮추어, 무기입자를 공중합체의 전 영역에 걸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용액 A 및 B를 혼합한 후에 기재상에 막을 도포하는 단계 및 히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은 가열을 통한 경화를 의미하고, 상기 히팅하는 단계에 의해 무기입자 전구체가 무기입자를 형성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은 막을 형성한 후 알칼리 금속을 수소로 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용액 B는 무기입자 전구체, 산촉매 및 용매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무기입자 전구체(Precursor of Inorganic Particles)는 무기입자를 형성하는 무기입자 형성 전 단계의 물질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무기입자 전구체는 구체적으로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TMOS(Tetramethyl orthosilicate), GOTMS(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 MPh(monophenyl triethoxysilane), PEOS(poly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N-(베타-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N-(베타-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감마-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3-머캡토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및 3-이소시아나토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 전구체는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무기입자의 크기, 함량 등의 특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산촉매는 염산, 황산 및 인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산촉매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산촉매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물 및 알코올류 중에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코올류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1가 알코올 일 수 있고, 1차, 2차 또는 다차의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알코올계 용매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는 물 및 에탄올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기 화학식 5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a:b=1:1, R=Na)의 고형분 농도 15 wt%의 용액 150 g, 테트라 에톡시 실란 10 g, 증류수 2 g, 염산 1g 을 교반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강화 유리 기판위에 도포 및 경화하여 50 ㎛ 두께의 이온전달소재를 얻었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0이었고, 상기 무기입자의 직경은 10 내지 50 nm였다.
상기 이온전달 소재를 막으로 형성하고, 막의 일 면을 원자간력현미경(AFM),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 주사전자현미경(SEM) 등의 장비로 촬영한 2차원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곱마이크로미터 면적당 상기 무기입자가 차지하는 면적은 약 10%이었다. 상기 이온전달소재를 전해질막으로 사용했을 때, 상기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0.13 S/cm 이고 전해질 (VO2 +) 물질의 크로스오버는 약 2 x 10-7 cm2/min 였다.
<실시예 2>
화학식 5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대신 상기 화학식 6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0 이었고, 상기 무기입자의 직경은 10 내지 50 nm 였다. 상기 이온전달 소재를 막으로 형성하고, 막의 일 면을 원자간력현미경(AFM),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 주사전자현미경(SEM) 등의 장비로 촬영한 2차원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곱마이크로미터 면적당 상기 무기입자가 차지하는 면적은 약 10%이었다. 상기 이온전달소재를 전해질막으로 사용했을 때, 상기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0.11 S/cm 이고 전해질 (VO2 +) 물질의 크로스오버는 약 2 x 10-7 cm2/min 였다.
<실시예 3>
화학식 5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대신 상기 화학식 7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50,000 이었고, 상기 무기입자의 직경은 10 내지 50 nm 였다. 상기 이온전달 소재를 막으로 형성하고, 막의 일 면을 원자간력현미경(AFM),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 주사전자현미경(SEM) 등의 장비로 촬영한 2차원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곱마이크로미터 면적당 상기 무기입자가 차지하는 면적은 약 10%이었다. 상기 이온전달소재를 전해질막으로 사용했을 때, 상기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0.10 S/cm 이고 전해질 (VO2 +) 물질의 크로스오버는 약 2 x 10-7 cm2/min 였다.
<실시예 4>
화학식 5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대신 상기 화학식 8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0 이었고, 상기 무기입자의 직경은 10nm 내지 50nm 였다. 상기 이온전달 소재를 막으로 형성하고, 막의 일 면을 원자간력현미경(AFM),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 주사전자현미경(SEM) 등의 장비로 촬영한 2차원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곱마이크로미터 면적당 상기 무기입자가 차지하는 면적은 약 10%이었다. 상기 이온전달소재를 전해질막으로 사용했을 때, 상기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0.10 S/cm 이고 전해질 (VO2 +) 물질의 크로스오버는 약 2 x 10-7 cm2/min 였다.
<실시예 5>
화학식 5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대신 상기 화학식 9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0 이었고, 상기 무기입자의 직경은 10nm 내지 50nm였다. 상기 이온전달 소재를 막으로 형성하고, 막의 일 면을 원자간력현미경(AFM),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 주사전자현미경(SEM) 등의 장비로 촬영한 2차원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곱마이크로미터 면적당 상기 무기입자가 차지하는 면적은 약 10%이었다. 상기 이온전달소재를 전해질막으로 사용했을 때, 상기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0.15 S/cm 이고 전해질 (VO2 +) 물질의 크로스오버는 약 2 x 10-7 cm2/min 였다.
<실시예 6>
화학식 5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대신 상기 화학식 10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50,000 이었고, 상기 무기입자의 직경은 10nm 내지 50nm였다. 상기 이온전달 소재를 막으로 형성하고, 막의 일 면을 원자간력현미경(AFM),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 주사전자현미경(SEM) 등의 장비로 촬영한 2차원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곱마이크로미터 면적당 상기 무기입자가 차지하는 면적은 약 10%이었다. 상기 이온전달소재를 전해질막으로 사용했을 때, 상기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0.11 S/cm 이고 전해질 (VO2 +) 물질의 크로스오버는 약 2 x 10-7 cm2/min 였다.
<비교예>
고형분 농도 15 wt%의 탄화수소계 공중합체 용액 150 g, 테트라 에톡시 실란 10 g, 증류수 2 g, 염산 1g을 교반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강화 유리 기판위에 도포 및 경화하여 50 ㎛ 두께의 전해질막을 얻었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0이었고, 분산된 실리카의 직경은 10 내지 50nm였다.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0.10 S/cm 이고 전해질 (VO2 +) 물질의 크로스오버는 약 3 x 10-7 cm2/min 였다.

