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592B1 -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 - Google Patents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592B1
KR101737592B1 KR1020127026222A KR20127026222A KR101737592B1 KR 101737592 B1 KR101737592 B1 KR 101737592B1 KR 1020127026222 A KR1020127026222 A KR 1020127026222A KR 20127026222 A KR20127026222 A KR 20127026222A KR 101737592 B1 KR101737592 B1 KR 101737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resin composition
heat
housing
led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809A (ko
Inventor
유이치 시모코바
데츠오 노구치
사토시 이시이
Original Assignee
덴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덴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4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2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specially adapted for generating an essentially omnidirectional light distribution, e.g. with a glass bul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means for 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e.g.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7Organic material, e.g. filled polymer composites; Thermo-conductive additives or coa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방열성, 난연성, 절연성 및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저비중으로 높은 백색도를 가진 신규한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방열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진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을 제공한다. 폴리아미드수지(A) 40∼65질량%,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 33.5∼59.8질량%,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 0.2∼1.5질량%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X) 100질량부에 대해 질화붕소(D) 5∼100질량%와 무기산화물 필러(E) 0∼95질량%로 이루어진 무기필러(Y) 5∼200질량부를 함유하고 또한 열전도율이 1.0W/m·K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방열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진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을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HEAT DISSIPATING RESIN COMPOSITION FOR LED LIGHTING HOUSING AND HEAT DISSIPATING HOUSING FOR LED LIGHTING}
본 발명은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부재에는 금속 알루미늄이 사용되고 있는데, 열방사율이 극히 작기 때문에 알루마이트 처리나 도장, 핀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열방사율을 부여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생산성 악화와 고비용인 것이 과제가 되어 있는데, 금속 알루미늄으로부터 생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사출성형체로의 대체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금속 알루미늄에 대조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열전도성이 극히 작기 때문에 방열성이 떨어지므로,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부재에 사용하려면 열전도성을 부여하지 않고는 사용할 수 없다. 열가소성 수지에 열전도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고열전도성 필러를 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6). 그러나 LED조명 하우징에는 방열성 이외에도 난연성, 절연성, 양호한 성형 가공성이 필요한데, 이것들을 모두 충족하는 열가소성 수지가 없기 때문에 LED조명 하우징의 수지화는 아직 달성되지 않았다. 또 최근에는 수지화에 의한 경량화나 백색의 미려한 외관도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2002-069309호 특허문헌 2: 일본특개2004-059638호 특허문헌 3: 일본특개2008-033147호 특허문헌 4: 일본특개2008-195766호 특허문헌 5: 일본특개2008-270709호 특허문헌 6: 일본특개2006-117814호
본 발명은 방열성, 난연성, 절연성 및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저비중으로 높은 백색도를 가진 신규한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방열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진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아미드수지(A) 40∼65질량%,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 33.5∼59.8질량%,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 0.2∼1.5질량%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X) 100질량부에 대해 질화붕소(D) 5∼100질량%와 무기산화물 필러(E) O∼95질량%로 이루어진 무기필러(Y) 5∼2OO질량부를 함유하고, 또한 열전도율이 1.OW/m·K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방열성, 난연성, 절연성 및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저비중으로 높은 백색도를 가진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해 예의 검토한 바, 폴리아미드수지와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와 질화붕소를 상기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비로소 상기 원하는 특성을 가진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바에 의하면, 폴리아미드수지 대신에 다른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성형 가공성 및 난연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폴리아미드수지의 사용이 불가결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 이외의 난연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성형 가공성, 난연성 및 열전도성이 모두 악화되기 때문에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의 이용이 필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 이외의 적하(滴下) 방지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성형 가공성 및 난연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의 이용이 필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질화붕소를 포함시키지 않거나 질화붕소 이외의 무기필러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열전도성이 대폭 악화되기 때문에 질화붕소의 이용이 필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검토에 의해 폴리아미드수지와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와 질화붕소의 4성분 모두를 함유시키는 것이 상기 원하는 특성을 가진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필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함유량에 대해서도 검토한 바, 예를 들면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 또는 무기필러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의 상한보다 큰 경우에는 성형 가공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이들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범위의 상한 이하로 하는 것이 원하는 특성의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해 필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의 하한보다 작은 경우에는 난연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이러한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범위의 하한 이상으로 하는 것이 원하는 특성의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해 필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 의해 상기 원하는 특성은 상기 4개의 성분을 상기 성분 조성으로 함유시킴으로써 비로소 달성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다양한 실시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질화붕소(D)의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부피 평균 입자지름이 5∼25㎛이다.
바람직하게는, 질화붕소(D)의 분말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되는 흑연지수(GI)가 4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질화붕소1O∼9O질량%와 무기산화물 필러(E) 1O∼90질량%로 이루어진 무기필러(Y)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산화물 필러(E)의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부피 평균 입경이 O.1∼1㎛이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가 수산화마그네슘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산화물 필러(E)가 산화티타늄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방열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진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도 제공한다. 이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체이다.
본 발명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은 열전도율, 열방사율, 부피 고유 저항 및 명도(L*)가 높아 난연성이 우수하고 저비중이고 또한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LED조명용 하우징으로서 사용한 경우 하기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i)LED부의 발열부에서 하우징으로 열전도되고 하우징 전체에서 열방사되기 때문에 LED부의 축열이 억제되어 LED의 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i)하우징부의 열방사가 양호하기 때문에 하우징부의 고온화를 억제할 수 있어 접촉에 의한 화상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iii)난연성, 절연성을 가지고 있어 안전성이 높다.
