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207B1 -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 - Google Patents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207B1
KR101453207B1 KR1020130111838A KR20130111838A KR101453207B1 KR 101453207 B1 KR101453207 B1 KR 101453207B1 KR 1020130111838 A KR1020130111838 A KR 1020130111838A KR 20130111838 A KR20130111838 A KR 20130111838A KR 101453207 B1 KR101453207 B1 KR 101453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stabiliz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헌
김낙주
송현진
임윤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리
Priority to KR1020130111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배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CPVC 레진에 첨가제로 안정제, 충진제, 지당, 가공조제, 충격보강제, 활제, 난연보강제, 자외선방지제 및 색소를 포함시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용 조성물은, 단층형 소방배관 제조시 금형에 탄화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난연성 및 불량률 감소와 가공성 향상 및 압출량이 상승되며 가공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물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COMPOSITION FOR A MONO-LAYER FIRE PIPE AND MONO-LAYER FIRE PIPE FORMED BY U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관 등에 사용되는 폴리염화 비닐(Polyvinyl chloride, 이하 PVC)관은 고압을 견뎌내야 하나 인장강도나 내충격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염화비닐 수지(PVC)는 저렴한 가격에 비해 물리, 화학적 성질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내열성,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에 취약하고 열변형이나 시간이 경과하면 변색되는 등의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열안정제, 가공조제, 자외선방지제, 충격보강제, 충진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C-PVC는 염소 함량이 일반 PVC에 비해 67~73% 더 많고, 내열 온도 55~60℃의 일반 PVC에 비해, 내열온도가 100~103℃를 가지고 있다. 또한, C-PVC는 내열성 경질 염화비닐관(한국산업표준 : KSM3414) 및 이음관(한국산업표준: KSM3415)으로서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HT-PVC(High Temp-PVC), PVC-C로서 불러지기도 한다.
C-PVC는 NSF(국제 공중위생재단)에서 식수용 배관으로 승인 인증 받았고, 재료 자체가 박테리아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인체나 생태계에 전혀 무해 하고, 화재시 자체 소화력이 있고, 내부 부식과 스케일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최근 C-PVC는 소방배관의 소재로 널리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C-PVC가 가지고 있는 높은 내열성에도 불구하고, 제조에 있어 금형(metallic pattern) 탄화 현상이 심하게 일어나 1주일에 한번 이상 금형을 청소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어, 제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난연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것뿐만 아니라, 금형 탄화 현상이 해소될 수 있는 새로운 C-PVC 소방배관용 조성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C-PVC 레진에 안정제, 충격보강제, 난연보강제 및 활제 등을 포함시켜, 안정제로 인해 금형탄화 발생을 해소하고, 충격보강제와 활제로 인해 불량률 감소와 가공성 향상 및 압출량이 상승되며, 난연보강제의 사용으로 난연성이 보다 크게 향상되는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소방배관용 조성물로서, 중합도가 700~1,100인 클로리네이티드폴리염화비닐(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이하 C-PVC)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4~12 중량부를 함유하는 소방배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격보강제 5~15 중량부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연보강제 0.1~5 중량부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연보강제 0.1~5 중량부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진제 0초과 15이하 중량부, 지당 0초과 5이하 중량부, 가공조제 0초과 5이하 중량부, 활제 0초과 5이하 중량부, 자외선방지제 0초과 5이하 중량부, 및 색소 0초과 5이하 중량부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안정제는 Ca(칼슘)계 안정제, Ca-Zn(칼슘-아연)계 안정제, 및 Tin(틴)계 안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안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안정제는 Ca(칼슘)계 안정제 1.5~4 중량부, Ca-Zn(칼슘-아연)계 안정제 1.0~3 중량부, 및 Tin(틴)계 안정제 1.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충격보강제는 MBS(Methyl Methacrylate-Butadiene Styrene) 계열 충격보강제, CPE(chlorinated polyethylene)계열 충격보강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계열 충격보강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성비에 따른 소방배관용 조성물은 C-PVC 레진에 안정제, 충격보강제, 난연보강제 및 활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 안정제로 인해 금형탄화 발생을 해소하고, 충격보강제와 활제로 인해 불량률 감소와 가공성 향상 및 압출량이 상승되며, 난연보강제의 사용으로 난연성이 보다 크게 향상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 소방 배관들에 비하여 뛰어난 성능을 가지는 단층형 소방배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단층형 소방 배관의 도면이다(L : 배관 길이, t : 두께 d : 내경, D : 외경).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1, 2, 3의 인장항복강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1, 2, 3의 일일생산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C-PVC 레진을 사용한 소방 배관 제조에 있어서, 금형 탄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탄화 현상이란 재료가 열분해나 불완전 연소를 일으켜서 각종 연소 생성물들을 발생한 다음에 탄소가 남는 현상으로, 재료가 가열되어 검게 탄 상태로 남게 된다. 즉, 금형 탄화 현상은 배관이 제조되는 금형에 검은 재가 남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금형 탄화 현상이 발생할 경우, 배관 표면에 그을린 흔적이 남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까지 저하시키게 된다. 종래 소방배관용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금형 탄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한 연소 생성물들을 자주 금형청소를 해주어야만 했다. 이로 인해 소방 배관 제조 공정의 연속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었는데, 금형 탄화 현상에 의해 공정의 연속성이 떨어지면, 생산량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금형에 붙은 탄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금형청소를 하기 위하여 별도의 화합물을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 또한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금형 탄화 현상을 극복하는 동시에, 난연성, 가공성, 생산성 및 물성이 향상된 소방 배관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C-PVC 및 첨가제의 최적의 조성 비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용 조성물의 조성 비율은 하기 표 1과 같다.
