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495B1 -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495B1
KR101034495B1 KR1020100098971A KR20100098971A KR101034495B1 KR 101034495 B1 KR101034495 B1 KR 101034495B1 KR 1020100098971 A KR1020100098971 A KR 1020100098971A KR 20100098971 A KR20100098971 A KR 20100098971A KR 101034495 B1 KR101034495 B1 KR 101034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ynthetic resin
powder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환
Original Assignee
신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4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20Double-walled hoses, i.e. two concentric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테아린산 코팅된 맥반석 분말 또는, 맥반석 분말과 은나노분말을 최적으로 배합하여, 합성수지의 기본적 물리특성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항균성을 구비할 수 있는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도가 21∼500㎚인 은나노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가 더 포함되어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Antibacterial synthetic resin compositions and synthetic resins pipe made of the same}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된 맥반석분말과 은나노분말을 합성수지 원재료에 첨가하여, 맥반석분말 또는 맥반석분말과 은나노가 균일하게 분포된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주철관, 동관, 콘크리트관 등은 그 과중한 무게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가격이 비싸 경제적인 시공에 어려움이 있으며, 산화 및 부식에 의한 통수능력 감소, 적수 및 백수 현상으로 인한 상수도물의 오염 등과 같은 결함을 갖고 있어, 콘크리트관이나 금속관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부식에 강하여 녹이 슬지 않으며, 경량으로 시공성이 우수한 합성수지관으로 빠르게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합성수지관은 내식성, 경량에 기한 높은 작업효율성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이 장기화됨에 따라 관의 내벽에 얇은 층의 점성 침전물이 생성되며, 이러한 침전물은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세균들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침전물은 완전하게 정수되지 않은 상수내부에 함유된 염류 등의 이물질 성분이 관과 유수와의 마찰에 의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관벽에 침착되면서 형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관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는 주철관, 동관 등의 단점인 과중량으로 인한 작업성의 저하, 산화 및 부식에 의한 통수능력 감소, 적수 및 백수 현상으로 인한 상수도물의 오염 등의 결함을 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음용수 및 기타 생활용수로의 사용이 부적합한 것으로 인식되어질 수 있으며, 특히 먹는 물의 위생성에 대해 보다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는 오늘날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에게 더욱 심각한 문제로 다가오고 있으며, 마을상수도 시설 등의 간이 상수도 시설로 인하여 완전하게 정수되지 않은 상수는 그 자체로서도 인체에 유해한 세균, 중금속 등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장기간 음용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므로 상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생활용수에 대한 불신이 늘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은나노 분말만을 합성수지 원재료와 혼합하여 항균성 기능을 갖추도록 제조한 항균성 합성수지관은 고가의 은나노 분말 가격으로 인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져 경제적인 생산을 위한 원가절감의 필요성이 있으며, 과다 섭취할 경우 인체에 해로울 수도 있는 은나노 분말의 함량을 줄여 기존의 항균성 합성수지관의 항균성을 더욱 강화하고 인체의 유해성을 더욱 저감시키며 물성을 유지하는 경제적 항균 기능성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테아린산 코팅된 맥반석 분말 또는 맥반석 분말과 은나노분말을 최적으로 배합하여, 합성수지의 기본적 물리특성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항균성을 구비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합성수지관 성형시, 맥반석 분말을 통한 유체의 세균발생 및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맥반석 분말과 은나노분말의 최적배합에 의해 원가를 절감하고 이를 통해 경제성을 구비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맥반석 분말과 은나노분말의 첨가에 의해 합성수지관에 요구되어지는 인장, 내충격성 등 기존의 기준보다 강화된 각종 기준을 뛰어넘는 비납계의 무독성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맥반석 분말을 스테아린산 코팅하여, 합성수지내에서 맥반석 분말을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도가 21∼500㎚인 은나노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가 더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맥반석 분말과 은나노분말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구성함으로서, 관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맥반석 분말과 은나노분말에 의해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함유된 각종 유해 세균의 발생 및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위생적인 합성수지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맥반석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생산비의 획기적 절감을 성취하였으며 관의 일부영역에만 맥반석 분말과 은나노분말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항균성이 우수한 합성수지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성을 구비한 고가의 은나노 분말을 인체안전 고려 및 항균성을 위한 최적비율로 첨가하여 생산 시 고가의 제작비 소모를 방지하고, 은의 과잉첨가로 인한 인체 유해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맥반석 분말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활성화 에너지인 회전전자파 파이레이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성이 뛰어난 맥반석 분말과 나노입도의 은(Ag) 분말을 합성수지 관의 원재료와 혼합하여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으로써, 제조된 합성수지관이 기존의 물리적 특성(인장, 내충격성 등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합성수지관 기준보다 강화된 각종 기준을 뛰어넘는 비납계의 무독성 항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합성수지관의 단면예시도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합성수지관(맥반석분말,은나노분말)의 단면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이중관)의 단면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구성을 보인 합성수지관(이중관)의 단면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구성을 보인 합성수지관(삼중관)의 단면예시도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은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Ba-Zn(바륨-아연)계, Ca-Zn(칼슘-아연)계,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HALS계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선택한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MBS(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계, CPE(Chlorinated Poly Ethylene)계,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terpolymer)계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유화중합한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도가 21∼500㎚인 은나노 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가 더 포함되어 있다.
