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550B1 - 어레이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어레이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550B1
KR101764550B1 KR1020167004371A KR20167004371A KR101764550B1 KR 101764550 B1 KR101764550 B1 KR 101764550B1 KR 1020167004371 A KR1020167004371 A KR 1020167004371A KR 20167004371 A KR20167004371 A KR 20167004371A KR 101764550 B1 KR101764550 B1 KR 101764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ircuit
pixel electrode
pixel
thin film
film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244A (ko
Inventor
쇼후이 요우
청흥 천
Original Assignee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32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4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having more than one switching element per pix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ant on signal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45Subdivided pixels, e.g. for grey scale or redundancy
    • G02F2001/134345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43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43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 G09G2300/0447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for multi-domain technique to improve the viewing angl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such as multi-vertical alignment [MV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4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selection purposes, e.g. logical AND for partial upd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레이 기판(701)을 제공하여, 어레이 기판(701) 중, 각각의 화소유닛(13)은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M1, M2)과 적어도 2개의 스위치회로(T1, T2)를 포함하며, 그 중 제 1 화소전극(M1)은 제 1 스위치회로(T1)를 통해 본 화소유닛(13)에 대응되는 스캔라인(11)과 데이터라인(12)에 연결되고, 제 2 화소전극(M2)은 제 2 스위치회로(T2)를 통해 본 화소유닛(13)에 대응되는 스캔라인(11)과 연결됨과 아울러, 적어도 제 2 스위치회로(T2)를 통해 제 1 스위치회로(T1)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 2 화소전극(M2)과 본 화소유닛(13)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12)의 연결을 구현한다. 상기 방식을 통해, 대시야각에서의 색상 왜곡을 개선하여 디스플레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제공한다.

Description

어레이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레이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VA(Vertical Alignment, 수직 정렬)형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응답 속도가 빠르고, 대비도가 높다는 등의 장점을 구비하여, 현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류 발전 방향이다.
그러나, 상이한 시야각에서, 액정 분자의 배열 방향이 결코 동일하지 않아 액정 분자의 유효 굴절률 역시 달라지고, 따라서 투사되는 광강도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경사각에서 투광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경사각 방향과 정면 시야각 방향에서 표현되는 색상이 불일치하여 색차가 발생하며, 따라서 대시야각에서 관찰되는 색상이 왜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문제는 대시야각에서 관찰되는 색상 차이를 개선하여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어레이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채택한 일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어레이 기판을 제공함에 있어서, 다수의 스캔라인, 다수의 데이터라인, 다수의 화소유닛 및 공통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공통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화소유닛은 하나의 스캔라인과 하나의 데이터라인에 대응되며; 각각의 화소유닛은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과 적어도 2개의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은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을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스위치는 제 1 화소전극에 작용하는 제 1 스위치회로 및 제 2 화소전극에 작용하는 제 2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각각의 화소유닛은 제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제어 스위치는 제어단, 제 1 단 및 제 2 단을 포함하고, 제 1 화소전극은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 및 데이터라인과 연결되고, 제 2 화소전극은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적어도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제 1 스위치 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며, 제어 스위치의 제어단은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과 연결되고, 제어 스위치의 제 1 단은 제 2 화소전극과 연결되며, 제어 스위치의 제 2 단은 공통전극과 연결되고; 그 중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이 스캔신호를 입력하여 제 1 스위치회로, 제 2 스위치회로 및 제어스위치의 도통을 제어 시, 제 1 화소전극은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화소전극은 적어도 순차적으로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며,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의 작용에 의해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0이 아닌 전압차가 존재하게 하고, 또한 제 1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제 2 스위치 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과 다르도록 함으로써,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상이한 전압차를 획득하며, 제어 스위치는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로서, 제어 스위치의 제어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대응되고, 제어 스위치의 제 1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대응되며, 제어 스위치의 제 2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대응되어,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가 도통되는 시간 내에 제 2 화소전극의 전압을 변경시키고,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설정값보다 작게 함으로써, 도통되는 시간 내에 제2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키고 또한 0이 아니도록 한다.
그 중, 제 1 스위치 회로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이고, 제 2 스위치회로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 1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제 2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과 달라지도록 한다.
