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129B1 -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129B1
KR101749129B1 KR1020140164162A KR20140164162A KR101749129B1 KR 101749129 B1 KR101749129 B1 KR 101749129B1 KR 1020140164162 A KR1020140164162 A KR 1020140164162A KR 20140164162 A KR20140164162 A KR 20140164162A KR 101749129 B1 KR101749129 B1 KR 101749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unit
system device
suppl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962A (ko
Inventor
히로키 이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2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정보처리장치는, 제1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제1 전력을 생성하는 제1 전원유닛과,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제2 전력을 생성하는 제2 전원유닛과, 제2 전원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으로부터 제3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제3 전력을 생성하는 제3 전원유닛과, 제3 전력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1 감시유닛과,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전력이 공급된 후에,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원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의 국면은,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 등의 정보처리장치는, 유저에 의한 전원 스위치 ON시, 또는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의 기동시에 미리 결정되어 있었던 부분에 통전을 행하고, 기동의 처리를 행한다. 그러나, 전원 스위치 ON시나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의 기동 시에는, 전원 회로의 기동 및 통전 부분의 부하에 따라 돌입 전류(inrush current)가 발생한다.
상용 전원에서는,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정전시, 순간적인 전압강하, 또는 전원 투입시의 전압의 과도 상태 중에는, 후단에 접속된 기기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돌입전류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전원회로에 있어서, 과전류보호 기능이나 UVLO(Under Voltage Lock Out) 기능 등의 보호 기능이 작용하여, 전원회로의 출력이 정지한 채로 있을 수 있다.
이들의 보호 기능은, 기기의 안전을 위해서,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전원회로의 출력을 정지하고, 래치(latch)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전원회로의 출력이 정지한 채로 있다. 전원을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전원회로의 전원을 다시 온 및 오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9-213042호에는, 상용전원의 전원공급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상용전원의 이상을 검출하고, 상용전원으로부터의 전원공급이 회복했을 때에 상용전원의 이상의 유무와 기기상태에 따라, 자동복귀 처리를 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9-213042호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 상용전원의 이상에 의해 기기 내의 전원회로에 발생한 이상이, 기기의 OFF/ON을 행해도 자동으로 전원이 복귀될 수 없는 이상인 경우에, 자동 복귀 처리에 의해 무의미한 OFF/ON 동작을 반복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국면은 어느 쪽인가의 전원 계통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에서 자동으로 전원이 복귀될 수 없는 이상이 발생한 것을 특정하여, 특정한 전원유닛에 대하여 OFF/ON 제어가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을 지향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는 제1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제1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전원유닛과,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제2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전원유닛과, 상기 제2 전원유닛에 의해 생성된 전력으로부터 제3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제3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3 전원유닛과, 상기 제3 전원유닛에 의해 생성된 제3 전력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된 제1 감시유닛과, 상기 제3 전력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2 전원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과,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를 행한 후에,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전원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도 3은 화상 형성 시스템의 전원 블록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도 5(도 5a 및 5b로 구성)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다음에,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의 설명>
도 1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예는, 네트워크상의 화상형성장치에는, 서버 장치 및 클라이언트 PC(personal computer)가 접속되는 시스템 예다.
도 1에 있어서, 화상인쇄유닛(101)은, 각종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고, 기록 용지 위에 화상 인쇄를 행한다. 피니싱 유닛(102)은, 출력되는 인쇄물을 원하는 출력 형태에 의거해서 소트(sort), 스테이플(staple), 폴드(fold) 등을 행한다.
판독장치(103)는, 원고를 판독해서 원고 화상을 취득한다. 프린트 서버(105)는, 네트워크(104)를 통해서 접속된 클라이언트 PC(106)로부터의 인쇄 요구를 수신해서, 프린트 잡을 화상인쇄유닛(101)에 송신한다. 화상인쇄유닛(101)은, 네트워크(104)를 통해 프린트 서버(105) 및 클라이언트 PC(106)에 접속되어 있다.
