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895B1 -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 Google Patents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895B1
KR101756895B1 KR1020160146697A KR20160146697A KR101756895B1 KR 101756895 B1 KR101756895 B1 KR 101756895B1 KR 1020160146697 A KR1020160146697 A KR 1020160146697A KR 20160146697 A KR20160146697 A KR 20160146697A KR 101756895 B1 KR101756895 B1 KR 10175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magnesium
parts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거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160146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4Starch derivatives, e.g. crosslinked derivatives
    • C08L3/10Oxidised star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8Applications used for pi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열안정성 및 가공성을 갖는 저독성 합성수지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재 상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아연-바륨계 금속비누 0.1 내지 5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 0.1 내지 5 중량부,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 0.1 내지 5 중량부, 충격보강제 1 내지 5 중량부, 활제 0.01 내지 5 중량부 및 가공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내고온성, 가공성 및 분산성을 갖는 저독성 폴리염화비닐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재 상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LOW-TOXIC SYNTHE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WORKABILITY AND SYNTHETIC RESIN WATER PIPE MADE OF THE SAME}
본 발명은 개선된 열안정성 및 가공성을 갖는 저독성 합성수지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재 상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독성의 열안정제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열안정성 및 가공성을 갖는 저독성 폴리염화비닐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상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도관으로는 철관 또는 강관 등이 이용되어 왔으나, 철관은 비중이 높아 무겁고 접합부의 이탈 발생 및 관 내면에 스케일이 발하는 문제가 있고, 강관은 전식에 약하고 쉽게 부식되며 관 내면에 스케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대체하여 적용된 콘크리트관은 부식에 강하고 가격이 저렴하나 강도, 인장력 및 충격저항성이 낮고 시공성이 나쁜 문제가 있다.
1990년대 후반 이후로 석유화학공업의 발달에 따라 화학재료를 이용한 상수관 및 하수관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제 관의 사용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폴리염화비닐(PVC) 관은 가볍고 시공성이 좋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내식성이 우수하나 열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염화비닐계 수지는 성형을 위한 가공온도와 열분해 온도가 비슷하여 성형가공을 거치는 동안 가열에 의해 가열에 의해 측쇄 염소가 절단되어 염산이 발생하고, 상기 염산이 촉매로 작용하여 자가소화작용으로 분해를 촉진시켜 연쇄적인 열분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탈염화수소 반응을 중심으로 한 열분해가 진행되면서 착색 등의 발생으로 제품 외관 또는 가공설비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염화비닐계 수지의 열안정성 및 이로 인한 가공성 저하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납 등의 첨가물을 안정제로 포함하도록 제조되어 왔으나,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과 환경을 생각하는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인체에 유해한 첨가제의 사용이 지양되는 추세이다. 종래의 납계 안정제를 대신하여 CZ계 등의 무독성 안정제를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CZ계 안정제는 타 안정제에 비하여 안정효과가 떨어져 다른 보조안정제와 병행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배관시공에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 관은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현장에 공급되며, 현장에서는 개별적으로 절단된 관을 순차적 매설하며 각각의 관을 배관 이음관으로 연결하여 연속적인 관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라 형성된 관 시스템은 별다른 가변구조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시공 후 사후적으로 발생하는 연약지반에서의 부등침하 등에 의하여 이음관을 통해 연결된 관이 이탈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 제 20-0336225호에는 고무패킹 등을 포함하는 이탈방지 이음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많은 작업이 소요되어 현장에서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나사 등의 조임이 헐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KR 100877201 B1 KR 200336225 B1
본 발명은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저독성의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복잡한 이음구조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시공후 이음된 타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수관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아연-바륨계 금속비누 0.1 내지 5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 0.1 내지 5 중량부,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 0.1 내지 5 중량부, 충격보강제 1 내지 5 중량부, 활제 0.01 내지 5 중량부 및 가공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은 마그네슘 이온의 마그네슘원으로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염화마그네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은 알루미늄 이온의 알루미늄원으로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및 염화알루미늄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은 탄산 이온의 탄산원으로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탄산수소 암모늄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1㎛일 수 있다.