그 중, 각각의 화소유닛은 제 3 화소전극과 제 3 스위치회로를 더 포함하며, 제 3 화소전극은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 3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고; 제 2 화소전극은 순차적으로 제 2 스위치화로와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한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채택한 또 다른 일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어레이 기판을 제공함에 있어서, 다수의 스캔라인, 다수의 데이터라인, 다수의 화소유닛 및 공통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공통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화소유닛은 하나의 스캔라인과 하나의 데이터라인에 대응되며; 각각의 화소유닛은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과 적어도 2개의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은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을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스위치는 제 1 화소전극에 작용하는 제 1 스위치회로 및 제 2 화소전극에 작용하는 제 2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각각의 화소유닛은 제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제어 스위치는 제어단, 제 1 단 및 제 2 단을 포함하고, 제 1 화소전극은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 및 데이터라인과 연결되고, 제 2 화소전극은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적어도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제 1 스위치 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며, 제어 스위치의 제어단은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과 연결되고, 제어 스위치의 제 1 단은 제 2 화소전극과 연결되며, 제어 스위치의 제 2 단은 공통전극과 연결되고; 그 중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이 스캔신호를 입력하여 제 1 스위치회로, 제 2 스위치회로 및 제어스위치의 도통을 제어 시, 제 1 화소전극은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화소전극은 적어도 순차적으로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며,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의 작용에 의해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0이 아닌 전압차가 존재하게 하고, 제어스위치는 도통되는 시간 내에 제 2 화소전극의 전압차를 변경시킴으로써, 제 2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키고 또한 0이 아니도록 한다.
그 중, 제 1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제 2 스위치 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과 다르도록 함으로써,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상이한 전압차를 획득한다.
그 중, 제 1 스위치 회로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이고, 제 2 스위치회로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 1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제 2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과 달라지도록 한다.
그 중, 각각의 화소유닛은 제 3 화소전극과 제 3 스위치회로를 더 포함하며, 제 3 화소전극은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 3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고; 제 2 화소전극은 순차적으로 제 2 스위치화로와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한다.
그 중, 제어 스위치는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제어 스위치의 제어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대응되고, 제어 스위치의 제 1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대응되며, 제어 스위치의 제 2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대응되어,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설정값보다 작게 함으로써, 도통되는 시간 내에 제2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키고 또한 0이 아니도록 한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채택한 또 다른 일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함에 있어서, 어레이 기판, 컬러필터 기판 및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어레이 기판은 다수의 스캔라인, 다수의 데이터라인, 다수의 화소유닛 및 공통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공통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화소유닛은 하나의 스캔라인과 하나의 데이터라인에 대응되며; 각각의 화소유닛은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과 적어도 2개의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은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을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스위치는 제 1 화소전극에 작용하는 제 1 스위치회로 및 제 2 화소전극에 작용하는 제 2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각각의 화소유닛은 제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제어 스위치는 제어단, 제 1 단 및 제 2 단을 포함하고, 제 1 화소전극은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 및 데이터라인과 연결되고, 제 2 화소전극은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적어도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제 1 스위치 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며, 제어 스위치의 제어단은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과 연결되고, 제어 스위치의 제 1 단은 제 2 화소전극과 연결되며, 제어 스위치의 제 2 단은 공통전극과 연결되고; 그 중,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이 스캔신호를 입력하여 제 1 스위치회로, 제 2 스위치회로 및 제어스위치의 도통을 제어 시, 제 1 화소전극은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화소전극은 적어도 순차적으로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며,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의 작용에 의해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0이 아닌 전압차가 존재하게 하고, 제어스위치는 도통되는 시간 내에 제 2 화소전극의 전압을 변경시킴으로써, 제 2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키고 또한 0이 아니도록 한다.
그 중, 제 1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제 2 스위치 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과 다르도록 함으로써,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상이한 전압차를 획득한다.
그 중, 제 1 스위치 회로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이고, 제 2 스위치회로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 1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제 2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과 달라지도록 한다.
그 중, 각각의 화소유닛은 제 3 화소전극과 제 3 스위치회로를 더 포함하며, 제 3 화소전극은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 3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고; 제 2 화소전극은 순차적으로 제 2 스위치화로와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한다.
