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987B1 -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 Google Patents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987B1
KR102273987B1 KR1020210004498A KR20210004498A KR102273987B1 KR 102273987 B1 KR102273987 B1 KR 102273987B1 KR 1020210004498 A KR1020210004498 A KR 1020210004498A KR 20210004498 A KR20210004498 A KR 20210004498A KR 102273987 B1 KR102273987 B1 KR 10227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ipe
tube
master b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선
노영호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피
Priority to KR102021000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3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printing or ma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2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2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haloge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휨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ㆍ외층 및 중심층을 PVC레진과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수지 조성물에 첨가 제조하여, 배치 혼합물이 PVC와 상호 호환성이 뛰어나며, 마스터 배치 혼합물는 유연성, 휨 강도, 저온충격강도가 높아 PVC와 혼련시 배합물의 휨 강도, 저온 충격강도가 향상되고 인장강도, 내열성 및 PVC와의 상용성이 뛰어나 인장강도와 저온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편수고무링은 외주면이 편수관의 고무링결합요홈에 비해 1.1-1.5배 두껍게 형성하여 장기 내구성을 높였으며, TS관, SP관 및 직관과 편수관의 수밀을 높이기 위해 2중 수밀돌기와, 접이식 날개를 형성하여 원활한 조립과 수밀을 동시에 보강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triple-walled rigid polyvinyl chloride tube containing master placement with excellent bending and impact strength}
본 발명은 피브이씨 관제작시스템으로 성형되는 수도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의 조성성분으로는 폴리염화비닐 레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스터 배치 혼합물 0.5- 50중량부, 안정제 0.5-10중량부, 충진제 0.5-20중량부, 지당 0.2-3중량부, 가공조제 0.2-3중량부, CPE충격보강제 2-15중량부, MBS충격보강제 0.2-3중량부, 내부활제 0.2-2중량부 및 외부활제 0.2-2중량부로 조성된 혼합물을 투입하여 피브이씨 관제작시스템을 구성하는 압출금형장치로부터 압출하여 3중구조의 성형관을 최적의 인장 및 충격강도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염화비닐 수지는 저렴한 가격에 비해 물리, 화학적 성질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내열성, 인장강도 및 저온 내충격성에 취약하고 열변형이나 시간이 경과하면 변색되는 등의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열안정제, 가공조제, 자외선방지제, 충격보강제, 충진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수지는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은 반비례 관계로 인장강도가 높아지면 내충격성은 약해지고, 내충격성이 높아지면 인장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인장강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높이면서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이하 "PVC" 라 합니다)과 상호 호환성이 높은 가공조제가 필요하고, 환경적인 측면에서 볼 때 현재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해 지구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하고 있어 생산성 향상을 통한 온실 가스 저감이 반드시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관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합성수지관을 내층, 외층 및 중심층을 갖는 3중관으로 형성하고, 열안정제, 가공조제, 자외선방지제, 충격보강제, 충진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가공성 및 내충격성, 인장강도가 뛰어나고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관을 성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ㆍ하수도용 합성수지관의 가공성, 내충격성 및 인장력의 향상 등 물리 화학적 특성이 뛰어난 상ㆍ하수도관용 합성수지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합성 수지에 첨가하는 새로운 첨가제를 개발하거나 가공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제들이 기본원료들과 혼련성이 뛰어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질염화비닐관(PVC관)은 고온 및 저온에서 강도가 떨어지게 되고, 충격 강도가 약해 낮은 온도(5℃ 이하)에서 취급시 충격에 조심해야 하며, 열팽창율이 크고 화재시 또는 소각 폐기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염소가스가 발생되며, 장기간 직사광선을 받을 경우 노화가 빨리 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질염화비닐관(PVC관)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관의 벽이 2중 구조로 이루어진 2중관(PVC 이중관)과, 나선관(스핀관) 및 3중 구조(HI-3P) 내충격 수도관 등이 제공된다 