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805B1 -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 Google Patents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805B1
KR101741805B1 KR1020160012720A KR20160012720A KR101741805B1 KR 101741805 B1 KR101741805 B1 KR 101741805B1 KR 1020160012720 A KR1020160012720 A KR 1020160012720A KR 20160012720 A KR20160012720 A KR 20160012720A KR 101741805 B1 KR101741805 B1 KR 10174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unit
tongue
load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12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60R22/185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the means being sensitive to belt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60R22/35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the locking means being automatically actuated
    • B60R22/35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the locking means being automatically actuated in response to fastening of the belt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5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pressure on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25/00Means indicating the functioning state of the alarm system, e.g. indicating arming,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4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 B60R2300/4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로서, 버클유닛 및 상기 버클유닛에 체결되어 웨빙을 고정시키는 텅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버클유닛과 상기 텅유닛이 체결되었을 때 리트렉터에 의해 당겨지는 상기 웨빙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며, 측정된 하중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감지신호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DISTINGUISH DEVICE FOR CHECK WHETHER THE INSTALLATION OF WEBBING CLIP}
본 발명은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트렉터에 의해 웨빙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웨빙클립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웨빙 클립(또는 안전벨트 클립)은 탑승자가 별도 구매를 통해 안전벨트에 장착시키는 기능성 액세서리로서, 웨빙(webbing, 안전벨트의 띠 부분)에 끼우거나 고정시킴으로써 웨빙을 강제적으로 느슨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웨빙 클립은 웨빙을 지나치게 느슨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안전벨트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어 오히려 탑승자를 큰 사고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다는 위험성을 갖는다.
최근에는 앞서 언급한 웨빙 클립의 위험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어 웨빙 클립의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안전벨트로 인한 답답함을 해소하려는 탑승자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웨빙 클립의 장착 여부는 고객의 안전을 위한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논쟁거리지만, 차량 사고 발생 시 안전벨트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했을 경우, 웨빙 클립을 장착으로 인한 고객 과실 문제인지 아니면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등의 기계적 결함으로 인한 것인지 판단할 기준이 명확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사고에 따른 피해의 책임을 묻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각할 경우 탑승자와 차량 및 부품 제조사 사이의 책임 공방으로 인한 갈등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따라서, 차량 사고 발생 시 웨빙 클립의 장착과 같은 탑승자의 부주의 및 과실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판단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트렉터에 의해 웨빙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웨빙클립을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이를 감지하고 경고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웨빙클립의 장착과 같이 안전벨트의 올바른 작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작 및 부주의한 행동을 자제시킬 수 있는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는, 버클유닛 및 상기 버클유닛에 체결되어 웨빙을 고정시키는 텅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는, 리트렉터에 의해 당겨지는 상기 웨빙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며, 측정된 하중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감지신호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텅유닛은, 제1 유동구 및 제2 유동구를 통해 상기 웨빙이 유동 가능하도록 감겨지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리트렉터에 의해 상기 제1 유동구 방향으로 당겨지는 상기 웨빙에 의해 하중이 걸리는 상기 텅유닛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텅유닛의 일부분과 접하는 상기 웨빙에 걸리는 장력 또는 상기 웨빙에 의해 상기 텅유닛의 일부분에 걸리는 하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텅유닛은, 제1 유동구 및 제2 유동구를 통해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기 웨빙이 감기도록 내부에 마련된 락킹캠을 포함하며, 상기 락킹캠은, 탄성부재에 의해 제1 방향을 향해 회전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 유동구 방향으로 당겨지는 상기 웨빙에 의해, 일측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고, 타측이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 유동구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웨빙의 일부분을 눌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락킹캠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캠의 회전 정도를 통해 상기 리트렉터에 의해 상기 웨빙이 당겨지는 하중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버클유닛은, 상기 버클유닛과 상기 텅유닛이 체결되었을 때, 상기 버클유닛에 삽입되는 상기 텅유닛의 텅부분에 걸리도록 마련되어, 상기 텅유닛이 상기 버클유닛으로부터 해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가 상기 텅유닛의 텅부분으로부터 탈거되었을 때, 상기 텅유닛이 상기 버클유닛으로부터 해리되도록 상기 텅유닛의 텅부분을 밀어내는 이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래치가 걸려 접촉되는 상기 텅유닛의 텅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리트렉터에 의해 상기 웨빙과 함께 당겨지는 상기 텅유닛의 텅부분과 상기 래치 사이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의 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출모듈; 상기 송출모듈을 통해 상기 측정값을 전송 받아 화면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시각적신호 또는 청각적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해 경고하는 경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형태일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리트렉터에 의해 웨빙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웨빙클립을 장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웨빙클립 장착과 같이 웨빙의 과도한 슬랙을 유발시키는 탑승자의 부주의 및 과실여부를 판단할 명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이를 감지하고 경고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웨빙클립의 장착과 같이 안전벨트의 올바른 작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작 및 부주의한 행동을 자제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텅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는 버클유닛 및 상기 버클유닛에 체결되어 웨빙을 고정시키는 텅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센서는 상기 버클유닛과 상기 텅유닛이 체결되었을 때 리트렉터에 의해 당겨지는 상기 웨빙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며, 측정된 하중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감지신호로 송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는 전술한 감지센서를 통해, 웨빙클립 장착과 같이 웨빙의 과도한 슬랙을 유발시키는 탑승자의 부주의 및 과실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상황에서 웨빙은 리트렉터에 의해 일정한 하중으로 당겨지는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리트렉터에 의해 웨빙에 걸리는 상기 하중을 기 설정된 범위라 했을 때, 탑승자가 웨빙클립의 장착과 같이 웨빙의 슬랙 상태를 유발시키는 조작를 할 경우 리트렉터에 의해 웨빙에 걸리는 상기 하중이 통상의 범위보다 작게 작용할 수 있다.
