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579B1 - 누름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579B1
KR101740579B1 KR1020167015953A KR20167015953A KR101740579B1 KR 101740579 B1 KR101740579 B1 KR 101740579B1 KR 1020167015953 A KR1020167015953 A KR 1020167015953A KR 20167015953 A KR20167015953 A KR 20167015953A KR 101740579 B1 KR101740579 B1 KR 101740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ush
holding frame
button switch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218A (ko
Inventor
토요히코 아마노
미츠노리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시티즌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즌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티즌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58Casings flush 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28Switch site location perpendicular to base of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Solder problems

Abstract

횡방향 누름 타입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누름 버튼 부재의 스위칭 조작에 따른 외력에 대하여 특히 하중이 걸리는 하우징의 후면측의 강도를 높임으로써 하우징을 안정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것, 또 신뢰성이 있는 확실한 스위칭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위치 접점을 내장하는 하우징(22)과, 하우징(22)의 전면 중앙부(22c)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접점을 압압 조작하는 누름 버튼 부재(14)와, 하우징(22)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채널형상의 유지 프레임(13)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13)의 양단부가 상기 누름 버튼 부재(14)의 양측에서 상기 하우징(22)의 전면 양측부(22d)에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누름 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
본 발명은 횡방향 누름 타입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횡방향 누름 타입의 누름 버튼 스위치로서는 특허문헌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접점과, 상기 스위치 접점을 압압 조작하는 누름 버튼 부재와, 이 누름 버튼 부재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스위치 접점을 내장하는 수지제의 하우징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극부가 복수 설치되고, 또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가동 접점의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 누름 버튼 부재를 밀어넣었을 때에, 이 누름 버튼 부재의 선단부가 경사 가이드부에 맞닿고, 경사 가이드부에 의해 하방으로 가이드됨으로써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한다. 상기 누름 버튼 부재의 수평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상기 경사 가이드부를 통하여 스프링성을 가지는 가동 접점에 전달되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온/오프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을 금속제의 유지 프레임으로 둘러싸고, 이 유지 프레임을 회로 기판에 납땜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누름 버튼 스위치는 휴대전화기 등의 소형 디지털 기기의 측면 스위치로서 사용되는 점에서,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어, 회로 기판에 실장했을 때의 두께 폭을 억제한 표면 실장 방식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 표면 실장시에는 리플로우 처리에 의해 누름 버튼 스위치의 마더보드로의 고정과 전기적 접속이 동시에 행해진다.
일본 특개 2006-244977호 공보 일본 특개 2005-209565호 공보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누름 버튼 스위치에서는 하나의 측면방향으로부터의 횡방향 누름 조작을 행하는 점에서, 스위치 접점의 온/오프 조작에 따른 외력에 의한 하중이 하우징의 후면측에 걸리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하우징을 안정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에 실장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의 외주면의 강도 특히 후면의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외주면을 채널형상의 유지 프레임으로 둘러싸고, 이 유지 프레임의 하단을 납땜함으로써 회로 기판과의 접합의 강화를 도모하고 있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서는 상기 유지 프레임은 누름 버튼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의 전면측으로부터 스위치 접점이 내장되어 있는 하우징의 후면측에 돌아들어가도록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프레임의 양단부가 하우징의 후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지 프레임의 양단부가 하우징의 후면측에 위치하면, 하우징의 전면측으로부터 누름 버튼 부재를 압압 조작했을 때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지 프레임의 양단부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양단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거나 하는 등 회로 기판에 대한 실장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 이와 같은 횡방향 누름 타입의 누름 버튼 스위치는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소형의 디지털 기기의 측면 조작 스위치에 많이 채용되어, 휴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낙하 등의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에, 스위치 접점을 내장하는 하우징이 회로 기판으로부터 박리하는 등의 기계적 또는 전기적인 파괴를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상기 종래의 횡방향 누름 타입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는, 과도한 스위치 조작이나 낙하 등에 의한 큰 외압이 상기 누름 버튼 부재에 걸리면, 그 하중이 하우징의 후면측에 집중되는 결과, 스위치 접점과 회로 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속 