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486B1 -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486B1
KR100341486B1 KR1019990067329A KR19990067329A KR100341486B1 KR 100341486 B1 KR100341486 B1 KR 100341486B1 KR 1019990067329 A KR1019990067329 A KR 1019990067329A KR 19990067329 A KR19990067329 A KR 19990067329A KR 100341486 B1 KR100341486 B1 KR 100341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tension
retractor
push button
collis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9799A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7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486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벨트의 일단에 리트렉터를 구비한 시트벨트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돌센서와, 상기 시트벨트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 검출수단과, 상기 충돌센서와 장력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리트렉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에 작용하는 충격력 및 시트벨트의 장력을 기초로 통해 리트렉터의 구속력을 제어함으로써 시트벨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operation device for seat belt retract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텅 플레이트의 일단에 시트벨트의 장력을 검출하기 위한 장력 검출수단을 부착하여 충돌센서 및 장력 검출수단에 따른 정보를 통해 리트렉터의 구속력을 제어함으로써 시트벨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벨트 장치는 추돌이나 충돌 또는 전복사고 또는 급정차시 발생되는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최근에는 시트벨트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프리텐셔너(pretensioner)인 전자제어식 리트렉터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 장치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앵커 브래킷(112)에 걸어진 시트벨트(110)의 일단에는 리트렉터 작동장치(101)에 의해 동작되는 리트렉터(114)가 고정되고 타단이 하부 앵커 브래킷(116)에 연결되며, 이 하부 앵커 브래킷(116)은 하부 앵커 볼트(118)에 의해 필라에 고정되며, 텅 플레이트(120)가 상기 시트벨트(110)에 개재되어 시트(122)의 일측에 고정된 시트벨트(110)버클(124)에 잠금,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시트벨트 장치의 착용을 살펴보면, 먼저 시트(122)에 탑승자가 앉은 상태에서 긴장된 시트벨트(110)에 개재된 텅 플레이트(120)를 잡아당겨서 시트벨트(110)를 신장시키고 텅 플레이트(120)를 시트벨트(110) 버클(124)에 삽입 고정시켜서 시트벨트(110)가 탑승자의 가슴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이 완료되게 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사고 등으로 인해 설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작용하게 되면 하게 되면, 충돌센서(131)는 이에 따른 충돌신호를 리트렉터 작동장치(101)의 제어부(13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30)는 리트렉터(114)를 동작시켜 시트벨트(110)를 자동으로 감아 구동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시트벨트(110)의 착용자를 보호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시트벨트 장치에서 종래 리트렉터 작동장치(101)는 시트벨트(110)의 착용상태에 관계없이 동일한 힘으로 시트벨트(110)를 되감게 됨에 따른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 착용된 시트벨트(110)의 장력에 무관하게 리트렉터(114)를 동작시키게 되므로, 시트벨트(110)의 구속력이 약해 제대로 구속하지 못하거나 반대로 구속력이 필요이상으로 강해서 오히려 상해를 증가시키게 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작용하는 충격력 및 시트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을 기초로 리트렉터의 구속력을 제어함으로써 시트벨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가 적용되는 시트벨트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를 보인 시트벨트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의 장력 검출수단을 보인 텅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a와 도 5b 및 도 5c는 장력 검출수단의 동작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리트렉터 작동장치 10 : 시트벨트
14 : 리프렉터 20 : 텅 플레이트
30 : 제어부 31 : 충돌센서
40 : 장력 검출수단 41 : 장착홈
43 : 푸쉬버튼 45 : 스프링
47, 48 : 저항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시트벨트의 일단에 리트렉터를 구비한 시트벨트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돌센서와, 상기 시트벨트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 검출수단과, 상기 충돌센서와 장력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리트렉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력 검출수단은 상기 시트벨트를 버클에 결합시키는 텅 플레이트의 일측에 시트벨트 접촉면쪽으로 관통된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상기 시트벨트의 장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체의 푸쉬버튼과, 상기 푸쉬버튼을 상기 시트벨트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장착홈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시트벨트의 장력에 위해 이동되는 푸쉬버튼의 양측단에 접촉되어 그 이동에 따른 가변저항치를 회로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저항체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1)가 적용되는 시트벨트 장치를 보인 것으로, 이 시트벨트 장치는 상부 앵커 브래킷(12)에 걸어진 시트벨트(10)의 일단에는 리트렉터 작동장치(1)에 의해 동작되는 리트렉터(14)가 고정되고 타단이 하부 앵커 브래킷(16)에 연결되며, 이 하부 앵커 브래킷(16)은 하부 앵커 볼트(18)에 의해 필라에 고정되며, 텅 플레이트(20)(20)가 시트벨트(10)에 개재되어 시트의 일측에 고정된 시트벨트 버클(24)에 잠금, 해제 가능하게 되는 기본 구성이 종래와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1)는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돌센서(31)와, 시트벨트(10)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 검출수단(40)과, 충돌센서(31)와 장력 검출수단(4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리트렉터(1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된다.
