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411B1 -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 - Google Patents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411B1
KR102123411B1 KR1020200042545A KR20200042545A KR102123411B1 KR 102123411 B1 KR102123411 B1 KR 102123411B1 KR 1020200042545 A KR1020200042545 A KR 1020200042545A KR 20200042545 A KR20200042545 A KR 20200042545A KR 102123411 B1 KR102123411 B1 KR 10212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anufacturing
pip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준
Original Assignee
유영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화학(주) filed Critical 유영화학(주)
Priority to KR1020200042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1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with thre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및 하수도에 이용되는 다중관을 제조할 수 있는 다중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다중관의 제조방법 및 다중관에 대한 것으로, 3중관 이상의 다중관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다중관 제작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10)와 상기 플랜지(10)의 일측에 상방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제조를 위한 조성물을 회전이동시켜주는 유도턱(20)과 상기 플랜지(10)와 접하고, 유도턱(20)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유입부(30)와 상기 유도턱(20)의 다음에 위치하며, 유도턱(20)에서 이송되는 파이프용 조성물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40)와 상기 압축부(40)의 다음에 위치하고, 압축부(40)에서 압축된 파이프용 조성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50) 및 다중관의 내피층용 파이프 조성물을 공급하기 위한 중심홀(60)로 구성되는 다중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다중관의 제조방법 및 다중관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A PIPE COEX CENT DIE FOR HIGH IMPACT PVC PIPE AND METHOD MAKE IT AND HIGH IMPACT PVC PIPE}
본 발명은 상수도 및 하수도에 이용되는 내충격관을 제조할 수 있는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에 대한 것으로, 3중관 이상의 내충격관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및 하수도의 경우 상수 또는 하수를 이송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배관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관의 경우 통상적인 PVC 재질로 형성되고, 압출공법을 이용하여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PVC 재질의 합성수지관은 PVC를 주재료로 하여 관을 생산하기 때문에 토압, 충격과 같은 외부환경에 취약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고,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재질 또는 점성이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다층으로 구성되는 내충격관을 제안하게 된다.
이러한 내충격관은 3개의 층을 이루는 3중관이 대표적이며, 그 외 4중관과 같은 그 이상의 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층관의 경우 원재료의 점성차이를 이용하거나, 시간차를 이용하여 재료를 공급하고 압출을 통하여 3중관을 제조하게 된다.
대표적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8081호(점성이 다른 3중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 다이,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 2010년 06월 29일 등록)는 혼합분말을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제1,2혼합분말저장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분말을 고온 가열하면서 반죽물로 압출하기 위한 제1,2반죽물압출장치; 상기 제1반죽물압출장치로부터 압출 반죽물을 공급받기 위한 외부다이와; 상기 외부다이 내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단차홈에 안착되어 체결 고정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중심공이 형성된 중심 다이와, 상기 중심 다이의 플랜지에 체결 고정되고, 외부다이 내경과 외주연이 근접되게 위치되며, 중앙 영역에는 중심공과 연통되게 확장공이 형성된 전방마감구로 이루어진 내부다이와; 상기 외부다이와 내부다이 사이에 교차 연통되게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2반죽물압출장치의 압출반죽물을 공급받기 위한 압출물유입관으로 이루어진 코엑스장치; 및 상기 코엑스장치의 압출물을 3중구조의 관으로 성형하기 위한 압출물금형장치로 구성된 피브이씨관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심 다이(37)는 하부 외주연 영역에 상기 압출물유입관(23)을 통하여 공급되는 점성이 다른 압출 반죽물이 머물게 되는 유입홈부(80)를 형성하되, 상기 유입홈부(80)는 상기 중심 다이(37) 하부 외주연에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유통홈(81)과; 상기 경사유통홈(81) 상부 영역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단차부(82)와; 상기 제1단차부(82) 상부 영역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단차부(8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이 다른 3중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 다이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반죽물이 다단으로 형성된 제1단차부(82) 및 제2단차부(83)를 차례로 이동하며 각각의 단차 및 모서리 등에 의해 조성물 중 일부분이 적채되는 슬러지가 발생되어 압출되는 배관용 파이프의 중심층에 스크레치 등의 결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조성물 슬러지에 의해 배관용 파이프에 발생되는 결점에 의해 고압의 압력이 발생할 경우 외관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중심층으로부터 배관용 파이프가 파손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슬러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압출작업을 정지한 후 슬러지를 제거하는 작업을 자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8081호(점성이 다른 3중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 다이, 2010년 06월 29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6677호(3중 구조의 비납계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 