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141B1 -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 Google Patents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141B1
KR101738141B1 KR1020100040701A KR20100040701A KR101738141B1 KR 101738141 B1 KR101738141 B1 KR 101738141B1 KR 1020100040701 A KR1020100040701 A KR 1020100040701A KR 20100040701 A KR20100040701 A KR 20100040701A KR 101738141 B1 KR101738141 B1 KR 101738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concave member
belt
concave
tof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727A (ko
Inventor
토이치로 타카이
토시아키 신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119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2Guides for sliding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컨베이어 벨트의 하방으로의 처짐과 사행을 방지하여, 두유의 누출이나 두부에 이음매나 주름을 생기게 하지 않고, 깨끗한 두부류를 제조한다.
응고제 함유 두유를 반송하면서 응고시키는 컨베이어 벨트(C)와, 컨베이어 벨트(C)의 하방측에 배치되는 오목 형상 부재(10)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C)는 상기 오목 형상 부재(10)를 따르도록 오목 형상으로 배치되어 응고조(10a, 10b)를 형성하여 반송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C)는 심재의 직물(3) 등에 수지 코팅(7)이 시행된 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A CONTINUOUS TYPE SOLIDIFYING APPARATUS FOR TOFU OR THE LIKE}
본 발명은, 두부류, 예를 들면, 비단 두부, 연두부, 두꺼운 설튀김 두부 원료, 설튀김 두부 원료, 유부 원료, 야채두부튀김 원료, 무명 두부, 연무명 두부, 구운 두부, 냉동 두부 원료 등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두유를 응고시켜 두부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소량생산에서는 성형상자를 사용하여 제조하지만, 대량생산에서는, 성형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두유류를 반송 컨베이어로 반송시키면서 응고시켜 두부류를 연속적으로 성형하여 제조한다. 성형 후는 소정의 크기로 잘라, 팩에 수납한다. 이 두부류의 제조장치로서 여러 장치가 이미 제공되어 있다(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특허문헌 1은, 주 컨베이어 벨트와, 이 주 컨베이어 벨트의 좌우에 배열 설치하는 1쌍의 부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주 컨베이어 벨트, 부 컨베이어 벨트는 동일 속도로 진행하여, 상기 원료 노즐로부터의 두유를 응고시키는 홈통 형상의 응고실을 형성하는 응고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부 컨베이어 벨트의 하단을 주 컨베이어 벨트에 근접시키고 이 주 컨베이어 벨트와 등속이고 또한 동일 방향으로 이행하는 좌우 1조의 측벽 컨베이어를 병렬시키는데, 이러한 형태에서는 두유의 누출이 발생하거나, 구동부나 롤러 등이 많아, 비경제적이고, 비위생적이기도 하며, 또 각각 독립된 것을 동시에 이행시키는 정확한 제어가 어려웠다.
특허문헌 2는, 회전 롤러에 둘러 감아지는 엔드리스 형상의 반송 벨트와, 이 엔드리스 형상의 좌우 양측에 각각 일체로 부착되는 유연성을 갖는 부재(실리콘 고무)에 의해 구성되어 오목 형상으로 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좌우의 가이드 부재와 반송 방향의 전후에 배치되는 칸막이판 사이에 두유를 공급하여 반송시키면서 응고시켜 두부를 제조하는 응고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는, 좌우의 측벽에 사용하는 실리콘 고무의 유연성이나 강도의 면에서 깊은 응고조는 형성하기 어려워, 설치면적이나 생산능력의 면에서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특허문헌 3은 응고기와 성형기에 관한 실시형태이다. 성형기에서의 기재에 있어서, 하부측의 여과포를 올려놓도록 배치된 하부측의 캐터필러 형상의 엔드리스 형상 컨베이어와, 상부측의 여과포를 올려놓도록 배치된 상부측의 캐터필러 형상의 엔드리스 형상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부측의 캐터필러 형상의 엔드리스 형상 컨베이어는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하측의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의 양측에는, 다수의 기복(起伏) 측판이 경첩을 통하여 설치되고, 기복판이 좌우의 안내 레일을 따라 기립됨과 아울러, 상하의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와 함께 이동하는 하부측의 여과포를 단면 오목 형상으로 변화시킨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서는, 기복 측판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거의 직각으로 꺾어 구부러지기 때문에, 하측 여과포는 이 꺾어 구부린 부분 및 그 근방에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또, 하측 여과포는 끊임없이 반복하여 꺾어 구부러짐과 아울러, 인장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손상이나 신장이 격렬하여, 여과포 본래의 수명에 비해 수명이 대단히 짧아지는 문제를 갖는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48331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356819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공 소53-39507호 공보
종래의 두부류의 연속 성형 장치에서는 여과포를 ㄷ자 형상으로 꺾어 구부리는 방식이나, 연속 응고 장치로서 컨베이어나 여과포의 좌우에 측벽 컨베이어를 병렬시키는 방식에서는, 오목 형상의 바닥면과 좌우 측벽과의 간극으로부터 두유가 누출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를 갖는다. 또 가동부가 많아 고장나기 쉽고, 비위생적인 구조였다.