상기 합성수지는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스트렌,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중 선택된 하나이며, 바람직하게는 염화비닐(PVC) 또는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한다.
상기 열안정제는 Ba-Zn(바륨-아연)계, Ca-Zn(칼슘-아연)계,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HALS계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3.5 내지 6.5중량부 사용한다. 안정제를 3.5 내지 6.5중량부로 하는 이유는 안정제의 함량이 3.5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안정성을 비롯한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고, 6.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이 나빠지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제품의 충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합성수지에 첨가하는 섬유상의 불용성 물질로, 열경화성수지는 가장 많은 양의 강화제를 필요로 하고 또한 열가소성수지와 플라스틱발포체도 강화된다.
대부분의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은 구조적으로 내충격성, 가공 유동성, 내열변형 등이 취약했기 때문에 첨가제 개발에 의한 물성 및 가공성 향상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충격보강제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에 첨가하여 내충격성 보강에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충격보강제는 성분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디엔(Diene) 계 고무에 MMA 와 SM을 그래프트 중합된 고분자 고무계로 SBR, MMA, SM을 이용한 MBS계 (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 BA, MMA, SM을 원료로 생산되는 ABS계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terpolymer) 등이 있다.
둘째, 가소화 고분자로 염소처리된 CPE계 (Chlorinated Poly Ethylene), EVA계 (Ethene vinyl acetate) 등이 있다.
셋째, 무기계로 탄산칼슘을 코팅한 무기 내충격개질제도 있다.
상기 가공조제 및 자외선 방지제는 합성수지관 압출성형을 위한 합성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의 것을 사용하며, 이러한 구성성분들은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상기 맥반석분말은 합성수지와 균질하게 혼합되어 물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도록 스테아린산으로 코팅처리되어 있다. 즉, 맥반석분말을 합성수지에 첨가하여 교반할 경우, 맥반석분말의 흡수성에 의해 합성수지내에서 맥반석분말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맥반석분말의 균일분산을 위하여, 맥반석분말 100중량부에 스테아린산 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슈퍼믹서로 10분간 상온에서 65∼70℃까지 교반한 후 15∼25분간 냉각하는 특수코팅처리과정을 거쳐 합성수지내 맥반석분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테아린산으로 특수코팅된 맥반석 분말은 대량 첨가되어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중량제(Extender Filler)와 달리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보강제(Reinforcing Filler)의 역할을 하여 물성 및 가공성이 개선되므로 믹싱 가공장치의 마모가 적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갖고 있어 볼륨코스트가 낮은 장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맥반석 분말은 입도 1000메쉬 이상의 것을 사용하며, 2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항균력이 저하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보다 증진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통상적인 맥반석 분말은 대략 325메쉬정도로, 이와 같은 입도의 맥반석 분말은 합성수지관 생산 시 압출기 스크류의 마모성을 크게 만드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합성수지관의 물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므로, 본 발명은 평균입도 1,000 mesh 이상이 되도록 맥반석분말을 재가공하여 사용한다.
