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395B1 - 푸시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395B1
KR101637395B1 KR1020150008690A KR20150008690A KR101637395B1 KR 101637395 B1 KR101637395 B1 KR 101637395B1 KR 1020150008690 A KR1020150008690 A KR 1020150008690A KR 20150008690 A KR20150008690 A KR 20150008690A KR 101637395 B1 KR101637395 B1 KR 101637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contact
case
push switch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272A (ko
Inventor
도시히코 다자와
요시나오 이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01H2221/044Elastic part on actuator or cas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압입 내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한다.
푸시 스위치(100)는, 고정 접점부(4a)를 갖고, 조작 부재(1) 및 가동 접점 부재(2)를 수용하는 공간부(3a)를 구비하는 케이스(3)와, 공간부(3a)를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케이스(3)는, 고정 접점부(4a)가 노출되어 형성된 공간부(3a)의 가장 안쪽 면(4e)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본체부(4k)를 갖고, 본체부(4k)에는, 후방 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컷아웃된 컷아웃부(4m)를 가지며, 고정 접점부(4a)는, 제 1 고정 접점부(4f)와 제 2 고정 접점부(4g)로 이루어지고, 제 1 고정 접점부(4f)는, 가동 접점 부재(2)와 접촉하는 중앙 접촉부(4n)와, 중앙 접촉부(4n)의 주위로 연속해서 가장 안쪽 면(4e)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4p)를 가지며, 중앙 접촉부(4n)는, 가장 안쪽 면(4e)의 본체부(4k)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PUSH SWITCH}
본 발명은,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가압 조작 방향으로 고정 접점부가 배치된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기기의 조작부로서 푸시 스위치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의 조작부로서 이용되는 푸시 스위치로서는,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이하, 도 19를 이용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9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900)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가 되는 케이스(930)를 측면에서 보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930)의 상기 L자의 일방 측에는, 스위치 접점부를 내장하여 하방으로 연장된 전방 부위(960)가 형성되고, 상기 L자의 타방 측에는, 전방 부위(960)와 일체화된 후방 부위(965)가 형성되어 있다. 푸시 스위치(900)는, 배선 기판(970) 상에 배치되어 단자(953) 및 단자(956)가 납땜되어 실장되고, 배선 기판(97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전방 부위(960)에의 가압 조작을 행하여 동작하는 푸시 스위치이다. 또한, 스위치 접점부는, 수평 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된 가동 접점(945)과 중앙 접점(941)을 갖고, 가압 부재(948)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945)을 가압함으로써, 가동 접점(945)을 휘게 하여 중앙 접점(941)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945)과 중앙 접점(941)을 접리(接離)시킴으로써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3-149351호 공보
그러나, 푸시 스위치(900)에 있어서는, L자 형상의 굴곡되어 있는 개소에 가동 접점(945) 및 중앙 접점(941)이 배치되어 있고, 중앙 접점(941)을 사이에 두고 가동 접점(945)에 대향하는 측에는, 케이스(930)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 있다. 그 때문에, 강한 압입 하중으로 조작되었을 때에, 가동 접점(945)이, 중앙 접점(941)의, 케이스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대응한 개소를 가압하면, 중앙 접점(941)이 휘어버려, 가동 접점(945)과 중앙 접점(941)의 접촉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압입 내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고정 접점 부재를 갖고, 조작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공간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 부재는 상기 공간부의 일면인 가장 안쪽 면에 노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가장 안쪽 면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에는, 후방 측의 단부(端部)로부터 전방을 향해 일부 컷아웃된 컷아웃부를 갖고, 상기 고정 접점 부재는,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접리하는 중앙 접점부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상시 접촉하는 주변 접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 접점부는,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접촉하는 중앙 접촉부와, 상기 중앙 접촉부에 연속해서 상기 가장 안쪽 면으로부터 노출됨과 함께, 상기 중앙 접촉부의 주위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 상기 중앙 접촉부는, 상기 가장 안쪽 면의 상기 본체부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주변 접점부의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접촉하는 주변 접촉부는, 상기 가장 안쪽 면의 상기 컷아웃부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에 인서트 성형된 회로 부재는, 일단(一端)에 상기 고정 접점부를 가짐과 함께, 타단(他端)에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 측으로부터 노출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외부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회로 부재의 상기 고정 접점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의 사이에는,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회로 부재가 연장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허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허용부의 폭 치수는, 상기 허용부를 사이에 둔 개소의 폭 치수보다 작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가장 안쪽 면의 후방 측에서 두꺼운 본체부에 대응한 개소에 중앙 접촉부를 배치함과 함께, 중앙 접촉부의 주위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를 설치함으로써, 압입 조작되었을 때에, 케이스에 두꺼운 부분으로 받아들임과 함께, 받아들이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단위 면적당으로 받아들이는 하중을 작게 함과 함께, 하중에 대해 강한 부분에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압입 내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주변 접촉부를 컷아웃부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함으로써, 본체부에 대응한 개소를, 압입 조작 시에 가장 부하가 걸리는 중앙 접촉부 및 연장 돌출부에, 더 큰 면적을 확실하게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더 압입 내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전자 기기에 탑재된 상태에서 압입 조작을 했을 때, 외부 접속부는 전자 기기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압입 하중은 외부 접속부에 가해지게 된다. 