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877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877B1
KR101741877B1 KR1020140112869A KR20140112869A KR101741877B1 KR 101741877 B1 KR101741877 B1 KR 101741877B1 KR 1020140112869 A KR1020140112869 A KR 1020140112869A KR 20140112869 A KR20140112869 A KR 20140112869A KR 101741877 B1 KR101741877 B1 KR 10174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shielding layer
color filter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928A (ko
Inventor
토루 사사키
토시히로 사토
카즈히로 오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5002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발광 소자가 형성된 화소가 복수개 배열된 소자 기판과, 화소 각각에 대응하여 투과 파장 대역이 다른 컬러 필터층과 상기 컬러 필터층 상의 오버 코트층이 형성된 컬러 필터 기판을 구비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의 배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 차광층과 이간하여 화소에 보다 가까운 측에 상기 제1 차광층보다도 폭이 넓은 제2 차광층을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화소로 누출하는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제2 차광층으로 입사시키고, 그 입사광의 광로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길게 함으로써, 제2 차광층에서 충분히 흡수 내지 감쇠시켜, 화소의 개구율을 최대한 저하시키지 않고 시야각 특성의 개선을 도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같은 발광 소자를 이용한 탑 에미션 형의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유효한 기술에 관한 것 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같은 발광 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화소에 구비한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 표시장치를 화소에 있어서의 광의 출사 방향으로 보면,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 측으로 광을 출사하는 보텀 에미션 방식과, 화소의 상방으로 광을 출사하는 탑 에미션 방식으로 대별된다. 이 중 탑 에미션 방식은, 보텀 에미션 방식과 비교해, 화소의 개구율을 올리기 쉬운 점이 유리하다.
화소의 구성으로, 백색광을 방사하는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광의 출사 측에 적(R), 녹(G), 청(B)의 각 색에 대응한 컬러 필터를 구비하여 컬러 표시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탑 에미션 방식에서는 컬러 필터를 발광 소자 위에 직접 형성하는 것이 아닌, 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과 대향하도록 컬러 필터가 구비된 기판이 겹쳐져 있다. 컬러 필터는, 적(R), 녹(G), 청(B)의 각 색역의 광을 투과하는 컬러 필터층을 갖고, 상기 컬러 필터층의 각 색의 경계에는, 혼색을 방지하기 위한 차광층이 구비되어 있다.
도 10(A)는, 이와 같은 표시장치의 일 예이며,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를 동도(B)에 도시한다. 표시장치(10)는, 하기판(12) 상에 절연층(14)을 개재하여 화소 전극(16), 유기 전계 발광층(이하, 유기 EL층이라고 함.)(20), 상부전극(22)이 적층되어 발광 소자(24)가 형성되어 있다. 뱅크층(18)은 화소 전극(14)의 주변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판(30)에는, 화소 전극(14)의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차광층(3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컬러 필터층(34)과 오버 코트층(36)이 형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24)에 있어서, 유기 EL층(20)에서 발광한 광은 입체각으로 표시하면 4π의 모든 방향으로 퍼진다. 유기 EL층(20)에서 거의 수직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은 컬러 필터층(34)을 통해 상기판(30)에서 출사된다(경로a). 유기 EL층(20)에서 차광층(32)이 있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은, 차광층(32)에서 흡수되어 외부로 출사되지 않는다(경로b). 한편, 유기 EL층(20)에서 사선 방향으로 출사한 광은, 인접 화소로의 누설 광이 된다(경로c). 이 인접 화소로 누출한 광은, 자신의 화소와 다른 색의 컬러 필터층을 투과함으로써 혼색이 발생하고, 표시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 인접 화소로의 누설 광을 차광하기 위해, 차광층(32)의 폭(W)을 확대하면, 광을 투과할 수 있는 개구부의 면적이 축소해 버려, 발광 소자에서 발광한 광의 이용 효율이 저하하게 된다.
컬러 필터층의 윤곽을 둘러싸듯이 구비된 차광층은, 회절 격자와 같은 작용을 하기 때문에, 화소를 고정세화를 위해 작게 하면, 인접하는 컬러 필터층을 통과한 광이 회절하여 혼색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 때문에, 일본특허 공개 2012-209201호 공보에는, 화소의 사이즈를 축소한 경우에도, 인접하는 컬러 필터를 통과한 광의 회절에 의한 혼색을 억제하기 위해, 컬러 필터층의 하층 측에 형성한 차광층과 접하는 넓은 폭의 반투과층을 형성한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 공개 2012-209201호 공보에 개시된 표시장치는, 차광층과, 상기 차광층보다 폭이 넓은 반투과층을 직접 적층한 구조로 인접 화소로의 누설 광을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차광층과 반투과층은, 그 상층부에 컬러 필터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로부터 거리가 멀리 떨어져 버린다. 이 때문에 반투과층의 폭을 차광층보다도 상당히 넓히지 않으면,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충분히 흡수할 수가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투과층의 폭을 넓히면, 자기 화소에서 발광하여 수직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이, 반투과층에서 흡수하게 되어, 광의 이용 효율이 대폭으로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 소자가 형성된 화소가 복수 개 배열된 소자 기판과, 화소의 각각에 대응하여 투과 파장 대역이 다른 컬러 필터층이 투광성의 지지 기판 상에 형성된 컬러 필터 기판을 구비하고, 컬러 필터 기판은, 화소가 배열하는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차광층과, 컬러 필터층을 사이에 두고 제1 차광층과 겹치도록 형성되고, 투과율이 상기 제1 차광층 보다도 높고 투광성의 지지 기판보다도 낮은 제2 차광층을 갖고, 제2 차광층은 제1 차광층의 폭보다 넓고, 상기 제1 차광층보다도 화소 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 소자가 구비된 화소가 복수 개 배열된 소자 기판과, 화소의 각각에 대응하여 투과 파장 대역이 다른 컬러 필터층이 투광성의 지지 기판 상에 형성된 컬러 필터 기판을 구비하고, 컬러 필터 기판은, 컬러 필터층의 지지 기판 측에 화소가 배열하는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차광층과, 컬러 필터층을 사이에 두고 제1 차광층과 겹치도록 컬러 필터층의 상기 지지 기판과의 반대 측에 형성되고, 투과율이 제1 차광층 보다도 높고 투광성의 지지 기판보다도 낮은 제2 차광층을 갖고, 제2 차광층은 제1 차광층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 소자가 구비된 화소가 복수 개 배열된 소자 기판과, 화소의 각각에 대응하여 투과 파장 대역이 다른 컬러 필터층이 투광성의 지지 기판 상에 형성된 컬러 필터 기판을 구비하고, 컬러 필터 기판은, 컬러 필터 층의 하층 측에 화소가 배열하는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차광층을 