상기 은(Ag)은 향균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은에 대한 내성이 균들에 발생되지 않고 있으며, 항균 지속기간도 거의 반영구적이므로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나 최근 은나노 분말을 과다 섭취할 경우 인체에 유해하다는 사실이 밝혀져 은나노 분말의 적절한 사용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항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또한 맥반석의 첨가량을 고려하여, 은(Ag)나노분말의 최적배합을 설정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맥반석분말의 항균기능에 더하여 최적의 항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은나노분말을 더 첨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은나노분말의 배합은 인체에 무해하고 항균성을 구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21∼500㎚인 은나노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를 첨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은나노분말은 100ppm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특정 균주에 대한 항균력이 저하되고, 125ppm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에는 보다 증진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은나노분말의 분말도는 균일한 혼합을 위하여 맥반석 분말의 입도를 고려한 것이다. 즉, 입도 21∼500㎚를 구비하는 은나노분말은 교반혼합시, 1,000 mesh 이상으로 재가공된 다공성을 구비한 맥반석 분말의 사이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합성수지내에서 맥반석분말과 함께 균일하게 분산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은 합성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 및, 입도가 21∼500㎚인 은나노 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를 혼합기에 더 투입한 후, 이를 580∼680 rpm의 속도로 8분∼10분정도 교반하면, 혼합기내에서 부유하여 입자간에 마찰열이 발생되게 되며, 이러한 마찰열에 의해 서로 용착되어 혼합된다.
이와 같이 혼합기내에서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면, 혼합기내 온도를 약 50∼70℃가 유지되도록 자연냉각(공냉)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에 따른 합성수지관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으로, 항균성이 뛰어난 맥반석분말 및, 맥반석분말과 나노입도의 은(Ag)분말을 합성수지관의 원재료와 혼합하여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으로써, 제조된 합성수지관이 기존의 물리적 특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맥반석에서 방사되는 활성화 에너지인 회전전자파 파이레이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이와 함께 맥반석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의 작용으로 높은 정균 감소율을 얻을 수 있으며 고가의 은 함량을 줄여 경제성을 높이면서도 훨씬 더 강력한 항균성을 지니게 되어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세균 발생 또는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관에 요구되어지는 인장, 내충격성 등 기존의 기준보다 강화된 각종 기준을 뛰어넘는 비납계의 무독성 및 항균성을 구비한다.
도 1 에 도시된 합성수지관(40a)은 합성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기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하고, 혼합기내 온도를 약 50∼70℃가 유지되도록 자연냉각(공냉)시킨 다음, 압축기로 이송하여, 압축기에서 140~180℃ 의 범위가 되도록 가열하여 파이프로 압출성형한다.
이때, 상기 온도까지 냉각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배합된 원료의 흐름성이 부족하여 이송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워져 열의 축적으로 인한 원료의 연소가 발생되며 이때 합성수지의 고유한 성질을 상실하여 정상적인 합성수지관의 물성을 잃게되므로 상기 냉각과정은 필히 수반되어야만 하며, 냉각 후 압출성형 과정을 위하여 원료들을 사일로로 이송된 후, 사일로로 이송되어 저장되어 있던 원료는 압출기의 호퍼로 투입되어 140~180℃ 정도로 가열하면서 파이프를 압출성형하게 된다.
또한, 이처럼 압출 성형되는 합성수지관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후, 후가공한다.
도 2 에 도시된 합성수지관(40b)은 합성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 입도가 21∼500㎚인 은나노 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를 혼합기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를 압축기에서 170∼210℃의 범위가 되도록 가열하여 파이프로 압출성형한다. 파이프의 압출성형은 위의 기재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에 도시된 합성수지관(40c)은 내관(10c)과 외관(20c)으로 이루어진 2중관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내관(10c)은 합성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 입도가 21∼500㎚인 은나노 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관(20c)은 합성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이중관 구조의 합성수지관(40c)은 압출기를 통한 압출성형시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은나노입자가 포함된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을 별도의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조방법은 주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에 도시된 합성수지관(40d)은 내관(10d)과 외관(20d)으로 이루어진 또다른 이중관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내관(10d)은 합성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합성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 입도가 21∼500㎚인 은나노 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관(20d)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이중관 구조의 합성수지관(40d)은 실제 유체와 접촉되는 관의 내측부위가 맥반석분말 첨가 또는 맥반석분말과 은나노입자가 첨가된 합성수지조성물로 이루어져 있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항균성을 구비한 합성수지관을 생산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합성수지관(40e)은 내관(10e)과 중관(30e) 및 외관(20e)으로 이루어진 3중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내관(10e)은 합성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합성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 입도가 21∼500㎚인 은나노 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관(30e)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맥반석 층의 함량을 늘려 원적외선의 생성량을 증가시켜 수질정화작용을 강화시킨다.
