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927A -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 Google Patents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927A
KR20220011927A KR1020200090781A KR20200090781A KR20220011927A KR 20220011927 A KR20220011927 A KR 20220011927A KR 1020200090781 A KR1020200090781 A KR 1020200090781A KR 20200090781 A KR20200090781 A KR 20200090781A KR 20220011927 A KR20220011927 A KR 20220011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rench
synthetic rubber
trench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269B1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정 filed Critical 김효정
Priority to KR1020200090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2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08K5/40Thiurams, i.e. compounds 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08K5/47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고무 재질의 결속구를 이용하여 상호 연속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문양의 관통공이 다수 배열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이 지지 플레이트의 측면부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바닥에 아치형 곡면부를 갖는 받침편과, 이들 받침편의 사방 가장자리에 통공을 갖는 플랜지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측면부를 서로 맞대어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통공으로 합성고무 재질의 결속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트렌치의 상부 개방면을 덮어씌워 폐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트렌치 상에 배열되는 인접 배치되는 트렌치 커버를 합성고무 재질의 결속구를 이용하여 그대로 끼워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트렌치 상의 시공 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이에 따른 조립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트렌치를 구성하는 단차부와 트렌치 커버 사이에 고무층이 개재되어 밀착됨에 따라 차량 바퀴가 커버 위에서 회전하더라도 커버가 밀려나지 않게 됨은 물론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식에 의한 파손 염려가 없고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는 잇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NOISELESS TRENCH COVER STRUCTURE}
본 발명은 통상의 도로변이나 각종 배수로 등지에 설치되는 트렌치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고무 재질의 결속구를 이용하여 상호 연속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로변, 주차장 또는 건축물 등의 주변에는 빗물이나 오수를 원활하게 하거나 또는 각종 통신 케이블을 배설하기 위한 트렌치(Trench)가 설치되고, 이러한 트렌치의 상부에는 보행자의 발이나 차량 바퀴 또는 오물이 침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트렌치 커버(Trench Cover)가 배설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트렌치 커버는 소정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금속재를 일정 형상으로 주물 제작한 후 부식방지를 위한 아연도금을 행하게 되며, 일체형 혹은 다수개의 트렌치 커버를 일렬로 조립하여 연결함으로써 전체 트렌치를 폐색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트렌치 커버와 관련하여, 국내 특허등록 제0855057호에 개시된 '트렌치 커버'는 양측에 다수의 배수홈을 갖는 지지암이 형성되고 상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 양단에 일체로 형성한 연결프레임, 각각의 연결프레임 양측에 다른 트렌치 커버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한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트렌치 커버가 주물로 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트렌치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을 경우 차량의 통행에 의해 이격되고 이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 등록특허 제1065735호에 개시된 '트렌치 커버'는 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머리부에 수평걸림돌부와 수직걸림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와, 몸체의 타측에 걸림돌기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 작업시 별도의 연결부재와 각도조절의 기능작업 없이도 커버의 수평 또는 곡면의 연속적인 체결을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타측 커버측 체결홈에 일측 커버측 돌출된 걸림돌기를 걸어 결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커버측에 수직하중을 받는 경우 걸림돌기에 많은 힘이 작용하여 연결 부위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878231호에 개시된 '무소음 트렌치 커버'는 설치 폭과 길이의 조절이 자유로워 여러 개를 이어서 연결하기가 용이하고, 설치 상태가 비스듬히 기울어지더라도 덜컹거리거나 인접하는 다른 트렌치 커버와 부딪히는 등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 경우에는 커버측 걸림공에 걸고리를 걸어 결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직하중을 받는 경우 걸고리에 많은 힘이 작용하여 연결 부위가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잦은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0830896호(2008.05.14 등록)- 트렌치 커버 조립체. 등록특허 제0994472호(2010.11.09 등록)- 개방상태가 조절되는 트렌치 커버. 등록특허 제1065735호(2011.09.09 등록)- 트렌치 커버. 