이중, 2중관은 층 사이에 공간을 주어 공기층을 형성시킨 구조로서, 배수관으로 사용시에는 물흐르는 소리가 차단되는 방음효과가 있으며, 동절기에 결로현상 방지에도 효과적이고, 건물의 배수 수직관이나 수평지관에 주로 사용되며, 저소음관으로서 경질염화비닐관보다 외부압력에 대한 저항강도가 커서 오래 사용할 수 있고 단열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그리고 나선관은 건축물의 배수 수직관에 사용되는 관으로서, 관 내면에 스크류 모양의 삼각안내돌기를 여러줄(6라인) 형성시켜 배수가 돌기를 따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배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3중 구조(HI-3P) 내충격 수도관은 경질염화비닐관의 물리ㆍ화학적 성질을 강화시킨 고밀도경질중심축과 그 내외측에 내충격 경질층을 갖는 3중 구조로서, 이는 관중심축과 표면층 사이에 충격에너지를 감소시켜 외부압력에 대한 충격강도가 크고, 높은 인장 강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3중 구조의 수도관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레진(PVC 원료)을 공급한 다음, 이를 금형틀 내부를 통과시키면서 3중의 관으로 압출성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조되는 3중벽의 수도관은 납계 안정제와 레진(PVC원료)을 사용하여 고온 고압이 유지되어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되었으며, 또한 이에 알맞은 원부자재 선택 사용과 배합 데이터가 조건을 맞추기가 어려워 생산성 및 제품에 대한 질이 저하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10-0896677호(발명의 명칭 : 3중 구조의 비납계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의 상하수도관을 개발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열안전성에 맞춰진 관을 생산하는 설비라인의 스크류 길이가 길고, 비납계안정제나 레진(PVC원료)을 사용하여 온도 조건이 낮은 온도에서 작업을 하게 되었으며, 이에 원부자재 선택사용과 배합 데이터가 조건을 맞추기가 용이하여 또한 혼합분말을 양측의 장치에서 반죽물로 생성한 다음, 이를 하나의 코엑스장치로 압출하여 혼합하고, 금형압출장치에서 압출시키면, 3중구조(내,외부는 내충격 경질층관, 중간은 고인장 경질층관)의 피브씨 성형관이 성형 제작되고, 성형제작된 피브이씨 성형관을 진공냉각장치와 수조냉각장치를 통과시켜 진공과 물로서 순차적으로 냉각시키면, 피브씨 성형관의 강도가 유지된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414809호에는 "잔류 응력의 제거가 가능한 파이프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투입된 합성수지 재료를 용융 배출하는 제1,2압출기에서 배출된 용융 수지를, 다이스를 통과시켜 파이프를 성형제작하여 배출하고, 진공냉각조에는 성형된 파이프 표면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냉각시키고, 어닐링조에서는 진공 냉각된 파이프 표면에 가열수를 분사하여 재가열하고, 냉각조에서는 어닐링조에서 가열된 파이프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재냉각시켜 파이프의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진공냉각조에서 냉각된 파이프를 재가열하여 파이프의 내부층 및 표면층 온도의 편차를 최소화시켜 잔류응력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어닐링조는, 냉각수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 냉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장치, 가열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치, 가열수를 실링하기 위한 장치 등 많은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구조상의 불편함과, 또한 냉각수를 일정기간 사용후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되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피브이씨 관제작시스템을 구성하는 압출금형장치로부터 성형된 3중 구조의 성형관을 진공 냉각한 다음, 수냉각으로 냉각시킴에 따라 성형관에 최적의 인장 및 충격강도가 유지되도록 구성한 피브이씨 관제작시스템의 성형관 강도보강장치인 등록특허 제10-1830673호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수조냉각장치에서 압출된 성형관(수도관)의 외부면에 냉각수가 분사되어 외부에서 내부로 냉각하는 과정에서 냉각의 진행속도가 동일하지 못하여 성형관이 최적의 인장 및 충격강도가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편수칼라관에 들어가는 수밀고무링은 약간의 꺾임이 발생하면 누수가 발생하여 직관과 편수관의 조립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9667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824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336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7562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7562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1736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06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772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091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811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680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4800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브이씨 관제작시스템을 구성하는 코엑스장치 및 압출금형장치로부터 성형된 3중 구조의 성형관을 진공냉각장치와 성형관가열장치 및 수조냉각장치를 통과시켜 성형관을 1차로 냉각시키고, 진공 냉각된 성형관을 2차냉각시킬 때 성형관의 외부면과 내부면을 동일하게 냉각처리함으로써, 성형관에 최적의 인장 및 충격강도가 유지되도록 피브이씨 관제작시스템으로 성형되는 