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653B1 -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653B1
KR101758653B1 KR1020110015432A KR20110015432A KR101758653B1 KR 101758653 B1 KR101758653 B1 KR 101758653B1 KR 1020110015432 A KR1020110015432 A KR 1020110015432A KR 20110015432 A KR20110015432 A KR 20110015432A KR 101758653 B1 KR101758653 B1 KR 101758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shaft
mirror
abutment
abutme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875A (ko
Inventor
이쿠오 사카타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2)와, 샤프트(3)와, 스프링(10)과, 미러 어셈블리(4)와, 와셔(6)를 구비한다.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에 맞닿는 와셔(6)의 맞닿음면(35)에는, 환상선 접촉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은, 환상선 접촉부(50)에 의해, 이음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또한 더욱 장기간에 걸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3)에 회전방지부의 맞닿음 평면(301)을 설치한다. 와셔(6)에 회전방지부의 직선변(601)을 설치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맞닿음 평면(301)에 와셔(6)의 회전방지부의 직선변(601)을 맞닿게 함으로써, 와셔(6)는 샤프트(3)에 고정되어, 이음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또한 더욱 장기간에 걸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OUTSIDE MIRRO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미러 어셈블리가 차체(예를 들면, 도어나 펜더나 필러 등)에 대하여 경도(傾倒)(회전, 회동) 가능한, 예를 들면, 도어 미러 등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수동 격납형 및 전동 격납형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종래에도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2-117710호 공보). 이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 보디를 샤프트에 클러치를 통하여 회동 자유롭게 결합하여 부착하고, 클러치에 맞물리는 힘을 주는 코일스프링을 샤프트의 외주에 압축 설치하고, 코일스프링의 받이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수동 혹은 전동에 의해, 클러치가 벗겨져서, 미러 보디가 샤프트에 대하여 사용위치와 격납위치 사이를 회동하거나, 또는, 사용위치에 위치하는 미러 보디에 하중이 걸리면, 클러치가 벗겨져서, 미러 보디가 샤프트에 대하여 회동하여 완충작용이 일어나거나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 보디가 회동할 때, 코일스프링이 코일스프링의 받이면의 복수의 돌출부 위를 미끄러지므로, 이음(異音)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코일스프링이 코일스프링의 받이면의 복수의 돌출부 위를 미끄러질 때, 코일스프링의 선단이 돌출부에 걸릴 가능성이 있어, 이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과제를 해결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일본 특개 2009-90926호 공보)를 먼저 발명했다. 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서로 맞닿는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요철가공에 의한 요철로 이루어지는 비평활면부를 설치한 것으로, 이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음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또한 더욱 장기간에 걸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이다.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의 주위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과, 샤프트에 경도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는 미러 어셈블리와, 샤프트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스프링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에 맞닿아 있는 와셔를 구비하고, 서로 맞닿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상기 와셔의 맞닿음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환상선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제 1 태양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로서, 와셔의 미러 어셈블리에 맞닿는 면 및 그 반대측의 면에는 환상선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은 제 1 태양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로서, 서로 맞닿는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요철가공된 요철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은, 제 1 태양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로서, 샤프트와 와셔에는, 와셔가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와셔가 회전방지부에 의해 샤프트에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이다.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의 주위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과, 샤프트에 경도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는 미러 어셈블리와, 스프링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에 맞닿아 있는 와셔를 구비하고, 샤프트와 와셔에는, 와셔가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와셔가 회전방지부에 의해 샤프트에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은 제 5 태양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로서, 와셔에는 샤프트에 끼워맞추기 위한 투과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와셔의 투과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1개의 직선변이 설치되어 있고,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와셔의 직선변이 맞닿는 적어도 1개의 맞닿음 평면이 설치되어 있고, 와셔의 직선변과 샤프트의 맞닿음 평면이 회전방지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 7 태양은 제 5 태양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로서, 샤프트에는 적어도 1개의 홈이 샤프트의 축방향에 설치되어 있고, 샤프트의 홈의 가장자리에는 방지구의 적어도 1개의 걸어맞춤 발톱부가 걸어맞추어져 있고, 스프링이 와셔와 방지구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와셔에는 샤프트에 끼워맞추기 위한 투과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와셔의 투과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샤프트의 홈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추는 적어도 1개의 걸어맞춤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와셔의 걸어맞춤 볼록부와 샤프트의 홈의 가장자리가 회전방지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 8 태양은, 제 5 태양을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로서, 와셔에는 샤프트에 끼워맞추기 위한 투과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와셔의 투과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와셔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가 각각 걸어맞추어지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가 샤프트의 축방향에 설치되어 있고, 와셔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와 샤프트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가 회전방지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 9 태양은 제 5 태양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로서, 서로 맞닿는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환상선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서로 맞닿는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환상선 접촉부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이 환상선 접촉의 상태로 서로 맞닿아 있어,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어,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의 밀착에 의한 의사 고착(의착(疑着), 흡착)을 막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 어셈블리가 샤프트의 주위로 회전할 때, 베이스 및 샤프트 및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고정측의 와셔의 맞닿음면과 회전측(경도측)의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 사이에서 슬라이드(미끄럼운동)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스프링과 와셔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이 코일스프링의 받이면의 복수의 돌출부 위를 미끄러지는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같이, 스프링이 그 스프링의 받이면에 걸리는 것과 같은 일이 없어, 이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환상선 접촉부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이 환상선 접촉의 상태에서 서로 맞닿으므로, 요철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이 무수한 점접촉의 상태로 서로 맞닿는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비교하여,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 사이에서 원할하게 슬라이드(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이음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또한 더욱 장기간에 걸쳐 방지할 수 있다. 즉, 내구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와셔의 미러 어셈블리에 맞닿는 면 및 그 반대측의 면에 환상선 접촉부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와셔를 스프링과 함께 샤프트나 미러 어셈블리에 조립할 때, 와셔의 조립 방향(위아래, 상하, 표리(表裏) 등)이 없으므로, 일면에 환상선 접촉부를 설치한 와셔와 비교하여 조립 작업성이 좋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서로 맞닿는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요철 가공된 요철, 즉, 미세 요철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이 환상선 접촉부에 의한 환상선 접촉의 상태와 요철에 의한 무수한 점접촉의 상태로 서로 맞닿는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환상선 접촉부에 의한 환상선 접촉의 상태와 요철에 의한 무수한 점접촉의 상태의 상승효과에 의해, 베이스 및 샤프트 및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고정측의 와셔의 맞닿음면과 회전측의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 사이에서 더욱 확실하게 슬라이드 할 수 있어, 이음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또한 더욱 장기간에 걸쳐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감소시킴으로써,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과의 밀착에 의한 의사 고착을 막을 수 있으므로, 베이스 및 샤프트 및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고정측의 와셔의 맞닿음면과 회전측의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 사이에서, 안정한 슬라이드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의하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샤프트의 회전방지부와 와셔의 회전방지부에 의해, 와셔가 샤프트에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와셔가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미러 어셈블리가 샤프트의 주위로 회전할 때, 와셔는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하지 않는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상기 환상선 접촉부의 작용과 이 회전방지부의 작용과의 상승효과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가 샤프트의 주위로 회전할 때, 베이스 및 샤프트 및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고정측의 와셔의 맞닿음면과 회전측의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 사이에서 더욱 확실하게 슬라이드 한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의하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샤프트의 회전방지부와 와셔의 회전방지부에 의하여, 와셔가 샤프트에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와셔가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미러 어셈블리가 샤프트의 주위로 회전할 때, 와셔는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 어셈블리가 샤프트의 주위로 회전할 때, 베이스 및 샤프트 및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고정측의 와셔의 맞닿음면과 회전측(경도측)의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 사이에서 슬라이드(미끄럼운동) 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스프링과 와셔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이 코일스프링의 받이면의 복수의 돌출부 위를 미끄러지는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같이, 스프링이 그 스프링의 받이면에 걸리는 것과 같은 일이 없어, 이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샤프트의 회전방지부와 와셔의 회전방지부에 의해, 와셔가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요철에 의해 무수한 점접촉의 상태로 서로 맞닿아 있는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는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비교하여, 이음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또한 더욱 장기간에 걸쳐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내구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 의하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회전방지부가 와셔의 투과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직선변과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맞닿음 평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와셔의 직선변이 샤프트의 맞닿음 평면에 맞닿음으로써, 와셔가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와셔의 투과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 적어도 1개의 직선변을 설치하고, 또한, 샤프트의 외주면에 적어도 1개의 맞닿음 평면을 설치하는 것뿐이어도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그만큼,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하는 것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 의하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회전방지부가 와셔의 투과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걸어맞춤 볼록부와 샤프트에 샤프트의 축방향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홈으로 이루어지므로, 와셔의 걸어맞춤 볼록부가 샤프트의 홈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와셔가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방지구의 걸어맞춤 발톱부가 샤프트의 홈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스프링이 와셔와 방지구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샤프트의 홈의 가장자리가, 방지구의 걸어맞춤 발톱부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와, 와셔의 걸어맞춤 볼록부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겸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그만큼,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태양에 의하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회전방지부가 와셔의 투과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 설치된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와 샤프트의 외주면에 샤프트의 축방향에 설치된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로 이루어지므로, 와셔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를 샤프트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에 걸어맞춤으로써, 와셔가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와셔의 투과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를 설치하고, 한편, 샤프트의 외주면에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를 샤프트의 축방향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샤프트에 와셔를 조립할 때, 샤프트와 와셔와의 위치 결정(샤프트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 혹은 둘레방향의 위치 결정 등)이 없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이 좋고, 그만큼,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태양에 의하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서로 맞닿는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환상선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이 환상선 접촉의 상태로 서로 맞닿아 있어,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어,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과의 밀착에 의한 의사 고착(의착, 흡착)을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 어셈블리가 샤프트의 주위로 회전할 때, 베이스 및 샤프트 및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고정측의 와셔의 맞닿음면과 회전측의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 사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 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상기 회전방지부의 작용과 이 환상선 맞닿음부의 작용과의 상승효과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가 샤프트의 주위로 회전할 때, 베이스 및 샤프트 및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고정측의 와셔의 맞닿음면과 회전측의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 사이에서 더욱 확실하게 슬라이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사용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동일하게, 도어 미러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정면도이며, 도 1에서의 II 방향으로 본 도면.
