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785B1 -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785B1
KR101736785B1 KR1020110012824A KR20110012824A KR101736785B1 KR 101736785 B1 KR101736785 B1 KR 101736785B1 KR 1020110012824 A KR1020110012824 A KR 1020110012824A KR 20110012824 A KR20110012824 A KR 20110012824A KR 101736785 B1 KR101736785 B1 KR 101736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haft
engaging
plate
fishing line
b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618A (ko
Inventor
켄이치 스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1009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3Devices for transferring line to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5Multi-speed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1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낚싯줄이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해결 수단> 베일 암(34)은, 베일(41)과 고정 축(43)과 라인 롤러(44)와 고정 축 커버(46)를 가지고 있다. 베일(41)은, 봉상부(棒狀部, 41a)와 판상부(41b)를 가지고 있다. 판상부(41b)는, 일단부(一端部)로부터 타단부(他端部)를 향하여 2 방향으로 분기(分岐)하여 연장되는 제1 판 본체(41c) 및 제2 판 본체(41d)를 가지고 있다. 제1 판 본체(41c) 및 제2 판 본체(41d)의 타단부는, 고정 축 커버(46)의 커버 본체(46a)의 측면 외주면(外周面)의 2개소에 개구(開口)하도록 형성된 제1 계합(係合) 홈(46b) 및 제2 계합 홈(46c)에 대략 직각으로 계합하도록 구부러져 형성된 제1 계합부(41e) 및 제2 계합부(41f)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SPINNING REEL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본 발명은, 낚싯줄 안내 기구, 특히, 제1 로터 암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先端)에 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줄을 스풀에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에는, 낚싯줄을 스풀에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 기구는, 제1 로터 암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장착되며, 로터와 함께 회전하고, 또한 줄 개방 자세와 줄 안내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낚싯줄 안내 기구는, 제1 베일 지지 부재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에 일단(一端)이 고정된 고정 축과, 고정 축의 타단(他端)에 고정된 고정 축 커버와, 고정 축 커버에 일단이 취부된 베일과, 고정 축에 지지된 라인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베일의 일단은 고정 축 커버에 삽입 고정되어 있고, 베일의 타단은 제2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에 취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낚싯줄 안내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서는, 낚싯줄을 스풀에 감을 때에, 베일을 줄 안내 자세 측으로 요동시켜 핸들을 돌린다. 그러면, 낚싯줄은 베일에 유도되어 고정 축 커버를 통하여 라인 롤러의 외주면(外周面)에 안내되어 접촉한다. 그리고, 낚싯줄은, 라인 롤러에 안내되어 방향이 바뀌어 스풀 외주(外周)에 감긴다.
이러한 종류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서는, 일단부가 제2 베일 지지 부재에 고정되고 봉상(棒狀)으로 형성된 봉상부와, 타단부가 고정 축 커버의 낚싯줄 안내 측과 매끄럽게 연설(連設, 한 줄로 이어 설치하는 것)하도록 홈부에 삽입되고 봉상부와 매끄럽게 연설하도록 판상(板狀)으로 형성된 판상부를 가지는 베일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고정 축 커버는, 단부가 슬릿상으로 개구(開口)하는 홈부를 가지고 있고, 이 홈부에는, 고정 축 커버의 낚싯줄 안내 측 및 그 반대 쪽과 매끄럽게 연설하도록 베일의 판상부가 삽입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베일은, 고정 축 커버의 낚싯줄 안내 측과 매끄럽게 연설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축 커버와 베일과의 사이의 단차가 없어져, 고정 축 커버와 베일과의 사이에 낚싯줄이 걸리기 어려워진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3934512호
상기 종래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베일은 고정 축 커버의 낚싯줄 안내 측과 매끄럽게 연설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축 커버와 베일과의 사이에 낚싯줄이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일은, 고정 축 커버의 단부(端部)에 개구하는 홈부에 판상부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홈부에 삽입된 판상부가 고정 축 커버의 단부에 배치되게 되어, 이 부분에 낚싯줄이 걸릴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낚싯줄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제1 로터 암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줄을 스풀에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이고, 제1 베일 지지 부재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고정 축과, 고정 축 커버와, 라인 롤러와, 베일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는, 제1 로터 암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고정 축은, 제1 베일 지지 부재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 축 커버는, 고정 축의 타단에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커버 본체, 및 커버 본체의 측면만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계합(係合, 걸어 맞춤) 홈을 가지고 있다. 라인 롤러는, 고정 축에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함) 가능하게 지지되고, 둘레면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베일은, 봉상으로 형성된 봉상부, 및 일단부가 봉상부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고정 축 커버에 장착되는 판상부를 가지고, 낚싯줄을 고정 축 커버를 통하여 라인 롤러로 이끄는 부재이다. 판상부는, 계합 홈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가지고 있다.
