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045B1 - 수소 및 산소의 혼합 가스 발생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연 기관 - Google Patents

수소 및 산소의 혼합 가스 발생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연 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045B1
KR101753045B1 KR1020127008950A KR20127008950A KR101753045B1 KR 101753045 B1 KR101753045 B1 KR 101753045B1 KR 1020127008950 A KR1020127008950 A KR 1020127008950A KR 20127008950 A KR20127008950 A KR 20127008950A KR 101753045 B1 KR101753045 B1 KR 101753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oxygen gas
hydrogen
voltage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3858A (ko
Inventor
노부미츠 야나기하라
미츠오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레가루시
도라스토 하이텟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레가루시, 도라스토 하이텟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레가루시
Publication of KR2012009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25B1/04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producing mixed hydrogen and oxygen gas, e.g. Brown's gas [HHO]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7Heating or 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39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 F02D19/064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at least one fuel being gaseous, the other fuels being gaseous or liquid at standard conditions
    • F02D19/0644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at least one fuel being gaseous, the other fuels being gaseous or liquid at standard conditions the gaseous fuel being hydrogen, ammonia or carbon mon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68Treating or cleaning means; Fuel filters
    • F02D19/0671Means to generate or modify a fuel, e.g. reformers, electrolytic cells or memb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1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acetylene, non-waterborne hydrogen, non-airborne oxygen, or ozone
    • F02M25/12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acetylene, non-waterborne hydrogen, non-airborne oxygen, or ozone the apparatus having means for generating such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Abstract

저전류로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수증기의 발생이 적은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는, 전원과, 그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버터와, 그 인버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내부에, 나노수와 그 나노수 내에 침지되는 양극 및 음극을 갖는 전해조를 구비한다. 이로써, 낮은 전류로 구동하고, 수증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수소 및 산소의 혼합 가스 발생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연 기관{APPARATUS FOR GENERATING MIXED GAS OF HYDROGEN AND OXYGEN,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브라운 가스인 수소 및 산소의 혼합 가스 (이하, 「수소 산소 가스」라고 부른다) 의 발생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환경에 대한 배려를 중시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내연 기관 등, 화석 연료의 연소를 이용한 기술 분야에서는, CO2 의 배출량을 삭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기술 개발이 왕성하다. 예를 들어, 연소 프로세스를 갖지 않는 기술로의 전환에 의해 CO2 의 배출량을 삭감하는 것은 하나의 방법이다. 실용화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차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타입의 발전·축전 기술을 이용하는 전기 구동의 승용차 등은 그 예이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는, 연소 프로세스를 갖지 않는 기술로의 전환은 불가능하여, 어디까지나 화석 연료의 연소 프로세스가 불가피해지는 기술 분야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선박이나, 대형 자동차, 보일러 등이다. 이와 같은 기술 분야에서는, 배기되는 가스에 함유되는 유독 가스나 CO2 가스의 저감화에 의해 환경에 대한 배려를 실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배기되는 가스에 함유되는 유독 가스나 CO2 가스의 저감화는, 연소 효율을 상승시켜, 연소 프로세스를 얼마나 완전 연소에 접근시키는지의 점에 집약된다. 또, 연소 효율을 상승시킴으로써 필요한 연료도 줄어들기 때문에, 연비도 향상된다.
연소 효율을 상승시키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수소 산소 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수소 가스와 산소의 화학 당량비를 2 : 1 로하여 혼합하는 것이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31938호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의 전기 분해 원리를 사용한 수소 가스 및 산소 가스의 발생 방법에서는 발생량에는 한계가 있어, 수소 산소 가스 장치에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연소가 안정되기 쉬운 대형의 정치(定置)식으로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즉, 부하 변동이 많은 구동력원으로서 수소 산소 가스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물의 전기 분해로는 안정적인 수소 산소 가스의 공급이 곤란하여, 연소 효율을 상승시켜 연소 프로세스를 완전 연소에 접근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특히, 종래의 수소 산소 가스 장치에서 수소 산소 가스를 대량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100 V 등의 높은 전압에서 높은 전류를 사용하고 있다. 또, 통전에 의한 열로 수증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승용차 등의 차량이나 선박 등에 있어서는, 저전류 상태로 다량의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다.