또한,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수지 조성물로 가공성형되는 상하수관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상하수관은 일측 말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소켓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부는 내주연을 권회하며 형성되는 안치홈과; 상기 안치홈에 안치되며 내주연에 타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깊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는 이탈방지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소켓부 내주연에는 제어턱이 형성되어 타관 삽입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턱과 상기 안치홈 사이에는 타관 끝단이 연동될 수 있는 연동공간부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하는 상하수관은 수지 조성물은 저독성이면서 열안정 효과가 우수한 열안정제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내고온성 및 가공성을 가지므로, 가공시 열분해로 인한 강도저하 및 착색발생을 저감시켜 안정적으로 상하수관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개선된 분산성을 가져 수지 제조시 첨가되는 분산제의 함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을 저감시키고 제조되는 상하수관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제공하는 상하수관은 균일하게 우수한 강도를 가지며, 별도의 장비가 필요 없는 이탈방지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관 이음에 있어 체결력이 향상되며, 관 이음시공 후 연약지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축으로 인한 이음된 타관의 이탈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하수관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소켓부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상하수관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소켓부의 구성요소인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아연-바륨계 금속비누 1 내지 5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 0.1 내지 5 중량부,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 0.1 내지 5 중량부, 충격보강제 1 내지 5 중량부, 활제 0.01 내지 5 중량부 및 가공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상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염화비닐 모노머와 염화비닐 모노머에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또는 염화비닐 모노머와 염화비닐 모노머에 공중합 가능한 중합체와의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모노머에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으로 구성되는 알파-올레핀류; 프로피온산 비닐의 비닐 에스테르류; 에틸비닐 에테르, 부틸비닐 에테르로 구성되는 비닐 에테르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메타)크릴레이트류; 스틸렌, 알파-메틸 스틸렌으로 구성되는 방향족 비닐류; 플루오르화 비닐, 플루오르화 비닐리덴, 염화 비닐리덴으로 구성되는 할로겐화 비닐류; 및 N-페닐말레이미드,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로 구성되는 N-치환 말레이미드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모노머에 공중합 가능한 중합체로는 예를 들면, 알킬(메타)크리레이트 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모노머와 공중합하는 모노머 또는 중합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첨가되어 염화비닐 모노머와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당 업계에 공지된 현탁중합법, 유화중합법 또는 괴상중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측면에서 용기내 스케일 축적량이 적고 미반응 단량체의 회수가 용이한 현탁중합법이 선택되는 것이 좋다. 필요에 따라, 중합반응시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사용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과류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과류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과산화수소수(hydrogen peroxide) 등의 수용성 중합개시제, 과산화벤조일(benzoyl peroxide), 과산화라우로일(lauroyl peroxide) 등의 유기계 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azobisisobutylonitrile) 등의 아조계 개시제, 레독스 개시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조되는 중합체가 반응 중에 반응용기 내에 부착되는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응집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pH조정제, 산화방지제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체의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합반응 종료시에 보호 콜로이드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중합도 500 내지 2500인 것이 좋다. 중합도 500 미만인 경우 제조되는 수지 조성물을 적용하여 형성되는 상하수관의 인장강도 및 경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중합도 2500 초과인 경우 가공온도의 상승으로 가공시 열안정성이 저하되어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은 아연-바륨계 금속비누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비누는 수지 조성물의 열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가공시 열에 의한 폴리염화비닐의 탄화, 착색 및 분해를 방지하는 역할과 더불어 가공시 마찰열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형을 용이하게 하며, 제조되는 수지관의 내후성 및 경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금속비누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소수 10 내지 20인 지방족 카르복실산 및 금속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무기화합물을 1:1 내지 1.5의 몰비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5 내지 30중량부의 물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물을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무기화합물은 아연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아연원 및 바륨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바륨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연원으로는 수산화아연 또는 산화아연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바륨원으로는 수산화바륨 또는 