외부 접속부와 고정 접점부의 사이에, 전후의 개소보다 폭 치수가 작은 허용부를 설치함으로써, 압입 조작을 했을 때에, 압입된 방향으로 미소량이기는 하지만 허용부가 휨으로써, 외부 접속부에 걸리는 부하를 흡수하여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압입 조작에 의해 납땜된 외부 접속부가 어긋나는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더욱 압입 내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압입 내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a)는 푸시 스위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에 있어서의 Z2 방향에서 본 상태의 푸시 스위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를 기판에 마운트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a)는 푸시 스위치(100)의 기판에의 마운트예를 도 2에 나타내는 Z1 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Y2 방향 측에서 푸시 스위치(100)의 기판에의 마운트예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의 (b)에 있어서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기판(CB1)은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3)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a)는 케이스(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Y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케이스(3)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3)를 제 2 케이스 부재(4)와 제 1 케이스 부재(5)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케이스 부재(4)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의 (a)는 도 5에 나타내는 X1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4)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의 (b)는 도 5에 나타내는 Y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4)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로 부재(30)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의 (a)는 회로 부재(30)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Z1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회로 부재(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케이스 부재(5)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의 (a)는 도 5에 나타내는 X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의 (b)는 도 5에 나타내는 X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4)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기재된 단면선 B-B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2)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a)는 가동 접점 부재(2)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Z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가동 접점 부재(2)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의 (a)는 조작 부재(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 나타내는 X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조작 부재(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의 (c)는 도 11의 (a)에 나타내는 X1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조작 부재(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6)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의 (a)는 커버 부재(6)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의 (b)는 커버 부재(6)를 전방 커버 부재(7)와 후방 커버 부재(8)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커버 부재(7)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a)는 전방 커버 부재(7)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D부를 도 13의 (a)에 나타내는 X1 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방 커버 부재(8)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의 (a)는 후방 커버 부재(8)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4의 (b)는 도 14의 (a)에 나타내는 X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후방 커버 부재(8)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아암부(8b)의 선단(先端)부(8c)는 내방 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방 커버 부재(7)와의 일체화 전에는 아암부(8b)의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5는 도 4의 (b)에 기재된 단면선 C-C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제 2 고정 접점부(4g)의 위치는 실제의 위치와는 다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가압 조작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가 오버 스트로크가 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2에 기재된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9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9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처음으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a)는 푸시 스위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에 있어서의 Z2 방향에서 본 상태의 푸시 스위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를 기판에 마운트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a)는 푸시 스위치(100)의 기판에의 마운트예를 도 2에 나타내는 Z1 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Y2 방향 측에서 푸시 스위치(100)의 기판에의 마운트예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의 (b)에 있어서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기판(CB1)은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3)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a)는 케이스(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Y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케이스(3)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3)를 제 2 케이스 부재(4)와 제 1 케이스 부재(5)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케이스 부재(4)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의 (a)는 도 5에 나타내는 X1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4)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의 (b)는 도 5에 나타내는 Y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4)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로 부재(30)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의 (a)는 회로 부재(30)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Z1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회로 부재(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케이스 부재(5)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의 (a)는 도 5에 나타내는 X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의 (b)는 도 5에 나타내는 X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4)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기재된 단면선 B-B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2)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a)는 가동 접점 부재(2)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Z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가동 접점 부재(2)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의 (a)는 조작 부재(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 나타내는 X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조작 부재(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의 (c)는 도 11의 (a)에 나타내는 X1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조작 부재(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6)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의 (a)는 커버 부재(6)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의 (b)는 커버 부재(6)를 전방 커버 부재(7)와 후방 커버 부재(8)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커버 부재(7)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a)는 전방 커버 부재(7)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D부를 도 13의 (a)에 나타내는 X1 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방 커버 부재(8)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의 (a)는 후방 커버 부재(8)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4의 (b)는 도 14의 (a)에 나타내는 X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후방 