등록특허 제1564013호(2015.10.22 등록)- 무소음 트렌치 커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렌치 상에 배열되는 트렌치 커버를 합성고무 재질의 결속구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조립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고무 특유의 성질을 이용하여 연결용 결속구를 제조함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부식에 의한 파손 염려가 없고 유지 관리가 편리한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문양의 관통공이 다수 배열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이 지지 플레이트의 측면부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바닥에 아치형 곡면부를 갖는 받침편과, 이들 받침편의 사방 가장자리에 통공을 갖는 플랜지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측면부를 서로 맞대어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통공으로 합성고무 재질의 결속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트렌치의 상부 개방면을 덮어씌워 폐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구는 연결편의 하단부 양측에 제1 및 제2끼움봉이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끼움봉에 걸림턱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결속구를 구성하는 합성고무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계 탄성중합체 20∼30중량부,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20∼3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안정제, 가공조제, 윤활제, 충전제, 충격보강제를 각각 5∼7중량부 부가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 상기 결속구는 합성고무 조성물 100중량부, 유황 0.2∼0.5중량부, 2-머캅토 벤조티아졸(2-mercapto benzothiazole) 0.1∼0.2중량부, 징크 디-n-부틸 디티카바메이트(zinc di-n-butyl dithiocarbamate) 0.4∼0.6중량부,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테트라설파이드(dipenta-methylene thiuram tetrasulfide) 0.1∼0.2중량부,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methyl thiuram disulfide) 0.1∼0.2중량부,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dibenzothiazyl disulfide) 0.1∼0.2중량부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결속구는 액상의 합성고무 조성물을 몰딩 성형틀에 부어 250∼300℃ 온도하에서 성형한 후에 냉각하여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트렌치 상에 배열되는 인접 배치되는 트렌치 커버를 합성고무 재질의 결속구를 이용하여 그대로 끼워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트렌치 상의 시공 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이에 따른 조립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 트렌치를 구성하는 단차부와 트렌치 커버 사이에 고무층이 개재되어 밀착됨에 따라 차량 바퀴가 커버 위에서 회전하더라도 커버가 밀려나지 않게 됨은 물론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식에 의한 파손 염려가 없고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는 잇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커버가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트렌치 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트렌치 커버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트렌치 커버가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 6a, 도 6b는 결속구의 사시도 및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a,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트렌치 커버는 평판형의 지지 플레이트(30)와, 이 지지 플레이트(30)의 측면부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받침편(35A,35B)과, 이들 받침편(35A,35B)의 사방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4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의 표면에는 장식미를 갖는 여러 문양의 관통공(31)이 다수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편(35A,35B)은 바닥에 아치형 곡면부(36)를 형성하여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40)에는 각각 통공(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플랜지(40)의 통공(41)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결속구(50)가 끼워져 조립되는 것에 의해 트렌치(T)의 상부 개방면을 폐색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구(50)는 연결편(51)의 상단면 양측에 제1 및 제2끼움봉(52a,52b)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끼움봉(52a,52b)에는 걸림턱(5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30)의 측면부를 서로 맞대어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플랜지(40)의 통공(41)을 통해 결속구(50)를 장착하여 트렌치(T)의 양측 단차부(60)에 설치함으로써 상부 개방면을 덮어씌울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속구(50)는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과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며, 통상 액상의 합성고무 조성물을 몰딩 성형틀에 부어 250∼300℃ 온도하에서 성형한 후에 냉각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트렌치 커버를 주물 제작에 의해 소정 규격으로 성형한 상태에서 합성고무를 피복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속구(50)의 경우, 합성고무 조성물에 유황, 2-머캅토 벤조티아졸(2-mercapto benzothiazole), 징크 디-n-부틸 디티카바메이트(zinc di-n-butyl dithiocarbamate),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테트라설파이드(dipenta-methylene thiuram tetrasulfide),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methyl thiuram disulfide),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dibenzothiazyl disulfide)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합성고무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계 탄성중합체 20∼30중량부,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20∼3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안정제, 가공조제, 윤활제, 충전제, 충격보강제를 각각 5∼7중량부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계 탄성중합체는 작용화된 에틸렌계 폴리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에틸렌계 폴리머는 에틸렌계 폴리머 사슬(예를 들어, 에틸렌계 폴리머 사슬에 그라프팅된 산 무수물 모이어티)에 결합된 산 모이어티, 산 무수물 모이어티, 아민 모이어티, 이미드 모이어티, 또는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갖는 에틸렌계 폴리머이다.
상기 적합한 산의 예는 카복실산, 예컨대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크로톤산을 포함하고, 적합한 산 무수물의 예는 말레산 무수물 및 이타콘산 무수물 같은 카복실산 무수물을 포함하며, 상기 적합한 아민의 예는 일차 아민, 이차 아민, 삼차 아민, 예컨대 트리메틸아민, 모노아민, 디아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작용화된 에틸렌계 폴리머는 말레산 무수물-작용화된 에틸렌계 폴리머일 수 있고, 작용화된 에틸렌계 폴리머는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팅된 에틸렌계 폴리머일 수 있다.
