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037B1 - 인사이드 핸들 조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사이드 핸들 조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037B1
KR101737037B1 KR1020150162488A KR20150162488A KR101737037B1 KR 101737037 B1 KR101737037 B1 KR 101737037B1 KR 1020150162488 A KR1020150162488 A KR 1020150162488A KR 20150162488 A KR20150162488 A KR 20150162488A KR 101737037 B1 KR101737037 B1 KR 101737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ide handle
unit
handle
track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근
백병철
조의선
차현봉
Original Assignee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8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determining relative positions by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은 핸들 하우징 내에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을 결합/검사하는 시스템으로서,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의 일 지점에 배치되는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 상기 이송 유닛 상에서 상기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을 거친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진입하도록 배치되는 비젼 검사 유닛(200); 및 상기 이송 유닛 상에서 상기 비젼 검사 유닛(200)을 거친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진입하도록 배치되는 그리스 주입 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 하우징 상에 상기 인사이드 핸들, 스프링 및 고정핀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인사이드 핸들에 대한 장력 측정, 비젼 검사 및 그리스 주입을 포함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Description

인사이드 핸들 조립 시스템{System for assembling inside handle}
본 발명은 인사이드 핸들 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차량 내 부에서 도어의 개방을 위해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내측에는 탑승자가 필요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 록킹장치와 연동된 인사이드 핸들이 설치된다. 차량의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인사이드 핸들은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핸들, 핸들이 하우징 내부공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 및 탄성 수단으로 이루어져 핸들의 단부에 연결되는 도어 록킹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인사이드 핸들은 차량의 제작과정과 별도로 제작되어 차량의 도어 내 측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데, 인사이드 핸들의 경우 현재 자동화 조립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아 거의 대부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사이드 핸들은 여러개의 구성 부품들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구성품들이 대부분 매우 작아 조립 과정에서 구성품의 분실 및 파손이 잦아 이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되고, 조립 및 성능 검사 과정이 난해하여 과도한 시간과 노동력이 투여됨에 따라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조립 후 적절한 성능테스트를 수행할 수 없음에 따라 불량품이 그대로 납품되고, 이로 인해 완성차에 불량품이 설치되어 인사이드 핸들은 물론 완성차의 신뢰성에도 악영향을 끼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 문헌으로서 등록특허 제10-1241327호를 참조하면,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과 핸들 하우징에 내장되는 다수개의 지그가 원판의 상부에 설치된 지그회전장치와, 지그회전장치의 주변에 설치된 핸들 및 핸들 하우징 주입 장치와, 스프링 주입 장치, 고정핀 주입 장치로 구성된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 조립 장치에서, 상기 회전되는 지그회전장치의 지그에 핸들, 핸들 하우징, 스프링, 고정용 핀을 순차적으로 조립함으로서, 작업 공정을 단기화시키고, 인건비를 절약시키는 방안을 제공한다.
상기한 종래의 문헌에서는 제조된 자동차 도어 핸들과 핸들 하우징를 조립시 수동으로 조립하여 인건비가 많이 들고 제조 시간이 장기화되며,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지만, 핸들 하우징 상에 핸들, 스프링 및 고정핀 등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의 장력, 비젼 검사 등을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시스템 하에서 자동으로 수행하게 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기재가 없다는 한계가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1241327 B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은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상에 인사이드 핸들, 스프링 및 고정핀 등이 공급된 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에 대한 장력 측정, 비젼 검사, 그리스 주입 및 보호 필름 부착 등의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은 핸들 하우징 내에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을 결합/검사하는 시스템으로서,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의 일 지점에 배치되는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 상기 이송 유닛 상에서 상기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을 거친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진입하도록 배치되는 비젼 검사 유닛(200); 및 상기 이송 유닛 상에서 상기 비젼 검사 유닛(200)을 거친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진입하도록 배치되는 그리스 주입 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 하우징 상에 상기 인사이드 핸들, 스프링 및 고정핀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인사이드 핸들에 대한 장력 측정, 비젼 검사 및 그리스 주입을 포함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상기 이송 유닛은, 폐쇄 루프를 형성하는 트랙(10) 및 상기 트랙(10) 상에 배치되는 트랙 게이트부(15) 및 상기 트랙(10)을 따라 순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셔틀(20)을 포함한다.