커버 부재(8)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아암부(8b)의 선단부(8c)는 내방 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방 커버 부재(7)와의 일체화 이전에는 아암부(8b)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푸시 스위치(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1)와, 가동 접점 부재(2)와, 고정 접점부(4a)를 갖고 제 2 케이스 부재(4)와 제 1 케이스 부재(5)로 이루어지는 케이스(3)와, 전방 커버 부재(7)와 후방 커버 부재(8)로 이루어지는 커버 부재(6)와, 시트 부재(9)를 구비하며,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커버 부재(7)로부터 돌출된 조작 부재(1)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2)와 고정 접점부(4a)의 전기적인 도통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케이스(3)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3)는, 중공(中空)으로 형성됨과 함께, 고정 접점부(4a)를 갖는 공간부(3a)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공간부(3a)는 전방 측(X1 방향 측)이 개방된 개구부(5e)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3)는 개구부(5e)가 설치된 측의 반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본체부(4k)를 갖고, 본체부(4k)에는, 후방 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일부 컷아웃된 컷아웃부(4m)를 갖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스(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 부재(4)와 제 1 케이스 부재(5)의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케이스 부재(4)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부(4k)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부(4k)의 일방 측(X2 방향 측)의 하방 측(Z2 방향 측)에는, 일부 컷아웃된 컷아웃부(4m)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스 부재(4)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회로 부재(30)가 인서트 성형되어 있고, 일부가 제 2 케이스 부재(4)로부터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 부재(4)는, 공간부(3a)의 일부인 제 2 공간부(4b)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공간부(4b)는 타방 측(X1 방향 측)에 개구된 제 2 개구(4c)를 가짐과 함께, 제 2 개구(4c)가 있는 제 2 대향면(4d)을 갖고 있다. 또한, 제 2 대향면(4d)은 평탄한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은, 긴 쪽 변이 직선 형상이고, 짧은 쪽 변이 원호 형상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공간부(4b)의 제 2 개구(4c)에 대향하는 측(X2 방향 측)의 일면인 가장 안쪽 면(4e)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접점부(4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접점부(4a)는, 가장 안쪽 면(4e)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고정 접점부(4f)와, 가장 안쪽 면(4e)에 있어서 제 2 공간부(4b)의 길이 측의 벽의 가까이에 형성되는 제 2 고정 접점부(4g)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고정 접점부(4g)는 Z2 방향 측의 길이 측의 벽의 가까이에 노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점부(4f) 및 제 2 고정 접점부(4g)는, 제 2 개구(4c)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돌출 방향의 선단이 평탄한 면에 형성된 접촉부(4h)를 갖고 있다. 제 1 고정 접점부(4f)는, 접촉부(4h)의 하나인 중앙 접촉부(4n)와, 중앙 접촉부(4n)에 연속해서 가장 안쪽 면(4e)으로부터 노출됨과 함께, 중앙 접촉부(4n)의 주위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4p)를 갖고, 제 2 고정 접점부(4g)는, 접촉부(4h)의 하나인 주변 접촉부(4q)를, 중앙 접촉부(4n)의 양측이 되는 위치에 1개씩 갖고 있다. 또한, 본체부(4k)는, 가장 안쪽 면(4e)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앙 접촉부(4n)는, 가장 안쪽 면(4e)의 본체부(4k)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주변 접촉부(4q)는, 가장 안쪽 면(4e)의 컷아웃부(4m)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가장 안쪽 면(4e)의 제 1 고정 접점부(4f)를 사이에 두고 제 2 고정 접점부(4g)에 대향하는 위치가 되는 부분은, 주변 접촉부(4q)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스 부재(4)는, 케이스(3)의 후방 측(X2 방향 측)인 본체부(4k)의 후방 측의 단부에,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본체부(4k)로부터 노출된 2개의 외부 접속 단자(4r)를 갖고 있다. 또한, 제 1 고정 접점부(4f) 및 제 2 고정 접점부(4g)로부터 고정 접점부(4a)와, 외부 접속 단자(4r)는, 제 2 케이스 부재(4)에 인서트 성형된 회로 부재(30)의 일부가 노출된 것이다. 회로 부재(3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금속판을 판금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로 부재(30)는, 일단에 고정 접점부(4a)를 가짐과 함께, 타단에는 외부 접속 단자(4r)를 갖고 있다. 즉, 회로 부재(30)는, 일단에 제 1 고정 접점부(4f)를 가짐과 함께, 타단에 일방의 외부 접속 단자(4r)를 갖는 것과, 일단에 제 2 고정 접점부(4g)를 가짐과 함께, 타단에 타방의 외부 접속 단자(4r)를 갖는 것의 2개로 이루어지고, 제 1 고정 접점부(4f)와 제 2 고정 접점부(4g)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또, 회로 부재(30)의 고정 접점부(4a)와 외부 접속 단자(4r)의 사이에는, 상방(Z1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회로 부재(30)가 연장 돌출되는 방향(X1-X2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허용부(4s)가 형성되어 있다. 허용부(4s)의 폭 치수(w1)는, 회로 부재(30)의 허용부(4s)를 사이에 둔 개소의 폭 치수(w2 및 w3)보다 작다.
제 1 케이스 부재(5)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공간부(3a)의 일부인 제 1 공간부(5a)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 1 케이스 부재(5)는, 일방 측(X2 방향 측)에 제 1 공간부(5a)가 개구된 제 1 개구(5b)가 있는 제 1 대향면(5c)을 갖고, 타방 측(X1 방향 측)에는 제 1 공간부(5a)에 관통함과 함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5e)를 갖는다. 또한, 제 1 대향면(5c)은 평탄한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개구(5b)의 외형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직사각형의 네 모서리의 부분에는, 상하 방향(Z1-Z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돌출 형상부(5d)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2 케이스 부재(4)와 제 1 케이스 부재(5)는, 제 2 대향면(4d)과 제 1 대향면(5c)을 대향시켜 계합(係合)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를 형성한다. 또, 제 2 케이스 부재(4)와 제 1 케이스 부재(5)가 계합됨으로써, 제 2 공간부(4b)와 제 1 공간부(5a)가 연결되고, 공간부(3a)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공간부(4b)와 제 1 공간부(5a)가 연결되고, 제 1 개구(5b)의 외형 형상을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에 겹쳤을 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개구(5b)의 외형 형상은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으로부터 돌출 형상부(5d)가 비어져 나와 있다. 즉, 제 1 개구(5b)의 일부와 제 2 대향면(4d)의 일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점 부재(2)는,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부재(2)는, 아치 형상으로 만곡되고,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부(2a)를 갖고 있다. 또, 가동 접점부(2a)의 양측(Z1 방향 측과 Z2 방향 측)에는, 슬릿(2b)을 개재하여, 재치된 면에 상시 접촉하기 위한 상접(常接) 접점부(2c)가 배치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 부재(2)는, 가동 접점부(2a)와 상접 접점부(2c)의 양단(兩端)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2d)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2)는, 스프링성을 갖고, 가동 접점부(2a)를 아치 형상의 정상부(2e) 측으로부터 가압하면, 가압된 방향으로 휘며,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가동 접점부(2a), 상접 접점부(2c) 및 연결부(2d)에 의해 형성되는 가동 접점 부재(2)는, 정상부(2e) 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볼 때에, 외형 형상이 제 2 케이스 부재(4)의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장의 가동 접점 부재(2)를 이용하고 있다.
