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020B1 -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020B1
KR101797020B1 KR1020150060174A KR20150060174A KR101797020B1 KR 101797020 B1 KR101797020 B1 KR 101797020B1 KR 1020150060174 A KR1020150060174 A KR 1020150060174A KR 20150060174 A KR20150060174 A KR 20150060174A KR 101797020 B1 KR101797020 B1 KR 101797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ayered
pellet
layered plat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579A (ko
Inventor
남기성
최용혁
이겨레
박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to KR102015006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02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62Mechanical asp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지수가 1.0 내지 5.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 및 사슬연장제로 이루어진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을 건조하는 펠릿건조단계, 상기 펠릿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펠릿과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공압출하되, 상기 펠릿의 압출물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압출물이 적층형성되도록 공압출하는 공압출단계, 상기 공압출단계를 통해 3층 구조로 압출된 압출물을 연결부재에 의해 상판과 하판이 연결되는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및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진공성형하는 진공성형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복층판은 성형성이 우수하며, 복층구조로 형성되어도 복층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쳐짐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우수한 투명성, 내후성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PELLET COMPOSITION HAVING HIGH CLARITY AND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ED PLATE USING THE PELLET COMPOSITION}
본 발명은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성이 우수하며, 복층구조로 형성되어도 복층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쳐짐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우수한 투명성, 내후성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창(Skylight), 건물 채광판, 지붕재, 캐노피(Canopy), 창호나 안전유리, 수영장, 실내체육관 지붕, 온실 및 방음벽 등과 같은 건축자재에 폴리카보네이트(Poiycarbonate ; PC) 시트가 유리 대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는 수지층(Resin), 유리섬유층(Fiber Glass), 수지층(Resin)으로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압출성형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투명도가 우수하고 강도가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수지층, 유리섬유층 및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구조 외에도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로만 이루어진 복층판도 개발되고 잇는데,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로만 이루어진 복층판은 지붕재 등의 옥외건축용 자재로 최근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태이다.
복층판은 통상적으로 상부판, 하부판 및 중간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판들이 격벽에 의해 지지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이 3층 구조가 아닌 2층 구조나 4층 구조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층판이 3층 구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격벽이 상부판 및 하부판 등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런 경우에는 복층판의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격벽을 상부판 및 하부판 등과 수직 방향 및 대각선 방향으로 다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격벽을 대각선으로 형성하게 되면 격벽의 쳐짐현상이 발생하여 복층판의 기계적 물성과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0-0007107호(2010.01.22). 한국특허등록 제10-1121089호(2012.02.21).
본 발명의 목적은 복층구조로 형성되어도 복층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쳐짐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우수한 성형성, 투명도 및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복층판을 제공하는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흡수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후성을 나타내며, 복층판간의 우수한 체결성을 나타내는 복층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지수가 1.0 내지 5.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 및 사슬연장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은 용융지수가 1.0 내지 5.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 및 사슬연장제 0.5 내지 1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슬연장제는 아크릴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에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 대비 산화방지제 0.01 내지 1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산화방지제는 옥타데실 3,5-디-터르-부틸-4-히드록시하이드로시나메이트 또는 트리스 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을 건조하는 펠릿건조단계, 상기 펠릿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펠릿과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공압출하되, 상기 펠릿의 압출물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압출물이 적층형성되도록 공압출하는 공압출단계, 상기 공압출단계를 통해 3층 구조로 압출된 압출물을 연결부재에 의해 상판과 하판이 연결되는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및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진공성형하는 진공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펠릿건조단계는 110 내지 13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압출단계는 상기 펠릿의 압출물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압출물을 100 대 3 내지 20의 두께비율로 적층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벤조트리아졸계, 힌다드아민계, 벤조페논계 및 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출성형단계에서는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에어를 주입하여 연결부재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진공성형단계는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된 성형물을 60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물의 상판 및 하판에 캘리브레이터로 진공을 걸어 상기 상판 및 하판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냉각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은 복층구조로 형성되어도 복층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쳐짐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우수한 성형성, 투명도 및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복층판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자외선흡수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후성을 나타내며, 복층판간의 우수한 체결성을 나타내는 복층판의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복층판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은 용융지수{일정 온도(230℃), 일정하중(2.16kg)에서 용융 체가 규정된 오리피스(내 경 2.09mm, 높이 8mm)을 이동하여 10분간 압출되는 수지의 중량(g)}가 1.0 내지 5.