불량이 발생하거나 스위칭 기능이 저하되는 등, 누름 버튼 스위치로서의 신뢰성을 해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횡방향 누름 타입의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누름 버튼 부재의 스위칭 조작에 따른 외력에 대하여 특히 하중이 걸리는 하우징의 후면측의 강도를 높임으로써, 하우징을 안정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것, 또 신뢰성이 있는 확실한 스위칭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는 스위치 접점을 내장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접점을 압압 조작하는 누름 버튼 부재와, 하우징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채널형상의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의 양단부가 상기 누름 버튼 부재의 양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이 상기 누름 버튼 부재가 배치되는 전면 중앙부와, 단차부를 통하여 그 양측에 위치하는 전면 양측부를 가지고, 상기 전면 중앙부가 상기 전면 양측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의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 양측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 유지 프레임이 하우징의 후면을 피복하는 후면측 프레임부와, 하우징의 좌우 측면을 각각 피복하는 측면측 프레임부와, 상기 누름 버튼 부재를 제외한 하우징의 전면을 피복하는 전면측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유지 프레임은 상기 후면측 프레임부에 수평방향으로 뻗는 보강 리브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름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누름 버튼 스위치의 하우징을 채널형상의 유지 프레임으로 피복하고, 유지 프레임의 양단부를 상기 누름 버튼 부재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고정했으므로, 하우징의 후면측 전체가 유지 프레임으로 피복되게 되고, 상기 누름 버튼 부재를 스위칭 조작했을 때의 하우징의 후면측에 걸리는 하중을 유지 프레임으로 받음으로써, 하우징의 후면측의 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또, 상기 누름 버튼 부재가 배치되는 하우징의 전면 중앙부와 유지 프레임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하우징의 전면 양측부 사이에 단차부를 설치했으므로, 누름 버튼 스위치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 땜납을 용융할 때에 발생하는 플럭스가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유지 프레임의 내측에 침입했다고 해도, 하우징의 전면 중앙부에까지 돌아들어가지 않는다.
또, 상기 유지 프레임의 후면측 프레임부에 수평방향으로 뻗는 보강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유지 프레임의 굽힘 변형에 대한 강도를 한층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 프레임을 형성하는 금속판의 판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의 하우징과 유지 프레임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회로 기판 상에 실장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회로 기판 상에 실장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납땜할 때의 플럭스의 침입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납땜할 때의 플럭스의 침입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유지 프레임에 제1 및 제2 보강 핀을 설치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 버튼 스위치의 제1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누름 버튼 스위치(11)는 스위치 접점(12)(도 4 참조)을 내장하고, 이 스위치 접점(12)을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누름 버튼 부재(1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하우징(22)과, 이 하우징(2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피복하는 채널형상의 유지 프레임(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누름 버튼 스위치(1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 기판(20)에 대하여 상기 누름 버튼 부재(14)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도록 실장된다.
상기 스위치 접점(1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 기판(20)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스위치 기판(31)과, 이 스위치 기판(3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고정 접점(16)과, 이 고정 접점(16)을 덮도록 배치되는 택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17)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스위치 접점(12) 상에는 상기 가동 접점(17)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접착 시트(18)와, 이 접착 시트(18)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17)의 정상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방수 시트(19)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기판(31)은 유리 에폭시 등의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상기 고정 접점(16) 및 가동 접점(17)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회로나 배선 패턴이 설치되고, 이 표면으로부터 이면에 걸쳐 복수의 전극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부(26)는 스위치 기판(31)의 네 모서리에 설치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기판(31)의 하부 양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부(26)는 회로 기판(20)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패턴(도시하지 않음)에 납땜된다.
상기 가동 접점(17)은 도전성을 가지는 판형상 스프링이며, 얇고 탄력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SUS)나 황동 등의 금속 재료로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 접점(17)은 중앙부가 상기 고정 접점(16)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고, 통상의 상태에서 고정 접점(16)에 비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접착 시트(18)에 의해 상기 스위치 기판(31)의 중앙부에 위치 결정된다.