(iv)경량이다.
(v)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고 사출성형도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우수하다.
(vii)백색의 미려한 방열성 하우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LED조명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a)는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고, (b)는 바로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LED조명 기판에 부착된 베이스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c)는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고, (d)는 바로 옆에서 본 도면이고, (e)는 바로 밑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LED조명 하우징과 도 2의 LED조명 기판 장착 베이스판을 사용한 방열성 평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f)는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고, (g)는 바로 옆에서 본 도면이다.
<용어의 설명>
본원 명세서에서 「∼」라는 기호는 「이상」 및 「이하」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A∼B」라는 기재는 A이상이고 B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또 「를 함유하는」에는, 「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및 「로 이루어진」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폴리아미드수지(A)란 주쇄에 아미드 결합(-CO-NH-)을 가진 단량체로 이루어진 수지로서, 지방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지환식 폴리아미드가 있다. 예를 들면 나일론4, 나일론6, 나일론8, 나일론11, 나일론12, 나일론4,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6,12, 나일론6T, 나일론6/6,6, 나일론6/12, 나일론6/6T, 나일론6/6I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수지(A)는 아미드 결합을 가진 극성 폴리머이므로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 단면에 아미노기나 수산기를 가진 질화붕소(D), 및 무기산화물 필러(E)와의 친화성이 높아 고농도로 함유시킬 수 있다.
폴리아미드수지(A)에는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 질화붕소(D) 및 무기산화물 필러(E)와의 친화성, 성형 가공성,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일론6이란 식(1)에 나타내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수지이고, 나일론6,6이란, 식(2)에 나타내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수지이고, 나일론12란 식(3)에 나타내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수지이다. 아울러 n은 중합도를 나타내고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81238492-pc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2081238492-pc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2081238492-pct00003
폴리아미드수지(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강도나 질화붕소 등과의 압출 혼련성의 관점에서 5000∼25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24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7000∼230000이다. 폴리아미드수지(A)의 수평균 분자량은 강도나 질화붕소 등과의 압출 혼련성 관점에서 5000∼5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0∼48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500∼45000이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예: 일본 워터스사제 GPC)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로서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는데, 성형 가공시의 열안정성 관점에서 수산화마그네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에는 수지용 난연제로서의 작용에 추가하여 열전도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방열성 부여 관점에서 바람직한 난연제이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란 식(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소원자와 탄소원자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불화탄소수지이다. 아울러 n은 중합도를 나타낸다.
[화학식 4]
Figure 112012081238492-pct00004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는 적하 방지제로서의 작용이 있고,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와 병용시킴으로써 UL94규격V-1 또는 V-0의 부여에 효과적이다.
질화붕소(D)란 화학식 BN으로 표시되는 질소원자와 붕소원자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육각형의 그물코층이 2층 주기로 적층되어 있는 육방정 질화붕소(h-BN), 육각형의 그물코층이 3층 주기로 적층되어 있는 능면체정(rhombohedron) 질화붕소(r-BN), 육각형의 그물코층이 랜덤으로 적층되어 있는 난층(亂層)구조 질화붕소(t-BN), 무정형인 무정형화 붕소(a-BN), 및 고압상(高壓相)인 입방정 질화붕소(c-BN) 등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육방정 질화붕소(h-BN)가 사용된다.
질화붕소(D)는 비늘편상의 결정체로서 열전도율이 극히 높은 무기필러이며, 수지에 함유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높은 백색도를 얻기에도 적합하다.
무기산화물 필러(E)로서는 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는데, 성형 가공성 관점에서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부피 평균 입자지름이 O.1∼1㎛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5㎛이다. 또 높은 백색도를 얻으려면 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산화물 필러(E)에는 실란계 또는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의 표면개질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수지(A),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X) 1OO질량부에 대해 질화붕소(D)와 무기산화물 필러(E)로 이루어진 무기필러(Y)를 5∼200질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15∼100질량부이다. 무기필러(Y)가 5질량부 이상이면 양호한 열전도율을 얻을 수 있고, 200질량부 이하이면 양호한 열방사율과 성형 가공성 및 저비중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X)의 조성은 폴리아미드수지(A) 40∼65질량%,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 33.5∼59.8질량%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 0.2∼1.5질량%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수지(A) 45∼64질량%,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 35.3∼54.6질량%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 0.4∼O.7질량%이다. 폴리아미드수지(A)가 40질량%이상이면 양호한 열방사율과 성형 가공성을 얻을 수 있고, 65질량%이하이면 양호한 열전도율과 난연성을 얻을 수 있다.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가 33.5질량%이상이면 양호한 열전도율과 난연성을 얻을 수 있고, 59.8질량%이하이면 양호한 열방사율과 성형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가 0.2질량%이상이면 양호한 난연성을 얻을 수 있고, 1.5질량%이하이면 양호한 성형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필러(Y)의 조성은 질화붕소(D) 5∼1OO질량%와 무기산화물 필러(E) O∼95질량%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질화붕소(D) 1O∼9O질량%와 무기산화물 필러(E) 1O∼9O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질화붕소(D) 3O∼7O질량%와 무기산화물 필러(E) 3O∼7O질량%이다. 질화붕소(D)가 5질량%이상이면 양호한 열전도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은 열전도율이 1.OW/m.K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W/m.K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W/m.K이상이다. 열전도율이 1.OW/m.K이상이면 LED부의 발열부에서 하우징으로 열전도되고 하우징에서 열방사되기 때문에 LED의 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은 열전도율이 1.OW/m.K이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양호한 열전도율을 얻으려면 질화붕소(D)의 부피 평균 입경이 5∼25㎛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이다. 아울러 부피 평균 입자지름은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더욱 양호한 열전도율을 얻으려면 질화붕소(D)의 분말 X선 회절법에 의한 흑연화 지수(GI=Graphitization Index)가 4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이하인 것이다. GI는 X선 회절도의 (100),(101) 및 (102)선의 적분 강도비, 즉 면적비를 사용하여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J.Thomas, et.al, J.Am.Chem.Soc.84, 4619(1962)).