도 3은, 동일하게, 샤프트 및 샤프트 홀더 및 부착부 및 와셔 및 스프링 및 방지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동일하게, 샤프트 및 샤프트 홀더 및 부착부 및 와셔 및 스프링 및 방지구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수직 단면도).
도 5는, 동일하게, 샤프트 및 와셔 및 부착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종단면도(일부 확대 수직 단면도).
도 6은, 동일하게, 부착부의 저면도이며, 도 3에서의 VI 방향으로 본 도면.
도 7은, 동일하게, 부착부의 저면도이며, 도 3에서의 VII 방향으로 본 도면.
도 8은, 동일하게, 와셔를 샤프트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
도 9는, 동일하게, 와셔를 샤프트에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
도 10은, 동일하게, 중앙부를 두꺼운 형상으로 한 와셔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동일하게, 와셔의 변형예이며, 중앙부에 리브를 설치한 와셔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동일하게, 와셔의 변형예이며, 양단부에 리브를 설치한 와셔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동일하게, 와셔의 변형예이며, 단면 원(혹은 타원) 형상으로 한 와셔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동일하게, 회전방지부의 변형예이며, 와셔의 걸어맞춤 볼록부와 샤프트의 홈의 가장자리로 구성되어 있는 회전방지부를 도시하는 부착하기 전의 상태의 일부 사시도.
도 15는, 동일하게, 회전방지부의 변형예이며, 와셔의 걸어맞춤 볼록부와 샤프트의 홈의 가장자리로 구성되어 있는 회전방지부를 도시하는 부착한 상태의 일부 사시도.
도 16은, 동일하게, 회전방지부의 변형예이며, 와셔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와 샤프트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는 회전방지부를 도시하는 부착하기 전의 상태의 일부 사시도.
도 17은, 동일하게, 회전방지부의 변형예이며, 와셔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와 샤프트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는 회전방지부를 도시하는 부착한 상태의 일부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미러 어셈블리의 부착부와 와셔와의 조립 상태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일부 확대 수직 단면도)이다.
도 19는, 동일하게, 중앙부를 두꺼운 형상으로 한 와셔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
도 20은, 동일하게, 와셔의 변형예이며, 중앙부에 리브를 설치한 와셔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
도 21은, 동일하게, 와셔의 변형예이며, 양단부에 리브를 설치한 와셔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
도 22는, 동일하게, 와셔의 변형예이며, 단면 원(혹은 타원) 형상으로 한 와셔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3을 도시하는 미러 어셈블리의 부착부(맞닿음면의 중앙부를 두꺼운 형상으로 한 부착부)와 와셔와의 조립 상태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일부 확대 수직 단면도).
도 24는, 동일하게, 부착부의 변형예이며, 맞닿음면의 중앙부에 리브를 설치한 부착부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종단면도(일부 확대 수직 단면도).
도 25는, 동일하게, 부착부의 변형예이며, 맞닿음면의 양단부에 리브를 설치한 부착부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종단면도(일부 확대 수직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4를 도시하는 전동 격납 유닛 및 샤프트 및 와셔의 분해 사시도.
도 27은, 동일하게, 전동 격납 유닛 및 샤프트 및 와셔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종단면도(일부 확대 수직 단면도).
도 28은, 동일하게, 전동 격납 유닛의 기어 케이스를 도시하는 비스듬히 위에서 본 일부 사시도.
도 29은, 동일하게, 전동 격납 유닛의 기어 케이스를 도시하는 비스듬히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5를 도시하는 샤프트 및 와셔 및 부착부의 조립 상태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일부 확대 수직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6을 도시하는 샤프트 및 와셔 및 부착부의 조립 상태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일부 확대 수직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의 6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또한, 도 10(A)는, 중앙부를 두꺼운 형상으로 한 와셔의 평면도(혹은 정면도), 도 10(B)는 (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10(C)는 (B)에 있어서의 C부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중앙부에 리브를 설치한 와셔의 평면도(혹은 정면도), 도 11(B)는 (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11(C)는 (B)에 있어서의 C부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2(A)는 양단부에 리브를 설치한 와셔의 평면도(혹은 정면도), 도 12(B)는 (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12(C)는 (B)에 있어서의 C부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3(A)는 단면 원(혹은 타원) 형상으로 한 와셔의 평면도(혹은 정면도), 도 13(B)는 (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13(C)는 (B)에 있어서의 C부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구성의 설명」
이하, 이 실시예 1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1은 이 실시예 1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이며, 이 예에서는 자동차(승용차)용의 수동 격납형의 도어 미러이다. 이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자동차의 좌우의 도어(D)에 각각 장비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자동차의 우측의 도어(D)에 장비되는 것으로, 자동차의 좌측의 도어에 장비되는 도어 미러는 이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와 거의 좌우가 반대로 된다.
이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상기 도어(D)에 고정되는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에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3)와, 상기 샤프트(3)에 스프링(10) 및 방지구(소위 푸시 너트)(11) 및 와셔(6) 및 위치 결정 수단(16, 22)을 통하여 경도(회전, 회동)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는 미러 어셈블리(4)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샤프트(3)는 수지제(단순한 수지제 혹은 유리 섬유나 카본 섬유가 함유되어 있는 수지제) 혹은 금속제(다이캐스팅제 또는 프레스제)의 금형 성형품(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샤프트(3)는, 도 2∼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 혹은 원주형을 이루고, 상기 샤프트(3)의 외주면에는, 성형품으로서의 상기 샤프트(3)를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뽑기 위하여 뽑기 구배라고 하는 테이퍼가 만들어져 있다. 즉, 상기 샤프트(3)의 외주면은 일단(상단)으로부터 타단(하단)에 걸쳐서 외경이 서서히 커지는 테이퍼(경사면, 테이퍼면)을 이룬다. 이 결과, 상기 샤프트(3)는, 성형 후, 금형으로부터 빠지기 쉬워진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4)는 일방이 개구되고 또한 타방이 폐색된 미러 하우징(7)과, 상기 미러 하우징(7)의 개구부(5)에 배치되고 또한 반사면(8)을 갖는 미러 유닛(소위 미러)(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러 유닛(9)은, 상기 미러 하우징(7)에, 리모트 컨트롤 유닛이나 파워 유닛(도시 생략)을 통하여 거의 수직축 주위로 좌우방향 및 거의 수평축 주위로 상하방향으로 반사면(8)의 각도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미러 하우징(7)은 상기 샤프트(3)에 상기 스프링(10) 및 상기 방지구(11) 및 상기 와셔(6) 및 상기 위치 결정 수단(16, 22)을 통하여 상기 샤프트(3) 주위로 경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12)를 갖는다. 상기 부착부(12)는, 상기 샤프트(3)와 마찬가지로, 수지제(단순한 수지제 혹은 유리 섬유나 카본 섬유가 함유되어 있는 수지제) 혹은 금속제(다이캐스팅제 또는 프레스제)의 금형 성형품(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부(12)는, 상기 미러 하우징(7)과 별체의 프레임이나 브래킷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미러 하우징(7)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12)는, 도 2∼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상단)이 개구되고, 또한, 타단(하단)이 폐색된 중공 형상의 단면 오목 형상을 이룬다. 상기 부착부(12)의 하단 폐색부의 중앙에는, 원형의 투과구멍(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12)의 하단 폐색부는 상기 와셔(6)의 받이시트부이며, 그 상면의 맞닿음면(33)은 평면을 이룬다.
상기 샤프트(3)의 타단에는 샤프트 홀더(1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 홀더(14)는 상기 베이스(2)에 스크루(1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샤프트(3)는 상기 베이스(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 홀더(14)의 일면(상면. 상기 샤프트(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쪽의 면)과 상기 부착부(12)의 일면(하면. 상기 샤프트 홀더(14)의 일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위치 결정 수단(16, 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수단(16, 22)은 상기 미러 어셈블리(4)를 사용위치(A)(도 1 중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격납위치(B)(도 1 중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부착부(12)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는 노치 타입의 위치 결정 볼록부(22)의 외면과, 상기 샤프트 홀더(14)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22)가 끼워맞추어지는 노치 타입의 위치 결정 오목부(16)의 내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22)는 상변(상기 부착부(12)의 일면측의 변)이 길고 하변이 짧은 역사다리꼴(단면 역사다리꼴)을 이룬다.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2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위치 결정의 밸런스나 제조 비용 등을 고려하면, 3개가 바람직하다. 3개의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22)는 상기 부착부(12)의 일면에 상기 샤프트(3)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위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16)는 상변(상기 샤프트 홀더(14)의 일면측의 변)이 길고 하변이 짧은 역사다리꼴(단면 역사다리꼴)을 이룬다.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16)의 개수는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22)의 개수에 맞추어 3개이다. 3개의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16)는 상기 샤프트 홀더(14)의 일면에 상기 샤프트(3)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22)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기 미러 어셈블리(4)는 상기 사용위치(A)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22)의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미러 어셈블리(4)는 상기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되고, 상기 사용위치(A)와 상기 격납위치(B) 사이를, 또, 상기 사용위치(A)와 전방 경도위치(C) (도 1 중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사이를 회전한다.