상기 하우징(22)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성의 몰드 수지에 의해 가로로 긴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 버튼 부재(1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개구부(21)가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하우징(22)의 전면은 상기 누름 버튼 부재(14)가 배치되는 전면 중앙부(22c)와, 그 양측의 단차부(29)를 통하여 그 양측에 위치하는 전면 양측부(22d)를 가진다. 상기 전면 중앙부(22c)는 상기 전면 양측부(22d)보다 상기 단차부(29)의 높이분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전면 양측부(22d)에는 상기 하우징(22)에 상기 유지 프레임(13)을 고정하기 위한 걸어맞춤 돌기(30)가 전면 중앙부(22c)를 끼우고 좌우에 1쌍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돌기(30)는 전면 양측부(22d)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축부(30a)와, 이 축부(30a)의 선단에 설치되는 팽출부(30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 버튼 부재(14)는 상기 하우징(22)의 개구부(21)에 삽입되는 블록형상의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우징(22)에는 개구부(21)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된다. 상기 누름 버튼 부재(14)는 일단부가 가동 접점(17) 상에 맞닿고, 타단부가 하우징(22)의 개구부(2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타단부를 압압 조작함으로써 하우징(22) 내에 탄성적으로 밀려 들어가, 일단부에서 가동 접점(17)의 돔형상의 정점 부근을 압압함과 아울러, 상기 타단부의 압압을 해제함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상기 누름 버튼 부재(14)에 압압되어 변형된 가동 접점(17)과 고정 접점(16)이 접촉함으로써 스위치 접점(12)의 전기적 접속이 도모된다.
상기 유지 프레임(13)은 일정한 강도와 탄성을 가지는 1장의 금속판을 접어 구부려 가공함으로써 채널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 유지 프레임(13)은 상기 하우징(22)을 그 외주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피복하고, 하우징(22)을 유지한 상태에서 회로 기판(20)에 고정된다. 또, 상기 유지 프레임(13)은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2)의 후면(22a)을 피복하는 후면측 프레임부(23)와, 하우징(22)의 좌우의 측면(22b)을 각각 피복하는 한 쌍의 측면측 프레임부(24)와, 상기 누름 버튼 부재(14)가 설치되는 하우징(22)의 전면 중앙부(22c)를 제외한 전면 양측부(22d)를 피복하는 한 쌍의 전면측 프레임부(25)를 구비하고, 평면에서 보아 전체가 채널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후면측 프레임부(23)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2)의 후면(22a)의 하부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부(26)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전극부(26)에 대응한 형상의 절결부(27)가 설치된다. 또, 상기 한 쌍의 측면측 프레임부(24)의 하단에는 각각 바깥쪽으로 L자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지는 수평 플랜지(3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면측 프레임부(25)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2)의 전면 양측부(22d)에 돌출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30)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홈(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홈(28)은 전면측 프레임부(25)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가로 길이 방향의 큰 절결에 의해 형성되고, 이 걸어맞춤 홈(28)에 상기 걸어맞춤 돌기(30)의 축부(30a)를 끼워맞추고, 걸어맞춤 돌기(30)의 팽출부(30b)에 걸어맞춤 홈(28)의 상하의 내측 가장자리가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짐으로써, 하우징(22)에 유지 프레임(13)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유지 프레임(13)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채널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22)에 장착할 때는 우선 한 쌍의 전면측 프레임부(25)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탄성적으로 펼친 상태에서 하우징(22)의 후면(22a)측으로부터 유지 프레임(13)을 끼워넣고, 하우징(22)의 후면(22a)과 한 쌍의 측면(22b)을 상기 유지 프레임(13)의 후면측 프레임부(23)와 한 쌍의 측면측 프레임부(24)로 둘러싸도록 피복한다. 이어서 하우징(22)의 전면 양측부(22d)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펼친 상태의 한 쌍의 전면측 프레임부(25)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면서, 전면측 프레임부(25)의 걸어맞춤 홈(28)에 하우징(22)의 전면 양측부(22d)로부터 돌출되는 걸어맞춤 돌기(30)를 끼워넣고, 걸어맞춤 돌기(30)에 전면측 프레임부(25)를 걸어맞춘다. 