GI=[면적{(100)+(101)}]÷[면적(102)]
질화붕소(D)는 B/N원자비가 1/1∼1/6인 붕산과 멜라민을 포함한 혼합물에 칼슘(Ca)화합물을 결정화시에 생성하는 질화붕소에 대해 내할(內割)로 5∼2O질량%의 붕산칼슘(CaO)X·B2O3의 액상(단, X≤1)이 생성되도록 첨가한 후 온도T(℃), 상대습도Ψ(%) 및 유지시간t(hr)이 이하의 관계식을 충족하는 조건으로 유지하여 붕산멜라민을 형성시키고, 또한 그것을 비산화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온도 1800∼2200℃에서 소성·결정화시키고 분쇄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T≥-2O·log10(t/4)+{(Ψ-1OO)2/2O}+6O
붕산은 오르토붕산(H3BO3), 메타붕산(HBO2), 테트라붕산(H2B4O7), 무수붕산(B2O3) 등 일반식(B2O3)·(H2O)X〔단, X=0∼3〕으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인데, 그 중에서도 입수가 용이하고 멜라민과의 혼합성이 양호한 오르토붕산이 바람직하다.
멜라민(C3N6H6)은 유기화합물의 일종으로서, 식(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조의 중심에 트리아진고리, 그 주변에 아미노기 3개를 가진 유기질소 화합물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12081238492-pct00005
붕산과 멜라민의 혼합은 볼밀, 리본 블렌더, 헨셀믹서 등의 일반적인 혼합기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붕산과 멜라민의 배합 비율은 붕산의 붕소원자와 멜라민의 질소원자의 B/N원자비가 1/1∼1/6이 되는 비율인데, GI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1/4가 되는 비율이다. 1/1을 초과하면 소성 후에 미반응 붕산의 잔류가 현저해지고, 1/6미만이면 소성시에 미반응 멜라민의 승화가 현저해진다.
질화붕소(D)의 결정화 촉매인 붕산칼슘(CaO)X·B2O3의 액상[단, X≤1]이 결정화시의 질화붕소에 대해 내할로 5∼20질량% 생성되도록 사전에 붕산과 멜라민의 혼합물에 Ca화합물을 첨가한 후 온도T(℃), 상대습도Ψ(%) 및 유지시간t(hr)가 이하의 관계식을 충족하는 분위기에서 상기 혼합물을 유지하여 붕산멜라민을 형성시킨다. 온도(T), 상대습도(Ψ) 및 유지시간(t) 중 어느 하나가 이하 식의 범위밖이면 붕산멜라민은 형성되지 않는다.
T≥-2O·log10(t/4)+{Ψ-1OO)2/2O}+6O
이와 같은 분위기는 항온 항습기, 스팀 가열로 등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온도, 상대습도, 시간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80℃, 80%, 10시간 등이다. 분위기를 형성하는 수증기 이외의 가스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대기가스, 질소가스, 불활성가스 등이 있다.
Ca화합물은 고체의 붕산칼슘이어도 좋지만, 붕산과 반응하여 붕산칼슘을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 특히 저렴하고 입수가 용이한 탄산칼슘(CaCO3)이 바람직하다. 탄산칼슘을 사용할 경우 붕산을 질화붕소용 원료뿐 아니라 붕산칼슘 액상용 원료로서도 기능시킬 필요가 있는데, 붕산칼슘 액상용 원료의 붕산은 질화붕소용 원료의 붕산보다 훨씬 소량으로 해결되기 때문에 탄산칼슘을 사용한 경우에도 붕산과 멜라민(C3N6H6)의 배합 비율은 붕산이 오르토붕산(H3BO3)인 경우 H3BO3/C3N6H6를 몰비에서는 6/1∼1/1, 질량비에서는 2.94/1∼0.49/1로 해도 좋다.
붕산칼슘(CaO)X·B2O3의 액상[단, X≤1]이 결정화시의 질화붕소에 대해 내할로 5∼20질량%가 되는 탄산칼슘의 구체적인 배합 비율은 소성방법의 차이에 따라 멜라민의 휘발량이나 멜라민 1몰에 반응하는 붕산의 몰수가 변동되기 때문에 소성방법에 따라 적절히 변화시킬 필요가 있지만, 가령 멜라민이 전혀 휘발하지 않고 또한 멜라민 1몰에 대해 항상 붕산 2몰이 반응하여 질화붕소가 생성될 경우 붕산, 멜라민 및 탄산칼슘의 구체적인 배합 비율은 몰비로 22.3∼99.7/10.1∼48.2/0.1∼1.0, 질량비로 13.8∼61.6/12.7∼60.7/0.1∼1.0이 된다.
Ca화합물은 유지 전에 첨가해둠으로써 균일하게 붕산멜라민 중에 혼합된다. 붕산과 멜라민과 Ca화합물을 단순히 기계적으로 혼합한 경우나, 붕산멜라민을 형성시킨 후에 Ca화합물을 혼합한 경우, 나아가 붕산과 멜라민과 Ca화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붕산멜라민 형성과 Ca화합물 혼합을 동시에 수행한 경우에는 Ca화합물의 혼합 상태가 불균일해지고, 결정화후의 질화붕소는 조립(粗粒), 혹은 결정이 미발달된 미립(微粒)을 많이 포함한 불균일한 것이 된다.