조작 부재(1)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버튼부(1c)를 갖고 있고, 버튼부(1c)는 제 1 케이스 부재(5)의 개구부(5e)에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 부재(1)는 버튼부(1c)의 일방 단측(端側)(X2 방향 측)의 측면에, 측방(Y1-Y2 방향)으로 돌출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d)를 갖는다. 조작 부재(1)를 버튼부(1c)의 타방 단측(X1 방향 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볼 때에, 플랜지부(1d)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네 모서리에 상하 방향(Z1-Z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1a)를 갖고 있다. 또, 플랜지부(1d)의 외형 형상은, 제 1 케이스 부재(5)의 제 1 개구(5b)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a)의 외형 형상은, 제 1 케이스 부재(5)의 돌출 형상부(5d)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 부재(1)는, 버튼부(1c)의 일방 단측의 단면(端面)에, 일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액추에이터부(1b)를 갖는다. 액추에이터부(1b)는, 가동 접점 부재(2)를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 2 케이스 부재(4)를 파손시키지 않는 소정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찌그러지는(소성 변형하는) 정도의 강도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재(6)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형상이 직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6)는, 전방 커버 부재(7)와 후방 커버 부재(8)가 계합되어, 일체화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전방 커버 부재(7)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커버 부재(7)는, 도 4에 나타내는 X1 방향 측으로부터 케이스(3)를 평면에서 볼 때에, 공간부(3a)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상부(7d)를 갖고 있다. 전방 커버 부재(7)는, 판 형상부(7d)의 중앙부에 관통 구멍(7a)과, 판 형상부(7d)의 양단측(Y1 방향 측 및 Y2 방향 측)에 후방 커버 부재(8)와 계합되는 계합부(7b)가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7a)은 조작 부재(1)의 버튼부(1c)가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관통 구멍이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계합부(7b)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구멍부(7c)이다. 또한, 계합 구멍부(7c)의 개구 형상은 폭 방향(Y1-Y2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판 형상부(7d)의 Y1 방향 측에 설치된 계합 구멍부(7c)에 있어서는, 계합 구멍부(7c)의 개구 형상은 Y1 방향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고, 판 형상부(7d)의 Y2 방향 측에 설치된 계합 구멍부(7c)에 있어서는, 계합 구멍부(7c)의 개구 형상은 Y2 방향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후방 커버 부재(8)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 커버 부재(8)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기부(基部)(8a)와, 기부(8a)의 양단으로부터 전방 측(X1 방향 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어 있는 아암부(8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아암부(8b)의 선단부(8c)는, 전방 커버 부재(7)의 계합 구멍부(7c)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후방 커버 부재(8)는, 각각의 아암부(8b)의 하단(下端)부로부터 폭 방향(Y1-Y2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장착판부(8d)를 갖고 있다. 장착판부(8d)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장착판부(8d)의 돌출 방향 단부의, 전방 측(X1 방향 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장착 돌기(8e)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방 커버 부재(7)와 후방 커버 부재(8)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커버 부재(7)의 계합부(7b)에 후방 커버 부재(8)의 아암부(8b)가 각각 계합되어 전방 커버 부재(7)와 후방 커버 부재(8)가 일체화되어, 커버 부재(6)를 형성하고 있다. 즉, 후방 커버 부재(8)의 아암부(8b)의 선단부(8c)가, 전방 커버 부재(7)의 계합부(7b)인 계합 구멍부(7c)에 삽입되어,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됨으로써, 커버 부재(6)가 형성된다.
시트 부재(9)는 합성 수지재의 시트재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굴곡성을 갖고 있다. 또한, 시트 부재(9)는, 제 2 케이스 부재(4)의 제 2 공간부(4b)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9)는, 일방의 면(X2 방향 측의 면)에 점착제가 전체 면에 도포된 점착면(9a)을 갖는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100)의 구조에 대해 도 9 및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도 4의 (b)에 기재된 단면선 C-C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제 2 고정 접점부(4g)의 위치는 실제의 위치와는 다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부재(2)는 제 2 케이스 부재(4)의 제 2 공간부(4b) 내에 수용된다. 가동 접점 부재(2)는 가동 접점부(2a)가 전방(X1방향)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방(도 10에 나타내는 Z2 방향 측)의 상접 접점부(2c)는 제 2 공간부(4b)의 가장 안쪽 면(4e)에 노출되는 제 2 고정 접점부(4g)의 접촉부(4h)(도 6 참조)와 접촉하며, 타방의 상접 접점부(2c)는, 가장 안쪽 면(4e)의 제 1 고정 접점부(4f)를 사이에 두고 제 2 고정 접점부(4g)에 대향하는 위치에 주변 접촉부(4q)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개소(도 6 참조)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2a)는 제 1 고정 접점부(4f)와는 이간되어 있다. 시트 부재(9)는, 점착면(9a)이 제 2 공간부(4b)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동 접점 부재(2)가 배치된 제 2 공간부(4b)를 덮도록 배치된다. 시트 부재(9)는 점착면(9a)의 점착력에 의해 제 2 케이스 부재(4)의 제 2 대향면(4d)에 유지됨과 함께, 가동 접점 부재(2)를 제 2 공간부(4b) 내에 유지하여, 가동 접점 부재(2)와 제 2 고정 접점부(4g)는 상시 접촉된다. 시트 부재(9)는 굴곡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트 부재(9)를 개재하여 가압된 경우에는, 가동 접점 부재(2)의 가동 접점부(2a)는 제 2 공간부(4b) 내에서도 가동 가능하고, 또한 중앙 접촉부(4n)(도 6 참조)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조작 부재(1)는, 버튼부(1c)를 제 1 공간부(5a) 측으로부터 개구부(5e)로 삽입 통과한 상태에서, 제 1 케이스 부재(5)의 제 1 공간부(5a) 내에 유지된다. 또한, 조작 부재(1)는, 그 일부(돌출부(1a)(도 11 참조))가 돌출 형상부(5d)(도 8 참조)에 배치됨과 함께 안내되어, 제 1 공간부(5a) 내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다. 제 1 공간부(5a) 내에 조작 부재(1)를 유지한 제 1 케이스 부재(5)는, 조작 부재(1)의 액추에이터부(1b)가 시트 부재(9)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 2 케이스 부재(4)와 계합한다. 즉, 제 1 대향면(5c)과 제 2 대향면(4d)으로 시트 부재(9)를 끼워 넣고, 제 1 공간부(5a)와 제 2 공간부(4b)가, 조작 부재(1) 및 가동 접점 부재(2)를 수용하는 공간부(3a)를 형성하도록 계합한다. 이와 같이 제 1 케이스 부재(5)와 제 2 케이스 부재(4)를 계합함으로써, 조작 부재(1)의 액추에이터부(1b)와 가동 접점 부재(2)의 가동 접점부(2a)는 시트 부재(9)를 개재하여 접촉한다. 또, 전방 커버 부재(7)는, 조작 부재(1)의 버튼부(1c)가 관통 구멍(7a)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공간부(3a)를 덮도록 제 1 케이스 부재(5)와 계합되어 있다. 또, 후방 커버 부재(8)는, 기부(8a)에서 케이스(3)(제 2 케이스 부재(4))의 후방 측을 덮음과 함께, 아암부(8b)를 전방으로 연장 돌출시킨 상태에서 제 2 케이스 부재(4)와 계합되어 있다. 