이 낚싯줄 안내 기구에서는, 고정 축 커버는, 커버 본체의 측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계합 홈을 가지고 있고, 베일은, 계합 홈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가지는 판상부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베일은, 고정 축 커버의 커버 본체의 측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계합 홈에 판상부의 계합부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 홈에 삽입된 판상부의 계합부가 고정 축 커버의 측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계합 홈에 삽입된 판상부의 계합부가 고정 축 커버의 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홈부에 삽입된 판상부가 고정 축 커버의 단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낚싯줄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1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커버 본체는,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합 홈은, 커버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원통상의 커버 본체의 외주면에 계합 홈을 형성하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계합 홈을 커버 본체의 외주 방향으로 되는 측면에 확실히 개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낚싯줄이 걸리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1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계합 홈은, 커버 본체의 고정 축을 사이에 둔 양측의 측면에 각각 개구하도록 형성된 제1 계합 홈 및 제2 계합 홈을 더 가지고 있다. 계합부는, 제1 계합 홈 및 제2 계합 홈에 계합하는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 2개의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가 2개의 제1 계합 홈 및 제2 계합 홈에 계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베일의 고정 축 커버에 대한 고정이 강고하게 된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3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판상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2 방향으로 분기(分岐)하여 연장되는 제1 판 본체 및 제2 판 본체를 더 가지고 있다.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는, 제1 판 본체 및 제2 판 본체의 타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판상부는, 2 방향으로 분기하여 연장되는 제1 판 본체 및 제2 판 본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1 판 본체 및 제2 판 본체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되어, 이 때문에, 베일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4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고정 축 및고정 축 커버의 어느 하나는, 타단부가 제1 판 본체 및 제2 판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정점(頂点)으로 되도록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판 본체 및 제2 판 본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고정 축 또는 고정 축 커버의 대략 원추 형상 부분을 배치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4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제1 판 본체 및 제2 판 본체의 일방(一方)의 외측면은, 봉상부의 외측면과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판 본체 및 제2 판 본체의 일방의 외측면은, 봉상부의 외측면과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낚싯줄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1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판상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확경(擴俓, 직경을 크게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판상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확경하도록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일의 봉상부로부터 고정 축 커버의 커버 본체를 향하여 외형을 매끄럽게 연결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1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계합부는, 계합 홈에 대략 직각으로 계합하도록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계합부는 계합 홈에 대략 직각으로 계합하도록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계합 홈에 삽입된 계합부가 고정 축 커버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으로 낚싯줄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계합부가 계합 홈으로부터 이반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고정 축 커버는, 커버 본체의 측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계합 홈을 가지고 있고, 베일은, 계합 홈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가지는 판상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낚싯줄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우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좌측면 단면도.
도 3은 상기 스피닝 릴의 정면도.
도 4는 베일 암의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베일 암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상기 베일 암의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베일 암의 상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이며,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핸들(1)은, T자상의 손잡이(1a)와, 선단에 손잡이(1a)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L자상의 크랭크 암(1b)을 가지고 있다.