본원 발명은, 저전류로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수증기의 발생이 적은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내연 기관에서의 연소를 완전 연소에 접근시키기 위해서 수소 산소 가스를 이용할 때에, 안정적인 수소 산소 가스의 공급을 할 수 있는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전원과, 그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버터와, 그 인버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인버터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 및 음극을 내부에 갖는 전해조와, 순수에 미리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여 제조되고, 그 전해조의 내부에 저장되는 나노수 (水) 를 구비하는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전원과, 그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버터와, 그 인버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인버터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 및 음극을 내부에 갖는 전해조와, 순수에 미리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여 제조되고, 그 전해조의 내부에 저장되는 나노수를 구비하는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를 사용한 내연 기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종래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에 비해, 본원 발명에 의한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에서는, 안정적으로 다량의 수소 산소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내연 기관에 적용한 결과, 화석 연료를 사용한 내연 기관에 있어서의 연소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로써, CO2 가스의 배출량을 저감화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한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에서는, 낮은 전압·전류로많은 수소 산소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어 승용차에서부터 대형 자동차 등의 차량이나 선박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의 전극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의 가스 포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의 인버터의 제어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의 인버터의 제어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를 이용한 내연 기관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1)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의 전극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 는 본 발명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의 가스 포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4 에는, 인버터의 제어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1) 는, 전원 (2) 과, 인버터 (3) 와, 전해조 (4) 와, 수소 산소 가스 공급관 (12) 을 구비한다.
전원 (2) 은, 전해조 (4) 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2) 은 24 볼트의 전원으로 할 수 있다. 전원 (2) 의 양극 및 음극은, 각각 인버터 (3) 를 개재하여, 전해조 (4) 의 양극측 전극판 (10) 과 음극측 전극 (11a, 11b) 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2) 의 전압은, 인버터 (3) 에 의해 전압을 강하시킨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24 볼트에서 12 볼트로 강하시킨다. 이로써, 승용차, 선박 등 이동형의 탈 것에 사용할 수 있다.
전해조 (4) 는, 조(槽)(9) 를 상측 뚜껑 (6) 으로 닫는 구조의 용기이다. 상측 뚜껑 (6) 은, 절연 소재에 의한 패킹 (8) 을 사이에 끼워, 조 (9) 에 장착된다. 상측 뚜껑 (6) 은, 와셔가 달린 볼트 (25) 에 절연 패킹 (26) 을 사이에 끼워 조 (9) 에 나사 결합된다. 이로써, 전해조 (4) 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초미립자인 수소 산소 가스를 외부로 놓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전해조 (4) 의 내조에는 특수 실리콘을 사용하여, 누전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조 (9) 의 각 부분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재를 사용하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밖으로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전해조 (4) 의 조 (9) 에는, 전해액 공급구 (7) 로부터 전해액이 주입되어 조 (9) 내에 채워진다. 전해액으로는, 이른바 나노수 (31) 를 사용한다. 본원에서는, 「나노수」는, 초음파대의 진동을 소정 시간만큼 순수에 인가하여 미리 제조된 물이라고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36 킬로헤르츠의 주파수의 초음파 진동을 24 시간 계속 가하여 제조한 나노수를 사용하였다.
또, 전해조 (4) 의 조 (9) 의 전해액 중에는, 예를 들어 수산화칼륨이나 수산화나트륨 등과 같은 수산화물을 촉매로서 첨가한다.
또한 전해조 (4) 의 조 (9) 의 전해액 중에는, 트루말린 (32) 을 첨가해도 된다. 트루말린은, 예를 들어 드라바이트 트루말린으로서, 어느 정도 큰 것을 채용한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 (球體) 형상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로써, 전극에 대한 부착물을 저감화할 수 있다.
전해조 (4) 의 전해액 중에는, 전원 (2) 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양극측 전극판 (10) 과, 음극측 전극 (11) 이 침지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모식적으로 1 쌍의 양극측 전극판 (10) 과 음극측 전극 (11) 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극측 전극판과 양극측 전극판을 1 개 세트로 하여, 복수의 전극 세트를 전해액 중에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극측 전극판 (10a, 10b) 과 음극측 전극 (11a 와 11b) 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배치하는 1 세트의 양극측 전극판 (10) 과 음극측 전극 (11) 을 구성시킨다. 이와 같은 전극 세트를 복수 준비하여, 전해조 (4) 내에 침지시킨다. 예를 들어, 6 세트의 전극을 사용하면, 24 장의 전극이 된다. 양극측 전극판 (10a, 10b) 과 음극측 전극 (11a 와 11b) 의 각각은, 재료로서 예를 들어, 강화 스테인리스 합금 (SUS316), 티탄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티탄 합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리듐을 표면에 증착한 티탄 합금, 또는 표면에 도금 처리로 플라티나의 표면층을 형성한 티탄 합금 등, 이리듐 또는 플라티나층을 표면에 갖는 티탄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양극측 전극판 (10a, 10b) 과 음극측 전극 (11a 와 11b) 의 각각은, 길이 L 의 긴 변 가장자리와, 길이 D 의 짧은 변 가장자리를 갖는 형상으로서, 짧은 변 가장자리측이 전해조 (4) 의 전해액의 깊이 방향이 되도록 전해조 (4) 내에서 전해조에 침지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길이 D : 길이 L 은 1 : 2 로 할 수 있다.