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 및 사슬연장제로 이루어지며, 용융지수가 1.0 내지 5.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 및 사슬연장제 0.5 내지 1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지수가 1.0 내지 5.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는 용융지수가 1.0 내지 5.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를 열풍건조기에 투입하고 110 내지 130℃의 온도로 3 내지 5시간 동안 열풍으로 건조하여 수분이 제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건조과정을 거치면, 폴리카보네이트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되어 균일한 물성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용융지수가 1.0 내지 5.0g/10min을 나타내는데, 상기와 같은 용융지수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는 압출기를 통해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되는 과정에서 우수한 압출성을 나타내면서도 복층판을 구성하는 상판,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등의 쳐짐현상이 억제된다.
상기 사슬연장제는 0.5 내지 1 중량부가 함유되며, 본 발명에 따른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의 사슬을 연장시켜 분자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압출과정 후에 복층판의 형상을 갖는 성형물의 쳐짐현상이 억제된다.
상기 사슬연장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폴리카보네이트의 사슬연장 효과가 미미하여 압출과정 후에 복층판의 쳐짐현상이 발생하며, 상기 사슬연장제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압출과정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슬연장제는 아크릴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스티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3-epoxypropyl methacrylate가 함유된 아크릴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슬연장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에 혼한된 후에 교반기를 이용하여 4 내지 6분동안 교반하는 과정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에는 산화방지제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에 함유된 용융지수가 1.0 내지 5.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이 산화방지제가 더 함유되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의 산화방지성이 향상된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와 사슬연장제의 함량이 줄어들어 펠릿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산화방지제는 옥타데실 3,5-디-터르-부틸-4-히드록시하이드로시나메이트 또는 트리스 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은 압출과정을 통해 압출된 후에 분쇄하여 펠렛의 형태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을 건조하는 펠릿건조단계(S101), 상기 펠릿건조단계(S101)를 통해 건조된 펠릿과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공압출하되, 상기 펠릿의 압출물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압출물이 적층형성되도록 공압출하는 공압출단계(S103), 상기 공압출단계(S103)를 통해 3층 구조로 압출된 압출물을 연결부재에 의해 상판과 하판이 연결되는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S105) 및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를 통해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진공성형하는 진공성형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상기 펠릿건조단계(S101)는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로,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을 열풍건조기에 투입하고 110 내지 13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건조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펠릿건조단계를 거치면 상기 펠릿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되어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압출된 후에 균일한 물성과 표면특성을 나타내는 복층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공압출단계(S103)는 상기 펠릿건조단계(S101)를 통해 건조된 펠릿과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공압출하되, 상기 펠릿의 압출물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압출물이 적층형성되도록 공압출하는 단계로, 상기 펠릿의 압출물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압출물이 100 대 3 내지 20의 두께비율로 적층형성되도록 공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압출단계(S103)에서는 싱글압출기가 사용되며, 상기 펠릿을 압출하는 싱글압출기는 90∮ 내지 105∮이며, L/D는 30 내지 40을 나타낸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압출하는 싱글압출기는 30∮ 내지 45∮이며, L/D는 30 내지 40을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싱글압출기의 압출조건은 피딩부의 온도가 120℃이며, 혼합부의 온도는 240 내지 280℃이고, 공압출이 진행되는 피드블럭의 온도는 260 내지 280℃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 펠릿건조단계와 동일한 조건으로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되어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복층판에 자외선으로 인해 물성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벤조트리아졸계, 힌다드아민계, 벤조페논계 및 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는 상기 공압출단계(S103)를 통해 3층 구조로 압출된 압출물을 연결부재에 의해 상판과 하판이 연결되는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성형하는 단계다.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에서 금형의 온도는 280℃ 내지 300℃를 나타내며, 금형의 상하부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 및 온도 조절을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는 0.8 내지 1.0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형의 온도는 수지의 흐름에 따라 가변적이다.
