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201B1 -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201B1
KR100877201B1 KR1020080057098A KR20080057098A KR100877201B1 KR 100877201 B1 KR100877201 B1 KR 100877201B1 KR 1020080057098 A KR1020080057098 A KR 1020080057098A KR 20080057098 A KR20080057098 A KR 20080057098A KR 100877201 B1 KR100877201 B1 KR 100877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pvc
layer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택
김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리
Priority to KR102008005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201B1/ko
Priority to PCT/KR2009/001895 priority patent/WO20091543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35Multiple annular extrusion nozzles in coaxial arrangement, e.g. for making multi-layered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층, 중층, 내층으로 구성된 3중벽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수도관, 하수도관 및 약품 등의 이송에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을 제공하기 위해 PVC수지와 CPVC수지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고 첨가제를 투입하여 100~150℃로 혼합한 후 압출성형을 통하여 3중벽 구조의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을 제조한다.
이를 위해 외벽을 이루는 외층(1)과 내벽을 이루는 내층(3)은 PVC 100중량부에, CPVC 1~50중량부, 무독안정제 2.5~8중량부, 충진제 1~4중량부, R-지당 0.2~6중량부, 가소제 0.2~6중량부, 충격보강제 5~15중량부, 윤활제 0.02~6중량부, 항균제 0.02~3.0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층(1)과 내층(3)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층(2)은 PVC 100중량부에, CPVC 51~1000중량부, 무독안정제 2.5~8중량부, 충진제 1~5중량부, 가소제 1~5중량부, 충격보강제 1~10중량부, 윤활제 0.1~3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을 압출성형기에 투입한 후 압출성형하여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3중벽구조로 형성된 고인장 합성수지관을 제공하게 된다.
내충격 수도관, 3중벽구조,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 고인장 내충격수도관, CPVC수지

Description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A METHOD OF HIGH TENSILE STRESS IMPACT PLASTIC PIPE}
본 발명은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층, 중층, 내층으로 구성된 3중벽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고인장의 합성수지관을 제조하기 위해 PVC 와 CPVC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고 첨가제를 투입하여 100~150℃에서 배합한 후 압출성형을 통하여 수도관, 하수도관 및 약품 등의 이송에 사용되는 3중벽구조의 고인장 내충격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관(수도관) 등에 사용하는 합성수지관은 폴리염화비닐(PVC)수지를 압출시켜 수도관으로 성형한다. 통상의 수도관 등에 사용하는 합성수지관은 폴리염화비닐(PVC)을 이용한 단층의 관을 형성한다. 그러나 대구경의 합성수지관의 경우 많은 양의 액체가 이송되어야 하고, 그로 인해 고압의 압력을 견뎌야 한다.
상기와 같은 고압의 압력에 의해 합성수지관이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따라서 합성수지관의 인장강도를 높이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38254호(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에서는 외부 내충격경질층(1), 중심 고인장 경질층(2) 및 내부 내충격경질층(1')의 삼중벽 구조를 갖는 염화비닐수지관을 제공하고 있는데, 주성분으로써 외부 내충격경질층(1)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에는 동일의 성질을 갖는 염화비닐수지를, 중심고인장경질층(2)에는 내부 및 외부 내충격 경질층보다 경질의 염화비닐수지를 사용하고, 충격 보강제로써 외부 내충격경질층(1)과 내부 내충격경질층(1')에는 비납계(주석계) 복합안정제 2.5 내지 3.5 중량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CPE계) 충격보강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외부활제인 폴리에틸렌왁스 0.3 내지0.6 중량부 첨가하고, 중심고인장 경질층(2)에는 납계 복합안정제 2.5 내지 3.5 중량부와 메틸 메틸아크릴레이트- 부타디엔- 스틸렌( Methyl methacrylate Butadien Styrene, MBS계) 충격보강제 5내지 10중량부 및 내부활제인 스티아린산 0.3 내지 0.6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벽 구조를 갖는 염화비닐수지관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삼중벽구조를 갖는 염화비닐수지관은 그 인장강도가 550(㎏f/㎠ : KS M 3401 방법)로서 우수한 인장강도를 보이고 있으나, 더 높은 인장강도를 요구하게 되어, 이에 맞는 고인장의 내충격 합성수지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개발요구에 적합한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은 PVC수지와 CPVC수지를 적정량 혼합한 후, 첨가제를 첨가하여 100~150℃에서 배합한 후 압출성형을 통하여 외층, 중층, 내층의 3중벽 구조로 형성된 합성수지 3중관을 제조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염소화염화비닐(CPVC:Chlorinated Poly Vinyl Cloride)는 분자구조가(-CHCl-CHCl-)n인 백색분말로 난연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이 양호하며 PVC에 비하여 열에 의한 변형온도가 20~35℃ 높기 때문에 열적 특성이 우수하다. 