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281B1 -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281B1
KR101751281B1 KR1020150018738A KR20150018738A KR101751281B1 KR 101751281 B1 KR101751281 B1 KR 101751281B1 KR 1020150018738 A KR1020150018738 A KR 1020150018738A KR 20150018738 A KR20150018738 A KR 20150018738A KR 101751281 B1 KR101751281 B1 KR 101751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xtruder
inner layer
weigh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6984A (ko
Inventor
유옥수
Original Assignee
유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옥수 filed Critical 유옥수
Priority to KR102015001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2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6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47/06
    • B29C47/2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층과 중심층 및 내부층과 같이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PVC 상수관에서 내부층 또는 내부층의 내경을 실리콘으로 코팅함으로써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물의 통수능력을 향상시키고, 내경을 보강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PVC) 상수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PVC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압출기에서 외부층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기로부터 중심층으로 유입되며, 추가 압출기로부터 내부층을 동시에 압출하여 성형하고, 상기 외부층과 중심층 및 내부층과 같이 3층으로 이루어지는 상수관이 압출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물에 의한 냉각방법으로 냉각하여 성형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공급하는 냉각장치 및 냉각한 상수관을 6m의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하는 피브리씨 상수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가 압출기는 내부층을 압출 코팅하여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되;
상기 내부층은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흰색과 노랑색 중 어느 하나의 안료를 사용하여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정 마찰계수가 0.27∼0.39가 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Friction coefficient decreases with PVC constant diameter pipe reinforcement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층과 중심층 및 내부층과 같이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PVC 상수관에서 내부층 또는 내부층의 내경을 실리콘으로 코팅함으로써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물의 통수능력을 향상시키고, 내경을 보강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PVC) 상수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를 공급하는 수도관은 주철관 또는 아연관 등의 금속관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금속관은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 관의 내벽에 발생하는 녹으로 인하여 내벽이 부식되고 녹은 식수에 혼입되어 식수를 오염시킴으로써 식수를 위생적으로 공급하는데 많을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을 뿐 아니라 금속관은 설치작업 및 운반 시에 과중한 무게로 인하여 작업성이 나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금속관보다 강도면에서 약한 합성수지제 수도관의 내충격성을 개선한 올레핀계의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및 폴리염화비닐(PVC)수지로 제조된 수도관으로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으나, 합성수지제 수도관 역시 물을 저속으로 흘리거나 장기 체류하는 경우에는 대장균과 같은 유해 미생물의 번식으로 인하여 악취를 발생시켜 불쾌감을 주거나 심한 경우 설사, 장염,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합성수지제로 수도관을 제작할 때 항균성을 부여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제에 항균성을 부여하는 기술로는 폴리에틸렌에 아연을 활성성분으로 하는 무기계 항균제를 조합하는 항균성 폴리올레핀이 알려져 있고, 삼인산칼슘,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인산수소칼슘 및 항균성 은화합물 등을 배합한 합성수지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90796호에는 항균성 이온성분을 함유하는 제올라이트를 배합한 항균성 수지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84929호에는 Fe2+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계항균제 및 항곰팡이제를 배합한 합성수지로 수지관을 제작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실리콘의 기본물질은 석영(QUARTZ), 즉 실리카 또는 산화규소(SiO2 ) 이며 흔히 볼 수 있는 모래의 주성분이며, 로마인들은 이를 얼음의 특별한 형태라고 생각했고, 16세기에 들어 실리카에 소다회를 혼합, 가열하면 물유리가 생성되고 이것을 물에 녹여 산처리하면 고체가 침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24년 스웨덴 화학자가 석영으로부터 규소라는 성분을 추출해 내는데 성공한 이후 이 신소재를 염소 존재에서 가열하여 사염화규소(SiCl4)라는 무색 액체를 생산하는데 성공하였다. 현재의 제조방법도 이와 유사하며 이 사염화규소는 그후 유기실리콘의 기본물질이 되었지만 실리콘 연구의 본격적인 역사는 유기 라티칼이 규소에 붙어있는 물질 즉 규소-탄소-규소 사슬을 합성 하는데 성공했다.