붕산칼슘(CaO)X·B2O3[단, X≤1]는 결정화 온도에서는 액상이다. 이 중에 비정질 질화붕소가 용해되어 용해량이 과포화에 도달한 시점에서 질화붕소가 석출된다. 이 때 촉매량 즉, 액상의 양이 많으면 인접한 질화붕소 입자간의 거리가 커지기 때문에 조립(粗粒)이 생성되기 쉽다. 반대로 액상의 양이 적으면 비정질 질화붕소의 용해량도 적어지기 때문에 결정이 미발달된 미립이 생성되기 쉽다. 한편 촉매의 조성 즉, CaO와 B2O3의 몰비는 입자의 형상에 관여한다. X가 1이하 즉, B2O3가 풍부한 조성에서는 생성되는 질화붕소 입자는 비늘편형상이 발달되지만, X가 1보다 큰 CaO가 풍부한 조성에서는 촉매의 양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는 응집 입자가, 촉매의 양이 비교적 많은 경우는 두꺼운 입자가 생성되기 쉽다.
비산화성 가스 분위기를 형성하는 가스로서는 질소가스, 암모니아가스, 수소가스, 메탄이나 프로판 등의 탄화수소가스, 헬륨이나 아르곤 등의 희가스가 사용된다. 이들 중 입수하기 쉬워 저렴하고 게다가 2000∼2200℃의 고온 영역에서는 질화붕소의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가 큰 질소가스가 바람직하다.
소성·결정화는 비산화성 가스 분위기하, 온도 1800∼2200℃에서 행해진다. 1800℃미만이면 결정화가 충분하게 진행되지 않아 고결정의 질화붕소를 얻을 수 없다. 또 2200℃를 초과하면 질화붕소가 분해된다. 소성로(爐)로서는 머플로, 관상로, 분위기로 등의 배치식 로나 로터리 킬른, 스크류 콘베이어로, 터널로, 벨트로, 푸셔로, 수형(竪型)연속로 등의 연속식 로가 사용된다. 이들은 목적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되며, 예를 들면 많은 품종의 질화붕소를 소량씩 제조할 때에는 배치식 로가, 일정한 품종을 다량 제조할 때는 연속식 로가 채용된다.
질화붕소(D)는 필요에 따라 분쇄, 분급, 산처리에 의한 잔류 촉매 제거(정제), 세정, 건조 등의 후처리 공정을 거친 후 실사용에 제공된다.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은 방열성의 관점에서 열방사율이 O.7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75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80이상이다.
LED조명 하우징용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은 UL94 규격 V-1이상의 난연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V-0이다.
LED조명 하우징용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은 경량화의 관점에서 비중이 2.50[g/㎤]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2O[g/㎤]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9O[g/㎤]이하이다.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은 고백색도가 요구되고 있으며 명도(L*)이 8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8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이상이다.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절연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부피 고유 저항값이 101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3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4이상이다.
본 발명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에는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유리섬유, 무기충전재, 착색제 등을 첨가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은 일반적인 용융 혼련장치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축 압출기, 맞물림형 동(同)방향 회전 또는 맞물림형 이(異)방향 회전 2축 압출기, 비(非) 또는 불완전 맞물림형 2축 압출기 등의 스크류 압출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 가공하여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을 얻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성형 가공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출성형, 압출 성형, 프레스 성형, 진공 성형, 블로우 성형 등이 있는데 생산성의 관점에서 사출성형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상세한 내용에 대해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아미드수지(A)는 이하의 것을 사용했다.
A-1: 나일론6, 우베흥산사제, 상품명「1013B」, 비중1.14g/㎤
A-2: 나일론6,6, 도요방적사제, 상품명「T-662」, 비중1.14g/㎤
A-3: 나일론12, 알케마사제, 상품명「AMNOTLD」, 비중1.O1g/㎤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는 이하의 것을 사용했다.
B-1: 수산화마그네슘, 고노시마화학공업사제, 상품명「S-4」, 부피 평균 입자지름 0.9㎛, 비중2.40g/㎤
B-2: 수산화알루미늄, 쇼와덴코사제, 상품명「H-42」, 부피 평균 입자지름1.0㎛, 비중2.42g/㎤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는 이하의 것을 사용했다.
C-1: 미쓰이듀폰케미컬사제, 상품명「31-JR」, 비중2.1Og/㎤
질화붕소(D)는 이하와 같이 제조한 것을 사용했다.
일본전공사제 오르토붕산(이하, 오르토붕산은 동일 제품을 사용) 60㎏, DSM사제 멜라민(이하, 멜라민은 동일 제품을 사용) 50㎏, Ca화합물로서 시라이시공업사제 탄산칼슘(이하, 탄산칼슘은 동일 제품을 사용) 1㎏을 헨셀믹서로 혼합한 후 항온 항습기 안에서 온도 90℃, 상대습도 85%에서 5시간 유지하여 붕산멜라민을 형성시켰다. 또한 그 후 배치식 분위기로에서 질소 분위기하, 2000℃에서 2시간 소성·결정화하여 흑연화지수(GI) 0.86, 비중 2.27g/㎤의 질화붕소를 얻었다. 그 후 분쇄를 조정함으로써 부피 평균 입자지름 18.0㎛의 D-1을 제조했다.