그 중, 제어 스위치는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제어 스위치의 제어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대응되고, 제어 스위치의 제 1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대응되며, 제어 스위치의 제 2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대응되어,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설정값보다 작게 함으로써, 도통되는 시간 내에 제2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키고 또한 0이 아니도록 한다.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어레이 기판은 각각의 화소유닛에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과 적어도 2개의 스위치회로가 포함되며, 그 중, 제 1 화소전극은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 및 데이터라인과 연결되고, 제 2 화소전극은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적어도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며,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의 작용에 의해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0이 아닌 전압의 전압차가 존재하게 됨으로써, 대시야각에서의 색상 왜곡을 개선하여 디스플레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레이 기판의 일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 중 어레이 기판의 화소유닛의 구조 등가 회로이다.
도 3은 도 2 중 화소유닛의 스위치회로와 제어스위치가 도통 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어레이 기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 중 어레이 기판의 화소유닛의 구조 등가 회로이다.
도 6은 도 5 중 화소유닛의 스위치회로와 제어스위치가 도통 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 중, 대시야각에서의 색상 왜곡을 개선하기 위하여, 화소 설계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하나의 화소를 상이한 액정 방향을 갖는 다수의 화소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화소 영역의 전압이 다르도록 제어하는 방식을 통해, 2개의 화소영역 중의 액정 분자 배열이 달라지게 함으로써, 대시야각에서의 색상 왜곡을 개선하여 LCS(Low Color Shift, 낮은 색상 변이)의 효과, 즉 대시야각에서의 색상 차이가 비교적 작은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과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레이 기판의 일 실시예에서, 어레이 기판은 다수의 스캔라인(11), 다수의 데이터라인(12), 다수의 화소유닛(13) 및 공통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공통전극(14)을 포함한다.
그 중, 각각의 화소유닛(13)은 2개의 화소전극 및 2개의 스위치회로를 포함하며, 2개의 화소전극은 각각 제 1 화소전극(M1)과 제 2 화소전극(M2)이고, 2개의 스위치회로는 모두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현되며, 각각 제 1 화소전극(M1)에 작용하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제 2 화소전극(M2)에 작용하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이다.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는 모두 제어단, 입력단 및 출력단을 포함하며,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는 모두 본 화소유닛(13)에 대응되는 스캔라인(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소스는 본 화소유닛(13)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은 제 1 화소전극(M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소스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은 제 2 화소전극(M2)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 2 화소전극(M2)이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를 통해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연결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제 2 화소전극(M2)과 본 화소유닛(13)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12)의 연결을 구현한다.
각각의 화소유닛(13)은 제어 스위치(Q1)를 더 포함하며, 제어 스위치(Q1)는 제어단, 제 1 단 및 제 2 단을 포함한다. 그 중, 제어 스위치(Q1)의 제어단은 본 화소유닛(13)에 대응되는 스캔라인(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스위치(Q1)의 제 1 단은 제 2 화소전극(M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스위치(Q1)의 제 2 단은 공통전극(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중, 본 실시예의 제어 스위치(Q1)는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제어 스위치(Q1)의 제어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대응되고, 제어 스위치(Q1)의 제 1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대응되며, 제어 스위치(Q1)의 제 2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대응된다.