릴 본체(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側部)에 개구를 가지는 릴 보디(2a)와, 릴 보디(2a)로부터 비스듬히 위쪽 전방(前方)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T자상의 장대 취부 다리(2b)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기구 장착용의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공간 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로터(3)의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 스풀(4)의 중심부가 스풀 축(15)의 선단부에 드랙 기구(60, 도 2 참조)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축(10)과, 핸들 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핸들 축(10)의 양단(兩端)은 베어링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 축(10)의 양단에는 나사 방향 및 직경이 다른 암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양 암 나사부에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2)의 전부는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고, 너트(33)에 의하여 로터(3)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12)의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後端部)가, 각각 베어링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15)의 대략 바로 하방(下方)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축(21)과, 나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 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에 고정된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과,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안내 기구로서의 베일 암(34)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일체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선단 중심 부분이 전술한 바와 같이 너트(33)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의 선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의 선단에, 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를 가지고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제1 로터 암(31)의 외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제2 로터 암(32)의 내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도 3부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를 연결하는 베일(41)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선단이 고정된 고정 축(43, 도 5부터 도 7 참조)과, 고정 축(43)에 지지된 라인 롤러(44)와, 고정 축(43)을 덮는 고정 축 커버(46)를 더 가지고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도 4부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31)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암부(40a)와, 암부(40a)의 선단에 일체 성형된 링상의 장착부(40b)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40b)에는 계단붙이의 관통공(40c, 도 5부터 도 7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40c)에는 고정 축(43)을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52)가 관통하고 있다.
베일(4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베일 지지 부재(42) 및 고정 축 커버(46)에 양단(兩端)이 고정된 봉상의 스테인리스 합금제 부재이며, 스풀(4)의 둘레 방향 외방(外方)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배치되어 있다. 베일(41)은, 베일 암(34)이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안내 자세로 복귀했을 때에 낚싯줄을 고정 축 커버(46)를 통하여 라인 롤러(44)로 이끌기 위한 것이다.
베일(41)은, 도 5부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상으로 형성된 봉상부(41a)와, 일단부가 봉상부(41a)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고정 축 커버(46)에 장착되는 판상부(41b)를 가지고 있다. 판상부(41b)는, 도 5부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이 고정 축 커버(46)의 낚싯줄 안내 측 및 그 반대 쪽과 매끄럽게 연설하고, 타단이 봉상부(41a)와 매끄럽게 연설하고 있다. 봉상부(41a)는 원주상의 중실(中實) 부재이다. 이와 같은 베일(41)은, 판상의 모재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으로부터, 봉상부(41a) 및 판상부(41b)의 외형 전체를 스탬핑(stamping)하고, 나아가 봉상부(41a)를 절삭 가공 또는 단조 가공한 후 배럴 연마하는 것에 의하여, 봉상부(41a) 및 판상부(41b)를 일체 성형하고 있다.
판상부(41b)는, 도 5부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베일(41) 측으로부터 고정 축 커버(46) 측을 향하여) 2 방향으로 분기하여 연장되는 제1 판 본체(41c) 및 제2 판 본체(41d)를 가지고 있다. 제1 판 본체(41c) 및 제2 판 본체(41d)는, 외형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확경하도록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판 본체(41c) 및 제2 판 본체(41d)의 사이에는,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판 본체(41c) 및 제2 판 본체(41d)의 타단부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축 커버(46)의 후술하는 제1 계합 홈(46b) 및 제2 계합 홈(46c)에 대략 직각으로 계합하도록 구부러져 형성된 제1 계합부(41e) 및 제2 계합부(41f)를 가지고 있다. 제1 판 본체(41c)의 외측면은, 봉상부(41a)의 외측면과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경사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판 본체(41d)의 외측면은, 봉상부(41a)의 외측면과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약간 경사하여 형성되어 있다.
