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182B1 - 웨빙 마킹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마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182B1
KR101744182B1 KR1020160012721A KR20160012721A KR101744182B1 KR 101744182 B1 KR101744182 B1 KR 101744182B1 KR 1020160012721 A KR1020160012721 A KR 1020160012721A KR 20160012721 A KR20160012721 A KR 20160012721A KR 101744182 B1 KR101744182 B1 KR 101744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base plate
housing
marking
pretens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1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4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빙 마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리텐셔너에 의해 리트렉터의 스풀에 감겨지는 웨빙과 접촉하여 상기 웨빙의 인입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웨빙이 인입 및 인출되는 경로 상에 마련되는 마킹유닛과,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프리텐셔너가 작동되면, 상기 마킹유닛이 상기 웨빙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마킹유닛을 상기 웨빙을 향해 밀어내는 드라이브유닛을 포함하는 웨빙 마킹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웨빙 마킹장치 {MARKING APPARATUS FOR WEBBING}
본 발명은 웨빙 마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사고 발생 시 외부 충격에 의해 프리텐셔너가 작동될 때 프리텐셔너에 의해 리트렉터로 인입되는 웨빙을 인입량을 기록함으로써, 웨빙 클립의 착용과 같은 탑승자의 부주의 및 과실여부 판단이 가능한 웨빙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웨빙 클립(또는 안전벨트 클립)은 탑승자가 별도 구매를 통해 안전벨트에 장착시키는 기능성 액세서리로서, 웨빙(webbing, 안전벨트의 띠 부분)에 끼우거나 고정시킴으로써 웨빙을 강제적으로 느슨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웨빙 클립은 웨빙을 지나치게 느슨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안전벨트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어 오히려 탑승자를 큰 사고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다는 위험성을 갖는다.
최근에는 앞서 언급한 웨빙 클립의 위험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어 웨빙 클립의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안전벨트로 인한 답답함을 해소하려는 탑승자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웨빙 클립의 착용 여부는 고객의 안전을 위한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논쟁거리지만, 차량 사고 발생 시 안전벨트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했을 경우, 웨빙 클립을 착용으로 인한 고객 과실 문제인지 아니면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등의 기계적 결함으로 인한 것인지 판단할 기준이 명확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사고에 따른 피해의 책임을 묻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각할 경우 탑승자와 차량 및 부품 제조사 사이의 책임 공방으로 인한 갈등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따라서, 차량 사고 발생 시 웨빙 클립의 착용과 같은 탑승자의 부주의 및 과실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판단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사고 발생 시 외부 충격에 의해 프리텐셔너가 작동될 때 프리텐셔너에 의해 리트렉터로 인입되는 웨빙의 인입량을 기록함으로써, 웨빙 클립의 착용과 같이 웨빙의 과도한 슬랙을 유발시키는 탑승자의 부주의 및 과실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웨빙 마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웨빙 마킹장치는, 상기 프리텐셔너에 의해 리트렉터의 스풀에 감겨지는 웨빙과 접촉하여 상기 웨빙의 인입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웨빙이 인입 및 인출되는 경로 상에 마련되는 마킹유닛;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프리텐셔너가 작동되면, 상기 마킹유닛이 상기 웨빙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마킹유닛을 상기 웨빙을 향해 밀어내는 드라이브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킹유닛은, 일측이 상기 웨빙을 바라보도록 상기 리트렉터 상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웨빙을 향해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후퇴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 내로 수용되어 상기 웨빙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전진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웨빙의 표면과 접촉하여 상기 스풀에 감겨지는 상기 웨빙의 인입량을 표시하는 마커;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후퇴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커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진에 의해 상기 웨빙의 표면에 접촉하며, 잉크, 도료 또는 형광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스풀에 감겨지는 상기 웨빙의 표면에 선을 그려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진에 의해 상기 웨빙의 표면과 접촉되는 종단이 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스풀에 감겨지는 상기 웨빙의 표면을 긁어 자국을 남길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마커가 관통되는 상기 일측의 일부분이 상기 웨빙을 향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깊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브유닛은, 외부 충격이 발생될 때, 상기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가스제네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일부 또는 상기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키고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웨빙을 향해 전진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드라이브유닛은, 외부 충격이 발생될 때, 이를 감지하여 전달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전달신호를 전달받아, 공압, 유압 또는 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웨빙을 향해 전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킹유닛 및 상기 드라이브유닛이 고정되며, 상기 웨빙이 인입 및 인출되는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웨빙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리트렉터 상에 마련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웨빙 마킹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차량 사고 발생 시 외부 충격에 의해 프리텐셔너가 작동될 때, 프리텐셔너에 의해 리트렉터로 인입되는 