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041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041B1
KR101763041B1 KR1020150182802A KR20150182802A KR101763041B1 KR 101763041 B1 KR101763041 B1 KR 101763041B1 KR 1020150182802 A KR1020150182802 A KR 1020150182802A KR 20150182802 A KR20150182802 A KR 20150182802A KR 101763041 B1 KR101763041 B1 KR 101763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device
light source
developing
photosensi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605A (ko
Inventor
다카유키 미즈타
마사요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25309A external-priority patent/JP59173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74676A external-priority patent/JP5414880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single radiation source per colour, e.g. lighting beams or shutter arrangements
    • B41J2/44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single radiation source per colour, e.g. lighting beams or shutter arrangements using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B41J2/47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using multiple light beams, wavelengths or colou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1Mechanical drive devices for polygonal mirrors
    • G02B26/122Control of the scanning speed of the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3Multibeam scanners, e.g.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or beam spli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어 다면경에 의해 반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검지기와, 검지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다면경의 속도를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조정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조정 디바이스는,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가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에 광 빔이 발광되는 기간을 적어도 포함하는 기간 동안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이 광 빔을 발광하게 하면서 조정 처리를 실행한다.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는, 상기 조정 처리가 종료되기 전에, 현상 부재의 현상 위치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 등의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 예를 들어, 복사기 및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에의 프린트 처리 전에, 스캐너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면경의 회전 속도가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속도가 되도록, 다면경의 회전 속도를 조정한다(스캐너 모터를 기동한다). 이 경우에, 다면경의 회전 속도를 검지하기 위해, 레이저 빔을 강제 발광하는 동안 검지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이용하는 구성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다면경의 기동시에, 스캐너 모터를 기동시킨 후 레이저 빔을 계속 발광시켜서 수평 동기 신호를 감시한다. 그 대신에, 스캐너 모터가 목표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후에, 레이저 빔의 강제 발광을 행한다. 강제 발광 동안 수평 동기 신호를 검지한다. 검지된 신호의 주기에 따라, 스캐너 모터(다면경)의 회전 속도를 검지하고, 그 속도가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속도가 되도록 조정한다. 다면경의 회전 속도를 검지하기 위해 레이저 빔을 강제 발광하는 동안, 감광 부재(화상 담지 부재)가 레이저 빔에 의해 노광된다. 이로 인해, 현상 롤러가 감광 부재와 접촉하거나, 또는 현상기에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감광 부재에 토너가 부착된다. 감광 부재와 직접 접촉하는 기록재에 토너를 전사하는 전사 유닛, 또는 벨트를 통해서 감광 부재로부터 기록재에 토너를 전사하는 전사 유닛에 불필요한 토너가 전사된다. 기록재가 삽입되면, 기록재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과는 다른 토너가 부착되어 기록재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H07-306626호는, 현상기에 낮은 전력 바이어스를 인가시켜, 감광 부재가 레이저 빔에 의해 노광되더라도, 현상이 실행되기 어렵게 하는 제어를 제안한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7-93771호는, 현상기를 감광 부재와 접촉시키고 그로부터 이격시키는 구성을 포함하는 인-라인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감광 부재에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기를 감광 부재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장치가 대기하고, 화상 형성 직전에 현상기를 접촉시키는 구성을 제안한다.
미국 특허 제5864355호는, 레이저 빔으로 감광 부재가 노광되지 않는 안전 영역을 설치하고, 그 영역은 감광 부재 표면의 화상 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스캐너 모터의 기동 시에, 그 안전 영역에만 레이저 빔을 발광시켜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레이저 빔을 감광 부재에 발광함으로써 기록재의 이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H07-306626호에서와 같이 현상기에 낮은 전력 바이어스를 인가할 경우에, 낮은 전력 바이어스로부터 통상의 바이어스로 전환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레이저 빔의 강제 발광이 종료된 후에 즉시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할 수 없다. 이로 인해, 프린팅 요구를 수신한 때로부터 1매째의 기록재가 장치 밖으로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인 제1 프린트아웃 시간(first print out time: FPOT)이 연장될 우려가 있다. 또한, 매우 높은 광 강도를 갖는 레이저 빔에 의해 노광되는 경우에, 낮은 전력 바이어스를 인가하더라도 감광 부재에 소정의 양의 토너가 부착되어 현상되어버려, 기록재의 이면을 오염시킬 우려도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7-93771호와 같이, 감광 부재에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기가 감광 부재로부터 이격한 상태에서 대기하고, 화상 형성 직전에 현상기가 감광 부재와 접촉될 경우에, 현상기가 감광 부재와 접촉되는 타이밍은, 스캐너 모터가 기동하여 화상 형성 처리를 위한 소정의 회전 속도에 도달하고, 예기치 않게 감광 부재를 노광하지 않는 상태로 이행한 후가 되도록 해야 한다. 그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린트아웃 시간이 연장될 우려가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5864355호와 같이, 감광 부재 표면의 화상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을 연산하여 구하고, 레이저 빔을 발광시킬 경우에, 다면경의 급격한 속도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어렵다. 감광 부재 표면의 화상 영역을 노광할 우려가 있다. 감광 부재 표면의 화상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서 수평 동기 신호가 얻어질 수 없는 경우에는, 스캐너 모터가 제어 불능이 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다면경이 급격히 속도를 변경하지 않도록, 다면경의 가속도를 특정 범위 내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다면경의 속도의 조정을 완료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다. 제1 프린트아웃 시간이 연장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 프린트아웃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로서, 감광 부재, 광 빔을 발광하는 광원, 및 현상 위치와 상기 현상 위치로부터 퇴피된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현상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들로부터 발광되는 각각의 광 빔을 반사하는 다면경,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검지기, 및 상기 검지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다면경의 이동 속도를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조정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는, 상기 광원들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을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하게 하여 상기 감광 부재들에 광 빔을 발광함으로써 각각의 감광 부재들에 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현상 위치들에서 상기 현상 부재들에 의해 상기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는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가 상기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상기 조정 디바이스는,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상기 감광 부재에 광 빔이 발광되는 기간을 적어도 포함하는 기간 동안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 빔을 발광하게 하면서 상기 조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조정 처리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는 상기 현상 부재의 상기 현상 위치로의 이동을 개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로서, 감광 부재, 광 빔을 발광하는 광원, 및 현상 위치와 상기 현상 위치로부터 퇴피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현상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각각의 광원들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을 반사하는 다면경,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검지기, 및 상기 검지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다면경의 속도를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실행하는 조정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는, 상기 광원들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을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하게 하여 상기 감광 부재들에 광 빔을 발광함으로써 각각의 감광 부재들에 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현상 위치들에서 상기 현상 부재들에 의해 상기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게 하는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가 상기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상기 조정 디바이스는,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상기 감광 부재에 광 빔이 발광되는 기간을 적어도 포함하는 기간 동안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상기 광원이 광 빔을 발광하게 하면서 상기 조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조정 처리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는 상기 현상 부재의 상기 현상 위치로의 이동을 개시하고,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상기 현상 부재의 상기 현상 위치로의 이동을 개시한 때로부터 상기 조정 디바이스의 상기 조정 처리의 완료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상기 광원이 광 빔을 발광하지 않게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스캐너 유닛의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의 타이밍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제어에 적용되는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스캐너 유닛의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의 타이밍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제어에 적용되는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스캐너 유닛의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의 타이밍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어에 적용되는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스캐너 유닛 내의 다면경과 레이저 기판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의 타이밍의 설명도이다.
도 14의 (a) 및 도 14의 (b)는 스캐너 모터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스캐너 유닛 내의 다면경과 레이저 기판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스캐너 유닛 내의 다면경과 레이저 기판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의 타이밍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스캐너 유닛 내의 다면경과 레이저 기판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의 타이밍의 설명도이다.