성형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성형관의 내ㆍ외층 수지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레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스터 배치 혼합물 0.5-50중량부, 안정제 0.5-10중량부, 충진제 0.5-20중량부, 지당 0.2-3중량부, 가공조제 0.2-3중량부, 염소화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이하 "CPE"라 합니다) 충격보강제 2-15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 스틸렌(methyl methacrylate butadiene styrene: 이하 "MBS"라 합니다) 충격보강제 0.2-3중량부, 내부활제 0.2-2중량부 및 외부활제 0.2-2중량부로 조성함으로서 저온충격강도 및 내마모성, 유연성, 휨강도를 더 보강하고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이하 "CPVC"라 합니다)를 첨가하여 인장강도를 보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편수관, TS관, SP관과 직관 및 편수관의 수밀을 높이기 위한 편수고무링은 전방 영역내주면 전방 영역에 2중 수밀돌기가 형성되고, 후방영역에는 접이식 날개를 형성하여 직관의 원활한 조립과 수밀을 동시에 보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관은 비납계 안정제와 레진의 혼합분말을 저장하기 위한 혼합분말저장장치와; 상기 혼합말을 공급받아 이송하기 위한 혼합분말이송장치와; 혼합물을 공급받아 고온 가열하여 반죽물로 압출하기 위한 반죽물압출장치와; 압축물을 공급받기 위한 코엑스장치와; 압축물을 내부에 보강돌출리브를 나선형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하여 성형관으로 압출 성형하기 위한 압출물금형장치와; 성형된 성형관을 1차로 냉각시키기 위한 진공냉각장치와; 1차로 진공냉각된 성형관을 2차로 냉각시키기 위한 수조냉각장치와; 2차로 냉각이 완료된 성형관의 외주연에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트장치와; 일정속도로 인출되는 성형관을 잡아 주기 위한 인출장치와; 성형관을 적정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커팅장치와;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로 구성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을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성형관은 수축율을 보강시키고, 휨과 뒤틀림을 방지하며 인장강도의 상승을 가져와 굴곡강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VC레진을 마스터 배치화하여 이를 3중관의 내ㆍ외층 및 중심층의 수지 조성물에 첨가하는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은 내열성 및 저온 내충격성, 인장강도가 뛰어나고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마스터 배치 조성물 중의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이하 "PU"라 합니다)은 화학적 가교결합이 아닌 물리적 가교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어닐링에 의해 그 속도를 높일 수 있어 이를 통해 여러가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혼합분말이 압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으로 구성되는 편수관에 편수고무링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으로 구성되는 편수관에 편수고무링과 직관이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혼합분말이 압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은 수지 조성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혼합분말저장장치(110)와; 혼합분말저장장치(11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물을 이송하기 위한 혼합물이송장치(120)와; 지지받침대 상부 일측 영역에 각각 구비되고, 동력발생부재(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혼합물이송장치(120)로부터 혼합물을 공급받아 고온으로 가열하면서 반죽물로 압출하기 위한 반죽물압출장치(140)와; 반죽물압출장치(140)로부터 압축물을 동시에 공급받기 위한 코엑스장치(150) 및 압출물금형장치(160)로부터 성형된 3중 성형관을 1차로 진공 냉각시키기 위한 진공냉각장치(170)와; 1차로 진공냉각된 성형관을 2차로 물과 냉각수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수조냉각장치(190)와; 2차된 3중 성형관을 1차로 진공 냉각시키기 위한 진공냉각장치(170)와; 1차로 진공냉각된 성형관을 2차로 물과 냉각수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수조냉각장치(190)와; 2차된 3중 성형관을 1차로 진공 냉각시키기 위한 진공냉각장치(170)와; 1차로 진공냉각된 성형관을 2차로 물과 냉각수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수조냉각장치(190)와; 2차로 냉각이 완료된 성형관의 외주연에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트장치(200)와; 성형이 완료되고, 계속적으로 일정속도로 인출되는 성형관을 잡아 주기 위한 인출장치(210)와; 인출되는 성형관을 적정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커팅장치(210)와; 각 장치들의 동작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220)로 구성된 상·하수도관 성형 장치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벽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원료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혼합분말저장장치(110)의 저장호퍼(101) 내부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된 혼합물은 저장호퍼(101)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혼합물이송장치(120)로 공급되고, 혼합물이송장치(120)에서는 저속으로 회전하는 모터(121)에 의해 혼합물 이송부재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반죽물압출장치(140)로 배출된다.