웨빙의 인입량을 기록함으로써, 웨빙 클립의 착용과 같이 웨빙의 과도한 슬랙을 유발시키는 탑승자의 부주의 및 과실여부를 판단할 명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빙 마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커의 일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빙 마킹장치는 프리텐셔너에 의한 웨빙의 인입량을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빙 마킹장치는 마킹유닛(100), 드라이브유닛(200) 및 가이드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마킹유닛(100)은 프리텐셔너에 의해 리트렉터(10)의 스풀(12)에 감겨지는 웨빙(20)과 접촉하여 웨빙(20)의 인입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웨빙(20)이 인입 및 인출되는 경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텐셔너(프리로더라고도 함)는 차량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탑승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튀어나감에 따라 함께 늘어나는 웨빙을 역으로 당겨 주는 동시에, 당겨지는 웨빙에 의해 탑승자의 상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줄여 주기 위해 다시 역으로 되풀어 줌으로써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프리텐셔너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있어 이미 공지된 기술에 속한 것이며, 그 구동원리 및 구성 등에 대한 지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자명한 정도의 사항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고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드라이브유닛(200)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프리텐셔너가 작동되면, 마킹유닛(100)이 웨빙(20)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마킹유닛(100)을 웨빙(20)을 향해 밀어낼 수 있다.
이어서, 가이드유닛(300)은 앞서 설명했던 마킹유닛(100) 및 드라이브유닛(200)이 고정되는 결합지점을 제공하며, 웨빙(20)이 인입 및 인출되는 경로 상에 구비되어 웨빙(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리트렉터(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킹유닛(100)은 하우징(110), 베이스플레이트(120), 마커(130) 및 탄성부재(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마킹유닛(100)의 몸체로서 일측이 웨빙(20)을 바라보도록 리트렉터(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전술했던 바와 같이 리트렉터(10) 상에 마련되는 가이드유닛(300)에 다양한 방법(나사 및 볼트 체결,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20)는 앞서 설명한 하우징(110)의 타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10) 내에서 웨빙(20)을 향해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110) 및 베이스플레이트(120)는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된 홀 또는 홈과, 상기 홀 또는 홈에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 사이의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2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프리텐셔너가 작동되면 전술했던 드라이브유닛(200)에 의해 하우징(110) 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웨빙(20)을 향해 전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커(130)는 웨빙(20)을 향하도록 마련된 하우징(110)의 상기 일측을 관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마커(130)는 베이스플레이트(120)가 후퇴된 상태에서는 하우징(110) 내로 수용되어 웨빙(2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베이스플레이트(120)가 전진된 상태에서는 하우징(110) 밖으로 돌출되어 웨빙(20)의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프리텐셔너가 작동될 때 스풀(12)에 감겨지는 웨빙(20)의 인입량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리텐셔너가 작동될 때, 드라이브유닛(200)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20)는 하우징(110) 내에서 전진 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일측에 고정된 마커(130)는 베이스플레이트(120)와 함께 전진하여 웨빙(20)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어서, 탄성부재(140)는 베이스플레이트(120)가 하우징(110) 내에서 후퇴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20)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40)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일측에 고정된 마커(130)는 평상시 웨빙(2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프리텐셔너가 작동된 후에 웨빙(20)의 인입량의 표시함으로써 역할을 모두 마친 마커(13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즉, 필요시에만 마커(130)가 웨빙(20)의 표면과 접촉하여 웨빙(20)의 인입량을 기록할 수 있게 하며, 필요 외에 마커(130)와 웨빙(20)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마커(130)가 관통되는 상기 일측의 일부분이 웨빙(20)을 향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깊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된 리세스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부(112)는 마커(130)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수용될 때, 마커(130)가 웨빙(20)에 접촉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110) 내에서 전진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이동거리를 제한함으로써 마커(130)가 웨빙을 향해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20)가 전진될 때 하우징(110)의 안쪽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리세스부(112)에 의해 걸리게 되므로 이동거리가 한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베이스플레이트(120)에 고정된 마커(130)가 과도하게 하우징(110)의 밖으로 돌출되어 지나치게 웨빙(20)을 누르는 것을 막고, 스풀(12)에 감겨지는 웨빙(20)의 인입력에 의해 웨빙(20)이 파손되거나 마커(130) 자체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커(130a)는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전진에 의해 웨빙(20)의 표면에 접촉하며, 잉크, 도료, 또는 형광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프리텐셔너 작동 시 스풀(12)에 감겨지는 웨빙(20)의 표면에 선을 그려 넣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잉크, 도료, 또는 형광물질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커(130a)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으며, 웨빙(20)의 표면과 접촉되는 마커(130a)의 종단이 볼펜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웨빙(20)의 표면과 접촉 시 마커(130a)의 상기 종단으로부터 잉크, 도료, 또는 형광물질이 흘러나와 웨빙(20)의 표면에 선을 그려 넣을 수 있다.