유저는 클라이언트PC(106)에 있어서, 화상의 인쇄를 행하기 위해 프린트 잡을 작성하고,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프린트 잡은 프린트 서버(105) 및 네트워크(104)를 통해 화상인쇄유닛(101)에 송신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도 2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201)는, 화상인쇄유닛(101)에 포함되어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네트워크(104)에 대해서 LAN(Local Area Network)을 사용하고 있다(이하, "LAN 104"이라고 칭한다). LAN(104)은, 도 1에 나타낸 프린트 서버(105) 및 클라이언트 PC(106)과 접속되어 LAN 통신을 행한다.
LAN 제어부(203)는, LAN(104)과의 통신을 제어한다. 즉, LAN 제어부(203)는 LAN(104)을 통해서 수신 및 입력된 화상 데이터(예를 들면,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데이터)를 수신하고, 시스템 내의 각종 화상 데이터와 장치 정보를, LAN(104)을 통해 송신한다.
조작부(205)는, 유저가 각종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 및 조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부(206)는, 화상 형성 콘트롤러(201)의 각 부를 제어하는 처리부다. 또한, CPU부(206)는, LAN(104)을 통해서 수신 및 입력된 화상 데이터(예를 들면, PDL 데이터)을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에 전개한다.
메모리부(207)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는, CPU부(206)가 액세스가능한 기억장치이다. 메모리부(207)는, 각종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메모리를 겸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형성시의 화상의 보존용으로서도, 메모리부(207)가 사용된다. 메모리부(207)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한다.
인쇄 화상 처리부(208)는, CPU부(206)로 전개된 비트맵 데이터를, 스크린 처리 등 인쇄하기 위한 화상처리를 행하여, 인쇄용 데이터로 변환한다. 기구 프로세스 제어부(209)는, 용지 등의 시트 위에 화상을 인쇄할 때에, 도 1에 나타낸 화상인쇄유닛(101) 및 피니싱 유닛(102)을 제어하여, 인쇄 및 기록지 반송 제어를 행한다. 화상인쇄유닛(101)에 의한 인쇄 처리와, 피니싱 유닛(102)에 의한 기록지 배지처리에 있어서, 시트 상에의 인쇄와, 시트의 반송 기구는, 모두 기구 프로세스 제어부(209)에 의해 제어된다.
전원 제어부(210)는, 예를 들면 CPU 및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로 구성된다. 전원 제어부(210)는, CPU부(206)가 통전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도 1에 나타내지 않은) 전원의 ON/OFF 제어를 행한다. 또, 전원 제어부(210)는, CPU부(206)가 통전되어 있을 때에는, CPU부(206)의 제어 하에서 전원 제어부(210)가, 각 유닛에의 ON/OFF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210)는, CPU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원을 제어하거나, PLD로 하드 로직에 의거해서 스테이트 머신을 동작시킴으로써 전원을 제어해도 된다.
도 3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상 형성 시스템의 전원 블록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이하, 전원 계통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전원 블록 구성은, 상용전원(301)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시스템은 상용전원(301)으로부터 전원을 받아, 화상인쇄유닛(101) 및 피니싱 유닛(102) 등의 각 내부 유닛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1 전원부(302)는, 상용전원(301)과 접속되어 있고, 전원 케이블을 통해서 상용전원(301)과 접속되어 있는 한 항상 통전된다. 또, 제1 전원부(302)는, 상용전원(301)으로부터 받은 전원을 AC(alternating current)로부터 DC(direct current)로 변환하고, 3.3V, 1.8V, 혹은 1.2V 등의 비교적 낮은 전압을 갖는 DC 전원을 형성한다. 제1 전원부(302)는, 접속되어 있는 각 유닛에 변환된 DC 전원을 공급한다.
