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693B1 -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693B1
KR101753693B1 KR1020150144931A KR20150144931A KR101753693B1 KR 101753693 B1 KR101753693 B1 KR 101753693B1 KR 1020150144931 A KR1020150144931 A KR 1020150144931A KR 20150144931 A KR20150144931 A KR 20150144931A KR 101753693 B1 KR101753693 B1 KR 101753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all
pin
hol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5034A (ko
Inventor
송동하
Original Assignee
스마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클(주) filed Critical 스마클(주)
Priority to KR102015014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6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형 구조체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볼이 노출공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수납되고, 돌출 시, 유동적 확장 영역을 형성시키는 체결부; 및 서로 다른 직경의 다단으로 형성된 중공형 구조체로서, 중공된 일측을 통해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노출공을 통해 볼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돌출이 제한되도록 하여, 체결부의 결합과 해제를 탄력적으로 지원하는 핀버튼이 설치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와 체결블록은, 기특정된 제1구조체과 제2구조체에 설치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핀버튼의 당김동작만으로 체결부와 체결블록이 설치된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 가능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볼트와 너트의 결합구조와는 달리, 진동 내지는 충격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잦은 탈부착이 요구되는 노약자용 이동수단(예를 들어, 휠체어, 유모차 및 카시트 등)에 적용되는 안전가드 내지는 그 보조장치의 결합체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결장치{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핀버튼의 당김동작만으로 체결부와 체결블록이 설치된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착 가능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볼트와 너트의 결합구조와는 달리, 진동 내지는 충격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잦은 탈부착이 요구되는 노약자용 이동수단(예를 들어, 휠체어, 유모차 및 카시트 등)에 적용되는 안전가드 내지는 그 보조장치의 결합체 또는 열쇠잠금장치로 사용이 가능한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체결장치는 구조체간 안정적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장치로는 주로 볼트와 너트의 결합구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풀림 방지는 위해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와셔 내지는 핀 등)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체결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8783호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체결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체결장치는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피체결물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볼트; 상기 볼트의 본체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그리고 상기 너트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장착되며, 일단부는 상기 볼트의 상기 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홈 중 하나에 수납되어 상기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 링을 포함하는 것을 발명의 구성요지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풀림방지 링의 탄성력 및 상기 볼트의 본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상기 풀림방지 링의 결합력을 이용하여, 상기 체결장치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너트가 상기 볼트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체결장치는 풀림이 방지되므로, 영구결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해제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연장 없이는 해제가 불가능하므로 해제를 위해서는 전용 공구가 필요하므로 이를 지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해제를 위해서는 전용의 공구(예를 들어, 스패너 등)를 사용하여 너트의 지속적 회전을 수행해야만 너트가 분리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힘과 기술이 요구되며, 특히, 상대적 약자(노약자)의 경우 해제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체결장치로서 우수한 결합력은 물론,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체결부재에 대한 개발을 통해 기존 열쇠의 잠금장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장치로 활용함과 동시에, 나아가 상대적 약자가 사용할 수 있는 체결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878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핀버튼의 당김 동작만으로 체결부와 체결블록이 설치된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착 가능한 결합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볼트와 너트의 결합구조와는 달리, 진동 내지는 충격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므로, 환자나 노약자의 이동수단(예를 들어 휠체어)에 적용되는 안전가드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핀버튼의 당김만으로 구조체간 결합은 물론, 분리가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체결 및 해제에 필요한 공구를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핀버튼이 스텝모터 내지는 전자석 등과 같은 전기적 구동장치에 의해 제한적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전거와 같은 이동수단의 도난방지용 자물쇠를 대체할 수 있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체형 구조체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볼이 노출공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수납되고, 돌출 시, 유동적 확장 영역을 형성시키는 체결부; 및 서로 다른 직경의 다단으로 형성된 중공형 구조체로서, 중공된 일측을 통해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노출공을 통해 볼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돌출이 제한되도록 하여, 체결부의 결합과 해제를 탄력적으로 지원하는 핀버튼이 설치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와 체결블록은, 기특정된 제1구조체과 제2구조체에 설치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구조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볼의 인출과 인입이가능하도록 개방홀이 형성된 체결핀; 및 상기 체결핀에 결합되어 볼의 이탈을 방지하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공이 형성된 볼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1구조체에 고정되는 설치부; 및 타측의 양측에 상기 개방홀이 형성되고, 타측의 끝단면에 상기 개방홀과 연통되며 상기 핀버튼의 일측이 탄력적으로 인입되는 수용홈이 마련된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블록은, 