전해조에서는, 물의 전기 분해의 원리에 따라, 전원 (2) 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양극측 전극판 (10a, 10b) 에서는, 양극측 전극판 (10a 와 10b) 과 전해액이 반응하여, 수산화물 이온 (OH-) 을 생성함과 함께 전자를 수취한다. 그 전자는 음극측 전극 (11a, 11b) 을 향하여 흐른다. 음극측 전극 (11a, 11b) 에서는, 수소 이온 (H+) 이 음극측 전극 (11) 의 전자를 수취하여, 수소 분자 (H2) 가 된다. 전해액으로는, 단순한 순수가 아니고, 물분자의 클러스터가 무너져 물분자 단체 (單體) 로 되어 있는 나노수를 사용함으로써, 전해액 중에서, 수소 이온 (H+) 및 수산화물 이온 (OH-) 을 생성하기 쉬워진다. 또, 트루말린을 사용함으로써, 음극측 전극 (11a, 11b) 에서의 전자의 방출이 촉진된다. 또한 트루말린을 구체화·입상화함으로써, 전극에 대한 부착물을 저감화하여 전극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해조 (4) 의 상측 뚜껑 (6) 에는, 전해조 (4) 에서 발생한 수소 산소 가스를 반송하는 수소 산소 가스 공급관 (12) 이 접합되어 있다. 수소 산소 가스 공급관 (12) 은 가스 포집구 (12a) 에 의해 상측 뚜껑 (6) 으로부터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전해조 (4) 의 내부측에 해당하는 가스 포집구 (12a) 부근의 상측 뚜껑 (6) 에는, 칸막이 (6a, 6b, 6c, 6d) 가 가스 포집구 (12a) 의 주위에 가스 포집구 (12a) 를 둘러싸도록, 상측 뚜껑 (6) 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다. 칸막이 (6a, 6b, 6c, 6d) 각각의 사이에는, 수밀리 정도의 간극을 형성한다. 발생한 수산소 가스는, 이 간극을 통과하여, 칸막이 (6a, 6b, 6c, 6d) 에 의해 확정되는 공간을 통해서, 가스 포집구 (12a) 로부터 수소 산소 가스 공급관 (12) 에 반송된다. 칸막이 (6a, 6b, 6c, 6d) 에 의해, 전해조 (4) 의 전해액인 물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증기는 차단되고, 발생한 수산소 가스만이 칸막이 (6a, 6b, 6c, 6d) 에 의해 확정되는 공간 내에 들어간다. 수소 산소 가스 공급관 (12) 으로의 수산소 가스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소 산소 가스 공급관 (12) 에는 수분 제거 밸브 (13) 가 배치되어, 칸막이 (6a, 6b, 6c, 6d) 에 의해 확정되는 공간 내에 약간 들어가 있는 수증기가, 수소 산소 가스와 함께 수소 산소 가스 공급관 (12) 내에 반송되었을 경우에도, 물로서 수소 산소 가스 공급관 (12) 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전해조 (4) 에 상기한 바와 같이, 나노수와 트루말린을 사용함으로써, 수소 발생량이 현격히 향상된다. 이 때문에, 전원 (2) 으로부터의 통전량에 대한 수소 발생량이 커져, 통전량의 변화량에 대한 수소 발생량의 변동도 동시에 커진다. 수소 발생량의 변동이 커지면, 연료 가스 내에 공급되는 수소 산소 가스의 비율이 변동되어, 연소 효율이 안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전원 (2) 으로부터의 통전량을 인버터 (3) 에 의해 제어할 필요가 생긴다. 인버터 (3) 에 의해, 전해조 (4) 내에 흐르는 실제의 전류의 양을 소정량으로 유지하고, 전해액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여, 안정적인 수소 산소 가스의 발생을 도모한다.
