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843B1 -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843B1
KR101239843B1 KR1020120072663A KR20120072663A KR101239843B1 KR 101239843 B1 KR101239843 B1 KR 101239843B1 KR 1020120072663 A KR1020120072663 A KR 1020120072663A KR 20120072663 A KR20120072663 A KR 20120072663A KR 101239843 B1 KR101239843 B1 KR 101239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ynthetic resin
ethylene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거희
정재원
정한기
박점옥
조규홍
이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12007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08K3/14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부, 염소화폴리염화비닐 20 내지 60 중량부, 안정제 2 내지 6 중량부, 가공조제 1 내지 7중량부, 금속비누 0.1 내지 3.0 중량부, 윤활제 0.1 내지 2.0 중량부, 충전제 1 내지 4중량부, 충격보강제 15 내지 30중량부 및 항균제 0.01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보강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합성수지관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Synthe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Synthetic Resin Pipe U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혼합된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대부분이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수지를 압출시켜 제조된다.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낮은 마찰저항, 내약품성, 전기절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볍고 시공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편이어서 파이프, 건축자재, 전선피복, 필름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염화비닐계 합성수지관은 고운 및 저온에서 강도가 저하되며, 장기간 직사광선을 받을 경우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단점이 있어서, 난방 등의 고온배관에는 사용이 제한되며 노천에 장기간 적재 시 직사광선 및 기후 등의 온도변화에 따라 변색되거나, 물성이 열화되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지조성물에 열안정제 등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내열성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있으나, 내열성을 증가시키면 강도가 낮아지고, 강도를 보완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등 염화비닐계 합성수지관의 제반물성 개선에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내충격성이 개선할 수 있도록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혼합된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부, 염소화폴리염화비닐 20 내지 60 중량부, 안정제 2 내지 6 중량부, 가공조제 1 내지 7중량부, 금속비누 0.1 내지 3.0 중량부, 윤활제 0.1 내지 2.0 중량부, 충전제 1 내지 4중량부, 충격보강제 15 내지 30중량부 및 항균제 0.01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보강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에틸렌/부텐, 에틸렌/헥센, 에틸렌/옥텐,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및 에틸렌/부텐/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충격보강제는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가 2 : 2.5 : 5.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충격보강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가 2 : 2.5 : 5.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천연 칼슘카보네이트는 0.7 내지 1㎛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이상에서 각각 기술된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관은 인장강도가 500 내지 600 kgf/㎠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염화비닐은 중합도가 500 내지 25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혼합한 충격보강제를 이용하여 수지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기계적인 강도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은 제반물성이 향상되면서 양호한 외관과 성형성이 우수하여 여러 용도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부, 염소화폴리염화비닐 20 내지 60 중량부, 안정제 2 내지 6 중량부, 가공조제 1 내지 7중량부, 금속비누 0.1 내지 3.0 중량부, 윤활제 0.1 내지 2.0 중량부, 충전제 1 내지 4중량부, 충격보강제 15 내지 30중량부 및 항균제 0.01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에틸렌/부텐, 에틸렌/헥센, 에틸렌/옥텐,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및 에틸렌/부텐/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염화비닐의 중합도는 500 내지 25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도는 500 미만이면 인장강도 및 경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중합도가 2500을 초과하면 일반적인 가공온도에서 성형이 어려우며 가공온도를 높일 경우 열안정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폴리염화비닐은 성형가공을 거치는 동안 열에 의해 분해되거나 변질되기 쉬우며, 또는 결정성이 현저하게 낮아서 보관 중에 빛·열로 인해 분해하여 노란색 또는 갈색으로 착색되고 잘 부서지며 열에 약한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폴리염화비닐은 가열되면 측쇄의 염소가 절단되어 염산이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염산이 촉매로 작용하여 분해를 촉진시켜서 분해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물성이 급격히 저하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정제를 첨가하게 된다.
상기 안정제에는 열안정제와 광안정제가 있으며, 상기 안정제는 2 내지 6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안정제는 열안정제와 광안정제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안정제는 2 중량부 미만이 포함되면 열안정성이 저하되고, 6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블루밍(blooming)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열안정제는 열에 대한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가공 시 열에 의한 폴리염화비닐의 탄화, 착색 및 분해를 방지하는 역할과 더불어 마찰열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형을 용이하게 하며, 제조되는 합성수지관의 내후성 및 경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열안정제는 유기주석계 안정제, 납계 안정제, 칼슘-아연계 안정제, 바륨-아연계 안정제, 바륨-카드늄계 안정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주석계 안정제는 유기주석 메르캅토계, 유기주석 말레이트계, 유기주석 라우레이트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납계 안정제는 스테아린산 납, 이염기성 아인산 납, 삼염기성 유산 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염화비닐계 합성수지관은 자외선에 의한 광 열화작용으로 중합고리가 분해되어 열화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광안정제가 포함된다.