갖고, 소자 기판은 발광 소자의 상층 측에 형성된 봉지층과, 상기 봉지층 상에 상기 화소가 배열하는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투과율이 제1 차광층보다도 높고 투광성의 지지 기판보다도 낮은 제2 차광층을 갖고, 제2 차광층은 제1 차광층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차광층과 겹치도록 형성된 제2 차광층을 발광 소자에 가깝게 배설함으로써, 발광 소자에서 사선 방향으로 출사한 광을 제2 차광층에서 효율 좋게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인접 화소로의 누설 광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인접 화소에 도달할 것 같은 사선 방향의 출사광은, 제2 차광층을 투과하는 광로의 길이가 길어 지기 때문에, 인접 화소의 다른 색의 컬러 필터층에 도달할 때까지 제2 차광층에 의해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화소로의 출사광에 대해서는, 제1 차광층으로부터 제2 차광층이 돌출하는 길이가 짧아도 되는 것에 의해, 제2 차광층의 영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1 차광층만을 동일한 폭으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광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야각 특성의 개선과 광 이용 효율의 저하의 제어를 같이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소 영역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소 영역의 구성을 설명하는, (A)단면도와, (B)제2 차광층에 의해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흡수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소 영역의 구성을 설명하는 (A)단면도와, (B)제2 차광층에 의해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흡수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소 영역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소 영역의 구성을 설명하는, (A)단면도와, (B)제2 차광층에 의해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흡수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소 영역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소 영역의 구성을 설명하는, (A)단면도와, (B)제2 차광층에 의해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흡수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소 영역의 구성을 설명하는, (A)단면도와, (B)제2 차광층에 의해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흡수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0은 표시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이하에 예시하는 실시 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동일 부분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다른 도면 간에 공통으로 사용하고, 그 경우에 있어서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1)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은, 표시장치(100)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표시장치(100)는, 소자 기판(102)과, 컬러 필터 기판(10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소자 기판(102)에는, 화소(108)가 배열된 화소 영역(106),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110), 및 데이터 신호선 구동 회로(114)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게이트 신호선(112)에 인가되고, 데이터 신호선 구동 회로(11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선(116)에 인가된다. 게이트 신호선(112)과 데이터 신호선(116)은, 화소(108)에 형성된 트랜지스터(118)와 접속되어 있다. 화소(108)에는, 게이트 신호선(112)으로부터 선택 신호가 입력되고, 데이터 신호선(116)으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는 선택 트랜지스터(118)와, 선택 트랜지스터(118)로부터의 신호가 게이트에 입력되어, 발광소자(120)와 전원선(115)의 접속을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119)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 기판(104)에는, 화소(108)에 대응하는 위치에 컬러 필터층(122)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영역(106)에는, 적(R), 녹(G), 청(B) 등의 각 색의 화소(108)(R화소(108r), G화소(108g), B화소(108b))에 대응하여, 컬러 필터층(126)(R 컬러 필터층(126r), G컬러 필터층(126g), B컬러 필터층(126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각 화소에 배설되는 발광 소자의 발광 색을 단색으로 모노크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고, 적(R), 녹(G), 청(B)의 각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각 화소에 배설하여, 또는 이에 백색(W) 발광의 화소를 더 형성하여 컬러 표시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A)는, 컬러 필터 기판(104) 측에서 본 화소 영역(106)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2(A)는, 적(R), 녹(G), 청(B) 등의 각 색의 화소(108)(R화소(108r), G화소(108g), B화소(108b))가 대각선으로 배열한 예를 도시한다. 각 색의 화소(108)의 경계 영역에는 제1 차광층(12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차광층(128)은, 각 색의 화소(108)(R화소(108r), G화소(108g), B화소(108b))의 윤곽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차광층(128)은 제1 차광층(124)보다도 투과율이 높은 층이며, 얇은 금속막 또는 광흡수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A)에 있어서, 화소(108)에는 백색 화소(108w)가 포함될 수도 있다. 백색 화소(108w)에 있어서는, 발광 소자(120)에 광을 그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지만, 다른 유색 광을 출사하는 화소와 관련하여, 대략 백색 광이긴 하지만 특정 파장 대역의 분광 강도가 높아지도록 설정된 컬러 필터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B)는, 각 색의 화소(108)(R화소(108r), G화소(108g), B화소(108b))의 컬러 필터층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의 화소 영역(106)의 모습을 도시한다. 이 경우, 같은 열 방향으로는 같은 색의 컬러 필터층이 형성되므로, 제2 차광층(128)은, 다른 색의 컬러 필터층이 인접하는 영역에만 구비되어 있다. 도 2(B)의 경우도 도 2(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백색 화소(108w)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델타 배열이나 펜타일 배열하는 화소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차광층과 반투과층의 관계가, 화소 배열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배열을 갖는 화소 영역을 포함하고, 그 이외의 배열을 갖는 것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2(A) 및 (B)에 도시하는 A - B선에 대응한 화소 영역(106)의 단면 구조를 도 3에 도시한다. 도 2(A)와 (B)에서는, 컬러 필터층(126)의 배열이 다르지만, 동도 중에 도시하는 A - B선에 대응하는 단면 구조는 공통되므로, 도 3에서 도시하는 구조는 이 양자의 경우를 도시한다.