이와 같이 유지 프레임(13)은 후면측 프레임부(23), 측면측 프레임부(24) 및 전면측 프레임부(25)가 하우징(22)의 후면(22a), 양측 측면(22b) 및 전면 양측부(22d)에 각각 밀착한 상태에서 하우징(22)을 피복하고, 전면측 프레임부(25)의 양단부의 걸어맞춤 홈(28)에 상기 걸어맞춤 돌기(30)를 걸어맞춤으로써, 하우징(22)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 상기 유지 프레임(13)의 재료가 되는 금속판의 두께를 상기 하우징(22)의 전면 중앙부(22c)의 양측에 설치되는 단차부(29)의 높이 치수와 대략 일치시킴으로써, 하우징(22)에 유지 프레임(13)을 장착했을 때에, 하우징(22)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대략 한면인 것처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어맞춤 돌기(30)를 포함하는 하우징(22)이 금속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유지 프레임(13)의 전면측 프레임부(25)의 양단부와 걸어맞춤 돌기(30)를 스웨이징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는 유지 프레임(13)의 고정을 보다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22)은 채널형상의 유지 프레임(13)에 의해 피복되고, 하우징(22)의 전면측에서 유지 프레임(13)의 양단부가 하우징(22)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우징(22)의 후면(22a)의 전체에 유지 프레임(13)의 후면측 프레임부(23)가 밀착하고, 또한 하우징(22)의 후면(22a)의 전체를 상기 후면측 프레임부(23)로 피복하게 되기 때문에, 하우징(22)의 후면(22a)측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상기 누름 버튼 부재(14)를 스위칭 조작했을 때에, 하우징(22)의 후면(22a)에 걸리는 하중을 유지 프레임(13)에 의해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다. 또, 유지 프레임(13)은 상기 후면측 프레임부(23), 한 쌍의 측면측 프레임부(24) 및 한 쌍의 전면측 프레임부(25)가 일체가 되어 하우징(2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피복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누름 버튼 부재(14)측으로부터의 다양한 충격에 대해서도 하우징(22) 전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지 프레임(1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2)의 후면(22a)을 피복하는 후면측 프레임부(23)에 2개의 보강 리브(32a, 32b)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2개의 보강 리브(32a, 32b)는 상기 후면측 프레임부(23)를 엠보스 가공하여 내측면을 밀어 올리고, 외측면으로 돌출시킨 상하 2개의 줄기형상의 돌기물이다. 2개의 보강 리브(32a, 32b)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측의 보강 리브(32a)는 하우징(22)의 후면(22a)의 전체를 보강하기 위해서 후면측 프레임부(23)의 가로폭 대략 전체에 길게 뻗고, 하측의 보강 리브(32b)는 상기 보강 리브(32a)보다 짧고, 한 쌍의 절결부(27)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강 리브(32a, 32b)는 후면측 프레임부(23)의 상하에 설치됨으로써 유지 프레임(13)의 강도 상승을 도모할 수 있고, 누름 버튼 부재(14)에 의한 압압 조작을 빈번하게 행하는 것 같은 경우나 누름 버튼 부재(14)나 하우징(22) 자체가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에, 후면측 프레임부(23)가 굽힘 변형되어버리거나, 하우징(22)의 후면(22a)이나 하우징(22)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보강 리브(32a, 32b)를 상기 후면측 프레임부(23)의 외측면으로 돌출시킨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 리브(32a, 32b)를 상기 후면측 프레임부(23)의 내측면으로 돌출시켜도 된다.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보강 리브의 형상, 수, 길이, 방향 등은 하우징(22)의 크기나 형상, 누름 버튼 부재(14)를 스위칭하는 빈도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 프레임(13)은 상기 한 쌍의 측면측 프레임부(24)의 하단에 바깥쪽으로 L자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지는 수평 플랜지(35)를 일체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회로 기판(20)에 누름 버튼 스위치(11)를 실장할 때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플랜지(35)를 회로 기판(20)의 상면에 땜납(36)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리플로우 실장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로 기판(20)의 상면에 누름 버튼 스위치(11)를 리플로우 실장할 때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플랜지(35)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땜납(36)이 쌓아올려지는데, 이 땜납(36)을 용융할 때에 발생하는 플럭스(37)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유지 프레임(13)의 내측면을 타고 침입하여, 유지 프레임(13)의 측면측 프레임부(24) 및 전면측 프레임부(25)의 내측으로 퍼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유지 프레임(13)의 전면측 프레임부(25)에 설치한 걸어맞춤 홈(28)이 하우징(22)의 전면 중앙부(22c)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걸어맞춤 돌기(30)와 걸어맞춰지고, 또한 걸어맞춤 돌기(30)가 설치되는 하우징(22)의 전면 양측부(22d)와 전면 중앙부(22c) 사이에는 단차부(2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프레임(13)의 전면측 프레임부(25)의 내측으로 퍼진 플럭스(37)가 하우징(22)의 전면 중앙부(22c)에까지 돌아들어가지 않는다. 