또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 아암부(8b)가, 전방 커버 부재(7)의 계합부(7b)에 각각 계합되어 전방 커버 부재(7)와 후방 커버 부재(8)가 일체화되어, 커버 부재(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계합부(7b)와 아암부(8b)의 계합은, 후방 커버 부재(8)의 아암부(8b)의 선단부(8c)가, 전방 커버 부재(7)의 계합 구멍부(7c)에 삽입되고, 전방 커버 부재(7)의 전방 측에서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함으로써 행하여져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6)(도 12 참조)가 형성됨으로써, 제 1 케이스 부재(5)와 제 2 케이스 부재(4)는, 시트 부재(9)를 압접 협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는 구성된다. 푸시 스위치(100)가 형성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 형상부(5d)의 일부와 제 2 대향면(4d)의 일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 형상부(5d)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 부재(1)의 돌출부(1a)는, 제 2 대향면(4d)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만, 조작 부재(1)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 부재(2)를 가압하고, 가동 접점부(2a)를 고정 접점부(4a)(제 1 고정 접점부(4f))에 접촉시켰을 때에, 돌출부(1a)는 제 2 대향면(4d)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또,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의 긴 쪽 변과 짧은 쪽 변이 교차하는 개소가 돌출 형상부(5d)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1)의 돌출부(1a)는,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의 긴 쪽 변과 짧은 쪽 변이 교차하는 개소에서, 제 2 대향면(4d)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스 부재(4)의 제 2 대향면(4d)에 있어서, 조작 부재(1)의 돌출부(1a)가 맞닿음 가능한 위치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고정 접점부(4g)의 접촉부(4h)의 외방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9)를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제 1 케이스 부재(5)의 제 1 대향면(5c)과 제 2 케이스 부재(4)의 제 2 대향면(4d)의 사이에는 시트 부재(9)가 끼워져 있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100)의 동작에 대해 도 15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가압 조작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가 오버 스트로크가 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상태는, 푸시 스위치(100)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상접 접점부(2c)는 제 2 고정 접점부(4g)와 접촉하고 있지만, 가동 접점부(2a)는 제 1 고정 접점부(4f)와는 이간되어 있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상태는, 제 1 고정 접점부(4f)와 제 2 고정 접점부(4g)의 전기적인 도통은 없는 상태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1)를 후방 측(X2 방향)으로 가압하면, 시트 부재(9)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부(2a)에 접촉하는 액추에이터부(1b)는 가동 접점부(2a)를 후방 측으로 가압한다. 가압된 가동 접점부(2a)는 후방 측으로 휜 후에 반전하고, 제 1 고정 접점부(4f)에 접촉한다. 가동 접점부(2a)와 제 1 고정 접점부(4f)가 접촉함으로써, 제 1 고정 접점부(4f)와 제 2 고정 접점부(4g)는, 가동 접점 부재(2)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또, 조작 부재(1)에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 접점부(2a)의 탄성력에 의해, 도 15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제 1 고정 접점부(4f)와 제 2 고정 접점부(4g)의 전기적인 도통은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 부재(2)와 제 1 고정 접점부(4f)가 접리하고, 제 1 고정 접점부(4f)와 제 2 고정 접점부(4g)의 전기적인 도통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입력을 행할 수 있으며,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외부 접속 단자(4r)를 개재하여 입력 신호로서 출력되어, 푸시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또, 가동 접점부(2a)와 제 1 고정 접점부(4f)가 접촉할 때, 조작 부재(1)의 플랜지부(1d)(돌출부(1a)(도 11 참조))와 제 2 케이스 부재(4)의 제 2 대향면(4d)은 이간되어 있다. 그러나, 조작자에 의해 조작 부재(1)를 필요 이상의 힘으로 압입 조작한 경우나, 푸시 스위치(100)가 장착된 전자 기기 등을 잘못하여 낙하시켜, 조작 부재(1)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진 경우 등, 가동 접점부(2a)와 제 1 고정 접점부(4f)가 접촉한 후에 오버 스트로크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오버 스트로크가 된 경우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1)의 액추에이터부(1b)가 찌그러짐과 함께, 돌출부(1a)(도 11 참조)가 제 2 케이스 부재(4)의 제 2 대향면(4d)에 접촉하여, 조작 부재(1)가 더욱 후방으로 압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부(1b)가 거의 없어질 때까지 찌그러지도록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액추에이터부(1b)의 선단부가 찌그러지는 정도이고, 액추에이터부(1b)의 선단부가 찌그러진 후여도, 푸시 스위치(100)에의 입력 조작은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로 한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일부의 효과의 설명에는 도 3 또는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도 2에 기재된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고정 접점부(4a)를 갖고, 조작 부재(1) 및 가동 접점 부재(2)를 수용하는 공간부(3a)를 구비하는 케이스(3)와, 공간부(3a)를 덮는 커버 부재(6)를 구비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고정 접점부(4a)는 공간부(3a)의 일면인 가장 안쪽 면(4e)에 노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3)는 가장 안쪽 면(4e)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본체부(4k)를 가지며, 본체부(4k)에는, 후방 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일부 컷아웃된 컷아웃부(4m)를 갖고, 고정 접점부(4a)는, 가동 접점 부재(2)와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부(4f)와, 가동 접점 부재(2)와 상시 접촉하는 제 2 고정 접점부(4g)로 이루어지며, 제 1 고정 접점부(4f)는, 가동 접점 부재(2)와 접촉하는 중앙 접촉부(4n)와, 중앙 접촉부(4n)에 연속해서 가장 안쪽 면(4e)으로부터 노출됨과 함께, 중앙 접촉부(4n)의 주위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4p)를 갖고, 중앙 접촉부(4n)는, 가장 안쪽 면(4e)의 본체부(4k)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가장 안쪽 면(4e)의 후방 측에서 두꺼운 본체부(4k)에 대응한 개소에 중앙 접촉부(4n)를 배치함과 함께, 중앙 접촉부(4n)의 주위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4p)를 설치함으로써, 압입 조작되었을 때에, 케이스(3)에 두꺼운 부분으로 받아들임과 함께, 받아들이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단위 면적당으로 받아들이는 하중을 작게 함과 함께, 하중에 대해 강한 부분으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압입 내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제 2 고정 접점부(4g)의 가동 접점 부재(2)와 접촉하는 주변 접촉부(4q)는, 가장 안쪽 면(4e)의 컷아웃부(4m)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주변 접촉부(4q)를 컷아웃부(4m)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함으로써, 본체부(4k)에 대응한 개소를, 압입 조작 시에 가장 부하가 걸리는 중앙 접촉부(4n) 및 연장 돌출부(4p)에, 더 큰 면적을 확실하게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더 압입 내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스(3)에 인서트 성형된 회로 부재(30)는, 일단에 고정 접점부(4a)를 가짐과 함께, 타단에는, 케이스(3)의 후방 측으로부터 노출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외부 접속 단자(4r)를 가지며, 회로 부재(30)의 고정 접점부(4a)와 외부 접속 단자(4r)의 사이에는,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회로 부재(30)가 연장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허용부(4s)가 형성되고, 허용부(4s)의 폭 치수는, 허용부(4s)를 사이에 둔 개소의 폭 치수보다 작은, 구성으로 했다.