즉, 리트렉터에 의해 당겨지는 웨빙과 연결되어 함께 하중이 걸리는 텅유닛과, 텅유닛과 체결되는 버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감지센서가 웨빙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고,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이를 감지신호로 송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는 텅유닛 및 버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텅유닛 및 버클유닛에 마련되는 감지센서의 상세 구성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텅유닛(100)은 제1 유동구(150) 및 제2 유동구(160)를 통해 웨빙(10)이 유동 가능하도록 감겨질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는 리트렉터에 의해 제1 유동구(150) 방향으로 당겨지는 웨빙(10)에 의해 하중이 걸리는 텅유닛(100)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텅유닛(100)의 일부분과 접하는 웨빙(10)에 걸리는 장력 또는 웨빙(10)에 의해 텅유닛(100)의 일부분에 걸리는 하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텅유닛(100)은 제1 유동구(150) 및 제2 유동구(160)를 통해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웨빙(10)이 감기도록 내부에 마련된 락킹캠(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과 같이 통상 시에는 락킹캠(120)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 방향을 향해 회전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텅유닛(100)이 전술했던 버클유닛(미도시) 내로 삽입되어 상호 체결되었을 때에는, 도 2와 같이 락킹캠(120)이 제2 유동구(160) 방향으로 당겨지는 웨빙(10)에 의해, 일측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락킹캠(120)은 차량 충돌이 발생할 시 순간적인 충격에 의해 탑승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튀어나감과 동시에 락킹캠(120)의 상기 탄성부재에 걸리는 하중이 일정량 이상이 되고, 이에 따라 락킹캠(120)의 일측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일측에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측이 함께 회전하여, 제1 유동구(150)를 통해 유동하는 웨빙(10)의 일부분을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충돌이 발생할 시 순간적인 충격에 의해 탑승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튀어나감을 방지하는 프리텐셔너(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버클유닛이 당겨지게 되고, 이때 버클유닛에 체결된 텅유닛(100)이 함께 당겨지면서 웨빙(10)이 제2 유동구(160) 방향으로 급격하게 당겨짐에 따라, 전술한 락킹캠(120)의 타측이 회전하여 웨빙(10)의 일부분을 압박함으로써 웨빙(10)을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텅유닛(100)은 락킹캠(120)을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 탑승자의 상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재한 리트렉터 및 프리텐셔너 등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있어 이미 공지된 기술에 속한 것이며, 그 구동원리 및 구성 등에 대한 지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자명한 정도의 사항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고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론으로 돌아와, 전술한 바와 같이 락킹캠(120)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텅유닛(100)의 경우 감지센서가 락킹캠(120)에 구비되어, 웨빙(10)에 걸리는 하중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센서(130)가 리트렉터에 의해 제1 유동구 방향으로 당겨지는 웨빙(10)에 의해 하중이 걸리는 락킹캠(1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130)는 락킹캠(120)의 일측과 접하는 웨빙(10)에 걸리는 장력 또는 웨빙(10)에 의해 락킹캠(120)의 일측에 걸리는 하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140)가 전술했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락킹캠(120)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락킹캠(120)의 회전 정도를 통해 리트렉터에 의해 당겨지는 웨빙(10)에 걸리는 하중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웨빙(10)에 웨빙클립이 장착되었을 경우 웨빙(10)은 슬랙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락킹캠(120)이 제1 방향을 향해 회전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지센서(140)는 리트렉터에 의해 웨빙(10)이 정상 범위 내의 하중으로 당겨지고 있는지, 아니면 웨빙클립의 착용으로 하중이 작용하지 않거나 정상 범위를 벗어난 하중으로 당겨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300)는 전술한 텅유닛(100)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마련된 버클유닛(200) 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버클유닛(200)은 텅유닛(100)이 버클유닛(200) 내로 삽입되면 이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래치(220) 및 텅유닛(100)이 버클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될 때 텅유닛(100)을 밀어내는 이젝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래치(220)는 버클유닛(200)과 텅유닛(100)이 체결되었을 때, 버클유닛(200)에 삽입되는 텅유닛(100)의 텅부분(110)에 걸리도록 마련되어, 텅유닛(100)이 버클유닛(200)으로부터 해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젝터(210)는 전술한 래치(220)가 텅유닛(100)의 텅부분(110)으로부터 탈거되었을 때, 텅유닛(100)이 버클유닛(200)으로부터 해리되도록 텅유닛(100)의 텅부분(110)을 밀어낼 수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300)는 도 4와 같이 앞서 설명한 래치(220)가 걸려 접촉되는 텅유닛(100)의 