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302B1 -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302B1
KR101000302B1 KR1020100080666A KR20100080666A KR101000302B1 KR 101000302 B1 KR101000302 B1 KR 101000302B1 KR 1020100080666 A KR1020100080666 A KR 1020100080666A KR 20100080666 A KR20100080666 A KR 20100080666A KR 101000302 B1 KR101000302 B1 KR 101000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hloride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to KR1020100080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나 하수도용 파이프 및 이음관의 성형재료로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65 ~ 85 중량%,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5 ~ 20 중량%, 탄산칼슘 2 ~ 6 중량% , 탄소나노물질 0.5 ~ 1.5 중량%, 실란계 커플제 1 ~ 5 중량% 및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 2 ~ 8 중량%를 함유함으로써, 높은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 등의 우수한 물리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어 파이프 및 이음관의 내구성 및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A POLY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A PIPE AND JOINT}
본 발명은 상수도나 하수도용의 파이프, 그리고 이음관의 성형재료로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 탄소나노섬유 및 실란계 커플제를 첨가하여 강성을 향상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폴리염화비닐(PVC; Poly Vinyl Chloride)은 염화비닐의 단독중합체 및 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한 혼성중합체(混成重合體)를 일컫는 것이다.
폴리염화비닐은 결정성이 낮고, 가공시 접착이 어려운 특징이 있으며, 연질 제품으로서 포장용농업용 등의 시트나 필름에 사용되고, 경질 제품에서는 압출성형에 의한 수도관의 제조 등에 쓰이고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레진을 주원료로 하는 유체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레진 100중량%에 대한 일정비율의 안정제, 충전제, 가공조제, 안료, 그 밖의 첨가물로 조성된다.
본 발명은 높은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유체파이프 및 이음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65 ~ 85 중량%,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5 ~ 20 중량%, 탄산칼슘 2 ~ 6 중량% , 탄소나노섬유 0.5 ~ 1.5 중량%, 실란계 커플제 1 ~ 5 중량% 및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 2 ~ 8 중량%를 함유하는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은 카르복실기 말단을 갖는 수평균분자량(Mn) 65,000 ~ 95,0000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유도체 및 폴리 초산 비닐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의 수지 또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과 함께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 탄소나노물질 및 실란계 커플제를 함유하여 높은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 등의 우수한 물리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어 파이프 및 이음관의 내구성 및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65 ~ 85 중량%,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5 ~ 20 중량%, 탄산칼슘 2 ~ 6 중량% , 탄소나노섬유 0.5 ~ 1.5 중량%, 실란계 커플제 1 ~ 5 중량% 및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 4 ~ 8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중합도가 1000의 값을 가지는 현탁 또는 괴상 중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전체 조성물에서 65 ~ 85 중량% 포함된다.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탄산칼슘, 탄소나노물질 등의 첨가제의 사용량이 제한되어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없고,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가공적성이 떨어져 균일한 제품 성형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수지는 폴리머 체인 내에 에테르기와 카보닐기를 갖는 고내열성 수지로서, 제조 방법에 따라 말단에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은 극성(Polar) 성질을 띠게 되며, 극성을 나타내는 충진제를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 말단을 가지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이 극성 무기충진제의 균일한 분산에 더욱 유리하다.
상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의 수평균분자량(Mn)은 65,000 내지 95,000이고, 바람직하게는 87,000 내지 92,000인 것이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 말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은 수평균분자량(Mn) 5,000당 3.0~4.5개의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은 전체조성물에서 5 ~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8 중량%이다.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강성을 얻을 수 없고 극성 무기충진제에 대한 분산성이 저하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성형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내충격성과 강성을 높이기 위한 무기 충진제로 탄산칼슘 및 탄소나노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탄산칼슘은 평균입경이 0.1 ~ 50 ㎛의 것으로, 스테아린으로 코팅된 것이 분산에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칼슘은 전체 조성물에서 2 ~ 6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4 중량부이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내충격성 개선효과가 크지 않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더라도 내충격성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오히려 가공성과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탄산칼슘 단독으로 사용시 원하는 수준으로 내충격성과 강도를 상승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탄소나노물질을 무기 충진제로 더 포함한다.