상기 샤프트 홀더(14)의 일면(상면)과 상기 부착부(12)의 일면(하면)에는, 스토퍼 수단(29, 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수단(29, 30)은, 상기 미러 어셈블리(4)가 상기 격납위치(B) 또는 상기 전방 경도위치(C)에 위치할 때, 상기 미러 어셈블리(4)가 상기 도어(D)에 부딪치는 것을 회피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샤프트 홀더(14)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 볼록부(29)의 외면과, 상기 부착부(12)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 볼록부(29)가 끼워맞추어지는 스토퍼 오목부(혹은 홈부)(30)의 내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볼록부(29)는, 도 4,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샤프트 홀더(14)의 일면에 상기 샤프트(3)를 따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오목부(30)는, 도 4,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부(12)의 일면에 상기 투과구멍(25)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4)가 상기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하여, 상기 도어(D)에 부딪치기 직전이며, 상기 격납위치(B) 또는 전방 경도위치(C)에 위치하면, 상기 스토퍼 볼록부(29)의 단면(31)과 상기 스토퍼 오목부(30)의 단면(32)이 맞닿음으로써, 상기 미러 어셈블리(4)가 상기 도어(D)에 부딪치는 것을 회피시킨다. 또한, 상기 샤프트 홀더(14)의 일면에 스토퍼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부착부(12)의 일면에 스토퍼 볼록부를 형성해도 된다. 게다가, 상기 스토퍼 볼록부(29)와 상기 스토퍼 오목부(30)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미러 어셈블리(4)가 상기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할 때의 가이드가 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E는 차량의 후방을 나타내고, 부호 F는 차량의 전방을 나타낸다.
상기 샤프트(3)에는, 복수개, 이 예에서는, 4개의 홈(17)이 상단으로부터 거의 중간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홈(17)은 상기 샤프트(3)의 상단부를 남기고 관통 형상을 이루고, 한편, 상기 샤프트(3)의 상단부에 있어서 연결 형상(혹은 가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샤프트(3)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4개의 홈(17)의 연결부와 관통부와의 경계의 단차부에는, 4개의 걸어맞춤부(1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3)의 상기 4개의 홈(17)의 관통부의 양측면에는 걸림부(1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지구(11)는 탄성을 갖는 금속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원판 형상의 스프링 맞닿음부(20)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20)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는 일방향(하방향)으로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금속제의 방지구(11)는 바닥이 낮은 둥근 접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20)의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3)가 삽입되는 삽입구멍(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멍(21)의 가장자리로부터 복수개, 이 예에서는, 4개의 걸어맞춤 발톱부(23)가 상기 샤프트(3)의 삽입방향(G)(도 3 중의 화살표 G를 참조.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20)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의 절곡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는 상기 샤프트(3)의 상기 걸어맞춤부(18)에 탄성 걸어맞춤한다.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의 폭은 상기 샤프트(3)의 상기 홈(17)의 폭과 동등 혹은 약간 작다.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의 상기 샤프트(3)의 둘레 방향측의 부분은 상기 샤프트(3)의 상기 걸림부(19)에 걸어진다.
상기 스프링(10)은 압축 타입의 스프링(압축 코일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 스프링(10)의 양단면(34)은, 상기 와셔(6)와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20)에 각각 평면적으로 맞닿도록, 절삭가공에 의해 평면으로 가공되어 있다.
상기 와셔(6)는, 예를 들면, 수지 부재 혹은 금속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셔(6)는 외형이 원형을 이룬다. 또한, 상기 와셔(6)의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3)에 끼워맞추기 위한 투과구멍(6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셔(6)는 외경이 상기 부착부(12)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박판의 도넛 형상을 이룬다. 상기 와셔(6) 중, 상기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상기 스프링(34)의 맞닿음 단면(34)에 맞닿는 맞닿음면(35)에는 환상선 접촉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셔(6)는, 도 10(A),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를 두꺼운 형상으로 한 와셔이다. 즉, 상기 와셔(6)의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은, 상기 와셔(6)의 양쪽 맞닿음면(35)에 있어서, 중앙부를 양단부(내주 가장자리측의 단부와 외주 가장자리측의 단부)에 대하여 외측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시킨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 원호 형상의 정점이 상기 환상선 접촉부(50)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와셔(6)의 상기 환상선 접촉부(50)를 포함하는 양쪽 맞닿음면(35)에는 요철 가공된 요철(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요철은, 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타나자와핫코샤의 요철 No. 「GR-504」를 사용한다.
상기 와셔(6)의 상기 투과구멍(600)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1개, 이 예에서는 4개의 직선변(60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직선변(601)은 원형의 투과구멍의 내주 가장자리가 4개의 직선변을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샤프트(3)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셔(6)의 상기 직선변(601)이 맞닿는 적어도 1개, 이 예에서는 4개의 맞닿음 평면(301)이 상기 와셔(6)의 상기 직선변(601)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셔(6)의 상기 직선변(601)과 상기 샤프트(3)의 상기 맞닿음 평면(301)이 상기 회전방지부를 구성한다.
「조립 공정의 설명」
이하, 상기 샤프트(3)에 상기 미러 어셈블리(4)를, 상기 스프링(10) 및 상기 방지구(11) 및 상기 와셔(6) 및 상기 위치 결정 수단(16, 22)을 통하여 경도 가능하게 조립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샤프트(3)를 상기 미러 하우징(7)의 상기 부착부(12)의 상기 투과구멍(25) 중 및 상기 부착부(12) 중에, 도 3 중의 화살표 G방향(상기 미러 하우징(7)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의 방향)으로, 삽입통과시키고, 상기 샤프트 홀더(14)의 상면에 상기 부착부(12)의 하면을 재치시킨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위치 결정 볼록부(22)를 끼워맞추어지게 하고, 상기 스토퍼 볼록부(29)와 상기 스토퍼 오목부(30)를 끼워맞추어지게 한다.
다음에, 상기 샤프트(3)에 상기 와셔(6) 및 상기 스프링(10)을, 도 3 중의 화살표 G방향과 역방향(상기 미러 하우징(7)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의 방향)으로, 차례로 떨어뜨려 넣고 상기 부착부(12)의 하단의 상면에 재치시킨다. 즉, 상기 부착부(12)의 와셔 받이시트부의 상기 맞닿음면(33) 위에 상기 와셔(6)의 하면측의 상기 맞닿음면(35)을 올려놓고, 또한, 상기 와셔(6)의 상면측의 상기 맞닿음면(35)에 상기 스프링(10)의 하면측의 상기 맞닿음 단면(34)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의 4개의 상기 홈(17)에 상기 방지구(11)의 4개의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를 각각 맞추고, 상기 샤프트(3)에 상기 방지구(11)를 도 3 중의 화살표 G방향과 역방향으로 떨어뜨려 넣는다. 이 때, 상기 샤프트(3)의 외주면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점차로 퍼지게 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므로, 상기 방지구(11)는 상기 샤프트(3)의 도중에 멈춘다. 즉, 상기 방지구(11)의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의 선단이 상기 샤프트(3)의 상기 홈(17)의 상기 연결부에 맞닿는다.
이어서, 지그(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상기 방지구(11)의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20)를 상기 스프링(10)의 상면측의 상기 맞닿음 단면(34)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10)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기 방지구(11)를 상기 샤프트(3)에 밀어 넣는다. 그러면, 상기 방지구(11)의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가 탄성 변형하여, 상기 방지구(11)의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의 선단이 상기 샤프트(3)의 상기 홈(17)의 상기 연결부에 항상 맞닿으면서 도 3 중의 화살 G방향과 역방향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방지구(11)가 밀어 넣어지고, 상기 방지구(11)의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의 선단이 상기 샤프트(3)의 상기 홈(17)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관통부와의 경계의 상기 걸어맞춤부(18)에 도달한다. 그러면, 탄성변형되어 있는 상기 방지구(11)의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가 원래의 상태로 탄성복귀하고, 상기 방지구(11)의 4개의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의 선단이 상기 샤프트(3)의 4개의 상기 걸어맞춤부(18)에 각각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진다. 상기 방지구(11)의 4개의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의 선단이 상기 샤프트(3)의 4개의 상기 걸어맞춤부(18)에 각각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지면, 상기 방지구(11)의 4개의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의 선단이 상기 샤프트(3)의 4개의 상기 걸어맞춤부(18)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즉, 상기 방지구(11)는 상기 샤프트(3)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또, 상기 샤프트(3)의 4개의 상기 홈(17)의 관통부의 양측면의 상기 걸림부(19)가 상기 방지구(11)의 4개의 상기 걸어맞춤 발톱부(23)의 상기 샤프트(3)의 둘레방향측의 부분에 각각 걸어진다.
이 결과,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방지구(11)는, 상기 샤프트(3)에 고정된다. 또, 상기 스프링(10)은 상기 방지구(11)에 의해 상기 샤프트(3)에 고정된다. 즉, 상기 스프링(10)은, 상기 방지구(11)의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20)와 상기 부착부(12) 위의 상기 와셔(6)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3)의 주위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10)의 상하의 상기 맞닿음 단면(34)은 상기 방지구(11)의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20)와 상기 와셔(6)의 상측의 상기 맞닿음면(35)의 상기 환상선 접촉부(50)에 각각 탄성접촉한다. 또, 상기 와셔(6)의 하측의 상기 맞닿음면(35)의 상기 환상 접촉부(50)는 상기 부착부(12)의 와셔 받이시트부의 상기 맞닿음면(33)에 환상선 접촉의 상태로 맞닿는다. 또한, 상기 와셔(6)의 상기 직선변(601)은 상기 샤프트(3)의 상기 맞닿음 평면(301)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상기 미러 어셈블리(4)는 상기 샤프트(3)에 상기 스프링(10) 및 상기 방지구(11) 및 상기 와셔(6) 및 상기 위치 결정 수단(16, 22)을 통하여 경도 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와 일체의 상기 샤프트 홀더(14)를 상기 베이스(2)에 상기 스크루(15)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이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가 구성된다.
상기 도어 미러(1)는, 도어(D)에 상기 베이스(2)를 고정함으로써, 도어(D)에 장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미러(1)는 차체 도어(D)에 고정되는 상기 베이스(2) 및 상기 샤프트(3) 및 상기 샤프트 홀더(14)측의 고정부와, 상기 미러 유닛(9)을 가지고 있고 상기 샤프트(3)에 경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4) 및 상기 부착부(12)측의 경도부로 구성되어 있다.
