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299A -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299A
KR20160051299A KR1020140151025A KR20140151025A KR20160051299A KR 20160051299 A KR20160051299 A KR 20160051299A KR 1020140151025 A KR1020140151025 A KR 1020140151025A KR 20140151025 A KR20140151025 A KR 20140151025A KR 20160051299 A KR20160051299 A KR 20160051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nozzle
washer liquid
spray nozzle
wash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040B1 (ko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갈렙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갈렙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갈렙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4015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0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워셔액 분사노즐(일명: 카울탑 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액체상태의 워셔액과 고가의 비전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air)를 사용하여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Washe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워셔액 분사노즐이 막히는 현상이나 정확한 분사 타점을 검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워셔액 등과 같은 액체상태의 성분을 사용하여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지 않고 수분 제거 작업 등이 필요없는 압축공기(air)를 이용하여 워셔액 분사노즐의 이상 유무(불량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 유리 전방에는 전면유리 세척을 위한 좌/우 한 쌍의 워셔액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차량의 전면 유리 전방에 워셔액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전면유리에 워셔액을 분사함과 동시에 윈도우 브러쉬가 작동함으로써 전면유리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량의 전면 유리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워셔액 분사노즐은 적용 차량에 따라 유리 세척에 적합한 최적의 상태로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셔액 분사노즐의 최적의 세팅 상태라 함은 분사노즐이 막히는 현상은 물론 워셔액의 정확한 분사 타점을 검사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는 전면 유리로부터의 워셔액 분사노즐 사이에 이르는 거리, 워셔액 분사노즐 사이의 간격, 각 워셔액 분사노즐의 분사각, 각 워셔액 분사노즐의 분사량 등이 적용 차량 전면 유리 세척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워셔액 분사노즐 세팅 사항 중의 어느 하나라도 부적합한 경우 차량의 전면 유리 세척 정도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즉, 워셔액 분사노즐이 전면 유리로부터 지나치게 가깝거나 먼 거리에 설치되는 경우 워셔액 분사노즐이 세척 대상이 되는 유리 일부에 치우치게 되므로 유리 세척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워셔액 분사노즐의 분사각이 지나치게 낮거나 높은 경우에도 워셔액 분사지점이 세척 대상이 되는 유리 일부에 치우치게 되므로 유리 세척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워셔액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워셔액의 분사량이 부족하거나 과도한 경우에는 분사되는 워셔액이 부족하여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세척 이후에 다량이 흘러내리게 되어 세척 효과가 떨어지거나 세척 이후 얼룩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워셔액 분사노즐 세팅에 따르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워셔액 분사노즐을 실제 차량에 적용하기 이전에 워셔액 분사노즐의 이상유무(異常有無: 불량상태)를 검사하여 최적상태의 워셔액 분사노즐의 세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에는 워셔액 분사노즐 세팅에 따른 전면 유리 세척 상태를 검사하는 전용 수단 또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던 바, 단순히 워셔액 분사노즐을 통한 워셔액 분사 여부 확인과 같은 기본적인 검사만을 수행하였기에 워셔액 분사노즐의 세팅 상태가 차량에 따른 최적의 세팅 상태라 할 수 없었고 이러한 이유로 워셔액 분사노즐을 통한 차량 전면 유리 세척 정도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31020호에는 워셔액 분사노즐에 의한 워셔액 분사 상태를 적용 차량에 따라 다양한 조건으로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적인 워셔액 분사노즐 세팅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워셔액 분사노즐의 생산 검사장치가 공개된 바가 있다.