기타 실시예에서, 제 1 스위치회로, 제 2 스위치회로와 제어 스위치는 트라이오드, 달링턴 트랜지스터 스위치 소자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화소유닛(13)이 작동하도록 구동 시, 공통전극(14)은 공통전압을 입력하고, 스캔라인(11)은 스캔신호를 입력하여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 및 제어 스위치(Q1)의 도통을 제어하고, 데이터라인(12)은 데이터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데이터신호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를 통해 제 1 화소전극(M1)에 입력됨과 아울러, 순차적으로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를 통해 제 2 화소전극(M2)에 입력되어, 제 1 화소전극(M1)은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를 통해 데이터라인(13)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화소전극(M2)은 순차적으로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를 통해 데이터라인(13)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한다.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작용에 의해, 제 1 화소전극(M1)의 전압과 제 2 화소전극(M2)의 전압에는 일정한 차이가 존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가 도통 시, 박막 트랜지스터는 일정한 저항값을 지닌 하나의 저항에 해당하며, 상기 저항값의 크기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와 관련이 있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가 클수록, 도통 시의 등가 저항값이 작아지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가 작을수록, 도통 시의 등가 저항값이 커진다.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가 도통시 저항(Ra)과 등가이고,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가 도통 시 저항(Rb)과 등가이며, 제어 스위치(Q1)가 도통 시 저항(Rc)과 등가라고 가정하면, 스캔라인(11)이 스캔신호를 입력 시, 이때의 저항(Ra), 저항(Rb) 및 저항(Rc)은 직렬이고, 데이터라인(12)이 입력하는 데이터신호는 저항(Ra)을 통해 제 1 화소전극(M1)에 입력되어, 순차적으로 저항(Ra)과 저항(Rb)를 통해 제 2 화소전극(M2)에 입력된다. 데이터라인(12)이 입력하는 전압이 Vs라고 가정하면, 저항 직렬 분압의 원리에 따라, 제 1 화소전극(M1)의 전압은
V1=Vs*(Rb+Rc)/(Ra+Rb+Rc)...........(1)이고,
제 2 화소전극(M2)의 전압은
V2=Vs*Rc/(Ra+Rb+Rc)................(2)이다.
이로써 알 수 있듯이, 제 2 화소전극(M2)의 전압이 제 1 화소전극(M1)의 전압보다 작아, 제 1 화소전극(M1)과 제 2 화소전극(M2) 사이에 일정한 전압 차이가 존재하고, 양자 간의 전압차가 0이 아니며, 이에 따라 대시야각의 색상 왜곡을 개선하여 디스플레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는 동일한 유형의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즉 양자의 폭 길이비는 동일하며, 따라서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는 도통 시 등가의 저항(Ra)과 저항(Rb)에 대응하는 저항값이 동일하여,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 역시 동일하다. 저항 직렬 분압의 원리에 따르면, 비록 이들의 등가 저항의 저항값이 동일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제 1 화소전극(M1)과 제 2 화소전극(M2)이 상이한 전압을 지니게 함으로써 대시야각에서의 색상 왜곡을 개선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스위치(Q1)는 도통되는 시간 내에 제 2 화소전극(M2)의 전압을 변경시켜, 제 2 화소전극(M2)과 공통전극(14)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키고 또한 0이 아니게 한다. 구체적으로, 정극성(데이터신호가 공통전압보다 큰) 반전 시, 스캔라인(11)이 스캔신호를 입력하여 제어 스위치(Q1)의 도통을 제어하면, 제 2 화소전극(M2)의 일부 전하가 공통전극(14)으로 전이되어, 제 2 화소전극(M2)의 전압을 감소시키고, 제 2 화소전극(M2)의 전압을 제 1 화소전극(M1)의 전압과 더욱 달라지게 하며, 또한 제 2 화소전극(M2)과 공통전극(14) 사이의 전압차 역시 감소시킴으로써, 대시야각에서의 색상 왜곡을 더욱 개선하여 디스플레이 품질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부극성(데이터신호가 공통전압보다 작은) 반전 시, 제 2 화소전극(M2)은 공통전극(14)을 통해 충전되어 제 2 화소전극(M2)의 전압을 증가시키며, 또한 제어 스위치(Q1)의 제어 작용에 의해 제 2 화소전극(M2)의 증가된 전압이 제 2 화소전극(M2) 및 제 1 화소전극(M1)의 상이한 전압과 달라지게 함으로써, 제 1 화소전극(M1)과 제 2 화소전극(M2) 사이에 여전히 일정한 전압 차이가 존재하게 하고, 또한 제 2 화소전극(M2)의 전압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제 2 화소전극(M2)과 공통전극(14)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켜, 이에 따라 대시야각에서의 색상 왜곡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스위치(Q1)는 도통되는 시간 내에 제 2 화소전극(M2)과 공통전극(14) 사이의 전압차가 0이 아니도록 제어하여, 제 2 화소전극(M2)이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상태에 놓이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정극성 반전 또는 부극성 반전을 막론하고, 제어 스위치(Q1)가 도통 시, 제 2 화소전극(M2)의 전압이 변경되어 제 2 화소전극(M2)과 공통전극(14)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키고 또한 0이 아니게 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 스위치(Q1)는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제어 스위치(Q1)의 폭 길이비를 설정값보다 작게 하여, 제어 스위치(Q1)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제 2 화소전극(M2)과 공통전극(14) 사이의 전하 전이 속도를 늦추면, 제어 스위치(Q1)가 도통되는 시간 내에 제 2 화소전극(M2)과 공통전극(14) 사이가 전하 균형 상태에 이르지 못하여, 양자 간에 여전히 일정한 전압 차이가 존재하게 되며, 또한 제 2 화소전극(M2)과 공통전극(14) 사이의 전하 전이 속도의 제어를 통해 제 1 화소전극(M1)과 제 2 화소전극(M2)의 전압이 달라지게 된다(부극성 반전의 경우).