이후, 반죽물압출장치(140) 내부로 배출된 혼합물은 히팅기(142)에서 공급되는 고온(200℃)으로 가열하여 반죽물로 생성되고, 반죽물압출장치(140)를 통과하여 압출된 반죽물은, 코엑스장치(150)로 공급되어 압출물금형장치(160)로 압출됨에 따라 3중 구조의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이 성형된다.
이와 같이 성형되는 성형관(5)은 도 4에서와 같이 외층(1), 중심층(2) 및 내층(3)의 3중관으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외층(1), 중심층(2) 및 내층(3)으로 성형되는 성형관(5)을 이용하여 TS관, SP관과 직관(10) 및 편수관(20)을 제작하게 된다.
상기 편수관(20)은 외주면에 외측경사면(22a)이 형성된 외향돌출부(23)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편수고무링(30)이 결합되는 고무링결합요홈(24)이 형성된다.
상기 편수고무링(30)은 편수관의 고무링결합요홈(24)에 결합되는 외향결합돌부(32)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직관(10)과의 수밀을 높이기 위해 내주면 전방 영역에 수밀돌기(34)가 형성되며, 내주면 후방 영역에 직관과의 수밀성 및 고무링결합요홈(24)과 조립성을 높이기 위한 접이식 날개(36)가 형성된다.
이때, 편수고무링(30)은 외주면이 편수관(20)의 고무링결합요홈(24)에 비해1.1-1.5배 두껍게 형성되어 장기적인 내구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의 내ㆍ외층 수지조성은 폴리염화비닐 레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스터 배치 혼합물 0.5 - 50중량부, 안정제 0.5-10중량부, 충진제 0.5-20중량부, 지당 0.2-3중량부, 가공조제 0.2-3중량부, CPE충격보강제 2-15중량부, MBS충격보강제 0.2-3중량부, 내부활제 0.2-2중량부 및 외부활제 0.2-2중량부로 조성되어 있다.
상기의 조성 성분 중, 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은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이들 제품의 취약한 물성을 보완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해 중합과정에서 첨가하는 것으로 본원발명에서는 Zn계 및 Ca계 안정제를 첨가함으로써 가공시 마찰열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가공조제는 수지의 겔링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가공조제를 사용하게 된다. 충진제로는 나노탄산칼슘이 사용되고 있다.