도 20은 스캐너 유닛 내의 다면경과 레이저 기판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실시 형태들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컴포넌트의 치수, 재료, 및 상대적인 배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 및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한다. 이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형태들에 한정하려는 취지가 아니다.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레이저에 의해 발진된 광을 화상 노광용 광원으로서 채택하고, 레이저 빔의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로 다면경의 기동을 검지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특히, 레이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화상 담지 부재인 감광 부재들(감광 드럼들)에 대응하는 레이저 빔을 발광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형태 1]
이하, 실시 형태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로서 4개-드럼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이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픽업 롤러(13)에 의해 픽업된 기록재(12)의 선단(tip end)이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1)에 의해 검지된다. 그 후, 그 선단이 반송 롤러 쌍(14, 15)을 약간 통과한 위치에서 반송 처리가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한편, 감광 부재(22a 내지 22d)(22a, 22b, 22c, 22d)의 아래쪽에 배치된 스캐너 유닛(80)은 회전 구동되는 감광 부재(22a 내지 22d)에 순차적으로 레이저 빔(광속)(21a 내지 21d)을 발광한다. 이때, 감광 부재(22a 내지 22d)는 대전 롤러(23a 내지 23d)에 의해 미리 대전된다. 이에 따라, 레이저 빔(21a 내지 21d)의 발광에 의해 각 감광 부재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현상기(25a 내지 25d), 및 현상 유닛인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는 감광 부재(22d, 22c, 22b, 22a)의 순서로 토너(현상제)를 이용하여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각각의 감광 부재에 토너 화상(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기(25a 내지 25d)에 배치되는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의 마모를 억제하기 위해,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를 감광 부재(22a 내지 22d)와 접촉시킬 수 있고 그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접촉가능 이격가능) 기구가 설치된다.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가 감광 부재(22a 내지 22d)와 접촉하는 위치가 현상 위치이다. 감광 부재(22a 내지 22d)로부터 이격한 위치는 현상 위치로부터 퇴피된 퇴피 위치이다.
감광 부재(22a 내지 22d)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현상 1차 전사 롤러(26a 내지 26d)와 감광 부재(22a 내지 22d)에 의해 형성되는 1차 전사 닙(primary transfer nips) T1에서, 중간 전사 매체인 중간 전사 벨트(30)에 순차 겹치게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30)는 롤러(31, 32, 33)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토너 화상을 2차 전사 롤러(27)에 형성된 2차 전사 닙(secondary transfer nip) T2에 반송한다. 이때, 기록재(12)는, 2차 전사 롤러(27)와 중간 전사 벨트(30) 사이의 2차 전사 닙 T2에서 중간 전사 벨트(30)에 의해 반송된 토너 화상과 타이밍이 동기되도록, 반송이 재개된다. 2차 전사 닙 T2에서, 2차 전사 롤러(27)는 중간 전사 벨트(30)로부터 기록재(12)에 토너 화상을 전사한다.
그 후, 기록재(12) 상의 미정착의 토너 화상은 정착 유닛(18)에서 정착 롤러 쌍(16, 17)에 의해 기록재(12)에 가열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가열 정착된 기록재(12)는 기체 밖으로 출력(배출)된다. 여기서, 2차 전사 롤러(27)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0)로부터 기록재(12)에 전사되지 않은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35)에 의해 폐 토너 용기(36)에 회수된다.
<실시 형태 1의 스캐너 유닛 구성>
그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있어서의 스캐너 유닛(발광 유닛, 광학 주사 유닛)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스캐너 유닛(80)의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는, 스캐너 유닛(80) 내부를 실질적으로 밀폐하며, 광속을 통과시키는 글라스 판(56)을 포함하는 커버(82)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 유닛(80)에는, 수평으로 2개, 수직으로 2개의, 즉, 4개의 광원인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가 이차원적으로 배치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 빔은 다면경(53)에 발광된다. 이 다면경은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 렌즈(52)에 의해 집광되어 형성되는 광속의 선 형상의 근방에 편향 반사면을 갖는 편향기이다. 스캐너 유닛(80)은 다면경(53)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인 스캐너 모터(55)를 포함한다. 스캐너 모터(55)는 다면경(53)을 회전 구동시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 빔이 다면경(53)의 편향 반사면(동일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게 함으로써, 빔의 편향 및 주사를 행한다.
스캐너 유닛(80)은 다면경(53)을 중심으로 하여, 도 2에 있어서 좌우 양방향으로 대략 대칭으로 배치되는 렌즈(84L, 84R, 85L, 85R, 86L, 86R)와 미러(87L, 87R, 88L, 88R, 89L, 89R)를 포함한다.
도 2에 있어서, 반시계(counterclockwise: CCW)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면경(53)에 의해 편향된 레이저 빔(21a 내지 21d)은 각각의 감광 부재들상에 결상되어, 다음과 같이 주사된다. 도 2의 좌측에 배치된 2개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 81d)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 빔(21c, 21d)은 각각 감광 부재(22c, 22d)상에 화살표 S1의 방향으로 주사된다. 한편, 도 2의 우측에 배치된 2개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81b)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 빔(21a, 21b)은 각각 감광 부재(22a, 22b)상에 화살표 S2의 방향으로 주사된다. 이에 따라, 레이저 빔(21c, 21d)은, 레이저 빔(21a, 21b)이 주사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주사된다(화상이 형성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 빔의 일부는 다면경(53)에 의해 편향된 후,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발광되어, 수평 동기 신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수평 동기 검지기(54)는 감광 부재(22c)에 발광되는 레이저 빔을 검지하고, 감광 부재(22c)상의 정전 잠상의 형성이 개시되는 타이밍의 기준인 수평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수평 동기 신호 출력 유닛에 해당한다. 감광 부재(22d)는 각각의 감광 부재상의(화상 담지 부재상의) 토너 화상이 순차 겹쳐질 때 그 중 중간 전사 벨트(30)에 최초로 전사되는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제1 화상 담지 부재에 해당한다. 각각의 감광 부재상의 토너 화상이 겹쳐질 경우의 중간 전사 벨트(30)에 최초로 전사되는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 부재는, 프린팅 요구(화상 형성 요구, 프린팅 요구)를 수신한 후 최초로 정전 잠상의 형성이 개시되는 감광 부재이다. 감광 부재(22c)는 감광 부재(22d) 이외의 감광 부재들 중 임의의 하나의 제2 화상 담지 부재에 해당한다.
감광 부재들(22) 중 하나와, 그것에 대응하는 현상 슬리브(24)와,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는 하나의 화상 형성 디바이스(스테이션)에 해당한다.
<프린팅 개시까지의 타이밍의 설명>
이하, 프린팅 요구를 수신한 후의 프린팅(화상 형성 처리)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있어서,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에 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해 실행되는 프린팅 시퀀스의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있어서의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에 적용되는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프린팅 개시 전의 상태에서는,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는 각각 감광 부재(22a 내지 22d)로부터 이격(퇴피)된다.
엔진 컨트롤러(40)가 프린트 신호가 ON으로 되었다고 판단하면, 이 컨트롤러는 정착 유닛(18)의 온도가 정착가능 온도로 되도록 정착 히터(19)의 제어를 개시한다. 다면경(53)을 회전 구동시키는 스캐너 모터(55)의 회전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 스캐너 모터(55)의 ON 신호를 트루(true)로 설정하고, 감광 부재(22a 내지 22d)의 메인 모터(43)를 기동하기 위해 메인 모터(43)의 ON 신호를 트루로 설정한다(T201). 메인 모터(43)가 소정의(미리 설정된, 미리 결정된) 회전수에 도달하여 안정한 상태로 된 것이 검지된 후,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가 턴 온(ON)되고,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의 레이저 빔 강도가 소정의 광 강도가 되도록 광 강도 조정 디바이스로서의 레이저 드라이버(50a 내지 50d)가 제어됨으로써, 광 강도를 조정한다(T202).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의 레이저 빔 강도를 제어해서 그 강도가 소정의 광 강도가 된 것을 확인한 후, 현상 슬리브의 접촉 이격 모터(44)의 ON 신호를 트루로 설정한다(T203). 이에 의해,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는 24d, 24c, 24b, 24a의 순서로 순차 각각의 감광 부재(22a 내지 22d)와 접촉한다(현상 위치에 도달한다). 즉, 현상 슬리브(24d)부터 순차적으로 대응하는 감광 부재와 접촉하는 현상 위치로의 이동 처리를 개시하고, 급송 카세트(102)에 기록재(12)가 존재하고, 급송이 준비되었는지를 기록재 유무 센서(41)(도 4)의 신호에 따라 판단하여, 픽업 솔레노이드(42)(도 4)를 ON으로 하고, 기록재(12)를 급송한다(T203).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는 수명 장기화를 도모하기 위해, 정전 잠상이 형성되기 직전에 감광 부재(22a 내지 22d)와 접촉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마모량을 가능한 한 많이 감소시키도록 고려된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30)가 감광 부재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시간 Tn이 어긋나게 되도록, 현상 슬리브(24d, 24c, 24b, 24a)의 순서로 감광 부재와의 접촉이 행해진다.