실리콘은 규소-산소-규소의 연결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내열성, 내한성, 내후성, 내약품성, 난연성, 도전성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통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수관에 적용된 예는 없다.
또한, 하수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원료를 많이 소모하여 각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료의 소모량이 많아져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적용이 어려운 결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원료의 소모량을 그대로 하거나 줄이면서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좋은 방법으로 기대되었으나, 이에 충족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어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890796호(.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384929호(.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969655호(2010. 07. 05.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0호(.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외부층과 중심층 및 내부층과 같이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수관에서 내부층 또는 내부층의 내경에 합성수지에 실리콘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피복부를 통하여 내면의 불량과 변형 여부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흰색안료)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1.5∼4 mm의 두께가 되도록 흰색으로 압출 코팅하여 내경관 또는 실리콘 피복부로 이루어지도록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내부층에 압출 또는 코팅하는 실리콘 피복부를 통하여 내경 방향의 두께를 향상시켜 상수관의 강도를 더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PVC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압출기에서 외부층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기로부터 중심층으로 유입되며, 추가 압출기로부터 내부층을 동시에 압출하여 성형하고, 상기 외부층과 중심층 및 내부층과 같이 3층으로 이루어지는 상수관이 압출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물에 의한 냉각방법으로 냉각하여 성형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공급하는 냉각장치 및 냉각한 상수관을 6m의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하는 피브리씨 상수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가 압출기는 내부층을 압출 코팅하여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되;
상기 내부층은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흰색과 노랑색 중 어느 하나의 안료를 사용하여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정 마찰계수가 0.27∼0.39가 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PVC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압출기에서 외부층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기로부터 중심층으로 유입되며, 추가 압출기로부터 내부층을 동시에 압출하여 성형하고, 상기 외부층과 중심층 및 내부층과 같이 3층으로 이루어지는 상수관이 압출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물에 의한 냉각방법으로 냉각하여 성형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공급하는 냉각장치 및 냉각한 상수관을 6m의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하는 피브리씨 상수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가 압출기는 내부층의 내경으로 실리콘 피복부를 압출 코팅하여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되;
상기 실리콘 피복부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흰색과 노랑색 중 어느 하나의 안료를 사용하여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정 마찰계수가 0.27∼0.39가 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외부층과 중심층 및 내부층과 같이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수관에서 내부층 또는 내부층의 내경에 합성수지에 실리콘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피복부 압출 또는 분사방식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여 물의 공급시에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흰색의 실리콘 피복부를 통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CCTV를 활용한 내경의 불량 여부를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흰색안료)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1.5∼4 mm의 두께가 되도록 흰색으로 압출 코팅하여 내부층 또는 내부층의 내경에 실리콘 피복부를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리콘 피복부를 통하여 내부층의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의 외압 강도를 더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로 인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3층 구조를 갖는 PVC 수도관으로 구성되며, 외부층(1)의 재질로는 PVC에 복합열안정제, MBS계 충격보강제, 제올라이트, 질석, 인산염계 화합물, 활제로 조성되고, 중심층(2)의 재질로는 PVC, 복합열안정제, MBS계 충격보강제, CaCO3, 활제, TiO2로 조성된다,
상기 외부층(1) 및 중심층(2)으로 선택하는 PVC(Poly Vinyl Chloride)는 일반적으로 관 내지 수도관 성형으로 사용되는 중합도 800∼1200의 PVC면 적당하고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또 첨가제로서 충격보강제로는 MBS계(Methylmetacrylate Butadiene Stylene), 아크릴계, 부타디엔계 등을 사용하며 MBS계가 특히 바람직하고, 중심층(2)에는 충격보강제를 배합하지 않거나 외부층(1)보다 적게 배합하여 인
장강도 및 장기 내수압 측면을 더 중요시하였으며, 복합열안정제로는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및 메틸틴머켑타이드(Methyltin Mercaptide) 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활제로는 산화폴리에틸렌(Oxidized Polyethylene) 또는 파라핀왁스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요할경우, 대전방지제로 음이온계, 양이온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선택하고 있는 제올라이트, 질석 및 인산염계화합물은 항균작용을 하는 성분으로, 본 발명의 3층 구조의 수도관에서 외부층(1)에 배합되며, 제올라이트는 항균효과의 향상 및 층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성분이고, 질석은 원적외선 방출 효과 및 항균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충진제(Filler) 역할을 하며, 1~100㎛의 입도분포와 평균입경이 20㎛인 것이 분산성이 좋으며, 인산염계화합물은 항균성을 갖는 성분으로 제1인산염, 제2인산염, 헥사메타인산염 및 테트라피로인산칼륨(Mono-Phosphate, Di-Phosphate, Hexameta-Phosphate 및 Tetra-Potassium Pyrophosphate) 중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을 배합하여 향균성을 일층 증가
시킨다.