(2) 화소 영역의 구성에 대하여
도 3(A)는,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화소 영역(106)의 단면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를 동도(B)에 도시한다. 화소 영역은, 발광 소자(120)가 구비된 소자 기판(102)과, 컬러 필터층이 구비된 컬러 필터 기판(104)이 대향하도록 배설되고, 양 기판의 사이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 등의 유기 수지 재료에 의한 충전재(133)가 개재되어 있다. 충전재(144)의 두께는 임의이지만, 발광 소자(120)의 상부에 있어서 1㎛ ~ 4㎛, 바람직하게는 2㎛ ~ 3㎛의 두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144)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표시장치의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없고, 또한 너무 두꺼우면 화소로부터의 출사광을 감쇠시키므로, 상기와 같은 막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소자기판에 대하여
소자 기판(102)의 구성은 대략 이하와 같다. 지지 기판(130a)에 형성된 절연층(132) 상에 화소마다 화소 전극(134)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34)의 주변부를 덮도록 뱅크층(136)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 EL층(138)과 상부 전극(140)은, 화소 전극(134) 상에 형성되고, 또한 뱅크층(136)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상부 전극(140)은 각 화소 사이에서 공통의 전위가 인가되는 공통 전극이며, 복수의 화소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전극(140)의 상층에는 질화 규소막 등에 의한 봉지층(142)이 거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봉지층(142)의 두께는 200nm ~ 4000nm, 바람직하게는 300nm ~ 3000n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화 규소막은 봉지층으로 적합하지만, 단파장 광에 대해 약간의 광흡수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어, 상기한 막 두께의 범위에서 형성하면 봉지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광투과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발광 소자(120)는, 화소 전극(134), 유기 EL층(138) 및 상부 전극(140)이 겹치는 영역에 형성된다. 발광 소자(120)에 있어서, 화소 전극(134)과 상부 전극(140)은, 한 쪽이 양극(정공을 주입하는 측의 전극)이 되고, 다른 쪽이 음극(전자를 주입하는 측의 전극)으로의 기능을 갖는다. 양극과 음극은 각종 도전 재료로 형성되지만, 통상은 음극에 대해서 양극 쪽이 일함수가 높은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134)을 광반사성의 전극이며, 이것을 양극으로 하려면, 예를 들어, 티탄(Ti), 질화 티탄(TiN), 백금(Pt), 니켈(Ni), 크롬(Cr), 텅스텐(W) 등의 금속 재료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금속은, 알루미늄(Al)이나 은(Ag)과 비교하여 반사율이 낮기 때문에, 반사 전극으로 보다 반사율을 높이는 구성으로, 유기 EL층(138)과 접하는 측에 일함수가 높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의 층을 형성하고, 그 하층 측에 광반사면이 되는 알루미늄(Al)이나 은(Ag)의 층을 형성한 다층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전극(140)을 음극으로 하려면, 알루미늄(Al)에, 칼슘(Ca) 또는 마그네슘(Mg)을 또는 리튬(Li) 등의 알카리 금속을 함유하는 재료를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부 전극(140)을 음극으로 하면서, 광투과성을 갖도록 하려면, 상기 금속층을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50nm ~ 200nm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거나, 추가로, 그 위에 인듐·주석 산화물(ITO)이나, 인듐·주석 아연산화물(IZO) 등의 투명 도전막을 적층시킬 수도 있다.
한편, 화소 전극(134)을 광반사성의 전극이며, 이것을 음극으로 하려면,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계 또는 은(Ag)계의 금속재료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상부 전극(140)을 광투과성 전극이며, 이것을 양극으로 하려면, 인듐·주석 산화물(ITO)이나, 인듐·주석 아연산화물(IZO) 등의 투명 도전막을 이용하면 된다.
유기 EL층(138)은, 저분자계 또는 고분자계 중 어느 쪽의 유기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분자계의 유기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발광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발광층에 더해, 상기 발광층을 협지하도록 정공 수송층이나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광 소자(120)에 있어서 백색광을 출사하려면, 적(R), 녹(G), 청(B)의 각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 또는 발광 소자를 적층한 구조로 하거나, 청(B)색과 황색(Y)을 발광하는 발광층 또는 발광 소자를 적층한 구조로 하면 된다.
유기 EL층(138)의 두께는, 각 층의 막 두께를 합계해도 100nm ~ 300nm 정도이다. 이 때문에, 화소 전극(134)의 단부가 그대로 노출되면, 유기 EL층(138)이 이 단부를 충분히 피복할 수 없기 때문에, 상부 전극(140)을 이 위에 형성하면 화소 전극(134)과 단락해 버린다. 뱅크층(136)은 이와 같은 단락 불량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화소 전극(134)의 단부를 덮음과 동시에, 유기 EL층(138)이 가능한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표면이 곡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뱅크층(136)은 이산화 규소(SiO2)나 질화 규소(Si3N4) 등의 무기 절연성 재료, 또는 아크릴 수지나 폴리 이미드 수지 등의 유기 절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감광성 유기 수지 재료를 이용하면, 노광 시간이나 현상 시간 등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단부가 둥근 형상을 띠도록 할 수 있다.