상기 셔틀(20)은, 상기 트랙(1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셔틀 베이스(22), 상기 셔틀 베이스(22)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그 고정 플레이트(24), 상기 지그 고정 플레이트(24) 상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핸들 하우징 고정 지그(26) 및 상기 핸들 하우징 고정 지그(26) 상에 형성되는 그리스 주입공(27)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은, 상기 핸들 하우징과 인사이드 핸들에 단속적으로 힘을 전달하는 장력검사 모듈(120) 및 상기 장력검사 모듈(120)을 통한 측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제어 판넬(150)을 포함하며, 상기 장력검사 모듈(120)은 수직 방향으로 상하 구동함으로써 상기 핸들 하우징의 요동을 방지하는 커버 가압부(130) 및 상기 인사이드 핸들에 힘을 가하여 들어올리는 기능을 하는 핸들 리프팅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 리프팅부(140)는, 리프팅 바디(141), 상기 리프팅 바디(141)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 로드(142) 및 상기 회동 로드(142)의 하부 끝단에 결합된 롤러(1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은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상에 인사이드 핸들, 스프링 및 고정핀 등이 공급된 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에 대한 장력 측정, 비젼 검사, 그리스 주입 및 보호 필름 부착 등의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을 보이는 개념도,
도 2는 트랙 상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틀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트랙 상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틀을 측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5의 본 발명을 구성하는 레버 장력검사 및 유닛 트랙 상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틀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도 4의 레버 장력검사 유닛을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레버 장력검사 유닛을 통해 셔틀 상에 장착된 인사이드 핸들에 대한 테스트 진행 구조를 보이는 도면, 및
도 8은 레버 장력검사 유닛을 구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을 보이는 개념도, 도 2는 트랙 상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틀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트랙 상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틀을 측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레버 장력검사 유닛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도 4의 레버 장력검사 유닛을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레버 장력검사 유닛을 통해 셔틀 상에 장착된 인사이드 핸들에 대한 테스트 진행 구조를 보이는 도면 및 도 8은 레버 장력검사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은 트랙(10), 트랙(10) 상에 배치되는 트랙 게이트부(15), 트랙(10)을 따라 순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셔틀(20), 트랙(10)의 일 측방에 배치되는 부품 공급부(30), 트랙(10)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패널(40), 트랙(10) 상을 따라 복수개의 지점에 고정배치되는 셔틀 가이드부(50), 트랙(10) 상에 임의의 일 지점에 배치되는 레버 장력검사 유닛(Lever Tension Inspection Unit,100), 트랙(10) 상에서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을 거친 셔틀(20)이 진입하도록 배치되는 비젼 검사 유닛(Vision Inspection Unit,200), 트랙(10) 상에서 비젼 검사 유닛(200)을 거친 셔틀(20)이 진입하도록 배치되는 그리스 주입 유닛(Grease Injection Unit,300), 그리스 주입 유닛(300)을 거친 셔틀(20)이 진입하여 일정 시간 대기하는 버퍼 유닛(400) 및 포장 유닛(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공정은 부품 공급부(30)를 통한 투입 공정,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을 통한 장력 검사 공정, 비젼 검사 유닛(200)을 통한 이종 혼입 비젼 검사 공정, 그리스 주입 유닛(300)을 통한 그리스 주입 공정 및 포장 유닛(500)을 통한 배출 공정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트랙(10) 및 셔틀(20)을 포함하여 이송 유닛으로 통칭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유닛은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상기 각각의 유닛(100,200,300,400,500)으로 운반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은 인사이드 핸들 조립 라인으로도 호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에서의 제품 이송 방식은 레일(Rail) 타입의 트랙 및 셔틀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상기 트랙과 셔틀을 이용한 방식에만 국한되는 물류이송 시스템이 아니라 플렉서블 컨베이어 등 물류이송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즉, 이송 유닛은 컨베이어 타입의 물류 이송 기구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셔틀(20)은 트랙(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셔틀 베이스(22), 셔틀 베이스(22)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그 고정 플레이트(24), 지그 고정 플레이트(24) 상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핸들 하우징 고정 지그(26) 및 핸들 하우징 고정 지그(26) 상에 형성되는 그리스 주입공(27)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본 발명에서는 운행하는 총 9대의 셔틀(20) 상에 셔틀 베이스(22)가 각각 탑재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전개시 전에 수동모드 상태에서 셔틀운전현황 선택창에서 작업준비 버튼을 누르면 셔틀이 로딩 유닛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된다. 수동모드에서 자동모드로 전환후 터치판넬의 AUTO START 버튼을 누르면 자동운전이 시작된다.