릴레이 스위치인 스위치 303은 유저가 액세스가능한 주전원 스위치다. 스위치 304는, 유저에 의해 스위치 303이 OFF 되었을 경우에, 전원 제어부(210)에 전력을 계속해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다. 유저에 의해 스위치 303이 OFF 되면, CPU부(206)가 전원 제어부(210)를 통해서 스위치 303의 OFF를 검출하고, CPU부(206)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가 셧 다운 처리를 시작한다. CPU부(206)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가 셧 다운 처리를 종료한 후, 전원 제어부(210)가 스위치 304를 OFF한다. 이에 따라, 스위치 303과 스위치 304가 모두 OFF 되어 제1 전원부(302)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제2 전원부(306)는, 스위치 305를 통해 상용전원(301)과 접속된다. 전원 제어부(210)가 CPU부(206)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의 제어 하에서, 스위치 305의 ON, OFF를 행함으로써 제2 전원부(306)가 통전된다. 또, 제2 전원부(306)는, 상용전원(301)으로부터 받은 전원을 AC로부터 DC로 변환하고, 24V 등의 비교적 높은 전압을 가진 DC 전원을 형성한다. 제2 전원부(306)는, 접속되어 있는 각 유닛에 변환된 DC 전원을 공급한다.
제3 전원부(310)는, 제2 전원부(306)와 접속되어, 제2 전원부(306)로부터 받은 DC 전원을, 12V, 5V, 3.3V, 1.8V, 혹은 1.2V 등의 비교적 낮은 전압을 갖는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제3 전원부(310)는, 접속되어 있는 각 유닛에 이 DC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제어부(210)는, 스위치 304, 305, 307, 및 311의 ON/OFF를 제어함으로써, 제1 전원부(302)로부터의 전원공급과, 제2 전원부(306)로부터의 전원공급과, 제3 전원부(310)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제1 전원 감시부(308)는, 제1 전원부(302)의 전원상태를 감시한다. 제2 전원 감시부(309)는, 제3 전원부(310)의 전원상태를 감시한다. CPU부(206)는, 스위치 303을 통해서 제1 전원부(302)에 접속된다. CPU부(206)는 전력 절약 모드 시에는, 동작 클록을 정지시켜서,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LAN 제어부(203)는, 스위치 303 및 307을 통해 제1 전원부(302)에 접속된다.
화상 형성 시스템의 전원 OFF의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스위치 303이 ON 되었을 경우, 제1 전원부(302)로부터 스위치 303을 통해서 전원 제어부(210), CPU부(206)의 일부, 및 메모리부(207)의 일부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 후에, 제1 전원 감시부(308)가, 전원이 안정적인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제1 전원 감시부(308)로부터 전원 제어부(210)로, 파워 굿(power good) 신호가 출력된다.
전원 제어부(210)는, 제1 전원 감시부(308)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치 304, 305, 및 307을 ON 한다. 그 결과, 제1 전원부(302)로부터 LAN 제어부(203)로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제2 전원부(306)로부터 제3 전원부(310)로 전력이 공급되고, 한층 더 제3 전원부(310)로부터, CPU부(206), 메모리부(207), 조작부(205), 인쇄 화상 처리부(208), 및 기구 프로세스 제어부(209)의 일부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 후에, 제2 전원 감시부(309)가, 전원이 안정적인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 전원 제어부(210)로 파워 굿 신호가 출력된다. 전원 제어부(210)는,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치 311을 ON 한다. 그 결과, 제2 전원부(306)로부터 스위치 311을 통해 기구 프로세스 제어부(209)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화상 형성 시스템에 전력이 공급되어, 화상 형성 시스템이 전원 ON의 상태가 된다.