인버터 (3) 는, 전류 설정 수단 (3a), 전류 검출 수단 (3b), 전류 감시 수단 (3c), 전류 제어 수단 (3e), 온도 감시 수단 (3d) 및 전압 감시 수단 (3f) 을 구비하여, 전해액에 흘리는 전류를 제어한다. 전류 설정 수단 (3a) 은 전원 (2) 에 접속되고, 변환된 입력 전압이 인가된다. 전류 설정 수단 (3a) 은, 전해조 (4) 의 양극측 전극판 (10a, 10b) 과 음극측 전극 (11a, 11b) 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설정 수단 (3a) 은, 양극측 전극판 (10a, 10b) 과 음극측 전극 (11a, 11b) 에 전류를 흘림과 함께, 소정 전류값의 목표 전류로 설정한다. 인버터 (3) 로부터 양극측 전극판 (10) 과 음극측 전극 (11a, 11b) 에 실제로 흐른 전류의 값은, 전류 검출 수단 (3b) 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전류는, 전류 감시 수단 (3c) 에 의해 제어 수치로 변환된다. 한편, 전해조 (4) 에는 온도 센서 (4a) 가 장착되어 있어, 전해조 (4) 의 온도가 검출된다. 온도 센서 (4a) 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온도 감시 수단 (3d) 에 의해 제어용 수치로 변환된다. 전압 감시 수단 (3f) 은, 전원 (2) 의 인버터 (3) 에 입력되기 전의 1 차 측전압 (전원 (2) 으로부터 인버터 (3) 에 입력되는 전압) 을 검출하여, 그것을 제어용 수치로 변환한다.
인버터 (3) 의 시퀀스에 대해, 도 4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1) 의 인버터 (3) 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전류 설정 수단 (3a) 에 의해, 설정 전류를 제로가 되도록 전압을 설정한다 (S11). 그 후, 양극측 전극판 (10a, 10b) 과 음극측 전극 (11a, 11b) 사이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해액에 전류를 흘리기 시작한다. 전압 감시 수단 (3f) 에 의해, 그 전압 감시를 개시한다. 전원 (2) 으로부터 인버터 (3) 에 가해지는 전압에 이상이 없으면 온도 감시 (S13) 로 이행하고, 전압에 이상이 있으면 미리 설정한 전압 이상시의 전류로 설정하도록, 전류 제어 수단 (3e) 에 지령을 보낸다 (S17). 지령을 받은 전류 제어 수단 (3e) 은, 전류 설정 수단 (3a) 에 대해, 미리 설정한 전압 이상시의 전류로 설정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이것에 따라, 전류 설정 수단 (3a) 은, 전압 이상시의 전류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온도 감시 (S13) 로 이행한다. 먼저, 온도 센서 (4a) 의 온도를 검출한다 (S13). 온도 감시 (S13) 에 의해 전해조 (4) 의 온도가 한계 온도에 이르러 있으면, 온도 이상으로서, 미리 설정한 온도 이상시의 전류로 설정하도록 전류 제어 수단 (3e) 에 지령을 보낸다 (S18). 지령을 받은 전류 제어 수단 (3e) 은, 전류 설정 수단 (3a) 에 대해, 미리 설정한 온도 이상시의 전압으로 설정하도록 지령을 보낸다. 이것에 따라, 전류 설정 수단 (3a) 은, 온도 이상시의 전압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한계 온도란, 내부의 전해액의 증발이 시작되는 온도이고, 물이면 수증기의 발생이 시작되는 온도이다. 한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전류를 제어한다.
온도 센서 (4a) 가 검출한 온도가 한계 온도에 이르지 않으면, 전류 감시 (S14) 로 이행한다. 설정 전류가 제로가 되도록 전압을 설정한 후 (S11), 전압을 상승시켜, 전류를 흘리기 시작한다. 전류 감시 (S14) 에서는, 이 전류량을 감시한다. 양극측 전극판 (10a, 10b) 과 음극측 전극 (11a, 11b) 사이의 전압을 상승시키면, 전기 분해가 발생될 때까지는 전류는 아주 조금 밖에 상승하지 않는다. 전기 분해와 함께 어느 시점부터 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전류 검출 수단 (3b) 에 의해 실제로 측정된 전류값이 목표 전류보다 큰 경우에는 전류를 저하시키기 위해 전압을 내리도록 전류 제어 수단 (3e) 에 지령을 보낸다 (S15). 반대로, 전류 검출 수단 (3b) 에 의해 실제로 측정된 전류값이 목표 전류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류를 상승시키기 위해 전압을 상승시키도록 전류 제어 수단 (3e) 에 지령을 보낸다 (S16).