상기 체결부의 인입을 가이드하고, 유동적 확장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의 분리가 제한되도록 하는 링 형태의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부가 결합상태일 때, 상기 노출공이 위치하고, 상기 핀버튼에 의해 상기 노출공에서 볼이 외부로 돌출되거나, 복원이 이루어지는 작동부; 상기 핀버튼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 및 상기 핀버튼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캡이 설치되는 제2수용부;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버튼은, 일측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에 탄력적으로 진입하여 볼이 상기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헤드; 양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과 맞닿으며, 탄성체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타측을 이루며, 단부에 고리가 연결되도록 고리홀이 구비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일단이 상기 지지부와 맞닿고, 타단은 상기 캡 내측과 맞닿아 상기 핀버튼의 탄력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버튼은, 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작동되거나, 전기적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체결부와 체결블록의 결합과 해제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 내지는 전자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며, 지문, 번호 및 열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조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체결부와 체결블록의 결합과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핀버튼의 당김동작만으로 체결부와 체결블록이 설치된 제1구조체와 제2구조체의 결합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결합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볼트와 너트의 결합구조와는 달리, 진동 내지는 충격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므로, 환자나 노약자의 이동수단(예를 들어 휠체어)에 적용되는 안전가드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핀버튼의 당김만으로 구조체간 결합은 물론, 분리가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공구를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핀버튼이 스텝모터 내지는 전자석 등과 같은 전기적 구동장치에 의해 제한적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전거와 같은 이동수단의 도난방지용 자물쇠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볼핀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해제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적용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볼핀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며, 도 3은 결합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장치(100)는 구조체간의 원활한 결합은 물론, 특히, 해제가 용하여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진동과 충격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므로 결합상태의 안정성까지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체형 구조체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볼(190)이 노출공(123)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수납되고 돌출 시, 유동적 확장 영역을 형성시키는 체결부(110), 서로 다른 직경의 다단으로 형성된 중공형 구조체로서, 중공된 일측을 통해 상기 체결부(110)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노출공(123)을 통해 볼(190)이 외측으로 도출되도록 하거나, 돌출이 제한되도록 하여, 체결부(110)의 결합과 해제를 탄력적으로 지원하는 핀버튼(150)이 설치되는 체결블록(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유동적 확장은 체결부(110)에서 볼(190)이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볼(190)의 돌출은 핀버튼(150)의 탄력적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체결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볼(190)의 인출과 인입가능하도록 개방홀(119)이 형성된 체결핀(111)과 체결핀(111)에 결합되어 볼(190)의 이탈을 방지하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공(123)이 형성된 볼커버(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핀(1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조체(200)에 고정되는 설치부(113)와 타측의 양측에 개방홀(119)이 형성되고, 타측의 끝단면에 개방홀(119)과 연통되고 핀버튼(150)의 일측이 탄력적으로 인입되는 수용홈(1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방홀(119)은 볼(190)의 직경에 대응하는 홀인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5) 양측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홀(119)은 볼(190)의 자유로운 입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인출 시, 즉, 수용부(115) 양측으로 돌출될 경우, 유동적 확장 영역을 형성시킨다. 이때, 볼(190)은 볼커버(121)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볼커버(121)는 체결부재(130)을 통해 체결핀(111)의 수용부(115)와 결합되며, 개방홀(119)과 대응하는 일면에 볼(190)보다 직경이 작은 노출공(123)이 형성된다.
노출공(123)은 볼(190)의 이탈을 방지하되, 일부만이 노출될 수 있도록 볼(190)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홀인 것이다.
수용홈(117)은 적어도 핀버튼(150)의 직경과 일측 길이에 대응하는 음각의 홈인 것이며, 개방홀(119)과 연통되어, 수용홈(117)으로 핀버튼(150)이 내삽되면 볼(190)은 양측으로 밀려나 노출공(123)을 통해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체결블록(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10)의 인입을 가이드하고, 유동적 확장상태에서 체결부(110)의 분리가 제한되도록 하는 스페이서(140)가 설치되는 제1수용부(131), 체결부(110)의 결합상태일 때,서 노출공(123)이 위치하고, 핀버튼(150)에 의해 노출공(123)에서 볼(190)이 외부로 돌출되거나, 복원이 이루어지는 작동부(133), 핀버튼(150)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135) 및 핀버튼(150)의 이탈을 제한하고 탄성체를 지지하는 캡(180)이 설치되는 제2수용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페이서(140)는 링구조체로서,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수용부(131)와 나사결합되며, 내주는 체결부(11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핑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모서리는 모깍기(FILLET) 또는 모따기(CHAMFER)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모깍기와 모따기는 버(burr) 제거는 물론, 조립의 원활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히, 체결부(110)의 원활한 일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노출공(123)으로 돌출된 볼(190)이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체결부(110)의 원활한 입출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스페이서(140)는 내주가 체결부(110) 외주와 직경이 대응하나, 작동부(133)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볼(190)이 확장된 상태에서는 체결부(110)의 결합과 해제가 제한되도록 한다.