제1 전원 감시부(308) 및 제2 전원 감시부(309)는, 각각 제1 전원부(302), 제3 전원부(310)의 전압을 감시한다. 출력 전압이 임계값을 넘었다는 것을 검출하면, 제1 전원 감시부(308) 및 제2 전원 감시부(309)는, 전원 제어부(210)에 대하여, 파워 굿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출력 전압이 임계값을 하회한다고 검출했을 경우에는, 제1 전원 감시부(308) 및 제2 전원 감시부(309)는, 파워 굿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또한, 화상 형성 시스템은 일정시간 인쇄 잡을 행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한다. CPU부(206)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타이머로 일정시간 인쇄 잡을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전력 절약 모드로의 이행을 시작한다.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서, CPU부(206)는 전원 제어부(210)에 대하여 스위치 305 및 311을 OFF 하는 제어를 행한다. 전원 제어부(210)는, CPU부(206)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스위치 305 및 311을 OFF 한다. 스위치 305 및 311을 OFF 함으로써, 제2 전원부(306) 및 제3 전원부(310)로부터 전력이 차단되어, 화상 형성 시스템이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한다.
전원 제어부(210)는, 스위치 307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력 절약 모드 시에 LAN(104)을 통해서 인쇄 잡을 수신하고, 전원 제어부(210)가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기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전원 제어부(210)가 LAN 제어부(203)에의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LAN(104)을 통해서 인쇄 잡을 받아 기동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LAN 제어부(203)는, LAN(104)을 통해서 인쇄 잡을 받았을 경우, 전원 제어부(210)에 대하여 기동 통지를 발행한다. 이것에 의해, 전원 제어부(210)가, CPU부(206)에 대하여 기동 통지를 발행한다. 그러면, CPU부(206)가 기동하여, 인쇄 잡이 있다는 것을 검출하고, 인쇄 잡을 실행한다. 유저에 의해 인쇄 잡이 투입되었을 경우, CPU부(206)는 인쇄 잡을 검출해 실행하기 위해서, 전원 제어부(210)에 대하여 스위치 305 및 311을 ON 하는 제어를 행한다. 전원 제어부(210)는, CPU부(206)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스위치 305 및 311을 ON 한다. 스위치 305를 ON 함으로써, 제2 전원부(306)로부터 인쇄 화상처리부(208)로 전력이 공급된다. 한층 더, 스위치 311을 ON 함으로써, 제2 전원부(306)로부터 기구 프로세스제어부(209)로 전력이 공급된다.
기구 프로세스 제어부(209)는, 스위치 311을 통해 제2 전원부(306)에 접속된다. 전원 제어부(210)는, CPU부(206)에 의해 제어되고, 스위치 311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인쇄를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CPU부(206)가 기구 프로세스 제어부(209)를 OFF 하기 위해서, 전원 제어부(210)가, 스위치 311을 OFF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서, 각각의 스위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본 플로차트는, 유저에 의해 스위치 303이 ON 될 때, 전원 제어부(210)가 화상 형성 시스템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화상 형성 시스템 전체의 전원을 OFF 상태로부터 ON 하는 플로우를 나타낸다.
유저에 의해 스위치 303이 ON 되면, 제1 전원부(302)로부터 스위치 303을 통해서 전원 제어부(210), CPU부(206)의 일부, 및 메모리부(207)의 일부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한다. 제1 전원 감시부(308)는, 제1 전원부(302)의 출력 전압을 감시한다. 전원 제어부(210)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어, 전원 제어부(210) 자체의 리셋이 해제되면, 도 4에 나타낸 처리 플로우가 개시된다. 각 스텝은, 전원 제어부(210)가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스텝 S401에 있어서, 제1 전원 감시부(308)가, 제1 전원부(302)의 전원공급이 안정적이다고 검출했을 경우에는, 제1 전원 감시부(308)로부터 전원 제어부(210)로 파워 굿 신호가 출력된다. 전원 제어부(210)는, 제1 전원 감시부(308)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를 받아, 제1 전원부(302)가 정상적으로 기동했다고 판단한다. 전원 제어부(210)가, 제1 전원부(302)가 정상적으로 기동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401에서 YES), 스텝 S40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전원 제어부(210)가, 제1 전원부(302)가 정상적으로 기동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401에서 NO), 스텝 S401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402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스위치 304, 305, 및 307을 ON 한다. 스위치 307이 ON 됨으로써, 제1 전원부(302)로부터 LAN 제어부(203)에 전력이 공급된다.