(b)컬러 필터 기판에 대하여
컬러 필터 기판(104)의 구성은 대략 이하와 같다. 투광성의 지지 기판(130b) 상에, 화소 전극(134)의 경계 영역(또는 뱅크층(136)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여, 제1 차광층(124)이 형성되어 있다. 투광성의 지지 기판(130b)은, 발광 소자(120)에서 발광한 광이 출사되는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적어도 수직으로 입사하는 가시광 대역의 광에 대해서는, 투과율이 8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80% ~ 100%의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차광층(124) 상에 컬러 필터(122)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층(126)은 화소의 각 색에 대응해서 투과광 파장 대역이 다른 복수의 층이 포함되어 있다(예를 들어, 도 3(A)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R) 컬러 필터층(126r), 녹(G) 컬러 필터층(126g), 청(B) 컬러 필터층(126b)). 컬러 필터층(126)은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 수지 재료로 3㎛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제1 차광층(124)은, 다른 색의 컬러 필터층이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그 경계 영역과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층(126) 상에 아크릴 등의 광투과성의 유기 수지 재료로 오버 코트층(127)이 형성되어 있다. 오버 코트층(127)은 컬러 필터층(126)을 보호하는 목적과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2㎛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오버 코트층(127)의 투과율은, 가시광 대역의 광의 파장에 대하여 7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80% ~ 95%의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버 코트층(127)은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서는, 제2 차광층(128)이, 컬러 필터층(126)과 오버 코트층(127)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차광층(128)의 투과율은, 투과율이 제1 차광층(124)보다도 높고 오버 코트층(127)보다도 낮은 특성을 가진 층이다. 제2 차광층(128)은, 제1 차광층(124)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 양자의 사이에 컬러 필터층(126)이 개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화소 영역에 있어서 제2 차광층(128)은 제1 차광층(124)보다도 발광 소자(12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차광층(128)의 폭은 제1 차광층(124)의 폭보다도 넓다. 예를 들어,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차광층(124)의 폭을 W로 하면, 제2 차광층(128)의 폭은 제1 차광층(124)의 폭(W)에 더해, 자기 화소로 돌출하는 폭 X1과 인접 화소로 돌출하는 폭 X2의 합계(W + X1 + X2)가 된다.
제1 차광층(124)은 크롬(Cr)이나 티탄(Ti), 탄탈(Ta) 등의 금속으로 광이 투과하지 않는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차광층(124)으로, 크롬(Cr), 티탄(Ti), 탄탈(Ta) 등의 금속을 200nm ~ 500nm, 바람직하게는, 200nm ~ 300nm의 두께로 형성한다. 제1 차광층(124)의 막 두께가 얇으면 광이 투과해 버려 차광층으로 충분히 기능할 수 없게 되고, 그 막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컬러 필터에 단차가 생겨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제1 차광층(124)의 투과율은 25%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차광층(128)은 광을 투과할 정도로 얇게 형성된 크롬(Cr)이나 티탄(Ti), 탄탈(Ta) 등의 금속 박막, 또는 티탄 블랙이나 카본 블랙 등의 흑색 안료를 포함하는 광흡수성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제2 차광층(128)의 막 두께는, 광을 어느 정도 투과시키기 위해 150nm정도의 막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음과 같이 광학적 특성에서 그에 적합한 두께를 설정하면 된다. 제2 차광층(128)의 투과율은, 금속막의 막 두께를 바꾸는 것에 의해, 또는 흑색 안료의 농도를 바꾸는 것에 의해 적절히 조정 가능하지만, 그 투과율은 제1 차광층(124)보다도 높고, 투광성의 유기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오버 코트층(127)의 투과율보다는 낮아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2 차광층(128)은, 이 층의 두께(도 3(B)에서 도시하는 두께 d)방향에 있어서 가시광 대역의 광투과율로 25% ~ 70%의 광학적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차광층(128)을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자기 화소 영역에 있어서는, 발광 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대폭으로 감쇠시키지 않고 투과시키고, 인접 화소로 누출하는 사선 출사광에 대해서는 충분히 흡수하여, 누설광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차광층(124)의 특성을, 이 층의 두께 방향에서의 입사광의 감쇠율로 나타내면, 광학 농도(OD값)로 3.0 이상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차광층(124)을 이와 같은 특성 값으로 함으로써, 입사광을 차단하여, 차광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제2 차광층의 광학적인 특성을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자기 화소 영역에 있어서는, 발광 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대폭으로 감쇠시키지 않고 투과시키고, 인접 화소로 누출하는 사선 출사광에 대해서는 충분히 흡수하여, 누설광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3) 차광층과 반투과층에 대하여
발광소자(120)의 중앙 영역에서는, 유기 EL층(138)에서 발광한 광 중, 수직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경로a)과, 제2 차광층(128)을 투과하는 광(경로b)은, 상부 전극(140), 봉지층(142), 충전재(144), 오버 코트층(127), 컬러 필터층(126)을 투과하여 소정의 파장 범위의 광이 외부로 취출된다. 한편, 발광 소자(120)의 단부 부근에서는, 인접 화소로의 사선 방향의 출사광은 봉지층(142), 충전재(144), 오버 코트층(127)을 투과한 후, 광흡수성을 갖는 제2 차광층(128)을 사선 방향에서 입사한다.
