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108B1 -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108B1
KR101357108B1 KR1020120051856A KR20120051856A KR101357108B1 KR 101357108 B1 KR101357108 B1 KR 101357108B1 KR 1020120051856 A KR1020120051856 A KR 1020120051856A KR 20120051856 A KR20120051856 A KR 20120051856A KR 101357108 B1 KR101357108 B1 KR 101357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d
defective
discharge
slider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090A (ko
Inventor
최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to KR102012005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10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moulds carried by a tur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4Control arrangements for mechanically-drive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26Programme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Abstract

본 발명은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으면, 정해진 시간 이후의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불량품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현재 기계의 불량 배출상태를 점검하여 불량이 양품과 동시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rotary tablet press machine}
본 발명은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으면, 정해진 시간 이후의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불량품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제기 배출구조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11-0131877에 제시된 것이 있다.
미국특허 7740140호에는 양품과 불량품을 배출하는 에어 노즐이 각각 구비되어 양품과 불량품 배출시 각각 작동시키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정제기는 에어라인에 문제가 있을 경우, 라인 트러블로 스크레퍼까지 에어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 실제 AWC카운터는 증가하며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은 가능하지만 실제 구동되는 에어가 존재하지 않아 불량배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솔레노이드 밸브에 문제가 있을 경우, 실제 Box에서는 신호를 주며 AWC 불량 카운터는 증가한다. 그러나, 실제 불량 게이트로 배출되는 정제는 없으며 , 모든 불량이 양품으로 섞여서 배출된다.
박스 에어포트에 문제가 있을 경우, 실제 배출이라는 신호를 주나 ,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작하지 않는다. 실제 불량을 배출중이라고 판단하나 실제로는 아무런 동작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정제기기는 에어라인, 솔레노이드 밸브, 박스 에어포트 트러블 등이 발생시에 불량품이 별도로 배출되지 않고 양품에 섞여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 20100094449호 및 유럽특허 1247640호에는 컨트롤 밸브 개방시 측정된 압력이 지정값 만큼 감소되지 않으면 에러신호를 발생하여 불량품 배출이 정확하게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미국공개특허 20100094449호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박스 에어포트 트러블 등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불량품 배출이 정확하게 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재 기계의 불량 배출상태를 점검하여 불량이 양품과 동시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은,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으면, 정해진 시간 이후의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불량품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확인단계는 불량배출부에 있는 배출된 상기 불량품을 센싱하여 불량품 배출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단계 이후에, 상기 불량품이 배출되지 않았으면 사용자에게 알리고, 장치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으면, 정해진 시간 이후의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불량품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현재 기계의 불량 배출상태를 점검하여 불량이 양품과 동시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확인단계는 불량배출부에 있는 배출된 상기 불량품을 센싱하여 불량품 배출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단계 이후에, 상기 불량품이 배출되지 않았으면 사용자에게 알리고, 장치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를 포함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장치를 점검할 수 있으며, 불량과 양품이 동시에 배출되는 것을 자동으로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 플로우 차트.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 정제 프레스 배출슈트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서술되는 실시예에서는 정제기에 본 발명의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을 적용한 것을 예로 들기로 한다. 본 발명의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은 정제기 뿐만 아니라 약품을 제조하는 다른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은,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와,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으면, 정해진 시간 이후의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불량품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S7)를 포함한다.
타정중에 AWC 불량품을 감지하면, 불량배출신호를 발생한다.(S1)
이어서 에어 블로우(Air Blow)신호를 발생하여 약품을 배출한다.
다음으로, 솔레노이드 밸브(Sol V/V)를 동작시켜서 불량품을 배출한다.(S3,5)
불량품을 배출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켜서 불량품을 배출한다.
이어서, 정해진 시간 이후의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불량품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
