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406B1 -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406B1
KR101218406B1 KR1020120066356A KR20120066356A KR101218406B1 KR 101218406 B1 KR101218406 B1 KR 101218406B1 KR 1020120066356 A KR1020120066356 A KR 1020120066356A KR 20120066356 A KR20120066356 A KR 20120066356A KR 101218406 B1 KR101218406 B1 KR 10121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mpact modifier
resin composition
polyvinyl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이상헌
김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리
Priority to KR102012006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 C08K2003/2272Ferric oxide (Fe2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칼슘 함량이 PVC 레진 100중량부당 5~50 중량부로 높으면서도 이산화실리콘 충진제와 분산활제를 함유하여 높은 인장강도와 충격강도, 장기간 보관시의 제품변형과 제품의 탈색 등의 문제가 없는 관을 만들 수 있는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단가가 훨씬 낮으면서도 견고한 관을 제조하여 수도관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SYNTHETIC RESIN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산칼슘 함량이 높으면서도 이산화실리콘 충진제를 함유하여 높은 인장강도와 충격강도, 장기간 보관시의 제품변형과 제품의 탈색 등의 문제가 없는 관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관 등에 사용되는 폴리염화 비닐(Polyvinyl chloride, 이하 PVC)관은 고압을 견뎌내야 하나 인장강도나 내충격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지관을 내층, 중심층 및 외층을 갖는 삼중관으로 형성하고, 또한 각층의 수지 성분이나 수지의 조성비율을 달리하여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삼중관은 인장 강도나 내충격 강도가 약한 경우 수압이나 외압에 의한 변형을 초래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염화비닐 수지(PVC)는 저렴한 가격에 비해 물리, 화학적 성질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내열성,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에 취약하고 열변형이나 시간이 경과하면 변색되는 등의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열안정제, 가공조제, 자외선방지제, 충격보강제, 충진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탄산칼슘(화학식 CaCO₃)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염 중에서 가장 많다. 일반적으로 무색의 결정 또는 백색 고체로, 비중 2.93이며, 825 ℃에서 분해한다.
탄산칼슘은 값이 싸고, 비중도 크지 않아 공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즉, 석회석 ·대리석으로서 시멘트의 주원료, 산화칼슘의 원료, 제철 ·건축재료 등의 각종 중화제(中和劑)로서 사용된다. 또, 호분은 백색 안료 ·수성도료에, 침강 탄산칼슘은 안료 ·도료 ·치약 등에 사용되며, 고무에도 보강제로서 배합된다.
이러한 탄산칼슘을 충진제로 사용하는 경우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나, 탄산칼슘의 함량이 높아지면 관의 인장 강도 및 충격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탄산칼슘의 함량을 높이면서도 높은 인장강도와 충격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관의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탄산칼슘 함량이 레진 100중량부에 대해 5~50중량부로 기존 발명보다 높으면서도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가 함유되어, 생산 단가가 크게 낮아지면서도 높은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을 유지하는 함성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염화 비닐관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PVC 레진과 탄산칼슘 충진제와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PVC레진, 안정제, 탄산칼슘 충진제, 지당, 가공조제, MBS계(Methyl Methacrylate-Butadiene Styrene), CPE계(chlorinated polyethylene)와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로 조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 조성물은 탄산칼슘 충진제 함량이 기존의 관보다 현저히 높으면서도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로 인해 높은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이 유지된다. 또한 장기간 보관시의 제품변형과 제품의 탈색 등의 문제가 없으며, 단가가 훨씬 낮으면서도 견고한 관을 제조하여 수도관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비교예 1 내지 3의 인장항복강도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비교예 1 내지 3의 IZOD 충격 강도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조성물의 조성 비율은 표 1과 같다.