<내ㆍ외층의 수지 조성성분 및 비율>
내ㆍ외층 조성물
원료 중량부 비고
PVC레진 100


1차 H-Mixer 온도
:100-140℃

2차 C-Blender 온도
:60℃
마스터 배치 혼합물 0.5 - 50
안정제 0.5 - 10
충진제 0.5 - 20
지당 0.2 - 3
가공조제 0.2 - 3
CPE충격보강제 2 - 5
MBS충격보강제 0.2 - 3
내부활제 0.2 - 2
외부활제 0.2 - 2
<내ㆍ외층 마스터 배치 조성물의 조성성분 및 조성비율>
마스터 배치 조성물
원료 중량부 비고
PVC 100 1차 H-Mixer 온도
:100-140℃

2차 C-Blender 온도
:60℃
폴리우레탄(PU) 5 - 50
내부활제 0.3 - 6
외부활제 0.3 - 7
스테아린산 1 - 5
산화폴리에틸렌 왁스 1 - 5
<중심층의 수지 조성성분 및 비율>
중심층 조성물
원료 중량부 비고
PVC레진 100

1차 H-Mixer 온도
:100-140℃

2차 C-Blender 온도
:60℃
마스터 배치 혼합물 0.5 - 50
안정제 0.5 - 10
충진제 0.5 - 7
가공조제 0.2 - 3
CPE충격보강제 0.1 - 10
내부활제 0.2 - 5
외부활제 0. 2 - 5
<중심층 마스터 배치 조성물의 조성성분 및 조성비율>
마스터 배치 조성물
원료 중량부 비고
PVC 100
1차 H-Mixer 온도
:100-140℃

2차 C-Blender 온도
:60℃
CPVC 5 - 50
내부활제 0.3 - 6
외부활제 0.3 - 7
스테아린산 2 - 5
산화폴리에틸렌 왁스 2 - 5
<실시예 1>
<내ㆍ외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중합도 1,000의 폴리염화비닐 레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스터 배치 혼합물 20중량부, 안정제 5중량부, 충진제 2중량부, 지당 0.7중량부, 가공조제 1중량부, CPE충격보강제 7중량부, MBS충격보강제 0.8중량부, 내부활제 0.2중량부 및 외부활제 0.2중량부로 구성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내ㆍ외층 마스터 배치 조성물의 제조>
중합도 1,000의 폴리염화비닐 레진 100중량부, PU 5 - 50중량부, 내부활제 2중량부, 외부활제 2중량부, 스테아린산 4중량부 및 산화폴리에틸렌왁스 4중량부로 구성된 내ㆍ외층 마스터 배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마스터 배치 조성물 중의 폴리우레탄(PU)은 화학적 가교결합이 아니라, 재가열하면 해체될 수 있는 물리적 가교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어닐링에 의해 그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러가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심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중합도 1,000의 폴리염화비닐 레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스터 배치 혼합물 30중량부, 안정제 5중량부, 충진제 2.5중량부, 가공조제 0.6중량부, CPE충격보강제 0.2 중량부, 내부활제 3중량부 및 외부활제 3중량부로 구성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중심층 마스터 배치 조성물의 제조>
중합도 1,000의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CPVC 10중량부, 내부활제 4중량부, 외부활제 4중량부, 스테아린산 3중량부, 산화폴리에틸렌왁스 3중량부로 구성된 마스터 배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ㆍ외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마스터 배치 혼합물 2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중심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마스터 배치 혼합물 2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내ㆍ외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마스터 배치 혼합물 3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중심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외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마스터 배치 혼합물 3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중심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내ㆍ외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마스터 배치 혼합물 4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중심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6>
<내ㆍ외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마스터 배치 혼합물 4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중심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내ㆍ외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마스터 배치 혼합물 5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중심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1>
<내ㆍ외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중심층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압출량의 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1과 같이 제조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조성물로 3중벽 내충격관을 압출 성형시 압출량과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사용하지 아니한 종래의 수지 조성물로 3중벽 내충격관을 압출 성형시의 압출량을 시험하기 위하여 주식회사 고리의 정읍공장 1, 2, 3, 4, 5 및 9호기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 성형시 원료의 압출량을 비교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호기 관의 종류 비교예1의 조성물 사용 실시예1의 조성물 사용 변화량 비고(%)