스캐너 모터(55)의 ON 신호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엔진 컨트롤러(40)는 스캐너 모터(55)의 회전 속도를,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회전 속도인 규정 회전수로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행한다. 즉, 스캐너 모터(55)가 확실하게 규정 회전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바꿔 말하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를 강제적으로 발광(턴 온)하여,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의해 검지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수평 동기 회로(57)에 의해 판단한다(T204).
여기서, T204의 타이밍에서 판단을 행하는 엔진 컨트롤러(40)는, 수평 동기 검지기(54)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다면경(53)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값을 산출하고, 다면경(53)의 회전수(회전 속도)가 미리 결정된 회전수(회전 속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에 해당한다. 다면경(53)의 회전 속도가 느릴수록,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길어진다. 따라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는 강제 발광할 때, 수평 동기 검지기(54)가 복수의 수평 동기 신호를 검지하여 다면경(53)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값을 산출하도록 하기 위해 발광(ON)을 계속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면경(53)의 회전 속도를 검지하기 위한 강제 발광은 다면경의 회전 속도 및 반사면의 방향을 모르는 상태에서의 발광이다. 따라서, 강제 발광(ON)하는 기간은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로부터의 광 빔이 감광 부재(22c)에 발광되는 기간을 적어도 포함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기간에서, 현상 슬리브(24c)는 감광 부재(22c)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로부터의 광 빔이 감광 부재(22c)에 발광되더라도 감광 부재(22c)에 토너가 부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당연히, 토너가 중간 전사 벨트(30)에 전사되지 않고 2차 전사 롤러(27)에 부착되지 않는다.
스캐너 모터(55)가 확실하게 규정 회전수에 도달했는지를 검지하기 위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를 발광시킬 때,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때까지, 레이저 빔 강도를, 수평 동기 신호를 검지할 수 있는 정도로 감소시킨 상태에서, 수평 동기 신호를 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광 부재의 표면에의 광의 발광에 기인한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소정의 주기가 아닌(규정 회전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스캐너 모터(55)를 가속 또는 감속시켜서 회전 속도를 조정한다.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소정의 주기로 된(규정 회전수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면, 조정 처리가 완료된다. 또한, 정착 유닛(18)이 소정의 정착가능 온도에 도달한 것을 판단한다(T205).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처리가 완료된 타이밍(T205) 전에, 현상 슬리브(24d)가 감광 부재(22d)와 접촉한다(현상 위치에 도달한다). 그러나, 조정 처리 동안,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는 턴 오프(ON이 아님)된다. 이에 따라, 현상 슬리브(24d)가 감광 부재(22d)와 접촉하더라도, 기록재를 오염시킬 정도의 양의 토너가 부착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광 부재(22c)를 포함하는 스테이션(화상 형성 유닛)에 수평 동기 검지기(54)를 배치한다. 이에 의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를 강제 발광시킴으로써 수평 동기 신호를 검지하게 하고, 스캐너 모터(55)가 규정 회전수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고(T205), 이어서 현상 슬리브(24c)가 감광 부재(22c)와 접촉할 때(T207)까지의 시간(간격) Tg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의 강제 발광 동안 현상 슬리브(24c)를 감광 부재(22c)로부터 이격시켜 둘 수 있다.
여기서, 감광 부재(22c)의 스테이션의 하류의 스테이션(감광 부재(22b, 22a))에 수평 동기 검지기(54)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시간 Tg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T205의 판단이 프린팅 요구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내에 행해진 것을 확인한 후, 수평 동기 검지기(54)가 설치되지 않은 스테이션의 수평 동기 신호는 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해 생성된다. 엔진 컨트롤러(40)는, 기록재(12)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들에, 그리고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의해 레이저 빔을 검지하는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가 발광하지 않도록 비디오 신호를 마스크한다. 마스크한 후의 비디오 신호에 따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에서 레이저 빔이 변조되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부터 순차적으로 노광이 행해진다(T206).
이렇게 하여 화상 형성 처리가 개시(실행)된다. 여기서, T206의 타이밍에서 노광을 개시하는 제어를 행하는 엔진 컨트롤러(40)는, 다면경(53)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회전수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유닛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가 프린트 신호를 수신한 때로부터 스캐너 유닛이 노광을 개시할 때까지의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초의 정전 잠상의 형성이 개시되는 감광 부재(22d) 이외의 감광 부재(22c)에 발광하는 레이저 빔을 검지함으로써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스캐너 모터(55)가 확실하게 규정 회전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최초의 정전 잠상이 형성될 감광 부재(22d)에 대하여, 현상 슬리브(24d)가 접촉 처리(현상 위치로의 이동)를 개시한 후(T203), 감광 부재(22d)가 레이저 빔에 의해 노광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의 강제 발광을 위한 스캐너 모터(55)에 의한 조정 처리가 종료되기 전에, 현상 슬리브(24d)의 현상 위치로의 이동을 개시할 수 있다. 즉,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의 강제 발광에 의해 스캐너 모터(55)의 조정 처리를 행하는 구성에 비하여, 현상 슬리브(24d)의 현상 위치로의 이동의 개시 타이밍을 앞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토너가 감광 부재(22d)에 현상되는 것이 방지되어, 감광 부재(22d)상의 토너가 중간 전사 벨트(30)를 통해서 2차 전사 롤러(27)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즉, 기록재(12)의 이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노광 부분의 농도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불균일은 레이저 빔이 감광 부재에 발광되는 경우에 우려된다. 또한, 감광 부재상에 가로 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가로 줄은 스캐너 모터의 기동 동안 수평 동기 신호를 검지하기 위해 레이저 빔을 전체 발광시킴으로써 초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광 부재(22c)의 스테이션에서 스캐너 모터(55)의 기동 제어를 실행한다. 스캐너 모터(55)가 규정 회전수에 도달한 때부터 현상 슬리브(24c)가 감광 부재(22c)와 접촉할 때까지의 시간 Tg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감광 부재(22c)에 레이저 빔이 발광되는 것에 기인하여 우려되던 문제의 발생을, 이 시간 Tg를 이용하여(시간 Tg 내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하는 감광 부재(22d)의 스테이션(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보다도 후에 화상 형성 처리를 실행하는 감광 부재(22c)의 스테이션(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에서 스캐너 모터(55)의 기동 제어(조정 처리)를 실행한다. 따라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를 강제 발광시키는 스캐너 모터(55)의 조정 처리가 종료되기 전에, 현상 슬리브(24d)의 현상 위치로의 이동을 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캐너 모터(55)가 규정 회전수에 도달한 후(스캐너 모터(55)의 조정 처리가 종료된 후) 즉시 감광 부재(22d)에 화상 형성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새로운 컴포넌트를 추가하지 않고, 감광 부재(22d)의 스테이션에서 스캐너 모터(55)의 기동 제어를 실행할 경우에 비하여, 현상 슬리브(24d)의 현상 위치로의 이동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앞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린트아웃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T203으로부터 T206까지,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가 턴 오프(ON이 아님)된다. 그러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감광 부재(22d)의 표면 전위는, 현상 슬리브(24d)가 감광 부재(22d)와 접촉하더라도 토너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표면 전위가 되도록, 매우 미소한 광 강도로 감광 부재(22d)에 발광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사 단계에 있어서, 중간 전사 벨트(30)를 이용하는 중간 전사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반송 벨트에 담지되어 반송된 기록재에 토너 화상을 전사시키는 스킴을 채택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이하, 실시 형태 2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 컴포넌트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캐너 유닛(70a)과 제2 스캐너 유닛(70b)을 포함한다. 이 점에서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과 상이하다. 여기서, 제1 및 제2 스캐너 유닛(70a, 70b)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1 및 제2 스캐너 유닛(70a, 70b)은, 2색으로 분해된 화상 신호에 따라, 1개의 다면경으로부터 대응하는 감광 부재들에 레이저 빔을 발광하여,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실시 형태 2의 스캐너 유닛 구성>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스캐너 유닛(70b)의 내부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제1 및 제2 스캐너 유닛(70a, 70b)중 제2 스캐너 유닛(70b)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제1 스캐너 유닛(70a)도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은, 제2 스캐너 유닛(70b) 내부를 실질적으로 밀폐하며, 광속을 통과시키는 글라스 판을 포함하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도면에 있어서 수직으로 배치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 81c)(제1 스캐너 유닛(70a)에서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 81a))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 빔은 원통형 렌즈(52)를 통과한 후, 다면경(53)의 동일 반사면에 집광된다. 다면경(53)은 스캐너 모터(55b)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어, 입사된 레이저 빔을 동일한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편향된 빔은 렌즈(74, 75c, 75d)를 통과하고 미러(87, 88, 89)에 의해 반사되어, 감광 부재(22c, 22d)상에 집광되고 주사되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본 도면에 있어서, 수광 소자(54b)는 수평 동기 검지기를 구성하고, 2개의 레이저 중 감광 부재(22c)를 노광하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수광 소자로부터 얻어지는 수평 동기 신호가 도시되지 않은 레이저 구동 기판에 전달됨으로써,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 81c)의 변조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게 하고, 감광 부재의 원하는 위치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설명의 편의상, 수평 동기 검지기(54a)는 제1 스캐너 유닛(70a)에 포함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 빔(21a)의 일부가 검지를 위해 이용된다.