2009년 04월 30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0781호(3중 합성수지파이프 제조용 압출장치, 2011년 12월 01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3중관 이상의 다중관의 형태로 구성되는 내충격관을 압출제작할 때, 스크레치 등의 결점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 하며, 정비 또는 보수를 위해 작업을 정지하는 시간을 최소화 하여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중충으로 구성되는 내충격관 제작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10)와 상기 플랜지(10)의 일측에 상방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제조를 위한 조성물을 회전이동시켜주는 유도턱(20)과 상기 플랜지(10)와 접하고, 유도턱(20)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유입부(30)와 상기 유도턱(20)의 다음에 위치하며, 유도턱(20)에서 이송되는 파이프용 조성물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40)와 상기 압축부(40)의 다음에 위치하고, 압축부(40)에서 압축된 파이프용 조성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50) 및 다중관의 내피층용 파이프 조성물을 공급하기 위한 중심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도턱(20)은 일측단부가 타측단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고, 유입부(30)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방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초입부의 높이가 종단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시작부에서 종단부로 향할 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인입유도턱(21)과 상기 인입유도턱(21)의 말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방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배출유도날개(22) 및 상기 인입유도턱(21)과 배출유도날개(22)의 사이에 형성되어 파이프 제조용 조성물을 이동시키는 회전유도홈(23)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유도날개(22)는 횡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돌출된 길이는 인입유도턱(21)의 횡측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축부(40)의 시작부분의 직경이 중앙부분의 직경(T3)보다 작게 형성되고, 다시 상측에 위치하는 끝부분의 직경(T2)이 중앙부분의 직경(T3)보다 작아지는 형상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압축부(40)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배출부(50)는 시작부분의 직경보다 끝부분의 직경(T1)이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압축부에서 압력을 받으며 압축된 조성물이 보다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은 외피층 및 내피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중심층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내충격관 제조용 중심다이 및 내충격관 제조장치를 통하여 압출하여 내충격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게 되는데, 외피층 및 내피층용 조성물은 중합도 100의 레진 100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2 내지 5 중량부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2 내지 1.0중량부와 충진제 5 내지 10 중량부, 지당 1 내지 2 중량부 및 활제 0.3 내지 0.8 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고, 중심층용 조성물은 레진 100(중합도 100) 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2 내지 6 중량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2 내지 1.0중량부와 충진제 10 내지 20 중량부, 지당 1 내지 3 중량부 및 활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피층 및 내피층용 조성물의 최적화된 조성비는 중합도 100의 레진 100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3.5중량부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5중량부와 충진제 8중량부, 지당 1.5중량부 및 활제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고, 상기 중심층용 조성물의 최적화된 조성비는 레진 100(중합도 100) 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4.0 중량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5 중량부와 충진제 15 중량부, 지당 2 중량부 및 활제 1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을 제공하거나,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내충격관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또한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을 제공함으로써, 스크레치 등의 결점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 하며, 정비 또는 보수를 위해 작업을 정지하는 시간을 최소화 하여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3중관 제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3중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을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는 다중관 제작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10)와 상기 플랜지(10)의 일측에 상방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제조를 위한 조성물을 회전이동시켜주는 유도턱(20)과 상기 플랜지(10)와 접하고, 유도턱(20)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유입부(30)와 상기 유도턱(20)의 다음에 위치하며, 유도턱(20)에서 이송되는 파이프용 조성물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40)와 상기 압축부(40)의 다음에 위치하고, 압축부(40)에서 압축된 파이프용 조성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50) 및 다중관 형태의 내충격관의 내피층용 파이프 조성물을 공급하기 위한 중심홀(60)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10)는 통상의 플랜지 형태를 유지하며, 일측에는 다중관 제작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10)의 일측면에 유도턱(20)과 유입부(30)의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유도턱(20)은 인입유도턱(21)과 배출유도날개(22)가 형성되는데, 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이 인입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인입유도턱(21)은 일측단부가 타측단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고, 