또, 특허문헌 2와 같은 오목 형상의 엔드리스 형상 벨트에서는, 강성이 있는 금속 벨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후에 직경이 큰 축 롤러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 장치가 대형화하는 문제나, 응고공정의 후에, 소정 개수로 잘라낸 후에 패킹을 위한 다른 컨베이어에 갈아타게 하는 공정이 있지만, 축 롤러의 직경이 크면, 갈아타게 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도 갖는다. 또, 장치의 대형화를 피하면서 깊은 응고조를 형성하는 것, 즉 오목 형상의 좌우의 고무제 측벽을 높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면, 두부류의 길이 방향과 단변 방향에서 길이가 다른 두부에서는, 짧은 방향의 길이를 높이(깊이) 방향으로 하여 응고 성형이나 잘라내기를 하는 「가로 내기」를 할 수 있어도, 상기 측벽을 높게 하는 「세로 내기」라 불리는, 두부류의 길이 방향에서의 잘라내기 등을 행하는 것은 어렵다. 즉, 「가로 내기」를 위해서는 기기 폭이 크고, 넓은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에는, 나아가 가성소다나 차아염소산 소다, 열수 등에 의한 세정이나 살균 등의 약제나 열의 내성도 요구되고, 또한 두부의 박리성도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 벨트의 하방으로의 처짐 방지와 사행을 방지함과 아울러, 강인하고 인장강도가 있고, 프레스에 의한 압력에도 강하고, 축 롤러에 부하를 걸기 어렵게 하고, 그리고, 두유의 누출이나 두부에 이음매나 주름을 생기게 하지 않고, 깨끗한 두부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는, 응고제 함유 두유를 반송하면서 응고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와, 컨베이어 벨트의 하방측에 배치되는 오목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내측을 따르도록 오목 형상으로 배치되어 응고조를 형성하여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응고제 함유 두유를 받아, 반송하면서 응고시켜 두부를 배출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컨베이어 벨트의 하방측에 배치되는 오목형 부재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는, 불투수성이며, 상기 오목 형상 부재를 따르도록 오목 형상으로 배치되어 응고조를 형성하여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컨베이어 벨트는 불투수성이며,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전후의 축 롤러에 둘러 감겨 엔드리스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내측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응고조를 형성하여 반송되고,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위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류측 내지는 하류측에는 두유를 막는 둑이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컨베이어 벨트 위의 상류측의 둑은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상류측의 단부 내측을 따르도록 고정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바닥부에 밀접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스프링이나 에어실린더 등의 가압 수단을 설치하여 컨베이어 벨트에 눌러 대도록 해도 된다.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컨베이어 벨트 위의 하류측의 둑은 생산 개시시에 컨베이어 벨트 위에 장착되고, 컨베이어 벨트 위의 하류단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제거되는 착탈식 둑이다. 생산중은 응고하여 형성된 두부 자체가 하류측의 둑이 된다. 또 마찬가지로, 생산 종료시에는, 최후의 두부류가 컨베이어 벨트 위의 하류단까지 이동할 때까지 상류측의 제 2 둑으로서, 컨베이어와 함께 이동하는 착탈식 둑을 설치하고, 마찬가지로 컨베이어 벨트 위의 하류단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제거된다
컨베이어 벨트의 액 접촉측 표면의 재질은, 예를 들면, 식품 위생법의 기구용기 포장에 따른 규격시험에 적합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 위생법의 기구용기 포장에 따른 규격은, 미국에서는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DA(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일본에서는 식품, 첨가물 등의 규격 기준(1959년 후생성 고시 제370호)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지 코팅이 되어 있다면, 두유나 물(세정용수 등)을 통과시키지 않는 불투수성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벨트의 이면이나 중층의 코팅 재료는 식품용이 아니어도 되지만, 벨트의 이면 내지는 오목 형상 부재의 재질은 서로 마찰이 작은, 윤활성이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 컨베이어 벨트는 고무제이어도 되고, 심재(芯材)가 없어도 된다. 심재는 직물이 아니고, 금속제 와이어나, 수지 섬유나 금속 섬유로 이루어지는 실 형상재이어도 된다. 이들 실 형상재를 심재로 하여 종방향(주회(周回) 방향)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가 오목 형상을 형성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또, 컨베이어 벨트의 심재(「심체(芯體)」라고도 한다.)로서 「범포」가 1장 내지 2장 이상 겹쳐진 타입이나, 심체 재질은 「아라미드 섬유」이외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유리 섬유, 폴리아미드 등이나 심체가 직물제가 아니고, 스틸 타이어와 같이 벨트 내에 아라미드 심선·스틸 중선을 갖는 벨트이거나, 펀칭판과 같이 다공질의 부재이어도 된다. 범포나 중심선에 함침 내지는 첩부되는 벨트 커버 재질은 우레탄 수지(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염화비닐 수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식품용 벨트」로 알려져 있는 것을 널리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여 응고조로 하면, 바닥부와 좌우의 측벽 사이에서 두유가 누출되는 것은 없다. 또, 컨베이어 벨트가 오목 형상 부재를 따라 꺾어 넣어지게 되므로,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는 기능도 갖는다.
본 발명으로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통상의 평활한 표면의 식품용 벨트이어도 되지만, 적어도 두유가 주입되는 쪽(접액측, 표면측)의 일방측 표면에는 수지 코팅이 시행되어 있는 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컨베이어 벨트는 고무제이어도 되고, 심재가 없어도 된다. 심재는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부여하고, 다시 오목 형상으로 되꺾이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직물 이외에, 그물 형상 부재나 종방향(주회 방향)을 따라 구성된 실 형상 부재이어도 된다. 이들 심재의 재질은 무명·삼 등의 천연 섬유나 각종 화학합성 섬유나, 특히 경사(날실)에 강성이 있고, 늘어나지 않는 재질이 바람직하고, 가는 금속선이어도 된다.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 형상 부재가 금속제(스테인리스, 티탄, 알루미늄 등) 또는 수지제의 고정 부재 내지는 가동 부재가 좋다. 특히 상기 직물은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로, 불소 수지 코팅이 행해진 불투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심재에 수지 코팅된 벨트로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신장을 억제하여 강도도 증가하고, 벨트 자체를 얇게 할 수 있어 열전달율이 좋아, 고온 응고에서는 응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오목 형상 부재와의 마찰에도 내구성을 발휘한다. 열전달율이 향상되면, 내구성 오목 형상 부재에 보온·가열 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반대로 종래보다 응고 온도를 어느 정도 내려도 탄력이 있는 보수성이 좋은 고품질의 두부를 제조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목 형상 상태로부터 평벨트로 복귀할 때나, 꺾임선을 만드는 경우에도, 그 탄성력에 의해 평벨트의 상태로 복귀하기 쉽다.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이고, 불소 수지 코팅이 된 불투수성이라면, 오목 형상 부재가 강철제나 금속제이어도, 상기 여러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으로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오목 형상의 좌우의 바닥측의 모서리부는 상기 직물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 형상으로 꺾어 넣어 쉬워지기 때문이다.
다른 형태로서, 미리 벨트 좌우를 다 꺾은 상태에서 성형하여, 모서리부를 얇게 하지 않고 꺾은 자국이 형성된 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래의 단면형상이 오목 형상이며, 롤러 축부에서는 평평하게 넓혀진 형태로 되어 둘러 감긴다. 또 얇은 직물이며, 횡방향으로 유연성이 풍부한 벨트로, 모서리부를 얇게 하거나, 미리 꺾은 자국을 형성하지 않은 형태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오목 형상 지지판이나 가이드로 안내되어 횡방향 임의의 위치에서 꺾어 구부러지는 형태이어도 된다.
본 발명으로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전후의 축 롤러에 둘러 감겨 엔드리스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응고조를 형성하는 전후의 축 롤러의 위치에서는 평벨트로 복귀된 상태로 되어 상기 축 롤러에 휘감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엔드리스 형상 벨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생산 중은 1방향으로만 감기는 벨트이어도 된다.