<프린팅 개시까지의 타이밍의 설명>
이하, 프린팅 요구를 수신한 후의 프린팅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해 실행되는,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의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에 적용되는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프린트 신호가 ON으로 되었다고 판단한 엔진 컨트롤러(40)는 정착 유닛(18)의 온도를 정착가능 온도가 되도록 정착 히터(19)의 제어를 개시한다. 다면경(53)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인 스캐너 모터(55b, 55a)의 회전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 스캐너 모터(55b, 55a)의 ON 신호를 트루로 설정한다. 또한, 감광 부재(22a 내지 22d)의 메인 모터(43)를 기동하기 위해 메인 모터(43)의 ON 신호를 트루로 설정한다(T301).
메인 모터(43)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고, 안정된 상태로 된 것이 검지되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로부터의 레이저 빔 강도를 제어해서 소정의 광 강도가 되도록, 광 강도 조정 디바이스로서의 레이저 드라이버(50a 내지 50d)를 제어하여 광 강도 조정을 행한다(T302).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의 레이저 빔 강도를 제어해서 소정의 광 강도가 된 것을 확인하면, 현상 슬리브의 접촉 이격 모터(44)의 ON 신호를 트루로 설정한다(T303). 이에 따라,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가 슬리브(24d, 24c, 24b, 24a)의 순서에 따라 순차 감광 부재(22a 내지 22d)와 접촉하게 된다. 급송 카세트(102)에 기록재(12)가 존재하고, 급송이 준비된 것을 기록재 유무 센서(41)(도 8)의 신호에 따라 판단하여, 픽업 솔레노이드(42)(도 8)를 ON으로 하고, 기록재(12)를 급송한다(T303).
현상 슬리브(24a 내지 24d)는 수명 장기화를 도모하기 위해, 정전 잠상이 형성되기 직전에 감광 부재(22a 내지 22d)와 접촉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마모량을 가능한 한 많이 감소시키도록 고려된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30)가 감광 부재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시간 Tn이 어긋나게 되도록, 현상 슬리브(24d)부터 순차적으로 감광 부재와의 접촉이 행해진다.
스캐너 모터(55b, 55a)의 ON 신호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스캐너 모터(55b, 55a)가 확실하게 규정 회전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판단을 행한다. 즉,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 81a)를 턴 온시켜, 수평 동기 검지기(54b, 54a)에 의해 검지된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수평 동기 회로(57b, 57a)에 의해 판단한다(T304).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에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정착 유닛(18)이 소정의 정착가능 온도에 도달한 것을 판단한다(T305).
T305의 판단이 프린팅 요구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내에 행해진 것을 확인한 후, 수평 동기 검지기(54b, 54a)가 설치되지 않은 스테이션의 수평 동기 신호가 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해 생성된다. 엔진 컨트롤러(40)는 기록재(12)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들에, 그리고 수평 동기 검지기(54b, 54a)에 의해 레이저 빔을 검지하는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가 발광하지 않도록 비디오 신호를 마스크한다. 마스크한 후의 비디오 신호에 따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에서 레이저 빔이 변조되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부터 순차적으로 노광이 행해진다(T306). 이렇게 하여 화상 형성 처리가 개시(실행)된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가 프린트 신호를 수신한 때로부터 스캐너 유닛이 노광을 개시할 때까지의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광 부재(22a)의 스테이션에 있어서도 스캐너 모터의 기동 제어를 실행한다. 타이밍 T305와, 현상 슬리브(24a)가 감광 부재(22a)와 접촉하는 타이밍 T308 사이의 간격은 시간 Tg보다 길어진다. 이에 따라, 감광 부재(22a)의 스테이션에서 기록재(12)의 이면이 오염되지 않는다. 여기서, 시간 Tg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고, T305로부터, 현상 슬리브(24c)가 감광 부재(22c)와 접촉할 때(T307)까지의 시간이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복수의 스캐너 유닛을 포함하는 실시 형태들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유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 형태 3]
이하, 실시 형태 3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의 구성 컴포넌트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스캐너 유닛(60)의 내부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 유닛(60)이 탑재된 점과, 스캐너 유닛의 제어 방법이 실시 형태 1과 상이하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도 9는, 스캐너 유닛(60) 내부를 실질적으로 밀폐하며, 광속을 통과시키는 글래스 판(56)을 포함하는 커버(82)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다.
<실시 형태 3의 스캐너 유닛 구성>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도 2와 마찬가지로, 스캐너 유닛(60)은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 원통형 렌즈(52), 다면경(53), 및 스캐너 모터(55)를 포함한다. 스캐너 유닛(60)에는 렌즈(84L, 84R, 85L, 85R, 86L, 86R) 및 미러(87L, 87R, 88L, 88R, 89L, 89R)가 도 2와 마찬가지로 포함된다.
여기서, 실시 형태 1의 스캐너 유닛(80)에는 1개의 수평 동기 검지기(54)가 배치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스캐너 유닛(60)에는 2개의 수평 동기 검지기(54e, 54f)가 배치된다.
수평 동기 검지기(54e)는 감광 부재(22d)를 노광하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수평 동기 검지기(54f)는 감광 부재(22a)를 노광하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수평 동기 검지기(54e)는 제2 수평 동기 신호 출력 유닛에 해당한다. 수평 동기 검지기(54f)는 제1 수평 동기 신호 출력 유닛에 해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광 부재(22a)가 제2 화상 담지 부재에 대응한다.