Claims (20)

  1. 하기 화학식 6, 9 및 1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 중에 분산된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이온전달 소재:
    [화학식 6]
    Figure 112017019852771-pat00024

    [화학식 9]
    Figure 112017019852771-pat00026

    [화학식 10]
    Figure 112017019852771-pat00027

    상기 화학식 6, 9 및 10에 있어서,
    상기 R은 주기율표상 1족 원소이고,
    상기 a 및 b는 전체 공중합체에 대한 몰분율을 의미하며, a+b≤1 이고, 0.1≤a≤0.9 이며, 0.1≤b≤0.9 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달 소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의 함량은 이온전달 소재 고형분 100중량부 대비 2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달 소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의 직경은 5 내지 2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달 소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 내지 1,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달 소재.
  9. 청구항 1 및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이온전달 소재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의 두께는 5 내지 2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막.
  11. 청구항 9의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12. 청구항 9의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13. 공중합체 함유 용액 A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6, 9 및 1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무기입자 전구체 및 산촉매를 포함하는 용액 B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액 A 및 B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으로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화학식 6]
    Figure 112017019852771-pat00028

    [화학식 9]
    Figure 112017019852771-pat00030

    [화학식 10]
    Figure 112017019852771-pat00031

    상기 화학식 6, 9 및 10에 있어서,
    상기 R은 주기율표상 1족 원소이고,
    상기 a 및 b는 전체 공중합체에 대한 몰분율을 의미하며, a+b≤1 이고, 0.1≤a≤0.9 이며, 0.1≤b≤0.9 이다.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 전구체는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TMOS(Tetramethyl orthosilicate), GOTMS(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 MPh(monophenyl triethoxysilane), PEOS(poly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N-(베타-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N-(베타-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감마-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3-머캡토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및 3-이소시아나토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막을 형성한 후에 알칼리 금속을 수소로 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으로 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재상에 막을 도포하는 단계 및 히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용액 B는 무기입자 전구체, 산촉매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KR1020140141178A 2013-10-18 2014-10-17 이온전달 소재,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70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933 2013-10-18
KR20130124933 2013-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391A KR20150045391A (ko) 2015-04-28
KR101770449B1 true KR101770449B1 (ko) 2017-08-23