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다르게 하여,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의 상이한 전압차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보다 크게 하여,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증가시킴으로써 색상 왜곡을 더욱 양호하게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보다 작게 할 수도 있으며,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변경시킴으로써,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가 도통 시의 등가 저항값을 변경시켜,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획득하여 상이한 낮은 색상 변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변경시키는 방식을 통하지 않고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제 1 스위치회로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만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제 2 스위치회로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와 분압저항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다르도록 함으로써,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의 상이한 전압차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화소전극은 제 1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과 연결되고, 제 2 화소전극은 순차적으로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와 분압 저항을 통해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한다.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와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는 동일하게 하되, 분압 저항의 크기 조정을 통해 제 2 스위치회로의 전류 통과 능력을 조정하여,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달라지게 함으로써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의 상이한 전압차를 획득하여 상이한 낮은 색상 변이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에 상이한 전압을 분배하기 위하여, 제 1 스위치회로는 하나 또는 다수의 분압 저항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스위치회로 역시 다수의 분압 저항을 포함하여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의 상이한 전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레이 기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화소유닛(23)은 제 3 화소전극(M3)과 제 3 스위치회로를 더 포함하며, 그 중, 제 3 스위치회로는 제 3 박막 트랜지스터(T3)이다. 제 3 화소전극(M3)은 제 3 박막 트랜지스터(T3)를 통해 본 화소유닛(23)에 대응되는 스캔라인(21)과 연결되고, 또한 제 3 화소전극(M3)은 제 3 박막 트랜지스터(T3)를 통해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 3 화소전극(M3)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22)의 연결을 구현한다. 제 2 화소전극(M2)은 순차적으로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1) 및 제 3 박막 트랜지스터(T2)를 통해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23)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22)의 연결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3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1, T2, T3)의 게이트는 모두 본 화소유닛(23)에 대응되는 스캔라인(21)과 연결되고,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소스는 본 화소유닛(23)에 대응되는 데이터라인(22)과 연결되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은 제 1 화소전극(M1)과 연결되고, 제 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소스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과 연결되고, 제 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은 제 3 화소전극(M3)과 연결되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소스는 제 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과 연결되고,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은 제 2 화소전극(M2)과 연결된다.
스캔라인(21)이 스캔신호를 입력하여 3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1, T2, T3) 및 제어 스위치(Q1)의 도통을 제어 시, 데이터라인(22)은 데이터신호를 입력하고, 제 1 화소전극(M1)은 제 1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며, 제 3 화소전극(M3)은 순차적으로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 및 제 3 박막 트랜지스터(T3)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화소전극(M2)은 순차적으로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 제 3 박막 트랜지스터(T3) 및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수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3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1, T2, T3) 및 제어 스위치(Q1)가 도통 시 등가의 저항이 각각 Ra, Rb, Rd, Rc이고, 데이터라인(23)이 입력하는 전압이 Vs라고 가정하면, 즉 제 1 화소전극(M1)의 전압은
V1=Vs*(Rd+Rb+Rc)/(Ra+Rb+Rd+Rc)...........(3)이고,
제 3 화소전극(M3)의 전압은
V3=Vs*(Rb+Rc)/(Ra+Rb+Rd+Rc)...............(4)이며,
제 2 화소전극(M2)의 전압은
V2=Vs*Rc/(Ra+Rb+Rc)........................(5)이다.