또한, 작용화된 에틸렌계 폴리머는 에틸렌계 폴리머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적합한 에틸렌계 폴리머의 예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결속구(50)는 합성고무 조성물 100중량부, 유황 0.2∼0.5중량부, 2-머캅토 벤조티아졸(2-mercapto benzothiazole) 0.1∼0.2중량부, 징크 디-n-부틸 디티카바메이트(zinc di-n-butyl dithiocarbamate) 0.4∼0.6중량부,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테트라설파이드(dipenta-methylene thiuram tetrasulfide) 0.1∼0.2중량부,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methyl thiuram disulfide) 0.1∼0.2중량부,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dibenzothiazyl disulfide) 0.1∼0.2중량부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합성고무 조성물 100중량부, 유황 0.395중량부, 2-머캅토 벤조티아졸 0.132중량부, 징크 디-n-부틸 디티카바메이트 0.473중량부,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테트라설파이드 0.132중량부,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 0.132중량부,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 0.132중량부 부가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결속구(50)는 합성고무 조성물에 유황, 2-머캅토 벤조티아졸(2-mercapto benzothiazole), 징크 디-n-부틸 디티카바메이트(zinc di-n-butyl dithiocarbamate),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테트라설파이드(dipenta-methylene thiuram tetrasulfide),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methyl thiuram disulfide),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dibenzothiazyl disulfide)를 부가하여 구성된 조성물을 금속 재질의 트렌치 커버가 장착된 몰딩 성형틀에 부어 일정한 온도, 바람직하기로는 250∼300℃에서 몰딩 성형한 후 냉각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결속구를 제작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계 탄성중합체 25중량부,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25 중량부로 구성된 조성물에 안정제, 가공조제, 윤활제, 충전제, 충격보강제를 각각 6중량부 부가하고 혼합하여 합성고무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 합성고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황 3.95중량부, 2-머캅토 벤조티아졸(2-mercapto benzothiazole) 1.32중량부, 징크 디-n-부틸 디티카바메이트(zinc di-n-butyl dithiocarbamate) 4.73중량부,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테트라설파이드(dipenta-methylene thiuram tetrasulfide) 1.32중량부,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 (tetramethyl thiuram disulfide) 1.32중량부,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dibenzothiazyl disulfide) 1.32중량부 부가하여 합성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합성고무 조성물을 몰딩 성형틀에 붓고 280℃에서 성형한 후 냉각하여 결속구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조성물에 대해 무니 점도와 유동성 시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무니 점도 유량계 시험
온도 ML1+4 Vm t5 t35 온도 Tmin Tmax tm+2 t10 t90
125℃ - 43.7 5'32" 8'31" 180℃ 5.5 34.2 1'05" 1'05" 3'04"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결속구에 대해 물성 시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스펙 160℃, 10분
비중 1.26±0.1 1.23
경도(JIS A; 점수) 70±5 71
모듈러스 (100%) 25
모듈러스 (30%) 86
인장강도 70이상 120
신장율 300이상 460
인열강도 -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에 의하면, 트렌치 상에 배열되는 인접 배치되는 트렌치 커버를 합성고무 재질의 결속구를 이용하여 그대로 끼워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트렌치 상의 시공 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이에 따른 조립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 트렌치를 구성하는 단차부와 트렌치 커버 사이에 고무층이 개재되어 밀착됨에 따라 차량 바퀴가 커버 위에서 회전하더라도 커버가 밀려나지 않게 됨은 물론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식에 의한 파손 염려가 없고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는 잇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30: 지지 플레이트 31: 관통공
35A,35B: 받침편 36: 아치형 곡면부
40: 플랜지 41: 통공
50: 결속구 51: 연결편
52a,52b: 끼움봉 53: 걸림턱
60: 단차부

Claims (5)

  1. 일정 문양의 관통공(31)이 다수 배열되는 지지 플레이트(30)와,
    이 지지 플레이트의 측면부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바닥에 아치형 곡면부(36)를 갖는 받침편(35A,35B)과,