푸시 스위치(100)가 전자 기기 등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푸시 스위치(1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컷아웃이 설치된 기판(CB1)에 장착된다. 푸시 스위치(100)는, 기판(CB1)의 컷아웃 부분의 단부와 컷아웃부(4m)가 계합됨과 함께, 외부 접속 단자(4r) 및 케이스(3)의 복수 개소를 기판(CB1)의 상면에 설치된 랜드(LN1) 상에 배치되고,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전자 기기에 탑재된 상태에서 압입 조작을 했을 때, 외부 접속 단자(4r)는 전자 기기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압입 하중은 외부 접속 단자(4r)에 가해지게 된다. 외부 접속 단자(4r)와 고정 접점부(4a)의 사이에, 전후의 개소보다 폭 치수가 작은 허용부(4s)를 설치함으로써, 압입 조작을 했을 때에, 압입된 방향으로 미소량이기는 하지만 허용부(4s)가 휨으로써, 외부 접속 단자(4r)에 걸리는 부하를 흡수하여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압입 조작에 의해 납땜된 외부 접속 단자(4r)가 어긋나는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더욱 압입 내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고정 접점부(4a)를 갖고, 가동 접점 부재(2)를 수용하는 제 2 공간부(4b)를 구비하는 제 2 케이스 부재(4)와, 제 2 케이스 부재(4)와 계합되어, 조작 부재(1)를 안내하도록 그 일부를 수용하는 제 1 공간부(5a)를 구비하는 제 1 케이스 부재(5)로 이루어지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제 2 케이스 부재(4)는 제 2 공간부(4b)가 개구된 제 2 개구(4c)가 있는 제 2 대향면(4d)을 갖고, 제 1 케이스 부재(5)는 제 1 공간부(5a)가 개구된 제 1 개구(5b)가 있는 제 1 대향면(5c)을 가지며, 제 2 케이스 부재(4)와 제 1 케이스 부재(5)는, 제 2 대향면(4d)과 제 1 대향면(5c)을 대향시켜 계합되고, 제 1 개구(5b)의 외형 형상을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에 겹쳤을 때, 제 1 개구(5b)의 외형 형상은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돌출 형상부(5d)를 가지며, 조작 부재(1)는 제 1 개구(5b)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돌출 형상부(5d)에 배치되는 돌출부(1a)를 갖고, 조작 부재(1)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 부재(2)를 고정 접점부(4a)에 접촉시켰을 때에, 돌출부(1a)는 제 2 대향면(4d)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제 1 개구(5b)의 외형 형상을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에 겹쳤을 때, 제 1 개구(5b)의 외형 형상은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형성된 돌출 형상부(5d)를 갖고, 조작 부재(1)는 제 1 개구(5b)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 형상부(5d)에 배치되는 돌출부(1a)를 갖는 구성으로 했다. 따라서, 잘못하여 조작 부재(1)가 무리하게 눌리는 등, 오버 스트로크가 되었을 때에, 조작 부재(1)의 돌출부(1a)를 제 2 대향면(4d)에 맞닿게 함으로써 스토퍼를 구성하여, 과잉의 압입 시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이면, 가압 조작된 방향으로 가동 접점 부재(2)가 배치된 구조여도, 과잉의 오버 스트로크를 멈출 수 있다. 따라서, 가압 조작된 방향으로 가동 접점 부재(2)가 배치되어, 과잉의 압입에 대응 가능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은, 긴 쪽 변이 직선 형상이고, 짧은 쪽 변이 원호 형상의 직사각형 형상이며, 가동 접점 부재(2)는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고, 조작 부재(1)의 돌출부(1a)는,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의 긴 쪽 변과 짧은 쪽 변이 교차하는 개소에서, 제 2 대향면(4d)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제 2 개구(4c)의 외형 형상을, 긴 쪽 변이 직선 형상이고, 짧은 쪽 변이 원호 형상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며, 짧은 쪽 변과 긴 쪽 변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돌출부(1a)가 제 2 대향면(4d)에 접촉 가능하게 함으로써, 만약 오버 스트로크가 된 경우에, 돌출부(1a)와 제 2 대향면(4d)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더 큰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고 조작 부재(1)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따라서, 가압 조작된 방향으로 가동 접점 부재(2)가 배치되어, 과잉의 압입에 대응 가능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가동 접점 부재(2)는,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 부재(1)는, 가동 접점 부재(2)를 가압하기 위한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액추에이터부(1b)를 가지며, 액추에이터부(1b)는, 가동 접점 부재(2)를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 2 케이스 부재(4)를 파손시키지 않는 소정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찌그러지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 부재(2)를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 2 케이스 부재(4)를 파손시키지 않는 소정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액추에이터부(1b)가 찌그러지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만약 오버 스트로크가 된 경우에는, 먼저, 액추에이터부(1b)가 찌그러지며, 그 후에 돌출부(1a)와 제 2 대향면(4d)이 맞닿게 되기 때문에, 제 2 케이스 부재(4)에 과잉의 가압 부가가 가해지는 것에 의한, 고정 접점부(4a)의 주변의 파손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부(1b)는, 오버 스트로크의 이동량분인 작은 양밖에 찌그러지지 않으므로, 스위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가압 조작된 방향으로 가동 접점 부재(2)가 배치되어, 과잉의 압입에 대응 가능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고정 접점부(4a)는, 제 2 공간부(4b)의 제 2 개구(4c)에 대향하는 측의 면인 가장 안쪽 면(4e)에 형성되고, 가장 안쪽 면(4e)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고정 접점부(4f)와, 가장 안쪽 면(4e)에 있어서 제 2 공간부(4b)의 