유입부(30)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방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입유도턱(21)은 초입부의 높이가 종단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시작부에서 종단부로 향할 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입유도턱(21)가 시작되는 부분의 상단부는 라운드처리되어, 유입되는 액상상태의 조성물이 저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입유도턱(21)의 종단 일측에는 배출유도날개(22)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유도날개(22)는 인입유도턱(21)의 말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방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유도날개(22)는 횡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돌출된 길이는 인입유도턱(21)의 횡측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입유도턱(21)과 배출유도날개(22)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다중관 압출을 위한 조성물이 인입유도턱(21)의 일측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유입부(30)에 유입된 후 인입유도턱(21)과 배출유도날개(22)의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입유도턱(21)과 배출유도날개(22)는 상방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또한 상방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유도날개(22)의 종단부는 압축부(40)의 시작부분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유입부(30)를 통하여 유입된 액상의 조성물이 인입유도턱(21)과 배출유도날개(2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형성되는 회전유도홈(23)을 따라 회전하며 상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유도홈(23)의 종단에 위치하는 압축부(40)는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압축부(40)의 시작부분의 직경이 중앙부분의 직경(T3)보다 작게 형성되고, 다시 상측에 위치하는 끝부분의 직경(T2)이 중앙부분의 직경(T3)보다 작아지는 형상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회전유도홈(23)에서 회전하며 인출된 조성물이 배출되기 전에 소정의 압력을 받아 압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부(40)의 중앙에 형성되는 확관부분에 의해 일정량의 조성물이 적채되어 압력이 발생한 후 확관부분을 지난 조성물의 속도가 증가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배관용 파이프의 제조특성상 압출장치를 통하여 압출하며 동일한 속도, 동일한 조성물 밀도 등을 유지해야 하는데, 종래의 3중관 코엑스 중심다이는 인입되는 조성물을 모아주고 모아진 조성물이 다단형태의 단턱을 넘어가며 조성물이 고르게 배출되지 않거나, 튀어나온 모서리 등에 이물질 등이 쌓여 완성된 배관이 파산되는 주요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압축부(40)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배출부(50)는 시작부분의 직경보다 끝부분의 직경(T1)이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압축부에서 압력을 받으며 압축된 조성물이 보다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배출부(50)의 내경에는 다중관을 형성하는 또다른 층을 구성할 수 있는 조성물(내피층)이 배출될 수 있도록 중심홀(6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심홀(60)과 배출부(50)가 접하는 단부는 중심홀(60) 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다중관형태의 내충격관의 내피층을 구성하는 조성물이 보다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는 종래의 다중관 제조장치(도 5 참조)와 같은 다중관을 압출할 수 있는 장치에 적용되고, 내피층과 상기 내피층의 외각에 위치하는 중심층을 이루는 조성물이 배출되고, 다중관 제조장치에서 공급되는 외피층이 합쳐져 다중관 형태의 본 발명의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을 압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은 외피층 및 내피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중심층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내충격관 제조용 중심다이 및 다중관 제조장치를 통하여 압출하여 다중관 형태의 내충격관을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층 및 내피층용 조성물은 중합도 100의 레진 100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2 내지 5 중량부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2 내지 1.0중량부와 충진제 5 내지 10 중량부, 지당 1 내지 2 중량부 및 활제 0.3 내지 0.8 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피층 및 내피층용 조성물은 중합도 100의 레진 100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3.5중량부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5중량부와 충진제 8중량부, 지당 1.5중량부 및 활제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층용 조성물은 레진 100(중합도 100) 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2 내지 6 중량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2 내지 1.0중량부와 충진제 10 내지 20 중량부, 지당 1 내지 3 중량부 및 활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층용 조성물은 레진 100(중합도 100) 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4.0 중량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5 중량부와 충진제 15 중량부, 지당 2 중량부 및 활제 1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피층 및 내피층과 중심층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에 파우더 형태의 안정제와 액상 형태의 안정제를 혼합하는 것은 압출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파우더 형태의 안정제만을 적용할 경우 혼합 및 멜팅시 소요되는 시간이 파우더와 액상을 혼합할 때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이 시간을 단축하고, 신속하게 안정제의 기능을 발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안정제를 적용하여, 생산량을 높일 수 있으며, 생산초기 발생하는 불량율 또한 종래의 기술보다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 내지 3)와 종래의 시판되는 각기 다른 제조사의 3중관 각1종씩 총3종(비교예 1 내지 3)에 대한 내충격시험(KS M 3401 : 2019), 인장항복 강도시험(KS M 3401 : 2019) 및 내수압시험(KS M 3401 : 2019)에서의 불량율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도록 한다.