수평 동기 검지기(54e, 54f)로부터 얻어지는 수평 동기 신호가 도시되지 않은 레이저 구동 기판에 전달됨으로써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의 변조 타이밍이 결정되어, 감광 부재의 원하는 위치에 화상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동기 유닛을 2 군데에 배치한다. 그러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최초에 정전 잠상의 형성이 개시되는 감광 부재(22d)의 스테이션에 수평 동기 검지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그 이외의 스테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수평 동기 검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프린팅 개시까지의 타이밍의 설명>
이하, 프린팅 요구의 수신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해 실행되는,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의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를 채택하는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타이밍 T401 내지 타이밍 T403은 실시 형태 1의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타이밍 T201 내지 타이밍 T203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캐너 모터(55)의 ON 신호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스캐너 모터(55)가 확실하게 규정 회전수에 도달했는지를 검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판단을 행한다. 즉,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를 턴 온시켜, 수평 동기 검지기(54f)에 의해 검지된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수평 동기 회로(57f)에서 판단한다(T404).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에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하면, 정착 유닛(18)이 소정의 정착가능 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T405).
본 실시 형태에서는 T405의 판단이 프린팅 요구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내에 행해진 것을 판단한다. 그 후, 감광 부재(22d)를 노광하는 레이저 빔(21d)을 검지해서 수평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유닛이, 수평 동기 검지기(54f)로부터 수평 동기 검지기(54e)로 전환된다. 엔진 컨트롤러(40)는, 기록재(12)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들에, 그리고 수평 동기 검지기(54e)에 의해 레이저 빔을 검지하는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가 발광하지 않도록 비디오 신호를 마스크한다. 마스크한 후의 비디오 신호에 따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에서 레이저 빔이 변조되어, 노광이 개시된다(T406).
한편, 수평 동기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감광 부재(22c, 22b)의 스테이션에서는, T405가 소정의 시간 이내인지를 확인한 후, 엔진 컨트롤러(40)는 수평 동기 신호의 생성을 개시한다. 그 후, 엔진 컨트롤러(40)는, 기록재(12)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들에, 그리고 수평 동기 검지기(54f)에 의해 레이저 빔을 검지하는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81b, 81c)가 발광하지 않도록 비디오 신호를 마스크한다. 마스크한 후의 비디오 신호에 따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81b, 81c)에서 레이저 빔이 변조되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 81b, 81a)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노광이 개시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간 Tg는 T405로부터, 현상 슬리브(24a)가 감광 부재(22a)와 접촉할 때(T408)까지의 시간이다. 타이밍 T407은 현상 슬리브(24c)가 감광 부재(22c)와 접촉하는 타이밍이다.
이상, 화상 형성 장치가 프린트 신호를 수신한 때로부터 스캐너 유닛이 노광을 개시할 때까지의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구성에서는 감광 부재(22d)의 스테이션에서 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해 생성된 수평 동기 신호를 이용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초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부재(22d)에 수평 동기 검지기(54e)가 설치된다. 스캐너 모터(55)가 규정 회전수에 도달하고, 감광 부재(22d)에 화상 형성 처리가 개시될 때, 수평 동기 검지기(54e)의 출력이 감광 부재(22d)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 동기 신호로서 이용된다. 이 구성에 의해, 감광 부재(22d)의 스테이션에 있어서 엔진 컨트롤러(40)에서 수평 동기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대기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비해 제1 프린트아웃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4]
이제 실시 형태 4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마찬가지의 부호를 컴포넌트에 붙인다. 그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광 드럼(22a)의 스테이션에서만 모노크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크롬 프린팅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스캐너 유닛(80) 내에 설치된 다면경(53)과 레이저 기판(59)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면경(53)이 회전하는 동안,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동시에 동일 다면경의 반사면에 주사된다. 마찬가지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동시에 동일 다면경의 반사면에 주사된다. 이때,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동시에 주사되는 다면경의 반사면은,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동시에 주사되는 다면경의 반사면과는 다르다.
검지기로서의 수평 동기 검지기(54)에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 발광되어 다면경(53)에 의해 편향 주사된 광 빔, 또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부터 발광되어 다면경(53)에 의해 편향 주사된 광 빔이 발광된다. 그 발광에 의해 생성되는 수평 동기 검지기(54)의 검지 신호(출력)로부터, 감광 부재(22a)의 스테이션의 주 주사 기준 신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동기 검지기(54)의 검지 신호를 수평 동기 신호로서 채택한다. 이 수평 동기 신호는 비디오 발광 개시 타이밍의 기준으로서 이용된다. 이 수평 동기 신호는, 모노크롬 프린팅 처리의 경우에, 모노크롬 프린팅 처리에 이용되는, 감광 드럼(1)에의 정전 잠상의 개시 타이밍의 기준으로서의 수평 동기 신호에 해당한다.
도 15는 다른 모드의 스캐너 유닛(80) 내에 설치된 다면경(53)과 레이저 기판(59)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수평 동기 검지기(54)와 다면경(53) 사이에 미러를 설치하지 않고,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 81a)로부터의 양쪽의 광 빔이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발광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동기 검지기(54)와 다면경(53) 사이에 미러(58)를 설치할 수 있고,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 81a)로부터의 양쪽의 광 빔이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발광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에 대해서 도 13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프린팅 시퀀스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본 실시 형태의 프린팅 시퀀스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프린팅 처리를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해 실행된다. 엔진 컨트롤러(40)는 화상 형성 장치(10)를 구성하는 구성 컴포넌트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엔진 컨트롤러(40)는 조정 디바이스에 해당한다.
도 13의 상부의 그래프의 종축은 스캐너 모터의 회전수를 나타내고,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그래프는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의 발광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13의 중간부에는 현상 슬리브(24)가 각각의 감광 드럼(1)과 접촉하고 그로부터 이격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의 하부는 각각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의 발광 상태를 나타낸다.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모노크롬 프린팅의 프린팅 개시 명령(프린팅 요구)이 화상 형성 장치(10)에 보내지면,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가 개시된다. 기동시의 회전 제어에서는, 엔진 컨트롤러(40)가 스캐너 모터(55)를 동작시켜서 다면경(53)을 회전시키고, 다면경(53)이 소정의 회전수(회전 속도, 속도)로 가속되고 회전되도록, 스캐너 모터(55)에 가속 신호를 보낸다.
그 후(다면경(53)의 회전 처리의 개시 후), 소정의(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화상을 형성하지 않는 스테이션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를 특정 기간 동안 강제 발광시키고, 수평 동기 검지기(54)를 이용해서 다면경(53)의 회전수를 검지(계측)하고,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를 강제로 턴 오프시킨다. 기동시의 회전 제어의 실행에 있어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를 계속해서 강제 발광시키는 기간은 회전하는 다면경(53)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복수회 입사되는 기간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수평 동기 검지기(54)가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의 광 빔을 검지하는 타이밍의 주기를 산출함으로써, 다면경(53)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값을 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를 계속해서 강제 발광시키는 특정 기간 동안, 감광 부재(22b)에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의 광 빔이 발광된다.
이렇게 하여 검지된 회전수가, 화상을 형성하게 하는 미리 설정된 회전수(여기서는, 규정 회전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면경(53)의 회전수가, 설정된 회전수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스캐너 모터(55)를 더 가속시키면서 소정의 시간을 대기한다. 다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를 강제 턴 온시킨다. 다면경(53)의 회전수를 계측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를 강제 턴 오프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면경(53)의 회전수가 설정된 회전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소정의 시간마다 행한다. 이에 따라, 항상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를 광 빔을 발광하도록 해서 판단을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 및 감광 드럼(1)의 열화 및 수명 감소를 억제하고,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 및 감광 드럼(1)의 열화에 기인한 화상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면경(53)의 회전수가 도 13의 규정 회전수(설정된 회전수)에 도달할 때까지(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한 판단 결과가 트루 판단이 될 때까지), 다음의 시퀀스를 반복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 강제 턴 온" → "다면경(53) 회전수 계측" →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 강제 턴 오프"
이러한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는, 스캐너 모터(55)를,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하기 위한 회전수(규정 회전수)에 도달하게 하기 위한 조정 처리이다.