상기 탄소 나노물질은 약 200nm미만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치수(예를 들어, 입경, 섬유 직경, 층 두께)를 갖는 임의의 탄소 물질로서 바람직하게 그 치수는 1 ~ 50 nm이다. 탄소 나노물질의 예로는, 약 20nm 미만의 2개의 치수를 갖는 섬유상 탄소 나노물질, 예를 들어, 나노튜브(예를 들어, 단일벽 나노튜브 및 다중벽 나노튜브) 및 나노섬유(예를 들어, 축에 따라 정렬된 소판, 오늬무늬형(herringbone) 또는 물고기 가시형 나노튜브)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소 나노물질은 상기 탄소 나노물질을 고온에서 산화 산 또는 산들의 혼합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된, 산화된 탄소 나노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나노물질은, 4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1:3 v/v, 25mL/탄소(g))의 혼합물내에서 탄소 나노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산화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물질은 전체 조성물에서 0.5 ~ 1.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4 중량%이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내충격성 및 강도의 개선효과가 크지 않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더라도 내충격성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서 무기 충진제와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친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란계 커플제를 포함한다.
상기 실란계 커플제는 라디칼 반응성 관능기를 가진 알콕시 실란계 커플제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계 커플제는 전체 조성물에서 1 ~ 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3.5 중량%이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무기 충진제의 분산성이 충분하지 않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 분산성이 개선되지 않는다.
상기 실란계 커플제는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다른 성분과 함께 직접 혼합될 수도 있으나, 무기 충진제의 분산성 개선을 위해서는 미리 무기 충진제와 실란계 커플제를 반응시킨 후 그 반응물을 다른 성분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는 무기 충진제의 분산성 향상과 파이프의 내충격성 향상을 위해 포함된다.
상기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메타)아크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유도체 및 폴리 초산 비닐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의 수지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p-클로로 스티렌 등의 스티렌 유도체, 초산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 아클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니트릴 등이 단독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는 전체 조성물에서 2 ~ 8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무기 충진제의 분산성 및 파이프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 분산성이 개선되지 않는다.
상기 실란계 커플제는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다른 성분과 함께 직접 혼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실란계 커플제와 반응시킨 무기 충진제와 미리 중합시킨 후 다른 성분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의 구성성분 이외에 계면활성제, 퍼록사이드계 중합개시제, 착색제, 충진제, 대전방지제 등과 같은 부가적인 성분들을 목적하는 물성에 따라서 미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 상, 하수도용 파이프나 물받이 부속용 파이프 등의 유체파이프 및 이음관 뿐만 아니라 그 밖의 각종 산업용, 가정용 파이프 및 이음관을 제작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파이프의 제조에 대해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폴리염화비닐 레진 75 중량%, 카르복실기 말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수평균분자량 89,400) 12.5 중량%, 평균입자크기 1 ㎛ 탄산칼슘 4 중량%, 피로그래프(등록상표)-III 탄소 나노섬유를 8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1:3 v/v, 25mL/탄소(g))의 혼합물 내에서 가열하여 제조한 산화된 탄소나노섬유 1.2 중량%,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5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8%를 중합하여 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시예2]
폴리염화비닐 레진 80 중량%, 카르복실기 말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수평균분자량 89,400) 9 중량%, 평균입자크기 1 ㎛ 탄산칼슘 3 중량%, 피로그래프(등록상표)-III 탄소 나노섬유를 8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1:3 v/v, 25mL/탄소(g))의 혼합물 내에서 가열하여 제조한 산화된 탄소나노섬유 1.2 중량%,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8%를 중합하여 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1]
실시예1에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을 제외하고, 폴리염화비닐 레진 83 중량%, 평균입자크기 1 ㎛ 탄산칼슘 5 중량%, 피로그래프(등록상표)-III 탄소 나노섬유를 8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1:3 v/v, 25mL/탄소(g))의 혼합물 내에서 가열하여 제조한 산화된 탄소나노섬유 1.5 중량%,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4.5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 %를 중합하여 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2]
실시예1에서 탄소나노물질을 제외하고, 아래와 같이 파이프를 제작하였다.
폴리염화비닐 레진 75 중량%, 카르복실기 말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수평균분자량 89,400) 12.5 중량%, 평균입자크기 1 ㎛ 탄산칼슘 5.2 중량%,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5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8%를 중합하여 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의 파이프에 대하여, 인장강도, 비카트 연화온도, 낙추충격, 침지시험, 편평시험, 수압시험을 수도용 경질염화비닐관 시험법(KS M3401)에 따른 결과를 표 1에, 내충격용 하수도용 경질염화비닐관 시험법(KPPS M306)에 따라 시험하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기준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인장강도 15℃에서 4900N/cm2이상 5500 5350 4850 4860
비카트 연화온도 76℃이상 82 80 75 77
낙추충격 균열없음 균열없음 균열없음 균열없음 균열
편평시험 관경의 1/2 압축시 균열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수압시험 수압 4.0MPa에 견딤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구분 기준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인장강도 20℃에서 4700N/cm2이상 5400 5380 4800 4830
비카트 연화온도 78℃이상 83 81 78 77
낙추충격 균열없음 균열없음 균열없음 균열없음 균열
편평시험 관경의 5% 해당 호칭별 편평값이상 기준값이상 기준값이상 기준값이상 기준값이상
수압시험 수압 1.5MPa에 견딤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시험결과 수도관용으로 제작된 실시예2의 경우 KS 규격의 일반 수도용 경질 염화비닐관(KS M 3401)에 비해 인장강도가 무려 500N/㎠이나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하수관용으로 제작된 실시예1의 경우에도 기존의 내충격용 하수도용 경질 염화비닐관(KPPS M 306)에 비해 인장강도가 500N/㎠ 증가되었다.