산화바륨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화합물은 아연 이온 및 바륨 이온을 1:0.5 내지 5의 몰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화합물에서 아연 이온 및 바륨 이온의 몰비가 1:0.5 미만이면 아연 성분이 과량으로 포함되어 수지 안정성이 저하되고 고온 가공시 아연 번으로 인한 착색이 발생할 수 있고, 1:5 초과이면 투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금속비누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금속비누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열안정성이 저하되어 가공 중 수지의 탄화가 발생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블루밍 또는 아연의 함량이 과다하게 높아져 장기적 열안정성이 저하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제조되는 수지 조성물로 가공성형된 제품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은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을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은 제조되는 수지 조성물의 내열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액상에서 마그네슘, 알루미늄 및 탄산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원료성분에 염기성 물질을 첨가하여 수산화물로 공침시켜 혼합금속화합물을 합성한 후 수열반응시키거나, 고압에서 수열반응으로 직접 반응시켜 합성함으로써 이중층 구조를 갖는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서 마그네슘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마그네슘원으로는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염화마그네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알루미늄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알루미늄원으로는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및 염화알루미늄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탄산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탄산원으로는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탄산수소암모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 제조에 있어서 마그네슘 이온 및 알루미늄 이온은 1:0.3 내지 0.5의 몰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알루미늄 이온 및 탄산 이온은 1:0.5 내지 1의 몰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은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열안정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열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블루밍이 발생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며 제조되는 제품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은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은 제조되는 수지 조성물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수지 제조시 첨가되는 분산제의 함량을 저감시키고 이형성 및 내열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탄산칼슘을 스테아린산 코팅함으로써 응집력을 저감시켜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은 탄산칼슘에 스테아린산 성분을 건식코팅, 습식코팅, 기계적 코팅 등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산칼슘을 25%(V/V) 에탄올 용액에서 교반하며 분산시키고, 스테아린산을 100% 에탄올에 먼저 투입시킨 후 물을 혼합하여 1 내지 5wt%로 스테아린산을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을 제조한 후, 교반시킨 탄산칼슘을 투입하여 다시 2 내지 4시간 교반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는 습식코팅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은 탄산칼슘 및 스테아린산을 1:0.2 내지 0.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1㎛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경이 0.1㎛ 미만이면 입자가 지나치게 작아져 핸들링이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1㎛ 초과이면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은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첨가로 인한 분산성 및 내열성의 향상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5중량부 초과이면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제조되는 수지로 가공성형되는 제품의 강도 등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은 충격보강제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제조되는 합성수지의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아크릴계, MBS(Methyl Methacrylate-Butadiene Styrene)계 및 CPE (Chlorinated Polyethyl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충격보강제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충격 보강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5중량부 초과이면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은 활제를 포함한다. 상기 활제는 내부 활제와 외부 활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활제는 성형 가공시 용해된 수지의 유동점도를 내려 마찰 발열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외부 활제는 성형 가공시 용해된 수지와 가공기기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가공기기 표면으로부터의 이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내부 활제로는 부틸 스테아레이트, 라우릴알코올,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린산, bis-아미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외부 활제로는 몬탄산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에스테르 왁스 등을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활제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활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윤활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은 가공조제를 포함한다. 