이러한 선출원 공개발명은 워셔액 분사노즐의 세팅 상태를 다양하게 연출하여 각각의 세팅 상태에 따른 유리 세척 정도를 검사하여 이상적인 워셔액 분사노즐 세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어서는 나름대로 유용한 것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발명은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반드시 액체상태의 워셔액을 사용해야만 하고 또한 워셔액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워셔액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워셔액 수거함과 상기 워셔액 수거함을 통해 수거된 워셔액과 여분의 워셔액을 저장하고 펌프를 통해 저장된 워셔액을 분사노즐로 공급하도록 하는 워셔액 저장함 및 분사노즐의 분사량이나 분사각 등의 세팅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고가의 비전카메라를 별도로 구성한 검사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공개발명은 별도의 구성요소인 워셔액 수거함과 워셔액 저장함 및 고가의 비전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또한 숙련자만이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예상된다. 또한 상기 공개발명은 워셔액 분사노즐의 세팅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반드시 전면 유리를 전방에 설치한 다음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해야만 하고 검사 후에는 반드시 전면 유리를 제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선출원 공개발명은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반드시 액체상태의 워셔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분사노즐을 검사 후에는 반드시 분사노즐의 내/외부에 묻어있는 물기(워셔액)를 제거해야만 하고 또한 상기 분사노즐의 내부에 잔류 수분이 계속해서 남아있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문헌 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31020호(발명의 명칭: 자동차 워셔액 분사노즐의 생산 검사장치. 공고일자: 2008년 05월 20일) [문헌 2]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23323호(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회전식 와셔액 분사 노즐. 공개일자: 2003년 03월 19일) [문헌 3]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8-060958호(발명의 명칭: 워셔노즐 분사방향 조절장치. 공개일자: 1999년 10월 07일) [문헌 4]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026459호(고안의 명칭: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노즐기구. 공개일자: 1999년 07월 15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한 후에 분사노즐의 내/외부에 잔류수분이 남아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구나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워셔액 분사노즐에는 압축공기(air)가 공급되며,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부딪히는 복수의 감지실과, 상기 복수의 감지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중심추와, 상기 중심추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을 불량상태를 검사할 때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검사하고자 하는 워셔액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부딪히는 복수의 감지실과, 상기 복수의 감지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중심추와, 상기 중심추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된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검사하고자 하는 워셔액 분사노즐의 가장 이상적인 세팅상태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센서 위치를 셋팅하는 과정과,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영향을 받는 감지실 만이 이동하면서 상기 셋팅된 센서의 위치와 상기 이동한 감지실에 연결된 중심추의 위치가 서로 일치할 때는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이 정상제품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할 때 액체상태의 워셔액이나 물을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air)를 이용하여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함으로써 고질적인 문제였던 수분 제거 등의 작업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검사한 후에는 항상 깨끗한 상태로 워셔액 분사노즐을 납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할 때 전면 유리를 설치하고 제거하는 작업이 없기 때문에 검사 시간 및 공정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워셔액 분사노즐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하던 워셔액 수거함과 워셔액 저장함 및 고가의 비전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검사장치의 유지보수가 쉽고 저가의 검사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기술의 필수구성요소인 비전카메라와 소프트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문가뿐만 아니라 비숙련자도 누구나 쉽게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아이템 생산이 중단(예를 들어, 소나타에 장착되는 워셔액 분사노즐을 검사하지 않고 그렌저에 장착되는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할 때)되어도 쉽게 다른 아이템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의 구성을 정면에서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에 있어서, 검사하고자 하는 워셔액 분사노즐의 이상적인 세팅 상태에 맞도록 각 센서의 위치를 설정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를 정면에서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에 