상기 외관(20e)은 내관의 성분과 같이 이루어지며 합성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합성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 입도가 21∼500㎚인 은나노 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c,10d,10e): 내관
(20c,20d,20e): 외관
(30e): 중관
(40a,40b,40c,40d,40e): 합성수지관

Claims (4)

  1.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스트렌,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중 선택된 하나의 합성수지 100중량부;
    Ba-Zn(바륨-아연)계, Ca-Zn(칼슘-아연)계,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HALS계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선택한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MBS(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계, CPE(Chlorinated Poly Ethylene)계,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terpolymer)계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유화중합한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
    입도가 21∼500㎚인 은나노 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 를 포함하되,
    상기 맥반석 분말은 맥반석분말 100중량부에 스테아린산 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10분간 상온에서 65∼70℃까지 교반한 후 15∼25분간 냉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
  2.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스트렌,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중 선택된 하나의 합성수지 100중량부;
    Ba-Zn(바륨-아연)계, Ca-Zn(칼슘-아연)계,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HALS계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선택한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MBS(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계, CPE(Chlorinated Poly Ethylene)계,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terpolymer)계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유화중합한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맥반석 분말은 맥반석분말 100중량부에 스테아린산 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10분간 상온에서 65∼70℃까지 교반한 후 15∼25분간 냉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
  3. 이중관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 합성수지관은 내관과 외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관은,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스트렌,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중 선택된 하나의 합성수지 100중량부;
    Ba-Zn(바륨-아연)계, Ca-Zn(칼슘-아연)계,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HALS계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선택한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MBS(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계, CPE(Chlorinated Poly Ethylene)계,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terpolymer)계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유화중합한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
    입도가 21∼500㎚인 은나노 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관은,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스트렌,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중 선택된 하나의 합성수지 100중량부;
    Ba-Zn(바륨-아연)계, Ca-Zn(칼슘-아연)계,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HALS계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선택한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MBS(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계, CPE(Chlorinated Poly Ethylene)계,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terpolymer)계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유화중합한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맥반석 분말은 맥반석분말 100중량부에 스테아린산 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10분간 상온에서 65∼70℃까지 교반한 후 15∼25분간 냉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
  4. 삼중관에 있어서;
    상기 삼중관 합성수지관은 내관과 중관 및 외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관과 외관은,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스트렌,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중 선택된 하나의 합성수지 100중량부;
    Ba-Zn(바륨-아연)계, Ca-Zn(칼슘-아연)계,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HALS계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선택한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MBS(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계, CPE(Chlorinated Poly Ethylene)계,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terpolymer)계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유화중합한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
    입도가 21∼500㎚인 은나노 분말 100 내지 125ppm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관은,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스트렌,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중 선택된 하나의 합성수지 100중량부;
    Ba-Zn(바륨-아연)계, Ca-Zn(칼슘-아연)계,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HALS계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선택한 안정제 3.5 내지 6.5중량부;
    MBS(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계, CPE(Chlorinated Poly Ethylene)계,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terpolymer)계 충격보강제 5 내지 10중량부;
    입도가 1000메쉬 이상이며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있는 맥반석 분말 2 내지 10중량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유화중합한 가공조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맥반석 분말은 맥반석분말 100중량부에 스테아린산 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10분간 상온에서 65∼70℃까지 교반한 후 15∼25분간 냉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