본 발명에서 셔틀(20)의 공급은 터치 화면의 셔틀운전현황 선택창에서 제품 투입조건을 Foot S/W 사용 또는 Time 운전 등의 2가지로 선택할 수 있다. Foot S/W 사용은 작업자가 직접 Foot S/W로 셔틀을 출발시키는 것이고, Time 운전은 입력된 시간에 맞추어 자동으로 셔틀이 출발하는 방식이다.
핸들 하우징 고정 지그(26)는 지그 고정 플레이트(24) 상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행 2열로 4개가 배치 가능하다. 즉, 셔틀(20)에 세팅된 지그 고정 플레이트(24)에 좌우측으로 각각 2개씩 배치된 상태에서 동시에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레버 장력검사 공정에서는 4개의 핸들 하우징 고정 지그(26)에 대한 동시 장력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된 장력값은 터치 판넬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스 주입공(27)의 경우에는 핸들 하우징 고정 지그(26)의 외측면 상에 내부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동일한 모델 품번 또는 형번에서 좌우측으로 혼류생산은 가능하지만 이종제품 또는 Front와 Rear에 대한 혼류생산은 불가하다.
한편, 측정된 레버 장력값이 측정 범위를 벗어나 오류 발생시에는 터치 판넬 상에 에러 메시지가 표시되면서 해당 셔틀(20)은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과 비젼 검사 유닛(200) 사이에서 정지된다.
공급되는 인사이드 핸들 모델별 장력값은 터치 판넬의 제품데이터 설정 화면에서 모델별로 상한치와 하한치를 포함한 측정범위를 입력할 수 있으며, 모델별로 번호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터치 판넬 상에 저장된 인사이드 핸들 모델은 품번 내지 품종 교환시 그대로 불러올 수 있고, 모델 선택은 터치 화면의 제품데이터 설정 선택창에서 선택할 수 있다. 모델 선택창에서 해당모델의 번호를 선택한 후 모델 선택 버튼을 눌러 활성화시키면 된다. 모델 선택은 셔틀운전화면 또는 레버장력검사 선택창에서도 가능하다. 터치 화면에서 모델을 선택하면 비젼검사 공정도 동일한 모델로 전환된다.
장력검사 공정에서는 모델별로 모든 포지션별 위치값 조정이 가능하며 각각의 포지션별 위치값 조정은 조절손잡이로 조작이 가능하다. 장력레버 롤러의 X, Y값을 각각 개별로 조정이 가능하며, 또한 Clamp의 X,Y값도 각각 개별 조정이 가능하다. 모든 포지션별 SCALE 눈금자가 설치되어 작업조건을 수치화할 수 있다.