또는, 마커(130a) 자체가 잉크, 도료, 또는 형광물질을 흡수하여 머금을 수 있는 다공질의 소재, 예컨대 스펀지, 폴리우레탄, 다공질 세라믹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웨빙(20)의 표면과 접촉 시 상기 잉크, 도료, 또는 형광물질을 웨빙(20)의 표면에 묻힘으로써 웨빙은 인입량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커(130b)는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전진에 의해 웨빙(20)의 표면과 접촉되는 종단이 핀 형태로 마련되어, 프리텐셔너 작동 시 스풀(12)에 감겨지는 웨빙(20)의 표면을 긁어 자국을 남기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커(130a, 130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커(130)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일종의 예시일 뿐, 전술한 구성 및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리텐셔너가 작동될 때 스풀(12)에 감겨지는 웨빙(20)의 표면에 웨빙(20)의 인입량을 기록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다양한 구성 및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유닛(200)은 마킹유닛(100)이 웨빙(20)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마킹유닛(100)을 웨빙(20)을 향해 밀어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유닛(200)은 외부 충격이 발생될 때,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가스제네레이터(14, 도 1 내지 도 2 참조)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일부를 공급받고, 전술했던 마킹유닛(100)의 베이스플레이트(120)가 하우징(110) 내에서 웨빙(20)을 향해 전진하도록, 상기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120)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제네레이터(14)는 상기 프리텐셔너가 작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차량 충돌 신호가 감지되면 가스제네레이터(14)로 점화신호가 전달되게 되며, 가스제네레이터(14) 내에 내장된 가스발생제가 점화되면서 가스가 발생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프리텐셔너의 랙(미도시)이 직선 이송을 할 수 있는 구동력을 얻게 되며, 상기 랙의 직선 이송에 따라 스풀(12)과 연결된 피니언(미도시)이 회전되어 웨빙(20)이 스풀(12)에 감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리텐셔너의 구동원리는 앞서 언급했다시피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자명한 정도의 사항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고자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가스제네레이터(14)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일부는 가스제네레이터(14)와 드라이브유닛(200)을 연결하는 가스유로(210)를 통해 드라이브유닛(200)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이처럼, 드라이브유닛(200)에 공급된 가스의 일부는 드라이브유닛(200)이 베이스플레이트(120)가 하우징(110) 내에서 전진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20)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일측에 고정된 마커(130)는 하우징(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웨빙(20)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유닛(200)은 전술했던 바와 같이 가스제네레이터(14)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일부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키고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가스유로(210)는 상기 배기가스 또는 잔존가스들이 배출되도록 리트렉터(10, 도 1 참조)상에 마련된 가스배출구(미도시) 또는 프리텐셔너의 랙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되는 가스배기홀(미도시)와 드라이브유닛(200)을 연결하여, 상기 배기가스 또는 상기 잔존가스가 드라이브유닛(2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라이브유닛(200)의 작동에 필요한 가스의 압력을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키고 배출되는 배기가스 또는 잔존가스를 통해 얻게 되면, 드라이브유닛(200)의 작동에 필요한 압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트렉터(10) 내부에 남아있는 배기가스 또는 잔존가스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리텐셔너가 작동된 후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 배기가스 또는 잔존가스의 잔압, 즉 프리텐셔너의 랙의 이송경로 내에 남아 있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랙의 이송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즉, 배기가스 또는 잔존가스가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 탑승자의 상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해소하기 위해 웨빙(20)이 인출되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 즉 웨빙(20)의 인출 하중에 오버슛(overshoot)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라 드라이브유닛(200)의 작동에 필요한 가스의 압력을 배기가스 또는 잔존가스를 통해 얻게 되면, 앞서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유닛(200)은 감지센서(220) 및 액추에이터(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감지센서(220)는 외부 충격이 발생될 때, 이를 감지하여 전달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전술했던 가스제네레이터(14)에 점화신호를 전달하는 차량 충돌 감지 신호를 분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230)는 감지센서(220)로부터 상기 전달신호를 전달받아, 공압, 유압 또는, 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120)를 웨빙(20)을 향해 전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230)를 통한 드라이브유닛(200)의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20)를 밀어내기 위한 작동에 필요한 힘, 압력 및 동력 등을 액추에이터(230)로부터 제공받는다는 점 외에는, 앞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했던 드라이브유닛(200)의 작동원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이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독립되어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종래 멤브레인 앵커 캡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멤브레인 앵커 캡 및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설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리트렉터
12: 스풀
14: 가스제네레이터
20: 웨빙
100: 마킹유닛 200: 드라이브유닛
110: 하우징 210: 가스유로
120: 베이스플레이트 220: 감지센서
130: 마커 230: 액추에이터