또한 PVC 성형체를 제조할 때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열안정제, 자외선 안정제, 가공성 개선제 등의 첨가제도 필요시 첨가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숙련자이면 적절한 첨가제 및 가공조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3층 구조를 갖는 항균성 PVC 수도관은 3중 구조로 성형할 수 있는 공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며, 3중 구조에서 중심층 배합물은 측면압출기(Side 압출기)로부터 3중 구조의 성형금형의 중심층으로 유입되고, 내,외층 배합물은 주압출기(Main 압출기)로부터 3중 구조의 성형금형의 내,외층으로 유입되어 3층 구조의 관으로 압출되며, 각 층간의 두께비율은 1:1:1~1:2:1의 비율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층(2)의 내경에 형성하는 내부층(3)을 실리콘으로 코팅하거나, 상기 내부층(3)을 외부층(1)과 동일한 재질로 성형한 후 내부층(3)의 내경에 실리콘 피복부(4)를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1.5∼5m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마찰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 피복부(4)를 1.5 mm 이하로 코팅하게 되면 마찰계수가 줄어들지 않아 통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없으며, 5 mm 이상으로 코팅하게 되면 마찰계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향상되지 않고 원가만 상승하므로 두께는 3 mm가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층(3) 또는 내부층(3)의 내경으로 형성하는 실리콘 피복부(4)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TiO2 0.5∼1 중량%는 흰색과 노랑색의 안료 중 어느 하나를 배합하여 내면에 흰색과 노랑색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압출 또는 스프레이를 통해 코팅하여 성형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층 압출기는 상수관의 각 층간 두께조절을 위해 터피도(Torped)는 끝(tip) 부분의 교체가 자유로우며, 맨드릴(Mandrel)은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상기 중심층(2)의 내경에 형성되는 내부층(3)은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하여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내부층(3)을 외부층(1) 및 중심층(2)과 함께 통상적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내부층(3)의 내경으로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하여 실리콘 피복부(4)를 성형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아래의 [표 1]은 1mm 프레스 몰딩에 의해 190℃의 온도로 압출하여 성형한 200g 의 시편 3개를 샘플로 제작하여 관계식 Uk=(A)/W(Uk:마찰계수, A:마찰force, W:시편무게)에 의한 마찰계수를 비교한 결과이다.
샘플의 마찰계수 비교 결과
샘플 MI
g/
10min
Base Resin 마찰계수측정
마찰계수

마찰계수
용융온도
()
결정화온도
()
용융열용

(J/g)
바닥면 윗면 시편무게
(g),W

마찰
A

마찰
A
CB-1 7.3 132 117 194 CB-1-A CB-1-B 200 7.4 4.0 0.37 0.20
폴리에틸렌 사출용 CB-1-C 0.36
CB-2 7.98 132 117 191 CB2-A CB-2-B 5.9 0.30
폴리에틸렌 사출용 CB2-C 5.4 2.0 0.27 0.10
CB-3 0.1 129 115 175 CB3-A CB-3-B 7.8 3.5 0.39 0.18
폴리에틸렌 압출용
CB-1,2 대비 밀도
약간 낮음
CB3-C 5.8 3.0 0.29 0.15
상기의 결과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찰계수가 0.27∼0.39로 매우 낮아서 통수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내부층(3)의 내경에 형성하는 실리콘 피복부(4)는 내부층(3)의 내경을 더 두껍게 피복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과 윤압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되어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블럭도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 압출단계(S1)
PVC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메인 압출기에서 외부층(1)을 압출하고, 사이드 압출기로부터 중심층(2)으로 유입되며, 추가 압출기로부터 내부층(3)을 동시에 압출하여 성형하도록 한다.