가공 온도는 160~220℃ 정도이고, 특히 PVC 수지의 약점인 내후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각종 산이나 염기성 오·폐수 등에서도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으므로 한번 설치후 반영구적으로 보수공사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스케일이 생성되지 않아 일정한 배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고가여서 PVC에 비하여 생산원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PVC와 CPVC를 적절한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양 수지의 장점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3중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외층(1) 및 내층(3)은 PVC 100중량부, CPVC 1~50중량부, 무독안정제 2.5~8중량부, 충진제 1~4중량부, R-지당 0.2~6중량부, 가소제 0.2~6중량부, 충격보강제 5~15중량부, 윤활제 0.02~6중량부, 항균제 0.02~3.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층(1)과 내층(3)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층(2)은 PVC 100중량부, CPVC 51~1000중량부, 무독안정제 2.5~8중량부, 충진제 1~5중량부, 가소제 1~5중량부, 충격보강제 1~10중량부, 윤활제 0.1~3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3중관을 제공함으로써 완성된다.
상기의 지당( R- 지당)은 백색티탄이라고도 부르는 백색무기안료로서, 비중이 크고 화학적으로 가장 안정하며, 자연적인 조건하에서는 내광성, 내공해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착색력, 은폐력이 백색 안료 중 가장 우수하지만 고가인 것이 단점이다. 보통 결정형태에 따라 아나타제(anatase; A형)형과 루틸(rutile ; R형))형의 2종류가 있으며, A형은 백색도는 높으나 은폐력, 내쵸킹성이 나쁘고, R형은 약간의 황미는 있으나 은폐력, 착색력이 좋고 내후성도 좋다. 지당의 칼라 인덱스 번호(ColourIndex Number: C.I.No)는 77891이고 화학식은 TiO2 이다. 본 발명에서는 루틸(rutile)형의 R -지당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독안정제는 Ba-Zn(바륨-아연)계나 Ca-Zn(칼슘-아연)계 및 내광안정제인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힌더드 아민 광안정화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HALS계), Al-Mg(알루미늄-마그네슘)계의 안정제 중 1 또는 2를 선택한다.
가소제란 비교적 적은 수준의 양을 투입하여 물성에 큰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가공성을 개선한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대전방지제, 분산제, 균질배합제를 사용한다.
노화방지나 보강을 위하여 충진제로 탄산칼슘을 사용하며, 윤활제로 파라핀 왁스와 금속비누를 들 수 있다.
또한, 외층(1) 및 내층(3)의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항균제는 Zinc 2-pyridenthol-1-oxide와 인산지르코늄계 은이온 항균제 및 Ag 0.50%, SiO2 98.25%, 수분 0.25% 및 Al2O3 1.00%로 구성된 파우더형태의 항균제(제품명 : Silvix Nanosilver Composite Powder)중에서 선택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을 제조하는 법을 제공함으로써, 내충격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내충격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은 단일관에 외층(1), 중층(2), 내층(3)의 3중벽구조로 형성되며, 외층(1), 내층(3) 및 중층(2)을 이루고 있는 합성수지를 각각 혼합한 조성물을 압출성형기에 투입한 후 압출성형하여 3중벽 구조의 내충격합성수지관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은 PVC 100중량부에 CPVC 1~50중량부, 무독안정제 2.5~8중량부, 충진제 1~4중량부, R-지당 0.2~6중량부, 가소제 0.2~6중량부, 충격보강제 5~15중량부, 윤활제 0.02~6중량부, 항균제 0.02~3.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외층(1) 및 내층(3)용 조성물과; 상기 외층(1)과 내층(3)의 사이에 위치하며 PVC 100중량부에 CPVC 51~1000중량부, 무독안정제 2.5~8중량부, 충진제 1~5중량부, 가소제 1~5중량부, 충격보강제 1~10중량부, 윤활제 0.1~3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중층(2)용 조성물을 압출성형기에 투입한 후 압출성형하여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3중관을 제조함으로써 완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수도관의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 1>
3중벽구조의 외층(1)과 내층(3)은 PVC 100중량부에 CPVC 1중량부, Ba-Zn(바 륨-아연)계 무독안정제 4중량부, 탄산칼슘 1중량부, R-지당 0.2중량부, 균질배합제 0.2중량부, 충격보강제 7중량부, 파라핀왁스 0.02중량부, 인산지르코늄계 은이온 항균제 0.02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로 형성되며; 중층(2)은 PVC 100중량부, CPVC 51중량부, Ca-Zn(칼슘-아연)계 무독안정제 3중량부, 탄산칼슘 1중량부, 균질배합제 1중량부, MBS계 충격보강제 2중량부, 파라핀왁스 0.1중량부를 혼합하여, 상기 외층(1)과 내층(3)용 조성물 및 중층(2)용 조성물을 각각 110~140℃로 가열하며 압출성형하여 3중벽 구조의 수도관을 제조한다.