스위치 305가 ON 됨으로써, 상용전원(301)으로부터 제2 전원부(306)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러면, 제2 전원부(306)로부터 제3 전원부(310)에 전력이 공급되고, 한층 더 제3 전원부(310)로부터, CPU부(206), 메모리부(207), 조작부(205), 인쇄 화상 처리부(208), 및 기구 프로세스 제어부(209)의 일부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2 전원 감시부(309)는, 제3 전원부(310)의 출력 전압을 감시한다.
스텝 S403에 있어서, 제2 전원 감시부(309)가, 제3 전원부(310)의 출력 전압이 임계값을 넘었다고 검출한 경우에, 제2 전원 감시부(309)가 전원 제어부(210)에 대하여 파워 굿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제어부(210)는,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를 받아, 제3 전원부(310)가 정상적으로 기동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210)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타이머를 가지고 있고, 스위치 305를 ON 하고나서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를 받을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스위치 305를 ON 하고나서 일정시간 내에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원 제어부(210)는 제2 전원부(306) 또는 제3 전원부(310)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전원 제어부(210)가, 제3 전원부(310)가 정상적으로 기동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403에서 YES), 스텝 S4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전원 제어부(210)가, 제3 전원부(310)가 정상적으로 기동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403에서 NO), 스텝 S408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404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스위치 311을 ON 한다. 스위치 311이 ON 됨으로써, 제2 전원부(306)로부터 기구 프로세스 제어부(209)로 전력이 공급되어, 화상 형성 시스템이 전원 ON의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유저가 인쇄 등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스텝 S405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제1 전원 감시부(308) 및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에 의거해, 제1 전원부(302), 제2 전원부(306), 또는 제3 전원부(310)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감시한다.
전원 제어부(210)가, 제1 전원부(302), 제2 전원부(306), 및 제3 전원부(310)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405에서 YES), 스텝 S406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406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제1 전원 감시부(308)와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에 의거해, 스텝 S405에서 검출한 전원 이상이, 제2 전원부(306) 및 제3 전원부(310)에서만 발생한 전원 이상인지, 또는 제1 전원부(302)에서도 발생한 전원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전원 제어부(210)가 검출한 전원 이상이, 제2 전원부(306) 및 제3 전원부(310)에서만 발생한 전원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406에서 YES), 전원 제어부(210)는, 검출한 전원 이상이 자동으로 복귀 불가능한 전원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스텝 S40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전원 제어부(210)가, 검출한 전원 이상이 제2 전원부(306) 및 제3 전원부(310)뿐만 아니라 제1 전원부(302)에도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406에서 NO), 전원 제어부(210)는, 검출한 전원 이상이 자동으로 복귀가능한 전원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스텝 S411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407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스위치 305를 OFF 해서 제2 전원부(306) 및 제3 전원부(310)를 OFF 한다.
한편, 스텝 S408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스위치 305를 OFF(오프 상태) 해서 제2 전원부(306) 및 제3 전원부(310)에의 전원 공급을 OFF 한다.
스텝 S409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제2 전원부(306)와 제3 전원부(310)로부터 전하가 빠질 때까지, 전원 OFF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전원 제어부(210)는 1초 등을 타이머로 계측하고, 스위치 305를 OFF인 채로 유지한다. 전원 제어부(210)는, 전원 OFF 시간 경과 후에, 스위치 305를 ON 하여, 다시 제2 전원부(306)와 제3 전원부(310)를 ON(온 상태) 한다.