자재명 중량부 비고
레진(Resin) 중합도(800~1,200) 100.00 * H-Mixer 작업온도: 80~160℃
*C-Blander 작업온도: 0~60℃
비납계 안정제 2~5.0
탄산칼슘 충진제 5~50
지당(백색안료) 0.1~2.0
가공조제 0.1~3.0
충격보강제-CPE 계열 도합 0.01~5.0
충격보강제-MBS 계열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
활제(분산제계열) 0.01~3.0
상기 PVC(Poly Vinyl Chloride) 레진의 평균 중합도는 800~1,200의 범위 내인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VC 레진의 중합도가 800 미만으로 되는 경우,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200을 초과하는 경우, 일반적인 가공온도에서 가공이 어려우며, 가공온도를 높일 경우, 열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의 PVC 레진은 염화 비닐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 비닐 단량체 및 염화 비닐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혼합물을 공지의 방법으로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레진으로 상기 염화 비닐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초산 비닐 등의 알킬 비닐 에스테르류 ;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모노올레핀류 ; 염화비닐리덴 ;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안정제로는 납(Pb)계를 제외한 통상의 Ca의 유기산 금속염 및 Zn의 유기산 금속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복합 열안정제를 2~5.0 중량부 사용한다. 상기의 복합 열안정제는 가공을 위해 가해지는 열에 의한 PVC 레진의 탄화를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복합 열안정제는 수득되는 제품의 내후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복합 열안정제가 2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열안정성이 저하되어 가공 중에 탄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충격보강제로는 MBS(Methyl Methacrylate-Butadiene Styrene), CPE(chlorinated polyethylene)계열 충격보강제 및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용한 것을 0.01~5.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충진제로는 통상의 탄산칼슘을 5~50 중량부를 사용한다. 지금까지의 합성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탄산칼슘 충진제는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탄산칼슘을 충진제로 사용하는 경우 가격이 저렴하고 견고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를 5중량부 이상 사용할 경우 물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고 충격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탄산칼슘 충진제를 5~50중량부 사용하면서도 활제,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여 인장강도와 충격강도를 높게 유지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는 Elkem 사의 Sidistar?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이 제품은 고분자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혼합과정에서 모든 혼합물 성분의 분산성을 개선시켜주고 완제품에 균형잡힌 물리적 성질을 이끌어 내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내부 마찰을 줄여주고 수지 흐름을 좋게 하여 압출능력과 사출 속도를 높여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 강도를 높이는 데에도 기여한다. 상기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는 SiO₂96%, H2O 0.8%, Fe2O₃ 0.25%를 포함하고 있고, 표면적 20m2/g, 평균 입자 크기는 0.15μm, 비중 2.2g/cm³ 인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본원 발명에 사용되는 활제는 Lubrizol사의 Solplus DP710?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이 활제는 탄산칼슘 충진제의 비율을 높이면서도 PVC 관의 충격강도 및 인장 강도를 높게 유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다. 상기 활제는 20℃에서의 부피 밀도가 0.61g/cm³, 녹는점이 79℃인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원 발명의 합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PVC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납계 안정제 2~5.0 중량부, 탄산칼슘(CaCO₃)충진제 5~50 중량부, 지당 0.1~2.0 중량부, 가공조제 0.1~3.0 중량부, CPE(chlorinated polyethylene) 계열 충격보강제, MBS(Methyl 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 계열 충격보강제 및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충격보강제 0.01~5.0 중량부 및 활제 0.01~3.0 중량부로 구성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기존 합성수지 조성물의 조성 비율 및 인장항복강도와 IZOD 충격 강도
표 2는 기존 합성수지 조성물 DATA이다.
자재명 중량부 비고
레진(Resin) 중합도(800~1,200) 100.00 * H-Mixer 작업온도: 125℃
*C-Blander 작업온도: 50℃
비납계 안정제 3.4
탄산칼슘 충진제 2.0
지당(백색안료) 0.8
가공조제 1.0
충격보강제-CPE 계열 6.2
충격보강제-MBS 계열 0.8
활제(분산제) 0.6
총량 114.8
이 때의 인장항복강도는 43 이상, IZOD 충격강도는 30 이상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조성비율에 따른 인장항복강도 및 충격강도 비교
표 3은 비교예 1의 조성물 DATA이다.
자재명 투입량(중량부) 비고
레진(Resin) 중합도(800~1,200) 100.0 *H-Mixer 작업온도: 125℃
*C-Blander 작업온도: 50℃
비납계 안정제 4.9
탄산칼슘 충진제 54.3
지당 0.8
가공조제 0.8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 0.6
총량 161.4
표 4는 비교예 2의 조성물 DATA이다.
자재명 투입량(중량부) 비고
레진(Resin) 중합도(800~1,200) 100.0 *H-Mixer 작업온도: 125℃
*C-Blander 작업온도: 50℃
비납계 안정제 3.90
탄산칼슘 충진제 34.10
지당 0.70
가공조제 1.00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 0.50
총량 140.2
표 5는 비교예 3의 조성물 DATA이다.
자재명 투입량(중량부) 비고
레진(Resin) 중합도(800~1,200) 100.0 *H-Mixer 작업온도: 125℃
*C-Blander 작업온도: 50℃
비납계 안정제 3.33
탄산칼슘 충진제 22.22
지당 0.67
가공조제 0.67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 0.22
총량 127.1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교예 1 내지 3의 합성수지 조성물을 각각 40~125℃로 Heating Mix(H-Mixer) 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시편제작 압출기에서 압출 성형하여 시험시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험시편의 인장강도 및 IZOD 충격값을 시험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인장강도는 23℃에서 측정되었다.