140: 탄성부재 300: 가이드유닛

Claims (8)

  1. 프리텐셔너에 의해 리트렉터의 스풀에 감겨지는 웨빙과 접촉하여 상기 웨빙의 인입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웨빙이 인입 및 인출되는 경로 상에 마련되는 마킹유닛;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프리텐셔너가 작동되면, 상기 마킹유닛이 상기 웨빙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마킹유닛을 상기 웨빙을 향해 밀어내는 드라이브유닛; 을 포함하는,
    웨빙 마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유닛은,
    일측이 상기 웨빙을 바라보도록 상기 리트렉터 상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웨빙을 향해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후퇴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 내로 수용되어 상기 웨빙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전진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웨빙의 표면과 접촉하여 상기 스풀에 감겨지는 상기 웨빙의 인입량을 표시하는 마커;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후퇴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마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진에 의해 상기 웨빙의 표면에 접촉하며, 잉크, 도료 또는 형광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스풀에 감겨지는 상기 웨빙의 표면에 선을 그려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마킹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진에 의해 상기 웨빙의 표면과 접촉되는 종단이 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스풀에 감겨지는 상기 웨빙의 표면을 긁어 자국을 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마킹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마커가 관통되는 상기 일측의 일부분이 상기 웨빙을 향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깊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마킹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유닛은,
    외부 충격이 발생될 때, 상기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가스제네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일부 또는 상기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키고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웨빙을 향해 전진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마킹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유닛은,
    외부 충격이 발생될 때, 이를 감지하여 전달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전달신호를 전달받아, 공압, 유압 또는 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웨빙을 향해 전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마킹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유닛 및 상기 드라이브유닛이 고정되며, 상기 웨빙이 인입 및 인출되는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웨빙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리트렉터 상에 마련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웨빙 마킹장치.
KR1020160012721A 2016-02-02 2016-02-02 웨빙 마킹장치 KR101744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21A KR101744182B1 (ko) 2016-02-02 2016-02-02 웨빙 마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21A KR101744182B1 (ko) 2016-02-02 2016-02-02 웨빙 마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182B1 true KR101744182B1 (ko) 2017-06-08

Family

ID=5922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721A KR101744182B1 (ko) 2016-02-02 2016-02-02 웨빙 마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1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2632A (ja) 2003-10-31 2006-03-09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ている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3028256A (ja) 2011-07-28 2013-02-07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2632A (ja) 2003-10-31 2006-03-09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ている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3028256A (ja) 2011-07-28 2013-02-07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4151B2 (ja) プリテンショナ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5680285B2 (ja) プリテンショナ、これを有する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5607185A (en) Belt tightener for seat belt
US76994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eat belt components
CN110997424B (zh) 安全带收卷装置
US3897081A (en) Vehicle safety system
US7882604B2 (en) Assembled structure
JP2009096242A (ja) プリテンショナ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H0811518B2 (ja) 安全ベルト締付装置のための駆動機構
KR101744182B1 (ko) 웨빙 마킹장치
EP0685372B1 (en) Seat belt tensioner
US20160031413A1 (en) Belt buckle arrangement with a belt buckle pivotably mounted on a holder
JP2007076493A (ja) プリテンショナ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5117533B2 (ja) プリテンショナ装置
JP4199751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614495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CA3024981C (en) Spot welding electrode housing apparatus
KR101674507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JP5108643B2 (ja) プリローダ
JP5027033B2 (ja) プリローダ
CN210437146U (zh) 一种安全带连接器及安全带连接系统
KR101741805B1 (ko)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US20090113688A1 (en) Assembly failure prevention device
JP2005112099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KR101647447B1 (ko) 버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