있어서, 워셔액 분사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분사될 때 검사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를 정면에서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7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에 있어서, 워셔액 분사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분사될 때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8은 도 7에서도 도시하고 있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를 정면에서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센서와 제2 센서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센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이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워셔액 분사노즐 감지장치는 차량의 워셔액 분사노즐(일명: 카울탑 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액체상태의 워셔액과 고가의 비전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air)를 사용하여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미리 정상 타점을 확인한 워셔액 분사노즐(바람직하게는, 검사하고자 하는 차량에 가장 이상적인 세팅상태, 즉 정상제품의 워셔액 분사노즐)에 압축공기(air)를 발생하는 통상의 에어 콤프레셔를 장착하고,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과 분사량에 따라 복수의 감지실이 날리게 되고 상기 감지실에 연결된 복수의 중심추는 위로 들려지게 되는데, 이때 위로 들려진 중심추의 위치에 복수의 센서를 위치시키는 과정으로 본 발명의 검사장치를 설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각 차량에 맞는 워셔액 분사노즐의 가장 이상적인 세팅상태를 설정한 다음, 검사하고자 하는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워셔액 분사노즐 검사장치(10)는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액체상태의 워셔액과 고가의 비전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air)를 이용하여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즉, 가장 이상적인 세팅 상태의 워셔액 분사노즐 제품을 선정하는 방법)를 검사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워셔액 분사노즐 검사장치(10)는 지그 형태의 본체 프레임(12)을 구성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2)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 프레임(12)은 도 1과 같이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부 프레임(12a)과 하부 프레임(12b) 및 2개의 측벽 프레임(12c)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사각형 모양을 이룬다. 상기 상부 프레임(12a)과 하부 프레임(12b) 사이에는 가이드 프레임(12d)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12d)은 하부 프레임(12b) 쪽으로 치우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2d)에는 복수의 구멍(a)이 형성되며, 상기 각 구멍(a)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감지실(14)이 각각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구멍(a)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면서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부 프레임(12a)의 저면에는 복수의 감지실(14)이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감지실(14)은 제1 감지실, 제2 감지실, 제3 감지실...등과 같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규칙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1 감지실, 제2 감지실, 제3 감지실...등은 가이드 프레임(12d)에 형성된 구멍(a)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 상기 복수의 구멍(a)에 끼워진 각각의 감지실(14: 제1 감지실, 제2 감지실, 제3 감지실...)은 상기 구멍(a)을 따라 자연스럽게 위/아래로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실(14)은 바람의 영향(즉, 워셔액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영향)을 잘 받는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가늘고 부드러운 소재, 실, 합사, 낚시줄, 와이어 등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복수의 감지실(14) 각각에는 중심추(16)가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감지실에는 제1 중심추가 연결되고, 상기 제2 감지실에는 제2 중심추가 연결되고, 상기 제3 감지실에는 제3 중심추가 연결되는데, 이와 같이 복수의 감지실(14)에는 복수의 중심추(16)가 하나씩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중심추(16)는 하부 프레임(12b)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 구멍(b)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각 구멍(b)에 끼워진 중심추(16)는 전술한 복수의 감지실(14)이 위/아래로 이동할 때 상기 구멍(b)을 따라 자연스럽게 위/아래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중심추(16) 각각에는 감지부(18)가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18)는 후술하는 복수의 센서(20)와 각각 센싱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전술한 복수의 센서(20)는 도 1과 같이 복수의 중심추(16)에 대응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예를 들어 제1 중심추에는 제1 센서가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중심추에는 제2 센서가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중심추에는 제3 센서가 대응되게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중심추(16)와 복수의 센서(20)는 동일한 갯수, 동일한 위치에 나란히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워셔액 분사노즐 검사장치(10)를 이용하여 워셔액 분사노즐(100)의 불량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을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검사하고자 하는 워셔액 분사노즐의 가장 이상적인 세팅 상태를 본 발명의 워셔액 분사노즐 검사장치(10)에 세팅을 한다. 