인접 화소를 향해 유기 EL층(138)에서 사선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 중, 비교적 정면 방향(컬러 필터 기판(104) 방향)에 가까운 각도의 광은, 제1 차광층(124)에 도달하여 차광된다(경로c). 그러나,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에 대한 각도 θ가 큰 사선 출사광은, 예를 들어, 제2 차광층(128)에서 충분히 흡수 되지 않으면, 인접 화소의 다른 색의 컬러 필터층(126)에 도달하게 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는 파장 범위의 누설광이 될 수 있다(경로d).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영역의 구성에서는, 제2 차광층(128)을 유기 EL층(138)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 화소로의 누설광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차광층(128)의 막 두께를 d로 하면, 각도 θ방향의 출사광이 제2 차광층(128)을 투과하는 광로의 길이 L은, L=d/cosθ가 된다. 예를 들어, 각도θ=60°의 경우는, L=d/cos(60°) = 2d 가 된다. 그리고, 제2 차광층(128)은, 이 층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30%로 하면, 각도θ=60°방향의 투과율은, T(L/d)=0.32=0.09=9%가 되기 때문에, 91%의 광은 투과하지 않게 된다. 즉, 차광 기능을 갖는 제2 차광층(128)을, 제1 차광층(124)에서 분리하여, 유기 EL층(138)과 근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 차광층(124)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인접 화소로 누출하는 광의 강도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소의 개구율을 그렇게 작게 하지 않고, 혼색의 영향을 저감하여, 시야각 특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차광층에 폭이 넓은 반투과층을 직접 접하여 형성되는 구성에서는, 상기에서 나타내는 각도 θ의 방향으로 출사하는 사선 방향의 광을 충분히 흡수하려면, X1 및 X2의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반투과층이 화소의 내측 영역으로 크게 돌출되게 되고, 그 만큼 자기 화소의 출사광은 감쇠하므로 실질적인 개구율이 저하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표시장치에서는, 컬러 필터층(126)을 사이에 두고 제1 차광층(124)과 반투과층에 상당하는 제2 차광층(128)을 형성하고, 이 중 제2 차광층(128)을 발광 소자(120)에 가까운 측에 형성한다. 이에 의해, 유기 EL층(138)에서 제2 차광층(128)까지의 거리가 가까워 지고, 사선 방향의 출사광은 인접 화소를 향하는 가까운 쪽 위치에서 제2 차광층(128)에 의해 흡수된다. 이 때문에 제2 차광층(128)이 차광층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 X1 및 X2가 짧아도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흡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시야각 특성의 개선 효과를 얻는다. 즉, 1의 차광층보다도 넓은 폭의 제2 차광층을, 컬러 필터층을 사이에 두고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 차광층을 적어도 컬러 필터층의 두께만큼 화소에 근접시킬 수 있고, 자기 화소에서 인접 화소를 향하는 사선 방향의 출사광에 대해, 제2 차광층을 통과할 때의 광학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당해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충분히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어느 정도 이상의 각도의 사선 방향으로의 출사광은, 컬러 필터 기판과 공기의 계면에서 양자의 굴절율 차에 의한 전반사로 외부에는 나오지 않으므로, X1 및 X2의 폭은 필요 이상으로 넓게 할 필요는 없다.
자기 화소의 출사광 중 반투과층을 투과하는 것은 일부가 흡수되지만, 나머지의 투과광은 자기 화소의 출사광으로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또한, X1 및 X2가 짧은 것으로 인해 차광층의 개구부에서 차지하는 반투과층의 면적도 작기 때문에, 반투과층의 영향을 줄일 수 있고, 광 이용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시야각 특성의 개선과 광 이용 효율의 저하의 제어를 양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표시장치에 의하면, 차광층과 겹치도록 형성된 반투과층을, 발광 소자에 가깝도록 배설함으로써, 발광 소자에서 사선 방향으로 출사한 광을 반투과층에서 흡수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인접 화소로의 누설광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인접 화소에 도달하는 것 같은 사선 방향의 출사광은, 반투과층을 투과하는 광로의 길이가 길어 지기 때문에, 인접 화소의 다른 색의 컬러 필터층에 도달하기까지 반투과층에 의해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 이용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혼색에 기인하는 시야각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표시장치에 있어서 종합적인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제1 차광층보다도 넓은 폭의 제2 차광층을 화소 측에 형성함으로써, 자기 화소에서 인접 화소로 향하는 사선 방향의 출사광에 대해, 제2 차광층을 통과할 때의 광학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당해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충분히 감쇠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4(A)는, 화소 영역에 있어서, 광흡수성의 제2 차광층(128)을 오버 코트층(127) 상에 형성한 구성을 도시하고,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를 동도(B)에 도시한다. 제2 차광층(128)을 오버 코트층(127) 상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유기 EL층(138)에서 차광층(128)까지의 거리를 더욱 축소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제2 차광층(128)을 오버 코트층(127) 상에 형성하면, 자기 화소에서 사선 방향으로 출사하는 광(경로d)은, 인접 화소로 향하는 더 가까운 위치에서 제2 차광층(128)에 의해 흡수되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제2 차광층(128)이 제1 차광층(124)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 X1 및 X2를 더욱 짧게 해도 실시예 1과 동일한 시야각 특성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차광층(124)의 개구부에서 차지하는 제2 차광층(128)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차광층(128)의 영향을 줄여서 광의 이용 효율(자기 화소에 있어서의 출사광의 강도)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변형예 1)
도 5(A)는, 오버 코트층(127) 상에 형성한 제2 차광층(128) 상에 스페이서(129)를 형성한 일 예를 도시한다. 스페이스(129)의 두께는 충전재(144)와 동일한 정도이거나, 그 보다도 얇아지도록 한다. 즉, 스페이서(129)가 뱅크층(136)과 거의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지므로, 스페이서(129)의 두께는 충전재(144)의 두께보다도, 뱅크층(136)의 두께만큼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두께의 스페이서(129)를 형성하는 것으로, 소자 기판(102)과 컬러 필터 기판(104)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페이서(129)는 제2 차광층(128)의 내측 영역(제1 차광층(124)과 거의 겹치는 영역)에 형성함으로써 화소의 개구율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자 기판(102)과 컬러 필터 기판(104)을 가능한 근접시킴으로써, 제2 차광층(128)과 유기 EL층(138)의 거리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차광층(128)이 제1 차광층(124)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 X1 및 X2를 보다 짧게 해도 실시예 1과 동일한 시야각 특성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B)는, 제2 차광층(128)의 막 두께를 중앙 영역과 주변 영역으로 달리하고, 중앙 영역이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스페이서의 기능을 겸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제2 차광층(128)은, 레지스트 마스크의 형성과 에칭을 2회로 나누어 행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할 때에, 포토 마스크로 하프 톤 마스크를 이용하면, 레지스트 마스크를 제작하는 공정을 삭감할 수 있다.