또한,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에서 압출성형된 성형물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에어를 주입하여 연결부재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성형단계(S107)는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를 통해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진공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를 통해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된 성형물을 60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물의 상판 및 하판에 캘리브레이터로 진공을 걸어 상기 상판 및 하판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온으로 냉각하는 단계다.
상기의 진공성형단계(S107)를 거치면,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를 통해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성형물이 냉각될 때까지 상기 성형물에 형성된 연결부재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성형물의 측면에는 복층판으로 제조된 후에 복층판이 서로 우수한 체결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암수부분의 형성을 위한 별도의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를 위치시켜 암수부분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 및 체결성이 우수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복층판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복층판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용융지수가 3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를 열풍건조기에 투입하고 120℃의 온도로 4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된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아크릴공중합체(바스프, Joncryl ADR-4370S)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을 압출기(트윈스크루 30∮, L/D 35, 피딩부 190℃이며, 혼합부 270℃이고, Die 290℃)에 투입하고 압출하여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을 메인 싱글압출기에 투입하고, 서브 싱글압출기에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단제(TINUVIN 360 / Maker : BASF) 5 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지를 공압출하고, 공압출된 압출물을 복층판 형성용 금형으로 통과시켜 아래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복층구조의 성형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성형물을 7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물의 상판 및 하판에 캘리브레이터로 진공을 걸어 상기 상판 및 하판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상기 성형물에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를 위치시켜 암수부분을 형성하여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건조된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아크릴공중합체(바스프, Joncryl ADR-4370S)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용융지수가 7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복층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건조된 폴리카보네이 100 중량부에 아크릴공중합체(바스프, Joncryl ADR-4370S)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층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복층판의 쳐짐현상 발생여부,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쳐짐현상은 냉각후 육안으로 확인하였고, 충격강도는 충격강도 측정기를 이용하였으며, 측정조건은 3/4 Notched type이고, 인장강도는 인장강도측정기를 이용하였으며, 측정조건은 Full Load : 500kgf / speed : 50mm/min이다.)
<표 1>
Figure 112015041638181-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복층판은 쳐짐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인장강도는 종래의 복층판과 유사하면서도 충격강도가 월등하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용융지수가 3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를 열풍건조기에 투입하고 120℃의 온도로 4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된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아크릴공중합체(바스프, Joncryl ADR-4370S)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 에 함유된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 대비 산화방지제(옥타데실 3,5-디-터르-부틸-4-히드록시하이드로시나메이트) 0.5 중량부를 혼합하고, 압출기(트윈스크루 30∮, L/D 35, 피딩부 190℃이며, 혼합부 270℃이고, Die 290℃)에 투입하고 압출하여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펠릿 조성물을 메인 싱글압출기에 투입하고, 서브 싱글압출기에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단제(TINUVIN 360 / Maker : BASF) 5 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지를 공압출하고, 공압출된 압출물을 복층판 형성용 금형으로 통과시켜 아래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복층구조의 성형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성형물을 7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물의 상판 및 하판에 캘리브레이터로 진공을 걸어 상기 상판 및 하판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상기 성형물에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를 위치시켜 암수부분을 형성하여 복층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복층판의 내후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내후성은 △YI ASTM E313-73의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4500시간 동안 측정하였으며, 4500시간 기준 광조사량은 5,670 KJ/m2다.)