D-1과 같이 소성·결정화하여 분쇄를 조절함으로써 부피 평균 입자지름 5.0㎛의 D-2를 제조했다.
D-1과 같이 소성·결정화하여 분쇄를 조절함으로써 부피 평균 입자지름 25.0㎛의 D-3을 제조했다.
D-1과 같이 소성·결정화하여 분쇄를 조절함으로써 부피 평균 입자지름 1.0㎛의 D-4를 제조했다.
D-1과 같이 소성·결정화하여 분쇄를 조절함으로써 부피 평균 입자지름 30.0㎛의 D-5를 제조했다.
오르토붕산 70㎏, 멜라민 50㎏, 탄산칼슘 1㎏을 헨셀믹서로 혼합한 후 항온 항습기 중에서 온도 80℃, 상대습도 80%로 2시간 유지하여 붕산멜라민을 형성시켰다. 또한 그 후 배치식 분위기로에서 질소 분위기하, 1750℃에서 2시간 소성·결정화하여 흑연화지수(GI) 3.95, 비중 2.27g/㎤의 질화붕소를 얻었다. 그 후 분쇄를 조정함으로써 부피 평균 입자지름 18.0㎛의 D-6을 제조했다.
쇼와화학케미컬사제 무수오르토붕산(이하, 무수붕산은 동일 제품을 사용) 40㎏, 멜라민 50㎏, 킨세이마텍사제 붕산칼슘 1㎏을 헨셀믹서로 혼합한 후 항온 항습기 중에서 온도90℃, 상대습도 85%로 5시간 유지하여 붕산멜라민을 형성시켰다. 또한 그 후 배치식 분위기로에서 질소 분위기하, 1900℃에서 2시간 소성·결정화하여 흑연화지수(GI) 4.58, 비중 2.27g/㎤의 질화붕소를 얻었다. 그 후 분쇄를 조정함으로써 부피 평균 입자지름 18.0㎛의 D-7을 제조했다.
질화붕소(D)의 부피 평균 입자지름은 호리바제작소사제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LA-910)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질화붕소(D)의 흑연화지수(GI)는, 리가쿠사제 분말 X선 회절 장치(GF-2013)에 의해 측정한 X선 회절도의 (100),(101) 및 (102)선의 적분 강도비 즉, 면적비를 사용하여 이하의 식으로부터 구했다.
GI=[면적{(100)+(101)}]÷[면적(102)]
무기산화물 필러(E)는 이하의 것을 사용했다.
E-1: 산화티타늄, 듀폰사제, 상품명「R-103」, 부피 평균 입자지름 0.2㎛, 비중 4.10g/㎤
E-2: 산화티타늄, 테이카사제, 상품명「JR-1000」, 부피 평균 입자지름 1.0㎛, 비중 4.20g/㎤
E-3: 구상 알루미나, 덴키카가쿠공업사제, 상품명「ASFP-20」, 부피 평균 입자지름 0.3㎛, 비중 3.90g/㎤
E-4: 구상 알루미나, 덴키카가쿠공업사제, 상품명「DAW-O3」, 부피 평균 입자지름 3.0㎛, 비중 3.90g/㎤
E-5: 구형 알루미나, 덴키카가쿠공업사제, 상품명「DAW-45」, 부피 평균 입자지름 45.0㎛, 비중 3.90g/㎤
E-6: 용융실리카, 덴키카가쿠공업사제, 상품명「SFP-20M」, 부피 평균 입자지름 0.3㎛, 비중 2.20g/㎤
E-7: 용융실리카, 덴키카가쿠공업사제, 상품명「FB-7SDC」, 부피 평균 입자지름 5.8㎛, 비중 2.20g/㎤
E-8: 산화아연, 사카이화학공업사제, 상품명「1종」, 부피 평균 입자지름 O.6㎛, 비중 5.60g/㎤
E-9: 산화마그네슘, 고노시마 화학공업사제, 상품명「스타마그PSF-WR」, 부피 평균 입자지름 2.0㎛, 비중 3.60g/㎤
금속 알루미늄은 이하의 것을 사용했다.
합금 계통: AI-Mg(5000계), JIS호칭: 5052, 비중2.7Og/㎤
[실시예 1∼32]
표 1∼표 3에 나타낸 배합이 되도록 폴리아미드수지(A),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를 미쓰이미이케사제 헨셀믹서에 넣고 저속 회전으로 3분간 혼합했다. 그 후 도시바기계사제 2축 압출기(TEM-35B)에 설정 온도260℃, 스크류 회전수200rpm으로 용융 혼련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X)의 펠릿을 제작했다.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X)의 펠릿100질량부에 대해 표 1∼표 3에 나타낸 배합이 되도록 질화붕소(D) 또는 질화붕소(D)와 무기필러(E)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무기필러(Y)를 배합하고 CTE사제 2축 압출기(HTM-38형)에서 설정 온도 260℃, 스크류 회전수 300rpm으로 용융 혼련하여 방열성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제작했다. 이 펠릿을 사용하여 사출성형기에 의해 평가용 시험편과 LED조명 하우징을 제작하고 각종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금속 알루미늄을 프레스 성형하여 평가용 시험편과 LED조명 하우징을 제작하고 각종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아울러 표 4에서 「>100」은, 온도가 100℃이상이 되어 LED가 열에 의해 파손된 것을 의미한다.