*그 다음에, 다면경(53)의 회전수가 도 13의 규정 회전수에 도달한 후에(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한 판단 결과가 트루 판단이 된 후에),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가 완료되고, 처리는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 들어간다. 따라서,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는, 스캐너 모터(55)의 회전 처리가 개시된 후, 도 13의 규정 회전수에 도달될 때까지(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한 판단 결과가 트루 판단이 될 때까지), 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해 스캐너 모터(55)를 가속 또는 감속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조정 처리의 완료 후의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서는, 강제 턴 온되는 레이저가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 변경된다. 비화상 영역에만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를 강제 발광시킴으로써, 다면경(53)의 회전수를 감시하면서, 다면경(53)의 회전수를 특정 값에 수렴시켜 유지하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여기서, 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한 판단 결과가 트루 판단을 유지하도록 다면경(53)의 회전 제어가 행해짐으로써, 다면경(53)의 회전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비화상 영역은 감광 드럼(1)의 회전축 방향의 영역들 중,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도달하는 영역(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에 의한 광 빔이 발광되는 영역)의 외부이다. 감광 드럼(1)에 광 빔이 도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를 강제로 광 빔을 발광시키면, 비화상 영역에 발광된다. 이에 따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가 비화상 영역에 발광하기만 한다면, 현상 슬리브(24)가 감광 드럼(1)과 접촉하더라도 기록재를 오염시킬 정도의 양의 토너가 감광 드럼(1)에 부착되지 않는다. 다면경(53)의 회전수가 규정 회전수에 대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상태이면, 다면경(53)의 회전수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비화상 영역에만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를 강제로 광 빔을 발광시키는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현상 슬리브(24)가 감광 드럼(1)과 접촉하고 그로부터 이격하는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현상 슬리브(24)의 감광 드럼(1)과의 접촉 및 그로부터의 이격 처리는, 현상 슬리브(24)를 감광 드럼(1)과 접촉시키고 그로부터 이격시키는 접촉 이격 유닛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40)에 의해 실행된다.
프린팅 처리가 개시되기 전에, 현상 슬리브(24)는 각각의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다. 모노크롬 프린팅에 있어서, 현상 슬리브(24a)를 감광 부재(22a)와 접촉시키는 처리는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 회전 제어 시에 개시된다. 즉, 현상 슬리브(24a)를 감광 부재(22a)와 접촉시키는 처리의 개시는,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 시에, 또는 기동시의 회전 제어가 종료되기 전에(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 들어가기 전에(강제로 광 빔을 발광시킨 레이저가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 변경되기 전에)) 개시된다. 현상 슬리브(24a)의 접촉 처리의 개시는 현상 슬리브(24a)를 감광 부재(22a)에 이동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현상 슬리브(24a)의 실제의 이동에 상관없이, 감광 부재(22a)와 현상 슬리브(24a) 사이의 거리를 규제하는, 도시되지 않은 캠이, 현상 슬리브(24a)의 이격시에 정지한 상태로부터, 현상 슬리브(24a)를 접촉시키기 위해, 회전을 개시하는 것도 현상 슬리브(24a)의 접촉 처리의 개시에 포함된다.
도 14의 (a) 및 도 14의 (b)는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시의 수평 동기 검지기(54)의 검지 신호와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에 의한 발광의 타이밍 차트이며, 도 13의 하부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에 의한 발광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14의 (a)는 프린팅 처리를 위한 비디오 발광 전후의 기간에 있어서 비화상 영역에 회전 제어를 위한 발광이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한다. 도 14의 (b)는 프린팅 처리를 위한 비디오 발광 기간에 있어서, 화상 영역에 대하여 비디오 발광이 행해지고, 비화상 영역에 대하여 회전 제어를 위한 발광이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화상 영역은 감광 드럼(1)의 회전축 방향의 영역들 중, 화상 형성을 위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에 의해 광 빔이 발광될 수 있는 영역이다.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시에, 비화상 영역에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를 강제 발광시켜, 수평 동기 검지기(54)가 광 빔을 검지하고,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의한 검지 후,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를 강제 턴 오프한다. 이때의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의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다면경(53)의 회전수를 계측한다.
화상 영역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의 화상 정보로부터,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가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의한 검지 타이밍에 따른 타이밍에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비디오 발광(광 빔의 발광)을 행한다.
그 후, 비화상 영역에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부터 레이저 빔을 강제로 발광시키고,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에 의한 강제 발광을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의해 검지하고,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의한 검지 후,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를 강제 턴 오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캐너 모터(55)에 의한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 있어서는 다음의 시퀀스를 반복한다.
"비화상 영역 개시" →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강제 발광" → "다면경(53) 회전수 계측" → "비화상 영역 종료" →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강제 턴 오프" → "화상 영역 개시" → "비디오 발광" → "화상 영역 종료" → "비화상 영역 개시" →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강제 발광" → "다면경(53) 회전수 계측" → "비화상 영역 종료" →···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를 위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중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를 이용한다.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를 위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를 이용한다. 그러나,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를 위해 이용되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로서는 비디오 발광을 위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 이외의(모노크롬의 프린팅 처리에 이용되는 감광 부재를 제외한 임의의 감광 부재에 광 빔을 발광하기 위한) 임의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를 채택할 수 있다.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를 위해 이용되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로서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 중 임의의 것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만을 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수평 동기 검지기(54)를 배치하고,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 및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를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에 의한 비디오 발광은, 감광 부재(22c)에 광이 도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 빔을 수평 동기 검지기(54)가 검지하는 타이밍에 기초한 타이밍에서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모노크롬 프린팅의 경우에, 비디오 발광을 위해 이용되는 레이저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이다. 그러나, 모노크롬 프린팅 이외의 단일 컬러 프린팅의 경우에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이외의 1개의 레이저를 이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를 위해 이용되는 감광 드럼(1)은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 이용하는 감광 드럼(1)보다, 중간 전사 벨트(30)의 회전 방향의 상류에 배치된다. 그러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을 형성하지 않는 스테이션을 이용하는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가 종료되기 전에, 화상을 형성하는 스테이션(K)에 있어서 현상 슬리브(24)를 감광 드럼(1)과 접촉시키는 처리를 개시한다. 접촉 처리의 개시로부터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로 천이할 때까지, 화상 형성을 실행하는 스테이션(K)에서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81a)를 턴 온하지 않는다. 그러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감광 드럼(1)(1K)의 표면의 단위 면적에 발광되는 광 강도가, 감광 드럼(1)(1K)에 현상 슬리브(24)(24a)로부터의 토너가 부착되지 않을 정도의 광 강도가 되도록,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81a)를 발광시킬 수 있다.
다면경(53)의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규정 회전수)에 도달하고, 그 후에 처리가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로 천이하면, 비화상 영역에만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의 광 빔을 강제 발광시킨다. 그러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면경(53)의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규정 회전수)에 수렴한다고 판단될 때까지, 화상을 형성하지 않는 스테이션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는, 비화상 영역에 광 빔을 발광할 뿐만 아니라,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광 빔이 복수회 입사되는 소정의 기간 동안 수평 동기 검지기(54)에 계속해서 강제 광 빔 발광을 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에 대해, 화상을 형성하는 스테이션(프린팅시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변조되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에 의해 비디오 발광을 하는 스테이션) 이외의 스테이션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에 의해 레이저 빔의 강제 발광을 행한다. 화상을 형성하지 않는 스테이션의 레이저를 이용하는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가 종료되기 전에, 화상을 형성하는 스테이션에 있어서 현상 슬리브(24)를 감광 드럼(1)과 접촉시키는 처리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레이저 빔의 강제 발광에 기인하여 기록재(12)의 이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시에, 현상 슬리브(24)를 감광 드럼(1)과 접촉하게 한다. 이에 따라, 프린팅시에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변조되는 레이저에 의한 비디오 발광의 개시를 앞당길 수 있다. 이러한 앞당김은 기록재 P에의 전사를 앞당길 수 있고, 제1 프린트아웃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를 위해 이용되는 스테이션(감광 부재(22b))은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 있어서 프린팅 처리를 위해 이용되는 프로세스 유닛(5)(감광 부재(22a))보다 중간 전사 벨트(30)의 회전 방향의 상류에 배치된다. 기동시의 회전 제어를 위해 이용되는 스테이션이,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 있어서 프린팅 처리를 위해 이용되는 스테이션보다 중간 전사 벨트(30)의 회전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모노크롬 프린팅 처리에 이용되는 스테이션의 1차 전사 유닛 T1으로부터 2차 전사 유닛 T2까지 중간 전사 벨트(30)에 담지된 토너의 이동에 필요한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록재 P에의 전사를 더 앞당길 수 있고, 제1 프린트아웃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30)를 이용하는 중간 전사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반송 벨트에 담지되어 반송된 기록재에 토너 화상을 전사시키는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이하, 실시 형태 5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4와 상이한 구성 컴포넌트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의 구성 컴포넌트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그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로, 감광 드럼(22a)의 스테이션에만 모노크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크롬 프린팅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스캐너 유닛(80) 내에 설치된 다면경(53)과 레이저 기판(59)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4에서, 1개의 다면경(53)에 동일 방향으로 광 빔이 발광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실시 형태는, 1개의 다면경(53)에 2 방향으로 발광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 81d)는 레이저 기판(59YM)상에 실장(배치)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81b)는 레이저 기판(59CK)상에 실장된다.