차체의 도어(D)에 고정되는 상기 베이스(2) 및 상기 샤프트(3) 및 상기 샤프트 홀더(14)측의 고정부는 차체와 항상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미러 유닛(9)을 가지고 있고 상기 샤프트(3)에 경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4) 및 상기 부착부(12)측의 경도부는 사람이나 물체에 부딪혔을 때는, 완충을 위해, 상기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경도(회전)한다.
고정부의 상기 샤프트 홀더(14)와 경도부의 상기 부착부(12)는,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22)에 의해, 사용위치(A)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22)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주행시의 풍압 등에 의해 빠져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4)가 상기 샤프트(3)에 대하여 경도하지 않도록, 또, 경도부의 상기 미러 유닛(9)의 반사면(8)이 주행시의 노면의 요철 등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22)에는 텐션이 걸려 있다. 이 텐션을 거는데 상기 스프링(10)이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스프링(10)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22)가 서로 끼워맞추어지고, 경도부의 상기 미러 어셈블리(4)가 고정부의 상기 샤프트(3)에 흔들리지 않도록 적당한 유지력으로 경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0)은, 상기 샤프트(3)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방지구(11)에 의해, 상기 방지구(11)의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20)와 상기 부착부(12) 위의 상기 와셔(6)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3)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작용의 설명」
이 실시예 1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이 실시예 1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 1의 도어 미러(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어(D)에 베이스(2)를 고정하고 도어(D)에 장비된 도어 미러(1)의 미러 어셈블리(4)를 사용위치(A)에 위치시킨다. 이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의 미러 유닛(9)의 반사면(8)으로 차량의 후방을 시인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의 샤프트 홀더(14)와 경도부의 부착부(12) 사이는, 서로 끼워맞춤 상태의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위치 결정 볼록부(22)에 의해, 사용위치(A)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 이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위치 결정 볼록부(22)에는 스프링(10)의 스프링력(텐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자동차의 주행시의 풍압 등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에 대하여 부주의 상태에서 경도하거나, 주행시의 노면의 요철 등에 의해 미러 유닛(9)의 반사면(8)이 부주의 상태에서 흔들리거나 하는 것과 같은 일은 없다.
또, 리모트 컨트롤 유닛이나 파워 유닛(도시 생략)을 구동시키면, 미러 유닛(9)을 거의 수평축 주위로 상하방향으로 또 거의 수직축 주위로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미러 유닛(9)의 반사면(8)의 위치를 드라이버의 시선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수동에 의해 샤프트(3)의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스프링(10)의 스프링력보다도 큰 힘으로 돌린다. 그러면,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위치 결정 볼록부(22)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미러 어셈블리(4)는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스토퍼 볼록부(29)와 스토퍼 오목부(30)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의 회전이 가이드 된다.
미러 어셈블리(4)가 격납위치(B)에 위치하면,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된 채, 미러 어셈블리(4)가 격납위치(B)에 위치하여 격납된다. 이 때, 스토퍼 볼록부(29)의 단면(31)과 스토퍼 오목부(30)의 단면(32)이 맞닿아, 미러 어셈블리(2)의 회전이 규제되어 미러 어셈블리(2)와 도어(D)의 맞닿음이 회피된다.
또, 격납위치(B)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수동에 의해 샤프트(3)의 주위로 반시계방향으로, 스프링(10)의 스프링력보다도 큰 힘으로 돌린다. 그러면,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위치 결정 볼록부(22)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미러 어셈블리(4)가 사용위치(A)에 위치하면,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있는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위치 결정 볼록부(22)가 다시 끼워맞추어지고, 미러 어셈블리(4)가 사용위치(A)에 위치한다.
한편,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수동에 의해 샤프트(3)의 주위로 반시계방향으로, 스프링(10)의 스프링력보다도 큰 힘으로 돌린다. 그러면,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위치 결정 볼록부(22)과의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고, 미러 어셈블리(4)는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스토퍼 볼록부(29)와 스토퍼 오목부(30)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의 회전이 가이드 된다.
미러 어셈블리(4)가 전방 경도위치(C)에 위치하면, 스토퍼 볼록부(29)의 단면(31)과 스토퍼 오목부(30)의 단면(32)이 맞닿고, 미러 어셈블리(2)의 회전이 규제되어, 미러 어셈블리(4)가 전방 경도위치(C)에 위치하고, 또한, 미러 어셈블리(2)와 도어(D)와의 맞닿음이 회피된다.
또한 전방 경도위치(C)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수동에 의해 샤프트(3)의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스프링(10)의 스프링력보다도 큰 힘으로 돌린다. 그러면,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미러 어셈블리(4)가 사용위치(A)에 위치하면,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있는 위치 결정 오목부(16)와 위치 결정 볼록부(22)가 다시 끼워맞추어지고, 미러 어셈블리(4)가 사용위치(A)에 위치한다.
그리고,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에 스프링(10)의 스프링력보다도 큰 힘이 작용하면, 미러 어셈블리(4)는, 상기의 수동회전과 마찬가지로,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완충을 위해 회전한다.
「효과의 설명」
이 실시예 1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이 실시예 1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 1의 도어 미러(1))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맞닿음 평면(301)과 와셔(6)의 회전방지부의 직선변(601)에 의해, 와셔(6)가 샤프트(3)에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와셔(6)가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주위로 회전할 때, 와셔(6)는 샤프트(3)에 회전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환상선 접촉부(50)의 작용과 회전방지부(301, 601)의 작용과의 상승효과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주위로 회전할 때, 베이스(2) 및 샤프트(3) 및 스프링(10) 등을 포함하는 고정측의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회전측의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사이에서 슬라이드 한다.
특히,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서로 맞닿는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하측의 맞닿음면(35) 중, 와셔(6)의 맞닿음면(35)에 환상선 접촉부(5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맞닿음면(35)이 환상선 접촉의 상태로 서로 맞닿아 있어,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맞닿음면(35)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어,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맞닿음면(35)의 밀착에 의한 의사 고착을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주위로 회전할 때, 베이스(2) 및 샤프트(3) 및 스프링(10) 등을 포함하는 고정측의 와셔(6)의 맞닿음면(33)과 회전측의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사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 한다. 이 결과,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회전방지부(301, 601)의 작용과 환상선 접촉부(50)의 작용과의 상승효과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주위로 회전할 때, 베이스(2) 및 샤프트(3) 및 스프링(10) 등을 포함하는 고정측의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회전측의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사이에서 더욱 확실하게 슬라이드 한다.
이 결과,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스프링(10)과 그 스프링(10)의 받이면 즉 방지구(11)의 스프링 맞닿음부(20) 및 와셔(6)의 상측의 맞닿음면(35)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코일스프링이 코일스프링의 받이면의 복수의 돌출부 위를 미끄러지는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같이, 스프링(10)이 그 스프링(10)의 받이면 즉 방지구(11)의 스프링 맞닿음부(20) 및 와셔(6)의 상측의 맞닿음면(35)에 걸리는 것과 같은 일이 없어, 이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환상선 접촉부(50)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맞닿음면(35)이 환상선 접촉의 상태로 서로 맞닿으므로, 요철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이 무수한 점접촉의 상태로 서로 맞닿는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비교하여,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맞닿음면(35) 사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 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이음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또한 더욱 장기간에 걸쳐 방지할 수 있다. 즉, 내구성이 우수하다.
특히,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에 있어서, 환상선 접촉부(50)는, 미러 어셈블리(4)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환상 형상을 이루므로,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하는 방향과, 환상선 접촉부(50)의 환상 형상의 방향이 일치하므로,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게다가, 환상선 접촉부(50)는, 중앙부를 외측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시킨 원호 형상의 정점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환상선 접촉부(50)의 표면이 매끄럽고, 그 결과,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와셔(6)의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에 맞닿는 면(35) 및 그 반대측의 면(35), 즉, 와셔(6)의 양면(35)에 환상선 접촉부(50)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므로, 와셔(6)를 스프링(10)과 함께 샤프트(3)나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에 조립할 때, 와셔(6)의 조립방향(위아래, 상하, 표리 등)이 없기 때문에, 일면에 환상선 접촉부를 설치한 와셔와 비교하여 조립 작업성이 좋다.
또한,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도면에서는 생략했지만, 와셔(6)의 맞닿음면(35)에 요철 가공된 요철, 즉, 미세 요철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맞닿음면(35)이 환상선 접촉부(50)에 의한 환상선 접촉의 상태와 요철에 의한 무수한 점접촉의 상태로 서로 맞닿는다. 이 결과,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환상선 접촉부(50)에 의한 환상선 접촉의 상태와 요철에 의한 무수한 점접촉의 상태와의 상승효과에 의해, 베이스(2) 및 샤프트(3) 및 스프링(10) 등을 포함하는 고정측의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회전측의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사이에서 더욱 확실하게 슬라이드 할 수 있어, 이음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또한 더욱 장기간에 걸쳐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맞닿음면(35)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감소시킴으로써,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맞닿음면(35)과의 밀착에 의한 의사 고착을 막을 수 있으므로, 베이스(2) 및 샤프트(3) 및 스프링(10) 등을 포함하는 고정측의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회전측의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사이에서, 안정한 슬라이드가 얻어진다.