이로써 알 수 있듯이, 제 3 화소전극(M3)의 전압은 제 1 화소전극(M1)의 전압보다 작고, 제 2 화소전극(M2)의 전압은 제 3 화소전극(M3)의 전압보다 작음으로써, 3개의 화소전극(M1, M2, M3) 사이에 일정한 전압차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대시야각에서의 색상 왜곡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1, T2, T3)의 폭 길이비의 조정을 통해, 3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1, T2, T3)가 도통 시 등가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3개의 화소전극(M1, M2, M3)상의 전압을 조정할 수 있으며, 3자 사이의 상이한 전압차를 획득하여 상이한 낮은 색상 변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각각의 화소유닛은 4개의 화소전극 또는 5개의 화소전극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추가되는 화소전극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실시예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어레이 기판(701), 컬러필터 기판(702) 및 어레이 기판(701)과 컬러필터 기판(702)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703)을 포함한다. 그 중, 어레이 기판은 상기 각 실시예 중의 어레이 기판이다.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일뿐, 결코 이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도면의 내용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등가의 구조 또는 등가의 과정 변환, 또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기타 관련 기술 분야에 운용하는 경우, 모두 같은 이치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3)

  1. 다수의 스캔라인, 다수의 데이터라인, 다수의 화소유닛 및 공통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공통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화소유닛은 하나의 스캔라인과 하나의 데이터라인에 대응되며;
    각각의 상기 화소유닛은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과 적어도 2개의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은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스위치는 제 1 화소전극에 작용하는 제 1 스위치회로와 제2 화소전극에 작용하는 제 2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화소유닛은 제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스위치는 제어단, 제 1 단과 제 2 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소전극은 상기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화소전극은 상기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어단은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 1 단은 상기 제 2 화소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 2 단은 상기 공통전극과 연결되며;
    그 중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이 스캔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 1 스위치회로, 제 2 스위치회로와 제어스위치의 도통을 제어 시, 상기 제 1 화소전극은 상기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화소전극은 적어도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스위치회로와 상기 제 2 스위치회로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0이 아닌 전압차가 존재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과 다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상이한 전압차를 획득하며, 상기 제어 스위치는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어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대응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 1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대응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 2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대응되어, 상기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가 도통되는 시간 내에 상기 제 2 화소전극의 전압을 변경시키고, 상기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게 함으로써, 도통되는 시간 내에 상기 제2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키고 또한 0이 아니도록 하고,
    상기 폭 길이비는 폭을 길이로 나눈 값인 어레이 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스위치회로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와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상기 제 2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과 달라지도록 하는 어레이 기판.
  3.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화소유닛은 제 3 화소전극과 제 3 스위치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화소전극은 상기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제 3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고;
    상기 제 2 화소전극은 순차적으로 상기 제 2 스위치회로와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는 어레이 기판.
  4. 다수의 스캔라인, 다수의 데이터라인, 다수의 화소유닛 및 공통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공통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화소유닛은 하나의 스캔라인과 하나의 데이터라인에 대응되며;
    각각의 상기 화소유닛은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과 적어도 2개의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은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스위치는 상기 제 1 화소전극에 작용하는 제 1 스위치회로와 상기 제 2 화소전극에 작용하는 제 2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화소유닛은 제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스위치는 제어단, 제 1 단과 제 2 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소전극은 상기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화소전극은 상기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어단은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 1 단은 상기 제 2 화소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 2 단은 상기 공통전극과 연결되고;
    그 중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이 스캔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 1 스위치회로, 제 2 스위치회로와 제어스위치의 도통을 제어 시, 상기 제 1 화소전극은 상기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화소전극은 적어도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0이 아닌 전압차가 존재하게 하고, 상기 제어스위치는 도통되는 시간 내에 상기 제 2 화소전극의 전압차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제 2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키고 또한 0이 아니도록 하는 어레이 기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과 다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상이한 전압차를 획득하는 어레이 기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스위치회로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와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상기 제 2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과 달라지도록 하고,
    상기 폭 길이비는 폭을 길이로 나눈 값인 어레이 기판.