지령을 받은 전류 제어 수단 (3e) 은, 그 지령에 따라 전류를 상승시키도록 전류 설정 수단 (3a) 에 대해 지령을 보낸다. 이것에 따라, 전류 설정 수단 (3a) 은 지령에 따른 전류로 설정한다. 전류 검출 수단 (3b) 에 의해 실제로 측정된 전류의 값이 목표 전류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설정 전류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전류 제어 수단 (3a) 에 지령을 보내거나, 또는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어 단계에 있어서, 각 단계는, 소정 타이밍으로 항상 반복된다. 목표 전류는, 전해조 (4) 의 크기, 전해액의 양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예를 들어, 목표 전류가 8.0 암페어가 되도록 설정하는, 설정 전류를 제로로 한 후 (S11), 전압을 상승시켜 전류를 흘리기 시작하면, 수소 산소 가스가 발생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전류가 급격하게 상승한다. 이것에 아울러, 전류 제어 수단 (3e) 이 실제로 전해액에 부하되는 전류가 일정한 목표 전류 8 암페어가 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입력 전압의 인가 타이밍을 변화시켜 전류값이 일정한 값이 되도록 제어하거나, 입력 전압을 전압값을 변화시켜 제어하는 등의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가 타이밍을 펄스상으로 함으로써 전압 듀티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로써, 전류 검출 수단 (3b) 이 검출한 전류를 목표 전류로 유지하도록, 나노수에 대한 그 전압의 인가량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나노수를 이용한 경우의 효과는 표 1 과 같다. 표 1 은, 전해액으로서 나노수, 순수 및 시판 이온수를 사용한 경우의 수소 산소 가스의 발생량을 비교한 것이다. 전해액으로서 나노수, 순수 및 시판 이온수를 사용했을 때에, 전극에 가해지는 목표 전류가 8.0 볼트가 되도록 하여, 인버터 (3) 에 의해 전압 듀티를 변화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수소 산소 가스의 양을 비교하였다. 이로써, 나노수를 사용한 경우에는, 전압 듀티가 가장 낮은 경우에 가장 많은 수소 산소 가스를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노수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수소 산소 가스의 발생량이 많아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2027651930-pct00001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음극으로서 1.5 밀리미터 두께의 티탄 합금판에 이리듐을 0.5 밀리미터 두께로 증착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표 2 는, 스테인리스 전극을 사용한 경우의 예와의 비교이다. 이것으로부터, 티탄 합금판에 이리듐을 증착시킨 경우의 쪽이, 수소 산소 가스의 발생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리듐을 증착시킨 티탄 합금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수소 산소 가스의 발생량이 많아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2027651930-pct00002
도 7 은, 본 발명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1) 를 이용한 내연 기관 (20) 의 설명도이다. 내연 기관 (20) 과 흡기구 (16) 사이에 연통하는 연료 가스관 (19) 에는, 수소 산소 가스관 (12) 이 결합되어 있다.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1) 에서 발생시킨 수소 산소 가스는, 수소 산소 가스관 (12) 을 경유하여 연료 가스관 (19) 에 이르러, 연료 가스와 혼합되어 내연 기관 (20) 에 흡입된다. 이로써, 흡기구 (16) 로부터 흡입된 연료 가스에 수소 산소 가스가 혼합되어, 수소 산소 가스의 함유 비율이 높아져, 연소 효율이 향상됨과 함께, 배기 가스 (21) 로부터 유해 가스의 제거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소 효율을 상승시킴으로써, 필요한 연료 가스가 삭감 가능하고, 연비도 향상된다. 내연 기관의 예로는, 일반 승용차 내지 대형 자동차, 선박 등의 엔진이나, 보일러, 소각로 등을 들 수 있다.