상기 외부층(1)과 중심층(2)은 일반적으로 조성되는 중합도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재료를 공급하여 압출 성형하는 것이며, 내부층(3)은 합성수지 96 중량%, 실리콘 3 중량%, TiO2 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흰색을 갖도록 압출 공급하는 것이다.
나. 냉각단계(S2)
외부층(1)과 중심층(2) 및 내부층(3)과 같이 3층으로 이루어지는 상수관이 압출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냉각장치로부터 물에 의한 냉각방법으로 냉각하여 성형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공급하는 것이다.
다. 절단단계(S3)
냉각한 상수관을 6m의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한다.
가. 압출단계(S1)
PVC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메인 압출기에서 외부층(1)을 압출하고, 사이드 압출기로부터 중심층(2)으로 유입되며, 추가 압출기로부터 내부층(3)을 동시에 압출하여 성형하도록 한다.
상기 외부층(1)과 중심층(2) 및 내부층(3)은 일반적으로 조성되는 중합도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재료를 공급하여 압출 성형하는 것이다.
나. 실리콘 피복부 코팅단계(S4)
내부층(3)의 내경으로 합성수지 96 중량%, 실리콘 3 중량%, TiO2 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흰색을 갖도록 실리콘 피복부(4)를 압출 공급하는 것이다.
다. 냉각단계(S2)
외부층(1)과 중심층(2) 및 내부층(3)과 같이 3층으로 이루어지는 상수관이 압출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냉각장치로부터 물에 의한 냉각방법으로 냉각하여 성형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공급하는 것이다.
라. 절단단계(S3)
냉각한 상수관을 6m의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한다.
본 발명의 마찰계수 감소용 상수관은, 내부층과 상기 내부층의 내경에 소정의 두께로 합성수지를 코팅한 실리콘 피복부에 의하여 유체의 흐름에 의한 마찰 계수를 줄여 통수능력을 크게 향상시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실리콘 피복부를 통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 : 외부층 2 : 중심층
3 : 내부층 4 : 실리콘 피복부

Claims (3)

  1. PVC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압출기에서 외부층(1)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기로부터 중심층(2)으로 유입되며, 추가 압출기로부터 내부층(3)을 동시에 압출하여 성형하고, 상기 외부층(1)과 중심층(2) 및 내부층(3)과 같이 3층으로 이루어지는 상수관이 압출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물에 의한 냉각방법으로 냉각하여 성형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공급하는 냉각장치 및 냉각한 상수관을 6m의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하는 피브리씨 상수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가 압출기는 내부층(3)을 압출 코팅하여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되;
    상기 내부층(3)은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흰색과 노랑색 중 어느 하나의 안료를 사용하여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정 마찰계수가 0.27∼0.39가 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이중벽 상수관 성형장치.
  2. 삭제
  3. PVC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압출기에서 외부층(1)을 압출하고, 상기 압출기로부터 중심층(2)으로 유입되며, 추가 압출기로부터 내부층(3)을 동시에 압출하여 성형하고, 상기 외부층(1)과 중심층(2) 및 내부층(3)과 같이 3층으로 이루어지는 상수관이 압출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물에 의한 냉각방법으로 냉각하여 성형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공급하는 냉각장치 및 냉각한 상수관을 6m의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하는 피브리씨 상수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가 압출기는 내부층(3)의 내경으로 실리콘 피복부(4)를 압출 코팅하여 마찰계수의 감소에 의한 통수능력을 향상시키되;
    상기 실리콘 피복부(4)는 합성수지 93.5∼97.5 중량%, 실리콘 2∼6 중량%, TiO2 0.5∼1 중량%를 배합한 컴파운드로 내면에 흰색과 노랑색 중 어느 하나의 안료를 사용하여 색채를 갖도록 압출 또는 스프레이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정 마찰계수가 0.27∼0.39가 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이중벽 상수관 성형장치.