<실시예 2>
외층(1)과 내층(3)은 PVC 100중량부에 CPVC 1중량부, Ca-Zn(칼슘-아연)계 무독안정제 4중량부, 탄산칼슘 2중량부, R-지당 1중량부, 분산제 1중량부, 충격보강제 7중량부, 금속비누 1중량부, 인산지르코늄계 은이온 항균제 1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로 형성되며; 중층(2)은 PVC 100중량부에, CPVC 600중량부, Ca-ZN(칼슘-아연)계 무독안정제 3중량부, 탄산칼슘 4중량부, 균질배합제 4중량부, MBS계 충격보강제 3중량부, 금속비누 1중량부를 혼합하여, 상기 외층(1)과 내층(3)용 조성물 및 중층(2)용 조성물을 각각 110~140℃로 가열하며 압출성형하여 3중벽 구조의 수도관을 제조한다.
<실시예 3>
외층(1)과 내층(3)은 PVC 100중량부에 CPVC 10중량부, BA-Zn(바륨-아연)계 무독안정제 4중량부, 탄산칼슘 2중량부, R-지당 1중량부, 분산제 1중량부, 충격보강제 7중량부, 금속비누 1중량부, 인산지르코늄계 은이온 항균제 1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로 형성되며; 중층(2)은 PVC 100중량부에, CPVC 1000중량부, BA-ZN(바륨-아연)계 무독안정제 3중량부, 탄산칼슘 4중량부, 균질배합제 4중량부, MBS계 충격보강제 3중량부, 금속비누 4중량부를 혼합하여, 상기 외층(1)과 내층(3)용 조성물 및 중층(2)용 조성물을 각각 110~140℃로 가열하며 압출성형하여 3중벽 구조의 수도관을 제조한다.
<실시예 4>
외층(1)과 내층(3)은 PVC 100중량부에 CPVC 50중량부, CA-Zn(칼슘-아연)계 무독안정제 4중량부, 탄산칼슘 2중량부, R-지당 1중량부, 분산제 1중량부, 충격보강제 7중량부, 금속비누 1중량부, Zinc 2-pyridenthol-1-oxide 항균제 1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로 형성되며; 중층(2)은 PVC 100중량부에, CPVC 1000중량부, 벤조폐논계 무독안정제 3중량부, 탄산칼슘 4중량부, 균질배합제 5중량부, MBS계 충격보강제 3중량부, 금속비누 1중량부를 혼합하여, 상기 외층(1)과 내층(3)용 조성물 및 중층(2)용 조성물을 각각 110~140℃로 가열하며 압출성형하여 3중벽 구조의 수도관을 제조한다.
<비교예 1>
외층과 내층은 PVC 100중량부에 비납계(주석계) 복합안정제 2.5 중량부, CPE 계 충격보강제 5 중량부, 외부활제인 폴리에틸렌왁스 0.3중량부를 첨가하고, 중층(2)에는 PVC 100중량부에 납계 복합안정제 2.5중량부, MBS계 충격보강제 5중량부, 내부활제인 스티아린산 0.3중량부를 첨가하여 3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관을 압출성형하였다.