중앙부의 막 두께가 주변 영역에 비해 두꺼운 제2 차광층(128)을 형성함으로써, 이 두꺼운 막 영역으로 입사하는 사선 광의 성분은 보다 제2 차광층(128)에서 흡수되게 되므로, 인접 화소로의 누설 광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A)는, 화소 영역에 있어서, 광흡수성의 제2 차광층(128)을 오버 코트층(127) 상에 형성한 구성을 도시하고,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를 동도(B)에 도시한다. 제2 차광층(128)을 오버 코트층(127) 상에 형성한 것에 더해, 제2 차광층(128)에 있어서 단부의 막 두께가, 서서히 감소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한 것 외에,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자기 화소에서 출사하는 사선 방향의 출사광 중, 일정 이상의 각도 θmax의 사선 출사광은 투광성의 지지 기판(130b)과 공기와의 계면에서 양자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 전(全)반사하기 때문에, 외부로 출사되는 광이 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다.
한편, 누설 광이 되는 각도 범위의 사선 방향으로의 출사광(경로d)에 대해서는, 제2 차광층(128)의 단부가 테이퍼 형상을 갖더라도, 테이퍼 각 α를 (90°-θmax)이상으로 하면, 반투과층을 사선으로 투과하는 광로의 길이 L을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서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접 화소로의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흡수하여 혼색을 저감하고, 시야각 특성의 개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기 화소로의 출사 광 중 반투과층을 투과하는 것에 대해서는, 테이퍼부에서는 광흡수성을 갖는 반투과층의 막 두께 d' 가 통상부보다 작아, 자기 화소의 출사광으로 반투과층을 투과하는 광로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실시예 2와 비교해서 광흡수가 적어지고, 자기 화소로의 출사광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제2 차광층(128)의 단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누설 광이 되는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감쇠시키는 효과를 유지한 채, 자기 화소의 출사광에 대해서는 제2 차광층을 투과하는 광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7(A)는, 오버 코트층(127) 상에, 단부가 테이퍼 형상을 갖는 제2 차광층(128)을 형성한 구성이며, 당해 제2 차광층(128)에 겹쳐서 스페이서(129)를 형성한 일 예를 도시한다. 스페이서(129)의 두께는 충전재(144)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로 하고, 1㎛ ~ 4㎛, 바람직하게는 2㎛ ~ 3㎛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129)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소자 기판(102)과 컬러 필터 기판(104)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소자 기판(102)과 컬러 필터 기판(104)을 가능한 근접시킴으로써, 제2 차광층(128)과 유기 EL층(138)의 거리를 보다 짧게 할 수가 있으므로, 제2 차광층(128)이 제1 차광층(124)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 X1 및 X2를 보다 짧게 해도 실시예 1 및 실시예 2과 마찬가지 시야각 특성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B)는, 제2 차광층(128)의 막 두께를 중앙 영역과 주변 영역으로 달리하고, 중앙 영역이 두꺼워 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페이서 기능을 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 기능을 겸한 제2 차광층(128)은 도 5(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작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앙부의 막 두께가 두꺼운 제2 차광층(128)을 형성함으로써, 이 두꺼운 막 영역에 입사하는 사선 광의 성분은 더욱 제2 차광층(128)에서 흡수되게 됨으로써, 인접 화소로의 누설 광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8(A)는, 화소 영역에 있어서, 광흡수성의 제2 차광층(128)을 컬러 필터층(126) 상에 형성한 구성을 도시하고,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를 동도(B)에 도시한다. 제2 차광층(128)을 컬러 필터층(126) 상에 형성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다.
제2 차광층(128)의 단부가 테이퍼 형상을 가져, 실시예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접 화소로의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흡수하여 혼색을 저감하고, 시야각 특성의 개선 효과를 유지하면서, 실시예 1과 비교해서 자기 화소로의 출사광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제2 차광층(128)을 컬러 필터 기판(104)이 아닌 소자 기판(102) 측에 형성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A)는, 화소 영역에 있어서, 광흡수성의 제2 차광층(128)을 소자 기판(102)의 봉지층(142) 상에 형성한 구성을 도시하고,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를 동도(B)에 도시한다.
제2 차광층(128)은 섀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을 갖는 금속층을 스파터링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차광층은 금속뿐만 아니라, 티탄 블랙이나 카본 블랙 등의 흑색 안료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진 광흡수성의 유기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 차광층(128)을 봉지층(142) 상에 형성하면, 유기 EL층(138)에서 제2 차광층(128)까지의 거리를 더욱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예 1의 시야각 특성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차광층의 개구부에서 차지하는 반투과층의 면적을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반투과층의 영향을 줄여서 광 이용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차광층보다도 폭 넓은 제2 차광층을, 소자 기판의 봉지층 상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 차광층을 화소에 보다 근접시킬 수 있고, 자기 화소에서 인접 화소로 향하는 사선 방향의 출사광에 대해, 제2 차광층을 통과할 때의 광학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당해 사선 방향의 출사광을 충분히 감쇠시킬 수 있다.