컨베이어 벨트의 좌우단을 꺾어 넣은 상태 그대로 축 롤러에 둘러 감으면, 축 롤러에 큰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축 롤러를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평벨트로 복귀된 상태로 되어 상기 축 롤러에 휘감겨지므로 축 롤러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고(금속 벨트와 같이 큰 직경의 롤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데다, 금속 벨트나 롤의 자중이나 장력에 의한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의 주회 범위(외주)를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후공정의 절단 분배 컨베이어 등으로의 갈아타기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어, 갈아타기를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서는, 상기 축 롤러 양단을 중앙부보다 그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양단부를 중앙부보다 그 직경이 가는 직경으로 되는 세경부로 하여, 이 테이퍼 부분 또는 세경부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의 양단부가 둘러 감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 롤러의 양단을 테이퍼 형상이나 세경부로 하기 때문에, 주회 길이의 차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벨트 양단부는 수평으로부터 기립한 후, 기립 부분을 수평으로 복귀시키는(평벨트로 함)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바닥면(수평부)과 좌우측의 기립 부분의 주회 길이의 차가 생기지만, 기립 부분의 폭에 맞는 롤 축 부분을 테이퍼 형상 등으로 함으로써 그 주회 길이의 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과 같이, 평벨트의 도중에 좌우 양단을 기립시키도록 구동하는 컨베이어에서는, 컨베이어 벨트에 걸리는 종방향(길이 방향)의 텐션이 생기므로, 컨베이어 벨트의 느슨해짐 대책으로서 유효하다. 또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또, 본 발명으로서는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위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 위에는, 두유를 막는 상류측의 둑이 배치되고, 상류측의 둑은 오목 형상 부재의 상류측에서, 상기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바닥부에 밀접시키는 고정판이며, 상기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내측에 밀착시켜 따르도록 내리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류측의 둑은,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상류측의 단부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밀착시키도록, 즉,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상류측의 단부의 내측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내리누르는 사각 형상의 판재 내지는 각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상류측의 단부 내측을 따른 사각 형상의 판인 것에 의해, 상기 오목 형상 부재에 반송되어 오는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입구가 되는 중요한 위치에서 위치 맞춤할 수 있어, 사행 방지의 기점이 됨과 아울러,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면적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에 의하면, 수지 코팅이 행해진 컨베이어 벨트를 오목 형상의 응고조로서 형성하여, 두유를 두부로 성형하고, 전후의 축 롤러 부분에서는, 평벨트로 전개하여 복귀시키고나서 둘러 감으므로, 종래의 측벽측에도 컨베이어 벨트를 배치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구성에서, 바닥부측과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으로부터 두유가 누출되는 것과 같은 일이 사라져, 간단한 구성으로 장치 비용의 경감이 가능하다. 또, 바닥과 좌우의 벽측 사이에서 두유의 누출이 없기 때문에, 벨트 이면이나 주변이 더럽혀지지 않아, 위생적이다. 직물제 벨트의 표면측에는 적어도 수지 코팅이 시행됨으로써 종래 발생하고 있던 바닥과 좌우 벽측 사이에서 이음매가 생기지 않게 되고, 이 결과, 블록 형상의 두부의 외주 표면이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또, 전후의 축 롤러 부분에서는 평벨트로 구성하면, 축 롤러의 직경을 작고 가늘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성형기로부터 후공정의 절단 컨베이어나 오토팩 등으로 두부를 갈아타게 하기 쉬워진다. 특히, 기계폭을 넓게 하고, 기계 길이를 길게 한 장치에서도, 축 롤러의 직경을 작고 가늘게 할 수 있어, 축 롤러에 걸리는 부하를 작게 하거나, 공간절약화가 가능한 이점은 크다. 그리고, 오목 형상 부재의 좌우의 측벽을 높게 해 두고, 그것에 따르도록 컨베이어 벨트를 배치시킴으로써 블록 형상의 두부의 높이를 깊게 형성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비단 두부 등에서 「세로 내기」의 응고조로 해도, 축 롤러의 직경은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장치의 길이나 장치의 폭을 짧고, 설치 스페이스를 적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다음 반송 컨베이어 등에 용이하게 갈아탈 수 있는 구조로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기 1실시형태의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반송 방향의 선단측(하류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그곳에서 사용되는 축 롤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c)는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상류측의 단부 내측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내리누르는 사각 형상의 판인 상류측의 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a)는 상기 1실시형태의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반송 방향의 후방측(하류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b), (c)는, 그곳에서 사용되는 축 롤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1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1실시형태의 컨베이어 벨트의 단면도로, 도 5(a)는 평벨트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b), (c)는 ㄷ자 형상으로 꺾어 넣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a), (b)는 상기 1실시형태의 응용예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 (b)는 종래의 오목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설명하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1실시형태의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다른 컨베이어에 옮기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7의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다른 컨베이어로 옮기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로, 도 9(a)는 갈아타기 판, 도 9(b)은 갈아타기 컨베이어를 도시한다.
도 10은 상기 1실시형태의 응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두부의 세로 내기와 가로 내기를 설명하는 두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1실시형태의 장치와, 그 후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성형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1실시형태의 장치와, 그 후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성형기를 도시하는 다른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 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2)의 상방에 배치되는 오목 형상 부재(10)와, 베이스(2)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구동하는 컨베이어 벨트(C)를 구비한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1)이다. 또한,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1)에 의해, 응고된 시트(벨트) 형상의 두부(T)는, 비단 두부나 연두부의 경우는 파쇄되지 않고, 무명 두부나 설튀김 두부 원료 등의 경우, 도 12나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쇄 장치(Mi)에서 파쇄되어, 다음 성형기(21, 22)나, 도시하지 않지만, 절단 분배 장치나 패킹 장치에 반송된다.
베이스(2)는, 전후에 발을 갖는 강철제 또는 스테인리스제의 것이며, 그 상방에 오목 형상 부재(10)가 배치되고, 베이스(2)의 전방(하류측)에 구동축 롤러(4)와 후방(상류측)의 종동축 롤러(4)가 배치되고, 베이스(2)의 중앙의 하측에는, 텐션 롤러(8)가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 벨트(C)는 엔드리스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1쌍의 축 롤러(4, 4A)에 둘러 감기고, 텐션 롤러(8)에 의해 텐션이 걸린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상류측에 감아둔 벨트를 하류측으로 권취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베이스(2)의 하방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컨베이어 벨트(C)를 세정하는 세정조가 구비되어 있다. 응고제 혼합을 마친 온두유는, 그 공급 파이프(6)가 배치되는 상류측으로부터 컨베이어 벨트(C)에 공급되고, 오목 형상의 응고조(Ca, Cb)를 형성한 후, 평벨트로 복귀되는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되는 과정에서 응고한다. 즉, 시트(벨트) 형상의 두부(T)로 된다. 또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 장치는 축 롤러(4)가 아니고, 베이스(2)의 하측에 배열 설치해도 된다.