<비교예 2>
외층과 내층은 PVC 100중량부에 비납계(주석계) 복합안정제 3.5중량부, CPE계 충격보강제 10중량부, 외부활제인 폴리에틸렌왁스 0.6중량부를 첨가하고, 중층(2)에는 PVC 100중량부에 납계 복합안정제 3.5중량부, MBS계 충격보강제 10중량부, 내부활제인 스티아린산 0.6중량부를 첨가하여 3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관을 압출성형하였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 과 비교예 1, 2와 같은 방법으로 동일한 규격(KS규격 직경 100mm)으로 압출성형하여 수도관을 준비한 후, 각각 인장강도(kg/㎠; ISO 75-1기준)를 시험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준으로 실시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인장강도에 대한 시험의 측정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측정값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4
인장강도(kg/㎠) 580 603 621 635 547 551
표 1을 통해 실시예와 비교예의 방법으로 3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관을 압출한 후 인장강도의 시험에 대한 측정값을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4의 측정값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보다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3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관은 PVC와 CPVC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고인장 내충격수도관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PVC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CPVC의 혼합양을 늘리게 되면 인장강도가 좋아지기는 하나,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됨으로, 외층(1), 내층(3)은 PVC 100중량부에 1~50중량부로 혼합하고, 중층(2)은 PVC 100중량부에 대하여 CPVC 51~1000중량부로 한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인장 내충격수도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인장 내충격수도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외층 2 : 중층 3 : 내층

Claims (6)

  1. 외층(1), 중층(2) 및 내층(3)의 3중벽구조로 형성된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층(1) 및 내층(3)은 PVC 100중량부에 CPVC 1~50중량부, 무독안정제 2.5~8중량부, 충진제 1~4중량부, R-지당 0.2~6중량부, 가소제 0.2~6중량부, 충격보강제 5~15중량부, 윤활제 0.02~6중량부, 항균제 0.02~3.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층(1)과 내층(3)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층(2)은 PVC 100중량부에 CPVC 51~1000중량부, 무독안정제 2.5~8중량부, 충진제 1~5중량부, 가소제 1~5중량부, 충격보강제 1~10중량부, 윤활제 0.1~3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외층(1), 중층(2) 및 내층(3)의 3중벽구조로 형성된 내충격수도관에 있어서, 외층(1) 및 내층(3)은 PVC 100중량부에 CPVC 1~50중량부, 무독안정제 2.5~8중량부, 충진제 1~4중량부, R-지당 0.2~6중량부, 가소제 0.2~6중량부, 충격보강제 5~15중량부, 윤활제 0.02~6중량부, Zinc 2-pyridenthol-1-oxide, 인산지르코늄계 은이온 항균제 및 Ag 0.50%, SiO2 98.25%, 수분 0.25% 및 Al2O3 1.00%로 구성된 파우더형태의 항균제 중에서 1종을 선택한 항균제 0.02~3.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층(1)과 내층(3)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층(2)은 PVC 100중량부에 CPVC 51~1000중량부, Ba-Zn(바륨-아연)계, Ca-Zn(칼슘-아연)계,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HALS계, Al-Mg(알루미늄-마그네슘)계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무독안정제 2.5~8중량부, 충진제 1~5중량부, 가소제 1~5중량부, 충격보강제 1~10중량부, 윤활제 0.1~3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장 내충격수도관.
  4. 제 3항에 있어서, 외층(1)과 내층(3)은 PVC 100중량부에 CPVC 1중량부, 무독안정제 4중량부, 충진제 2중량부, R-지당 1중량부, 가소제 1중량부, 충격보강제 7중량부, 윤활제 1중량부, 항균제 1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조성물로 형성되고;
    중층(2)은 Zinc 2-pyridenthol-1-oxide, 인산지르코늄계 은이온 항균제 및 Ag 0.50%, SiO2 98.25%, 수분 0.25% 및 Al2O3 1.00%로 구성된 파우더형태의 항균제 중에서 1종을 선택한 항균제 0.02~3.0중량부를 PVC 100중량부에 CPVC 600중량부, 무독안정제 3중량부, 충진제 4중량부, 가소제 4중량부, 충격보강제 3중량부, 윤활제 1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장 내충격수도관.