길이 측의 벽의 가까이에 형성되는 제 2 고정 접점부(4g)로 이루어지며, 제 1 고정 접점부(4f) 및 제 2 고정 접점부(4g)는, 가동 접점 부재(2)가 접촉하는 접촉부(4h)를 갖고 있고, 제 2 케이스 부재(4)의 제 2 대향면(4d)에 있어서, 조작 부재(1)의 돌출부(1a)가 맞닿음 가능한 위치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고정 접점부(4g)의 접촉부(4h)의 외방 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고정 접점부(4g)의 접촉부(4h)의 외방 측이면, 제 2 공간부(4b)의 가장 안쪽 면(4e)으로부터 고정 접점부(4a)가 노출되는 개소가 없어지므로, 제 2 공간부(4b)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제 2 케이스 부재(4)의 측벽을 두껍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케이스 부재(4)의 제 2 대향면(4d)에 있어서, 조작 부재(1)의 돌출부(1a)가 맞닿음 가능한 위치를,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고정 접점부(4g)의 접촉부(4h)의 외방 측으로 함으로써, 돌출부(1a)와 제 2 대향면(4d)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더 큰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고 조작 부재(1)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조작 부재(1)와, 가동 접점 부재(2)와, 고정 접점부(4a)를 갖고, 조작 부재(1) 및 가동 접점 부재(2)를 수용 가능하며 전방 측이 개방된 공간부(3a)를 구비하는 케이스(3)와, 공간부(3a)를 덮는 전방 커버 부재(7)와, 케이스(3)의 후방 측을 덮는 기부(8a)와, 기부(8a)의 양단으로부터 전방 측에 각각 연장 돌출되어 있는 아암부(8b)를 구비하는 후방 커버 부재(8)를 갖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전방 커버 부재(7)에는, 조작 부재(1)가 돌출되는 관통 구멍(7a)과, 양단 측에 후방 커버 부재(8)의 아암부(8b)와 계합되는 계합부(7b)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 커버 부재(7)의 계합부(7b)에 후방 커버 부재(8)의 아암부(8b)가 각각 계합되어 전방 커버 부재(7)와 후방 커버 부재(8)가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후방 커버 부재(8)의 기부(8a)가 케이스(3)의 후방 측을 덮는, 즉 케이스(3)의 후방 측에는 후방 커버 부재(8)가 분단된 개소가 없음과 함께, 2개의 아암부(8b)를 전방 커버 부재(7)와 계합시켜 일체화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가압되어 후방 커버 부재(8)가 분단된 개소가 넓어지지 않으므로, 선행기술에 비해 전방 측으로부터의 압입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한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계합부(7b)가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구멍부(7c)이고, 후방 커버 부재(8)의 아암부(8b)가 계합 구멍부(7c)에 삽입되어, 전방 커버 부재(7)의 전방 측에서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계합부(7b)를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구멍부(7c)로 함으로써, 계합부(7b)를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후방 커버 부재(8)의 아암부(8b)가 계합 구멍부(7c)에 삽입되어, 절곡됨으로써 계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방 커버 부재(7)와 후방 커버 부재(8)를 충분한 유지력으로 계합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전방 커버 부재(7)와 후방 커버 부재(8)를 충분한 유지력으로 계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전방 커버 부재(7)의 계합 구멍부(7c)의 개구 형상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고, 후방 커버 부재(8)의 아암부(8b)의 선단부(8c)는 계합 구멍부(7c)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계합 구멍부(7c)에 삽입되어,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계합 구멍부(7c)의 개구 형상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을 원호 형상으로 함으로써,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의 치수가 내방 측보다 작아진다. 계합 구멍부(7c)와 아암부(8b)를 계합하기 위해, 아암부(8b)의 선단부(8c)를 내방 측으로 절곡했을 때에, 아암부(8b)가 계합 구멍부(7c)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으로 넓어지기 쉽다. 만약 넓어졌다고 해도, 도 18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부(8b)가 계합 구멍부(7c)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도 18에 있어서는 Y1 방향 측)의 원호 형상의 면에 접촉하여, 외방 측으로 넓어지지 않고, 아암부(8b)는 내방 측으로 가까이 대어진다. 따라서, 전방 커버 부재(7)와 후방 커버 부재(8)를 덜컥거림이 없는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빠지기 어려운 강고한 계합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들의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점 부재(2)를 1장 이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수납 가능한 범위에서 사양에 맞춰 이용하는 장수를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가동 접점 부재(2)의 사용 장수를 1장에서 2장으로 늘림으로써, 조작 감촉의 변경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푸시 스위치(100)의 동작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계합부(7b)(계합 구멍부(7c))는 폭 방향의 외방 측이 원호 형상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계합부(7b)의 형상이, 오목 형상이나, 폭 방향의 외방 측이 짧은 변인 사다리꼴 형상의 구멍 등이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계합부(7b)와 아암부(8b)의 계합 개소를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했지만, 상하 방향의 양측에 설치해도 된다. 또, 가능하면, 그때에 상측의 계합 개소를 2개소로 하는 등 계합 개소를 늘려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계합부(7b)와 아암부(8b)의 계합 개소를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했지만, 폭 방향의 양측뿐만 아니라, 동시에 상하 방향의 양측에도 계합 개소를 설치하는 등 하여 계합 개소를 늘려도 된다.