상기 광안정제는 300~400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열로 변환시키는 살리실산 에스테르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 또는 힌더드 아민계의 광안정제 등을 포함하는 군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공조제는 비교적 적은 양을 투입하여 물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가공성 향상, 용융파괴(melt fracture) 방지, 플로우마크(flow mark) 및 피쉬 아이(fish eye) 감소, 광택 개선 및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다. 상기 가공조제는 아크릴계, 스티렌계 또는 유기아린산 에스테르계 복합 가공조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조제는 1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조제는 1 중량부 미만이 포함되면 표면성, 가공성이 부족하고, 7 중량부를 초과하면 압출부하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금속비누는 지방산의 금속염으로서, 융점이 높고 내마모성, 내압력, 윤활특성이 있으며, 특히 수지조성물의 인장강도와 인열강도를 개선시킨다. 상기 금속비누는 물과 같은 극성용매 중에서 용해되어 이온으로 해리되지 않는 알루미늄, 철, 티탄 또는 코발트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비누는 첨가효과를 가지기 위해서 0.1 내지 3.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윤활제는 내부 윤활제와 외부 윤활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윤활제는 성형 가공시 용해된 수지의 유동점도를 내려 마찰 발열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외부 윤활제는 성형 가공시 용해된 수지와 가공기기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가공기기 표면으로부터의 이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의 내부 윤활제로는 부틸 스테아레이트, 라우릴알코올,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에폭시화 대두유,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린산, bis-아미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외부 윤활제로는 몬탄산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에스테르 왁스 등을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윤활제는 첨가효과를 가지기 위해서 0.1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제는 대량으로 첨가되어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증량제(extender filler)와, 기계적, 열적, 전기적 성질 또는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보강제(reinforcing filler)의 두 가지로 대별되며, 충전제의 종류는 화학조성에 따라 무기질과 유기질로 분류되고 형상에 따라 분말상, 평판상, 침상, 구상, 섬유, 섬유직물상 등으로 분류된다.
충전제로는 유리섬유, 탄산칼슘, 탈크, 운모, 규석, 목분 등이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 탄산칼슘이 좀 더 바람직한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산칼슘은 단가가 저렴하며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혼합가공장치의 마모를 줄여주며, 입자크기 조정범위가 넓어 이용에 용이하고, 특히 0.1 미만의 입자크기를 갖는 탄산칼슘은 그 작은 입경으로 인하여 제조되는 합성수지관의 외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 내충격성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충전제는 1 내지 4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압출부하가 높아지고 생산원가가 상승하며 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수지조성물에 탄성을 부여하여 내충격성을 보강하는 물질로서, 분열, 인장, 압축, 휨, 충격 강도를 증가시키고 치수 안정성과 열변형에 대한 저항력의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보강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15 내지 3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ethyl 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 MBS)계 충격보강제는 디엔(diene)계 고무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와 스티렌모노머(styrene monomer, SM)를 그래프트 반응시켜 얻어지는 공중합체로서 폴리염화비닐 제품에 사용돼 저온충격에 강한 특성을 나타내고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충격보강제는 폴리염화비닐과의 우수한 친화력에 의해 압출저항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합성수지관을 자를 때 절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태양광선에 대해 강한 저항특성을 지닌다.
상기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는 옥외용 제품에 사용되는 내후성 충격보강제로서 폴리염화비닐을 비롯한 열가소성 수지의 내후성, 내충격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가 2 : 2.5 : 5.5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거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가 2 : 2.5 : 5.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천연 칼슘카보네이트는 0.7 내지 1㎛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항균제는 합성수지관의 미생물에 의한 부식을 막고 항균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며, 항균제의 종류는 크게 유기계 항균제와 무기계 항균제로 구별된다.
유기계 항균제는 무기계 항균제에 비하여 비교적 가공이 쉽고 최종 제품의 기계적 물성, 투명도, 색상 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재까지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류의 유기계 항균제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다만, 상기 유기계 항균제의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문제되면서 유기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무기계 항균제가 주목받고 있으며, 무기계 항균제는 은(Ag), 구리(Cu), 망간(Mn), 아연(Zn) 등과 같이 항균성이 뛰어난 금속 등과 제올라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 담체에 상기 금속의 이온을 치환시켜서 미세한 기공을 가진 3차원의 골격구조를 지니게 하여 비표면적이 크고 내열성이 우수하게 가공처리한 것이 있다.