텅부분(110)에 구비되어, 리트렉터에 의해 웨빙과 함께 당겨지는 텅유닛(100)의 텅부분(110)과 래치(220) 사이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센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중감지센서(310)는 도 5와 같이 버클유닛(200)과 텅유닛(100)이 체결되었을 때, 래치(220)와 접촉하게 되는 텅유닛(100)의 텅부분(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리트렉터에 의해 웨빙과 함께 당겨지는 텅유닛(100)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텅유닛(100)의 텅부분(110)과 맞닿게 되는 이젝터(210)에는 하중전달모듈(3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중전달모듈(320)은 하중감지센서(310)와 접촉하여 하중감지센서(310)로부터 측정된 하중값 및 압력값을 후술할 송출모듈 및 경고모듈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트렉터에 의해 웨빙이 정삼 범위 내의 하중으로 당겨지고 있을 시에는 래치(220)와 접하는 텅부분(110)에 가해지는 압력이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작용할 수 있다.
반면, 웨빙클립과 같이 웨빙의 슬랙 상태를 유발하는 조작이 이루어졌을 경우, 래치(220)와 접하며 하중감지센서(310)가 설치된 텅부분(110)에 작용되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달라지기 때문에, 하중감지센서(310)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값이 통상적인 범위, 즉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게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중감지센서(310)는 리트렉터에 의해 웨빙(10)이 정상 범위 내의 하중으로 당겨지고 있는지, 아니면 웨빙클립의 착용으로 하중이 작용하지 않거나 정상 범위를 벗어난 하중으로 당겨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300)의 경우 텅유닛(100)에 구비되어 웨빙에 작용하는 장력 및 웨빙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트렉터에 의해 웨빙과 함께 당겨지는 텅유닛(100)과 버클유닛(200) 사이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웨빙클립 장착과 같이 웨빙에 과도한 슬랙을 유발시키는 탑승자 부적절한 조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300)는 텅유닛(100)의 텅부분(110)과 버클유닛(200)의 이젝터(210)의 상호 접촉에 따라 감지센서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연결해주는 스위칭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모듈(400)은 버클유닛(200)과 텅유닛(100)이 체결되었을 때, 텅유닛(100)의 텅부분(110)과 상기 텅부분(110)과 맞닿게 되는 이젝터(210)에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모듈(400)은 상호 접촉을 통해 감지센서(300)가 하중 측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전원을 별도의 전원공급장치(예컨대, 차량 내의 전원공급수단 또는 보조배터리 등)로부터 감지센서(300)까지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의 경우, 자력을 발산하는 자력센서 및 상기 자력센서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자력센서로부터 발산되는 자력의 정도를 측정하는 자력감지센서로 대체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는 상기 송출모듈을 통해 상기 측정값을 전송 받아 화면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시각적신호 또는 청각적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해 탑승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 즉 웨빙클립의 장착과 같이 웨빙의 슬랙 상태를 유발하는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정상 범위 밖으로 벗어났을 경우 이를 감지하고 경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탑승자가 웨빙클립을 장착하는 등 안전벨트의 올바른 작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주의한 행동을 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술한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텅유닛 300: 감지센서
110: 텅부분 310: 하중감지센서
120: 락킹캠 320: 하중전달모듈
130, 140: 감지센서 400: 스위칭모듈
150: 제1 유동구
160: 제2 유동구
200: 버클유닛
210: 이젝터
220: 래치

Claims (9)

  1. 버클유닛 및 상기 버클유닛에 체결되어 웨빙을 고정시키는 텅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리트렉터에 의해 당겨지는 상기 웨빙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며, 측정된 하중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감지신호로 송출하며,
    상기 버클유닛은,
    상기 버클유닛과 상기 텅유닛이 체결되었을 때, 상기 버클유닛에 삽입되는 상기 텅유닛의 텅부분에 걸리도록 마련되어, 상기 텅유닛이 상기 버클유닛으로부터 해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가 상기 텅유닛의 텅부분으로부터 탈거되었을 때, 상기 텅유닛이 상기 버클유닛으로부터 해리되도록 상기 텅유닛의 텅부분을 밀어내는 이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래치가 걸려 접촉되는 상기 텅유닛의 텅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리트렉터에 의해 상기 웨빙과 함께 당겨지는 상기 텅유닛의 텅부분과 상기 래치 사이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센서; 및
    상기 버클유닛과 상기 텅유닛이 체결되었을 때, 상기 텅유닛의 텅부분과 상기 텅부분과 맞닿게 되는 상기 이젝터에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텅유닛의 텅부분과 상기 버클유닛의 이젝터의 상호 접촉에 따라 서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감지센서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연결해주는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유닛은,