즉, 도 3,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사하고자 하는 차량에 가장 이상적인 세팅상태의 워셔액 분사노즐(100)에 압축공기(air)를 발생하는 통상의 에어 콤프레셔(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고, 상기 분사노즐(100)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과 분사량에 따라 복수의 감지실(14: 제1 감지실, 제2 감지실, 제3 감지실...) 중에서 압축공기에 영향을 받은 감지실(14) 만이 날리게 되고 상기 감지실(14)에 연결된 복수의 중심추(16: 제1 중심추, 제2 중심추, 제3 중심추...)만 위로 들려지게 된다. 이때 위로 들려진 중심추(16)의 위치에 있는 복수의 센서(20: 제1 센서, 제2 센서, 제3 센서...)만을 위치시키는 과정으로 본 발명의 워셔액 분사노즐 검사장치(10)를 세팅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워셔액 분사노즐의 가장 이상적인 세팅상태를 설정한 다음,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검사하고자 하는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즉,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셔액 분사노즐(100)의 가장 이상적인 세팅상태로 복수의 센서(20: 제1 센서, 제2 센서, 제3 센서...)의 위치를 설정한 다음, 도 9와 같이 워셔액 분사노즐(10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100)을 통해 압축공기(air)가 분사된다. 이에 따라 워셔액 분사노즐(100)을 통해 분사된 압축공기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감지실(14)에 분사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실(14) 중에서 압축공기가 분사된 지점에 위치한 감지실(14)은 전방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압축공기에 의해 날려간 감지실(14)에 연결된 중심추(16)만이 위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미리 셋팅된 센서(20)는 위로 올라간 중심추(16)의 감지부(18)를 센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리 셋팅된 센서(20) 모두로부터 중심추(16)가 감지되면, 구체적으로는 도 6와 같이 미리 셋팅된 센서(20) 모두의 위치와 위로 올라간 중심추(16)의 위치가 모두 동일 선상에 놓이게 되면 워셔액 분사노즐(100)은 가장 이상적인 세팅상태, 즉 정상제품이라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도 7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셋팅된 센서(20)의 위치와 위로 올라간 중심추(16)의 위치가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게 되면, 워셔액 분사노즐(100)은 불량제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워셔액 분사노즐 세팅장치(10)는 미리 셋팅된 센서(20)의 위치와 위로 올라간 중심추(16)의 위치가 모두 일치하는지만을 확인함으로써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비숙련자라도 쉽게 제품의 불량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워셔액 분사노즐 세팅장치(10)에는 복수의 레이저(22: 예를 들어, 제1 레이저, 제2 레이저, 제3 레이저...등)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레이저(22)는 작업자가 복수의 감지실(14)이 위로 상승하는 것을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레이저(22)는 본 발명의 검사장치(10)에 추가로 선택가능한 구성요소이다.
10: 워셔액 분사노즐 검사장치
12: 본체 프레임
14: 복수의 감지실(제1 감지실, 제2 감지실, 제3 감지실....)
16; 복수의 중심추(제1 중심추, 제2 중심추, 제3 중심추....)
18: 감지부
20: 복수의 센서(제1 센서, 제2 센서, 제3 센서....)
22: 복수의 레이저(제1 레이저, 제2 레이저, 제3 레이저....)

Claims (5)

  1. 통상의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에는 압축공기가 공급되며;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부딪히는 복수의 감지실과;
    상기 복수의 감지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중심추와;
    상기 중심추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실의 양측으로는 복수의 레이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장치.
  3. 통상의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을 불량상태를 검사할 때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방법.
  4. 검사하고자 하는 워셔액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부딪히는 복수의 감지실과, 상기 복수의 감지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중심추와, 상기 중심추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된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의 불량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검사하고자 하는 워셔액 분사노즐의 가장 이상적인 세팅상태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센서 위치를 셋팅하는 과정과;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영향을 받는 감지실 만이 이동하면서 상기 셋팅된 센서의 위치와 상기 이동한 감지실에 연결된 중심추의 위치가 서로 일치할 때는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이 정상제품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영향을 받는 감지실 만이 이동하면서 상기 셋팅된 센서의 위치와 상기 이동한 감지실에 연결된 중심추의 위치가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을 때는 상기 워셔액 분사노즐이 불량제품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방법.