오목 형상 부재(10)는, 컨베이어 벨트(C)를 그 하방측 및 양 측방에서 지지하여, 그 오목 형상을 따르게 하는 것으로, 단면 ㄷ자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오목 형상 부재는 고정된 것으로 이동하지 않는데, 고정식의 오목 형상 부재(10)로서는 강철제, 스테인리스제, 티탄 등의 금속제 또는 수지제이어도 된다. 또, 오목 형상 부재(10)는, 메쉬 형상의 철망이나 다수의 작은 구멍·세공이나 다수의 홈이 형성된 펀칭판으로 구성된 것이나, 상기 금속제 등의 플레이트판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 즉 투수성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베이어 벨트와 오목 형상 부재 사이에 배수성이 좋아져 세정이 쉬워진다.
오목 형상 부재(10)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컨베이어와 같은 캐터필러나 메쉬 형상의 철망 벨트나 다수의 작은 구멍·세공이나 다수의 홈이 형성된 펀칭벨트로 구성된 것과 같이 가동형으로 할 수도 있고(도 1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이동함), 이 가동형의 경우, 두유나 두부(T)의 자중에 의해 마찰저항이 큰 경우에 유효하다. 오목 형상 부재(10)로서는 응고조의 측면 내지는 바닥면의 지지부(컨베이어 벨트(3)가 미끄러지는 면)를 2중 재킷 구조로 하여 보온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층만의 2중 재킷으로 하여 보온만 해도 된다. 오목 형상 부재의 바닥부(10a) 또는 측벽부(10b)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의 바닥부(Ca) 또는 측벽부(Cb)를 통하여, 보온·가열됨으로써, 두부(T)의 품질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베이어 벨트(C)는 열전달상, 효율이 좋은 얇은 벨트(0.5∼5mm)가 바람직하다. 또, 오목 형상 부재(10)의 2중 재킷 내에 증기나 온수를 공급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 온도조절 내지는 보온하거나, 컨베이어 벨트(C)의 이면의 살균도 한다. 상방측에는 커버나 수증기를 배기하는 배기구멍을 설치하는 것은 임의이며, 또한 두부(T) 위의 공간에 수증기를 공급하고, 보온 내지는 가열을 행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상류측의 축 롤러(4)는 작은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도 2(a), (b)). 하류측의 축 롤러(4)(예를 들면, 구동축)도 이것과 동일한 작은 롤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류측의 축 롤러(4)는 그 좌우의 선단측이 테이퍼 형상(4Ba)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a), (b)). 이것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C)의 텐션의 불균일을 경감하기 위함과, 컨베이어 벨트(C)의 바닥면과 양단부의 주회 길이의 차를 경감하기 위해서이다. 즉, 컨베이어 벨트(C)의 좌우 양단부는, 오목 형상 부재(10)에 의해 오목 형상으로 기립하고, 기립 부분을 수평으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데, 바닥면(수평부)(10a)과, 기립 부분(측벽부; 10b)의 주회 길이의 차가 생기기 때문에, 기립 부분(10b)의 폭에 맞는 축 롤러(4)의 좌우의 선단측(4Bb)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주회 길이의 차를 흡수한다. 축 롤러(4)로서는 그 중앙부보다 양단부를 가는 직경으로 한 이경축(異徑軸)(세경부(細徑部))(4Ca)를 사용해도 된다(도 3(c)). 이들 축 롤러(4(4A, 4B, 4C))를 사용하면, 오목 형상 부재(10) 부분에서 좌우 양측을 기립시키도록 구동하는 컨베이어 벨트(C)에서는 컨베이어 벨트(C)에 걸리는 종방향(길이 방향)의 텐션을 균등하게 걸 수 있다. 다른 한편, 두유가 공급되는 상류측의 축 롤러(4)는 둥근 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도 1), 하류측의 축 롤러(4)와 동일하게 선단측이 테이퍼 형상(4Ba)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여, 이러한 위치에서도 컨베이어 벨트(C)의 바닥면과 양단부의 주회 길이의 차를 경감해도 된다.
컨베이어 벨트(C)는, 오목 형상 부재(10)의 위치에서는, 오목 형상 부재(10)를 따르도록 하여 오목 형상으로 꺾어 넣고, 단면이 오목 형상의 하면부(바닥부; Ca)와 그 양측으로 수직 설치되는 수직 설치부(측벽부; Cb, Cb)가 형성된다. 즉, 하면부(Ca)는 오목 형상 부재(10)의 하면부(바닥면; 10a)와 접촉하고, 좌우의 수직 설치부(Cb, Cb)는 오목 형상 부재(10)의 좌우의 측벽부(10b)와 접촉한다. 여기에서, 도 6(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C)는 오목 형상 부재(10)에 대하여 원호 형상을 따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명 두부, 설튀김 두부 원료, 두꺼운 설튀김 두부 원료, 유부 원료, 야채두부튀김 원료 등과 같이 파쇄를 행하는 제품이면, 컨베이어 벨트(C)의 좌우 단부를 원호 형상을 따르게 할 때는, 컨베이어 벨트(C)의 심재(직물)(3) 또는 수지 코팅(7)을 종방향(반송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얇게 하거나, 꺾임선(Ct)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강도의 유지가 의도되는 이점이 있다. 또, 도 6(b)와 같이 오목 형상 부재(10)의 좌우 측벽(10b)에 걸리도록, 굴곡부의 R이 크거나, 또는 꺾임선 등을 형성하지 않은 컨베이어 벨트(C)를 배치하면, 컨베이어 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또 모난 두부 응고물이 적으므로, 귀떨어지기 어려워 두부 찌꺼기의 잔류가 적어져, 가열 장치로 가열될 때에 열이 지나치게 걸리는 부분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균일하고 고품질의 응고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C)는 오목 형상 부재(10)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고, 상류측의 축 롤러(4)에서는, 평벨트의 상태에서 둘러 감아져 있지만, 오목 형상 부재(10)의 위치에서는, 평벨트의 상태로부터 오목 형상으로 꺾어 넣어지게 되고, 상류측과 하류측의 축 롤러(4)의 위치에서는, 다시 평벨트의 상태로 복귀되어 둘레를 회전하는 운동을 한다. 컨베이어 벨트(C)는 오목 형상 부재(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도 그 전후에서 길게 끌어 내져서 축 롤러(4)에 감겨 장착된다(도 1, 도 2 및 도 3).