또한, 그리스 주입 공정에서도 그리스 건의 Position(X, Y, Z방향)별 위치값 조정이 가능하고, 모든 포지션별 SCALE 눈금자가 설치되어져 작업 조건을 수치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공정 별로 각각 BY-PASS 유.무 선택이 가능하고, BY-PASS 선택창에서 해당공정의 BY-PASS를 선택하면 선택된 공정은 모든 작업을 하지 않고 다음 공정으로 그냥 셔틀을 통과시키게 된다.
생산을 중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시 로딩 작업자는 제품 투입을 중단하고 레버검사 공정에서 그리스 주입공정까지 셔틀이 없음을 확인 후 잔량배출 선택창을 누르면 잔량배출 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언로딩 작업자는 FOOT S/W로 셔틀을 1 스텝씩 이동시키면서 나머지 셔틀의 잔량제품을 배출하면 된다. 잔량배출모드로 전환되면 레버 검사, 비젼 검사, 그리스 주입 공정은 동작을 하지 않는다.
부품 공급부(30)에서는 하우징 기능을 하는 핸들 하우징에 스프링이 기조립된 상태에서, 고정핀과 인사이드 핸들을 삽입하여 반제품 상태로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으로 공급하게 된다.
셔틀 가이드부(50)는 트랙(10)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닛(100,200,300) 상에 각각 배치되는데,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유닛(100,200,300)으로 셔틀(20)이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셔틀(20)의 가장자리 부분을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안내함으로써 안정적인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은 인사이드 핸들의 레버 장력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로드셀(Load Cell)을 통해 감지되는 압력 측정값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기준 범위(예들 들어,상한치 6.0, 하한치 4.0)를 기준으로 하여 상한치와 하한치 사이에 들어오는 값을 정상 제품으로 인정하고, 상한치와 하한치를 벗어나는 제품의 경우에는 불량으로 처리하게 된다.
불량이 발생되는 원인은 핸들 하우징에 스프링이 오조립되거나 또는 고장력/저장력 스프링으로 인한 잘못된 사양으로 인해 이상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더불어, 로드셀에 기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나거나 미달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불량 발생 시에는 라인이 정지되며, 불량품 제거 후 재동작을 시키게 된다.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은 트랙(10) 상에 연결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트랙(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유지하게 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핸들 하우징와 인사이드 핸들에 단속적으로 힘을 전달하는 장력검사 모듈(120), 장력검사 모듈(120)을 통한 측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제어 판넬(150) 및 제어 판넬(150)과 프레임(110) 간을 연결하는 회동 가이드관(160)을 포함한다.
장력검사 모듈(120)은 수직 방향으로 상하 구동함으로써 핸들 하우징(61)의 요동을 방지하는 커버 가압부(130) 및 인사이드 핸들(63)에 힘을 가하여 들어올리는 기능을 하는 핸들 리프팅부(140)를 포함한다.
커버 가압부(130)는 로드 하우징(132), 로드 하우징(132)의 내외부를 통해 슬라이딩 운동하는 로드(134) 및 로드(134)의 끝단에 배치된 가압체(136)를 포함한다.
핸들 리프팅부(140)는 리프팅 바디(141), 리프팅 바디(141)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 로드(142) 및 회동 로드(142)의 하부 끝단에 결합된 롤러(144)를 포함한다.
회동 가이드관(160)은 프레임(110) 상에 설치된 장력검사 모듈(120)의 작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는 제어 판넬(150)의 다양한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10)의 상부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통해서 제어 판넬(150)을 트랙(10)의 내외부 상에 배치하게 한다.
인사이드 핸들에 대한 테스트 과정을 보면, 먼저 커버 가압부(13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압체(136)를 통해 핸들 하우징(61)의 상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핸들 하우징(61)의 요동을 방지한다. 즉, 로드 하우징(132)으로부터 로드(134)를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게 하는 과정을 통해서 가압 과정을 진행하게 하는데, 상기의 경우에 별도의 스프링 형상의 탄성체를 통해 가압 과정에서의 충격을 줄이는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에, 핸들 리프팅부(140)의 상하좌우 이송을 통해 인사이드 핸들(63)에 근접한 상태에서, 핸들 리프팅부(140)의 하부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롤러가 인사이드 핸들의 하부단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 상승 운동을 하게 되면, 인사이드 핸들의 리프팅이 가능하게 된다.