자 재 명 중 량 부 비 고
C-PVC 레진 100.00 *H-Mixer 작업온도 : 130℃

*C-Blander 작업온도 : 50℃
안정제 4 ~ 12
충진제 0초과 ~ 15이하
지당(백색안료) 0초과 ~ 5이하
가공조제 0초과 ~ 5이하
충격보강제 5 ~ 15
활제 0초과 ~ 5이하
난연보강제 0.1 ~ 5
자외선방지제 0초과 ~ 5이하
색소 0초과 ~ 5이하
즉 본 발명은, 소방배관용 조성물로서, 중합도가 700~1,100인 클로리네이티드폴리염화비닐(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이하 C-PVC)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4~12 중량부를 함유하는 소방배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C-PVC 레진은 중합도가 700~1,100일 수 있다. 상기 중합도란 고분자를 구성하는 반복된 단위(단위체 또는 monomer)의 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안정제는 C-PVC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12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안정제는 바람직하게는 Ca(칼슘)계 안정제, Ca-Zn(칼슘-아연)계 안정제, 및 Tin(틴)계 안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안정제가 사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a(칼슘)계 안정제 1.5 내지 4 중량부, Ca-Zn(칼슘-아연)계 안정제 1.0 내지 3 중량부 및 Tin(틴)계 안정제 1.5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Ca(칼슘)계 안정제 및 Ca-Zn(칼슘-아연)계 안정제의 혼합물 2.5 내지 7 중량부 및 Tin(틴)계 안정제 1.5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Ca(칼슘)계 안정제와 Ca-Zn(칼슘-아연)계는 2: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Tin(틴)계 안정제는 액상형 또는 분말형으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틴계 안정제를 액상형으로 사용하면, 작업 과정에서 생성되는 분진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사용량 또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안정제는 가공을 위해 가해지는 열에 의한 C-PVC 레진의 탄화를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안정제는 수득되는 제품의 내후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안정제가 4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열안정성이 저하되어 가공 중에 탄화가 자주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레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충격보강제 5 내지 15 중량부를 더 함유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로는 MBS(Methyl Methacrylate-Butadiene Styrene), CPE(chlorinated polyethylene)계열 충격보강제, 및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계열 충격보강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PVC 레진 및 안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난연보강제를 0.1 내지 5 중량부 더 함유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중량부 사용되며, 난연보강제를 첨가함으로서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PVC 레진, 안정제, 및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난연보강제를 0.1 내지 5 중량부 더 함유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중량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난연보강제로 Elkem 사의 Sidistar®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이 제품은 고분자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난연보강제는 SiO2 96%, H2O 0.8%, Fe2O3 0.25%를 포함하고 있고, 표면적 20m2/g, 평균 입자 크기는 0.15μm, 비중 2.2g/cm3 인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C-PVC에 난연보강제로 Sidistar®을 사용함으로서, 난연성을 보다 극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들은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로는 통상의 탄산칼슘을 C-PVC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초과 15이하의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충진제의 종류가 탄산칼슘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그 중량부 또한 변형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충진제가 0.2 내지 0.6 중량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들은 지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당은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으로, C-PVC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초과 5이하의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지당은 백색안료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들은 