    제1 유동구 및 제2 유동구를 통해 상기 웨빙이 유동 가능하도록 감겨지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리트렉터에 의해 상기 제1 유동구 방향으로 당겨지는 상기 웨빙에 의해 하중이 걸리는 상기 텅유닛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텅유닛의 일부분과 접하는 상기 웨빙에 걸리는 장력 또는 상기 웨빙에 의해 상기 텅유닛의 일부분에 걸리는 하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유닛은,
    제1 유동구 및 제2 유동구를 통해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기 웨빙이 감기도록 내부에 마련된 락킹캠을 포함하며,
    상기 락킹캠은,
    탄성부재에 의해 제1 방향을 향해 회전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 유동구 방향으로 당겨지는 상기 웨빙에 의해 일측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고, 타측이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 유동구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웨빙의 일부분을 눌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락킹캠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캠의 일측과 접하는 상기 웨빙에 걸리는 장력 또는 상기 웨빙에 의해 상기 락킹캠의 일측에 걸리는 하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락킹캠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캠의 회전 정도를 통해 상기 리트렉터에 의해 상기 웨빙이 당겨지는 하중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출모듈;
    상기 송출모듈을 통해 상기 측정값을 전송 받아 화면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시각적신호 또는 청각적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해 경고하는 경고모듈을 더 포함하는,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9. 제8항의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벨트.
KR1020160012720A 2016-02-02 2016-02-02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KR101741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20A KR101741805B1 (ko) 2016-02-02 2016-02-02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20A KR101741805B1 (ko) 2016-02-02 2016-02-02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805B1 true KR101741805B1 (ko) 2017-05-31

Family

ID=5905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720A KR101741805B1 (ko) 2016-02-02 2016-02-02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8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486B1 (ko) * 1999-12-30 2002-06-21 이계안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
US20140085070A1 (en) * 2007-12-14 2014-03-27 Cars-N-Kid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Orientation, Tensioning, and Installation of a Child Safety Restraint
KR101564231B1 (ko) * 2014-05-19 2015-10-30 (유)삼송 시트벨트의 락킹 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486B1 (ko) * 1999-12-30 2002-06-21 이계안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
US20140085070A1 (en) * 2007-12-14 2014-03-27 Cars-N-Kid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Orientation, Tensioning, and Installation of a Child Safety Restraint
KR101564231B1 (ko) * 2014-05-19 2015-10-30 (유)삼송 시트벨트의 락킹 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6652B2 (en) Seatbelt usage detection system
US20080246316A1 (en) Child restraint system including tension sensor and status indicator
US7224270B2 (en) Child seat and monitoring system
US6829952B2 (en) Seat belt tension sensor
US7242286B2 (en) Seat belt tension indicator
GB2376925A (en) Seat belt tension sensing device
JP2008044570A (ja) バックル、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リマインダー装置、およびこのシートベルトリマインダー装置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20140028075A1 (en) Retractor Mounted Belt Tension Sensor
CN110539720A (zh) 车辆安全带检测方法、检测系统及车辆
CN112677916B (zh) 上下latch扣件使用检测感测装置
JP2008238924A (ja) 車両用シート
KR101741805B1 (ko)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US10434980B2 (en) Vehicle seat belt system
US7258189B2 (en) Seat belt apparatus
US20040118221A1 (en) Belt force measuring device
KR20200121385A (ko) 시트 벨트 센서의 움직임 검출
US11970124B2 (en) Occupancy sensor for wheeled mobility device restraint
KR101752805B1 (ko) 웨빙 인출량 판단에 의한 시트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US7597344B2 (en) Assembly with a gas bag module and a locking check arrangement
CN109153370A (zh) 安全带佩戴判定装置
CN220199246U (zh) 力感应式安全带锁扣、汽车安全带及汽车控制系统
US10196025B2 (en) Seating detection method and seating detection device
US11396248B2 (en) Anchor attachment detection sensors
KR102441395B1 (ko) 스페어 휠 캐리어의 체결상태 알림 장치
JP6760979B2 (ja) 着座状態判別装置および着座状態判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