KR1020150018738A 2015-02-06 2015-02-06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 KR101751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738A KR101751281B1 (ko) 2015-02-06 2015-02-06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738A KR101751281B1 (ko) 2015-02-06 2015-02-06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984A KR20160096984A (ko) 2016-08-17
KR101751281B1 true KR101751281B1 (ko) 2017-06-27

Family

ID=5687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738A KR101751281B1 (ko) 2015-02-06 2015-02-06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1052B1 (ja) * 2020-02-25 2021-03-31 日本リニューアル株式会社 ライニング工法
KR102617043B1 (ko) * 2022-12-09 2023-12-27 (주)원양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친환경 상수관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687B1 (ko) * 2004-06-18 2006-08-22 전정자 내 마찰층을 갖는 다공관 제조장치
KR100896677B1 (ko) * 2008-11-10 2009-05-14 주식회사 고리 3중 구조의 비납계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929B1 (en) 2001-11-28 2003-05-22 Dong Won Plastic Inc Resin composition for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pipes of waterwork and sewerage,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pipes of waterwork and sewerage produced by using the same
JP5089055B2 (ja) 2006-02-22 2012-12-05 株式会社シナネンゼオミック 抗菌性ゼオライト及び抗菌性組成物
KR100969655B1 (ko) 2010-02-23 2010-07-14 (주)홍일산업 항균성 3층 구조의 pvc 상수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687B1 (ko) * 2004-06-18 2006-08-22 전정자 내 마찰층을 갖는 다공관 제조장치
KR100896677B1 (ko) * 2008-11-10 2009-05-14 주식회사 고리 3중 구조의 비납계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984A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655B1 (ko) 항균성 3층 구조의 pvc 상수관
WO2009154347A1 (ko)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CN103509288B (zh) Pvc发泡木塑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KR101214800B1 (ko) 중심층에 c-pvc를 함유하는 3층 구조 내충격 상수도관
KR100862029B1 (ko) 합성수지관용 조성물 및 합성수지관
US20080017268A1 (en) Carbon Black-Containing Crosslinked Polyethylene Pipe Having Resistance To Chlorine And Hypochlorous Acid
KR101751281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성형장치
KR100981118B1 (ko) 삼중벽 내충격 상수도관
CN106188746A (zh) 一种具有抗菌性能的聚乙烯给水管材及其制备方法
KR100797189B1 (ko) 항균기능이 첨가된 삼중벽 구조 내충격 수도관
CN102001480A (zh) 一种特效抗菌pe(聚乙烯)保鲜袋
KR101652044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KR20180000662A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사용 마스터배치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사의 제조방법
KR101239843B1 (ko) 내충격성 합성수지조성물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KR101493430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KR20150036289A (ko) 컬 저항성 차단 필름
KR101720537B1 (ko) 제습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습 수축필름
KR101700574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피브이씨 상수관 제조방법
CN106764111A (zh) 一种防结垢抗菌型pe‑rt管材及其制备方法
KR102062186B1 (ko) 내구성 및 부착성, 항균, 방취 기능이 부여된 다중 복합강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04875A (ko) 교차오염 및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다층 항균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70125A (zh) 一种新型压纹薄膜
WO2018223507A1 (zh) 门封条的加工方法、门封条组件及冰箱
KR100947259B1 (ko) 결로 억제성 pvc 냉방배관용 파이프
KR101493427B1 (ko) 마찰계수 감소와 내경 보강용 합성수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