그 결과로서 누름 버튼 부재(14)와 개구부(21)와의 간극으로부터 하우징(22) 내에 플럭스(37)가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어, 하우징(22)에 내장되어 있는 스위치 접점(12)이나 스위치 기판(31)(도 4 참조) 등이 상기 플럭스(37)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1장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채널형상의 유지 프레임(13)은 하우징(22)의 후면(22a), 측면(22b) 및 전면 양측부(22d)를 둘러싸도록 피복하는 한편 누름 버튼 부재(14)가 배치되어 있는 전면 중앙부(22c)는 피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플럭스(37)가 유지 프레임(13)의 내측 전체에 퍼졌다고 해도, 하우징(22)의 개구부(21)가 설치되어 있는 전면 중앙부(22c)에까지 플럭스(37)가 돌아들어가지 않는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 버튼 스위치의 제2 실시형태가 나타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누름 버튼 스위치(41)는 회로 기판(20)(도 5 참조)에 대한 위치 결정의 용이성 및 실장 강도를 도모하기 위해서, 유지 프레임(42)에 복수의 보강 핀을 설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프레임(42)의 후면측 프레임부(42a)의 중앙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 보강 핀(44)이 설치되고, 한 쌍의 측면측 프레임부(42b)의 중앙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 보강 핀(4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보강 핀(45)은 상기 측면측 프레임부(42b)의 하단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L자형상으로 뻗는 수평 플랜지(43)의 일부를 잘라 일으켜 하방향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이 제2 보강 핀(45)은 회로 기판(20)(도 5 참조)에 대한 하우징(22)의 위치 결정이나 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 상기 제1 보강 핀(44) 및 제2 보강 핀(45)은 유지 프레임(42)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로 기판(20)에 대한 유지 프레임(42)의 부착 강도를 높임과 아울러, 누름 버튼 부재(14)에 의한 스위칭 조작을 안정시킨다. 또한, 하우징(22)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술한 누름 버튼 스위치(11, 41)는 박형화 및 소형화가 진행되는 휴대전화기나 정보단말기 등의 측면 스위치로서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용도에 대하여, 본 발명의 누름 버튼 스위치(11, 41)는 누름 버튼 부재(14)의 스위칭 조작시에 가장 하중이 걸리는 하우징(22)의 후면(22a)측을 보강하기 위해 채널형상의 유지 프레임(13, 42)으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항상 안정된 스위칭 조작이 확보되어 누름 버튼 스위치로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었다.
11…누름 버튼 스위치 12…스위치 접점
13…유지 프레임 14…누름 버튼 부재
16…고정 접점 17…가동 접점
18…접착 시트 19…방수 시트
20…회로 기판 21…개구부
22…하우징 22a…후면
22b…측면 22c…전면 중앙부
22d…전면 양측부 23…후면측 프레임부
24…측면측 프레임부 25…전면측 프레임부
26…전극부 27…절결부
28…걸어맞춤 홈 29…단차부
30…걸어맞춤 돌기 30a…축부
30b…팽출부 31…스위치 기판
32a, 32b…보강 리브 35…수평 플랜지
36…땜납 41…누름 버튼 스위치
42…유지 프레임 42a…후면측 프레임부
42b…측면측 프레임부 43…수평 플랜지
44…제1 보강 핀 45…제2 보강 핀

Claims (11)

  1. 스위치 접점을 내장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접점을 압압 조작하는 누름 버튼 부재와, 하우징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채널형상의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은 상기 누름 버튼 부재가 배치되는 전면 중앙부와, 단차부를 통하여 그 양측에 위치하는 전면 양측부를 가지고, 상기 전면 중앙부가 상기 전면 양측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의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 양측부에 고정되어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 양측부에 걸어맞춤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의 양단부에 상기 걸어맞춤 돌기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의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 양측부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유지 프레임의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면 중앙부와 한면처럼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은 하우징의 후면을 피복하는 후면측 프레임부와, 하우징의 좌우 측면을 각각 피복하는 측면측 프레임부와, 상기 누름 버튼 부재를 제외한 하우징의 전면을 피복하는 전면측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은 후면측 프레임부에 보강 리브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수평방향으로 줄기형상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은 상기 후면측 프레임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 보강 핀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은 측면측 프레임부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접혀 구부러지는 수평 플랜지와, 상기 측면측 프레임부의 중앙 하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 보강 핀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은 1장의 금속판을 채널형상으로 형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11. 삭제
KR1020167015953A 2014-03-11 2015-03-05 누름 버튼 스위치 KR101740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47188 2014-03-11
JP2014047188 2014-03-11
JPJP-P-2014-063163 2014-03-26
JP2014063163 2014-03-26
PCT/JP2015/056455 WO2015137220A1 (ja) 2014-03-11 2015-03-05 押釦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218A KR20160118218A (ko) 2016-10-11
KR101740579B1 true KR101740579B1 (ko) 2017-05-26