가공조제는 비교적 적은 수준의 양을 투입하여 물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가공성 향상, 용융파괴(melt fracture) 방지, 플로우마크(flow mark) 및 피쉬 아이(fish eye) 감소, 광택 개선 및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예를 들면, 아크릴계, 스티렌계 또는 유기아린산 에스테르계 복합 가공조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가 주성분인 분자량 500,000 내지 3,000,000인 가공조제가 선택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가공조제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가공조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표면성, 가공성 및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고, 5중량부 초과인 경우 압출부하가 높아지고 생산원가가 상승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은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는 금속비누 및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에 포함된 금속 이온으로 인해 생성되는 라디칼을 저감시켜 수지 조성물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킬레이트제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EDTA), 갈산 복합물, 갈로타닌산, 피로갈롤산, 히드록시에틸리덴디포스폰산2나트륨,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킬레이트제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첨가로 인한 안정성 향상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1중량부 초과이면 생산원가가 상승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안정제, 광안정제, 안료 및 충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타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수지관이 부분적으로 산화되어 분해됨으로써 강도 및 열저항성이 저하되는 것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류, 아민류 및 퀴논류 항산화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0.5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0.1중량부 미만이면 내열노화성 및 내광성 향상 측면에서 효과가 부족하고, 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성형가공 후의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저감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부틸틴계 또는 옥틸틴계 안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정제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1중량부 초과인 경우 생산원가가 상승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수지관이 자외선에 의한 광 열화작용으로 중합고리가 분해되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로는 살리실산 에스테르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 또는 힌더드 아민계의 광안정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안정제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으며,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광성 면에서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0.5중량부 초과이면 생산원가의 상승으로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빛에 의한 열의 흡수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와 무기안료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적외선 흡수를 최소화하는 면에서 무기안료보다 유기안료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안료로는 아조계, 프탈로시아닌계, 스렌계, 염료 레이크계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안료로는 R-지당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안료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0.7중량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3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의 흡수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0.7중량부를 초과하면 더 이상의 효과증가는 없고 강도 등의 제반 물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무기안료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중량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1중량부 미만일 경우 첨가로 인한 효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3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효과증가는 없이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이 수지조성물이 준비되면 이를 반응시켜 염화비닐계 수지를 제조하게 되는데, 이의 일례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재킷이 부착된 반응조 내에 순수, 상기에서 준비된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 수용성 증점제와 필요에 따라 분산제, 중합도 조절제를 첨가하고 반응조 내부를 감압하여 산소를 제거한 후 질소로 대기를 채운 질소분위기하에서, 교반에 의해 충분히 유화시키고 반응조 내를 재킷으로 적정온도로 맞춘 후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 재킷온도를 바꿈으로써 반응용기 내의 온도, 즉 반응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반응 종료 후 미반응의 물질을 제거하고 슬러리로 만든 다음 탈수건조함으로써 염화비닐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메타)크릴산,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카제인 및 이들의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수지조성물의 분산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중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예를 들면, 폴리(메타)크릴산염, (메타)크릴산염-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초산비닐,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 및 무수말레이트산 스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도 조절제로는 예를 들면, 멜캅토 메탄올, 멜캅토 에탄올, 멜캅토 프로판올 등의 연쇄 이동제;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시 피버레이트, 디이소프로필 퍼옥시 카보네이트, 디옥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t-부틸 퍼옥시 네오디카노에이트, a-커밀 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등의 유기 퍼옥사이드류; 2,2-아조비스 이소부틸로니트릴, 2,2-아조비스 2,4-디메틸 파레로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은 납 및 카드뮴 등의 독성 첨가물을 포함하지 않아 상하수관을 제조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로 사용되기 적합하다. 또한, 우수한 내고온성 및 가공성을 가지므로, 가공시 열분해로 인한 강도저하 및 착색발생을 저감시켜 안정적으로 상하수관을 성형가공할 수 있으며, 분산성이 우수하므로 수지 제조시 첨가되는 분산제의 함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고 제조되는 상하수관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상하수관이 제공된다.