<실시예 1>
외피층 및 내피층용 조성물은 중합도 100의 레진 100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2중량부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2중량부와 충진제 5중량부, 지당 1중량부 및 활제 0.3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중심층용 조성물은 중합도 100의 레진 100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2중량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2중량부와 충진제 10중량부, 지당 1중량부 및 활제 0.5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조성물을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하여 압출 생산한다.
<실시예 2>
외피층 및 내피층용 조성물은 중합도 100의 레진 100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3.5중량부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5중량부와 충진제 8중량부, 지당 1.5중량부 및 활제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중심층용 조성물은 레진 100(중합도 100) 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4.0 중량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5 중량부와 충진제 15 중량부, 지당 2 중량부 및 활제 1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조성물을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하여 압출 생산한다.
<실시예 3>
외피층 및 내피층용 조성물은 중합도 100의 레진 100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5중량부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1.0중량부와 충진제 10중량부, 지당 2중량부 및 활제 0.8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중심층용 조성물은 레진 100(중합도 100) 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6 중량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1.0중량부와 충진제 20 중량부, 지당 3 중량부 및 활제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조성물을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하여 압출 생산한다.
앞서 실시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각각 100회의 테스트를 실시하여 아래 [표 1]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3
내충격시험 불량율(%) 98 99 100 96 98 97
인장항복강도시험 불량율(%) 97 98 99 95 98 96
내수압시험불량율(%) 98 100 100 98 99 97
상기와 같이 내충격 시험, 인장항복 강도시험, 내수압 시험에 대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의 결과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의 시험성적이 조금더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앞서 설명한데로, 제조과정상 외피부와 내피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층이 제조장치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미세한 연속크랙 또는 스크레치에 의해 그 부분에서 파손되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플랜지
20 : 유도턱
21 : 인입유도턱
22 : 배출유도턱
23 : 회전유도홈
30 : 유입부
40 : 압축부
50 : 배출부
60 : 중심홀

Claims (10)

  1. 다중관을 압출 제조하기 위한 코엑스 중심다이에 있어서,
    다중관 제작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10);와
    상기 플랜지(10)의 일측에 상방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제조를 위한 조성물을 회전이동시켜주는 유도턱(20);과
    상기 플랜지(10)와 접하고, 유도턱(20)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유입부(30);와
    상기 유도턱(20)의 다음에 위치하며, 유도턱(20)에서 이송되는 파이프용 조성물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40);와
    상기 압축부(40)의 다음에 위치하고, 압축부(40)에서 압축된 파이프용 조성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50); 및
    다중관의 내피층용 파이프 조성물을 공급하기 위한 중심홀(60)로 구성되되,
    압축부(40)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배출부(50)는 시작부분의 직경보다 끝부분의 직경(T1)이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압축부에서 압력을 받으며 압축된 조성물이 보다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턱(20)은 일측단부가 타측단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고, 유입부(30)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방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초입부의 높이가 종단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시작부에서 종단부로 향할 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인입유도턱(21)과 상기 인입유도턱(21)의 말단부에서 연장되어 상방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배출유도날개(22) 및 상기 인입유도턱(21)과 배출유도날개(22)의 사이에 형성되어 파이프 제조용 조성물을 이동시키는 회전유도홈(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날개(22)는 횡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돌출된 길이는 인입유도턱(21)의 횡측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40)의 시작부분의 직경이 중앙부분의 직경(T3)보다 작게 형성되고, 다시 상측에 위치하는 끝부분의 직경(T2)이 중앙부분의 직경(T3)보다 작아지는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
  5. 삭제
  6.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은 외피층 및 내피층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중심층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다중관 형태의 내충격관 제조용 중심다이 및 다중관 제조장치를 통하여 압출하여 내충격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피층 및 내피층용 조성물은 중합도 100의 레진 100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2 내지 5 중량부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2 내지 1.0중량부와 충진제 5 내지 10 중량부, 지당 1 내지 2 중량부 및 활제 0.3 내지 0.8 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고, 중심층용 조성물은 중합도 100의 레진 100 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2 내지 6 중량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2 내지 1.0중량부와 충진제 10 내지 20 중량부, 지당 1 내지 3 중량부 및 활제 0.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 및 내피층용 조성물의 최적화된 조성비는 중합도 100의 레진 100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3.5중량부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5중량부와 충진제 8중량부, 지당 1.5중량부 및 활제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는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용 조성물의 최적화된 조성비는 중합도 100의 레진 100중량부에 비납계 무독안정제 파우더 4.0 중량부, 비납계 무독안정제 액상 0.5 중량부와 충진제 15 중량부, 지당 2 중량부 및 활제 1중량부를 혼합하여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9. 제 1항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관.