또한, 장력 검출수단(40)은 시트벨트(10)를 버클(24)에 결합시키는 텅 플레이트(20)의 일측에 시트벨트(10)의 접촉면쪽으로 관통된 장착홈(1)과, 그 장착홈(1)에 시트벨트(10)의 장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체의 푸쉬버튼(43)과, 그 푸쉬버튼(43)을 시트벨트(10)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5)과, 장착홈(1)에 각각 설치되고 시트벨트(10)의 장력에 위해 이동되는 푸쉬버튼(43)의 양측단에 접촉되어 그 이동에 따른 가변저항치를 회로를 통해 제어부(30)로 출력하는 저항체(47)(48)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력 검출수단(40)으로부터 출력되는 저항치는 시트벨트(10)의 장력을 나타내게 되는 바, 제어부(30)는 푸쉬버튼(43)의 돌출로 인해 저항치가 높을 때에는 장력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푸쉬버튼(43)의 삽입으로 인해 저항치가 낮을 때에는 장력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저항체(47)(48)의 후면에는 푸쉬버튼(43)과 저항체(47)(48)의 접촉력이 균일하도록 하는 스펀지(49)가 배치된다. 그리고, 저항체(47)(48)에 각각 연결된 전선(52)(53)은 텅 플레이트(20)의 양측면에 서로 절연 가능하게 배선되고, 버클(24)의 내부에는 그 텅 플레이트(20)의 전선과 접속되기 위한 탄성 접속체(52)(53) 및 그 접속체(52)(53)를 제어부(30)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52)(53)이 배선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착용된 시트벨트(10)가 느슨한 경우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력 검출수단(40)의 푸쉬버튼(43)은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위해 텅 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 완전히 돌출 된 상태가 된다. 이때, 푸쉬버튼(43)은 각 저항체(47)(48)의 끝단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전선을 통해 제어부(30)에 전달되는 저항값은 최대값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30)는 저항값을 현재 시트벨트(10)의 장력으로 산출함으로써, 시트벨트(10)의 장력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착용된 시트벨트(10)가 팽팽한 경우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력 검출수단(40)의 푸쉬버튼(43)은 시트벨트(10)의 접촉압력에 의해 스프링(45)을압축시키면서 텅 플레이트(20)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푸쉬버튼(43)은 각 저항체(47)(48)의 선단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전선(50)(51)(54)(55)을 통해 제어부(30)에 전달되는 저항값은 최소값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30)는 저항값을 현재 시트벨트(10)의 장력으로 산출함으로써, 시트벨트(10)의 장력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착용된 시트벨트(10)가 다소 팽팽한 경우 도 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력 검출수단(40)의 푸쉬버튼(43)은 시트벨트(10)의 접촉압력과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텅 플레이트(20)의 내측으로 일부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푸쉬버튼(43)은 각 저항체(47)(48)의 끝단과 선단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전선(50)(51)(54)(55)을 통해 제어부(30)에 전달되는 저항값은 최대값과 최소값의 중간치가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이 충돌사고 등으로 충돌센서(31)로부터 설정치 이상의 충격값이 제어부(30)에 입력되면, 제어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력 검출수단(40)으로부터 검출된 시트벨트(10)의 장력값에 따라 리트렉터(14)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현재 시트벨트(10)의 장력이 높은 상태에서는 구속력을 낮은 상태로 하고, 시트벨트(10)의 장력이 낮은 상태에서는 구속력을 높은 상태로 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작용하는 충격력 및 시트벨트의 장력을 기초로 통해 리트렉터의 구속력을 제어함으로써 시트벨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시트벨트의 일단에 리트렉터를 구비한 시트벨트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돌센서와;
    상기 시트벨트를 버클에 결합시키는 텅 플레이트의 일측에 시트벨트 접촉면쪽으로 관통된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상기 시트벨트의 장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체의 푸쉬버튼과, 상기 푸쉬버튼을 상기 시트벨트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장착홈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시트벨트의 장력에 위해 이동되는 푸쉬버튼의 양측단에 접촉되어 그 이동에 따른 가변저항치를 회로를 통해 제어부로 출력하는 저항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시트벨트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 검출수단과; 및
    상기 충돌센서와 장력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리트렉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
  2. 삭제
KR1019990067329A 1999-12-30 1999-12-30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 KR100341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29A KR100341486B1 (ko) 1999-12-30 1999-12-30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29A KR100341486B1 (ko) 1999-12-30 1999-12-30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799A KR20010059799A (ko) 2001-07-06
KR100341486B1 true KR100341486B1 (ko) 2002-06-21

Family

ID=1963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329A KR100341486B1 (ko) 1999-12-30 1999-12-30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805B1 (ko) * 2016-02-02 2017-05-31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5197B (zh) * 2012-08-28 2015-02-11 资阳市巨达汽车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安全带及其报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805B1 (ko) * 2016-02-02 2017-05-31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웨빙클립 장착 여부 판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799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4304B1 (en) Apparatus for sensing and restraining an occupant of a vehicle seat
US6213512B1 (en) Seat belt tightening apparatus
KR100343269B1 (ko) 차량 탑승자 보호장치
US6301977B1 (en) Vehicle seat belt transducer for child's seat
US6682098B2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load on a vehicle occupant
US20030150283A1 (en) Seat Belt Tension Sensor
KR19990082070A (ko) 종합 차량 탑승자 에너지 조정 시스템 및 방법
WO1998036950A1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s
JP2002500977A (ja) ホール効果シートベルトテンションセンサ
EP0910523A1 (en) Seat belt tension measurement device using a bend sensor
WO1999012012A1 (en) Apparatus to measure seat belt tension
JP4056222B2 (ja) 自動車の安全ベルト配置
US72786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ing an ultrasonic sensor
KR100341486B1 (ko)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
KR100634145B1 (ko) 탑승자 보호장치
US20070240525A1 (en) Seat belt tension sensor
WO200103247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ntrol system
KR100224236B1 (ko) 브레이크 연동식 시트벨트 웨빙 클램프 장치
KR19980012959U (ko) 자동차의 안전 벨트 인장력 조절 장치
KR100456575B1 (ko) 차량용시트벨트록장치및그방법
KR0151579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자동 압착장치
JPH07165008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2114130A (ja) シートベルト張力検出装置
KR100250526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
KR960002532Y1 (ko) 안전벨트착용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