상하수관은 상기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가공하여 형성된다. 상기 성형가공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출성형법, 사출성형법, 캘린더성형법, 프레스성형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와 같이 관의 형태로 제조하기 위하여 압출성형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성형시 발생되는 잔류응력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보관시 뒤틀림 현상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잔류응력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는 냉각시 냉각속도를 낮추어 냉각시간을 길게 유지하는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인 염화비닐계 수지관의 압출성형 온도는 150 내지 160℃이므로 냉각수로서 50 내지 90℃의 온수를 사용하여 냉각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는, 수지관 제조 후 열처리하여 분자배열을 재배치함으로써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인 염화비닐계 수지관은 70 내지 80℃에서 연화가 시작되므로 제조된 수지관에 40 내지 60℃의 열풍을 50 내지 100초간 가함으로써 잔류응력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상하수관은 말단에 이음되는 타관의 이탈을 방지하지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상하수관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상하수관은 관의 일측 말단에 소켓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이음관 없이 타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일체로 형성된 소켓부의 측단면도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소켓부(100) 내주연에는 그 내주연을 권회하며 형성되는 안치홈(110)이 구성되고 상기 안치홈(110)에는 거치대(120)가 부착되어지는데, 상기 거치대(120)는 외주연이 상기 안치홈(110)에 부착되고, 그 내주연에 타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깊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120)에는 타관이 삽입되는 측으로 경사면(121) 끝단에 제어테두리(122)가 구비되어 이탈방지링(200)의 슬라이드가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120)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안치홈(1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열경화성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대(120)의 사시도는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거치대(120)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돌출단(123)이 구성되는데, 상기 돌출단(123)은 외주연에서 일체형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서 탄성력에 의해 가압의 경우 외주연 상으로 삽입되고,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다시 본래의 돌출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돌출단(123)이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120)가 안치홈(110)에 장착되는 경우 돌출단(12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거치대(120)의 경사면(121)에서 슬라이드 되는 이탈방지링(200)에 압력이 계속적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서 결국 이탈방지링(200)의 내주연과 접하는 타관과의 접속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경사면의 형성으로 거치대(120)는 소켓부(100) 입구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깊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지며,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이하에서 설명할 이탈방지링(200)이 타관의 삽입 전에는 소켓부(100) 내주연 상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다 타관의 삽입으로 자연스럽게 이탈방지링(200)이 경사면(121) 상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이탈방지링(200)의 내경이 커지고 그 내주연에 타관의 외주연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소켓부(100) 내주연에는 상기 소켓부(100)의 끝단에 제어턱(13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어턱(130)의 구성으로 타관의 삽입이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턱(130)과 상기 안치홈(110) 사이에는 제어턱(130)과 제어벽(111)에 의해 형성되는 연동공간부(140)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동공간부(140)의 형성으로 관이음 시공 후 상재하중 등의 작용하는 경우에 있어 삽입된 타관이 상기 연동공간부(140)에서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관 이음부분에 작용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링(200)은 일 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탄성력에 의해 내주연의 확장,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링(200)의 단면형상은 삽입되는 타관의 외주연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의 가압돌기(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압돌기(210)는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하되 거치대(1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소켓부(100) 입구 측에서 반대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며 경사끝단에서 직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하나 이상이 형성됨으로서 타관의 삽입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며, 삽입된 타관이 인장력의 작용으로 역삽입 되는 경우에는 가압돌기(210)의 마찰력으로 역 삽입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탈방지링(200)에 있어 타관의 끝단과 대향하는 면은 곡면(22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타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곡면(220)의 반대면은 평면(230)으로 구성하여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관의 삽입에 따라 이탈방지링(200)이 상기 거치대(120)의 경사면(121)에서 슬라이드 되어 안치홈(110)의 제어벽(111)에 상기 평면(230)이 