가공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조제는 C-PVC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초과 5이하의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공조제는 배관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성형 공정 등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5 중량부보다 더 사용될 경우 강도가 저하될 수도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0.5 내지 1.5 중량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들은 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C-PVC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초과 5이하의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외부 활제로 파라핀왁스, AC-316, LC-102N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활제는 성형시 유동성 및 이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C-PVC 간의 마찰열이 과하게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최적의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들은 자외선 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외선 방지제를 0초과 5이하 중량부 이용될 수 있고, 색소는 0초과 5이하 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들을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방배관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층형의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C-PVC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Ca, Ca-Zn(칼슘-아연)계 안정제 3.50 중량부, Tin(틴)계 안정제 4.80 중량부, 충진제 0.45 중량부, R-지당 1.30 중량부, 가공조제(PA-828) 1.10 중량부, 충격보강제 9.56 중량부, 난연보강제-SIDISTAR 0.45 중량부, 색소 0.90 중량부, 자외선방지제 0.010 중량부, 활제 1.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단층형 소방 배관을 제조한 결과, 우수한 물성과 인장 항복강도를 가지고 있고, 일일 생산량 또한 크게 오르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참조).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의 조성 비율로 제조된 단층형 소방배관이, 소방배관으로서 최적의 품질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본원 발명의 합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C-PVC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Ca(칼슘), Ca-Zn(칼슘-아연)계 안정제 3.50 중량부(Ca계 안정제:Ca-Zn계 안정제를 2:1로 혼합), Tin(틴)계 안정제(액상형) 4.80 중량부, 충진제 0.45 중량부, R-지당 1.30 중량부, 가공조제(PA - 828) 1.10 중량부, 충격보강제 9.56 중량부, 난연보강제-SIDISTAR 0.45 중량부, 색소 0.90 중량부, 자외선방지제 0.010 중량부, 활제 1.60 중량부로 구성된 소방배관 제조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단층형 소방 배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단층형 소방배관의 충격강도는 3kg 추를 1m 높이에서 떨어뜨려 측정한 결과, 5개 중 5개 모두 손상을 입지 않았고, 인장항복강도는 56 MPa였다. 또한, 일일 생산량이 1,860kg으로, 제품의 원활한 생산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고, 물성 및 난연성이 향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일생산량의 산출 근거 - 압출기 50mm로 소방배관 25mm 생산시 24시간 가동하여 길이 4M(1본)로 생산하면 ; 무게가 4M(1본)당 1.6Kg, 일일 생산 갯수는 1,162.5EA 생산으로 일일생산량은 1.6 × 1,162.5 = 1,860Kg 임.)
실시예 2. 조성 비율에 따른 충격강도, 인장항복강도 및 일일생산량 비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의 조성 비율에 따른 충격강도, 인장항복강도 및 일일생산량을 비교해보았다. 인장항복강도는 23℃에서 측정되었다.
하기 표 2는 비교예 1의 조성물 데이터이다.
자 재 명 중 량 부 비 고
C-PVC 레진 100.00 H-Mixer 작업온도 : 130℃
C-Blander 작업온도: 50℃
* Ca계 안정제:Ca-Zn계 안정제는 2:1로 혼합
Ca, Ca-Zn계 안정제 2.56
Tin계 안정제 1.91
1T (충진제) 0.85
R-지당 0.64
PA-828 (가공조제) 1.91
난연보강제 - SIDISTAR 0.20
충격보강제 11.06
색소 0.43
자외선방지제 0.01
활제 1.41
제조된 비교예 1의 충격강도는 3kg 추를 1m 높이에서 떨어뜨려 측정한 결과, 5개 중 3개가 손상을 입지 않았고, 인장항복강도는 50 MPa였다. 또한, 일일 생산량이 850 kg이었다.
하기 표 3은 비교예 2의 조성물 데이터이다.
자 재 명 중 량 부 비 고
C-PVC 레진 100.00 H-Mixer 작업온도 : 130℃
C-Blander 작업온도: 50℃
* Ca계 안정제:Ca-Zn계 안정제는 2:1로 혼합
Ca, Ca-Zn계 안정제 1.60
Tin계 안정제 2.85
1T (충진제) 0.65
R-지당 0.85
PA-828 (가공조제) 1.90
난연보강제 - SIDISTAR 0.50
충격보강제 11.00
색소 0.63
자외선방지제 0.01
활제 1.35
제조된 비교예 2의 충격강도는 3kg 추를 1m 높이에서 떨어뜨려 측정한 결과, 5개 중 4개가 손상을 입지 않았고, 인장항복강도는 53 MPa였다. 또한, 일일 생산량이 900 kg이었다.
하기 표 4는 비교예 3의 조성물 데이터이다.