컨베이어 벨트(C)는 직물제로 수지 코팅이 되어 있는 부재가 바람직하다. 일반의 식품용 벨트이며 얇고 유연성이 있고 강도가 있는 벨트이면 되고,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3)에 불소 수지 코팅(7)을 하고, 불투수성으로 하고 있다(도 5)). 오목 형상 부재(10)와의 마찰저항이 적고 늘어남도 적게 하기 위해서이다. 컨베이어 벨트(C)는 표리 2층 구조나 다른 재질의 벨트와 맞붙인 다층 구조이어도 된다. 즉, 직물(3)도 수지 코팅(7)도 다층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벨트 이면에, 사행 방지용의, 예를 들면, 볼록 형상 벨트를 용착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시는 하지 않지만, 구동축과의 슬립을 막기 위하여, 벨트 이면, 횡방향에 요철을 갖는 형상으로 하여, 구동축의 요철과 맞물리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컨베이어 벨트와의 마찰을 높인 금속제 내지는 수지·고무제 축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컨베이어 벨트(C)의 하방측의 귀로(롤 축(4)으로부터 롤 축(4)까지의 사이)에 별도 구동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특히 컨베이어 벨트(C)의 양단의 꺽임 부분은 벨트 종방향으로, 홈 내지 칼집 내지는 직물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꺾어 구부러짐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부나 양 사이드에는 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고정의 오목 형상 부재 내지는 지지조(수지, 금속, 스테인리스 등; 예를 들면, 단면 ㄷ자형의 배 형태 응고조; 이외에 가이드 레일·바에 의한 형태 등), 내지는 가동식 오목 형상 부재(예를 들면, 벨트와 동조 구동하는 캐터필러)를 구비한다.
심재를 구성하는 직물(3)이나 실 형상·그물 형상의 부재의 섬유는, 예를 들면, 「수퍼 섬유」나 「엔지니어링 섬유」로 알려져 있는 최근 개발된 섬유이며,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데이진테크노 프로덕트제 「테크노라」 「토와론」, 도레이·듀퐁제 「케블라」 등)나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데이진 테크노 프로덕트제 「코넥스」 등)가 바람직하다. 아라미드 섬유 이외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도요보 「다이니마」 「츠누가TM」 등), 폴리이미드 섬유(도요보 「P84」), 폴리아릴레이트 섬유(쿠라레제 「벡트란」, 미국 하니웰제 스펙트라 섬유) 등), 폴리파라페닐렌벤조비스옥사잘(PBO) 섬유(도요보제 「자일론」 등),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섬유(도요보제 「프로콘」, 도레이제 「토르콘」), 불소 섬유(도레이제 「토요플론」 「테프론」), 고강도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섬유(쿠라레제 클라론 K-II), 폴리케톤 섬유(아사히카세이제 「사이버론」)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을 복합하여, 방적한 실 내지는 임의로 조합하여 짠 직물이어도 된다. 또 다소의 강도가 뒤떨어져도, 종래의 일반 수지제의 섬유나 천연 소재의 섬유(무명·마사·비단 등)로 이루어지는 직물이어도 된다. 어느 재질이어도, 가는 모노 필라멘트(0.5mm 이하) 내지는 그것을 꼬아 합친 멀티 필라멘트 내지는 방사이며, 고장력 섬유, 내피로성(내굴곡 피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의 방직 방식은, 평직, 능직 등, 적어도 두께가 얇고, 종방향으로 늘어나기 어려운 방직 방식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늘어남이 큰 직물이면, 두부(T)의 중량에 의한 마찰이 크고, 직물의 신축에 의한 급격한 이른바 딸꾹질 현상(컨베이어 벨트가 느려졌다 갑자기 빨라졌다를 반복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고강도의 부직포 타입이어도 된다. 모노 필라멘트가 0.5mm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은 꺾어 구부리는 R이 커, 두부의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수지 코팅(7)은, 이면에 대해서는 오목 형상 부재(10)와의 마찰이 적고, 표면에 대해서는 식품 위생상의 규격 기준(각국의 규격 기준)에 따른 수지이고, 두부와의 박리성이 좋고, 굴곡부의 박리나 균열이 일어나기 어려운(내굴곡 피로성 있음) 쪽이 바람직하다. 이 수지 코팅(7)도 지나치게 두꺼워 지면, 유연성이 부족하여, 굴곡부의 R도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비단 두부의 경우, 모서리의 R이 10mm 이상 크면 외관이 나빠지고, 양단의 두부만 중량 부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두부의 모서리의 R이 5mm 이하이면 실질적인 문제가 되기 어렵다. 두유가 주입되는 쪽의 일방측 표면에 적어도 수지 코팅(7)이 시행되어 있으면 되지만, 이면도 포함하는 전체 수지 코팅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체 수지 코팅이 시행됨으로써 불투수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오목 형상 부재(10)가 금속제 또는 강철제 등의 고정이고 불투수성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아라미드 섬유(3)에 불소 코팅(7)을 행함으로써 굴곡의 반복에 의한 코팅의 박리 등이 없고(내굴곡 피로성이 높고), 두부의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도, 미끄러짐이 좋아지고, 또, 땅김이 있어도 늘어남이나 변형이 거의 없고, 0.5∼5mm 정도로 얇아도 인장강도가 있고, 마모에 강하고(특히 오목 형상 부재(10)와의 마찰에도 강하고), 파손이 적고, 또 발수성이 있어 두부의 박리성이 좋고, 더러운 물질도 부착되기 어려워 위생적이며, 열(고온)에 강하고(상기 응고조의 가열 수단이 배치되는 경우), 내약품성도 우수하다.
컨베이어 벨트(C)에는, 예를 들면, 직물(3)의 얇은 부분(3d)을 설치하고, 이 부분으로부터 오목 형상으로 꺾어 넣기 쉽게 하고 있다(도 5(c)). 반대로, 도시하지 않지만, 수지 코팅(7)의 층을 얇게 해도 된다. 또 절취선 등의 꺾음용의 선(Ct)을 형성해도 된다. 또, 도 5(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코팅(7) 부분으로만 하고, 직물(3) 부분을 없애고(도 5(a), (b)), 이 오목 형상의 좌우의 바닥측의 모서리부가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미리 ㄷ자형으로 프레스 성형하거나, 꺾임선의 자국을 형성한 컨베이어 벨트이어도 된다.