비젼 검사 유닛(200)은 인사이드 핸들의 이종 혼입을 방지하기 위한 검사 유닛으로서 이종 혼입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즉, 인사이드 핸들의 하우징 색상의 경우에 예시적으로 검정 계열, 그레이, 다크 그레이, DK Atmosphere, Brandy 등으로 나누어 선별한다. 레버 기능을 하는 인사이드 핸들의 경우에는 예시적으로 폭을 비롯한 사이즈 및 형태 등으로 나누어 선별한다. 또한, 프론트 인사이드 핸들 및 리어 인사이드 핸들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게 된다.
비젼 검사 공정에서는 공급되는 제품의 레버폭 이종혼입, 하우징의 색상 이종 혼입 및 Front 와 Rear 이종혼입 구분이 가능하다.
비젼 검사 유닛(200)에서도 불량 발생 시 라인이 정지되며, 불량품 제거 후 재동작시키는 방식이다.
비젼 검사공정에서는 2대의 카메라가 셔틀(20)의 좌우측으로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측정하며, 셔틀(20)이 멀티 포지셔닝되면서 2회 측정한다. 오류 발생시에는 터치 화면에 에러 메세지창이 표시되면서 해당 셔틀은 비젼과 그리스주입 공정 사이에서 정지된다. 에러 해제는 정지된 셔틀에서 오류제품을 제거한 후 비젼판넬의 측면에 설치된 리셋 버튼을 누르면 에러가 해제된다.
비젼 검사공정에서 오류 발생으로 제거된 제품은 그리스 주입공정에서 그리스 주입을 하지 않는다.
비젼 검사 공정에서는 기본적으로 제품의 레버폭 이종혼입, 하우징의 색상( Black, Gray, Brandy 기준) 이종혼입 구분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 측의 별도요청으로 Front 와 Rear 이종혼입 구분도 가능하도록 셋팅된다.
또한, 기본사양 외 추가된 하우징색상(Dark Gray, Dark Atmosphere)에 대한 이종혼입 검사도 현장 셋업 중 테스트를 실시하여 이종혼입 구분이 가능하도록 셋팅된다. 주의적으로 Dark Gray, Dark Atmosphere 등 2가지 색상 차이가 미미하여 품질산포 발생시 즉, 생산 Lot 별 색상의 명도차이 또는 색상의 채도 차이로 인하여 신뢰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터치 판넬의 '비젼검사 및 그리스' 선택창에서 그리스 카트리지 교환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스 카트리지를 교환 후 그리스 공정의 조작판넬 위쪽에 설치된 카운터 리셋 버튼을 1초 이상 누르면 카운터가 "0"으로 초기화 된다. 설정된 카운터가 종료되면 타워램프의 적색램프가 점등되면서 부져가 울린다.
그리스 주입 유닛(300)은 도어 록킹장치와 연결되는 와이어 고리와 인사이드 핸들이 조립되는 공간 상에 윤활 작용을 위해 그리스를 주입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스 주입은 그리스 주입 유닛(300)을 구성하는 그리스 주입 노즐(미도시)이 핸들 하우징 고정 지그(26)의 측면 상에 형성된 그리스 주입공(27)을 통해 진입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양의 그리스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과 비젼 검사 유닛(200) 상에서 발생된 불량품을 제거한 이후에 셔틀(20)이 그리스 주입 유닛(300)에 도착하면 셔틀(20)을 구성하는 지그 내에 인사이드 핸들이 없는 경우에는 그리스 주입을 하지 않게 된다.