[비교예 2]
폴리아미드수지(A)의 펠릿을 사용하여 사출성형기에 의해 평가용 시험편과 LED조명 하우징을 제작하고 각종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3∼11]
표 4에 나타낸 배합이 되도록 폴리아미드수지(A),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를 미쓰이미이케사제 헨셀믹서에 넣어 저속 회전으로 3분간 혼합했다. 그 후 도시바기계사제 2축 압출기(TEM-35B)에서 설정 온도260℃, 스크류 회전수200rpm으로 용융 혼련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X)의 펠릿을 제작했다.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X)의 펠릿100질량부에 대해 표 4에 나타낸 배합이 되도록 질화붕소(D) 또는 질화붕소(D)와 무기필러(E)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무기필러(Y)를 배합하고 CTE사제 2축 압출기(HTM-38 형)에서 설정 온도 260℃, 스크류 회전수 300rpm로 용융 혼련하여 방열성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제작했다. 이 펠릿을 사용하여 사출성형기에 의해 평가용 시험편과 LED조명 하우징을 제작하고 각종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비교예 12에서는 폴리아미드수지(A) 대신에 PET수지(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사제「NOVADURAN 5505S」)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평가용 시험편을 제작하고 각종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13]
비교예 13에서는 폴리아미드수지(A) 대신에 폴리카보네이트수지(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사제「NOVAREX7022PJ-LH1」)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평가용 시험편을 제작하고 각종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14]
비교예 14에서는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 대신에 인계 난연제(트리페닐포스페이트)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평가용 시험편을 제작하고 각종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15]
비교예 15에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 대신에 아크릴-실리콘 복합고무를 적하 방지제로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평가용 시험편을 제작하고 각종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아울러 아크릴-실리콘 복합고무는 폴리오가노실록산라텍스 100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37.5부, 알릴메타크릴레이트 2.5부, 메타크릴산메틸 30부로 이루어진 그래프트 공중합체(일본특개소64-79257호 공보의 실시예, 참고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 대신에 메타크릴산메틸을 사용하여 그래프트 중합한 것)이다.
Figure 112012081238492-pct00006
Figure 112012081238492-pct00007
Figure 112012081238492-pct00008
Figure 112012081238492-pct00009
Figure 112012081238492-pct00010
표 1∼표 5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은 열전도율, 열방사율, 부피 고유 저항 및 조도(L*)가 높아 난연성이 우수하고 저비중이고 또한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 가공한 방열성 하우징은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으로서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측정 방법>
각종 평가는 이하의 측정 방법으로 실시했다.
열전도율은 NETZSCH사제 열전도율 측정 장치(LFA447 Nanoflash)를 사용하여 ASTM E 1461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1.OW/m.K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열방사율은 교토전자공업사제 방사율계(D and S AER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용 시험편은 도시바기계사제 사출성형기(IS50EPN)에 의해 제작한 세로90×가로90×두께2㎜의 사각판(角板)을 사용했다. O.70 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난연성 시험은 UL94규격에 준거하여 수행하였다. V-1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비중은 JIS K 7112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2.50g/㎤이하를 합격으로 하였다.
명도(L*)는 일본전색공업사제 측색 색차계(ZE6000)을 사용하여 JIS Z 8729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85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부피 고유 저항은 ADVANTEST사제 초고저항계(R8340A)를 사용하여 JIS K 6911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1012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성형 가공성은, 미쓰비시중공 플라스틱테크놀로지사제 사출성형기(FAN UC ROBOSHOT S-200Oi 50A)를 사용하여 도 1에 도시한 LED조명 하우징을 제작하고 하기와 같이 4단계 평가를 하였다.
4단계 평가
우: 성형성 양호하고 백색의 미려한 성형품이 얻어진다
양: 성형 가능하고 성형 불량 현상은 없지만 필러의 얼룩무늬가 보인다
가: 성형 가능하지만 성형품에 일부 플로우 마크나 색얼룩이 보인다
불가: 성형 불가 또는 성형품에 현저한 외관 불량이 발생한다
방열성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도 1에 도시한 LED조명 하우징(1)과 도 2에 도시한 LED조명 기판 장착 베이스판(2)은 미쓰비시중공 플라스틱테크놀로지사제 사출성형기(FANUC ROBOSHOT S-200Oi 50A)에 의해 제작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성 평가 방법은 LED조명 하우징(1)의 내부에 LED조명 기판 장착 베이스판(2)을 장착하고 그 하우징 내부와 베이스판 측면의 틈에 덴키카가쿠공업사제 방열 그리스(GFC-K4)를 도포했다. 베이스판의 상부에는 덴키카가쿠공업사제 열전도 스페이서(3)(FSL-10OB), 파나소닉 전공사제 LED조명 기판(4)(LDA8D-A1/D, LED수:6개, 소비전력:7.6W)의 순서대로 밀착시키고 상부에 투명 커버(6)(폴리카보네이트수지제)를 장착했다. 또 LED조명 기판(4)위의 중심부(이하, LED부의 발열부(7))와 하우징부(8)에 열전대를 장착했다. LED부의 발열부(7)와 하우징부(8)의 온도가 23℃(실온23℃)부터 LED조명을 1000시간 연속 조사시켜 10분, 30분, 1시간, 24시간, 1000시간후의 LED부의 발열부(7)와 하우징부(8)의 온도를 측정하여 방열성을 평가했다. LED부의 발열부(7) 온도가 낮을수록(온도 상승이 낮을수록) LED의 축열을 억제하고, 또한 하우징부(8)의 온도가 낮을수록 대기중으로 열방출되기 때문에 방열성이 우수해진다. 덧붙여, 하우징부(8)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접촉에 의한 화상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은 열전도율, 열방사율, 부피 고유 저항 및 명도(L*)가 높고 난연성이 우수하고 저비중이고 또한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열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진 방열성 하우징은 LED조명용 하우징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LED조명 하우징
2 LED조명 기판 장착 베이스판
3 열전도 스페이서
4 LED조명 기판
5 LED
6 투명 커버
7 열전대 장착 위치(LED부의 발열부)
8 열전대 장착 위치(하우징부)

Claims (9)