고정 축(43)은, 도 5부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축 커버(46)의 타단 측으로부터 별체로 장착되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축 부재이고, 대경의 머리부(43a)와, 외주 측에 라인 롤러(44)가 배치되는 축부(43b)를 가지고 있다. 머리부(43a)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단부가 정점으로 되도록 대략 원추 형상으로 돌출한 부분이고, 베일(41)의 제1 판 본체(41c) 및 제2 판 본체(41d)의 사이에 형성된 대략 삼각 형상의 공간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머리부(43a)의 원추 형상의 측면의 일방은, 제1 판 본체(41c)의 내측면과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머리부(43a)가 제1 판 본체(41c)에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축부(43b)는, 머리부(43a)의 일단으로부터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선단이 고정 볼트(52)에 의하여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라인 롤러(44)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홈이 형성된 통상의 안내부(44a)와, 안내부(44a)의 내주(內周) 측에 배치된 통상부(44b)와, 통상부(44b)의 내주 측에 배치된 구름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44c)을 가지고 있다. 안내부(44a)는, 통상부(44b) 및 베어링(44c)을 통하여 고정 축(43)의 축부(43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안내부(44a)의 일단부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장착부(40b)의 통상부 내주에 배치되고, 안내부(44a)의 일단부와 장착부(40b)의 통상부 내주와의 사이의 간극에는, 환상 부재(44d)가 장착되어 있으며, 낚싯줄이 내부에 침입하기 어려운 구조가 되어 있다. 또한, 환상 부재(44d)의 일단부는, 고정 축(43)의 축부(43b)의 일단부에 장착된 통상의 개장(介裝, 부재 간에 설치함) 부재(44e)에 의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개장 부재(44e)의 일단부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장착부(40b)의 통상부 내주 저부(底部)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개장 부재(44e)의 타단부를 베어링(44c)의 내륜의 일단부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베어링(44c)의 내륜을 고정 축 커버(46)와 개장 부재(44e)로 끼워 넣도록 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고정 축 커버(46)는, 도 5부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축(43)의 타단에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장착부(40b)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고정 축 커버(46)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상의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고정 축(43)의 타단에 제1 베일 지지 부재(4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대략 원통상의 커버 본체(46a)와, 커버 본체(46a)의 측면 외주면의 2개소에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베일(41)의 제1 계합부(41e) 및 제2 계합부(41f)가 계합하는 제1 계합 홈(46b) 및 제2 계합 홈(46c)을 가지고 있다. 제1 계합 홈(46b) 및 제2 계합 홈(46c)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본체(46a)의 고정 축(43)을 사이에 둔 양측의 측면에 각각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판상부(41b)의 제1 계합부(41e) 및 제2 계합부(41f)가 대략 직각으로 계합하도록 고정 축(43)과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된 홈이다. 제1 계합 홈(46b) 및 제2 계합 홈(46c)은, 중심이 동심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커버 본체(46a)의 고정 축(43)의 축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오목 홈이다. 제1 계합 홈(46b) 및 제2 계합 홈(46c)은,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판상부(41b)의 제1 계합부(41e) 및 제2 계합부(41f)의 외형 형상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고정 축 커버(46)의 커버 본체(46a)의 측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제1 계합 홈(46b) 및 제2 계합 홈(46c)에 판상부(41b)의 제1 계합부(41e) 및 제2 계합부(41f)가 삽입 고정된다.
다음으로, 릴의 조작 및 동작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캐스팅 시에는, 로터(3)를 역전 금지 상태로 하여, 손으로 베일 암(34)을 쥐어 베일 암(34)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베일 암(34)이 줄 개방 자세로 넘어진 상태에서는, 스풀(4)로부터의 낚싯줄을 용이하게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캐스팅 후에, 베일 암(34)을 줄 개방 자세로 유지한 채의 상태에서,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베일 암(34)이 줄 감기 자세로 복귀한다. 이때,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낚싯줄은 베일(41)로부터 고정 축 커버(46)를 통하여 라인 롤러(44)로 도출되어, 스풀(4)에 감긴다.