게다가,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맞닿음 평면(301)과 와셔(6)의 회전방지부의 직선변(601)에 의해, 와셔(6)가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결과,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요철에 의해 무수한 점접촉의 상태로 서로 맞닿아 있는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와셔의 맞닿음면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는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비교하여, 이음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또한 더욱 장기간에 걸쳐 방지할 수 있다. 즉,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회전방지부가 와셔(6)의 투과구멍(600)의 내주 가장자리에 설치된 4개의 직선변(601)과 샤프트(3)의 외주면에 설치된 4개의 맞닿음 평면(301)으로 이루어지므로, 와셔(6)의 직선변(601)이 샤프트(3)의 맞닿음 평면(301)에 맞닿음으로써, 와셔(6)가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와셔(6)의 투과구멍(600)의 내주 가장자리에 4개의 직선변(601)을 설치하고, 또한, 샤프트(3)의 외주면에 4개의 맞닿음 평면(301)을 설치하는 것뿐이어도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그만큼,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와셔의 필요성의 설명」
여기에서,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 사이에 와셔(6)를 개재시킬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주위로 회전할 때,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이 회전 슬라이드면으로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와셔(6)를 개재시킬 필요가 있다.
와셔(6)를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이 회전 슬라이드면으로 되면, 이하의 문제가 있다. 즉, 샤프트(3)에 고정되어 있는 방지구(11)의 스프링 맞닿음부(20)와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 사이에서 슬라이드 한다. 이 때문에, 회전 슬라이드 하는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에 의해, 방지구(11)의 스프링 맞닿음부(20)가 깎이거나, 긁히는 소리 등의 이음이 발생하거나 한다.
또,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은 평면 연삭되어 있지만, 비용의 관계상, 하나하나 손다듬질 등에 의한 매끄러운 평면 다듬질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의 평면 연삭에는 편차가 있어,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 사이에서 슬라이드 할 때, 걸림이 발생한다. 즉,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 사이에서의 마찰상태가 안정하지 않다. 이 때문에,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거나, 슬라이드 하지 않고 스프링(10)이 비틀리거나 한다. 스프링(10)의 비틀림의 응력이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 사이에서의 걸림의 마찰력보다도 상회하면, 스프링(10)의 비틀림이 복귀되어, 스프링(10)으로부터 치는 소리 등의 이음이 발생하거나 한다.
이 때문에,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 사이에 와셔(6)를 개재시키고,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주위로 회전할 때, 와셔(6)와 스프링(10)이 일체로 되어,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맞닿음면(35)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여,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이 회전 슬라이드면으로 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맞닿음면(35)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지 않고,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는 것이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이 회전 슬라이드면으로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와셔(6)를 개재시킬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이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맞닿음면(35)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지 않고,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는 원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의 원인은, 와셔(6)의 맞닿음면(35)이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마찬가지로 평면(실시예 1의 도어 미러(1)와 같이, 환상선 접촉부(5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평면)이기 때문이다. 와셔(6)의 맞닿음면이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마찬가지로 평면일 경우에 있어서는, 강재의 와셔(6)와 수지의 부착부(12)와의 마찰계수(μ)가 약 0.18∼약 0.3(수지재에 따라 상이함)이며, 또한, 강재의 스프링(10)과 강재의 와셔(6)와의 마찰계수(μ)가 약 0.45 전후이어도, 상기의 현실과 같이, 마찰계수가 작은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지 않고, 마찰계수가 큰 와셔(6)의 맞닿음면과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 사이에서 슬라이드 한다.
즉, 와셔(6)의 맞닿음면(35)이 평면일 경우에는, 부착부(12)의 평면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평면의 맞닿음면(35)이, 평면끼리 접촉하여 눌러져 있는 상태(하중이 결려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예를 들면, 유리의 평활한 면끼리를 겹치면 서로 흡착하고 있는 것과 같은 현상과 마찬가지로, 서로 흡착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와셔(6)의 맞닿음면(35)이 평면인 것이, 마찰계수가 작은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지 않고, 마찰계수가 큰 와셔(6)의 맞닿음면과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는 원인이다.
그래서,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사이에서 슬라이드 시켜,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 사이에서 슬라이드 시키지 않도록 하는 대책으로서는,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사이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것이 있다. 이 그리스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그리스 도포에 의한 조립 시간에 과제가 있고, 또한, 그리스 비용 등의 비용이 높아지고, 그리스의 누설 등의 과제가 있으며, 그리스에 의한 부품의 성능 열화 등의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 즉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와셔(6)의 맞닿음면(35)을 평면으로 하지 않기 위하여, 와셔(6)의 맞닿음면(35)의 중앙부를 두꺼운 형상으로 하여, 와셔(6)의 맞닿음면(35)에 환상선 접촉부(5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결과,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와셔(6)의 평면이 아닌 맞닿음면(35)의 환상선 접촉부(50)와 부착부(12)의 평면의 맞닿음면(33) 사이에서 평면 흡착의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이 때문에, 와셔(6)의 평면이 아닌 맞닿음면(35)의 환상선 맞닿음부(50)와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고, 와셔(6)의 평면이 아닌 맞닿음면(35)의 환상선 맞닿음부(50)와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이상으로 기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이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와셔(6)의 맞닿음면(35)이 환상선 접촉부(50)에 의해 평면으로 되지 않으므로,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사이에서 확실하게 슬라이드 시킬 수 있고, 와셔(6)의 맞닿음면(35)과 스프링(10)의 맞닿음 단면(34) 사이에서 확실하게 슬라이드 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와셔와 미러측의 밀착이 없어져서 본래의 재질 특유의 마찰계수로 작동하기 때문에,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는, 와셔(6)의 맞닿음면과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사이에 그리스를 도포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 시간이 그리스 도포의 경우와 비교하여 향상되고, 또한, 그리스 비용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그리스의 누설 등이 없고, 그리스에 의한 부품의 성능 열화 등도 없다.
「와셔의 변형예의 설명」
도 11(A), (B), (C)는 와셔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변형예의 와셔(60)는 중앙부에 리브를 설치한 와셔이다. 즉, 와셔(60)의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은 와셔(60)의 양쪽 맞닿음면(35)의 중앙부에 거의 반원형의 리브를 설치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 반원형의 리브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1)를 이루는 것이다.
도 12(A), (B), (C)는 와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변형예의 와셔(61)는 양단부에 리브를 설치한 와셔이다. 즉, 와셔(61)의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은 와셔(61)의 양쪽 맞닿음면(35)의 양단부(내주 가장자리측의 단부와 외주 가장자리측의 단부)에 거의 반원형의 리브를 각각 설치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 반원형의 리브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2)를 이루는 것이다. 이 도 12(A), (B), (C)에 도시하는 와셔(61)는, 맞닿음면(35)에서의 환상선 접촉부(52)를 2라인(2개) 설치했으므로, 맞닿음면(35)에서의 환상선 접촉부(51)를 1라인(1개) 설치한 상기의 도 11(A), (B), (C)에 도시하는 와셔(60)와 비교하여, 마모를 반감할 수 있다.
도 13(A), (B), (C)는 와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변형예의 와셔(62)는 단면 원(혹은 타원) 형상으로 한 와셔이다. 이 와셔(62)의 단면 원(혹은 타원)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3)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이 와셔(62)에 있어서, 환상선 접촉부(53)를 편의상 와셔의 맞닿음면으로 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와셔(60) 및 도 12에 도시하는 와셔(61) 및 도 13에 도시하는 와셔(62)는, 도 10에 도시하는 와셔(6)와 마찬가지로, 각 와셔(60, 61, 62)의 투과구멍(600)의 내주 가장자리에 4개의 직선변(601)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와셔(60) 및 도 12에 도시하는 와셔(61) 및 도 13에 도시하는 와셔(62)는, 도 10에 도시하는 와셔(6)와 마찬가지로, 환상선 접촉부(51, 52, 53)를 포함하는 양쪽 맞닿음면(35)에는, 요철 가공된 요철(도시 생략)을 형성해도 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와셔(60) 및 도 12에 도시하는 와셔(61) 및 도 13에 도시하는 와셔(62)는 도 10에 도시하는 와셔(6)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회전방지부의 변형예의 설명」
도 14 및 도 15는 회전방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이 변형예에서의 회전방지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와셔(63)에는, 상기 샤프트(3)에 끼워맞추기 위한 거의 원형의 투과구멍(60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셔(63)의 상기 투과구멍(602)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상기 샤프트(3)의 상기 홈(17)의 가장자리 즉 상기 걸림부(19)에 걸어맞추어지는 적어도 1개 이 예에서는 4개의 걸어맞춤 볼록부(603)가 상기 와셔(63)의 중심을 향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셔(63)의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603)와 상기 샤프트(3)의 상기 홈(17)의 가장자리 즉 상기 걸림부(19)가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회전방지부를 구성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회전방지부는, 와셔(63)의 걸어맞춤 볼록부(603)가 샤프트(3)의 홈(17)의 가장자리 즉 걸림부(19)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와셔(63)가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회전방지부는, 방지구(11)의 걸어맞춤 발톱부(23)가 샤프트(3)의 홈(17)의 가장자리 즉 걸림부(19)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스프링(10)이 와셔(63)와 방지구(11)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 변형예에서의 회전방지부는, 샤프트(3)의 홈(17)의 가장자리 즉 걸림부(19)가 방지구(11)의 걸어맞춤 발톱부(23)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와, 와셔(63)의 걸어맞춤 볼록부(603)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겸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그만큼,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회전방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회전방지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와셔(64)에는, 상기 샤프트(3)에 끼워맞추기 위한 거의 원형의 투과구멍(60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셔(64)의 상기 투과구멍(604)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60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3)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셔(64)의 상기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605)가 각각 걸어맞추어지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 소위, 세레이션, 스플라인)(305)이 상기 샤프트(3)의 축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셔(64)의 상기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605)와 상기 샤프트(3)의 상기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305)가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회전방지부를 구성한다.