레이저 기판(59YM)과 레이저 기판(59CK)은 다면경(53)을 중심으로(다면경(53)을 개재시켜) 서로 대향하도록(서로 직면하도록) 배치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 81d)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은 레이저 기판(59CK)을 향해 진행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 81a)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은 레이저 기판(59YM)을 향해 진행함으로써, 다면경(53)에 각각의 빔이 발광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다면경(53)의 회전 동안,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동시에 다면경의 동일 반사면에 의해 주사된다. 마찬가지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도 동시에 다면경의 동일 반사면에 의해 주사된다. 이때,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동시에 주사되는 다면경의 반사면은,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동시에 주사되는 다면경의 반사면과는 다르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 또는 81c)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은 수평 동기 검지기(54YM)에 발광된다. 수평 동기 검지기(54YM)의 검지 신호는 스캐너 모터(55)의 회전 제어를 위해 이용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 또는 81a)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은 수평 동기 검지기(54CK)에 발광된다. 그 발광에 의해 생성되는 수평 동기 검지기(54CK)의 검지 신호로부터, 감광 부재(22a)의 스테이션의 수평 동기 신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동기 검지기(54CK)의 검지 신호를 수평 동기 신호로서 채택한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의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모노크롬 프린팅의 프린팅 개시 명령이 화상 형성 장치(10)에 보내지면,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가 개시되어, 스캐너 모터(55)가 동작하고 다면경(53)이 회전을 개시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를 강제 턴 온하고, 수평 동기 검지기(54YM)의 검지 결과로부터 다면경(53)의 회전수를 계측하고,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를 강제 턴 오프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가 강제 발광하는 동안, 스캐너 모터(55)에 접속된 다면경(53)의 회전에 의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로부터의 광 빔이 수평 동기 검지기(54YM)에 입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면경(53)의 회전수를 검지할 수 있다.
다면경(53)의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소정의 시간을 대기하고, 다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를 강제 턴 온하고, 다면경(53)의 회전수를 계측하고,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를 강제 턴 오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면경(53)의 회전수가 도 17의 규정 회전수 부근의 소정의 회전수가 될 때까지, 다음의 시퀀스를 반복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 강제 턴 온" → "다면경(53) 회전수 계측" →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 강제 턴 오프"
그 다음에, 다면경(53)의 회전수가 도 17의 규정 회전수 부근의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한 후,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가 완료되고, 처리는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 들어간다.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서는, 강제 턴 온되는 레이저가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로부터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 변경된다. 비화상 영역에만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를 강제 발광시킨다. 이때,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수평 동기 검지기(54CK)에 입사한다. 이에 따라, 다면경(53)의 회전수가 검지되어, 다면경(53)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현상 슬리브(24a)를 감광 부재(22a)와 접촉시키는 처리는 스캐너 모터(55)의 기동 제어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의 강제 발광시에 행해진다.
그 후의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는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를 위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들(81)중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d)를 이용한다.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를 위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를 이용한다. 그러나,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를 위해 이용되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로서는, 비디오 발광을 위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 이외의 임의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를 채택할 수 있다.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를 위해 이용되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로서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내지 81d)중 임의의 것을 채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모노크롬 프린팅의 경우에 비디오 발광을 위해 이용되는 레이저로서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를 채택한다. 그러나, 모노크롬 프린팅 이외의 단일 컬러 프린팅의 경우에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이외의 1개의 레이저를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도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의 유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 형태 6]
이하, 실시 형태 6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4 및 실시 형태 5와 상이한 구성 컴포넌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의 구성 컴포넌트의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로, 감광 드럼(22a)의 스테이션에만 모노크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크롬 프린팅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의 스캐너 유닛(80) 내에 설치된 다면경과 레이저 기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4에서, 1개의 다면경(53)에 동일 방향으로 광 빔이 발광된다. 실시 형태 5에서, 1개의 다면경(53)에 2 방향으로 광 빔이 발광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캐너 유닛(80) 내에 2개의 다면경(53)을 배치한다. 각 다면경(53)의 다른 반사면들을 이용한다. 다면경의 다른 반사면들에는 각각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발광된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실시 형태 1의 스캐너 유닛(80)은 1개의 다면경(53)을 포함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스캐너 유닛(80)은 2개의 다면경, 즉, 다면경(53CK)과 다면경(53YM)을 포함한다. 이 점이 그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다면경(53CK)의 회전 동안,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과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다면경(53CK)의 다른 반사면들에 주사된다. 다면경(53YM)의 회전 동안, 각각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c와 81d)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다면경의 다른 반사면들에 주사된다. 그러나, 모노크롬 프린팅의 경우에는, 다면경(53YM)은 회전하지 않는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수평 동기 검지기(54C)에 발광된다. 수평 동기 검지기(54C)의 검지 신호는 다면경(53CK)의 스캐너 모터(55)의 회전 제어를 위해 이용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수평 동기 검지기(54K)에 발광된다. 그 발광에 의해 생성되는 수평 동기 검지기(54K)의 검지 신호로부터, 감광 부재(22a)의 스테이션의 수평 동기 신호가 생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수평 동기 검지기(54K)의 검지 신호는 수평 동기 신호이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의 프린팅 요구시 및 그 후의 프린팅 시퀀스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모노크롬 프린팅의 프린팅 개시 명령이 화상 형성 장치(10)에 보내지면,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가 개시되어, 스캐너 모터(55)가 동작하고, 다면경(53CK)이 회전을 개시한다.
그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를 강제 턴 온하고, 수평 동기 검지기(54C)의 검지 결과로부터 다면경(53CK)의 회전수를 검지하고,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를 강제 턴 오프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의 강제 발광 동안, 스캐너 모터(55)에 접속된 다면경(53CK)의 회전에 의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의 광 빔이 수평 동기 검지기(54C)에 입사함으로써, 다면경(53CK)의 회전수를 검지하게 한다.
다면경(53CK)의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소정의 시간을 대기하고, 다시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를 강제 턴 온하고, 다면경(53)의 회전수를 계측하고,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를 강제 턴 오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면경(53CK)의 회전수가 도 19의 규정 회전수 부근의 소정의 회전수가 될 때까지, 다음의 시퀀스를 반복한다.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 강제 턴 온" → "다면경(53CK) 회전수 계측" →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 강제 턴 오프"
그 다음에, 다면경(53CK)의 회전수가 도 19의 규정 회전수 부근의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면, 스캐너 모터(55)의 기동시의 회전 제어가 완료되고, 처리는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 들어간다.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에 있어서는, 강제 턴 온되는 레이저가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로부터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 변경된다. 비화상 영역에만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에 의해 발광된다. 이때,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이 수평 동기 검지기(54K)에 입사한다. 이에 따라, 다면경(53)의 회전수가 검지된다. 다면경(53)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현상 슬리브(24a)를 감광 부재(22a)와 접촉시키는 처리는, 스캐너 모터(55)의 기동 제어시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의 강제 발광시에 행해진다.