캡(180)은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수용부(137)와 나사결합되며, 핀버튼(150)의 타측이 관통하는 천공(181)이 형성된다.
이러한 캡(180)은 핀버튼(150)의 이탈과 탄성체(170)를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존재하며, 특히, 탄성체(170)를 지지하여 핀버튼(150)의 탄력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작동부(133)는 제1수용부(131)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체결부(110)의 유동적 확장상태(체결부 외측으로 볼이 돌출된 상태)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다.
걸림턱(135)은 핀버튼(15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돌출 영역인 것이며, 작동부(133)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유동부(139)는 핀버튼(150)이 이동하는 영역인 것이며, 걸림턱(135)보다 직경이 크고, 핀버튼(150)의 지지부(153)와 직경이 같거나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버튼(150)은 탄력적 동작을 통해 체결부(110)와 체결블록(13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핀버튼(150)은 수용홈(117)에 내삽되는 헤드(151), 양단 사이에 형성되어 지지부(153) 및 고리(160)가 연결되도록 고리홀(157)이 형성된 로드(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151)는 핀버튼(150)의 일측을 이루며, 수용홈(117)에 대응하는 직경과 길이가 같거나,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볼(19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단부가 곡면과 사면으로 이루어져있다.
지지부(153)는 헤드(15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일면은 탄성체(170)의 일측을 지지하고 타면은 걸림턱(135)과 맞닿아 핀버튼(15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로드(155)는 헤드(151) 및 지지부(153)보다 직경이 작은 바(bar)이며, 도 1과 같이 고리홀(157)이 형성된 단부가 캡(180)의 천공(18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고리홀(157)은 고리(160)가 연결되는 홀로서, 천공(18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천공(18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를 최소화하되, 고리(16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핀버튼의 작동(당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탄성체(170)는 지지부(153)와 캡(180) 사이에서 설치되어, 핀버튼(15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체결부(110)와 체결블록(130)의 결합과 해제를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5를 설명하되, 도면에서 부호는 생략하고, 그 부호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장치는 탄성체(170)의 탄력적 이동에 의해 체결부(110)와 체결블록(130)의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하, 구분동작을 나타낸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체결부(110)와 체결블록(130)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때, 체결부(110)는 비확장상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부(153)는 탄성체(170)에 의해 걸림턱(135)과 맞닿은 상태로서, 헤드(151)가 탄력적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체결부(110)와 체결블록(13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이는, 헤드(151)가 탄력적으로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체결부(110)가 결합되면 헤드(151)가 수용홈(117)에 내삽되면서, 볼(190)을 양측으로 밀어내 체결부(110)의 유동적 확장상태를 유발시켜 스페이서(140)와의 마찰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160)를 당겨, 헤드(151)가 수용홈(117)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볼(190)이 작동부(133)에 위치되도록 체결부(110)를 체결블록(13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160)의 담김을 해제하여, 헤드(151)가 탄성체(170) 복원력에 의해 수용홈(117)에 탄력적으로 내삽되도록 한다. 이러한 헤드(151)가 수용홈(117)에 내삽되면서, 볼(190)을 양측으로 밀어내 체결부(110)의 유동적 확장상태를 조성하여 체결부(110)와 체결블록(13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후, 체결부(110)와 체결블록(130)의 결합을 해제할 경우에는 결합의 역순으로 진행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해제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체결부와 체결블록(13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후, 도 5b와 같이 고리(160)를 당기면, 헤드(151)는 수용홈(117)에서 이탈되고 볼(190)이 체결부(110) 내측공간(개방홀과 수용홈)으로 수납되면서, 체결부(110)의 유동적 확장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10)와 체결블록(130)은 분리되고, 고리(160)의 당김을 해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체결장치(100)는 핀버튼(150)의 이동 즉, 고리(160)의 당김과 유지만으로 체결부(110)와 체결블록(130)의 결합과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10)를 제1구조체(200)에 설치되고, 체결블록(130)을 제2구조체(210)에 설치할 경우, 핀버튼(150)의 당김동작만으로 체결부(110)와 체결블록(130)이 설치된 제1구조체(200)와 제2구조체(210)에의 결합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구가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의 편의를 배가시킨다.
또한, 탈착 가능한 결합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진동 내지는 충격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므로, 노약자의 이동수단에 적용되는 안전가드 내지는 그 보조장치의 결합체로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핀버튼(150)은 인력의 해 탄력적으로 작동되는 것은 물론, 전기적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작동될 수도 있다.