  10. 제 6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관.

KR1020200042545A 2020-04-08 2020-04-08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 KR10212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545A KR102123411B1 (ko) 2020-04-08 2020-04-08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545A KR102123411B1 (ko) 2020-04-08 2020-04-08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411B1 true KR102123411B1 (ko) 2020-06-16

Family

ID=7114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545A KR102123411B1 (ko) 2020-04-08 2020-04-08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4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01B1 (ko) * 2008-06-17 2009-01-07 주식회사 고리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0896677B1 (ko) 2008-11-10 2009-05-14 주식회사 고리 3중 구조의 비납계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
KR100968081B1 (ko) 2010-03-23 2010-07-08 주식회사 고리 점성이 다른 3중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 다이
KR101090781B1 (ko) 2010-07-08 2011-12-08 주식회사 평화 3중 합성수지파이프 제조용 압출장치
KR101453207B1 (ko) * 2013-09-17 2014-10-22 주식회사 고리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
KR101979861B1 (ko) * 2018-09-11 2019-05-17 푸른나래(주) 삼중 구조를 구비하는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01B1 (ko) * 2008-06-17 2009-01-07 주식회사 고리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0896677B1 (ko) 2008-11-10 2009-05-14 주식회사 고리 3중 구조의 비납계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
KR100968081B1 (ko) 2010-03-23 2010-07-08 주식회사 고리 점성이 다른 3중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 다이
KR101090781B1 (ko) 2010-07-08 2011-12-08 주식회사 평화 3중 합성수지파이프 제조용 압출장치
KR101453207B1 (ko) * 2013-09-17 2014-10-22 주식회사 고리 소방배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한 단층형 소방배관
KR101979861B1 (ko) * 2018-09-11 2019-05-17 푸른나래(주) 삼중 구조를 구비하는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772B1 (ko) 타이어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N1066674C (zh) 聚合物挤塑模具、使用该模具的设备和方法
JP2002537144A (ja) 低かさ密度のポリカーボネート材料を押出す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042096B2 (ja) 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及び方法
KR102123411B1 (ko) 상수도 및 하수도용 내충격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다이와 이를 이용한 내충격관의 제조방법 및 내충격관
CN106239703A (zh) 带有挤压流道的真空挤砖机泥料挤出方法
CN105034309A (zh) 一种生产光扩散板的同向双螺杆复合挤出机及其生产工艺
CN104985789A (zh) 液态硅胶挤出成型机
JP5410696B2 (ja) 押出機スクリュー及びポリメチルペンテン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2109069B (zh) 一种不结垢管道的管材及其制备方法
CN109373065A (zh) 一种高弯曲弹性模量连续生产pp双壁波纹管及其生产方法
CN107351354A (zh) 中间层纤维沿周向取向的三层塑料复合管的挤管机头
CN210525797U (zh) 一种塑料挤出机
CN209987363U (zh) 一种胶片挤出机螺杆
CN216992986U (zh) 一种用于多层共挤模具自动温控机构
CN101372149B (zh) 塑钢缠绕管带材连续生产的方法
CN115304874A (zh) 异型行进式螺旋缠绕修复专用型材及其制备方法
CN215396220U (zh) Pvb挤压式造粒机
CN220864719U (zh) Spc地板基材专用平双螺杆
CN117021552B (zh) 节能“pof多层”吹膜机
CN214726357U (zh) 一种橡胶挤出机
CN213618253U (zh) 一种螺杆挤出装置
CN217777714U (zh) 一种管道挤塑机挤塑模
CN117484835A (zh) 一种共挤多层石塑复合材料发泡锥双机筒螺杆
JP3560354B2 (ja) 押し出し成形機における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