100: 표시장치 102: 소자 기판
104: 컬러 필터 기판 106: 화소 영역
108: 화소 110: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112: 게이트 신호선 114: 데이터 신호선 구동 회로
115: 전원선 116: 데이터 신호선
118: 트랜지스터 119: 구동 트랜지스터
120: 발광 소자 122: 컬러 필터
124: 제1 차광층 126: 컬러 필터층
127: 오버 코트층 128: 제2 차광층
134: 화소 전극 136: 뱅크층
138: 유기 EL층 140: 상부 전극
144: 충전재

Claims (23)

  1. 발광 소자가 형성된 화소가 복수 개 배열된 소자 기판과, 상기 화소의 각각에 대응하여 투과 파장 대역이 다른 컬러 필터층이 투광성의 지지 기판 상에 형성된 컬러 필터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은, 상기 화소를 포위하며, 상기 화소가 복수개 배열하는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차광층과, 상기 화소를 포위하며, 상기 화소가 복수개 배열하는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컬러 필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차광층과 겹치도록 형성되고, 투과율이 상기 제1 차광층 보다도 높고 상기 투광성의 지지 기판보다도 낮은 제2 차광층을 갖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1 차광층의 폭보다 넓고, 상기 제1 차광층보다도 상기 발광 소자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은, 상기 컬러 필터층의 상기 지지 기판과의 반대측에 오버 코트층을 갖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컬러 필터층과 상기 오버 코트층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은, 상기 컬러 필터층의 상기 지지 기판과의 반대측에 오버 코트층을 갖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오버 코트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층은 단부의 막 두께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층의 두께 방향의 투과율이 25% ~ 7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의 두께 방향의 광학 농도가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화소 전극, 유기 전계 발광층 및 상부 전극이 적층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가 복수개 배열된 경계 영역에 상기 화소 전극 주변부를 덮는 뱅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은 제 1의 투과 파장 대역을 갖는 제 1 컬러 필터층 제 2의 투과 파장 대역을 갖는 제 2 컬러 필터층 및 제 3의 투과 파장 대역을 갖는 제 3 컬러 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광층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컬러 필터층의 각각의 경계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 2 차광 층은 평면적으로 볼 때, 상기 제 1 차광 층과 겹치며, 상기 제 1 차광 층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표시장치.
  9. 발광 소자가 형성된 화소가 복수 개 배열된 소자 기판과, 상기 화소의 각각에 대응하여 투과 파장 대역이 다른 컬러 필터층이 투광성의 지지 기판 상에 형성된 컬러 필터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은, 상기 화소를 포위하며, 상기 컬러 필터층의 상기 지지 기판 측에 상기 화소가 복수개 배열하는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차광층과, 상기 화소를 포위하며, 상기 화소가 복수개 배열하는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컬러 필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차광층과 겹치도록 상기 컬러 필터층의 상기 지지 기판과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투과율이 상기 제1 차광층 보다도 높고 상기 투광성의 지지 기판보다도 낮은 제2 차광층을 갖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1 차광층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은, 상기 컬러 필터층의 상기 지지 기판과의 반대측에 오버 코트층을 갖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컬러 필터층과 상기 오버 코트층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은, 상기 컬러 필터층의 상기 지지 기판과의 반대측에 오버 코트층을 갖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오버 코트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층은 단부의 막 두께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층의 두께 방향의 투과율이 25% ~ 7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의 두께 방향의 광학 농도가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화소 전극, 유기 전계 발광층 및 상부 전극이 적층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가 복수 배열 경계 영역에 상기 화소 전극 주변부를 덮는 뱅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기재된 표시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은 제 1의 투과 파장 대역을 갖는 제 1 컬러 필터층 제 2의 투과 파장 대역을 갖는 제 2 컬러 필터층 및 제 3의 투과 파장 대역을 갖는 제 3 컬러 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광층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컬러 필터층의 각각의 경계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 2 차광 층은 평면적으로 볼 때, 상기 제 1 차광 층과 겹치며, 상기 제 1 차광 층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표시장치.
  17. 발광 소자가 형성된 화소가 복수 개 배열된 소자 기판과, 상기 화소의 각각에 대응하여 투과 파장 대역이 다른 컬러 필터층이 투광성의 지지 기판 상에 형성된 컬러 필터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은, 상기 화소를 포위하며, 상기 컬러 필터층의 하층 측에 상기 화소가 복수개 배열하는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차광층을 갖고,
    상기 소자 기판은, 상기 화소를 포위하며, 상기 화소가 복수개 배열하는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의 상층 측에 형성된 봉지층과, 상기 봉지층 상에 상기 화소가 배열하는 경계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투과율이 상기 제1 차광층보다도 높고 상기 투광성의 지지 기판보다도 낮은 제2 차광층을 갖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1 차광층의 폭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층은 단부의 막 두께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층의 두께 방향의 투과율이 25% ~ 7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의 두께 방향의 광학 농도가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화소 전극, 유기 전계 발광층 및 상부 전극이 적층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가 복수 배열 경계 영역에 상기 화소 전극 주변부를 덮는 뱅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표시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은 제 1의 투과 파장 대역을 갖는 제 1 컬러 필터층 제 2의 투과 파장 대역을 갖는 제 2 컬러 필터층 및 제 3의 투과 파장 대역을 갖는 제 3 컬러 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광층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컬러 필터층의 각각의 경계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 2 차광 층은 평면적으로 볼 때, 상기 제 1 차광 층과 겹치며, 상기 제 1 차광 층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표시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광층은 상기 뱅크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차광층의 상기 뱅크층과는 반대쪽면 측에 상기 컬러 필터층이 배치되고,
    상기 컬러 필터층의 상기 제 2 차광층과는 반대쪽면 측에 상기 제 1 차광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차광층, 상기 컬러 필터층, 상기 제 2 차광층 및 상기 뱅크층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40112869A 2013-09-02 2014-08-28 표시장치 KR101741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1418A JP6134236B2 (ja) 2013-09-02 2013-09-02 表示装置
JPJP-P-2013-181418 2013-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928A KR20150026928A (ko) 2015-03-11
KR101741877B1 true KR101741877B1 (ko) 2017-05-30

Family

ID=5258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869A KR101741877B1 (ko) 2013-09-02 2014-08-2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36930B2 (ko)
JP (1) JP6134236B2 (ko)
KR (1) KR101741877B1 (ko)
CN (1) CN104425561B (ko)
TW (1) TWI55790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312A (ko) * 2017-12-28 2019-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블랙 뱅크 절연막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183553B2 (en) 2018-02-08 2021-11-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with sensing lines partially overlapping a common electr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5675B2 (ja) 2015-09-07 2020-04-22 株式会社Joled 有機el素子、それを用いた有機el表示パネル、及び有機el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765102B1 (ko) 2015-11-30 2017-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6751613B2 (ja) 2016-07-15 2020-09-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18041031A (ja) * 2016-09-09 2018-03-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7280985B2 (ja) * 2017-03-08 2023-05-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TWI615661B (zh) * 2017-06-13 2018-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KR102476136B1 (ko) * 2017-09-05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0712B1 (ko) * 2017-11-30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91882B1 (ko) 2017-12-20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8080B1 (ko) 2018-02-05 2023-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36116B1 (ko) 2018-04-12 2023-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06941B1 (ko) 2018-05-31 2023-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9119453B (zh) * 2018-09-25 2021-04-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09445164B (zh) * 2018-09-30 2022-06-1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596946B1 (ko) * 2018-11-15 2023-10-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081688B2 (ja) * 2018-12-05 2022-06-07 凸版印刷株式会社 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及び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を備えた表示装置