본원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1) 에서 발생시킨 수소 산소 가스를 내연 기관에서 사용한 성능 평가는, 다음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3 은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를 사용한 내연 기관의 성능 비교예이다. 내연 기관으로서 6000 cc 클래스 엔진을 탑재한 선박에 있어서,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1) 를 탑재시킨 것과 비탑재인 것에 있어서, 연료 (가솔린) 의 소비량을 비교하였다. 선박은 암벽에 정박시켜서, 1500 (rpm) 의 아이들링 상태로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를 사용한 경우에, 매분 1000 cc 의 수소 산소 가스를 혼합하고 있다. 이 실험으로부터도,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1) 를 사용한 내연 기관에 있어서, 연비가 향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연소 효율이 상승한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2027651930-pct00003
(실시예 2)
도 5, 도 6, 도 7 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1) 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과 실시예 2 는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그 차이는, 내연 기관 (20) 상태를 인버터 (3) 의 제어에 포함시키는 점에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1) 의 계통도이다. 도 6 에는, 이 경우의 인버터의 제어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인버터 (3) 의 내부 이외의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1) 는,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이하, 실시예 1 과 상이한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연 기관에는 출력축이 있고, 그 출력축의 회전수를 회전 센서에 의해 검출한다. 회전 센서에 의한 회전수의 검출에는 여러 방법을 고려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얼터네이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인버터 (3) 에는, 전류 설정 수단 (3a), 전류 검출 수단 (3b), 전류 감시 수단 (3c), 전류 제어 수단 (3e), 온도 감시 수단 (3d) 및 전압 감시 수단 (3f) 에 추가하여, 내연 기관 동력부의 회전수의 감시를 실시하는 회전수 감시 수단 (3g) 을 구비하고 있다. 전류 설정 수단 (3a), 전류 검출 수단 (3b), 전류 감시 수단 (3c), 전류 제어 수단 (3e), 온도 감시 수단 (3d) 및 전압 감시 수단 (3f) 의 동작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도 6 에 있어서의 플로우 차트에 있어서, S21 에서 S28 까지는 S11 에서 S18 에 대응하고, 각 동작은 동일하다.
실시예 2 에서 회전수 감시 수단 (3g) 은 내연 기관의 출력축이 있어, 그 출력축의 회전수에 따라, 목표 전류를 변경한다. 플로우 차트에서는, 온도 감시 (S23) 후에, 출력축의 회전수에 따라, 목표 전류를 전환하여 변경하는 단계를 갖는다 (S29). 예를 들어, 0 내지 800 (rpm) 에 있어서는 목표 전류를 0.5 암페어로 설정하고, 800 내지 1500 (rpm) 에 있어서는 목표 전류를 8.0 암페어로 설정하고, 1500 (rpm)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목표 전류를 8.0 암페어 내지 20.0 암페어로 설정한다. 전환해야 할 목표 전류값의 그룹은, 회전수에 따른 소정 목표 전류값으로서 미리 결정해 둔다. 각각의 목표 전류로 설정한 후에 있어서의 전류 감시의 단계 (S24, S25, S26) 로 이행한다.
즉, 전류 감시 (S24) 에서, 전류량을 감시한다. 양극측 전극판 (10a, 10b) 과 음극측 전극 (11a, 11b) 사이의 전압을 상승시키면, 전기 분해가 발생될 때까지는 전류는 아주 조금 밖에 상승하지 않는다. 전기 분해와 함께 어느 시점에서부터 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전류 검출 수단 (3b) 에 의해 실제로 측정된 전류값이 목표 전류보다 큰 경우에는 전류를 저하시키기 위해 전압을 내리도록 전류 제어 수단 (3e) 에 지령을 보낸다 (S25). 반대로, 전류 검출 수단 (3b) 에 의해 실제로 측정된 전류값이 목표 전류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류를 상승시키기 위해, 전압을 상승시키도록 전류 제어 수단 (3e) 에 지령을 보낸다 (S26). 지령을 받은 전류 제어 수단 (3e) 은, 그 지령에 따라 전류를 상승시키도록 전류 설정 수단 (3a) 에 대해 지령을 보낸다. 이것에 따라, 전류 설정 수단 (3a) 은, 지령에 따른 전류로 설정한다. 전류 검출 수단 (3b) 에 의해 실제로 측정된 전류의 값이 목표 전류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설정 전류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전류 제어 수단 (3a) 에 지령을 보내거나, 또는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한다. 제어 단계에 있어서, 각 단계는, 소정 타이밍으로 항상 반복되는 점도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목표 전류는, 전해조 (4) 의 크기, 전해액의 양에 따라 미리 결정된다. 예를 들어, 회전수가 1000 (rpm) 인 경우에는, 목표 전류가 8.0 암페어가 되도록 설정한다 (S29). 전압을 상승시켜 전류를 흘리기 시작하면, 수소 산소 가스가 발생하기 시작한 시점에서부터 전류가 급격하게 상승한다. 이것에 아울러, 전류 제어 수단 (3e) 이 실제로 전해액에 부하되는 전류가 일정한 목표 전류 8.0 암페어가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의 방법도 실시예 1 과 동일하고, 예를 들어, 입력 전압의 인가 타이밍을 변화시켜 전류값이 일정한 값이 되도록 제어하거나 입력 전압을 전압값을 변화시켜 제어하는 등의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가 타이밍을 펄스상으로 함으로써 전압 듀티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로써, 내연 기관의 최적 상태의 수소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음과 함께,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온도 상승에 사용되는 불필요한 전력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원 발명에 의한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는, 내연 기관을 포함하여 연소 프로세스를 갖는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낮은 전압·전류로 충분한 수소 산소 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차량·선박의 내연 기관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09년 9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31942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1 :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2 : 전원