상기 일정 시간은 장치의 운전 조건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정제기에 설치된 펀치의 유효 반경/장치 RPM/에어 블로우 압력 및 노즐 직경 등에 따라 보정계수를 다르게 설정하고 위 일정 시간에 보정계수를 곱한 값에 의해 기준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본 실시예에서는 1~3초가 될 수 있다.
상기 확인단계(S7)는 불량배출부에 있는 배출된 상기 불량품을 센싱하여 불량품 배출여부를 확인한다. 즉, 불량배출부에 약품을 감지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센서를 통해 약품이 감지되면 불량이 배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확인단계(S7)를 통해 현재 기계의 불량 배출상태를 점검하여 불량이 양품과 동시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확인단계(S7) 이후에, 상기 불량품이 실제로 배출되지 않았으면(센서를 통해 불량품이 감지되지 않았으면) 사용자에게 알리고, 장치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를 포함한다.(S13)
이와 같이 장치를 자동으로 정지해서 불량품과 양품이 동시에 배출되는 것을 자동으로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알려서 사용자가 장치에 문제가 있을 경우 바로 장치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불량배출에 관련된 사용자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에어라인을 점검하고, 스크래퍼의 셋팅각도를 점검하여 어느 부품에 문제가 발생했는지 알 수 있다.
점검 및 보수가 완료되면 AWC불량품배출은 종료한다.
한편, 상기 확인단계(S7) 이후에, 상기 불량품이 실제로 배출되었으면, 센싱신호 PLC 피드백 동작하고, 정해진 시간을 리셋한 후 불량품배출을 종료한다.
이하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Sol V/V)를 동작시켜서 불량품을 배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로터리 정제 프레스기에는 생산된 타블릿(Tablet)이 정제기 외부로 송출되도록 하는 장비로서 배출슈트가 구비되고, 배출슈트는 회전식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타블릿의 양품, 불량품, 샘플링 표본을 구분하여 배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배출슈트는 크게 정제기로부터 배출되는 타블렛(Tblet)을 안내하는 슬라이더(100)와, 슬라이더(100)가 설치되는 서포터(200)와, 서포터(200)를 지지하는 베이스(30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더(100)는 정제기가 설치되는 지면과 경사지도록 서포트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정제기로부터 배출되는 타블렛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슬라이더(100)를 따라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서포터(200)는 내부에 석션라인(230)과 에어라인(220)을 형성한다.
석션라인(230)과 에어라인(220)은 모두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으며 서포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길에 연장되어 있다.
에어라인(220)은 서포터(200)의 전방으로 튜브를 통해 연장되면서 제2공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제2공압실린더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으며, 튜브로 연결된 제1공압실린더에도 에어를 공급한다.
슬라이더(100)는 서포터(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슬라이더(100)는 상단에 인렛부(120)가 형성되어 정제기로부터 만들어진 타블렛을 안내한다.
슬라이더(100)는 하단에 아웃렛부(130)가 형성되어 슬라이더(100)를 따라 흘러 내리는 타블렛이 아웃렛부(130)를 통해 배출된다.
슬라이더(100)에는 타블렛의 양품, 불량품, 샘플링 표본을 구분하기 위하여 제1분리대(141) 및 제2분리대(142)가 슬라이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제1분리대(141)는 일측이 인렛부(1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아웃렛부(130)에 연결되면서 제1측벽(121)과 함께 제1채널(131)을 형성한다.
제2분리대(142)는 일측이 아웃렛부(13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측벽(122)에 접촉하면서 제2측벽(122)과 함께 제3채널(133)을 형성한다.
제2채널(132)은 제1분리대(141)와 제2분리대(142) 사이 공간에서 인렛부(120)와 아웃렛부(130)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타블렛은 양품, 불량품, 샘플링 표본이 각각 제1채널(131), 제2채널(132), 제3채널(133)에서 택일적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아웃렛으로 최종 분리 배출된다. 따라서, 제2채널(132)이 불량배출부가 된다.
슬라이더(100)는 덮개(105)로 덮혀있어 슬라이딩 하는 인렛부(120)를 진입한 타블렛이 아웃렛부(130)로 안전하게 배출 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더(100)의 후면부(103)에는 회전형 공압실린더가 두 개 설치되는데 하나는 제1공압실린더로서 제1분리대(141)의 상측과 연결되어 제1분리대(141)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제2공압실린더로서 제2분리대(142)의 하부와 연결되어 제2분리대(142)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제1공압실린더와 제2공압실린더는 각각 에어라인(220)에 연결되어 공압으로 구동된다.
제1공압실린더와 제2공압실린더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따라 제1공압실린더와 제2공압실린더는 작동된다.
슬라이더(100)는 전면부(101)에 석션홀(150)을 형성한다.
석션홀(150)은 슬라이더(100)의 전면부(101)와 후면부(10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정제기로부터 배출되는 타블렛에 뭍어 있는 잉여의 파우더가 타블렛과 함께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 타블렛에 뭍어 있는 잉여의 파우더는 석션라인(230)의 상부에 연결된 석션홀(150)로 빨려 들어가게 됨으로써 슬라이더(100)의 아웃렛으로 배출되지 아니한다.
에어라인(220)과 석션라인(230)은 서포터(200)의 밑면까지 연장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석션라인(230) 및 에어라인(220)은 씰(sel)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200)는 베이스(300) 위에 고정 설치된다.
다시 말해, 베이스(300)는 석션라인(230)의 하부에 연결되는 석션라인연결부(330)를 형성하고, 에어라인(220)의 하부에 연결되는 에어라인연결부(320)를 각각 형성한다.
베이스(300)는 바닥이 직시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석션라인(230) 주위 모서리에는 각각 상부로 돌출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결합돌기(340)가 설치된다.
서포터(200)는 바닥부에서 앞서 언급한 베이스(300)의 결합돌기(340)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홈(240)이 형성됨으로써, 베이스(300)에 결합할 때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슬라이더 200 : 서포터
300 : 베이스