  1. 폴리아미드수지(A) 40∼65질량%,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 33.5∼59.8질량%,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C) 0.2∼1.5질량%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X) 100질량부에 대해 질화붕소(D) 5∼100질량%와 무기산화물 필러(E) O∼95질량%로 이루어진 무기필러(Y) 5∼2OO질량부를 함유하고, 또한 열전도율이 1.OW/m·K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질화붕소(D)의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부피 평균 입자지름이 5∼25㎛인 방열성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질화붕소(D)의 분말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되는 흑연지수(GI)가 4 이하인 방열성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질화붕소(D) 1O∼9O질량%와 무기산화물 필러(E) 1O∼90질량%로 이루어진 무기필러(Y)인 방열성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무기산화물 필러(E)의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부피 평균 입자지름이 O.1∼1㎛인 방열성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금속수산화물계 난연제(B)가 수산화마그네슘인 방열성 수지 조성물.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무기산화물 필러(E)가 산화티타늄인 방열성 수지 조성물.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방열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진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사출성형체인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
KR1020127026222A 2010-04-07 2011-03-25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 KR101737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8288 2010-04-07
JP2010088288 2010-04-07
PCT/JP2011/057366 WO2011125545A1 (ja) 2010-04-07 2011-03-25 Led照明筐体用の放熱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led照明用放熱性筐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809A KR20130040809A (ko) 2013-04-24
KR101737592B1 true KR101737592B1 (ko) 2017-05-18

Family

ID=4476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222A KR101737592B1 (ko) 2010-04-07 2011-03-25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57905B2 (ko)
JP (1) JP5688409B2 (ko)
KR (1) KR101737592B1 (ko)
CN (1) CN102822279B (ko)
TW (1) TWI491662B (ko)
WO (1) WO2011125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7137A (ko) * 2011-09-27 2014-08-06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열전도도가 높은 폴리아미드 조성물
JP5791488B2 (ja) * 2011-12-20 2015-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伝導性シート用樹脂組成物、熱伝導性シート及びパワーモジュール
JP5910865B2 (ja) * 2012-03-05 2016-04-27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難燃性付与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732033B (zh) * 2012-03-12 2013-12-11 东莞市信诺橡塑工业有限公司 用于led光源的阻燃导热绝缘聚酰胺酰亚胺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3234275A (ja) * 2012-05-10 2013-11-21 Kisco Ltd 放熱性樹脂組成物、成形体、ならびに照明装置
CN102775768A (zh) * 2012-07-13 2012-11-14 东莞市信诺橡塑工业有限公司 用于led光源基板的可激光直接成型的高导热绝缘聚酰胺6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796372B (zh) * 2012-08-01 2014-06-11 东莞市信诺橡塑工业有限公司 用于led光源基板的可激光直接成型的高导热绝缘聚酰胺66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50275063A1 (en) * 2012-09-19 2015-10-01 Chandrashekar Raman Thermally conductive plastic compositions,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thermally conductive plastics
US9434870B2 (en) 2012-09-19 2016-09-06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Thermally conductive plastic compositions,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thermally conductive plastics
US20140077125A1 (en) * 2012-09-19 2014-03-20 Kang Yi Lin Composition comprising exfoliated boron nitride and method for forming such compositions
US8946333B2 (en) * 2012-09-19 2015-02-03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Thermally conductive plastic compositions,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thermally conductive plastics
CN103044904B (zh) * 2012-12-27 2015-01-21 安徽科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led灯座专用导热绝缘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40087597A (ko) * 2012-12-31 2014-07-09 제일모직주식회사 방열부와 투광부가 일체로 형성된 튜브형 led 램프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US9644080B2 (en) * 2013-04-17 2017-05-09 Daicel-Evonik Ltd. Light-resistant resin composition, and moulded body thereof
KR101657338B1 (ko) * 2013-05-13 2016-09-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수지 조성물과 제조 방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
EP2816082B1 (de) * 2013-06-19 2018-09-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rch thermoplastische Verarbeitung von Polymer-Bornitrid-Compounds hergestellte Bauteile, Polymer-Bornitrid-Compounds zur Herstellung solcher Bauteile sowie deren Verwendung
EP2816083B1 (de) * 2013-06-19 2019-02-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uteil hergestellt aus einem Polymer-Bornitrid-Compound, Polymer-Bornitrid-Compound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Bauteils sowie dessen Verwendung
HUE043312T2 (hu) * 2014-03-27 2019-08-28 Lanxess Deutschland Gmbh Égésgátló poliamid kompozíciók
EP3211018B1 (en) * 2014-08-27 2020-07-15 JN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heat-dissipation members, heat-dissipation member, electronic device, and heat-dissipation-member production method
DE102015204494A1 (de) * 2015-03-12 2016-09-15 Hyundai Motor Company Hybrid-Seitenschwell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Herstellungsverfahren desselben