KR1020140151025A 2014-11-03 2014-11-03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8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025A KR101688040B1 (ko) 2014-11-03 2014-11-03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025A KR101688040B1 (ko) 2014-11-03 2014-11-03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299A true KR20160051299A (ko) 2016-05-11
KR101688040B1 KR101688040B1 (ko) 2016-12-21

Family

ID=5602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025A KR101688040B1 (ko) 2014-11-03 2014-11-03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0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432B1 (ko) * 2016-08-25 2016-11-09 박승광 노즐 검사 장치
KR20190034920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프로스코 노즐의 워셔액 분사상태 검사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802A (ja) * 1991-10-11 1993-04-23 Yoshino Kogyosho Co Ltd 噴霧ノズルヘツドの霧化性能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H0949471A (ja) * 1995-08-04 1997-02-18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装置の噴霧特性検出方法
JPH09280137A (ja) * 1996-04-09 1997-10-28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装置の燃料噴霧特性検出装置
KR19980060958A (ko)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워셔노즐 분사방향 조절장치
KR19990026459U (ko)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노즐기구
KR200156539Y1 (ko) * 1995-12-29 1999-09-01 정몽규 자동차와셔액의분사성능측정장치
KR20030023323A (ko) 2001-09-13 2003-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회전식 와셔액 분사 노즐
KR100831020B1 (ko) 2007-06-18 2008-05-20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자동차 워셔액 분사노즐의 생산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802A (ja) * 1991-10-11 1993-04-23 Yoshino Kogyosho Co Ltd 噴霧ノズルヘツドの霧化性能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H0949471A (ja) * 1995-08-04 1997-02-18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装置の噴霧特性検出方法
KR200156539Y1 (ko) * 1995-12-29 1999-09-01 정몽규 자동차와셔액의분사성능측정장치
JPH09280137A (ja) * 1996-04-09 1997-10-28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装置の燃料噴霧特性検出装置
KR19980060958A (ko)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워셔노즐 분사방향 조절장치
KR19990026459U (ko)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노즐기구
KR20030023323A (ko) 2001-09-13 2003-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회전식 와셔액 분사 노즐
KR100831020B1 (ko) 2007-06-18 2008-05-20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자동차 워셔액 분사노즐의 생산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432B1 (ko) * 2016-08-25 2016-11-09 박승광 노즐 검사 장치
KR20190034920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프로스코 노즐의 워셔액 분사상태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040B1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1760B2 (ja) 液滴吐出ヘッド検査装置および液滴吐出装置
CN101907435A (zh) 全自动轴承机外检测装置
CN204817226U (zh) 全自动蜗杆半成品长度检测机
KR101688040B1 (ko)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907300B1 (ko) 사출성형기의 통합적 관제 기능을 갖는 취출 로봇장치
KR100575433B1 (ko) 공작기계 및, 공작기계용 윤활제 분출상태 검출장치
KR101675559B1 (ko) 광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용접 팁 검사장치
CN204583709U (zh) 轴承外圈部件分拣设备
JP2015186843A5 (ja) 記録装置及びその検知方法
JP2010000439A (ja)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2007130566A (ja) 集塵機用濾布の破損検知方法
CN111351793A (zh) 一种列车车轴表面缺陷的检测系统
KR20180102303A (ko) 사출성형기의 사출품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취출 로봇장치
EP2410288B1 (en) Method for cleaning the skid of a surface roughness tester
US20130213943A1 (en) Laser machining method
KR20110023235A (ko) 스터드볼트 체크장치
KR101357108B1 (ko)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
US11548036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containers for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KR20110017516A (ko) 씨알디아이 인젝터용 테스트장치
KR100716228B1 (ko) 타이어 트레드 색선 마킹장치
CN105547599B (zh) 一种气密性全自动试验机
KR101737037B1 (ko) 인사이드 핸들 조립 시스템
CN105004532B (zh) 用于尾气检测的自动输送装置及其方法
US9090113B1 (en) System for detecting inoperative ejectors in three-dimensional object printing using a pneumatic sensor
JP6905919B2 (ja) 洗浄機管理装置及び洗浄機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