또, 스텝 S410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1번째의 전원 ON과 마찬가지로, 스위치 305를 ON 하고나서,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를 받을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전원 제어부(210)가,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를 받아, 제2 전원부(306) 및 제3 전원부(310)가 정상적으로 기동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410에서 YES), 스텝 S4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전원 제어부(210)는, 스위치 305를 ON 하고나서 일정시간 내에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전원부(306) 및 제3 전원부(310)에 이상이 발생했고, 또 이 이상이 자동으로 복귀 불가능한 전원 이상이라고 판단하고(스텝 S410에서 NO), 스텝 S40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411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스위치 304, 305, 307, 및 311을 OFF 하고, 스텝 S401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전원에 이상이 생기는 원인은 몇 가지가 있다. 전원이 자동으로 복귀가 가능한 경우와 자동으로 복귀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전원이 자동으로 복귀가 가능한 경우의 예로서는, 상용전원(301)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기간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상용전원(301)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기간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시스템의 전원 ON 시나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의 기동시에 생기는 돌입전류가 흐름으로써 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용전원(301)에서는, 순간적인 전압강하 혹은 전원 투입시의 전압의 과도 상태가 있으면, 후단에 접속된 기기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
이러한 상용전원(301)의 상태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시스템의 돌입전류에 의해, 화상 형성 시스템 내부의 전원회로에 대해서 과전류 보호나 UVLO 등의 보호 기능이 작용하여, 전원회로의 출력이 정지한 채가 되게 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원회로의 예로서는 제1 전원부(302), 제2 전원부(306), 제3 전원부(310) 등을 들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원회로의 출력이 정지한 채가 되게 된다. 자동으로 전원을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스텝 S408 및 S409에서 행하는 것처럼 전원회로의 전원을 다시 오프 및 온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방법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전원 이상 발생시에, 자동으로 복귀가 가능한 이상시에는, 자동으로 이상을 복귀할 수 있고, 또 자동으로 복귀가 불가능한 이상시에는, 불필요한 자동 복귀 동작에 의해 무의미한 OFF/ON 동작을 되풀이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 구성도 및 플로차트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의 차이는, 도 4의 플로우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원 이상이 자동으로 복귀 가능한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 다르다.
다음에, 도 4 대신에 도 5(도 5a 및 5b로 구성)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스텝 S401∼스텝 S405 및 스텝 S407∼스텝 S411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 같다.
도 5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본 플로차트는, 유저에 의해 스위치 303이 ON 될 때, 전원 제어부(210)가 화상 처리 시스템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상 형성 시스템의 전원을 OFF 상태로부터 ON 하는 플로우를 나타낸다.
스텝 S501에 있어서, 제1 전원 감시부(308)와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가 천이했을 경우, 그 천이 패턴을 판독하고, 내부의 일시 기억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이 일시적으로 기억한 천이 패턴은, 전원 제어부(210)가 리셋되면 소거된다.
전원 제어부(210)는, 내부의 기억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각종 전원 이상시에 발생하는 제1 전원 감시부(308)와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의 천이 패턴과, 그 천이 패턴의 전원 이상이 자동으로 복귀 가능한지 아닌지를, 미리 기억한다. 전원 제어부(210)는, 판독한 파워 굿 신호의 천이 패턴과, 자동으로 복귀 가능한 전원 이상의 경우의 미리 기억되어 있는 패턴과 비교해서 전원 이상이 자동으로 복귀 가능한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전원 제어부(210)가 검출한 전원 이상이, 자동으로 복귀 불가능한 전원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스텝 S501에서 NO), 스텝 S50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전원 제어부(210)가 검출한 전원 이상이, 자동으로 복귀 가능한 전원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스텝 S501에서 YES), 스텝 S411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502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스위치 305를 OFF 해서 제2 전원부(306) 및 제3 전원부(310)를 OFF 한다. 스텝 S503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제2 전원부(306)와 제3 전원부(310)로부터 전하가 빠질 때까지, 전원 OFF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전원 제어부(210)는 1초 등을 타이머로 계측하고, 스위치 305를 OFF인 채로 유지한다. 전원 제어부(210)는, 전원 OFF 시간 경과 후, 스위치 305를 ON 하여, 제2 전원부(306)와 제3 전원부(310)를 다시 ON 한다.