  5. 삭제
  6. 삭제
KR1020080057098A 2008-06-17 2008-06-17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0877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098A KR100877201B1 (ko) 2008-06-17 2008-06-17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PCT/KR2009/001895 WO2009154347A1 (ko) 2008-06-17 2009-04-14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098A KR100877201B1 (ko) 2008-06-17 2008-06-17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201B1 true KR100877201B1 (ko) 2009-01-07

Family

ID=4048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098A KR100877201B1 (ko) 2008-06-17 2008-06-17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7201B1 (ko)
WO (1) WO2009154347A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655B1 (ko) 2010-02-23 2010-07-14 (주)홍일산업 항균성 3층 구조의 pvc 상수관
KR100981118B1 (ko) 2010-07-12 2010-09-08 주식회사 고리 삼중벽 내충격 상수도관
KR101057317B1 (ko) 2010-09-10 2011-08-17 주식회사 뉴보텍 장기보관성이 개선된 염화비닐계 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070584B1 (ko) * 2010-07-22 2011-10-06 주식회사 뉴보텍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KR101214800B1 (ko) 2010-07-12 2012-12-24 주식회사 고리 중심층에 c-pvc를 함유하는 3층 구조 내충격 상수도관
KR101283391B1 (ko) 2012-12-12 2013-07-08 유영화학(주) 아라미드섬유 보강 폴리염화비닐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381310B1 (ko) * 2013-08-20 2014-04-04 주식회사 차후에스엔피 3층 구조로 된 삼중 상하수도관
KR101424517B1 (ko) 2013-08-20 2014-08-01 주식회사 차후에스엔피 소음 차단용 상하수도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688112B1 (ko) 2016-06-29 2016-12-21 주식회사 뉴보텍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KR101705683B1 (ko) 2016-06-29 2017-02-13 주식회사 뉴보텍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무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KR101738428B1 (ko) * 2015-05-07 2017-05-22 김기섭 전기 온수기
KR101882456B1 (ko) 2017-11-10 2018-07-27 주식회사 고리 상ㆍ하수도용 삼중벽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의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
KR20190008590A (ko) * 2017-07-17 2019-01-25 지두환 침구 충진용 헬릭스 환봉여재의 제조방법
KR20190079740A (ko) 2017-12-27 2019-07-08 (주)고비 불균일한 경계면을 가지는 합성수지 다중관
AU2017392010B2 (en) * 2017-01-12 2020-06-04 Terraheim Co., Ltd. Method for preparing nanosilver particle-immersed nanosilver organic-inorganic composite resin and antibiotic water pipe manufactured by using same
KR102123411B1 (ko) * 2020-04-08 2020-06-16 유영화학(주)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
KR102212545B1 (ko) 2020-07-13 2021-02-08 주식회사 제이엔피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CN112706486A (zh) * 2021-01-20 2021-04-27 浙江新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低温风炮管及其生产工艺
US11628653B2 (en) 2019-03-27 2023-04-18 Engineered Profiles LLC Thermally stable multilayer polymer extru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00389A1 (pl) * 2012-08-15 2014-02-17 Nanotechnologies Spó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sób wytwarzania wzdluznych wielosciennych profili z polichlorku winylu
CN109273154A (zh) * 2018-08-02 2019-01-25 安徽扬子线缆有限公司 一种高阻燃高耐候电缆及其制备方法
CN114685918B (zh) * 2022-04-25 2023-09-22 广东中讯通讯设备实业有限公司 一种耐热型cpvc电力导管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2185A (ja) * 1995-11-22 1997-08-26 Sekisui Chem Co Ltd 複合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83344A (ja) 1999-03-26 2000-10-13 Sekisui Chem Co Ltd 複合管
JP2000283345A (ja) 1999-03-26 2000-10-13 Sekisui Chem Co Ltd 複合管
KR20030070528A (ko) * 2002-02-25 2003-08-30 이길환 항균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2185A (ja) * 1995-11-22 1997-08-26 Sekisui Chem Co Ltd 複合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83344A (ja) 1999-03-26 2000-10-13 Sekisui Chem Co Ltd 複合管
JP2000283345A (ja) 1999-03-26 2000-10-13 Sekisui Chem Co Ltd 複合管
KR20030070528A (ko) * 2002-02-25 2003-08-30 이길환 항균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655B1 (ko) 2010-02-23 2010-07-14 (주)홍일산업 항균성 3층 구조의 pvc 상수관
KR100981118B1 (ko) 2010-07-12 2010-09-08 주식회사 고리 삼중벽 내충격 상수도관
KR101214800B1 (ko) 2010-07-12 2012-12-24 주식회사 고리 중심층에 c-pvc를 함유하는 3층 구조 내충격 상수도관