이 변형예에서의 회전방지부는, 와셔(64)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605)를 샤프트(3)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305)에 걸어맞춤으로써, 와셔(64)가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변형예에서의 회전방지부는, 와셔(64)의 투과구멍(604)의 내주 가장자리에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605)를 설치하고, 한편, 샤프트(3)의 외주면에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305)를 샤프트(3)의 축방향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샤프트(3)에 와셔(64)를 조립할 때, 샤프트(3)와 와셔(64)의 위치 결정(샤프트(3)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 혹은 둘레방향의 위치 결정 등)이 없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좋아, 그만큼,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도 14, 도 15에 도시하는 와셔(63) 및 도 16, 도 17에 도시하는 와셔(64)는, 도 10에 도시하는 와셔(6)와 같이,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이 중앙부를 양단부에 대하여 외측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시킨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원호 형상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0)를 이루는 것, 또는, 도 11에 도시하는 와셔(60)와 같이,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이 중앙부에 거의 반원형의 리브를 설치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반원형의 리브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1)를 이루는 것, 또는, 도 12에 도시하는 와셔(61)와 같이,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이 양단부에 거의 반원형의 리브를 각각 설치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반원형의 리브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2)를 이루는 것, 또는, 도 13에 도시하는 와셔(62)와 같이, 단면 원(혹은 타원) 형상으로서, 단면 원(혹은 타원)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3)를 이루는 것에, 회전방지부로서의 걸어맞춤 볼록부(603) 및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605)를 설치하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18∼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2를 나타낸다. 또한, 도 19 (A) 및 (B)는 중앙부를 두꺼운 형상으로 한 와셔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0(A) 및 (B)는 중앙부에 리브를 설치한 와셔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A) 및 (B)는 양단부에 리브를 설치한 와셔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2(A) 및 (B)는 단면 원(혹은 타원) 형상으로 한 와셔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 중, 도 1∼도 17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 2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 2의 도어 미러)는 상기의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가 회전방지부(샤프트(3)의 맞닿음 평면(301)과 와셔(6, 60, 61, 62)의 직선변(601)으로 구성되어 있는 회전방지부)를 설치하고 있는 도어 미러에 대하여, 회전방지부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도어 미러이다.
즉, 도 18, 도 19에 도시하는 와셔(6A)는, 도 10에 도시하는 와셔(6)와 거의 마찬가지로, 중앙부를 두꺼운 형상으로 한 와셔이다. 즉, 상기 와셔(6A)의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은, 상기 와셔(6A)의 양쪽 맞닿음면(35)에 있어서, 중앙부를 양단부에 대하여 외측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시킨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 원호 형상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0)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와셔(6A)의 상기 환상선 접촉부(50)를 포함하는 양쪽 맞닿음면(35)에는, 요철 가공된 요철(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와셔(6A)의 중앙에는, 원형의 투과구멍(600A)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방지부로서의 직선변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20에 도시하는 와셔(60A)는, 도 11에 도시하는 와셔(60)와 거의 마찬가지로, 중앙부에 리브를 설치한 와셔이다. 즉, 상기 와셔(60A)의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은 상기 와셔(60A)의 양쪽 맞닿음면(35)의 중앙부에 거의 반원형의 리브를 설치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 반원형의 리브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1)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와셔(60A)의 상기 환상선 접촉부(51)를 포함하는 양쪽 맞닿음면(35)에는, 요철 가공된 요철(도시 생략)을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와셔(60A)의 중앙에는, 원형의 투과구멍(600A)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방지부로서의 직선변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21에 도시하는 와셔(61A)는, 도 12에 도시하는 와셔(61)와 거의 마찬가지로, 양단부에 리브를 설치한 와셔이다. 즉, 상기 와셔(61A)의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은 상기 와셔(61A)의 양쪽 맞닿음면(35)의 양단부에 거의 반원형의 리브를 각각 설치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 반원형의 리브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2)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와셔(61A)의 상기 환상선 접촉부(52)를 포함하는 양쪽 맞닿음면(35)에는 요철 가공된 요철(도시 생략)을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와셔(61A)의 중앙에는, 원형의 투과구멍(600A)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방지부로서의 직선변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22에 도시하는 와셔(62A)는, 도 13에 도시하는 와셔(62)와 거의 마찬가지로, 단면 원(혹은 타원) 형상으로 한 와셔이다. 상기 와셔(62A)의 단면 원(혹은 타원)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3)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와셔(62A)의 상기 환상선 접촉부(53)를 포함하는 양쪽 맞닿음면에는, 요철 가공된 요철(도시 생략)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이 와셔(62A)에 있어서, 환상선 접촉부(53)를 편의상 와셔의 맞닿음면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셔(62A)의 중앙에는, 원형의 투과구멍(600A)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방지부로서의 직선변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18, 도 19에 도시하는 와셔(6A), 도 20에 도시하는 와셔(60A), 도 21에 도시하는 와셔(61A), 도 22에 도시하는 와셔(62A)는, 원형 투과구멍(600A)의 내경이 상기 샤프트(3)의 외경보다도 크므로, 상기 샤프트(3)에 헐겁게 끼울(즉, 상기 와셔(6)의 내주면과 상기 샤프트(3)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추는 상태) 수 있다.
이 실시예 2의 도어 미러(도 18, 도 19에 도시하는 와셔(6A), 도 20에 도시하는 와셔(60A), 도 21에 도시하는 와셔(61A), 도 22에 도시하는 와셔(62A))는, 환상선 접촉부(50, 51, 52, 53)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의 맞닿음면(33)과 와셔(6)의 맞닿음면(35)의 밀착에 의한 의사 고착을 막을 수 있다. 이 결과, 이 실시예 2의 도어 미러는,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맞닿음 평면과 와셔(6A, 60A, 61A, 62A)의 회전방지부의 직선변과의 맞닿음에 의해, 와셔(6A, 60A, 61A, 62A)가 샤프트(3)에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지 않아도, 이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 2의 도어 미러는, 와셔(6A, 60A, 61A, 62A)가 샤프트(3)에 대하여 고정되지 않지만, 와셔(6A, 60A, 61A, 62A) 및 샤프트(3)에 회전방지부(직선변(601), 맞닿음 평면(301), 걸어맞춤 볼록부(603),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605),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305))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이 실시예 2의 도어 미러는, 샤프트(3)에 와셔(6A, 60A, 61A, 62A)를 조립할 때, 샤프트(3)와 와셔(6A, 60A, 61A, 62A)의 위치 결정(샤프트(3)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 혹은 둘레방향의 위치 결정 등)이 없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좋아, 조립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그만큼,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23∼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3을 도시한다. 도면 중, 도 1∼도 22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 3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 3의 도어 미러)는, 상기의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 및 실시예 2의 도어 미러가 와셔(6, 60, 61, 62, 63, 64, 6A, 60A, 61A, 62A)의 맞닿음면(35)에 환상선 접촉부(50, 51, 52, 53)를 설치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에 환상선 접촉부(54, 55, 56)를 설치하는 것이다.
즉, 도 23에 있어서, 부착부(12)의 샤프트(3)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은,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에 있어서, 중앙부를 양단부에 대하여 외측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시킨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 원호 형상의 정점이 상기 환상선 접촉부(54)를 이루는 것이다.
도 24에 있어서, 부착부(12)의 샤프트(3)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은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의 중앙부에 거의 반원형의 리브를 설치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 반원형의 리브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5)를 이루는 것이다.
도 25에 있어서, 부착부(12)의 샤프트(3)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은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의 양단부에 거의 반원형의 리브를 각각 설치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 반원형의 리브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56)를 이루는 것이다.
이 실시예 3의 도어 미러는 상기의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 및 실시예 2의 도어 미러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3의 도어 미러에서는, 상기의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의 와셔(6, 60, 61, 62, 63, 64) 및 실시예 2의 도어 미러의 와셔(6A, 60A, 61A, 62A) 및 양쪽 맞닿음면이 평면을 이루는 통상의 와셔(도시 생략)를 사용해도 된다.
[실시예 4]
도 26∼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4를 나타낸다. 도면 중, 도 1∼도 25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하, 이 실시예 4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예 1, 2, 3에서는, 수동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를 샤프트(3)에 대하여 사용위치(A)와 격납위치(B) 사이를 경도(회전, 회동)시키는 수동 격납형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인 것에 대해, 이 실시예 4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전동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를 샤프트(3)에 대하여 사용위치(A)와 격납위치(B) 사이를 경도(회전, 회동)시키는 전동 격납형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이다.
이 실시예 4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4)를 상기 샤프트(3)에 대하여 사용위치(A)와 격납위치(B) 사이를 전동에 의해 경도(회전, 회동)시키는 전동 격납 유닛(36)을 구비한다. 상기 전동 격납 유닛(36)은 상기 샤프트(3)와, 샤프트 홀더(14)와, 케이싱으로서의 기어 케이스(37) 및 커버(38)와, 모터(39)와, 회전력 전달 기구로서의 감속 기구(40) 및 클러치 기구(41)와, 플레이트(42)와, 전기 회로 기판(43)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기어 케이스(37)가 상기의 실시예 1의 부착부(12)에 상당한다.
상기 감속 기구(40)는, 상기 모터(39)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단째의 기어로서의 제 1 웜 기어(44)와, 상기 제 1 웜 기어(44)에 맞물리는 제 2 단째의 기어로서의 헬리컬 기어(45)와, 상기 헬리컬 기어(45)와 동기 회전하는 제 3 단째의 기어로서의 제 2 웜 기어(46)와, 상기 제 2 웜 기어(46)가 맞물리는 최종단째의 기어로서의 클러치 기어(4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기구(41)는 상기 클러치 기어(47)와, 클러치 홀더(48)와, 스프링(10)과, 방지구(11)와, 와셔(6)를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기구(41)는, 상기 샤프트(3)에, 하측의 상기 와셔(6) 및 상기 기어 케이스(37)를 차례로 끼워맞춘 후에, 상측의 상기 와셔(6), 상기 클러치 홀더(48), 상기 클러치 기어(47), 상기 스프링(10)을 차례로 끼워맞추고, 상기 방지구(11)로 상기 스프링(10)을 압축상태로 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의 와셔(6)의 상측의 맞닿음면(35)의 환상선 접촉부(50)와 상기 기어 케이스(37)의 와셔 받이시트부의 하측의 맞닿음면(49)이 서로 맞닿는다. 또한 상기 상측의 와셔(6)의 하측의 맞닿음면(35)의 환상선 접촉부(50)와 상기 기어 케이스(37)의 와셔 받이시트부의 상측의 맞닿음면(49)이 서로 맞닿는다. 또한, 상기 상하 양측의 와셔(6)의 직선변(601)이 상기 샤프트(3)의 맞닿음 평면(301)에 맞닿는다.