컨베이어 벨트(C)의 상류에는, 상류측의 둑(9)이 설치되어 있다(도 1). 상류측의 둑(9)은, 컨베이어 벨트(C)에 누출되지 않게 밀접하고, 또한 컨베이어 벨트(C)를 오목 형상 부재(10)의 내벽에 눌러 붙여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는 고정판이다. 또는, 상류측의 벨트 축의 높이를 두유 응고물의 깊이 이상으로 하여 누출을 완전히 없앤 형태이어도 된다. 그 때는, 컨베이어 벨트(C)에서 형성되는 경사를 이용하여 응고제 함유 두유를 컨베이어 벨트(C) 위에 부드럽고 균일하게 부을 수 있고, 응고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컨베이어 벨트의 양단의 되꺾이는 모서리는 모가 날 필요는 없고, 도 6과 같이 둥근 모양(R)이 있어도 문제없다. 적당하게, 컨베이어 벨트의 누름 롤이나 안내 가이드 등을 형성해도 된다. 또 컨베이어 벨트는, 부어진 두유 응고물의 자중으로 점차로 ㄷ자형 지지 부재(10)의 내측으로 넓게 퍼져가면서, 바닥 모서리부는 둥근 모양이 적은 형태로 꺾어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후방(상류측)의 축 롤러(4)의 위치는 오목 형상 부재(10)의 바닥부(10a)와 거의 동일한 높이이지만,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롤러(4)의 위치를 오목 형상 부재(10)의 바닥부(10a)보다도 높게 함으로써(두유의 하중이 걸리는 오목 형상 부재(10)보다도 상류측의 축 롤러(4)의 위치를 높게 해 둠으로써), 둑(9)을 사용하지 않고 두유의 응고 성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컨베이어 벨트(C)에서 형성되는 경사부의 하측에도 동일하게 경사진 지지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류측의 둑은,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오목 형상 부재(10)의 상류측 단부 내벽부(10t)를 따라, 컨베이어 벨트를 내리 누르는 사각 형상의 판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 형상 부재(10)로 반송되어 오는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C)를 누르는 시점이 되는 중요한 위치에서 위치 맞춤할 수 있어, 사행 방지에 효과적이고, 상기 오목 형상 부재(10)의 면적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 특허문헌 2와의 비교에서는, 굳이 강성이 있는 벨트(금속 벨트 등)를 사용하지 않아도, 그 하방측은 오목 형상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내측을 따르도록 배치되게 되는 이점도 갖는다. 그 결과, 두유의 응고상태(두부의 외주)를 깔끔하게 마무리하게 된다. 즉, 컨베이어 벨트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만으로는, 두유의 무게로 늘어져서 둑을 배치해도 아래쪽에서 누출할 우려가 있지만, 두유를 막는 둑이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위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 위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그러한 걱정은 없고, 단지,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오목 형상 부재의 위에 배치해도,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내측을 따르도록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축 롤러의 높이 위치나, 평벨트로 되감기거나 함으로써,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내측을 따르도록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 둑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바닥부에 접하도록 눌러 내리게 배치됨으로써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내측을 따르도록 배치된다(도 1 참조), 라고 하는 작용 효과(둑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컨베이어 벨트의 안정자세를 유지함)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그 결과, 두유의 응고상태(두부의 외주)를 깔끔하게 마무리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류측의 둑의 하류측에서는, 두유가 공급되므로, 두유의 무게에 의해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바닥부에 접촉시킨다. 이것은, 두유가 공급되면,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응고하여 고정된 무게추와 같이 균일하게 하중이 걸리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 장치가 큰 것이나 "세로 내기"(두부 한모의 치수 중 최대의 변을 깊이에 맞춤)로 하는, 즉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에서 구성되는 응고조의 깊이를 깊게 함으로써 두유 내지는 두유 응고물을 하류측으로 반송하면 더한층 효과적이다.
한편, 하류의 둑(9a)은, 도 10과 같이, 생산 개시시에만, 착탈식 둑을 사용하고, 시트(벨트) 형상 두부(T)가 형성된 후는, 착탈식 둑은 제거하고, 그 두부 자신이 둑이 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생산 종료시에도 착탈식 둑을 두부(T)의 후단(제2의 상류측의 둑으로서)에 사용한다. 또, 이러한 하류측의 착탈식 둑이나 제2의 상류측 착탈식 둘도, 상기 상류측 둑과 마찬가지로, 상기 오목 형상 부재(10)의 상류측 단부(10t)를 따라, 컨베이어 벨트를 눌러 내려,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내측을 따르도록 밀착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1)를 사용하여 두부를 응고 성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비단 두부의 제조를 예로 설명하지만, 두부류, 예를 들면, 두꺼운 설튀김 두부 원료, 설튀김 두부 원료, 유부 원료, 야채두부튀김 원료, 냉동 두부 원료, 무명 두부, 구운 두부, 연무명 두부 등이나 이것들의 냉동 제품, 레토르트 제품 등의 제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수단(Mt)에 의해 구동 롤러(4)를 구동하면, 컨베이어 벨트(C)가 구동한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C)에는, 얇은 부분(3c이나 3d)이나 꺾임선(Ct)이 있으므로, 벨트 적층 부재(3)의 위치에서는, 이 부분을 경계로 하여 좌우단(Ct)이 꺾어 넣어져서 오목 형상(응고조(Ca, Cb))을 형성하지만, 후방(상류측)과 전방(하류측)의 축 롤러(4, 4)의 위치에서는, 평벨트의 상태로 복귀되어 반송 가능 상태로 된다(도 1). 컨베이어 벨트(C)의 텐션은 텐션 롤러(8)에 의한 조정 외에, 축 롤러(4)의 좌우의 선단측(4Bb)의 테이퍼 형상 부분이나 이경축(4Ca)에서도 조정 가능하다(도 3). 컨베이어 벨트(C)의 얇은 부분(3c나 3d)과 같은 꺾임선(Ct)이 있으므로, 축 롤러(4)의 좌우 선단의 테이퍼 형상 부분(4Bb)에 그 형상을 따르게 된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C)의 오목 형상 부분(응고조(Ca, Cb))에 간수 등의 응고제를 첨가·혼합한 두유(응고제 함유 온 두유에서, 두유 고형분 농도 3∼15%wt, 온도도 40∼99℃ 이상, 바람직하게는 60∼95℃가 통상이다.)를 그 공급 수단(6)으로부터 공급하면, 응고되면서 컨베이어 벨트(C)에 의해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가고, 그 반송의 과정에서 응고된 상태의 두부(시트 내지는 벨트 형상의 두부)(T)가 연속적으로 내보내진다. 도시하지 않지만, 이와 같이 연속 성형기(21, 22)에서 연속적으로 응고 성형된 시트(벨트) 형상의 두부는, 컨베이어에서 반송되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횡 절단)되어 블록 형상의 두부가 되고, 블록 형상의 두부(T)의 위에서 이동 가능한 칼날(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으로 간격조정 가능한 칼날)을 구비하는 절단 분배 장치(종 절단)로 반송방향으로 절단되어 1모 단위의 두부로 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컨베이어 벨트(C)에 의해 응고하는 경우에는, 오목 형상 부재(10)의 위치에서 원호 형상으로 되므로, 좌우의 모서리는 조금 둥근 모양을 띤 형상으로 두부가 성형되게 된다. 또한, 무명 두부의 경우에서는 전량을 파쇄하는 공정 때문에 이 R이 커도 문제없다. 비단 두부의 경우에는 이 R이 가능한 한 작은 편이 좋고, 경우에 따라서는, 수율은 떨어지지만, 이 부분은 가장자리로서 잘려진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와 같이 비단 두부의 두께를 두유 깊이로 하는 「가로 내기」에 대하여, 연두부 제품의 최장변의 길이를 두유(두부) 깊이로 하는 「세로 내기」가 가능하다. 도 11(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단 두부(T)의 두께(Tb)를 두유 깊이로 하는 「가로 내기」에 대하여, 직방체의 연두부 제품의 두께 이외의 2변 중 하나, 예를 들면, 최장변의 길이(Ta)를 두부(T)의 깊이로 채용하는 「세로 내기」가 가능하다. 특허문헌 2와 같은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C)에서는, 금속 벨트 때문에, 직경이 큰 축 롤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되고, 또 컨베이어 벨트(C)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된 좌우의 고무제 측벽(11a)이 축 롤러부에서 주회할 때 늘어나는 신장값에 한도가 있어, 직경이 작은 축 롤러(4)을 사용할수록 불리하기 때문에, 직경이 큰 축 롤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는 좌우의 측벽(11a)의 높이를 낮게 할 필요가 있어, 가로 내기의 깊이밖에 확보할 수 없었다.