스텝 S504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첫 번째의 전원 ON과 마찬가지로, 스위치 305를 ON 하고나서,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전원 제어부(210)가,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전원부(306) 및 제3 전원부(310)가 정상적으로 기동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스텝 S504에서 YES), 스텝 S50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전원 제어부(210)는, 스위치 305를 ON 하고나서 일정시간 내에서 제2 전원 감시부(309)로부터의 파워 굿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제2 전원부(306) 및 제3 전원부(310)에 이상이 발생하고, 또 이 이상이 자동으로 복귀가 불가능한 전원 이상이라고 판단하고(스텝 S504에서 NO), 스텝 S40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505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10)는, 스텝 S501에서 일시적으로 기억한 파워 굿 신호의 천이 패턴을 내부의 기억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자동 복귀가능한 전원 이상의 경우의 새로운 천이 패턴으로서 기억한다. 여기에서, "천이 패턴"이란, 제2 전원부(306)의 전원 상태를 감시해서 취득한 제2 전원의 전압의 변화(감시 상태의 변화)를 특정하는 천이 패턴이다.
이상의 방법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전원 이상 발생시에, 자동으로 복귀가 가능한 이상시에는 자동 이상 복귀가 가능하고, 자동 복귀가 불가능한 이상시에는, 불필요한 자동 복귀 동작에 의한 무의미한 OFF/ON 동작을 되풀이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으로 전원 이상 복귀가 가능한지 아닌지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한 번만 자동 복귀 처리를 행함으로써 자동으로 전원 이상 복귀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각 스텝은,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매체를 통해서 취득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PC(컴퓨터) 등의 처리장치(CPU, 프로세서)로 실행함으로써도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변형(각 예시적인 실시예의 유기적인 조합을 포함한다)이 가능해서,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제외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쪽인가의 전원 계통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에서 자동복귀할 수 없는 이상이 발생했다는 것을 특정하여, 특정한 전원유닛에 대하여 온/오프 제어가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제1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제1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1 전원유닛과,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제2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2 전원유닛과,
    상기 제2 전원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유닛에 의해 공급된 전력으로부터 제3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상기 제2 전력의 전압보다 전압이 낮은, 제3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3 전원유닛과,
    상기 제3 전원유닛에 의해 공급된 제3 전력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된 제1 감시유닛과,
    상기 제1 감시유닛에 의해 감시된 상기 제3 전력의 상태가 안정적인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전원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전원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전원유닛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된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서 정전이 발생한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전원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더 구성된, 정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제3 전력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2 전원유닛이 상기 제2 전력을 생성하는 것을 정지시킨 후에, 상기 제2 전원유닛이 다시 상기 제2 전력을 생성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유닛의 온 및 오프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제3 전력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에, 상기 전환 유닛을 오프한 후, 재차 상기 전환 유닛을 온 하도록 구성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유닛과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전환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제3 전력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2 전원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제어 유닛에 지시를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전환 유닛을 온 하도록 구성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전력이 공급된 후에,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상기 전환 유닛을 오프하도록 구성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전력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된 제2 감시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전력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3 전원유닛으로부터 상기 제3 전원 계통 디바이스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원 계통 디바이스는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구성된 인쇄 유닛을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9. 제1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제1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1 전원유닛과,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제2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2 전원유닛과, 상기 제2 전원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유닛에 의해 공급된 전력으로부터 제3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상기 제2 전력의 전압보다 전압이 낮은, 제3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3 전원유닛과, 상기 제3 전원유닛에 의해 공급된 제3 전력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된 제1 감시유닛을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으로서,
    상기 제1 감시유닛에 의해 감시된 상기 제3 전력의 상태가 안정적인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전원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전원유닛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된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서 정전이 발생한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전원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력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2 전원유닛이 상기 제2 전력을 생성하는 것을 정지시킨 후에, 상기 제2 전원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전력을 다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제2 전원유닛의 온 및 오프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전력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에, 상기 전환 유닛을 오프한 후, 재차 상기 전환 유닛을 온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제2 전원유닛과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전환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전력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2 