그리고 실시예1, 2는 인장강도를 제외한 나머지 특성도 기존 제품에 비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Claims (3)

  1. 폴리염화비닐 수지 65 ~ 85 중량%,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5 ~ 20 중량%, 탄산칼슘 2 ~ 6 중량% , 탄소나노섬유 0.5 ~ 1.5 중량%, 실란계 커플제 1 ~ 5 중량% 및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 2 ~ 8 중량%를 함유하는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은 카르복실기 말단을 갖는 수평균분자량(Mn) 65,000 ~ 95,0000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열가소성수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유도체 및 폴리 초산 비닐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의 수지 또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20100080666A 2010-08-20 2010-08-20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1000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666A KR101000302B1 (ko) 2010-08-20 2010-08-20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666A KR101000302B1 (ko) 2010-08-20 2010-08-20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302B1 true KR101000302B1 (ko) 2010-12-13

Family

ID=4351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666A KR101000302B1 (ko) 2010-08-20 2010-08-20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3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09B1 (ko) 2010-09-15 2011-09-27 주식회사 한영이엔지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1957367B1 (ko) 2018-10-04 2019-03-13 신우산업주식회사 상하수도용 내구성 강화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005B1 (ko) 2003-08-25 2005-10-12 (주)미라이 지. 에스.피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KR100568412B1 (ko) 2003-11-14 2006-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나노복합체 수지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US20070093392A1 (en) 2005-09-30 2007-04-26 Maxam Industires Inc. Long lasting natural anti-pest additiv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005B1 (ko) 2003-08-25 2005-10-12 (주)미라이 지. 에스.피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KR100568412B1 (ko) 2003-11-14 2006-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나노복합체 수지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US20070093392A1 (en) 2005-09-30 2007-04-26 Maxam Industires Inc. Long lasting natural anti-pest additi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09B1 (ko) 2010-09-15 2011-09-27 주식회사 한영이엔지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1957367B1 (ko) 2018-10-04 2019-03-13 신우산업주식회사 상하수도용 내구성 강화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7638B2 (ja) 燃料ホース用の架橋性ニトリル共重合体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ホース用のゴム架橋物
JP6225919B2 (ja) ニトリル共重合体ゴム組成物
JPWO2008123405A1 (ja) ニトリル共重合体ゴム組成物およびニトリル共重合体ラテックス組成物
CN110408149B (zh) 一种高耐寒聚氯乙烯电缆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923422A (zh) 一种耐腐蚀、耐高温的工业用cpvc及其制备方法
KR101067409B1 (ko) 탈취 기능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CN111253665B (zh) 高密度聚乙烯管及其制备方法
KR101000302B1 (ko) 파이프 및 이음관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1070313B1 (ko) 항균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JP2011213844A (ja) ニトリル共重合体ゴム組成物
JPWO2013133358A1 (ja) ニトリル共重合体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EP2844679B1 (en) Self lubricated cpvc resin with improved properties
JP7280863B2 (ja) 高強度ポリフッ化ビニリデン複合体
CN106832698A (zh) 一种氯化聚氯乙烯管材组合物及管材制备方法
JP2010528165A (ja) コア−シェル粒子を含有する反応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US20100063223A1 (en) Copolymer grafted with polyamide, material comprising it, preparation process and uses
CN112574346B (zh) 氯乙烯系共聚物、其制备方法、包括其的组合物和由该组合物制成的树脂制品
KR101882456B1 (ko) 상ㆍ하수도용 삼중벽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의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
CN109486060A (zh) 一种通信用pvc挤出管材及其制备方法
WO2018190371A1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CN109054239A (zh) 一种耐热高强pvc电缆料的制备方法
KR101726952B1 (ko) 상하수도용 합성수지 파이프의 수지 조성물
KR100786773B1 (ko) 인장강도 및 내후성을 향상시킨 고강도 파이프 제조용수지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 파이프
CN116496587B (zh) 一种增强型抗菌pvc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H09263676A (ja) 耐衝撃性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