1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25
1.268 1.364 0.096 7.57
2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75
3.709 3.989 0.28 7.55
3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50
3.781 4.066 0.285 7.54
4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150
3.661 3.938 0.277 7.57
5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150
3.422 3.681 0.259 7.57
9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300
5.097 5.482 0.385 7.55
20.938 22.52 1.582 7.56
<물리적 강도 측정 시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합성수지관 압출기에 각각 넣은 후 동일한 규격(KS 규격 지름 100mm)으로 압출 성형하여 파이프를 제조한 후, 각각의 파이프에 대하여 인장항복강도(kgf/cm2 : ISO 75-1 기준), 열변형온도(℃: ISO 527 기준) 및 충격강도(kgf·cm/cm2 : ISO 179 기준)를 시험하였으며, 비교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시험항목 인장시험(kgf/cm2) 열변형온도(℃) IZOD 충격값(kgf·cm/cm2)
실시예1 539 83 12.94
실시예2 532 74 9.15
실시예3 595 76 12.14
실시예4 533 74 9.33
실시예5 533 75 9.56
실시예6 543 77 9.74
실시예7 540 80 10.89
비교예1 480 73 7.00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내외층과 중심층의 원료의 조성성분 비율을 달리한 각각의 조성성분비와 비교예의 성분 및 조성비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항목 원료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




내외층
PVC레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마스터 배치 혼합물 20 25 30 35 40 45 50 0
안정제 5 3 5 5 5 5 5 5
충진제 2 2 2 2 2 2 2 2
지당 0.7 0.7 0.7 0.7 0.7 0.7 0.7 0.7
가공조제 1 1 1 1 1 1 1 1
CPE충격보강제 7 5 7 7 7 7 7 7
MBS충격보강제 0.8 0.6 0.8 0.8 0.8 0.8 0.8 0.8
내부활제 0.2 0.2 0.2 0.2 0.2 0.2 0.2 0.2
외부활제 0.2 0.2 0.2 0.2 0.2 0.2 0.2 0.2




중심층
PVC레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마스터 배치 혼합물 40 20 40 40 40 40 40 0
안정제 5 5 5 5 5 5 5 5
충진제 2.5 2.5 2.5 2.5 2.5 2.5 2.5 2.5
지당 0.7 0.7 0.7 0.7 0.7 0.7 0.7 0.7
가공조제 0.6 0.6 0.6 0.6 0.6 0.6 0.6 0.8
CPE충격보강제 7 7 7 7 7 7 7 7
내부활제 3 3 3 3 3 3 3 3
외부활제 3 3 3 3 3 3 3 3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 외층 2 : 중심층
3 : 내층 5 : 성형관
10 : 직관 20 : 편수관
22a : 외측경사면 23 : 외향돌출부
24 : 고무링결합요홈 30 : 편수고무링
32 : 외향결합돌부 34 : 수밀돌기
36 : 접이식 날개

Claims (6)

  1. 폴리염화비닐 레진 혼합분말을 저장하기 위한 혼합분말저장장치(110)와; 혼합분말을 공급받아 이송하기 위한 혼합물이송장치(120)와; 혼합물을 공급받아 고온 가열하여 반죽물로 압출하기 위한 반죽물압출장치(140)와; 압축물을 공급받기 위한 코엑스장치(150)와; 압출물을 성형관으로 압출 성형하기 위한 압출물금형장치(160)와; 성형된 성형관(5)을 1차로 냉각시키기 위한 진공냉각장치(170)와; 1차로 냉각된 성형관을 2차로 냉각시키기 위한 수조냉각장치(190)와; 2차로 냉각이 완료된 관의 외주연에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트장치(200)와; 일정속도로 인출되는 성형관을 잡아 주기 위한 인출장치(210)와; 성형관을 적정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커팅장치(220)와; 상기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230)를 갖는 외층(1), 중심층(2) 및 내층(3)으로 구성된 피브이씨 관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외층, 중심층 및 내층으로 구성되는 성형관은 직관, 편수관, TS관, SP관으로 제작 조립되고, 상기 편수관은 외주면에 외측경사면이 형성된 외향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편수고무링이 결합되는 고무링결합요홈이 형성되며, 조립성과 수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접이식 날개를 갖으며,
    상기의 외층(1) 및 내층(3)의 수지조성물은, PVC 레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스터 배치 혼합물 0.5-50중량부, 안정제 0.5-10중량부, 충진제 0.5-20중량부, 지당 0.2-3중량부, 가공조제 0.2-3중량부, CPE충격보강제 2-15중량부, MBS충격보강제 0.2-3중량부, 내부활제 0.2-2중량부 및 외부활제 0.2-2중량부로 조성되고,
    상기 내ㆍ외층의 마스터 배치 혼합물은
    중합도 1,000의 폴리염화비닐 레진 100중량부, PU 5-50중량부, 내부활제 0.3-6중량부, 외부활제 0.3-7중량부, 스테아린산 1-5중량부 및 산화폴리에틸렌왁스 1-5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 내ㆍ외층의 마스터 배치 혼합물에 함유되는 PU(polyurethane)는 100℃~120℃에서 16~24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과정을 거치며,