접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 이탈방지링의 재질은 금속 재질 중 선택될 수 있으며, 수분에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 아연, 크롬 및 니켈계 초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켓부(100)의 내주연에는 패킹홈(150)이 더 구성되어 패킹(300)이 안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300)은 링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단면형상은 삽입되는 타관의 외주연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의 제어돌기(3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어돌기(310)는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하되 패킹홈(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소켓부(100) 입구 측에서 반대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며 경사끝단에서 직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하나 이상이 형성됨으로서 타관의 삽입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며, 삽입된 타관이 인장력의 작용으로 역 삽입 되는 경우에는 제어돌기(310)의 마찰력으로 역 삽입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소켓부는 사출성형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출성형법으로 제조된 파이프 일측 말단과 상기 소켓부의 일측 말단을 용융시킨 후 접합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의 제조예]
수산화알루미늄을 80℃에서 용해시켜 알루미늄 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제조한 다음, 수산화마그네슘 및 염화마그네슘의 6수화물의 수용액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반응기에 교반하며 적하시켰다. 탄산수소나트륨 및 탄산수소암모늄을 투입하고 pH 9 내지 10으로 조정하며 1 내지 2시간동안 교반한 후 수화된 반응물을 고압반응기에서 2 내지 8시간 180℃에서 반응시키고 2차로 나누어 필터링한 후 건조시켜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를 위해 투입하는 원료 물질은 마그네슘 이온, 알루미늄 이온 및 탄산 이온의 몰비 1:0.5:0.5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1]
재킷이 부착된 반응조 내에 순수를 채운 다음, 폴리염화비닐 100㎏, 아연-바륨 금속비누 1㎏,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 1kg, 평균입경 1㎛인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 1kg,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내부윤활제 0.3㎏, MBS계 충격보강제 3㎏, 몬탄산 왁스 외부윤활제 0.3㎏, PMMA계 가공조제 3㎏, 페놀류 산화방지제 0.3㎏, 살리실산 에스테르계 광안정제 0.3㎏, 아조계 유기안료 0.5㎏, 탄산칼슘 충전제 5㎏ 및 R-지당 2㎏의 수지조성물을 일괄 투입하고,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암모니움설페이트(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amonium sulphate) 1㎏ 첨가한 다음 반응조 내부를 감압하여 산소를 제거한 후, 질소로 대기를 채운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에 의해 충분히 유화시키고 중합반응조 내를 재킷으로 75℃까지 승온시킨 후 과류산 암모늄(ammonium persulphate)을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조 내의 압력이 4.5g/cm2에 도달되면 반응조를 냉각시키고 미반응의 물질을 제거한 다음 탈수건조하여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연-바륨 금속비누를 0.5㎏의 함량으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을 0.5㎏의 함량으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EDTA계 킬레이트제 0.2k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암모니움설페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 평균입경이 10㎛인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아연-바륨 금속비누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압출성형하여 통상적인 형태의 파이프를 제조하였다. 성형시 수지관의 냉각은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냉각하였다. 성형 30분이 경과한 파이프를 군별로 5개씩 채취하여 시료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인장항복강도시험, 비카트연화온도시험 및 낙추충격시험은 KS M 3401 법을 이용하여 결과값을 얻었다.
구분 인장항복강도
(Mpa)
비카트연화온도
(℃)
내충격성
실시예1 52 83.0 이상없음
실시예2 51 81.4 이상없음
실시예3 52 82.0 이상없음
실시예4 52 83.1 이상없음
실시예5 49 80.8 이상없음
실시예6 50 81.4 이상없음
비교예1 45 76.8 이상없음
비교예2 47 77.4 이상없음
비교예3 43 79.7 이상없음
상기 표 1을 보면, 실시예 1 내지 6의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 파이프는 KS 규격의 일반 수도용 경질 염화비닐관의 기준인 인장항복강도 43Mpa 이상, 비카트연화온도 76℃ 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면서 기준보다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금속비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 또는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제조되는 파이프의 연화온도 및 강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소켓부를 제조하고, 제조된 파이프 및 소켓부의 일단을 맞댄 상태로 용융 접합하여 소켓부 일체형 파이프를 제조하였다. 성형 30분이 경과한 파이프 및 소켓부를 접합하였으며, 접합시키고 1시간 경과 후 군별로 5개씩 채취하여 시료로 하고 접합부에 추를 낙하시켜 제조된 소켓부 일체형 파이프의 내충격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구분 내충격성
실시예1 이상없음
실시예2 이상없음
실시예3 이상없음
실시예4 이상없음
실시예5 이상없음
실시예6 이상없음
비교예1 이상있음
비교예2 이상있음
비교예3 이상있음
상기 표 2를 보면, 실시예 1 내지 6의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 소켓부 일체형 파이프는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6의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 파이프는 낙추충격시험 결과 외면 및 내면에 별다른 변화가 없이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냈고, 실시예 5의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 파이프는 접합부에서 부분적 백화가 발생하였으나 이상없음으로 판정받을 수 있는 파괴도 수준으로,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냈다. 비교예 1 및 2의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 소켓부 일체형 파이프는 접합부에서 외면 갈라짐 또는 외면과 내면 모두 갈라짐이 발생하고, 비교예 3의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 소켓부 일체형 파이프는 외면 갈라짐 및 백화가 발생하였다.