소정의 크기로 잘라진 두부는 배출측 컨베이어에 의해 배출되어, 다음 패킹 공정으로 옮겨진다. 배출측 컨베이어에 의해 배출되는 경우, 종래의 축 롤러의 직경이 큰 것에서는 갈아타기 위하여, 거리가 긴 중계판(12)(도 9(a) 참조)이나 중계용의 컨베이어(13)(도 9(b) 참조)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는 직경의 롤러 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중계판(12)을 짧게 할 수 있어, 중계용의 컨베이어(13)도 불필요하게 되어, 다음 공정의 반송 컨베이어(14)에 부드럽게 갈아타게 할 수 있다. 또, 도 7(a), (b)는 종래의 특허문헌 2의 오목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이지만, 그 좌우의 측벽부(11a)를 높게 하면, 축 롤러에 걸리는 부하가 커져 감아 돌리기(주회 구동)도 어렵게 되기 때문에, 높게 하는 것은 어렵다(도 9(b)). 축 롤러(15)의 직경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오목 형상 부재(10)의 좌우의 측벽부(10b)를 높게 하여 컨베이어 벨트(C)의 응고조(Ca, Cb)를 높게(깊게) 해도, 축 롤러(4, 4)의 위치에서는 평벨트로 복귀되는 것이나, 축 롤러(4, 4)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는 것 등에서 문제는 없다. 즉, 축 롤러(4)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는 만큼, 컨베이어 벨트(C)의 응고조(Ca, Cb)를 높게(깊게) 할 수 있다.
무명 두부의 경우에는, 비단 두부의 경우보다도 조금 응고제를 좀 많게 하거나, 두유를 연하게 하는 등 약간 조건은 상이한 경우가 있고, 여기에서는, 도 12나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하게 비단 두부 형상으로 응고한 두부를 파쇄하고, 균일하게 하여, 연속 성형기(21, 22)의 하측 직물(21a, 22a) 위에 반송하고, 상측 직물(21b, 22b)로 프레스 하여 무명 두부로 만든다. 시트 형상의 두부(비단 두부 형상의 블록)에서는, 그대로 압착해도, 무명 두부와 같이 충분히 물빼기를 할 수 없으므로, 믹서(Mi)(파쇄 장치)로 부순다. 본 실시형태의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1)에서 응고하여 시트 모양으로 성형하고, 장치(1)의 하류에서 믹서(Mi)로 블록 형상의 두부(T)를 파쇄하고, 연속 성형기(21, 22)의 투수성 직물로 사이에 끼워 압착하면서 프레스·성형한다. 또한, 비단 두부에서는, 응고한 두부를 파쇄하지 않고, 상기 그러한 압착은 하지 않고, 연속 성형기(21, 22)의 하측 직물(21a, 22a)로 반송(숙성)하여 비단 두부로 만든다. 연두부의 경우에는, 가로 내기에 한정되지만, 비단 두부 형상 두부와 마찬가지로 성형기(21, 22)의 하측 직물(21a, 22a)로 반송하면서, 가볍게 프레스를 행하여, 비단 두부의 상하면에 천의 결의 무늬를 형성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1)에 의한 공정이 끝나면, 다음 연속 성형기(21, 22)에 의한 성형공정으로 옮겨지는데, 이 성형공정으로서는 상자 형이나 배치 처리에 의해 성형이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1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2 베이스
3 직물(심재)
4, 4A, 4B, 4C 축 롤러
4Bb 축 롤러의 좌우의 선단측(테이퍼 형상 부분)
4Ca 축 롤러의 이경축(세경부)
7 수지 코팅
10 오목 형상 부재, 10a 바닥부, 10b 좌우의 측벽부
21, 22 연속 성형기
C 컨베이어 벨트, Ca 바닥부, Cb 좌우의 측벽부(기립부)
T 두부(블록 형상의 두부)

Claims (7)

  1. 응고제 함유 두유를 반송하면서 응고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와, 컨베이어 벨트의 하방측에 배치되는 오목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전후의 축 롤러에 둘러 감아져서 엔드리스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내측을 따르도록 오목 형상으로 배치되어 응고조를 형성하여 반송되고,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위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 위에는, 응고제 함유 두유를 막는 상류측의 둑이 배치되고, 상기 상류측의 둑은, 오목 형상 부재의 상류측에서, 상기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바닥부에 밀접시키는 고정판으로서, 상기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내측을 따르도록 내리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상류측의 둑은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상류측의 단부 내측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엔드리스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상기 오목 형상 부재의 단부 내측을 따르도록 내리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응고제 함유 두유가 주입되는 쪽의 일방측 표면에는 수지 코팅이 시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심재이고, 적어도 접액측이 불소 수지 코팅이 시행되어 불투수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오목 형상의 좌우의 바닥측의 모서리부는 직물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전후의 축 롤러의 위치에서는 평벨트로 복귀된 상태로 되어 상기 축 롤러에 둘러 감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롤러 양단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테이퍼 부분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의 단부가 둘러 감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KR1020100040701A 2009-05-01 2010-04-30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KR101738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2345 2009-05-01
JP2009112345A JP4512663B1 (ja) 2009-05-01 2009-05-01 豆腐類の連続式凝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727A KR20100119727A (ko) 2010-11-10
KR101738141B1 true KR101738141B1 (ko) 2017-05-19

Family

ID=4258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701A KR101738141B1 (ko) 2009-05-01 2010-04-30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43720B2 (ko)
JP (1) JP4512663B1 (ko)
KR (1) KR101738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3551A1 (en) * 2012-03-30 2013-10-03 P. Ellegaard A/S Flexible closed belt conveyor
CN102870893B (zh) * 2012-10-11 2013-11-06 谯安培 勒挤碾压豆腐皮机
DE102013000372A1 (de) * 2013-01-11 2014-07-17 Beumer Gmbh & Co. Kg Fördervorrichtung mit konkavem Gurt