    중심층(2)의 수지조성물은 PVC 레진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스터 배치 혼합물 0.5-50중량부, 안정제 0.5-10중량부, 충진제 0.5-7중량부, 가공조제 0.2-3중량부, CPE충격보강제 0.1-10중량부, 내부활제 0.2-5중량부, 외부활제 0.2-5중량부로 조성되며,
    상기 중심층의 마스터 배치 혼합물은 중합도 1,000의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CPVC 5-50중량부, 내부활제 0.3-6중량부, 외부활제 0.3-7중량부, 스테아린산 2-5중량부, 산화폴리에틸렌왁스 2-5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2. 제1항에 있어서,
    가공조제는 아크릴계 가공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3. 제1항에 있어서,
    충진제는 나노탄산 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4. 제1항에 있어서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취약한 물성을 보완 또는 개선하기 위해 중합과정에서 첨가하는 안정제는 Zn계 또는 Ca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5. 제1항에 있어서,
    외층, 중심층 및 내층으로 구성되는 성형관은 직관, 편수관, TS관, SP관으로 제작 조립되고, 상기 편수관은 외주면에 외측경사면이 형성된 외향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편수고무링이 결합되는 고무링결합요홈이 형성되며, 조립성과 수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접이식 날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매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6. 삭제
KR1020210004498A 2020-07-13 2021-01-13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KR102273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98A KR102273987B1 (ko) 2020-07-13 2021-01-13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055A KR102212545B1 (ko) 2020-07-13 2020-07-13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KR1020210004498A KR102273987B1 (ko) 2020-07-13 2021-01-13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055A Division KR102212545B1 (ko) 2020-07-13 2020-07-13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987B1 true KR102273987B1 (ko) 2021-07-08

Family

ID=745600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055A KR102212545B1 (ko) 2020-07-13 2020-07-13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KR1020210004498A KR102273987B1 (ko) 2020-07-13 2021-01-13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055A KR102212545B1 (ko) 2020-07-13 2020-07-13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12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4577A (zh) * 2021-05-13 2021-08-06 广西雄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超细活性碳酸钙填充的硬聚氯乙烯管件及其制备方法
CN113307087B (zh) * 2021-05-28 2022-11-08 安徽杰蓝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阻燃性mpp电力电缆管及其加工工艺
KR102575404B1 (ko) * 2022-10-21 2023-09-08 (주)홍일산업 확관에 따른 두께 감소를 보완하는 편수칼라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KR102517139B1 (ko) * 2022-10-24 2023-04-04 (주)홍일산업 확관에 따른 두께 감소를 보완하는 편수칼라형 상하수도관과 그 성형장치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620A (ko) 1996-05-14 1997-12-10 이종학 수도용 내충격 경질염화비닐관
KR0117363Y1 (ko) 1992-01-15 1998-06-01 백중영 주파수 합성기의 록킹시간단축회로
KR100877201B1 (ko) 2008-06-17 2009-01-07 주식회사 고리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0896677B1 (ko) 2008-11-10 2009-05-14 주식회사 고리 3중 구조의 비납계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
KR100909183B1 (ko) 2009-03-17 2009-07-23 유영화학(주)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968081B1 (ko) 2010-03-23 2010-07-08 주식회사 고리 점성이 다른 3중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 다이
KR100981118B1 (ko) 2010-07-12 2010-09-08 주식회사 고리 삼중벽 내충격 상수도관
KR101214800B1 (ko) 2010-07-12 2012-12-24 주식회사 고리 중심층에 c-pvc를 함유하는 3층 구조 내충격 상수도관
KR101643360B1 (ko) 2016-02-23 2016-07-27 주식회사 고리 패각을 이용한 친환경 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830673B1 (ko) 2017-11-21 2018-02-21 주식회사 고리 피브이씨 관제작시스템의 성형관 강도보강장치