KR1020100098971A 2010-10-11 2010-10-11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 KR101034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971A KR101034495B1 (ko) 2010-10-11 2010-10-11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971A KR101034495B1 (ko) 2010-10-11 2010-10-11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495B1 true KR101034495B1 (ko) 2011-05-17

Family

ID=4436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971A KR101034495B1 (ko) 2010-10-11 2010-10-11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49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6801A (zh) * 2012-11-02 2013-03-13 宏岳塑胶集团有限公司 一种高强度耐热耐寒改性聚丙烯管材的制备方法
KR101239843B1 (ko) 2012-07-04 2013-03-18 주식회사 뉴보텍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KR101269199B1 (ko) 2012-11-23 2013-05-30 (주) 삼정디씨피 합성수지관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내스크래치성 및 내후성이 향상된 합성수지관
KR101378581B1 (ko) * 2013-02-01 2014-03-27 신우산업주식회사 합성수지 파이프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파이프
KR101465227B1 (ko) * 2014-07-04 2014-11-25 (주)홍일산업 고강성을 보유한 경량 합성수지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225B1 (ko) * 2014-07-04 2014-11-25 (주)홍일산업 고강성 및 경량성을 보유한 항균 합성수지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7367B1 (ko) * 2018-10-04 2019-03-13 신우산업주식회사 상하수도용 내구성 강화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KR102468145B1 (ko) 2022-02-23 2022-11-28 김주환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합성수지관
KR102477880B1 (ko) * 2022-02-23 2022-12-15 김주환 오수받이장치
KR102518038B1 (ko) * 2022-08-24 2023-04-06 김주환 연결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외피층이 보강된 합성수지관
JP7360773B2 (ja) 2020-01-22 2023-10-13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可撓性ホースの使用
WO2024085478A1 (ko) * 2022-10-21 2024-04-25 주식회사 그린이노텍 맨홀의 하수 및 악취 역류 차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396B1 (ko) 2005-11-15 2007-05-02 주식회사 뉴보텍 기능성 수지 제품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파이프
KR100723356B1 (ko) 2004-09-14 2007-05-30 신우산업주식회사 은이 함유된 합성수지관
KR100733133B1 (ko) 2006-02-08 2007-06-27 (주) 삼정디씨피 파이프 제조용의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다층구조의 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수득되는 다층구조의 파이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56B1 (ko) 2004-09-14 2007-05-30 신우산업주식회사 은이 함유된 합성수지관
KR100712396B1 (ko) 2005-11-15 2007-05-02 주식회사 뉴보텍 기능성 수지 제품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파이프
KR100733133B1 (ko) 2006-02-08 2007-06-27 (주) 삼정디씨피 파이프 제조용의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다층구조의 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수득되는 다층구조의 파이프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843B1 (ko) 2012-07-04 2013-03-18 주식회사 뉴보텍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CN102966801A (zh) * 2012-11-02 2013-03-13 宏岳塑胶集团有限公司 一种高强度耐热耐寒改性聚丙烯管材的制备方法
KR101269199B1 (ko) 2012-11-23 2013-05-30 (주) 삼정디씨피 합성수지관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내스크래치성 및 내후성이 향상된 합성수지관
KR101378581B1 (ko) * 2013-02-01 2014-03-27 신우산업주식회사 합성수지 파이프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파이프
KR101465227B1 (ko) * 2014-07-04 2014-11-25 (주)홍일산업 고강성을 보유한 경량 합성수지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225B1 (ko) * 2014-07-04 2014-11-25 (주)홍일산업 고강성 및 경량성을 보유한 항균 합성수지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7367B1 (ko) * 2018-10-04 2019-03-13 신우산업주식회사 상하수도용 내구성 강화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JP7360773B2 (ja) 2020-01-22 2023-10-13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可撓性ホースの使用
KR102468145B1 (ko) 2022-02-23 2022-11-28 김주환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합성수지관
KR102477880B1 (ko) * 2022-02-23 2022-12-15 김주환 오수받이장치
KR102518038B1 (ko) * 2022-08-24 2023-04-06 김주환 연결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외피층이 보강된 합성수지관
WO2024085478A1 (ko) * 2022-10-21 2024-04-25 주식회사 그린이노텍 맨홀의 하수 및 악취 역류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495B1 (ko) 합성수지관 제조용 항균성 합성수지조성물과 이것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
CN112457583B (zh) 一种耐磨耐老化家具塑料颗粒及制备方法
CN101307843B (zh) 一种给水用抗菌塑料管材的制作方法
CN102516693B (zh) 一种氯化聚氯乙烯管材及其制备方法
CN104559033A (zh) 低光泽耐热abs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723356B1 (ko) 은이 함유된 합성수지관
KR101564737B1 (ko) 항균, 방취기능을 갖는 pvc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CN104231431B (zh) 一种高光泽阻燃耐刮擦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393769B (zh) 一种抗结垢排水排污管材、管件及其制备方法
CN102731945A (zh) 一种改性氯化聚氯乙烯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788456B (zh) 用于改性高密度聚乙烯的功能母料及其制备方法
KR101239843B1 (ko)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CN103146119A (zh) 一种耐磨抗菌abs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439382B1 (ko) 내후성이 향상된 무독성 합성수지조성물,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CN109054219A (zh) 一种抗菌耐高温耐磨塑料管
KR100917765B1 (ko) 유체파이프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CN101024714A (zh) 一种抗菌型水龙头
CN107501795A (zh) 耐低温聚氯乙烯软制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987421A (zh) 一种医用抗碘pvc卷材及其制备方法
CN113185775A (zh) 一种抗菌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750986A (zh) 一种复合给水管及其制备工艺
CN100572029C (zh) 纳米排水管材的加工方法
KR101882456B1 (ko) 상ㆍ하수도용 삼중벽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의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
CN106084542A (zh) 一种pvc护栏配方及其制备方法
JP6901856B2 (ja) 澱粉・樹脂複合成形加工材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