3 : 인버터
4 : 전해조
10 : 양극측 전극판
11 : 음극측 전극판

Claims (8)

  1. 전원과,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미리 설정한 전압 이상시의 전류로 또는 미리 설정한 온도 이상시의 전류로 설정 가능한 전류 설정 수단과, 그 전류 설정 수단에 지령을 보내는 전류 제어 수단을 갖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인버터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 및 음극을 내부에 갖는 전해조와,
    순수에 미리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여 제조되고, 상기 전해조의 내부에 저장되는 나노수와,
    상기 인버터는,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전해조의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에 실제로 흐른 전류의 값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 수단과,
    상기 전해조 내의 나노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가 검출한 그 나노수의 온도를 감시하는 온도 감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류 검출 수단이 검출한 전류를 목표 전류로 유지하도록 상기 나노수에 대한 상기 전압의 인가량의 제어를 실시하는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로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전류 검출 수단이 상기 전해조의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에 가해지는 전압의 이상을 검지했을 때에는, 상기 미리 설정한 전압 이상시의 전류가 되도록 전압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나노수의 온도가, 상기 나노수가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한계 온도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온도 이상시의 전류로 설정하도록 상기 전류 제어 수단에 지령을 보내고, 상기 전류 제어 수단은, 상기 전류 설정 수단에 지령을 보내어, 상기 미리 설정한 온도 이상시의 전류가 되도록 전압을 제어하며,
    상기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는 내연 기관에 접속되고, 상기 인버터는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축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회전수에 따른 소정 목표 전류값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은, 이리듐 또는 플라티나층을 표면에 갖는 티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각각은, 긴 변의 가장자리와 짧은 변의 가장자리를 갖는 형상으로서, 짧은 변의 가장자리가 상기 나노수의 깊이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전해조에 침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는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는,
    상기 전해조의 상측 뚜껑에 발생하는 수소 산소 가스를 모으는 가스 포집구와,
    상기 가스 포집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칸막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칸막이 중 인접하는 칸막이 사이에는 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
  7. 연료 가스를 흡입하여 연소시키는 내연 기관으로서,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소 산소 가스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수소 가스와 산소 가스를 상기 연소 전에 상기 연료 가스에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8. 삭제
KR1020127008950A 2009-09-10 2010-09-10 수소 및 산소의 혼합 가스 발생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연 기관 KR101753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31942 2009-09-10
JPJP-P-2009-231942 2009-09-10
PCT/JP2010/005553 WO2011030556A1 (ja) 2009-09-10 2010-09-10 水素および酸素の混合ガス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内燃機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858A KR20120093858A (ko) 2012-08-23
KR101753045B1 true KR101753045B1 (ko) 2017-07-03

Family

ID=4373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950A KR101753045B1 (ko) 2009-09-10 2010-09-10 수소 및 산소의 혼합 가스 발생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연 기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76781A4 (ko)
JP (1) JP5775456B2 (ko)
KR (1) KR101753045B1 (ko)
CN (1) CN102597327B (ko)
WO (1) WO2011030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9164A1 (ja) * 2011-11-11 2013-05-16 Hosokawa Kanji Hhoガス発生装置
EP2820286B8 (en) 2012-02-27 2019-12-11 Hytech Power Inc. Oxygen-rich plasma generators for boos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150101926A1 (en) * 2012-05-18 2015-04-16 Steve Daniel Burns Electrolytic Cell
CN104214019B (zh) * 2014-09-12 2016-09-07 湖州康龙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型内燃机节油器的控制电路及智能型内燃机节油器
PT107973B (pt) 2014-10-20 2018-03-29 Ultimate Cell Lda Método para aumentar a eficiência de motores de combustão
JP2016146679A (ja) * 2015-02-06 2016-08-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供給システム