Family

ID=5407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953A KR101740579B1 (ko) 2014-03-11 2015-03-05 누름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91068B2 (ko)
JP (1) JP6055157B2 (ko)
KR (1) KR101740579B1 (ko)
CN (1) CN106104734B (ko)
WO (1) WO2015137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5634A (zh) * 2018-06-23 2018-10-02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启动按键组件及智能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220A (ja) 2002-08-12 2004-03-11 Citizen Electronics Co Ltd 横型押しボタンスイッチとその実装方法
JP2007324090A (ja) * 2006-06-05 2007-12-13 Smk Corp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実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21U (ja) * 1983-06-21 1985-01-11 市光工業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の接点構造
JPS603621A (ja) 1983-06-22 1985-01-10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ハロゲン化銀写真材料
JPS61197620A (ja) 1985-02-28 1986-09-01 Idemitsu Petrochem Co Ltd 電気絶縁材料
JP2581651Y2 (ja) * 1993-04-15 1998-09-24 松下電工株式会社 便座の着座検出スイッチ
JP3906502B2 (ja) * 1996-10-23 2007-04-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3959916B2 (ja) * 2000-01-25 2007-08-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電子機器、ならびにその装着方法
JP4054258B2 (ja) 2002-12-25 2008-02-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JP2005209565A (ja) 2004-01-26 2005-08-04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JP4246119B2 (ja) 2004-07-02 2009-04-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JP4508957B2 (ja) 2005-02-03 2010-07-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JP2007305384A (ja) * 2006-05-10 2007-11-22 Alps Electric Co Ltd 電子部品
JP2009193773A (ja) 2008-02-13 2009-08-27 Citizen Electronics Co Ltd 照光押釦スイッチ
JP2010118336A (ja) * 2008-10-14 2010-05-27 Panasonic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電子機器
CN201425908Y (zh) * 2009-01-13 2010-03-17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按键结构及应用该按键结构的终端设备
CN202128323U (zh) * 2011-06-10 2012-02-01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饮水机微动开关的安装结构
CN202258868U (zh) * 2011-07-15 2012-05-30 游聪谋 开关的组装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220A (ja) 2002-08-12 2004-03-11 Citizen Electronics Co Ltd 横型押しボタンスイッチとその実装方法
JP2007324090A (ja) * 2006-06-05 2007-12-13 Smk Corp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実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55157B2 (ja) 2016-12-27
US9991068B2 (en) 2018-06-05
KR20160118218A (ko) 2016-10-11
CN106104734A (zh) 2016-11-09
JPWO2015137220A1 (ja) 2017-04-06
US20170213662A1 (en) 2017-07-27
WO2015137220A1 (ja) 2015-09-17
CN106104734B (zh)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9944B2 (en) Electronic device
JP5569251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7324090A (ja)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実装方法
JP4862697B2 (ja) スイッチ装置
EP1459413A1 (en)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JP2009301867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9193770A (ja) 押釦スイッチ
JP602910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10418204B2 (en) Switch device
KR101740579B1 (ko) 누름 버튼 스위치
US20170110270A1 (en) Electronic component
JP4202372B2 (ja) スイッチ
US8115130B2 (en) Electronic device
JP4246119B2 (ja) 押釦スイッチ
JP5573291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1629819B1 (ko) 푸시 스위치
KR101667230B1 (ko) 인쇄회로기판용 단자대
KR101637395B1 (ko) 푸시 스위치
KR200346449Y1 (ko) 택트 스위치
JP6010863B2 (ja) カードコネクタ
KR20130080112A (ko) Pcb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과 pcb 어셈블리를 이용한 초소형 택트 스위치
JP2013073905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140088791A (ko) Pcb 어셈블리를 이용한 초소형 택트 스위치
JP2013073904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