Family

ID=5282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178A KR101770449B1 (ko) 2013-10-18 2014-10-17 이온전달 소재,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39245B2 (ko)
EP (1) EP3024079B1 (ko)
JP (1) JP6566950B2 (ko)
KR (1) KR101770449B1 (ko)
CN (1) CN105556726B (ko)
WO (1) WO20150570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847B1 (ko) * 2020-01-28 2020-10-06 정훈도 반도체 절연막용 저온경화 유/무기 고분자 복합체 제조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8613B1 (en) * 2014-12-04 2020-06-17 LG Chem, Ltd. Halogenated compound, polymer comprising same, an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same
KR20180084131A (ko) * 2016-01-07 2018-07-24 케이디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전기의 직접 생성 및 열 펌핑을 위한 전기화학 시스템
CN108598539B (zh) * 2018-04-03 2019-08-13 绍兴市华获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钒电池用电解质隔膜及其制备方法
JP7039660B2 (ja) * 2020-07-22 2022-03-22 ケーディー イノヴェイション リミテッド 直接発電及び熱ポンピングのための電気化学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409B1 (ko) * 2008-06-02 2010-06-14 광주과학기술원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교대 공중합체와 고분자사슬 말단에 가교구조를 함유한 술폰화된 폴리(아릴렌에테르) 교대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662B1 (ko) 2002-03-22 2004-09-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료 전지용 복합 폴리머 전해질 막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075895A (ja) 2002-08-20 2004-03-11 Jsr Corp プロトン伝導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プロトン伝導膜
US7488549B2 (en) * 2003-05-03 2009-02-10 Korea Chungang Educational Foundation Proton conducting polymer, polymer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ymer membrane, and fuel cell using the polymer membrane
JP2005268059A (ja) * 2004-03-19 2005-09-29 Mitsui Chemicals Inc 固体高分子電解質膜
JP2006155999A (ja) * 2004-11-26 2006-06-15 Hitachi Chem Co Ltd プロトン伝導性電解質膜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803199B1 (ko) * 2006-09-18 2008-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나노복합체 이온 착물을 이용한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연료전지
JP2010510370A (ja) * 2006-11-22 2010-04-02 グワンジュ・インスティテュート・オブ・サイエンス・アンド・テクノロジー 末端に架橋構造を形成するスルホン化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高分子電解質膜
KR101022557B1 (ko) 2007-10-11 2011-03-16 광주과학기술원 유무기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4529B1 (ko) 2007-10-11 2009-12-29 광주과학기술원 고분자 사슬 내부에 가교구조를 가지는 술폰화된폴리(아릴렌 에테르) 공중합체, 고분자 사슬 내부 및말단에 가교구조를 가지는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KR100978609B1 (ko) * 2007-11-27 2010-08-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불소가스를 이용한 직접불소화법에 의해 표면처리된수소이온전도성 고분자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및 연료전지
KR100978553B1 (ko) * 2008-07-10 2010-08-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불소계 또는 부분불소계 분산제를 포함하는 불소계 고분자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JP2010168545A (ja) 2008-12-25 2010-08-05 Sumitomo Chemical Co Ltd α−オレフィン重合用触媒およびα−オレフィン重合体の製造方法
US8647793B2 (en) * 2008-12-26 2014-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lid proton conducto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KR101059566B1 (ko) * 2008-12-26 201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체상 프로톤 전도체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1566789B1 (ko) * 2009-12-04 2015-11-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술폰산기를 갖는 폴리(아릴렌에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CA2833684C (en) * 2011-06-28 2014-04-15 Toray Industries, Inc. Aromatic sulfonic acid derivative,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polymer, block copolymer, polymer electrolyte material, polymer electrolyte form article, an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JP5957954B2 (ja) * 2012-02-29 2016-07-27 東レ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成形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複合体ならびに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JP2013221086A (ja) * 2012-04-17 2013-10-28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アリーレン及びその製造方法
EP3059792B1 (en) * 2013-10-18 2018-03-14 LG Chem, Ltd. Ion transport material,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409B1 (ko) * 2008-06-02 2010-06-14 광주과학기술원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교대 공중합체와 고분자사슬 말단에 가교구조를 함유한 술폰화된 폴리(아릴렌에테르) 교대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847B1 (ko) * 2020-01-28 2020-10-06 정훈도 반도체 절연막용 저온경화 유/무기 고분자 복합체 제조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4079B1 (en) 2018-02-21
JP6566950B2 (ja) 2019-08-28
CN105556726B (zh) 2018-09-14
WO2015057026A1 (ko) 2015-04-23
EP3024079A4 (en) 2017-01-25
US10439245B2 (en) 2019-10-08
KR20150045391A (ko) 2015-04-28
CN105556726A (zh) 2016-05-04
EP3024079A1 (en) 2016-05-25
US20160276687A1 (en) 2016-09-22
JP2016534195A (ja)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449B1 (ko) 이온전달 소재,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 방법
JP5462747B2 (ja)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材料、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電解質膜、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電解質膜−電極接合体及びリチウムイオンポリマー電池
JP2005005046A (ja) シロキサン高分子電解質膜及び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JP2008091342A (ja) 高分子電解質膜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高分子電解質膜を含む燃料電池
KR101949181B1 (ko) 블록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KR101713380B1 (ko) 이온전달 소재,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 방법
JP6478175B2 (ja) 高分子重合用組成物、これを用いた高分子、これを用いた高分子電解質膜
EP3214070B1 (en) Fluorine-based compound for brancher, polymer using same, an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ing same
KR101710284B1 (ko) 고분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KR102011418B1 (ko)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상기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634287B1 (ko) 알킬화 비스페놀계 화합물,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술포네이티드 폴리아릴렌술폰,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KR101887819B1 (ko) 복합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6484778B2 (ja) 複合電解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342637B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polymer electrolyte film using it, film electrolyte composite an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JP2005307085A (ja) 有機−無機複合イオン伝導性材料
KR102059226B1 (ko) 멀티블록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JP2004296316A (ja) プロトン伝導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プロトン伝導膜を用いた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