Claims (2)

  1. 삭제
  2.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불량배출신호가 발생하였으면, 정해진 시간 이후의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불량품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단계는 불량배출부에 있는 배출된 상기 불량품을 센싱하여 불량품 배출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단계 이후에,
    상기 불량품이 배출되지 않았으면 사용자에게 알리고, 장치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정제기로부터 배출되는 타블렛을 안내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분리배출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배출슈트를 통해 생산된 타블릿이 정제기 외부로 송출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정제기가 설치되는 지면과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정제기로부터 배출되는 타블렛에 뭍어 있는 잉여의 파우더가 빨려 들어가는 석션홀이 형성되어 있는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
KR1020120051856A 2012-05-16 2012-05-16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 KR101357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856A KR101357108B1 (ko) 2012-05-16 2012-05-16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856A KR101357108B1 (ko) 2012-05-16 2012-05-16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090A KR20130128090A (ko) 2013-11-26
KR101357108B1 true KR101357108B1 (ko) 2014-02-04

Family

ID=4985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856A KR101357108B1 (ko) 2012-05-16 2012-05-16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9327A (zh) * 2017-05-03 2020-02-14 罗马科基利安有限公司 旋转式片剂压机及其片剂出口
DE202017102645U1 (de) * 2017-05-03 2018-08-06 Romaco Kilian Gmbh Ablaufvorrichtung für Presslinge einer Rundläufer-Tablettenpresse sowie Rundläufer-Tablettenpresse mit Ablaufvorrichtung
CN107085446A (zh) * 2017-06-13 2017-08-22 浙江迦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孔包衣机的自动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641A (ja) * 1997-11-06 1999-05-25 Sankyo Co Ltd 錠剤のカケ・バリ検査方法及び装置
KR20090114737A (ko) * 2008-04-30 2009-11-04 김철보 제약 선별기
JP2012006058A (ja) 2010-06-28 2012-01-12 Mori Machinery Corp ロータリプレスの不良品排出確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641A (ja) * 1997-11-06 1999-05-25 Sankyo Co Ltd 錠剤のカケ・バリ検査方法及び装置
KR20090114737A (ko) * 2008-04-30 2009-11-04 김철보 제약 선별기
JP2012006058A (ja) 2010-06-28 2012-01-12 Mori Machinery Corp ロータリプレスの不良品排出確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090A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108B1 (ko) 로타리 정제 프레스 제어방법
WO2015140768A2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nic-cigarette cartridges
JP5688609B2 (ja) 位置検出装置
CN109677867B (zh) 用于驱动轴扣环组装防错的分选装置
CN207735905U (zh) 一种喷头自动插管装置
EP2755006B1 (en) Container liquid leak inspection device
CN104990677A (zh) 一种卷烟包装密封度自动检测装置
JPH0524006B2 (ko)
KR20160131427A (ko) 진단 키트 조립시스템 및 방법
US9675087B2 (en) Filling machin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e of fouling in a vacuum system of a filling machine
JP3540428B2 (ja) 液体充填方法及び装置
CN106362959A (zh) 一种多功能出料装置
KR101108612B1 (ko) 종이컵 제조기의 컵 검사장치
CN210853087U (zh) 一种糖果包装检测装置
KR101229080B1 (ko) 사료분배기
CN204979330U (zh) 一种烟包内衬纸缺陷自动检测剔除装置
US9560856B2 (en) Filling machine and method for filling a pasty mass
JP4262966B2 (ja) 部品実装方法、及び部品実装装置
US20170210043A1 (en) Rotary tablet press
CN109823633A (zh) 一种塑料盖外贴检测及收盖装置
CN105547599B (zh) 一种气密性全自动试验机
CN105539917B (zh) 具有气体喷嘴监视的腔机器及借助于其包装产品的方法
CN107561066A (zh) 水质自动监测装置
CN205570843U (zh) 一种三合一斜坡自动测试机
CN218219072U (zh) 一种烟丝加香管道回料气动球阀内漏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