시험 항목 기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IZOD충격 강도 30.0 이상 23.6 27.8 31.4
인장 항복 강도 43 Mpa 이상 32 Mpa 40 Mpa 44.1 Mpa
표 6에 의하면, 본원 발명인 비교예 3이 인장항복강도나 IZOD 충격강도가 탄산칼슘함량이 높은데도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5)

  1.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 폴리염화비닐수지(PVC, Polyvinyl chloride)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로 안정제 2~5.0 중량부, 탄산칼슘 충진제 16~40 중량부, 지당 0.1~2.0 중량부, 가공조제 0.1~3.0 중량부, 충격보강제 0.01~5.0 중량부 및 분산 활제 0.01~3.0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충격보강제는 CPE 계열 충격보강제, MBS 계열 충격보강제 및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충격보강제인,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PVC레진의 중합도가 800 내지 1,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칼슘(Ca)의 유기산 금속염 및 아연(Zn)의 유기산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복합안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 실리콘 충격보강제는 SiO₂96%, H2O 0.8%, 및 Fe2O₃ 0.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이산화실리콘 충격보강제 0.01~1.0 중량부를 포함하고, CPE 계열 충격보강제와 MBS 계열 충격보강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4 중량부 이하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KR1020120066356A 2012-06-20 2012-06-20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1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356A KR101218406B1 (ko) 2012-06-20 2012-06-20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356A KR101218406B1 (ko) 2012-06-20 2012-06-20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406B1 true KR101218406B1 (ko) 2013-01-04

Family

ID=4784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356A KR101218406B1 (ko) 2012-06-20 2012-06-20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4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317B1 (ko) * 2015-07-28 2016-11-07 윤열 부표보호용 침적형 pvc수지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KR101960771B1 (ko) * 2018-12-06 2019-05-24 (주)고비 삼중벽관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수지 삼중벽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160B1 (ko) 1997-10-14 2000-02-01 전영식 초저온 예비경화 피브이시졸
KR101013730B1 (ko) 2010-09-02 2011-02-14 원진테크 주식회사 Pvc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연 가요전선관
KR20120006231A (ko) * 2010-07-12 2012-01-18 주식회사 고리 중심층에 c-pvc를 함유하는 3층 구조 내충격 상수도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160B1 (ko) 1997-10-14 2000-02-01 전영식 초저온 예비경화 피브이시졸
KR20120006231A (ko) * 2010-07-12 2012-01-18 주식회사 고리 중심층에 c-pvc를 함유하는 3층 구조 내충격 상수도관
KR101013730B1 (ko) 2010-09-02 2011-02-14 원진테크 주식회사 Pvc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연 가요전선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317B1 (ko) * 2015-07-28 2016-11-07 윤열 부표보호용 침적형 pvc수지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KR101960771B1 (ko) * 2018-12-06 2019-05-24 (주)고비 삼중벽관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수지 삼중벽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405B1 (ko) 삼층형 폴리염화 비닐관
KR102188216B1 (ko) 염소화 염화비닐계 수지를 함유하는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WO2016013638A1 (ja) 成形用樹脂組成物
EP2894196B1 (en) Rigid ipvc pipe resin composition and rigid ipvc pipe, with excellent stiffness and resistance to water pressure
CN105885288B (zh) 一种用于聚氯乙烯的辅助热稳定剂及其制备方法
KR101239843B1 (ko)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KR102152066B1 (ko) 액상 및 분말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 및 이를 포함하는 pvc 수지 조성물
KR101218406B1 (ko)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10119012B2 (en) Flame-retarded polyolefin polymer composition with reduced antimony trioxide content
KR100976805B1 (ko) 수도관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448607A (zh) 一种高防火pvc-u管及其制备方法
KR101212456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합성수지관
KR100786773B1 (ko) 인장강도 및 내후성을 향상시킨 고강도 파이프 제조용수지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 파이프
TW201920436A (zh) 射出成形用樹脂組成物
WO2008062560A1 (fr) Composition de résine à base de chlorure de vinyle exempt de plomb et objet extrudé à base de chlorure de vinyle exempt de plomb
KR101298664B1 (ko) 석고를 포함하는 고강도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그로부터 제조된 유체 파이프
KR101565317B1 (ko) 3중벽구조를 갖는 수도관 및 하수관
CN104262828A (zh) 一种耐油电缆料及其制备方法
KR101726952B1 (ko) 상하수도용 합성수지 파이프의 수지 조성물
KR102658860B1 (ko)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JP2009144090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20170036230A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처리용 분리막
KR101241102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지관
KR101919587B1 (ko) 드레인 벨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4234621A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