상기 항균제는 0.01 내지 2.0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조성물에는 탄소수가 상이한 알코올 화합물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 발포제가 첨가된다. 상기 발포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발포제는 부탄올 70중량부 및 프로판올 30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9 중량부가 첨가된다. 상기 발포제가 첨가된 수지 조성물은 용해 연성이 14 내지 16m/m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제는 물보다 비등점이 낮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미세 기포를 많이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발포제의 함량으로 기포의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포는 평균 지름이 8 내지 1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로는 가공 안정성 및 가공 후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관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제조된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합성수지관을 제조하게 되며, 상기 성형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압출성형법, 사출성형법, 캘린더성형법, 프레스성형법 등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관의 형태로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의 압출성형법을 이용하게 되며, 용도에 따라 판형 또는 기타 여러 가지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조된 합성수지관은 압출성형 시 발생되는 잔류응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관의 잔류응력이 작아지면 장기간 보관 시 뒤틀림 현상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잔류응력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는 냉각 시 냉각속도를 낮추어 냉각시간을 길게 유지하는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인 염화비닐계 합성수지관의 압출성형 온도는 150 내지 160℃이므로 냉각수로서 50 내지 90℃의 온수를 사용하여 냉각속도를 낮출 수 있다.
잔류응력을 최소화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합성수지관 제조 후 열처리하여 잔류응력을 제거할 수도 있다.
제조된 합성수지관을 열처리하면 합성수지관의 응력이 해소되는 방향으로 분자배열이 재배치되어 잔류응력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염화비닐계 합성수지관은 70 내지 80℃에서 연화가 시작되므로 제조된 합성수지관이 40 내지 60℃의 열풍을 50 내지 100초간 가함으로써 잔류응력 제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1>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프로필렌 30 중량부, 염소화폴리염화비닐 20중량부, 안정제 6 중량부, 가공조제 7중량부, 금속비누 3.0 중량부, 윤활제 2.0 중량부, 충전제 4 중량부, 충격보강제(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가 2 : 2.5 : 5.5의 중량비율로 혼합) 26중량부 및 항균제 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을 제조한 후 스크류 지름 50mm의 2측 이방향 압출기(BT-50, 플라스틱 공학 연구소사 제작, 일본)에 공급하여, 지름 60mm의 합성수지관을 연속 성형 제작하였으며, 압출 성형 시 합성수지관의 냉각은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냉각하였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에서 합성수지관이 온도가 70℃의 온수를 이용하여 냉각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수지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3>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합성수지관을 50℃의 열풍으로 90초간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수지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상기 실시예1에서 합성수지조성물에 MBS계 충격보강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합성수지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2>
상기 비교예1에서 금속비누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1과 동일하게 합성수지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샤르피 충격치
(kgf/㎠)주1)
38 39 41 31 27
인장강도(kgf/㎠)주2) 559 562 564 493 489
압축강도(kgf/㎠)주3) 26940 27190 26730 22481 21910
외관평가주4) ×
주1) JIS K 7111
주2) JIS K7113, 측정온도 20
주3) KS M IS01209-2
주4) : 매우 좋음, : 좋음, : 보통, : 나쁨
상기 표 1에서 샤르피 충격치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파손되지 않고 견디는 정도를 의미는 것이다. 저온환경에서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합성수지관의 샤르피 충격치가 적어도 35kg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1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1 내지 3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1.2 내지 1.6배 정도 충격치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장강도의 경우, 상수도 용도로 사용될 경우 500 kgf/㎠ 이상이 바람직한데, 실시예 1 내지 3은 559 내지 564 kgf/㎠의 강도이므로 비교예들보다 인장강도가 향상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굴곡강도는 굴곡에 대한 탄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측정한 것으로서, 수치가 클수록 물체에 가해진 하중에 대한 변형이 작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외관평가는 성형 후 24시간 경과시 합성수지관의 표면상태를 관찰하여 긁힘, 금, 얼룩, 광택 등에 대한 상대적인 시각평가의 결과로서, 합성수지관이 제작된 후 열풍으로 가공된 실시예 3이 비교예들에 비하여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8)