이 스피닝 릴에서는, 고정 축 커버(46)는, 커버 본체(46a)의 측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제1 계합 홈(46b) 및 제2 계합 홈(46c)을 가지고, 베일(41)은, 제1 계합 홈(46b) 및 제2 계합 홈(46c)에 계합하는 제1 계합부(41e) 및 제2 계합부(41f)를 가지는 판상부(41b)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베일(41)은, 고정 축 커버(46)의 커버 본체(46a)의 측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제1 계합 홈(46b) 및 제2 계합 홈(46c)에 판상부(41b)의 제1 계합부(41e) 및 제2 계합부(41f)가 삽입되어 있고, 제1 계합 홈(46b) 및 제2 계합 홈(46c)에 삽입된 판상부(41b)의 제1 계합부(41e) 및 제2 계합부(41f)가 고정 축 커버(46)의 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홈부에 삽입된 판상부(41b)가 고정 축 커버(46)의 단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낚싯줄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런트 드랙형의 스피닝 릴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리어 드랙형의 스피닝 릴이나 드랙을 가지지 않는 스피닝 릴이나 레버 드랙형의 스피닝 릴 등의 임의의 스피닝 릴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 축(43)과 고정 축 커버(46)가 별체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고정 축(43)과 고정 축 커버(46)를 일체 성형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일(41)의 봉상부(41a)는 원주상 중실 부재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통상의 중공(中空) 부재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베일(41)을 경량화할 수 있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 축 커버(46)의 커버 본체(46a)는, 대략 원통상의 부재였지만, 제1 계합 홈(46b) 및 제2 계합 홈(46c)을 측면에 배치 가능하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일(41)의 판상부(41b)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2 방향으로 분기하여 연장되는 제1 판 본체(41c) 및 제2 판 본체(41d)를 가지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 축(43)의 타단부가 정점으로 되도록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고정 축 커버(46)가 고정 축(43)보다 타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정 축 커버(46)의 타단부가 정점으로 되도록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g)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일(41)의 봉상부(41a) 및 판상부(41b)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었지만, 제조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봉상부(41a) 및 판상부(41b)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고, 봉상부(41a)와 판상부(41b)를 용접 등으로 접합하여도 무방하다.
1: 핸들 1a: 손잡이
1b: 크랭크 암 2: 릴 본체
2a: 릴 보디 2b: 장대 취부 다리
3: 로터 4: 스풀
5: 로터 구동 기구 6: 오실레이팅 기구
10: 핸들 축 11: 마스터 기어
12: 피니언 기어 15: 스풀 축
21: 나축 22: 슬라이더
23: 중간 기어 30: 원통부
31: 제1 로터 암 32: 제2 로터 암
33: 너트 34: 베일 암
40: 제1 베일 지지 부재 40a: 암부
40b: 장착부 40c: 관통공
41: 베일 41a: 봉상부
41b: 판상부 41c: 제1 판 본체
41d: 제2 판 본체 41e: 제1 계합부
41f: 제2 계합부 42: 제2 베일 지지 부재
43: 고정 축 43a: 머리부
43b: 축부 44: 라인 롤러
44a: 안내부 44b: 통상부
44c: 베어링 44d: 환상 부재
44e: 개장 부재 46: 고정 축 커버
46a: 커버 본체 46b: 제1 계합 홈
46c: 제2 계합 홈 52: 고정 볼트
60: 드랙 기구

Claims (8)

  1. 제1 로터 암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先端)에 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줄을 스풀에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이고,
    상기 제1 로터 암 및 상기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베일 지지 부재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에 일단(一端)이 고정된 고정 축과,
    상기 고정 축의 타단(他端)에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측면만에 개구(開口)하도록 형성된 계합(係合) 홈을 가지는 고정 축 커버와,
    상기 고정 축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고, 둘레면에 상기 낚싯줄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된 라인 롤러와,
    봉상(棒狀)으로 형성된 봉상부, 및 일단부가 상기 봉상부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 축 커버에 장착되는 판상부(板狀部)를 가지고, 상기 낚싯줄을 상기 고정 축 커버를 통하여 상기 라인 롤러로 이끄는 베일
    을 구비하고,
    상기 판상부는, 상기 계합 홈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는, 대략 원통상(圓筒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계합 홈은, 상기 커버 본체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홈은, 상기 커버 본체의 상기 고정 축을 사이에 둔 양측의 측면에 각각 개구하도록 형성된 제1 계합 홈 및 제2 계합 홈을 더 가지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제1 계합 홈 및 상기 제2 계합 홈에 계합하는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를 더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하여 2 방향으로 분기(分岐)하여 연장되는 제1 판 본체 및 제2 판 본체를 더 가지고,
    상기 제1 계합부 및 상기 제2 계합부는, 상기 제1 판 본체 및 상기 제2 판 본체의 타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축 및 상기 고정 축 커버의 어느 하나는, 타단부가 상기 제1 판 본체 및 상기 제2 판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정점(頂点)으로 되도록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 본체 및 상기 제2 판 본체의 일방(一方)의 외측면은, 상기 봉상부(棒狀部)의 외측면과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하여 확경(擴俓)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상기 계합 홈에 대략 직각으로 계합하도록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KR1020110012824A 2010-02-26 2011-02-14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KR101736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1879 2010-02-26