종래의 무독성 열안정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는 가공시 충분한 열안정성을 나타내기 어려워 제조되는 상하수관에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열손상으로 인한 강도저하 및 변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독성을 갖는 납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개선된 열안정 효과를 갖는 열안정제를 포함함으로써 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상하수관에서 강도저하 및 변색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소켓부 등을 일체형으로 하기 위한 접합공정 중 용융으로 인한 이차적 열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되는 상하수관이 균일하게 우수한 안정성 및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상하수관은 우수한 안정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며, 소켓부를 구비하여 현장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10 : 관
100 : 소켓부
110 : 안치홈
111 : 제어벽
120 : 거치대
121 : 경사면
122 : 제어테두리
123 : 돌출단
130 : 제어턱
140 : 연동공간부
150 : 패킹홈
200 : 이탈방지링
210 : 가압돌기
220 : 곡면
230 : 평면
300 : 패킹
310 : 제어돌기

Claims (7)

  1.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아연-바륨계 금속비누 0.5 내지 5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 0.5 내지 5 중량부,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 0.1 내지 5 중량부, 충격보강제 1 내지 5 중량부, 활제 0.01 내지 5 중량부 및 가공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EDTA), 갈산 복합물, 갈로타닌산, 피로갈롤산, 히드록시에틸리덴디포스폰산2나트륨,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0.1 내지 1 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상기 아연-바륨계 금속비누는 아연 이온 및 바륨 이온을 1:0.5 내지 5의 몰비로 포함하는 무기화합물 및 탄소수 10 내지 20인 지방족 카르복실산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은 마그네슘 이온의 마그네슘원으로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염화마그네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은 알루미늄 이온의 알루미늄원으로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및 염화알루미늄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알루미늄-탄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유사물은 탄산 이온의 탄산원으로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탄산수소 암모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아린산 코팅 탄산칼슘은 평균입경이 0.1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용 수지 조성물.
  6. 삭제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지 조성물로 가공성형되는 상하수관.
KR1020160146697A 2016-11-04 2016-11-04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KR101756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97A KR101756895B1 (ko) 2016-11-04 2016-11-04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97A KR101756895B1 (ko) 2016-11-04 2016-11-04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426A Division KR101688112B1 (ko) 2016-06-29 2016-06-29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895B1 true KR101756895B1 (ko) 2017-07-12

Family

ID=5935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697A KR101756895B1 (ko) 2016-11-04 2016-11-04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8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9112A (ja) * 2001-04-13 2002-10-23 Shiraishi Kogyo Kaisha Ltd 板状炭酸カルシウムを含む含塩素高分子化合物組成物
KR100735594B1 (ko) * 2003-07-10 2007-07-04 아르끄마 프랑스 염소-함유 중합체용 안정화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9112A (ja) * 2001-04-13 2002-10-23 Shiraishi Kogyo Kaisha Ltd 板状炭酸カルシウムを含む含塩素高分子化合物組成物
KR100735594B1 (ko) * 2003-07-10 2007-07-04 아르끄마 프랑스 염소-함유 중합체용 안정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801B1 (ko) 무광택 표면을 갖는 압출 성형된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 및 성형 재료의용도
JP4795685B2 (ja) 過酸化物硬化性フルオロエラストマー
WO2017057512A1 (ja) 含フッ素弾性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架橋ゴ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74577A (ja) 塩化ビニル樹脂三層管
KR101868206B1 (ko) 염화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KR101688112B1 (ko)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KR101756895B1 (ko)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KR101705683B1 (ko)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무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KR101070584B1 (ko)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KR101057317B1 (ko) 장기보관성이 개선된 염화비닐계 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JP7078415B2 (ja) 成形用樹脂組成物
JP4079728B2 (ja) 更生管用塩素化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更生管
JP2008063424A (ja)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用添加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53207B1 (ko)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
JP6048114B2 (ja) フッ素ゴム組成物
JP3220509B2 (ja) 架橋用組成物
JP6795709B2 (ja) 窓枠用塩素化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窓枠部材
JP4171280B2 (ja) 硬質塩化ビニル系樹脂管
CN113614121B (zh) 氯化聚氯乙烯系树脂
JPH09292063A (ja) 可撓性・耐衝撃性に優れたパイプ及び継手
JP2000328844A (ja) 窓枠用樹脂組成物及び窓枠
JP2000028044A (ja) 波付管
JP2003301971A (ja) 硬質塩化ビニル系樹脂管
JP6918488B2 (ja) 補強シート
JP6705671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