    이들 받침편의 사방 가장자리에 통공(41)을 갖는 플랜지(40)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30)의 측면부를 서로 맞대어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통공으로 합성고무 재질의 결속구(50)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트렌치의 상부 개방면을 덮어씌워 폐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50)는 연결편(51)의 하단부 양측에 제1 및 제2끼움봉(52a,52b)이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끼움봉에 걸림턱(53)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50)를 구성하는 합성고무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계 탄성중합체 20∼30중량부,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20∼3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안정제, 가공조제, 윤활제, 충전제, 충격보강제를 각각 5∼7중량부 부가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50)는 합성고무 조성물 100중량부, 유황 0.2∼0.5중량부, 2-머캅토 벤조티아졸(2-mercapto benzothiazole) 0.1∼0.2중량부, 징크 디-n-부틸 디티카바메이트(zinc di-n-butyl dithiocarbamate) 0.4∼0.6중량부,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테트라설파이드(dipenta-methylene thiuram tetrasulfide) 0.1∼0.2중량부,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methyl thiuram disulfide) 0.1∼0.2중량부,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dibenzothiazyl disulfide) 0.1∼0.2중량부를 부가하여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50)는 액상의 합성고무 조성물을 몰딩 성형틀에 부어 250∼300℃ 온도하에서 성형한 후에 냉각하여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KR1020200090781A 2020-07-22 2020-07-22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KR102367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81A KR102367269B1 (ko) 2020-07-22 2020-07-22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81A KR102367269B1 (ko) 2020-07-22 2020-07-22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27A true KR20220011927A (ko) 2022-02-03
KR102367269B1 KR102367269B1 (ko) 2022-02-23

Family

ID=8026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781A KR102367269B1 (ko) 2020-07-22 2020-07-22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26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665A (ko) * 2006-04-27 2007-10-31 지운용 트랜치용 트랜치커버
KR100830896B1 (ko) 2007-02-02 2008-05-22 박남식 트렌치 커버 조립체
KR100994472B1 (ko) 2007-09-28 2010-11-16 서울메트로 개방상태가 조절되는 트렌치커버
KR101065735B1 (ko) 2008-12-30 2011-09-19 장광호 트렌치 커버
KR101239843B1 (ko) * 2012-07-04 2013-03-18 주식회사 뉴보텍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KR101478056B1 (ko) * 2013-07-10 2014-12-31 (주)일산금속 완충부재에 의한 잠금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 덮개
KR101564013B1 (ko) 2014-05-23 2015-10-28 매일이앤씨(주) 무소음 트렌치 커버
KR20160000449U (ko) * 2014-07-29 2016-02-12 주식회사 세기이엔지 강도증가용 프레임이 구비된 무소음 배수트렌치 커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665A (ko) * 2006-04-27 2007-10-31 지운용 트랜치용 트랜치커버
KR100830896B1 (ko) 2007-02-02 2008-05-22 박남식 트렌치 커버 조립체
KR100994472B1 (ko) 2007-09-28 2010-11-16 서울메트로 개방상태가 조절되는 트렌치커버
KR101065735B1 (ko) 2008-12-30 2011-09-19 장광호 트렌치 커버
KR101239843B1 (ko) * 2012-07-04 2013-03-18 주식회사 뉴보텍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KR101478056B1 (ko) * 2013-07-10 2014-12-31 (주)일산금속 완충부재에 의한 잠금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 덮개
KR101564013B1 (ko) 2014-05-23 2015-10-28 매일이앤씨(주) 무소음 트렌치 커버
KR20160000449U (ko) * 2014-07-29 2016-02-12 주식회사 세기이엔지 강도증가용 프레임이 구비된 무소음 배수트렌치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269B1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8526B2 (en) Rooftop support system
US6324800B1 (en) Support base
CN1237231C (zh) 噪声防护墙分段及其制造方法和噪声防护墙及其制造方法
JP5258964B2 (ja) 取付装置及び落下防止保護システム
US8316617B2 (en) Roof object support device
KR102367269B1 (ko) 무소음 트렌치 커버 구조체
DE502005001338D1 (de) Übergang mit einer Übergangsbrücke zwischen zwei miteinander gelenkig verbundenen Fahrzeugen
CN108560780A (zh) 装配式建筑的pcf板安装施工方法
KR102233684B1 (ko) 친환경 트렌치 커버 몰딩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에 의한 합성고무가 피복된 트렌치 커버
KR20160135609A (ko)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알루미늄 억세스 플로어 패널
CN103080422A (zh) 用于轨道固定系统的垫板,用于固定轨道的系统以及轨道固定点的修整方法
KR20200107897A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20100134395A (ko) 터널 구축용 내면 피복 세그먼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200141926A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101618038B1 (ko) 가공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CN218562686U (zh) 一种三维可调单元板块组合挂件
KR102273244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1693219B1 (ko) 밸브 받침장치
KR101962665B1 (ko)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KR20160009453A (ko) 액세스 플로어 설치용 패드 고정 구조
CN214531991U (zh) 一种用于alc板安装可调节高度的新型管卡
CN211778491U (zh) 一种板材与板材之间成形角度可调的连接件
KR102599181B1 (ko) 내구성이 우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219059741U (zh) 一种桥梁伸缩缝结构
KR101962581B1 (ko) 구조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