JP2010041879A JP5481228B2 (ja) 2010-02-26 2010-02-26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618A KR20110098618A (ko) 2011-09-01
KR101736785B1 true KR101736785B1 (ko) 2017-05-17

Family

ID=4408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824A KR101736785B1 (ko) 2010-02-26 2011-02-14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61930B2 (ko)
EP (1) EP2361501B1 (ko)
JP (1) JP5481228B2 (ko)
KR (1) KR101736785B1 (ko)
CN (1) CN102165941B (ko)
MY (1) MY159979A (ko)
SG (2) SG188892A1 (ko)
TW (1) TWI5542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0511A (zh) * 2011-12-29 2012-07-11 宁波羚祐渔具有限公司 一种钓鱼卷线器的导线轮轴结构
KR102005125B1 (ko) * 2012-05-29 2019-07-29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스피닝 릴
JP6046385B2 (ja) * 2012-06-18 2016-12-14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6251105B2 (ja) * 2014-03-31 2017-12-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247138B2 (ja) * 2014-03-31 2017-12-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5208313A (ja) * 2014-04-30 2015-11-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345555B2 (ja) * 2014-09-11 2018-06-20 株式会社シマノ ラインローラ
JP6965063B2 (ja) * 2017-09-05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6994932B2 (ja) * 2017-12-22 2022-01-14 株式会社シマノ ラインロー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288A (ja) 1998-10-09 2000-04-25 Ryobi Ltd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934512B2 (ja) 2002-08-28 2007-06-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9148203A (ja) 2007-12-20 2009-07-0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部品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897Y2 (ja) * 1989-12-02 1995-11-29 島野工業株式会社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アーム機構
JP3433011B2 (ja) * 1996-06-12 2003-08-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6220537B1 (en) * 1997-03-07 2001-04-24 Daiwa Seiko, Inc. Fishing spinning reel having smoothly shaped rail portion
EP0923861A1 (en) * 1997-12-18 1999-06-23 Daiwa Seiko Inc. Fishing spinning reel
US7083133B2 (en) * 2003-04-18 2006-08-01 Shimano Inc.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321046A (ja) * 2003-04-23 2004-11-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4451743B2 (ja) * 2004-08-09 2010-04-1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US7665683B2 (en) * 2007-12-18 2010-02-23 Shimano Inc. Fishing line guid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JP2010041879A (ja) 2008-08-07 2010-02-18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電子装置
US7967232B2 (en) * 2009-10-28 2011-06-28 Shimano Inc. Spinning-reel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288A (ja) 1998-10-09 2000-04-25 Ryobi Ltd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934512B2 (ja) 2002-08-28 2007-06-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9148203A (ja) 2007-12-20 2009-07-0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部品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88892A1 (en) 2013-04-30
TW201204244A (en) 2012-02-01
US8561930B2 (en) 2013-10-22
JP2011177035A (ja) 2011-09-15
TWI554205B (zh) 2016-10-21
KR20110098618A (ko) 2011-09-01
JP5481228B2 (ja) 2014-04-23
MY159979A (en) 2017-02-15
EP2361501A1 (en) 2011-08-31
US20110210197A1 (en) 2011-09-01
CN102165941A (zh) 2011-08-31
EP2361501B1 (en) 2014-08-13
CN102165941B (zh) 2014-07-16
SG173960A1 (en)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785B1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EP1652426B1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EP1958504B1 (en) Spinning reel handle assembly
JP2010273629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EP2248418A1 (en) Rotor for spinning reel
KR100656501B1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JP393451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89269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KR20110046309A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EP1407662B1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536753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82537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KR20040092447A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JP529665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4081154A5 (ko)
JP200125843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6238713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200135286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1016684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109204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902216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