KR101070584B1 (ko) * 2010-07-22 2011-10-06 주식회사 뉴보텍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KR101057317B1 (ko) 2010-09-10 2011-08-17 주식회사 뉴보텍 장기보관성이 개선된 염화비닐계 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391B1 (ko) 2012-12-12 2013-07-08 유영화학(주) 아라미드섬유 보강 폴리염화비닐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381310B1 (ko) * 2013-08-20 2014-04-04 주식회사 차후에스엔피 3층 구조로 된 삼중 상하수도관
KR101424517B1 (ko) 2013-08-20 2014-08-01 주식회사 차후에스엔피 소음 차단용 상하수도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738428B1 (ko) * 2015-05-07 2017-05-22 김기섭 전기 온수기
KR101705683B1 (ko) 2016-06-29 2017-02-13 주식회사 뉴보텍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무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KR101688112B1 (ko) 2016-06-29 2016-12-21 주식회사 뉴보텍 열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저독성 합성수지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
AU2017392010B2 (en) * 2017-01-12 2020-06-04 Terraheim Co., Ltd. Method for preparing nanosilver particle-immersed nanosilver organic-inorganic composite resin and antibiotic water pipe manufactured by using same
KR20190008590A (ko) * 2017-07-17 2019-01-25 지두환 침구 충진용 헬릭스 환봉여재의 제조방법
KR102069167B1 (ko) 2017-07-17 2020-02-11 지두환 침구 충진용 헬릭스 환봉여재의 제조방법
KR101882456B1 (ko) 2017-11-10 2018-07-27 주식회사 고리 상ㆍ하수도용 삼중벽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의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
KR20190079740A (ko) 2017-12-27 2019-07-08 (주)고비 불균일한 경계면을 가지는 합성수지 다중관
US11628653B2 (en) 2019-03-27 2023-04-18 Engineered Profiles LLC Thermally stable multilayer polymer extrusion
US11794454B2 (en) 2019-03-27 2023-10-24 Engineered Profiles LLC Thermally stable multilayer polymer extrusion
KR102123411B1 (ko) * 2020-04-08 2020-06-16 유영화학(주)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
KR102212545B1 (ko) 2020-07-13 2021-02-08 주식회사 제이엔피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KR102273987B1 (ko) 2020-07-13 2021-07-08 주식회사 제이엔피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CN112706486A (zh) * 2021-01-20 2021-04-27 浙江新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低温风炮管及其生产工艺
CN112706486B (zh) * 2021-01-20 2022-03-08 浙江新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低温风炮管及其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4347A1 (ko)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201B1 (ko)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0862029B1 (ko) 합성수지관용 조성물 및 합성수지관
US8912243B2 (en) Compositions, additives, and compounds for melt processable, foamable, and cellular fluoroploymers
KR100909183B1 (ko)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391B1 (ko) 아라미드섬유 보강 폴리염화비닐수지관의 제조방법
EP3233937B1 (en) Method of improving resistance to environmental stress cracking in an extruded pipe
CN102002199A (zh) 90℃高阻燃聚乙烯护套料
KR101239843B1 (ko)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KR100733133B1 (ko) 파이프 제조용의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다층구조의 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수득되는 다층구조의 파이프
KR101218405B1 (ko) 삼층형 폴리염화 비닐관
CN103897289A (zh) Pvc型材配方及其加工方法
KR20150075837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0974995B1 (ko) 친환경 pvc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축재
CN102295810A (zh) 一种埋地式pvc-c电缆护套管生产工艺
KR100786773B1 (ko) 인장강도 및 내후성을 향상시킨 고강도 파이프 제조용수지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 파이프
KR100976805B1 (ko) 수도관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33830B1 (ko) 내후성이 향상된 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751281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
CN106893336A (zh) 木塑材料、铝包木塑门窗及其制备方法
KR102179750B1 (ko) 중금속이 없는 할로겐화된 중합체 화합물
KR101652044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KR101298664B1 (ko) 석고를 포함하는 고강도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그로부터 제조된 유체 파이프
CN103928159B (zh) 耐火电力电缆
KR101033829B1 (ko) 내후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2623857B1 (ko)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