전기적 구동장치로는 통상의 모터(스탭모터, step motor) 내지는 전자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지문, 번호 및 열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조건에 의해 작동되어 체결부(110)와 체결블록(130)의 결합과 해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체결장치 110 : 체결부
111 : 체결핀 113 : 설치부
115 : 수용부 117 : 수용홈
119 : 개방홀 121 : 볼커버
123 : 노출공 125 : 체결부재
130 : 체결블록 131 : 제1수용부
133 : 작동부 135 : 걸림턱
137 : 제2수용부 139 : 유동부
140 : 스페이서 150 : 핀버튼
151 : 헤드 153 : 지지부
155 : 로드 157 : 고리홀
160 : 고리 170 : 탄성체
180 : 캡 181 : 천공
190 : 볼 200 : 제1구조체
210 : 제2구조체

Claims (7)

  1. 관체형 구조체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볼이 노출공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수납되고, 돌출 시, 유동적 확장 영역을 형성시키는 체결부; 및
    서로 다른 직경의 다단으로 형성된 중공형 구조체로서, 중공된 일측을 통해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노출공을 통해 볼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돌출이 제한되도록 하여, 체결부의 결합과 해제를 탄력적으로 지원하는 핀버튼이 설치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블록은,
    상기 체결부의 인입을 가이드하고, 유동적 확장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의 분리가 제한되도록 하는 링 형태의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부가 결합상태일 때, 상기 노출공이 위치하고, 상기 핀버튼에 의해 상기 노출공에서 볼이 외부로 돌출되거나, 복원이 이루어지는 작동부;
    상기 핀버튼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 및
    상기 핀버튼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캡이 설치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와 체결블록은, 기특정된 제1구조체과 제2구조체에 설치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구조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볼의 인출과 인입이가능하도록 개방홀이 형성된 체결핀; 및
    상기 체결핀에 결합되어 볼의 이탈을 방지하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공이 형성된 볼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1구조체에 고정되는 설치부; 및
    타측의 양측에 상기 개방홀이 형성되고, 타측의 끝단면에 상기 개방홀과 연통되며 상기 핀버튼의 일측이 탄력적으로 인입되는 수용홈이 마련된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버튼은,
    일측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에 탄력적으로 진입하여 볼이 상기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헤드;
    양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과 맞닿으며, 탄성체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타측을 이루며, 단부에 고리가 연결되도록 고리홀이 구비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일단이 상기 지지부와 맞닿고, 타단은 상기 캡 내측과 맞닿아 상기 핀버튼의 탄력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버튼은,
    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작동되거나, 전기적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체결부와 체결블록의 결합과 해제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어,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 내지는 전자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며, 지문, 번호 및 열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조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체결부와 체결블록의 결합과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KR1020150144931A 2015-10-16 2015-10-16 체결장치 KR101753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31A KR101753693B1 (ko) 2015-10-16 2015-10-16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31A KR101753693B1 (ko) 2015-10-16 2015-10-16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034A KR20170045034A (ko) 2017-04-26
KR101753693B1 true KR101753693B1 (ko) 2017-07-05

Family

ID=5870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931A KR101753693B1 (ko) 2015-10-16 2015-10-16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612B1 (ko) * 2018-03-14 2020-04-08 주식회사 건호엔지니어링 길이 조정형 락킹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227A (ja) 2000-12-06 2002-07-10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a ボール繋止装置に基づくアセンブリ・システム
JP2006123103A (ja) * 2004-10-29 2006-05-18 Nabeya Iron & Tool Works Ltd 締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227A (ja) 2000-12-06 2002-07-10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a ボール繋止装置に基づくアセンブリ・システム
JP2006123103A (ja) * 2004-10-29 2006-05-18 Nabeya Iron & Tool Works Ltd 締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034A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1565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JP4520920B2 (ja) クリップ
JPH06201082A (ja) 管継ぎ手
WO2005121567A1 (ja) プラグ/ソケットアセンブリ
JP2005188579A (ja) パネル等の固定具
JP5279696B2 (ja) 端末支持装置
KR101753693B1 (ko) 체결장치
JP2020001687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着脱式取り付け装置
TW201722834A (zh) 安全可移除錨定裝置
JP2003056522A (ja) 自動車用ファスナー構造
JP5212771B2 (ja) カーテンサイドエアバッグ用トリムのトリムクリップ
KR101375740B1 (ko) 유모차용 브레이크장치
JP2007175080A (ja) ヘッドレストブッシュ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JP3860571B2 (ja) 油圧式ホイール構造
JP2003214470A (ja) 緩衝クリップ
JP5245527B2 (ja) 配管プラグ着脱具
JP2006202797A (ja) 外装カバー固定構造
CN112140963B (zh) 侧挡扶手组件和车辆
JP2001098612A (ja) 便器付帯設備の取付構造
JP6578087B2 (ja) 端末支持装置の取付構造
JP2008055935A (ja) 自転車用ペダルの取付装置
JPH0479764B2 (ko)
JP2008031729A (ja) 建具
JP4871609B2 (ja) ストリッパープレート装着装置
JP2008144854A (ja) 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