이 실시예 4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모터(39)를 구동시키면, 클러치 기어(47)와 클러치 홀더(48)가 연결상태에 있어, 미러 어셈블리(4)가 전동에 의해 샤프트(3)의 주위로, 사용위치(A)와 격납위치(B) 사이를 경도(회전, 회동)한다. 또, 미러 어셈블리(4)를 수동에 의해 샤프트(3)의 주위로 회전시키면, 클러치 기어(47)와 클러치 홀더(48)가 분리된 상태로 되어, 미러 어셈블리(4)가 수동에 의해 샤프트(3)의 주위로, 사용위치(A)와 격납위치(B) 사이, 및, 사용위치(A)와 전방 경도위치(C) 사이를 경도(회전, 회동)한다. 또한,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에 스프링(10)의 스프링력보다도 큰 힘이 작용하면, 클러치 기어(47)와 클러치 홀더(48)가 분리된 상태로 되어, 미러 어셈블리(4)가 상기의 수동회전과 마찬가지로,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완충을 위해 회전한다. 즉,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주위로, 사용위치(A)와 격납위치(B) 사이, 및, 사용위치(A)와 전방 경도위치(C) 사이를 경도(회전, 회동)한다.
이 실시예 4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상기의 실시예 1, 2, 3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전동 및 수동의 쌍방에서 달성할 수 있다. 즉,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의 와셔(6)의 하면의 맞닿음면(35)과 기어 케이스(37)의 상면 사이, 및, 하측의 와셔(6)의 상면의 맞닿음면(35)과 기어 케이스(37)의 하면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므로, 상측의 와셔(6)의 상면과 클러치 홀더(48)의 하면 사이, 및, 하측의 와셔(6)의 하면과 샤프트 홀더(14)의 상면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는 것과 같은 일은 없다. 이 결과, 이 실시예 4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스프링(10)의 치는 소리, 및, 슬라이드 변화에 의한 전동 작동 소리의 기복이 감소하므로, 품질이 향상된다.
이 실시예 4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는, 상기의 실시예 1, 2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있어서의 와셔(60, 61, 62, 63, 64, 6A, 60A, 61A, 62A)를 사용해도 되고, 상기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의 와셔(63)의 회전방지부의 걸어맞춤 볼록부(603) 및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홈(17)의 가장자리 즉 걸림부(19)를 사용해도 되고, 상기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의 와셔(64)의 회전방지부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605) 및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305)를 사용해도 된다.
또, 이 실시예 4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는, 기어 케이스(37)의 상하 양쪽 맞닿음면(49)(도 28 및 도 29 중의 격자 해칭이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맞닿음면(49)에 상기의 실시예 3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의 환상선 접촉부(54, 55, 56)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의 실시예 1의 도어 미러(1)의 와셔(6, 60, 61, 62, 63, 64) 및 실시예 2의 도어 미러의 와셔(6A, 60A, 61A, 62A) 및 양쪽 맞닿음면이 평면을 이루는 통상의 와셔(도시 생략)를 사용해도 된다.
[실시예 5]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5를 도시한다. 도면 중, 도 1∼도 29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 5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 5의 도어 미러)는, 상기의 실시예 1, 2, 3, 4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가 와셔(6, 60, 61, 62, 63, 64)의 맞닿음면(35)에 환상선 접촉부(50, 51, 52, 53)를 설치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에 환상선 접촉부(54)를 설치하는 것이다.
즉, 도 30에 있어서, 부착부(12)의 샤프트(3)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방향의 단면 형상은,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에 있어서, 중앙부를 양단부에 대하여 외측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시킨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 원호 형상의 정점이 상기 환상선 접촉부(54)를 이루는 것이다.
도 30에 있어서, 부호 「66」은 양쪽 맞닿음면이 평면을 이루는 통상의 와셔이다. 이 와셔(66)의 회전방지부의 직선변(601)이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맞닿음 평면(301)에 맞닿아 있어, 와셔(66)는 샤프트(3)에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 5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 5의 도어 미러)는 상기의 실시예 1, 2, 3, 4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에 설치하는 환상선 접촉부로서는, 상기의 환상선 접촉부(54) 이외에, 예를 들면, 단면 형상이 맞닿음면(33)의 중앙부에 거의 반원형의 리브를 설치한 형상을 하고 있고, 이 반원형의 리브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도시 생략)를 이루는 것, 또는, 단면 형상이 맞닿음면(33)의 양단부에 거의 반원형의 리브를 각각 설치한 형상을 하고 있고, 이 반원형의 리브의 정점이 환상선 접촉부(도시 생략)를 이루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이 실시예 5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는, 상기의 실시예 1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의 와셔(60, 61, 62)를 사용해도 되고, 상기의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의 와셔(63)의 회전방지부의 걸어맞춤 볼록부(603) 및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홈(17)의 가장자리 즉 걸림부(19)를 사용해도 되고, 상기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의 와셔(64)의 회전방지부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605) 및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305)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와셔(66)의 맞닿음면에 요철 가공된 요철을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6]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6을 도시한다. 도면 중, 도 1∼도 30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 6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 6의 도어 미러)는 양쪽 맞닿음면이 평면을 이루는 통상의 와셔(66)와,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이 평면을 이루는 것이다. 와셔(66)의 회전방지부의 직선변(601)이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맞닿음 평면(301)에 맞닿아 있고, 와셔(66)는 샤프트(3)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와셔(66)의 평면의 맞닿음면이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평면의 맞닿음면(33)에 맞닿아 있다.
이 실시예 6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 6의 도어 미러)는 와셔(66)의 회전방지부의 직선변(601)이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맞닿음 평면(301)에 맞닿아 있으므로, 와셔(66)가 샤프트(3)에 샤프트(3)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결과, 이 실시예 6에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 6의 도어 미러)는, 서로 맞닿는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과 와셔(66)의 맞닿음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환상선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이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6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는, 상기의 실시예 1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의 와셔(60, 61, 62)를 사용해도 되고, 상기의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의 와셔(63)의 회전방지부의 걸어맞춤 볼록부(603) 및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홈(17)의 가장자리 즉 걸림부(19)를 사용해도 되고, 상기의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의 와셔(64)의 회전방지부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605) 및 샤프트(3)의 회전방지부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305)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미러 어셈블리(4)측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에 설치한 순환선 접촉부(54)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와셔(66)의 맞닿음면에 요철 가공된 요철을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이외의 예의 설명」
이하, 상기의 실시예 1∼6 이외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 1∼6에서는, 승용차 도어(D)에 장비되는 도어 미러(1)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그 밖의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예를 들면, 승용차의 펜더에 장비되는 펜더 미러나 트랙의 펜더나 필러 등에 장비되는 트랙 미러 등이어도 된다. 즉,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샤프트측의 고정부와, 그 샤프트에 경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미러 유닛(미러) 및 미러 어셈블리측의 경도부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6에서는, 미러 하우징(7)이 일체 구조의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미러 하우징이 본체부와 그 본체부를 덮는 커버(화장 커버, 가니쉬, 셸 프레임)로 구성되어 있는 별체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6에서는, 위치 결정 수단이 부착부(12)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는 노치 타입의 볼록부(22)와 샤프트 홀더(14)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고 볼록부가 끼워맞추어지는 노치 타입의 오목부(16)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샤프트 홀더(14)의 일면에 노치 타입의 오목부를 설치하고, 부착부(12)의 일면에 노치 타입의 볼록부를 설치해도 된다.
더욱이 또한, 상기의 실시예 1∼6에서는, 위치 결정 수단이 노치 타입의 오목부 볼록부 즉 단면 사다리꼴의 요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볼과 그 볼이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 또한 반구형의 요철로 구성되어 있는 것, 또한, 단면 반원형의 요철로 구성되어 있는 것, 더욱이 또한 단면 삼각형의 요철로 구성되어 있는 것 등이어도 된다.
더욱이 또한, 상기의 실시예 1∼6에서는, 걸어맞춤 발톱부(23)를 4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걸어맞춤 발톱부를 제품의 사양(크기 등)에 의해, 3개, 5개 이상 형성해도 된다.
더욱이 또한, 상기의 실시예 1∼6에서는, 부착부(12)가 미러 하우징(7)과 별체의 프레임이나 브래킷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미러 하우징(7)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부착부와 미러 하우징이 일체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더욱이 또한, 상기의 실시예 1∼6에서는, 부착부(12)로서, 일단(상단)이 개구되고 또한 타단(하단)이 폐색된 중공 형상의 단면 오목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단 폐색부의 중앙에 투과구멍(25)을 설치한 단일 원통 형상의 부착부(12)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하단 폐색부의 투과구멍의 가장자리로부터 원통부를 일체로 설치한 2중의 부착부를 사용해도 된다.
더욱이 또한, 상기의 실시예 1∼6에서는, 와셔(6, 60, 61, 62, 63, 64, 6A, 60A, 61A, 62A)의 양면(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또는 기어 케이스(37)의 맞닿음면(49)에 맞닿는 면 및 그 반대측의 면)(35)에 환상선 접촉부(50, 51, 52, 53)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와셔의 일면(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또는 기어 케이스(37)의 맞닿음면(49)에 맞닿는 면)에 환상선 접촉부를 설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와셔의 일면에 환상선 접촉부를 설치하고, 타면을 평면인 채로 하고, 이 와셔의 평면의 타면과 스프링의 맞닿음 단면을 맞닿게 함으로써, 와셔의 평면의 타면과 스프링의 맞닿음 단면 사이의 마찰저항력이 커지고, 그만큼, 와셔와 스프링이 일체화되어 와셔의 평면의 타면과 스프링의 맞닿음 단면 사이에서 슬라이드 하지 않고, 한편, 와셔의 일면의 환상선 접촉부와 미러 어셈블리 사이에서 더욱 확실하게 슬라이드 하기 쉬워진다.