그 후의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는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를 위해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들(81)중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가 이용된다. 그러나, 스캐너 모터(55)의 정상 상태 회전 제어를 위해 이용되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b)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모노크롬 프린팅의 경우에, 비디오 발광을 위해 이용되는 레이저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이다. 그러나, 모노크롬 프린팅 이외의 단일 컬러 프린팅의 경우에는,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81a) 이외의 1개의 레이저가 이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도 전술한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의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기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그러한 변경 및 등가의 구조와 기능을 모두 포괄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19: 정착 히터
44: 현상용 접촉 이격 모터
54: 수평 동기 검지기
57: 수평 동기 회로
55: 스캐너 모터
43: 메인 모터
40: 엔진 컨트롤러
42: 픽업 솔레노이드
50a, 50b, 50c, 50d: 레이저 드라이버
81, 81a, 81b, 81c, 81d: 레이저 광원 디바이스

Claims (24)

  1. 화상 형성 장치로서,
    감광 부재, 광 빔을 발광하는 광원, 현상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와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로서, 상기 현상 부재는, 상기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감광 부재와 접촉하는 현상 위치와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감광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와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들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을 각각 반사하고, 회전하는 다면경,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 빔을 검지하는 검지기, 및
    발광 처리 동안 상기 검지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다면경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수행하는 조정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는, 상기 광원들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들을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하여 상기 감광 부재들에 발광함으로써 상기 감광 부재들 상에 잠상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현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순서로 상기 잠상을 현상하고,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는,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의 광 빔을, 상기 검지기에서 상기 광 빔을 검지하도록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와 상기 검지기에 발광하는 상기 발광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는, 상기 조정 처리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또한,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가 상기 현상 위치에 도달한 후에, 광 빔이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가 상기 감광 부재 상에 잠상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발광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는 상기 발광 처리 동안 상기 현상 위치로부터 퇴피된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은 상기 발광 처리 동안 광 빔을 발광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부재는 상기 현상 위치에서 대응하는 감광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처리가 종료된 후,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은, 광 빔이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감광 부재에 도달하지 않은 타이밍에서 광 빔을 발광하고, 상기 검지기는, 상기 광 빔이 상기 대응하는 감광 부재에 도달하지 않은 상기 타이밍에서 발광되는 광 빔을 검지하고,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은 상기 검지기에 의해 검지된 타이밍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에 따른 광 빔을 발광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들과 접촉가능한 무단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는 상기 무단 벨트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하류측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은, 상기 발광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부터 상기 검지기까지의 일부분 내로 발광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은, 상기 발광 처리에 의해 상기 검지기부터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까지의 일부분 내로 발광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는 상기 발광 처리에 의해 광 빔을 다수 회 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감광 부재, 광 빔을 발광하는 광원, 및 현상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와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로서, 상기 현상 부재는, 상기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감광 부재와 접촉하는 현상 위치와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감광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와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들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을 각각 반사하고, 회전하는 다면경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 빔을 검지하는 검지기, 및
    상기 검지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다면경의 속도를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수행하는 조정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와 상기 검지기가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고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 빔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다면경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광 빔이 발광되는 동안에 상기 출력이 얻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각각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후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 빔으로 상기 감광 부재를 조사함으로써 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위치에서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부터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로의 순서로 토너로 상기 잠상을 현상할 수 있고,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와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의 각각은 대응하는 각 감광 부재에 대하여 상기 퇴피 위치에 있고,
    상기 조정 처리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가 상기 현상 위치로의 이동을 개시하여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가 상기 현상 위치에 도달하며, 상기 조정 처리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는 상기 퇴피 위치에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들과 접촉가능한 무단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는 상기 무단 벨트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의 하류측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처리가 종료된 후이며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에 의한 화상 형성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가 상기 현상 위치에 도달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경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고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 빔은, 상기 조정 처리에서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부터 상기 검지기까지의 일부분을 조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경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고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 빔은, 상기 조정 처리에서 상기 검지기부터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까지의 일부분을 조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처리에 의해 상기 검지기가 상기 광 빔을 복수 회 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가 상기 감광 부재 상에 잠상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조정 디바이스가 상기 조정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감광 부재, 광 빔을 발광하는 광원, 현상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와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로서, 상기 현상 부재는, 상기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감광 부재와 접촉하는 현상 위치와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감광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와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들로부터 발광되는 광 빔을 각각 반사하고, 회전하는 다면경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 빔을 검지하는 검지기, 및
    상기 검지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다면경의 속도를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수행하는 조정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와 상기 검지기가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고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 빔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다면경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광 빔이 발광되는 동안에 상기 출력이 얻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각각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후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 빔으로 상기 감광 부재를 조사함으로써 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위치에서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부터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로의 순서로 토너로 상기 잠상을 현상할 수 있고,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와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의 각각은 대응하는 각 감광 부재에 대하여 상기 퇴피 위치에 있고,
    상기 조정 처리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는 상기 현상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현상 부재는 상기 현상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들과 접촉가능한 무단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는 상기 무단 벨트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의 하류측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경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고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 빔은, 상기 조정 처리에서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부터 상기 검지기까지의 일부분을 조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경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고 상기 다면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 빔은, 상기 조정 처리에서 상기 검지기부터 상기 제2 화상 형성 디바이스의 감광 부재까지의 일부분을 조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처리에 의해 상기 검지기가 상기 광 빔을 복수 회 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형성 디바이스가 상기 감광 부재 상에 잠상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조정 디바이스가 상기 조정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50182802A 2011-12-28 2015-12-21 화상 형성 장치 KR101763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9106 2011-12-28
JPJP-P-2011-289106 2011-12-28
JP2012225309A JP5917358B2 (ja) 2012-10-10 2012-10-10 画像形成装置
JPJP-P-2012-225309 2012-10-10
JPJP-P-2012-274676 2012-12-17
JP2012274676A JP5414880B2 (ja) 2011-12-28 2012-12-17 画像形成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912A Division KR101580615B1 (ko) 2011-12-28 2012-12-27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05A KR20160003605A (ko) 2016-01-11
KR101763041B1 true KR101763041B1 (ko) 2017-07-28

Family

ID=5516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802A KR101763041B1 (ko) 2011-12-28 2015-12-21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3041B1 (ko)
CN (1) CN10530192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6714A (ja) * 2004-11-01 2006-05-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101636A (ja) * 2005-09-30 2007-04-1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10250269A (ja) 2009-03-26 2010-11-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1180318A (ja) 2009-06-12 2011-09-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6626A (ja) * 1994-05-12 1995-11-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864355A (en) * 1997-03-20 1999-01-26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laser calibration during ramp-up period of an optical device
JP3437420B2 (ja) * 1997-09-11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308338B2 (ja) * 1998-01-16 2009-08-05 株式会社東芝 ビーム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93771A (ja) * 2005-09-27 2007-04-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6714A (ja) * 2004-11-01 2006-05-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101636A (ja) * 2005-09-30 2007-04-1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10250269A (ja) 2009-03-26 2010-11-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1180318A (ja) 2009-06-12 2011-09-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01929A (zh) 2016-02-03
KR20160003605A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615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414880B2 (ja) 画像形成装置
US102546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rrect timing of image formation
KR101763041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4332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device including image carrier belt and driver roller
US9341976B2 (en) Multi-st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tart-up control
JP6143581B2 (ja) 画像形成装置
JP3189097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5917358B2 (ja) 画像形成装置
US118090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8680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deviation between exposure device and photoconductor drum
JP201501469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43063A (ja) 熱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熱走査装置の制御方法
JP2020118805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54947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265096A (ja) 被印字媒体の種別判別装置、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71737B2 (ja) 光走査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H0450592B2 (ko)
JP201103401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096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68360A (ja) 電子写真装置及びそのレーザ光源装置の制御方法
JP2004202908A (ja) 電子写真装置のレーザ光源装置
JP2000343747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動作調整装置および方法
JP200502477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0172029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