  7. 제 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화소유닛은 제 3 화소전극과 제 3 스위치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화소전극은 상기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제 3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고;
    상기 제 2 화소전극은 순차적으로 상기 제 2 스위치회로와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는 어레이 기판.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는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어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대응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 1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대응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 2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대응되어, 상기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게 함으로써, 도통되는 시간 내에 상기 제2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키고 또한 0이 아니도록 하고,
    상기 폭 길이비는 폭을 길이로 나눈 값인 어레이 기판.
  9. 어레이 기판, 컬러필터 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어레이 기판은 다수의 스캔라인, 다수의 데이터라인, 다수의 화소유닛 및 공통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공통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화소유닛은 하나의 스캔라인과 하나의 데이터라인에 대응되며;
    각각의 화소유닛은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과 적어도 2개의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화소전극은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스위치는 상기 제 1 화소전극에 작용하는 제 1 스위치회로와 상기 제 2 화소전극에 작용하는 제 2 스위치회로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화소유닛은 제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스위치는 제어단, 제 1 단과 제 2 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소전극은 상기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화소전극은 상기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어단은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 1 단은 상기 제 2 화소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 2 단은 상기 공통전극과 연결되고;
    그 중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이 스캔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 1 스위치회로, 제 2 스위치회로와 제어스위치의 도통을 제어 시, 상기 제 1 화소전극은 상기 제 1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화소전극은 적어도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스위치회로와 제 2 스위치회로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0이 아닌 전압차가 존재하게 하고, 상기 제어스위치는 도통되는 시간 내에 상기 제 2 화소전극의 전압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제 2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키고 또한 0이 아니도록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과 다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화소전극과 제 2 화소전극 사이에 상이한 전압차를 획득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스위치회로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와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이 상기 제 2 스위치회로가 도통 시의 전류 통과 능력과 달라지도록 하고,
    상기 폭 길이비는 폭을 길이로 나눈 값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화소유닛은 제 3 화소전극과 제 3 스위치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화소전극은 상기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스캔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제 3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고;
    상기 제 2 화소전극은 순차적으로 상기 제 2 스위치회로와 제 3 스위치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스위치회로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제 2 화소전극과 본 화소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라인의 연결을 구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는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어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대응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 1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대응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제 2 단은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대응되어, 상기 방전 박막 트랜지스터의 폭 길이비를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게 함으로써, 도통되는 시간 내에 상기 제2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압차를 감소시키고 또한 0이 아니도록 하고,
    상기 폭 길이비는 폭을 길이로 나눈 값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167004371A 2013-07-19 2013-07-25 어레이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KR101764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306890.4 2013-07-19
CN201310306890.4A CN103353697B (zh) 2013-07-19 2013-07-19 一种阵列基板及液晶显示面板
PCT/CN2013/080076 WO2015006996A1 (zh) 2013-07-19 2013-07-25 一种阵列基板及液晶显示面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244A KR20160032244A (ko) 2016-03-23
KR101764550B1 true KR101764550B1 (ko) 2017-08-14

Family

ID=4931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371A KR101764550B1 (ko) 2013-07-19 2013-07-25 어레이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30975B2 (ko)
JP (1) JP6101406B2 (ko)
KR (1) KR101764550B1 (ko)
CN (1) CN103353697B (ko)
GB (1) GB2530457B (ko)
RU (1) RU2619813C1 (ko)
WO (1) WO2015006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7745B (zh) 2014-03-14 2016-09-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面板與像素單元電路
CN104914636B (zh) * 2014-03-14 2018-10-2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与像素单元电路
CN105445966B (zh) * 2014-08-18 2019-04-0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低色偏的显示面板
KR102241765B1 (ko) * 2014-09-11 2021-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39581B1 (ko) * 2015-01-26 2021-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5137685B (zh) * 2015-09-09 2019-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5139821B (zh) * 2015-09-30 2018-03-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液晶显示器