자 재 명 중 량 부 비 고
C-PVC 레진 100.00 H-Mixer 작업온도 : 130℃
C-Blander 작업온도: 50℃
* Ca계 안정제:Ca-Zn계 안정제는 2:1로 혼합
Ca, Ca-Zn계 안정제 3.10
Tin계 안정제 1.50
1T (충진제) 0.65
R-지당 0.85
PA-828 (가공조제) 1.90
난연보강제 - SIDISTAR 1.00
충격보강제 11.05
색소 0.65
자외선방지제 0.01
활제 1.55
제조된 비교예 3의 충격강도는 3kg 추를 1m 높이에서 떨어뜨려 측정한 결과, 5개 중 2개가 손상을 입지 않았고, 인장항복강도는 52 MPa였다. 또한, 일일 생산량이 950 kg이었다.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2, 및 3의 충격강도를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충격강도
실시예 1 5개/5개
비교예 1 3개/5개
비교예 2 4개/5개
비교예 3 2개/5개
상기와 같이, 실시예 1의 충격강도 실험 결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인장항복강도(MPa) 및 일일생산량(kg/day)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인장항복강도 또한 실시예 1이 가장 우수하였고,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의 일일생산량은 비교예들에 비해 약 2배 정도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9)

  1. 소방배관용 조성물로서, 중합도가 700~1,100인 클로리네이티드폴리염화비닐(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이하 C-PVC)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Ca(칼슘)계 안정제 1.5~4 중량부, Ca-Zn(칼슘-아연)계 안정제 1.0~3 중량부, Tin(틴)계 안정제 1.5~5 중량부, 충격보강제 9.56 중량부, 및 SiO2와 Fe2O3를 포함하는 난연보강제 0.45 중량부를 함유하는 소방배관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진제 0초과 15이하 중량부, 지당 0초과 5이하 중량부, 가공조제 0초과 5이하 중량부, 활제 0초과 5이하 중량부, 자외선방지제 0초과 5이하 중량부, 및 색소 0초과 5이하 중량부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MBS(Methyl Methacrylate-Butadiene Styrene) 계열 충격보강제, CPE(chlorinated polyethylene)계열 충격보강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계열 충격보강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용 조성물.
  9. 제 1항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
KR1020130111838A 2013-09-17 2013-09-17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 KR10145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838A KR101453207B1 (ko) 2013-09-17 2013-09-17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838A KR101453207B1 (ko) 2013-09-17 2013-09-17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207B1 true KR101453207B1 (ko) 2014-10-22

Family

ID=5199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838A KR101453207B1 (ko) 2013-09-17 2013-09-17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411B1 (ko) * 2020-04-08 2020-06-16 유영화학(주)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3105B2 (ko) * 1981-05-30 1991-07-01 Fuji Heavy Ind Ltd
JP3043105B2 (ja) 1991-06-07 2000-05-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イプ
JP2000352483A (ja) * 1999-04-08 2000-12-19 Sekisui Chem Co Ltd 耐熱塩化ビニル系樹脂管
JP2002284950A (ja) 2001-03-26 2002-10-03 Sekisui Chem Co Ltd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3105B2 (ko) * 1981-05-30 1991-07-01 Fuji Heavy Ind Ltd
JP3043105B2 (ja) 1991-06-07 2000-05-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イプ
JP2000352483A (ja) * 1999-04-08 2000-12-19 Sekisui Chem Co Ltd 耐熱塩化ビニル系樹脂管
JP2002284950A (ja) 2001-03-26 2002-10-03 Sekisui Chem Co Ltd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411B1 (ko) * 2020-04-08 2020-06-16 유영화학(주)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6786B (zh) 热塑性含氟聚合物组合物
WO2014203727A1 (ja) 加工助剤、及び組成物
KR100981118B1 (ko) 삼중벽 내충격 상수도관
TW212193B (ko)
KR101868206B1 (ko) 염화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EP2894196B1 (en) Rigid ipvc pipe resin composition and rigid ipvc pipe, with excellent stiffness and resistance to water pressure
KR101218405B1 (ko) 삼층형 폴리염화 비닐관
KR101453207B1 (ko)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
KR101453208B1 (ko) 삼층형 소방배관
US10119012B2 (en) Flame-retarded polyolefin polymer composition with reduced antimony trioxide content
CN104448607A (zh) 一种高防火pvc-u管及其制备方法
KR100976805B1 (ko) 수도관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5926B1 (ko) 염소화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1218406B1 (ko)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62307B1 (ko) 염소화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성형품
JP2006199801A (ja) 塩素化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CN102532764A (zh) 一种氯化聚氯乙烯管材及其制备方法
CN107118415A (zh) 一种石墨烯阻燃pe管的制备方法
CN107141590A (zh) 一种阻燃塑料粒子
KR101688112B1 (ko)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KR101000302B1 (ko)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JP7224759B2 (ja) 管材及び配管システム
TWI841720B (zh) 氯化氯乙烯系樹脂
JP7103784B2 (ja) 管材及び配管
KR101310395B1 (ko) 파형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