CN104829986A (zh) * 2015-04-07 2015-08-12 安徽博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光源用聚四氟乙烯基高热稳定散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29979A (zh) * 2015-04-07 2015-08-12 安徽博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光源用聚四氟乙烯基掺杂钨钼氧化物散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29982A (zh) * 2015-04-07 2015-08-12 安徽博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光源用聚四氟乙烯基轻质高效散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29977A (zh) * 2015-04-07 2015-08-12 安徽博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光源用聚四氟乙烯基掺杂聚苯硫醚散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29985A (zh) * 2015-04-07 2015-08-12 安徽博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光源用聚四氟乙烯基掺杂聚苯胺散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29984A (zh) * 2015-04-07 2015-08-12 安徽博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光源用聚四氟乙烯基低热阻散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29983A (zh) * 2015-04-07 2015-08-12 安徽博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光源用聚四氟乙烯基掺杂铌酸钙散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29981A (zh) * 2015-04-07 2015-08-12 安徽博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光源用聚四氟乙烯基致密散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29978A (zh) * 2015-04-07 2015-08-12 安徽博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光源用聚四氟乙烯基高热辐射散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32895A (zh) * 2015-04-11 2015-08-12 安徽中威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led光源用聚四氟乙烯基掺杂二茂铁的散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32894A (zh) * 2015-04-11 2015-08-12 安徽中威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led光源用聚四氟乙烯基掺杂纳米锡散热材料及其制备方法
EP3133103A1 (de) * 2015-08-21 2017-02-22 LANXESS Deutschland GmbH Polyamidzusammensetzungen
ITUB20153802A1 (it) * 2015-09-22 2017-03-22 Gi Plast S R L Corpo profilato per lampade
US11077597B2 (en) 2016-02-23 2021-08-03 Moistureshield,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composite articles
US10317066B2 (en) 2016-04-25 2019-06-11 Lucifer Lighting Company Recesssed downlight fixture with heatsink
US11434334B2 (en) 2019-12-31 2022-09-0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osite material and foam prepared from the same
KR102596025B1 (ko) * 2023-05-31 2023-11-01 주식회사 리치룩스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단가를 절감한 조명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0878A (ja) 2004-08-23 2008-04-10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熱伝導性組成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1560A1 (en) 2000-08-29 2003-09-25 Akiyoshi Kawaguchi Resin composition, molded object thereof, and use thereof
JP3851997B2 (ja) 2000-08-29 2006-11-29 大塚化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複合材料組成物及び複合材料成形体
TW521082B (en) * 2000-09-12 2003-02-21 Kuraray Co Polyamide resin composition
CA2386717A1 (en) * 2001-05-21 2002-11-21 Kuraray Co., Ltd. Polyamide composition
JP2004026982A (ja) 2002-06-25 2004-01-29 Toray Ind Inc 炭素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形材料およびその成形品
JP2004059638A (ja) 2002-07-25 2004-02-26 Kuraray Co Ltd ポリアミド組成物
JP2006117814A (ja) 2004-10-22 2006-05-11 Denki Kagaku Kogyo Kk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その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33147A (ja) 2006-07-31 2008-02-14 Techno Polymer Co Ltd トナーケース
CN101583670B (zh) * 2006-10-31 2012-04-11 大科能树脂有限公司 散热性树脂组合物、led实装用基板、反射器以及具有反射器部的led实装用基板
JP5076531B2 (ja) 2007-02-09 2012-11-21 株式会社デンソー 樹脂複合材料
CN101765627B (zh) * 2007-07-23 2012-12-05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用于照明系统的塑料构件
EP2180018B1 (en) * 2007-08-01 2013-06-19 Kuraray Co., Ltd. Polyamide composition
JP2009167358A (ja) * 2008-01-18 2009-07-30 Techno Polymer Co Ltd 放熱性樹脂組成物
JP2013040220A (ja) * 2009-12-15 2013-02-28 Denki Kagaku Kogyo Kk 高放熱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0878A (ja) 2004-08-23 2008-04-10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熱伝導性組成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809A (ko) 2013-04-24
TWI491662B (zh) 2015-07-11
JPWO2011125545A1 (ja) 2013-07-08
JP5688409B2 (ja) 2015-03-25
TW201207030A (en) 2012-02-16
CN102822279B (zh) 2014-08-13
US8557905B2 (en) 2013-10-15
US20130030105A1 (en) 2013-01-31
WO2011125545A1 (ja) 2011-10-13
CN102822279A (zh)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592B1 (ko) Led조명 하우징용 방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led조명용 방열성 하우징
US10113096B2 (en) Resin composition, heat-dissipating material, and heat-dissipating member
WO2011074552A1 (ja) 高放熱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101457016B1 (ko) 내습성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EP1805252B1 (en) Flame retardant composites
TWI468453B (zh) 樹脂組成物及其所構成之成形體
US8915617B2 (en) Thermally conductive thermoplastic for light emitting diode fixture assembly
CN1165579C (zh) 阻燃性热塑性聚酯树脂组合物
US20140252265A1 (en) Heat conducting thermoplastic mou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a flame retardant
JP2008260830A (ja) 伝熱性樹脂組成物
US9922749B2 (en) Polyamide composition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JP2014503658A (ja) 熱伝導性ポリマーを含んでなる成形熱可塑性物品
TWI540180B (zh) 具有改進的導熱性以及表面外觀的聚伸苯硫樹脂組成物及其物品
JP2013001802A (ja) 熱伝導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2010043229A (ja) 伝熱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樹脂成形体
JP5308187B2 (ja) 難燃化された高耐光性高熱伝導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EP3752555B1 (en) Thermoconductive filler particles and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WO2014135624A1 (en) Heat conducting thermoplastic mou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a flame retardant
JPH1114800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1098274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