KR101882456B1 (ko) 2017-11-10 2018-07-27 주식회사 고리 상ㆍ하수도용 삼중벽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의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
KR102018818B1 (ko) * 2018-12-13 2019-09-04 주식회사 고리 삽입제한 및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경질 폴리염화비닐 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805B1 (ko) 2010-05-19 2010-08-20 주식회사 고리 수도관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14809B1 (ko) 2013-10-16 2014-07-03 세은피엔피 주식회사 잔류 응력의 제거가 가능한 파이프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363Y1 (ko) 1992-01-15 1998-06-01 백중영 주파수 합성기의 록킹시간단축회로
KR970075620A (ko) 1996-05-14 1997-12-10 이종학 수도용 내충격 경질염화비닐관
KR100877201B1 (ko) 2008-06-17 2009-01-07 주식회사 고리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0896677B1 (ko) 2008-11-10 2009-05-14 주식회사 고리 3중 구조의 비납계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
KR100909183B1 (ko) 2009-03-17 2009-07-23 유영화학(주)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968081B1 (ko) 2010-03-23 2010-07-08 주식회사 고리 점성이 다른 3중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 다이
KR100981118B1 (ko) 2010-07-12 2010-09-08 주식회사 고리 삼중벽 내충격 상수도관
KR101214800B1 (ko) 2010-07-12 2012-12-24 주식회사 고리 중심층에 c-pvc를 함유하는 3층 구조 내충격 상수도관
KR101643360B1 (ko) 2016-02-23 2016-07-27 주식회사 고리 패각을 이용한 친환경 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882456B1 (ko) 2017-11-10 2018-07-27 주식회사 고리 상ㆍ하수도용 삼중벽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의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
KR101830673B1 (ko) 2017-11-21 2018-02-21 주식회사 고리 피브이씨 관제작시스템의 성형관 강도보강장치
KR102018818B1 (ko) * 2018-12-13 2019-09-04 주식회사 고리 삽입제한 및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경질 폴리염화비닐 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545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987B1 (ko) 휨 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마스터 배치 혼합물을 함유하는 3중벽 내충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KR101214800B1 (ko) 중심층에 c-pvc를 함유하는 3층 구조 내충격 상수도관
KR101283391B1 (ko) 아라미드섬유 보강 폴리염화비닐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0981118B1 (ko) 삼중벽 내충격 상수도관
KR100909183B1 (ko)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0662A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사용 마스터배치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사의 제조방법
CN111536324A (zh) 双壁中空缠绕管及其制备方法
CN104629221A (zh) 一种聚氯乙烯内衬管
CN107189231A (zh) 聚丙烯增强型双壁波纹管
CN106221058A (zh) 改性pvc以及利用该改性pvc为原料制作波纹管的方法
KR101882456B1 (ko) 상ㆍ하수도용 삼중벽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의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
CN110894328B (zh) 一种卫浴洁具用内复合增强层螺旋缠绕pvc软管及其制备方法
KR102238260B1 (ko) 이중벽 하수관용 pvc 파이프 제조방법
JPH10180912A (ja) 音響特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パイプとその製造方法
CN211925163U (zh) 表面增强复合共挤外护层橡塑绝热管材
CN114591579A (zh) 一种多层结构的耐候性排水管道及其制备方法
KR100394152B1 (ko) 전선 보호관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전선 보호관
KR100734020B1 (ko) 열용착성이 보강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JP2002113768A (ja) 熱可塑性複合材料成形体の押出成形方法及び押出成形装置
KR100442726B1 (ko) 표면을 강화한 전선보호관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전선보호관
KR101798468B1 (ko) 메쉬판이 일체화된 합성목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쉬판이 일체화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JP2005144896A (ja) 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97020B1 (ko)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CN114790311B (zh) 一种多层卫浴软管及其制备方法
TWI483994B (zh) 電線包覆用啞光性組成物及電線用啞光性殼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