TWI787412B (zh) * 2018-12-10 2022-12-21 日商凸版印刷股份有限公司 黑色矩陣基板及具備黑色矩陣基板的顯示裝置
CN112447118B (zh) * 2019-08-29 2022-12-1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5775502A (zh) 2019-08-29 2023-03-10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534552B (zh) * 2019-09-09 2022-06-21 合肥京东方卓印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及掩模板
CN110660836A (zh) * 2019-09-30 2020-01-07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620136B (zh) * 2019-10-30 2022-07-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包含其的显示面板
CN113284411B (zh) * 2020-02-19 2023-05-09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12022685B2 (en) * 2020-08-19 2024-06-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upper and lower light-shielding layers
CN112310321B (zh) * 2020-10-30 2024-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显示设备
CN112885885A (zh) * 2021-02-01 2021-06-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14242753A (zh) * 2021-09-30 2022-03-25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6580B2 (ja) * 1997-02-27 2005-1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投写型表示装置
TW495635B (en) * 1997-07-11 2002-07-21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107075B2 (ja) * 1998-12-14 2000-11-06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460706B2 (ja) * 2000-08-07 2003-10-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電気光学装置用基板および電気光学装置用基板の製造方法。
KR100439648B1 (ko) * 2001-08-29 2004-07-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05123089A (ja) * 2003-10-17 2005-05-12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カラー有機el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49664B2 (ja) * 2003-12-10 2010-09-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JP4489472B2 (ja) * 2004-03-19 2010-06-23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06019179A (ja) * 2004-07-02 2006-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有機el素子
JP2006107837A (ja) * 2004-10-01 2006-04-20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7812523B2 (en) * 2005-11-15 2010-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n auxiliary electrode for improved common voltag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07157404A (ja) * 2005-12-01 2007-06-21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188653A (ja) * 2006-01-11 2007-07-26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8041297A (ja) * 2006-08-02 2008-02-21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8108530A (ja) * 2006-10-25 2008-05-08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KR20080057433A (ko) 2006-12-20 2008-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09104969A (ja) * 2007-10-25 2009-05-14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265641A (ja) * 2008-03-31 2009-11-12 Sumitomo Chemical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
JP5214360B2 (ja) 2008-07-29 2013-06-19 シャープ株式会社 色変換方式有機elディスプレイ
TWI382207B (zh) * 2008-12-08 2013-01-11 Chimei Innolux Corp 彩色濾光基板、多視液晶顯示裝置及彩色濾光基板的製作方法
JP2010231076A (ja) * 2009-03-27 2010-10-14 Sony Corp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発光装置
CN102193238B (zh) 2010-03-02 2015-09-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彩色滤光基板及其制造方法、多视液晶显示装置
KR101842585B1 (ko) * 2010-12-30 2018-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720887B2 (ja) * 2011-03-30 2015-05-2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034035B2 (ja) * 2011-03-30 2016-11-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KR101940844B1 (ko) * 2011-08-30 2019-01-21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네거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격벽, 블랙 매트릭스 및 광학 소자
US9647229B2 (en) * 2011-10-26 2017-05-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Color filter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2087704B1 (ko) * 2012-12-27 2020-03-11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TWI535003B (zh) * 2013-05-24 2016-05-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顯示裝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312A (ko) * 2017-12-28 2019-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블랙 뱅크 절연막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48068B1 (ko) * 2017-12-28 2022-09-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블랙 뱅크 절연막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183553B2 (en) 2018-02-08 2021-11-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with sensing lines partially overlapping a common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50059A (ja) 2015-03-16
TW201511254A (zh) 2015-03-16
TWI557900B (zh) 2016-11-11
US9536930B2 (en) 2017-01-03
CN104425561A (zh) 2015-03-18
CN104425561B (zh) 2018-04-17
KR20150026928A (ko) 2015-03-11
US20150060827A1 (en) 2015-03-05
JP6134236B2 (ja)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877B1 (ko) 표시장치
US10304813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bank structures
US11302222B2 (en) Display device
KR102378879B1 (ko) 플렉서블 컬러 필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4835187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TW201339637A (zh) 虛像顯示裝置
US11552139B2 (en) Display device
KR20140019990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5982745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JP4967793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CN112331087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17147059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00100903A (ko) 광 변환 기판,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JP2013073800A (ja) 表示装置
US11930684B2 (en) Display device
JP5593620B2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TWI699903B (zh) 顯示面板及其製造方法
JP6318693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007602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3073887A (ja) 表示装置
KR10209484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7560970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5734686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7560968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5398633A (zh)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彩膜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