  1.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부, 염소화폴리염화비닐 20 내지 60 중량부, 안정제 2 내지 6 중량부, 가공조제 1 내지 7중량부, 금속비누 0.1 내지 3.0 중량부, 윤활제 0.1 내지 2.0 중량부, 충전제 1 내지 4중량부, 충격보강제 15 내지 30중량부 및 항균제 0.01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에틸렌/부텐, 에틸렌/헥센, 에틸렌/옥텐,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및 에틸렌/부텐/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충격보강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가 2 : 2.5 : 5.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염소화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아크릴계 및 분쇄된 천연 칼슘카보네이트가 2 : 2.5 : 5.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칼슘카보네이트는 0.7 내지 1㎛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6.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은 인장강도가 500 내지 600 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은 중합도가 500 내지 2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KR1020120072663A 2012-07-04 2012-07-04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KR101239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663A KR101239843B1 (ko) 2012-07-04 2012-07-04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663A KR101239843B1 (ko) 2012-07-04 2012-07-04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843B1 true KR101239843B1 (ko) 2013-03-18

Family

ID=4818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663A KR101239843B1 (ko) 2012-07-04 2012-07-04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8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228B1 (ko) 2014-07-04 2014-11-25 (주)홍일산업 내충격성을 보유한 단열 합성수지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225B1 (ko) * 2014-07-04 2014-11-25 (주)홍일산업 고강성 및 경량성을 보유한 항균 합성수지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227B1 (ko) * 2014-07-04 2014-11-25 (주)홍일산업 고강성을 보유한 경량 합성수지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777836A (zh) * 2020-06-30 2020-10-16 浙江弘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户外帐篷防护层及其制备方法
KR102233684B1 (ko) * 2019-11-18 2021-03-29 김효정 친환경 트렌치 커버 몰딩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에 의한 합성고무가 피복된 트렌치 커버
KR20220011927A (ko) * 2020-07-22 2022-02-03 김효정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118B1 (ko) 2010-07-12 2010-09-08 주식회사 고리 삼중벽 내충격 상수도관
KR101034495B1 (ko) 2010-10-11 2011-05-17 신우산업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
KR101070584B1 (ko) * 2010-07-22 2011-10-06 주식회사 뉴보텍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118B1 (ko) 2010-07-12 2010-09-08 주식회사 고리 삼중벽 내충격 상수도관
KR101070584B1 (ko) * 2010-07-22 2011-10-06 주식회사 뉴보텍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KR101034495B1 (ko) 2010-10-11 2011-05-17 신우산업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228B1 (ko) 2014-07-04 2014-11-25 (주)홍일산업 내충격성을 보유한 단열 합성수지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225B1 (ko) * 2014-07-04 2014-11-25 (주)홍일산업 고강성 및 경량성을 보유한 항균 합성수지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227B1 (ko) * 2014-07-04 2014-11-25 (주)홍일산업 고강성을 보유한 경량 합성수지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3684B1 (ko) * 2019-11-18 2021-03-29 김효정 친환경 트렌치 커버 몰딩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에 의한 합성고무가 피복된 트렌치 커버
CN111777836A (zh) * 2020-06-30 2020-10-16 浙江弘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户外帐篷防护层及其制备方法
KR20220011927A (ko) * 2020-07-22 2022-02-03 김효정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KR102367269B1 (ko) * 2020-07-22 2022-02-23 김효정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843B1 (ko)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CN102617915B (zh) 一种防霉变无卤阻燃抑烟木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877201B1 (ko)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214800B1 (ko) 중심층에 c-pvc를 함유하는 3층 구조 내충격 상수도관
CN101880429A (zh) 高韧耐热耐老化氯化聚氯乙烯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152066B1 (ko) 액상 및 분말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 및 이를 포함하는 pvc 수지 조성물
CN103509301B (zh) 具有良好抗冲性能的cpvc组合物
KR101439382B1 (ko) 내후성이 향상된 무독성 합성수지조성물,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CN103044818B (zh) 一种pvc/asa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283412A (zh) 一种共混改性氯化聚氯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937124B (zh) 高速挤出雾面聚氯乙烯线缆料及其制备方法
CN111320816A (zh) 一种聚丙烯地板及其制备方法
US6271301B1 (en) Polyvinyl chloride elastomers
KR101212456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합성수지관
KR101033830B1 (ko) 내후성이 향상된 수지관의 제조방법
CN101544800A (zh) 一种环保封边条的配方
KR101241102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지관
US11613639B2 (en) Polyvinyl chloride-based resin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33829B1 (ko) 내후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0976805B1 (ko) 수도관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94063A (ko) 내한성 및 내머드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전선용 수지 조성물
KR101070584B1 (ko)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KR100786773B1 (ko) 인장강도 및 내후성을 향상시킨 고강도 파이프 제조용수지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 파이프
KR10059944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코드의 제조 방법
KR20100070020A (ko) 무독성 케이블용 열가소성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