CN106773398A (zh) * 2016-12-28 2017-05-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像素结构、阵列基板及显示面板
CN106773408A (zh) * 2016-12-29 2017-05-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像素结构和液晶显示面板
CN108628045B (zh) * 2017-03-21 2022-0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7121863B (zh) * 2017-06-30 2020-01-0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CN107272293A (zh) * 2017-08-21 2017-10-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液晶显示装置
CN107490912A (zh) * 2017-09-06 2017-12-1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07352947U (zh) * 2017-10-25 2018-05-11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像素电路
CN107728352B (zh) * 2017-11-22 2020-05-05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像素驱动电路及液晶显示面板
CN108646480B (zh) * 2018-04-02 2020-12-2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垂直取向型液晶显示器
CN108563080B (zh) 2018-04-25 2021-0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结构及像素控制方法、阵列基板和显示装置
CN110412800B (zh) * 2019-07-25 2021-02-2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像素结构及采用该像素结构的显示面板
CN111308802B (zh) 2020-03-12 2021-07-06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
CN113589558B (zh) * 2020-04-30 2023-04-14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防窥屏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64017A (zh) 2007-08-10 2009-02-11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薄膜晶体管基板及其制造方法、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2009301010A (ja) 2008-06-16 2009-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
CN102081269A (zh) 2010-11-16 2011-06-01 华映视讯(吴江)有限公司 晶体管阵列基板
WO2012132630A1 (ja) 2011-03-29 2012-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8172C (zh) * 1999-12-03 2005-04-20 三菱电机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KR100541534B1 (ko) * 2003-06-30 2006-01-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과 그 제조방법
US7206048B2 (en) * 2003-08-13 2007-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panel therefor
US20060250533A1 (en) * 2005-05-03 2006-11-09 Po-Sheng Shih Pixel structure with improved viewing angle
CN100495179C (zh) * 2006-08-09 2009-06-0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
TWI366174B (en) * 2007-03-03 2012-06-11 Au Optronics Corp Pixel control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utilizing said pixel control device
JP4989309B2 (ja) * 2007-05-18 2012-08-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
JP5281760B2 (ja) * 2007-06-14 2013-09-04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TWI405014B (zh) * 2007-07-26 2013-08-11 Au Optronics Corp 液晶顯示器及其驅動方法
TWI453517B (zh) * 2008-08-26 2014-09-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液晶顯示裝置之畫素陣列基板
US8373621B2 (en) * 2009-12-01 2013-02-12 Samsung Display Co., Ltd.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20313915A1 (en) * 2011-06-08 2012-12-13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hin-film transistor (tft) arr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thereof
CN103149719B (zh) * 2011-12-06 2016-08-0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液晶显示器
JP5443537B2 (ja) * 2012-04-27 2014-03-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64017A (zh) 2007-08-10 2009-02-11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薄膜晶体管基板及其制造方法、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2009301010A (ja) 2008-06-16 2009-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
CN102081269A (zh) 2010-11-16 2011-06-01 华映视讯(吴江)有限公司 晶体管阵列基板
WO2012132630A1 (ja) 2011-03-29 2012-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6996A1 (zh) 2015-01-22
JP6101406B2 (ja) 2017-03-22
GB2530457A (en) 2016-03-23
GB201600076D0 (en) 2016-02-17
RU2619813C1 (ru) 2017-05-18
CN103353697B (zh) 2015-11-25
CN103353697A (zh) 2013-10-16
US9430975B2 (en) 2016-08-30
JP2016527548A (ja) 2016-09-08
KR20160032244A (ko) 2016-03-23
US20160210924A1 (en) 2016-07-21
GB2530457B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550B1 (ko) 어레이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JP6208886B2 (ja) 配列基板及び液晶表示パネル
TWI407422B (zh) 液晶顯示器及其驅動方法
KR101764549B1 (ko) 어레이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US9052540B2 (en)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N102800296B (zh) 液晶显示器及相关配向方法
KR101813417B1 (ko) 어레이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US9897833B2 (en)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1764553B1 (ko) 어레이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US20150364068A1 (en)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2016528554A (ja) アレイ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9218777B2 (en) Array substrate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CN103676360A (zh) 一种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297615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6016456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9536497B2 (en) Gamma voltage driving circuit, source driving module, and liquid crystal panel
US987570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pixel cell circuit solving color shift problem
CN111766746B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TW201642240A (zh) 液晶顯示器
WO2012169160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