트랙 게이트부(15)는 작업자가 트랙(10) 내부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특성으로 인해 작업자의 이동 편이성을 위해 트랙 게이트부(15)를 통해 트랙(10) 내부 진입 및 이동을 편리하게 한다. 이는 트랙 게이트부(15)가 없는 경우에 트랙(10)을 넘어가거나 숙여서 트랙(10) 아래로 기어서 들어가야 하는 불편을 최소화한다. 트랙 게이트부(15)를 통한 진입 방식은 진입 전 라인 Stop 버튼을 누르고 트랙 게이트를 열고 진입한 후 트랙 게이트를 닫고 고정시킨 후 라인 가동 버튼을 누르면 장치가 재가동된다. 작업 후 외부로 나오는 방식은 역순으로 진행된다.
트랙 게이트부(15)에는 Door Lock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Door Lock 장치가 해제되면 게이트 동작 스위치를 작동시켜도 셔틀은 움직이지 않는다. 작동 중에는 Door Lock 장치의 잠금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자동 운전 중에 Door Lock 센서의 이상발생시 경보 알람이 발생한다.
정상 동작중인 셔틀(20)은 트랙(10)을 따라 자율구동하며 셔틀(20) 전면부에 부착된 포토센서가 전방에 물체 감지시 약 80mm 지점에서 스스로 멈추게 된다. 정상 동작중인 셔틀(20)이 트랙(10)의 커브 구간을 통과할 때 먼저 출발한 셔틀(20)이 커브 구간을 완전 통과된 이후에 다음 셔틀이 통과하도록 추돌방지 Inter-Lock 시스템이 되어 있지만, 셔틀이 포지션을 이탈한 경우와 같이 비정상 상황 발생시 예외적으로 추돌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정상 동작중인 셔틀은 AB-Cam 센서도그를 만나면 감속(Slow)을 실시하고 A-Cam 센서도그를 만나면 Stop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은 자동차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상에 인사이드 핸들, 스프링 및 고정핀 등이 공급된 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에 대한 장력 측정, 비젼 검사, 그리스 주입 및 보호 필름 부착 등의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트랙
15 : 트랙 게이트부
20 : 셔틀
30 : 부품 공급부
40 : 메인 패널
50 : 셔틀 가이드부
100 : 레버 장력검사 유닛
200 : 비젼 검사 유닛
300 : 그리스 주입 유닛
400 : 버퍼 유닛
500 : 포장 유닛

Claims (5)

  1. 핸들 하우징 내에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을 결합/검사하는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은,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의 일 지점에 배치되는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
    상기 이송 유닛 상에서 상기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을 거친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진입하도록 배치되는 비젼 검사 유닛(200); 및
    상기 이송 유닛 상에서 상기 비젼 검사 유닛(200)을 거친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진입하도록 배치되는 그리스 주입 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 하우징 상에 상기 인사이드 핸들, 스프링 및 고정핀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인사이드 핸들에 대한 장력 측정, 비젼 검사 및 그리스 주입을 포함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레버 장력검사 유닛(100)은,
    상기 핸들 하우징과 인사이드 핸들에 단속적으로 힘을 전달하는 장력검사 모듈(120) 및 상기 장력검사 모듈(120)을 통한 측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제어 판넬(150)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검사 모듈(120)은 수직 방향으로 상하 구동함으로써 상기 핸들 하우징의 요동을 방지하는 하우징 가압부(130) 및 상기 인사이드 핸들에 힘을 가하여 들어올리는 기능을 하는 핸들 리프팅부(140)를 포함하는,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폐쇄 루프를 형성하는 트랙(10) 및 상기 트랙(10) 상에 배치되는 트랙 게이트부(15) 및 상기 트랙(10)을 따라 순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셔틀(20)을 포함하는,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20)은,
    상기 트랙(1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셔틀 베이스(22), 상기 셔틀 베이스(22)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그 고정 플레이트(24), 상기 지그 고정 플레이트(24) 상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핸들 하우징 고정 지그(26) 및 상기 핸들 하우징 고정 지그(26) 상에 형성되는 그리스 주입공(27)을 포함하는,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리프팅부(140)는,
    리프팅 바디(141), 상기 리프팅 바디(141)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 로드(142) 및 상기 회동 로드(142)의 하부 끝단에 결합된 롤러(144)를 포함하는,
    인사이드 핸들의 조립 시스템.