<표 2>
Figure 112015041638181-pat00002
위에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복층판은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복층판에 비해 우수한 내후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은 복층구조로 형성되어도 복층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쳐짐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우수한 성형성, 투명도 및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며, 자외선흡수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후성을 나타내고, 복층판간의 우수한 체결성을 나타내는 복층판을 제공한다.
S101 ; 펠릿건조단계
S103 ; 공압출단계
S105 ; 압출성형단계
S107 ; 진공성형단계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용융지수가 1.0 내지 5.0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 및 사슬연장제로 이루어지는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을 건조하는 펠릿건조단계;
    상기 펠릿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펠릿과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공압출하되, 상기 펠릿의 압출물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압출물이 적층형성되도록 공압출하는 공압출단계;
    상기 공압출단계를 통해 3층 구조로 압출된 압출물을 연결부재에 의해 상판과 하판이 연결되는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및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진공성형하는 진공성형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힌다드아민계 화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출성형단계에서는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에어를 주입하여 연결부재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펠릿건조단계는 110 내지 13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단계는 상기 펠릿의 압출물과 상기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압출물을 100 대 3 내지 20의 두께비율로 적층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공성형단계는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복층판의 형태로 압출된 성형물을 60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물의 상판 및 하판에 캘리브레이터로 진공을 걸어 상기 상판 및 하판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냉각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KR1020150060174A 2015-04-29 2015-04-29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KR101797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174A KR101797020B1 (ko) 2015-04-29 2015-04-29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174A KR101797020B1 (ko) 2015-04-29 2015-04-29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579A KR20160128579A (ko) 2016-11-08
KR101797020B1 true KR101797020B1 (ko) 2017-11-13

Family

ID=5752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174A KR101797020B1 (ko) 2015-04-29 2015-04-29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331B1 (ko) * 2020-10-15 2023-03-17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단열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복층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107A (ko) 2008-07-11 2010-01-22 박종태 복층투명패널 구조체
KR101121089B1 (ko) 2011-01-25 2012-03-16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투광 복층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579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50648A1 (en) Waterproof panel, process for producing a panel, and panel obtainable by said process
US6590004B1 (en) Foam composite wood replacement material
US6971211B1 (en) Cellulosic/polymer composite material
KR100611031B1 (ko) 플루오로 중합체와 폴리아크릴레이트와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층을 갖는 필름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으로 제조한 필름
US7186457B1 (en) Cellulosic composite component
US20200290324A1 (en) Multilayer polymeric structures
KR101371070B1 (ko) 천연섬유를 이용한 합성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123746A (ko)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고강도 난연성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30708B1 (ko) 바닥재용 투명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CN111536324A (zh) 双壁中空缠绕管及其制备方法
KR101797020B1 (ko) 투명도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복층판용 펠릿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복층판의 제조방법
WO2020206753A1 (zh) 一种环保耐候型复合强化板材及其制备方法
CN112759857B (zh) 一种asa树脂共挤pvc基木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8460797B1 (en) Capped component and method for forming
KR102029386B1 (ko) 내스크래치 특성이 우수한 데코 시트
US200700594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multi-component extrusion with capstock coating including snap-in connector and product so produced
DE202017100592U1 (de) Wasserdichte Tafel
KR101952903B1 (ko)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보강형 합성목재-금속프레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9294B1 (ko) 연질 pet-g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연질필름, 지퍼백용 지퍼
CN104890340A (zh) 一种户外高耐候性高强度共挤塑木复合地板及其制造工艺
KR101712416B1 (ko) 내후성 복합시트
CN111823662B (zh) 一种多层结构的聚丙烯地板
KR101798468B1 (ko) 메쉬판이 일체화된 합성목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쉬판이 일체화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2324037B1 (ko) 창호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창호 및 창호의 제조 방법
KR102077993B1 (ko) 이중 발포시트가 도입된 구조의 경량 샌드위치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