1: 조작 부재 1a: 돌출부
1b: 액추에이터부 1c: 버튼부
1d: 플랜지부 2: 가동 접점 부재
2a: 가동 접점부 2b: 슬릿
2c: 상접 접점부 2d: 연결부
2e: 정상부 3: 케이스
3a: 공간부 4: 제 2 케이스 부재
4a: 고정 접점부 4b: 제 2 공간부
4c: 제 2 개구 4d: 제 2 대향면
4e: 가장 안쪽 면 4f: 제 1 고정 접점부
4g: 제 2 고정 접점부 4h: 접촉부
4k: 본체부 4m: 컷아웃부
4n: 중앙 접촉부 4p: 연장 돌출부
4q: 주변 접촉부 4r: 외부 접속 단자
4s: 허용부 5: 제 1 케이스 부재
5a: 제 1 공간부 5b: 제 1 개구
5c: 제 1 대향면 5d: 돌출 형상부
5e: 개구부 6: 커버 부재
7: 전방 커버 부재 7a: 관통 구멍
7b: 계합부 7c: 계합 구멍부
7d: 판 형상부 8: 후방 커버 부재
8a: 기부 8b: 아암부
8c: 선단부 8d: 장착판부
8e: 장착 돌기 9: 시트 부재
9a: 점착면 30: 회로 부재
100: 푸시 스위치 CB1: 기판
LN1: 랜드

Claims (3)

  1. 고정 접점부를 갖고, 조작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공간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부는 상기 공간부의 일면인 가장 안쪽 면에 노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가장 안쪽 면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에는, 후방 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일부 컷아웃된 컷아웃부를 갖고,
    상기 고정 접점부는,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부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상시 접촉하는 제 2 고정 접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고정 접점부는,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접촉하는 중앙 접촉부와, 상기 중앙 접촉부에 연속해서 상기 가장 안쪽 면으로부터 노출됨과 함께, 상기 중앙 접촉부의 주위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
    상기 중앙 접촉부는, 상기 가장 안쪽 면의 상기 본체부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부의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접촉하는 주변 접촉부는, 상기 가장 안쪽 면의 상기 컷아웃부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장 안쪽 면은, 상기 제 1 고정 접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부에 대향하는 위치가 되는 부분에 상기 주변 접촉부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일부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노출되어 설치된 회로 부재는, 일단에 상기 고정 접점부를 가짐과 함께, 타단에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 측으로부터 노출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외부 접속 단자를 가지며,
    상기 회로 부재의 상기 고정 접점부와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사이에는,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회로 부재가 연장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허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허용부의 폭 치수는, 상기 허용부를 사이에 둔 개소의 폭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KR1020150008690A 2014-03-25 2015-01-19 푸시 스위치 KR101637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2692 2014-03-25
JP2014062692A JP5958976B2 (ja) 2014-03-25 2014-03-25 プッシュ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72A KR20150111272A (ko) 2015-10-05
KR101637395B1 true KR101637395B1 (ko) 2016-07-07

Family

ID=5416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690A KR101637395B1 (ko) 2014-03-25 2015-01-19 푸시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58976B2 (ko)
KR (1) KR101637395B1 (ko)
CN (1) CN104952656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176A (ja) * 2000-01-25 2001-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電子機器、ならびにその装着方法
JP2007324090A (ja) 2006-06-05 2007-12-13 Smk Corp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実装方法
JP2013073905A (ja) * 2011-09-29 2013-04-22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388Y2 (ko) * 1984-10-08 1993-09-21
CN2678092Y (zh) * 2003-11-19 2005-02-09 广州市番禺宝联实业有限公司 焊点即插微动开关
CN201689810U (zh) * 2010-03-19 2010-12-29 褚锦雄 带灯直立型轻触开关
JP2013149351A (ja) 2012-01-17 2013-08-01 Panasonic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176A (ja) * 2000-01-25 2001-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電子機器、ならびにその装着方法
JP2007324090A (ja) 2006-06-05 2007-12-13 Smk Corp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実装方法
JP2013073905A (ja) * 2011-09-29 2013-04-22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52656A (zh) 2015-09-30
JP2015185475A (ja) 2015-10-22
JP5958976B2 (ja) 2016-08-02
KR20150111272A (ko) 2015-10-05
CN104952656B (zh)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878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JP2020187972A (ja) 接続方法、接続構造および接続端子組立体
JP2007324090A (ja)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実装方法
JP2009266700A (ja) 押し込み操作型電子部品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9193770A (ja) 押釦スイッチ
JP2006302718A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1637395B1 (ko) 푸시 스위치
JP6660856B2 (ja) スイッチ装置
TWI338311B (ko)
KR101629819B1 (ko) 푸시 스위치
JP5428890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4557044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6265809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6687260B1 (ja) コネクタ
JP2022068666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CN110291605B (zh) 按压开关
KR101740579B1 (ko) 누름 버튼 스위치
JP4521045B2 (ja) 電子部品
JP6880644B2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US8455776B2 (en) Push switch
JP5911049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5900900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5835841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21022435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KR20090012095A (ko) 푸시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