KR1020150162488A 2015-11-19 2015-11-19 인사이드 핸들 조립 시스템 KR101737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488A KR101737037B1 (ko) 2015-11-19 2015-11-19 인사이드 핸들 조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488A KR101737037B1 (ko) 2015-11-19 2015-11-19 인사이드 핸들 조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037B1 true KR101737037B1 (ko) 2017-05-18

Family

ID=5904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488A KR101737037B1 (ko) 2015-11-19 2015-11-19 인사이드 핸들 조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377B1 (ko) * 2018-10-10 2019-04-29 (주)아이지 스마트 공장 시스템
KR102092636B1 (ko) * 2018-10-10 2020-03-24 (주)아이지 불량조립품분해부를 갖춘 스마트 공장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4317A (ja) * 2007-01-31 2008-08-14 Shinmei Ind Co Ltd 組付コンベヤ装置
KR100890606B1 (ko) * 2008-02-26 2009-03-27 (주)삼원오토텍 인사이드 핸들 조립시스템
KR101333167B1 (ko) * 2012-05-25 2013-11-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니어 모션 시스템용 베어링 모듈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4317A (ja) * 2007-01-31 2008-08-14 Shinmei Ind Co Ltd 組付コンベヤ装置
KR100890606B1 (ko) * 2008-02-26 2009-03-27 (주)삼원오토텍 인사이드 핸들 조립시스템
KR101333167B1 (ko) * 2012-05-25 2013-11-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니어 모션 시스템용 베어링 모듈 조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377B1 (ko) * 2018-10-10 2019-04-29 (주)아이지 스마트 공장 시스템
KR102092636B1 (ko) * 2018-10-10 2020-03-24 (주)아이지 불량조립품분해부를 갖춘 스마트 공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037B1 (ko) 인사이드 핸들 조립 시스템
DE60315138T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Qualitätsüberprüfung von Vorformlingen aus Kunststoff
DE112005001352B4 (de) Verfahren zum Überprüfen von Behältern
DE202016100045U1 (de) Intelligente Prüfvorrichtung der Bodenplatten
US20110007146A1 (en) Substrate inspection device and substrate inspection method
KR101008014B1 (ko) 기어 압입 장치
DE10065290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optischen Inspektion von Flaschen
KR102068674B1 (ko) 용기 검사장치
EP3578294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aufnahmestatus eines werkstücks
KR101080176B1 (ko) 차량용 웜기어의 비전검사장치
KR101227865B1 (ko) 검사수단을 구비한 버틀캡 자동충진장치 및 그에 따른 충진방법
KR100901389B1 (ko) 전장품 스위치의 작동검사장치
KR101858134B1 (ko) 로봇을 이용한 샤프트레버 자동조립기
KR100966145B1 (ko)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 자동 조립장비
KR100655926B1 (ko) 그린타이어 중량검사장치
KR101276592B1 (ko) 스터드볼트의 용접불량 및 용접누락 검사장치
KR100716228B1 (ko) 타이어 트레드 색선 마킹장치
KR101169746B1 (ko) 금속감지센서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제조장치의 런너절단장치
KR20160076691A (ko) 차량도어용 비전검사장치
KR102036012B1 (ko) 비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070077909A (ko) 자동차 전장부품의 작동검사장치
US11650163B2 (en) IV bag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51299A (ko)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JP2009210519A (ja) 基板の目視検査支援装置
KR101972334B1 (ko) 코일스프링의 마킹, 라벨 부착 및 호스 또는 패드 결합 상태의 자동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