전원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지시에 의거해 상기 전환 유닛을 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 전력이 공급된 후에,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상기 전환 유닛을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제1 전원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전력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된 제2 감시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전력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3 전원유닛으로부터 상기 제3 전원 계통 디바이스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원 계통 디바이스는 전원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계통 디바이스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구성된 인쇄 유닛을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KR1020140164162A 2013-11-29 2014-11-24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KR101749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7500 2013-11-29
JP2013247500A JP6249741B2 (ja) 2013-11-29 2013-11-29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962A KR20150062962A (ko) 2015-06-08
KR101749129B1 true KR101749129B1 (ko) 2017-07-03

Family

ID=5326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162A KR101749129B1 (ko) 2013-11-29 2014-11-24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86079B2 (ko)
JP (1) JP6249741B2 (ko)
KR (1) KR101749129B1 (ko)
CN (1) CN1046836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521A (ko) * 2014-04-28 2015-11-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파워업 신호 생성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CN107107842B (zh) * 2015-02-05 2019-08-23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车辆控制装置
US20170177068A1 (en) * 2015-12-17 2017-06-22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tandby power savings
JP2018005854A (ja) * 2016-07-08 2018-01-11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及び電力制御方法
JP6828507B2 (ja) * 2017-02-24 2021-02-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207993B2 (ja) * 2018-12-25 2023-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WO2021171559A1 (ja) * 2020-02-28 2021-09-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設備の電源供給制御装置、電源供給制御方法、電源供給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源供給制御システム
TWI815233B (zh) * 2021-04-28 2023-09-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源管理裝置以及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186A (ja) 2003-06-20 2005-01-13 Seiko Epson Corp 電子回路及び電子機器
US20050156568A1 (en) * 2003-12-30 2005-07-21 Yueh Wen H. Power supply with AC and DC back-up power
JP2006035743A (ja) * 2004-07-29 2006-02-09 Fuji Photo Film Co Ltd 電源制御装置
JP4827802B2 (ja) * 2007-07-05 2011-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
CN101447666B (zh) 2007-11-27 2013-10-30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供电系统及电源过压安全保护控制方法
JP2009213042A (ja) 2008-03-06 2009-09-17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1552457A (zh) 2008-12-10 2009-10-07 华为技术有限公司 电源异常保护方法、装置及基站
JP5315176B2 (ja) * 2009-09-01 2013-10-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76963B2 (ja) * 2009-09-01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282199B1 (ko) 2009-11-19 2013-07-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러스터 시스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5460457B2 (ja) * 2010-05-12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12218348A (ja) * 2011-04-12 2012-11-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電源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25307B2 (ja) 2011-06-01 2016-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90197B2 (ja) * 2011-06-24 2015-10-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5780120B2 (ja) * 2011-11-02 2015-09-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同電源システム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および小容量電源回路
JP2013111862A (ja) * 2011-11-29 2013-06-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電源制御方法および電源制御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5850019B2 (ja) * 2012-11-20 2016-02-0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53815A1 (en) 2015-06-04
CN104683642A (zh) 2015-06-03
JP6249741B2 (ja) 2017-12-20
US9886079B2 (en) 2018-02-06
JP2015104842A (ja) 2015-06-08
KR20150062962A (ko) 2015-06-08
CN104683642B (zh)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129B1 (ko)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방법
CN109271013B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
US10209664B2 (en) Printing system including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control apparatus
US95472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8195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JP6071510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89751B2 (ja) データ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29840A (ko)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JP201904302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RU2740775C1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едставления ошибки, когда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ключается
US2015000385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20120319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JP6874434B2 (ja) 電気機器および電源管理方法
JP7387281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2020075386A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
US2013026560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0014265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2005035227A (ja) 印刷装置
JP2006203971A (ja) 多出力電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18879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7114008A (ja) 電源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