더욱이 또한, 상기의 실시예 1∼6에서는, 와셔(6, 60, 61, 62, 63, 64, 6A, 60A, 61A, 62A)의 양면(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또는 기어 케이스(37)의 맞닿음면(49)에 맞닿는 면 및 그 반대측의 면)(35)에 환상선 접촉부(50, 51, 52, 53)를 설치하고, 또는,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또는 기어 케이스(37)의 맞닿음면(49)에 환상선 접촉부(54, 55, 56)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와셔의 양면 혹은 일면에 환상선 접촉부를 설치하고, 또한, 미러 어셈블리(4)의 부착부(12)의 맞닿음면(33) 또는 기어 케이스(37)의 맞닿음면(49)에 환상선 접촉부를 설치해도 된다. 즉, 서로 맞닿는 미러 어셈블리(4)의 맞닿음면(33, 49)과 와셔(6, 60, 61, 62, 63, 64, 6A, 60A, 61A, 62A)의 맞닿음면(35)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환상선 접촉부를 설치해도 된다.
더욱이 또한, 상기의 실시예 1∼6에서는, 와셔(6, 60, 61, 62, 63, 64, 6A, 60A, 61A, 62A)의 환상선 접촉부(50, 51, 52, 53)를 포함하는 양쪽 맞닿음면(35)에는 요철 가공된 요철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와셔의 환상선 접촉부를 포함하는 양쪽 맞닿음면에 요철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와셔의 양쪽 맞닿음면 중 환상선 접촉부를 설치한 하나의 맞닿음면에 요철을 설치해도 된다.
더욱이 또한, 상기의 실시예 1∼6에서는, 고정부의 샤프트(3) 및 샤프트 홀더(14)와, 경도부의 미러 어셈블리(4) 및 부착부(12) 사이에는, 개재 부재가 개재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의 샤프트(3) 및 샤프트 홀더(14)와, 경도부의 미러 어셈블리(4) 및 부착부(12) 사이에, 개재 부재(예를 들면, 플레이트)를 개재시켜, 노치 타입의 위치 결정 볼록부의 외면과, 그 볼록부가 끼워맞추어지는 노치 타입의 위치 결정 오목부의 내면과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5)

  1. 미러 어셈블리가 차체에 대하여 경도 가능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로서,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주위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에 경도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미러 어셈블리에 맞닿아져 있는 와셔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와 상기 와셔에는 상기 와셔가 상기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와셔는, 상기 회전방지부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상기 샤프트의 회전중심 주위로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고,
    서로 맞닿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맞닿음면과 상기 와셔의 맞닿음면의 어느 일방의 맞닿음면에, 이 맞닿음면의 중앙부와 양단부 중 어느 하나를 두꺼운 형상으로 하여, 환상선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에는, 상기 샤프트에 끼워맞추기 위한 투과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와셔의 투과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1개의 직선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셔의 직선변이 맞닿는 적어도 1개의 맞닿음 평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와셔의 직선변과 상기 샤프트의 맞닿음 평면이 상기 회전방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적어도 1개의 홈이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의 홈의 가장자리에는 방지구의 적어도 1개의 걸어맞춤 발톱부가 걸어맞추어져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와셔와 상기 방지구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와셔에는 상기 샤프트에 끼워맞추기 위한 투과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와셔의 투과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상기 샤프트의 홈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추어지는 적어도 1개의 걸어맞춤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와셔의 걸어맞춤 볼록부와 상기 샤프트의 홈의 가장자리가 상기 회전방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에는 상기 샤프트에 끼워맞추기 위한 투과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와셔의 투과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셔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가 각각 걸어맞추어지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와셔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샤프트의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다수의 작은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회전방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5. 삭제
KR1020110015432A 2010-03-17 2011-02-22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101758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60934 2010-03-17
JP2010060934A JP2011194925A (ja) 2010-03-17 2010-03-17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875A KR20110104875A (ko) 2011-09-23
KR101758653B1 true KR101758653B1 (ko) 2017-07-17

Family

ID=4407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432A KR101758653B1 (ko) 2010-03-17 2011-02-22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97762B2 (ko)
EP (1) EP2366588B1 (ko)
JP (1) JP2011194925A (ko)
KR (1) KR101758653B1 (ko)
CN (1) CN1021899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6904B (zh) * 2011-10-10 2016-07-06 无锡市锡春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后视镜防松转动装置
CN103958590B (zh) 2011-11-24 2016-02-17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橡胶组合物以及充气轮胎
JP6371695B2 (ja) * 2014-12-05 2018-08-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視認装置
JP6618415B2 (ja) * 2016-04-08 2019-12-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視認装置
DE102017129186B4 (de) * 2017-12-07 2021-07-01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Rückblick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ontageverfahren dafür und Kraftfahrzeug mit einer Rückblickvorrichtung
CN108298092A (zh) * 2018-03-22 2018-07-20 北京安达维尔民用航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的旋转调节装置
EP3597486B1 (en) * 2018-07-16 2022-09-14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Exterior mirror with reduced folding noise
JP7492412B2 (ja) 2020-09-08 2024-05-29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視認装置の可倒機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3938A (ja) * 1996-05-15 2000-04-04 イク ホールディング モントフォールト ビー.ヴイ. 電動ピボット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動ピボット機構を有するバックミラー
JP2009090926A (ja) * 2007-10-11 2009-04-30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6102A1 (de) 1979-02-17 1980-08-28 Thermoplast & Apparatebau Gmbh Elektrisch verstellbarer aussenrueckblickspiegel fuer fahrzeuge
DE3485663D1 (de) * 1983-12-17 1992-05-21 Ichikoh Industries Ltd Aussenrueckblickspiegel.
JPS61110639A (ja) * 1984-11-01 1986-05-28 Tokai Rika Co Ltd 電動式ドアミラ−におけるバイザ位置検出装置
DE3669847D1 (de) * 1985-05-14 1990-05-03 Ichikoh Industries Ltd Elektrische steuervorrichtung eines spiegels.
EP0314135B1 (en) 1987-10-27 1993-08-04 Ichikoh Industries Limited Electrically swingable door mirror
JPH0185138U (ko) * 1987-11-30 1989-06-06
JPH0249638U (ko) * 1988-09-30 1990-04-06
JPH04136949U (ja) * 1991-06-17 1992-12-21 株式会社村上開明堂 可倒式ドアミラー
EP0644084B1 (en) * 1993-09-03 1998-05-20 Ichikoh Industries Limited Rearview mirror system for vehicles
US5734517A (en) * 1993-12-15 1998-03-31 Poong Jeong Ind. Co., Ltd. Device for regulating motor-driven foldable rear view mirror of automobile
DE4427410C5 (de) 1994-08-03 2010-02-18 Reitter & Schefenacker Gmbh & Co. Kg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Kraftfahrzeuge
JP3374588B2 (ja) * 1995-03-30 2003-02-04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装置
AUPP809399A0 (en) * 1999-01-11 1999-02-04 Britax Rainsfords Pty Ltd A mirror rotation mechanism
JP3740636B2 (ja) 2000-10-06 2006-02-0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ヘッドランプ
US6361179B1 (en) * 2001-02-14 2002-03-26 Metagal Industria E Commercio Ltda Stabilization device
JP3954877B2 (ja) * 2002-03-14 2007-08-08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ドアミラー
US7070287B2 (en) * 2002-04-23 2006-07-04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Vehicular mirror system with at least one of power-fold and power-extend functionality
JP2004009806A (ja) * 2002-06-04 2004-01-15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JP4123056B2 (ja) 2003-05-26 2008-07-23 市光工業株式会社 手動式ミラー装置
TWI232187B (en) * 2003-06-28 2005-05-11 Chaw Khong Co Ltd Electrical operable pivoting back-mirror device
CN1853984A (zh) * 2005-04-19 2006-11-01 市光工业株式会社 车辆用门镜装置
US7452088B2 (en) * 2006-03-07 2008-11-18 Velvac, Incorporated Mirror with adjustable detent
JP2008087706A (ja) 2006-10-04 2008-04-17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8087707A (ja) * 2006-10-04 2008-04-17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4985276B2 (ja) * 2007-09-27 2012-07-25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5082744B2 (ja) * 2007-10-11 2012-11-28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10060934A (ja) 2008-09-04 2010-03-18 Fujifilm Corp ネガ型平版印刷版原版及びその製版方法
JP5552854B2 (ja) * 2010-03-17 2014-07-16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3938A (ja) * 1996-05-15 2000-04-04 イク ホールディング モントフォールト ビー.ヴイ. 電動ピボット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動ピボット機構を有するバックミラー
JP2009090926A (ja) * 2007-10-11 2009-04-30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89960A (zh) 2011-09-21
US8297762B2 (en) 2012-10-30
KR20110104875A (ko) 2011-09-23
JP2011194925A (ja) 2011-10-06
EP2366588B1 (en) 2014-04-30
CN102189960B (zh) 2015-07-08
US20110228413A1 (en) 2011-09-22
EP2366588A1 (en)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879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101758653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JP4985276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101980207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20120057523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JP2009535573A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摺動機構
US7118156B2 (en) Sun visor for vehicle
JP5082745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102005270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전동식 폴딩 장치
JP2005254969A (ja) 手動格納式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
KR102052990B1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KR102152336B1 (ko) 스핀들 록킹장치와 이를 적용한 전동공구 및 차량용 액츄에이터
JP5082744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20100115084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커버
KR102419962B1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JP5179130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9040357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KR10221064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서포트 요크 간격 유지 및 래틀음 방지장치
US20150047143A1 (en) Wiper arm apparatus for preventing painted layer crack
JP2017165339A (ja) カップホルダー
JP2002002279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2011163460A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