US9227784B2 (en) 2013-06-14 2016-01-05 Kleenline Llc Conveyo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WO2016083622A1 (en) * 2014-11-28 2016-06-02 Marel A/S A conveyor system with a knife for cutting food items into smaller food items
US9758317B2 (en) * 2015-07-12 2017-09-12 Eaglestone Inc. Low profile transfer conveyor for use with conveyor systems
US9327915B1 (en) * 2015-07-12 2016-05-03 Eaglestone Inc. Low profile transfer conveyor for bridging gaps in multi segment conveyors
WO2017056280A1 (ja) *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類の連続成型装置
CN106689403A (zh) * 2015-11-13 2017-05-24 鸿星企业有限公司 一种设置有降温槽的腐皮自动生产机
JP7063610B2 (ja) * 2016-12-27 2022-05-09 株式会社前川製作所 タンパク質量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2018102276A (ja) * 2016-12-28 2018-07-05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成形装置
JP7123368B2 (ja) 2018-04-03 2022-08-23 株式会社インターナショナルフローズントーフ 豆腐材料の連続凝固装置
US20230117987A1 (en) * 2021-10-20 2023-04-20 Takai Tofu & Soymilk Equipment Co. Tofu conveying machine
CN114098474B (zh) * 2021-12-23 2023-05-09 唐德顺 一种连续烹饪用半成品食材输送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771Y1 (ko) 2004-06-30 2004-09-14 서신식품 주식회사 두부대량생산용 전자응고장치의 응고제혼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4464A (en) * 1970-10-06 1973-08-28 Dca Food Ind Control system
JPS5339507B2 (ko) * 1975-03-12 1978-10-21
JPS5339507A (en) 1976-09-22 1978-04-11 Hitachi Ltd Blower
US4618498A (en) * 1985-06-11 1986-10-21 Nabisco Brands, Inc. Process for producing latticed pastry products
JPH0616544Y2 (ja) * 1991-06-20 1994-05-02 株式会社高井製作所 とうふ自動成型機
JPH0648526A (ja) * 1992-07-29 1994-02-22 Yoshino Rubber Kogyo Kk 円筒型ベルトコンベア装置
JP3483315B2 (ja) 1994-10-24 2004-01-06 ニチモウ株式会社 豆腐の連続製造装置と、それに組み合わせる豆腐の搬出装置とパッキング装置
US5688542A (en) * 1996-08-08 1997-11-18 Tortosa; Pedro J. Continuous cheese coagulation method
JPH09124122A (ja) * 1995-10-31 1997-05-13 Kawasaki Steel Corp ベルトコンベア
US5957042A (en) * 1997-04-18 1999-09-28 Iwamoto; Hiroaki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ducing bean curd with garnish wrapped therein
DE19746409A1 (de) * 1997-10-21 1999-04-22 Alpma Alpenland Masch Vorrichtung zum Gewinnen von Käsemasse aus Milch
US6035764A (en) * 1998-08-14 2000-03-14 Showa Sangyo Co., Ltd. Rice processing apparatus with continuously steaming and boiling
JP3568193B2 (ja) * 2000-05-12 2004-09-22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製造用コンベヤ
US6789465B2 (en) * 2002-04-17 2004-09-14 Carrier Commercial Refrigeration, Inc. Grilling surface
JP4269319B2 (ja) * 2004-03-19 2009-05-27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類の自動成型装置
JP4498809B2 (ja) * 2004-04-15 2010-07-07 株式会社大林組 掘削土砂の搬出装置
JP2008081318A (ja) * 2006-08-30 2008-04-10 Mitsuboshi Belting Ltd 樹脂コンベヤベル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771Y1 (ko) 2004-06-30 2004-09-14 서신식품 주식회사 두부대량생산용 전자응고장치의 응고제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5790A1 (en) 2010-11-04
JP2010259360A (ja) 2010-11-18
JP4512663B1 (ja) 2010-07-28
US8443720B2 (en) 2013-05-21
KR20100119727A (ko)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141B1 (ko)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RU248865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отна материала
US4373362A (en)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washing of lengths of textile material
FR2537616A1 (fr) Dispositif pour fabriquer des feutres sans fin aiguilletes pour machines a papier
JP7252667B2 (ja) 豆腐の凝固装置
JP4613252B1 (ja) 豆腐類の連続式凝固装置
DE1033902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Segeln
CN112411069B (zh) 一种针织服装面料生产方法
CN205741573U (zh) 一种安全带的连续染色装置
JP2010259436A (ja) 豆腐類の連続式凝固装置
JP2013138624A (ja) 豆腐類の連続式凝固装置
WO2020027005A1 (ja) ロール状ラッピングネットの製造方法、及びロール状ラッピングネットの製造装置、及びロール状ラッピングネット
JP6550510B1 (ja) ロール状ラッピング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333536B2 (ja) エンボス加工装置、ロールワインダ装置、プライマシン装置、及びエンボス加工方法
WO2021225128A1 (ja) 豆腐の移送機構及び豆腐の連続製造装置
KR20160000706U (ko) 휴대용 물티슈 제조용 부직포 가이드장치
CN106436123B (zh) 螺旋刷毛机
FI90257B (fi) Materiaalinkäsittelylaite
KR200476668Y1 (ko) 휴대용 물티슈 제조용 함침액 주입장치
KR960008339Y1 (ko) 김 구이기의 이송장치
CN107378122A (zh) 板材切槽机
CN217479750U (zh) 一种抗菌针织面料的剖幅进布装置
JPH03251152A (ja) 豆腐自動製造機における洗浄方法
JPH06158523A (ja) 繊維機械の送り出し装置および/または引き込み装置
EP3620565A1 (en) Integrated was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