US20160263341A1 (en) * 2015-03-09 2016-09-15 Hsin-Yung Lin Gas generator
WO2017006381A1 (ja) * 2015-07-03 2017-01-12 萩谷 公康 電解システム
CN105112935B (zh) * 2015-09-21 2017-07-11 李云飞 一种过电位控制结构及方法
CN105780043A (zh) * 2016-02-04 2016-07-20 福建方明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从水中提取包含有氘气的气体的设备及其提取方法
US10605162B2 (en) 2016-03-07 2020-03-31 HyTech Power, Inc. Method of generating and distributing a second fue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7458219A (zh) * 2017-08-10 2017-12-12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一种汽车节能动力系统
US20190234348A1 (en) 2018-01-29 2019-08-01 Hytech Power, Llc Ultra Low HHO Injection
CN108131220A (zh) * 2018-02-08 2018-06-08 北京清旺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燃料燃烧效率的燃料燃烧助燃系统
WO2020130771A1 (es) * 2018-12-18 2020-06-25 Bioactivos Y Nutracéuticos De México S.A. De C.V. Dispositivo generador de hidrógeno para ahorro de combustible
CN114285297A (zh) * 2020-09-27 2022-04-05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逆变器、动力总成及电动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3276A1 (en) * 1998-06-29 2001-06-14 De Souza Mario Hydrogen generating apparatus
JP2005240152A (ja) * 2004-02-27 2005-09-08 Jippu:Kk 水の電気分解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96444A5 (ko) * 1976-01-16 1978-03-15 Talenti Pier F
JP3621735B2 (ja) * 1995-02-14 2005-02-16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負イオン発生装置
JP2972821B2 (ja) * 1998-03-10 1999-11-08 財団法人地球環境産業技術研究機構 水電解槽およびこれを備えたメタノール製造装置
CA2673360A1 (en) * 1999-10-25 2001-04-25 Hy-Drive Technologies Ltd. Hydrogen generating apparatus and components thereof
JP2001252663A (ja) * 2000-03-13 2001-09-18 Terumo Corp 電解水生成装置
JP2004197211A (ja) * 2002-12-16 2004-07-15 Koichi Aihara 水素・酸素混合ガス発生装置
JP3720831B2 (ja) * 2004-05-07 2005-11-30 有限会社飛幡恒産 混合化ブラウンガス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7330844A (ja) * 2006-06-12 2007-12-27 Takeshi Toba 水の水質改質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131938U (ja) 2006-12-05 2007-05-31 岡本 忠美 水素酸素混合ガスを利用した水の熱分解による焼却溶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3276A1 (en) * 1998-06-29 2001-06-14 De Souza Mario Hydrogen generating apparatus
JP2005240152A (ja) * 2004-02-27 2005-09-08 Jippu:Kk 水の電気分解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7327A (zh) 2012-07-18
EP2476781A1 (en) 2012-07-18
EP2476781A4 (en) 2013-03-13
KR20120093858A (ko) 2012-08-23
JPWO2011030556A1 (ja) 2013-02-04
CN102597327B (zh) 2016-08-03
WO2011030556A1 (ja) 2011-03-17
JP5775456B2 (ja)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045B1 (ko) 수소 및 산소의 혼합 가스 발생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연 기관
EP3101158B1 (en) Electrochemical reactor for producing oxyhydrogen gas
JP4076953B2 (ja) 水素−酸素ガス発生装置
US9034167B2 (en) Hydrogen/oxygen generator with D.C. servo integrated control
EP3460100B1 (en) Alkaline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5977352B2 (ja) 内燃機関のためにオンデマンドで水素を発生させる水素補給システム
KR102337615B1 (ko) 수소 생산을 위한 프로세스 및 장치
AU2014228945A1 (en) Hydrogen on demand electrolysis fuel cell system
CN102369313A (zh) 电解方法、装置和系统
WO2013069164A1 (ja) Hhoガス発生装置
WO2010048533A2 (en) Dual cylinder hydrogen generator system
WO2012017729A1 (ja) ブラウンガス発生システム
WO1995006144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lectrolyse de l'eau
JP4599387B2 (ja) 水素−酸素ガス発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素−酸素ガス発生方法
JP2012122092A (ja) 燃焼補助装置
JP2009227115A (ja) 自動車運搬用移動体
WO2011136291A1 (ja) 電気分解槽を有するエンジンシステム
JP5415168B2 (ja) 水電解システム
US10553887B2 (en) Fuel cell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the fuel cell system
WO2011004344A1 (en) Device for hydrogen enrichment of the fuel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fed by ammonia, during the start-up and during the steady state
JP2009041086A (ja) 水素発生装置
US20100200423A1 (en) Hydrogen generator
KR102226377B1 (ko) 자동차 정비업소용 포터블 카본 클리닝 장치
Bolvashenkov et al. Theoretical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centrifugal electrolysis and opportunity of its use on board the vehicle
CN110571445B (zh) 金属燃料氢气发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